[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15008B1 - 양방향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 Google Patents

양방향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5008B1
KR101515008B1 KR1020120153685A KR20120153685A KR101515008B1 KR 101515008 B1 KR101515008 B1 KR 101515008B1 KR 1020120153685 A KR1020120153685 A KR 1020120153685A KR 20120153685 A KR20120153685 A KR 20120153685A KR 101515008 B1 KR101515008 B1 KR 101515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control
control port
land portion
spo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3662A (ko
Inventor
이명길
김호연
이영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20153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5008B1/ko
Publication of KR20140083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3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00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2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involving adjustment of a pump or motor with adjustable output or capacity
    • F16H61/421Motor capacity control by electro-hydraulic control means, e.g. using solenoi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6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hydraulic
    • F16H61/0276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ydraulic control units, e.g. valves
    • F16H2061/0279Details of hydraulic valves, e.g. lands, ports, spools or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28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being caused by a non-mechanical force, e.g. power-assisted
    • F16H2061/2853Electromagnetic soleno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속기 등에 공급되는 유체를 양방향으로 공급하여 변속기 등의 양방향 모두를 유체로 정밀제어할 수 있는 양방향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양방향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자기력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아마츄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부의 일단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공급포트, 제어포트 및 배출포트가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아마츄어에 의해 직선이동하는 스풀과; 상기 스풀을 상기 아마츄어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공급포트는 1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포트는, 상기 공급포트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제어포트와; 상기 공급포트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제어포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포트는, 상기 제1제어포트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배출포트와; 상기 제2제어포트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배출포트로 이루어져, 상기 제1배출포트, 제1제어포트, 공급포트, 제2제어포트, 제2배출포트 순서로 배치되며, 상기 스풀은 직선이동하면서 상기 제1제어포트와 제2제어포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공급포트와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방향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 TWO-WAY CONTROLLING SOLENOID VALVE }
본 발명은 양방향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속기 등에 공급되는 유체를 양방향으로 공급하여 변속기 유압실린더의 양방향 모두를 유체로 정밀제어할 수 있는 양방향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변속기는 엔진의 회전속도와 회전력을 다양한 주행환경에 적합하도록 변환하여 전달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가 출발할 때에는 느린 회전속도와 높은 회전력을 갖도록 하고, 일정한 속도로 주행할 때에는 빠른 회전속도와 낮은 회전력을 갖도록 한다.
이러한 변속기는, 변속과정이 운전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이루어지는 수동변속기와, 일정한 패턴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자동변속기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자동변속기는 토크 컨버터, 작동기구, 유성기어장치, 유압제어기구, 전자제어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유압제어기구에는 자동변속기로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기 위한 압력조절용 밸브기구가 마련된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192166호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솔레노이드 밸브가 게재되어 있다.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술한 압력조절용 밸브기구 중 하나이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전원의 인가 여부에 따라 작동하는 솔레노이드(200)와, 솔레노이드(200)에 결합된 플랜지(110)와, 플랜지(110)의 내부에 설치된 스풀(120)을 포함한다.
플랜지(110)의 외주면에는 공급포트(150), 제어포트(160), 배출포트(170) 등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제어포트가 1개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최근에는 더블 변속기 유압실린더 트랜스미션(Double Clutch Transmission, DCT) 등의 다양한 변속기 개발이 점차 활발해짐에 따라 유량제어 밸브의 적용이 늘어나게 되었는데, DCT의 변속에 사용되는 유압실린더는 양방향 제어가 필요하다.
특히 전류의 변화에 따라 유량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비례제어형 유량제어밸브가 필요로 하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솔레노이드밸브는 제어포트가 1개만으로 이루어져 있어, 제어포트에 연결된 변속변속기 유압실린더에 일방향으로만 유량을 공급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변속변속기 유압실린더의 결합시에는 솔레노이드밸브에서 공급되는 오일을 이용하여 정밀 제어할 수 있지만, 해제시에는 리턴스프링을 이용하기 때문에 정밀제어를 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변속변속기 유압실린더 등에 장착되어 변속기의 결합 및 해제에 대한 양방향 제어를 정밀하게 할 수 있는 양방향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양방향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자기력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아마츄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부의 일단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공급포트, 제어포트 및 배출포트가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아마츄어에 의해 직선이동하는 스풀과; 상기 스풀을 상기 아마츄어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공급포트는 1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포트는, 상기 공급포트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제어포트와; 상기 공급포트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제어포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포트는, 상기 제1제어포트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배출포트와; 상기 제2제어포트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배출포트로 이루어져, 상기 제1배출포트, 제1제어포트, 공급포트, 제2제어포트, 제2배출포트 순서로 배치되며, 상기 스풀은 직선이동하면서 상기 제1제어포트와 제2제어포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공급포트와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풀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랜드부가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되, 상기 구동부가 동작하지 않는 자유상태에서, 상기 공급포트와 제1제어포트는 상호 연통되고, 상기 제1제어포트와 제1배출포트는 상기 랜드부에 의해 상호 차단되며, 상기 공급포트와 제2제어포트는 상기 랜드부에 의해 상호 차단되고, 상기 제2제어포트와 제2배출포트는 상호 연통되며, 상기 구동부가 동작하여 상기 스풀이 상기 스프링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공급포트와 제1제어포트는 상기 랜드부에 의해 상호 차단되고, 상기 제1제어포트와 제1배출포트는 상호 연통되며, 상기 공급포트와 제2제어포트는 상호 연통되고, 상기 제2제어포트와 제2배출포트는 상기 랜드부에 의해 상호 차단된다.
상기 랜드부는, 상기 제1제어포트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며 상기 스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제어포트를 개폐하는 제1랜드부와; 상기 제2제어포트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며 상기 스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2제어포트를 개폐하는 제2랜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풀의 이동과정 중에 상기 제1랜드부와 제2랜드부에 의해 상기 제1제어포트와 제2제어포트가 동시에 폐쇄되는 위치가 있다.
또한, 상기 랜드부는, 상기 공급포트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며 상기 스풀의 이동에 의해 상기 공급포트를 개폐하는 제3랜드부와; 상기 제1배출포트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며 상기 스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배출포트를 개폐하는 제4랜드부와; 상기 제2배출포트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며 상기 스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2배출포트를 개폐하는 제5랜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풀의 이동과정 중에 상기 제3랜드부와 제4랜드부와 제5랜드부에 의해 상기 공급포트와 제1배출포트 및 제2배출포트가 동시에 폐쇄되는 위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양방향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2개의 제어포트와 2개의 배출포트가 형성되어 있어, 제1제어포트와 제2제어포트를 통해 양방향으로 오일을 공급할 수 있는바, 변속기 유압실린더 등의 결합 및 해제에 대하여 양방향 제어를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변속기용 솔레노이드 밸브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단면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에서 스풀이 이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한 전류와 유량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단면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에서 스풀이 이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단면구조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에서 스풀이 이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구조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한 전류와 유량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방향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는, 구동부(10)와, 플랜지(20)와, 스풀(30)과, 스프링(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부(10)는 코일(11)에 전류가 인가됨으로써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아마츄어(12)를 이동시킨다.
이러한 상기 구동부(10)의 구조는 종래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조와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플랜지(20)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부(10)의 일단에 결합된다.
상기 플랜지(20)의 외주면에는 공급포트(21), 제어포트 및 배출포트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급포트(21)는 외부의 유압공급원 또는 유량공급원에서 공급된 유체가 상기 플랜지(20)의 내부로 주입되도록 하는 구멍으로써, 1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포트는 상기 공급포트(21)를 통해 공급된 소정 압력의 유체가 클러치에 연결된 변속기의 유압실린더 등으로 배출되는 구멍으로써, 2개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제어포트는, 상기 공급포트(21)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제어포트(22a)와, 상기 공급포트(21)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제어포트(22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제어포트(22a)와 제2제어포트(22b)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변속기 유압실린더에 등에 연결된다.
상기 배출포트는 상기 플랜지(20)의 내부 잔압을 제거 즉 상기 제어포트에 공급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구멍으로써, 2개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배출포트는, 상기 제1제어포트(22a)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배출포트(23a)와, 상기 제2제어포트(22b)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배출포트(23b)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위와 같은 포트들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상기 제1배출포트(23a), 제1제어포트(22a), 공급포트(21), 제2제어포트(22b), 제2배출포트(23b) 순서로 배치되게 된다.
상기 스풀(30)은 상기 플랜지(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아마츄어(12)에 의해 직선이동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10)의 코일(11)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아마츄어(12)의 이동에 의해 상기 스풀(30)은 상기 구동부(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프링(40)을 압축시킨다.
상기 스프링(40)은 상기 스풀(30)을 기준으로 상기 구동부(10)의 반대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스풀(30)을 상기 아마츄어(12)가 배치된 구동부(10) 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상기 스풀(30)은 직선이동하면서 상기 제1제어포트(22a)와 제2제어포트(22b)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공급포트(21)와 연통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스풀(30)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랜드부가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랜드부는, 제1랜드부(31)와 제2랜드부(3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랜드부(31)는 상기 제1제어포트(22a)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며 상기 스풀(3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제어포트(22a)를 개폐한다.
상기 제2랜드부(32)는 상기 제2제어포트(22b)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며 상기 스풀(3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2제어포트(22b)를 개폐한다.
상기 제1랜드부(31)와 제2랜드부(32)는 각각 상기 제1제어포트(22a) 및 제2제어포트(22b)에 대하여, 0.1~0.2mm정도 크게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10)가 동작하지 않는 자유상태에서, 상기 공급포트(21)와 제1제어포트(22a)는 상호 연통되고, 상기 제1제어포트(22a)와 제1배출포트(23a)는 상기 제1랜드부(31)에 의해 상호 차단되며, 상기 공급포트(21)와 제2제어포트(22b)는 상기 제2랜드부(32)에 의해 상호 차단되고, 상기 제2제어포트(22b)와 제2배출포트(23b)는 상호 연통된다.
그리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10)가 동작하여 상기 스풀(30)이 상기 스프링(40)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공급포트(21)와 제1제어포트(22a)는 상기 제1랜드부(31)에 의해 상호 차단되고, 상기 제1제어포트(22a)와 제1배출포트(23a)는 상호 연통되며, 상기 공급포트(21)와 제2제어포트(22b)는 상호 연통되고, 상기 제2제어포트(22b)와 제2배출포트(23b)는 상기 제2랜드부(32)에 의해 상호 차단된다.
또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풀(30)의 이동과정 중에 상기 제1랜드부(31)와 제2랜드부(32)에 의해 상기 제1제어포트(22a)와 제2제어포트(22b)가 동시에 폐쇄되는 위치가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10)가 동작하지 않는 자유상태에서는, 상기 제1랜드부(31)가 상기 제1제어포트(22a)를 개방하고 있어 상기 공급포트(21)와 제1제어포트(22a)는 상호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제어포트(22a)와 제1배출포트(23a)는 상기 제1랜드부(31)에 의해 상호 차단된다.
또한, 상기 공급포트(21)와 제2제어포트(22b)는 상기 제2랜드부(32)에 의해 상호 차단되고, 상기 제2제어포트(22b)와 제2배출포트(23b)는 상호 연통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공급포트(21)를 통해 유체 즉 오일에 공급되면, 오일은 상기 제1제어포트(22a)를 통해 변속기 유압실린더 등에 공급되고, 상기 제2제어포트(22b)로는 공급되지 않는다.
이때에는 도 4에 '①'로 표시된 바와 같이 높은 유량을 공급한다.
상기 코일(11)에 전류가 인가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풀(30)이 상기 스프링(40)이 배치된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풀(30)에 형성된 상기 제1랜드부(31)와 제2랜드부(32)에 의해 상기 제1제어포트(22a)와 제2제어포트(22b)가 동시에 폐쇄되게 된다.
이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점 유량이 줄어들다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랜드부(31)와 제2랜드부(32)가 상기 제1제어포트(22a)를 폐쇄하면 도 4에 '②'로 표시된 바와 같이 공급되는 유량이 없게 된다.
그 후 상기 스풀(30)이 좌측방향으로 더 이동하게 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랜드부(32)가 상기 공급포트(21)와 제1제어포트(22a)를 상호 차단되고, 상기 제1제어포트(22a)와 제1배출포트(23a)는 상호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제1제어포트(22a)로 공급된 유체는 상기 제1배출포트(23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포트(21)와 제2제어포트(22b)는 상호 연통되고, 상기 제2제어포트(22b)와 제2배출포트(23b)는 상기 제2랜드부(32)에 의해 상호 차단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공급포트(21)를 통해 공급된 오일이, 상기 제2제어포트(22b)를 통해 변속기 유압실린더 등에 공급되고, 상기 제1제어포트(22a)로는 공급되지 않는다.
이때에는 도 4에 '③'로 표시된 바와 같이 높은 유량을 공급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코일(11)에 인가된 전류를 차단하면 상기 스프링(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스풀(30)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위에서 설명한 역방향의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제1제어포트(22a)와 제2제어포트(22b)를 통해 양방향으로 오일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변속기 유압실린더 등을 통한 기어의 결합 및 해제를 오일에 의해 모두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공급포트(21)를 통해 공급되는 오일을 상기 제1제어포트(22a)와 제2제어포트(22b) 중 어느 하나에만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제어포트(22a)와 제2제어포트(22b)에 비례제어적으로 유량을 공급할 수 있어 변속기 유압실린더 등의 변위제어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종래에는 제어포트가 1개만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변속기 유압실린더의 결합은 제어포트를 통해 공급된 오일에 의하고, 해제는 리턴스프링(40)으로 작동시켰는바, 리턴스프링(40)에 의한 변위적 이력(히스테리시스)이 발생하여 양방향 변위제어가 정확하지 못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양방향제어를 모두 유체로 하고, 양방향의 유량을 모두를 각각 비례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정밀한 변위제어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단면구조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에서 스풀(30)이 이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구조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구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구조와 비교하여,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상기 제1배출포트(23a), 제1제어포트(22a), 공급포트(21), 제2제어포트(22b), 제2배출포트(23b)가 배열되어 있어 그 배열순서가 반대로 되어 있고, 상기 랜드부에 차이가 있다.
상기 랜드부는, 제3랜드부(33)와, 제4랜드부(34)와, 제5랜드부(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3랜드부(33)는 상기 공급포트(21)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며 상기 스풀(30)의 이동에 의해 상기 공급포트(21)를 개폐한다.
상기 제4랜드부(34)는 상기 제1배출포트(23a)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며 상기 스풀(3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배출포트(23a)를 개폐한다.
상기 제5랜드부(35)는 상기 제2배출포트(23b)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며 상기 스풀(3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2배출포트(23b)를 개폐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작동은 아래와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10)가 동작하지 않는 자유상태에서는, 상기 제3랜드부(33)가 상기 공급포트(21)를 개방하고 있어 상기 공급포트(21)와 제1제어포트(22a)는 상호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제어포트(22a)와 제1배출포트(23a)는 상기 제4랜드부(34)에 의해 상호 차단된다.
또한, 상기 공급포트(21)와 제2제어포트(22b)는 상기 제3랜드부(33)에 의해 상호 차단되고, 상기 제2제어포트(22b)와 제2배출포트(23b)는 상호 연통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공급포트(21)를 통해 유체 즉 오일에 공급되면, 오일은 상기 제1제어포트(22a)를 통해 변속기 유압실린더 등에 공급되고, 상기 제2제어포트(22b)로는 공급되지 않는다.
상기 코일(11)에 전류가 인가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풀(30)이 상기 스프링(40)이 배치된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풀(30)에 형성된 상기 제3랜드부(33)에 의해 상기 공급포트(21)가 폐쇄되고, 상기 제4랜드부(34) 및 제5랜드부(35)에 의해 상기 제1배출포트(23a)와 제2배출포트(23b)가 각각 동시에 폐쇄된다.
그 후 상기 스풀(30)이 좌측방향으로 더 이동하게 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랜드부(33)가 상기 공급포트(21)와 제1제어포트(22a)를 상호 차단되고, 상기 제1제어포트(22a)와 제1배출포트(23a)를 상호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제1제어포트(22a)로 공급된 유체는 상기 제1배출포트(23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포트(21)와 제2제어포트(22b)는 상호 연통되고, 상기 제2제어포트(22b)와 제2배출포트(23b)는 상기 제5랜드부(35)에 의해 상호 차단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공급포트(21)를 통해 공급된 오일이, 상기 제2제어포트(22b)를 통해 변속기 유압실린더 등에 공급되고, 상기 제1제어포트(22a)로는 공급되지 않는다.
위와 같은 구조를 통해서도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제어포트(22a)와 제2제어포트(22b)를 통해 양방향으로 오일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변속기 유압실린더 등의 결합 및 해제를 오일에 의해 모두 제어할 수 있어, 유압실린더 등의 양방향 제어를 정밀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양방향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구동부, 11 : 코일, 12 : 아마츄어,
20 : 플랜지, 21 : 공급포트, 22a : 제1제어포트, 22b : 제2제어포트, 23a : 제1배출포트, 23b : 제2배출포트,
30 : 스풀, 31 : 제1랜드부, 32 : 제2랜드부, 33 : 제3랜드부, 34 : 제4랜드부, 35 : 제5랜드부,
40 : 스프링,

Claims (6)

  1. 삭제
  2. 전자기력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아마츄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부의 일단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공급포트, 제어포트 및 배출포트가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아마츄어에 의해 직선이동하는 스풀과; 상기 스풀을 상기 아마츄어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공급포트는 1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포트는, 상기 공급포트의 일측에 배치된 제1제어포트와; 상기 공급포트의 타측에 배치된 제2제어포트로 이루어져, 상기 제1제어포트와 제2제어포트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변속기 유압실린더에 연결되며,
    상기 배출포트는, 상기 제1제어포트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배출포트와; 상기 제2제어포트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배출포트로 이루어져,
    상기 제1배출포트, 제1제어포트, 공급포트, 제2제어포트, 제2배출포트 순서로 배치되며,
    상기 스풀은 직선이동하면서 상기 제1제어포트와 제2제어포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공급포트와 연통시켜, 상기 제1제어포트와 제2제어포트를 통해 상기 변속기 유압실린더의 양방향으로 오일을 공급하여 제어하고,
    상기 스풀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랜드부가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가 동작하지 않는 자유상태에서,
    상기 공급포트와 제1제어포트는 상호 연통되고, 상기 제1제어포트와 제1배출포트는 상기 랜드부에 의해 상호 차단되며, 상기 공급포트와 제2제어포트는 상기 랜드부에 의해 상호 차단되고, 상기 제2제어포트와 제2배출포트는 상호 연통되며,
    상기 구동부가 동작하여 상기 스풀이 상기 스프링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공급포트와 제1제어포트는 상기 랜드부에 의해 상호 차단되고, 상기 제1제어포트와 제1배출포트는 상호 연통되며, 상기 공급포트와 제2제어포트는 상호 연통되고, 상기 제2제어포트와 제2배출포트는 상기 랜드부에 의해 상호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랜드부는,
    상기 제1제어포트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며 상기 스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제어포트를 개폐하는 제1랜드부와;
    상기 제2제어포트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며 상기 스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2제어포트를 개폐하는 제2랜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스풀의 이동과정 중에 상기 제1랜드부와 제2랜드부에 의해 상기 제1제어포트와 제2제어포트가 동시에 폐쇄되는 위치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5.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랜드부는,
    상기 공급포트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며 상기 스풀의 이동에 의해 상기 공급포트를 개폐하는 제3랜드부와;
    상기 제1배출포트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며 상기 스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배출포트를 개폐하는 제4랜드부와;
    상기 제2배출포트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며 상기 스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2배출포트를 개폐하는 제5랜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6.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스풀의 이동과정 중에 상기 제3랜드부와 제4랜드부와 제5랜드부에 의해 상기 공급포트와 제1배출포트 및 제2배출포트가 동시에 폐쇄되는 위치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KR1020120153685A 2012-12-26 2012-12-26 양방향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Expired - Fee Related KR101515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685A KR101515008B1 (ko) 2012-12-26 2012-12-26 양방향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685A KR101515008B1 (ko) 2012-12-26 2012-12-26 양방향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662A KR20140083662A (ko) 2014-07-04
KR101515008B1 true KR101515008B1 (ko) 2015-04-24

Family

ID=51734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685A Expired - Fee Related KR101515008B1 (ko) 2012-12-26 2012-12-26 양방향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50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401B1 (ko) * 2017-11-13 2019-08-12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가변 솔레노이드 밸브
WO2020164696A1 (en) * 2019-02-13 2020-08-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Dual function magnet actuator
EP3906569B1 (en) * 2019-02-26 2024-07-31 Huawei Technologies Co., Ltd. Dual direction magnet actua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9427B1 (ko) 1997-10-10 2001-03-02 정몽규 무단 변속기의 전, 후진 제어를 위한 매뉴얼 밸브
JP2004124964A (ja) 2002-09-30 2004-04-22 Jatco Ltd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およびロックアップコントロールバルブ
WO2009005149A1 (ja) 2007-07-04 2009-01-08 Eagle Industry Co., Ltd. ソレノイドバルブ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9427B1 (ko) 1997-10-10 2001-03-02 정몽규 무단 변속기의 전, 후진 제어를 위한 매뉴얼 밸브
JP2004124964A (ja) 2002-09-30 2004-04-22 Jatco Ltd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およびロックアップコントロールバルブ
WO2009005149A1 (ja) 2007-07-04 2009-01-08 Eagle Industry Co., Ltd. ソレノイドバル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662A (ko) 2014-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362063T1 (de) Hilfskraftbetätigte steuerung eines doppelkupplungsgetriebes eines fahrzeugs
US20070163662A1 (en) Proportional pressure control valve
KR101287698B1 (ko) 동력 전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KR20160117495A (ko) 차량용 유압 시스템
KR101515008B1 (ko) 양방향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US20020148310A1 (en) Hydraulic control system of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
CN101387343A (zh) 阀控制系统
US20090029607A1 (en) Propeller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1-engine, 2-shaft vessel
CN104913082B (zh) 控制液力变矩器的锁止离合器的控制阀
CN101943190A (zh) 数控比例液压换向阀
CN103307137A (zh) 一种amt离合器手动应急操纵装置
US8661925B2 (en) Hydraulically operated shifter for power take-off
CN103498821A (zh) 用于并联行星轮系的变速器的液压控制系统
US8033956B2 (en) Hydraulic control unit
CN201236945Y (zh) 汽车电控机械式自动变速器液压系统
CN102720879B (zh) 一种电磁阀及自动变速器的液压控制系统
JPH11344055A (ja) ハイドロリック式の作動システム
KR950017393A (ko) 5속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KR20150006175A (ko)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기구
KR101943740B1 (ko)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강제 중립복귀장치
KR20150122161A (ko) 유압 슬리브를 통해 오염을 방지하는 솔레노이드 모터 벤팅 방법
KR101582409B1 (ko) 기어 액츄에이터
JPH04231771A (ja) インチングバルブ
ITTO960507A1 (it) Dispositivo elettroidraulico per il comando della funzione di selezio ne delle marce in un cambio servocomando.
KR101393819B1 (ko)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