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14801B1 - 과불화화합물의 분리 및 재활용시스템 - Google Patents

과불화화합물의 분리 및 재활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801B1
KR101514801B1 KR1020130072924A KR20130072924A KR101514801B1 KR 101514801 B1 KR101514801 B1 KR 101514801B1 KR 1020130072924 A KR1020130072924 A KR 1020130072924A KR 20130072924 A KR20130072924 A KR 20130072924A KR 101514801 B1 KR101514801 B1 KR 101514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nitrogen gas
pipe
separation
membra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0619A (ko
Inventor
노영석
Original Assignee
(주)파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30072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801B1/ko
Application filed by (주)파인텍 filed Critical (주)파인텍
Priority to JP2015524170A priority patent/JP5915952B2/ja
Priority to CN201380016518.8A priority patent/CN104619401B/zh
Priority to EP13879248.6A priority patent/EP3015156A4/en
Priority to PCT/KR2013/006146 priority patent/WO2014208808A1/ko
Priority to US14/394,027 priority patent/US9592473B2/en
Priority to US14/383,120 priority patent/US9599225B2/en
Publication of KR20150000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80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 B01D53/225Multiple stage diffusion
    • B01D53/227Multiple stage diffusion in parallel connex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0Controlling by gas-analysis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8Halogens or halogen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10Single element gases other than halogens
    • B01D2257/102Nitro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20Halogens or halogen compounds
    • B01D2257/204Inorganic halogen compounds
    • B01D2257/2047Hydrofluoric ac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55Compounds of silicon, phosphorus, germanium or arse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2Other waste gases
    • B01D2258/0216Other waste gases from CVD treatment 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25Recirculation, recycling or bypass, e.g. recirculation of concentrate into the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0Specific supply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50Specific extra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7/00Membrane module arrangements within a plant or an apparatus
    • B01D2317/04Elements in parall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3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perfluorocarbons [PFC], hydrofluorocarbons [HFC] or sulfur hexafluoride [SF6]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불화화합물의 분리 및 재활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주로 반도체 생산공정에서 발생하는 육불화황을 포함하는 과불화화합물을 효과적으로 분리하고 이를 제거 또는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정에서 다수의 분리막을 통과할 때 각각의 분리막에 일정한 압력이 작용하여 분리막의 파손과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드라이 에칭공정과 CVD 세정 챔버를 포함하는 과불화화합물을 이용하거나 생성되는 배가스 발생시설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포함하는 가스를 처리하는 과불화화합물의 분리 및 재활용시스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배가스 발생시설에서 발생하는 배가스가 유입되어 관로의 단면적이 테이퍼지게 확장되는 확장관과, 상기 확장관에서 수직 아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버퍼탱크와;
일측이 상기 버퍼탱크의 확장관이 형성된 타측과 연결되어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수평분배관과;
하단은 상기 수평분배관과 연결되고 수직상부로 연장되어 내부에 입도가 작은 질소는 통과하고 과불화화합물을 포함하는 불순가스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분리막이 형성되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장착되는 다수의 막분리 필터와;
다수의 상기 막분리 필터에서 분리막을 통과하지 못한 불순가스를 취합하여 재처리실로 이동시키는 불순가스 배출관로와;
다수의 상기 막분리 필터에서 분리막을 통과한 질소가스를 취합하여 빨아들이는 제1 백큠펌프가 장착되고, 상기 제1 백큠펌프에서 흡입된 질소가스를 보조 막분리필터에 의하여 다시 분리하여 불순가스는 불순가스 배출관로로 배출하고 질소가스는 재활용할 수 있도록 이동시키는 제1 질소가스 재활용관로와;
상기 보조 막분리 필터에서 분리막을 통과한 질소가스를 빨아들이는 제2 백큠펌프가 장착되고, 상기 제2 백큠펌프에서 흡입된 순도 높은 질소가스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이동시키는 제2 질소가스 재활용관로와;
상기 제1 내지 제2 질소가스 제활용관로의 제1 내지 제2 백큠펌프를 지난 직후의 관로의 육불화황과 삼불화질소을 각각 감지하도록 하는 제1 및 제2 감지센서와, 제1 내지 제2 백큠펌프를 지난 직후의 관로에 각각 제1 및 제2 3상밸브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연결된 후 취합하여 상기 버퍼탱크로 다시 재진입되도록 하는 리턴관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불화화합물의 분리 및 재활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과불화화합물의 분리 및 재활용시스템{The separation and recycling system for a perfluoro compounds}
본 발명은 과불화화합물의 분리 및 재활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주로 반도체 생산공정에서 발생하는 육불화황을 포함하는 과불화화합물을 효과적으로 분리하고 이를 제거 또는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정에서 다수의 분리막을 통과할 때 각각의 분리막에 일정한 압력이 작용하여 분리막의 파손과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발된 과불화화합물의 분리 및 재활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온난화에 의한 기후 및 생태계의 변화가 갈수록 두드러지게 나타남에 의하여 이에 대한 관심은 날로 증가되고 그 주요원인이라고 할 수 있는 온실가스의 배출 규제에 대한 관심도 전 세계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온실가스는 화석연료에 의한 이산화탄소(
Figure 112013056638714-pat00001
)만을 떠올리게 되고 있지만 메탄(
Figure 112013056638714-pat00002
), 아산화질소(
Figure 112013056638714-pat00003
) 및 과불화화합물(perfluoro compounds)인 수소불화탄소(
Figure 112013056638714-pat00004
)와, 과불화탄소(
Figure 112013056638714-pat00005
) 및 육불화황(
Figure 112013056638714-pat00006
) 등도 지구 온난화의 주요원인이 되고 있다.
이는 급격하게 늘어나는 이산화탄소의 사용량에 비교하여 그 비중이 12.2%에 이를 정도라는 것은 상당히 많은 배출이 이루어짐을 뜻하는 것이며 반도체, 디스플레이, LED, 태양광 등을 포함하는 우리나라의 주력 산업이라고 할 수 있는 전자관련 분야에서 많이 배출하는 과불화화합물이 차지하는 비율은 4.4%로 이 역시 상당히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기판에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육불화황을 플라즈마 설비를 이용하여 F- 이온을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절연체와 반응하여 식각하는 에칭 공정에서는 많은 분진과 육불화황(
Figure 112013056638714-pat00007
)과 육불화실리콘(
Figure 112013056638714-pat00008
) 등을 배출하게 된다.
또한 CVD 세정 챔버(chamber cleaning) 공정은 플라즈마 에칭의 방법을 이용하여 절연체(
Figure 112013056638714-pat00009
)로 코팅된 코팅층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주로
Figure 112013056638714-pat00010
가스를 사용하는데 이때 분진,
Figure 112013056638714-pat00011
,
Figure 112013056638714-pat00012
,
Figure 112013056638714-pat00013
등을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분진을 포함하는 각종 가스는 펌프 및 장비의 보호를 위하여 다량의 질소와 혼합된 후 드라이 펌프에 흡입되어 현재 대부분 가스 스크러버(gas scrubber)만 설치되어 있는 후처리 시설로 보내지게 된다.
최근에는 입자가 가장 작은 질소만 통화하도록 하는 분리막을 이용하여 질소와 기타 과불화화합불을 분리하여 질소는 재사용하고 과불화화합물은 재처리시설로 보내도록 하는 다양한 재활용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분리막의 경우 압력이 클 경우 분리막이 파손될 우려가 급격히 증가하며 반대로 압력이 낮으면 분리 효율이 떨어지게 되므로 적절한 압력의 유지가 중요하나 하나의 관로에서 여러 관로로 분기되어 분리막을 거친 후 합쳐지는 구조에서는 각각의 분리막에 다른 압력이 작용하게 되어 분리막의 파손되고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 문헌 1)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271694-0000호 (2000년08월18일) (특허 문헌 2)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09-0113360호 (2009년10월30일) (특허 문헌 3)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509304-0000호 (2005년08월11일) (특허 문헌 4)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319783-0000호 (2001년12월21일) (특허 문헌 5)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806011-0000호 (2008년02월14일) (특허 문헌 6)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634173-0000호 (2006년10월09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과불화화합물과 질소 그리고 각종 불순물이 포함된 가스가 다수의 분리막으로 분기되어 질소를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각각의 분리막에 작용하는 압력이 동일하게 작용하여 설정된 압력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과불화화합물의 분리 및 재활용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전자산업에서 생성되는 과불화화합물을 포함하는 각종 가스를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해 기체의 분리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과불화화합물 분리 및 재활용시스템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드라이 에칭공정과 CVD 세정 챔버를 포함하는 과불화화합물을 이용하거나 생성되는 배가스 발생시설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포함하는 가스를 처리하는 과불화화합물의 분리 및 재활용시스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배가스 발생시설에서 발생하는 배가스가 유입되어 관로의 단면적이 테이퍼지게 확장되는 확장관과, 상기 확장관에서 수직 아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버퍼탱크와;
일측이 상기 버퍼탱크의 확장관이 형성된 타측과 연결되어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수평분배관과;
하단은 상기 수평분배관과 연결되고 수직상부로 연장되어 내부에 입도가 작은 질소는 통과하고 과불화화합물을 포함하는 불순가스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분리막이 형성되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장착되는 다수의 막분리 필터와;
다수의 상기 막분리 필터에서 분리막을 통과하지 못한 불순가스를 취합하여 재처리실로 이동시키는 불순가스 배출관로와;
다수의 상기 막분리 필터에서 분리막을 통과한 질소가스를 취합하여 빨아들이는 제1 백큠펌프가 장착되고, 상기 제1 백큠펌프에서 흡입된 질소가스를 보조 막분리필터에 의하여 다시 분리하여 불순가스는 불순가스 배출관로로 배출하고 질소가스는 재활용할 수 있도록 이동시키는 제1 질소가스 재활용관로와;
상기 보조 막분리 필터에서 분리막을 통과한 질소가스를 빨아들이는 제2 백큠펌프가 장착되고, 상기 제2 백큠펌프에서 흡입된 순도 높은 질소가스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이동시키는 제2 질소가스 재활용관로와;
상기 제1 내지 제2 질소가스 제활용관로의 제1 내지 제2 백큠펌프를 지난 직후의 관로의 육불화황과 삼불화질소을 각각 감지하도록 하는 제1 및 제2 감지센서와, 제1 내지 제2 백큠펌프를 지난 직후의 관로에 각각 제1 및 제2 3상밸브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연결된 후 취합하여 상기 버퍼탱크로 다시 재진입되도록 하는 리턴관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버퍼탱크가 연결된 수평분배관의 내측에는 내부에 열선이 장착되어 설정된 온도까지 상승하도록 하는 히팅장치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분배관에는 외경이 수평분배관의 내경에 상응하여 밀착되고 중앙에는 원형 홀이 형성되는 원판형의 격막플렌지 두 개가 수평분배관의 상기 버퍼탱크와 만나기 직전과 반대편 끝단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격막플렌지의 원형 홀의 내경에 상응하여 삽입되는 외경을 가지고 양측 끝단이 상기 격막플렌지의 원형 홀에 삽입되는 메쉬관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버퍼탱크는 하단에는 수평으로 절곡된후 다시 수직 상부로 절곡되어 상기 수평분배관의 중간 하부와 연결되는 연결관에 의하여 수평분배관과 연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는 수평분배관의 내부에는 연결관과 연결되는 입구에서 상부로 이격되어 수평으로 연장됨으로 유입된 가스가 양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압력완화 격막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과불화화합물과 질소 그리고 각종 불순물이 포함된 가스가 다수의 분리막으로 분기되어 질소를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각각의 분리막에 작용하는 압력이 동일하게 작용하여 설정된 압력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분리막의 파손이 줄고 분리 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부의 가스를 적정한 온도로 가열할 수 있도록 하여 기체의 확산속도를 증가시켜 분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불순가스 배출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질소가스 분리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순도 높은 질소가스 분리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막 파손시 리턴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퍼탱크와 수평분배관을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추가 실시 예에 따른 버퍼탱크와 수평분배관을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추가 실시 예에 따른 버퍼탱크와 수평분배관을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추가 실시 예에 따른 버퍼탱크와 수평분배관을 나타낸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추가 실시 예에 따른 버퍼탱크와 수평분배관을 나타낸 개념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불순가스 배출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질소가스 분리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순도 높은 질소가스 분리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기막 파손시 리턴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퍼탱크와 수평분배관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드라이 에칭공정과 CVD 세정 챔버를 포함하는 과불화화합물을 이용하거나 생성되는 배가스 발생시설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포함하는 가스를 처리하는 과불화화합물의 분리 및 재활용시스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배가스 발생시설에서 발생하는 배가스가 유입되어 관로의 단면적이 테이퍼지게 확장되는 확장관(11)과, 상기 확장관(11)에서 수직 아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버퍼탱크(1)와;
일측이 상기 버퍼탱크(1)의 확장관(11)이 형성된 타측과 연결되어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수평분배관(2)과;
하단은 상기 수평분배관(2)과 연결되고 수직상부로 연장되어 내부에 입도가 작은 질소는 통과하고 과불화화합물을 포함하는 불순가스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분리막이 형성되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장착되는 다수의 막분리 필터(3)와;
다수의 상기 막분리 필터(3)에서 분리막을 통과하지 못한 불순가스를 취합하여 재처리실로 이동시키는 불순가스 배출관로(4)와;
다수의 상기 막분리 필터(3)에서 분리막을 통과한 질소가스를 취합하여 빨아들이는 제1 백큠펌프(51)가 장착되고, 상기 제1 백큠펌프(51)에서 흡입된 질소가스를 보조 막분리필터(52)에 의하여 다시 분리하여 불순가스는 불순가스 배출관로(4)로 배출하고 질소가스는 재활용할 수 있도록 이동시키는 제1 질소가스 재활용관로(5)와;
상기 보조 막분리 필터(52)에서 분리막을 통과한 질소가스를 빨아들이는 제2 백큠펌프(61)가 장착되고, 상기 제2 백큠펌프(61)에서 흡입된 순도 높은 질소가스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이동시키는 제2 질소가스 재활용관로(6)와;
상기 제1 내지 제2 질소가스 제활용관로(5, 6)의 제1 내지 제2 백큠펌프(51, 61)를 지난 직후의 관로의 육불화황과 삼불화질소을 각각 감지하도록 하는 제1 및 제2 감지센서(71, 72)와, 제1 내지 제2 백큠펌프(51, 61)를 지난 직후의 관로에 각각 제1 및 제2 3상밸브(73, 74)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연결된 후 취합하여 상기 버퍼탱크(1)로 다시 재진입되도록 하는 리턴관로(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불화화합물의 분리 및 재활용 시스템을 나타내었다.
본원은 기존에는 단순 관로로 연결하고 각 막분리 필터(4)로 분기되는 방식을 택하였으나 이 경우에는 제일 먼저 분기되어 연결되는 막분리 필터(4)의 경우 강한 압력이 작용하고 멀어질수록 압력이 떨어져 분리막에 의한 분리 공정에서 가장 중요한 압력이 상대적으로 세거나 약하게 작용하게 되며 센 경우에는 분리막이 파손되고 약하면 분리효율이 극도로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원은 이러한 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먼저 버퍼탱크(1)와 수평분배관(2)에 의하여 단순 관로가 아닌 일정량의 가스가 채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각 막분리필터(3)로 가스가 빠져나가더라고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기 유리한 확장된 공간을 제공하는 것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확장된 공간은 막분리필터(4)로 가스를 공급하는 압력을 최적의 압력으로 일정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분리막이 강한 압력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반대로 약한 압력에 의하여 질소가스의 분리효율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과 최상의 분리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배가스는 배출되는 가스를 칭하는 것으로 특히 드라이 에칭공정에서는 육불화황(
Figure 112013056638714-pat00014
), 프로메튬(PM)과, 사불화실리콘(
Figure 112013056638714-pat00015
)과, 산소(
Figure 112013056638714-pat00016
)과,
Figure 112013056638714-pat00017
및 각종 분진 등이 배출되며, 불순가스는 질소가 제거되고 나머지 가스가 혼합된 상태를 지칭한 것이다.
이때 버퍼탱크(1)에 공급되기 전에 전처리필터로 질소와 육불화황 그리고 삼불화질소만 남도록 하면 더욱 분리와 재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막분리 필터(3)는 입자의 크기를 이용한 필터로서 질소의 경우 입자크기가 3옴스트롬(Å)이며 육불화황의 경우 5옴스트롬(Å)으로 질소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옴스트롬(Å)은 0.1 나노미터의 길이를 말한다.
또한, 제1 내지 제2 백큠펌프(51, 61)의 경우 막분리 필터(3) 또는 보조 막분리 필터(52)에서 질소를 흡입하도록 하여 분리되는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상기 리턴관로(7)의 경우 제1 또는 제2 감지센서(71, 72)에서 육불화황이나 삼불화질소가 감지될 경우 분리막이 파손된 것이므로 가스를 처음으로 다시 보내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추가 실시 예에 따른 버퍼탱크와 수평분배관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버퍼탱크(1)가 연결된 수평분배관(2)의 내측에는 내부에 열선이 장착되어 설정된 온도까지 상승하도록 하는 히팅장치(21)가 장착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내부의 가스를 조금만 더 온도를 높여주어도 기체 분자의 움직임이 빨라지며 이에 따른 확산속도도 증가하여 분리막에서의 분리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만 지나치게 높은 온도에서는 오히려 분리막이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60~70도 정도의 온도가 적당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추가 실시 예에 따른 버퍼탱크와 수평분배관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수평분배관(2)에는 외경이 수평분배관(2)의 내경에 상응하여 밀착되고 중앙에는 원형 홀이 형성되는 원판형의 격막플렌지(22) 두 개가 수평분배관(2)의 상기 버퍼탱크(1)와 만나기 직전과 반대편 끝단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격막플렌지(22)의 원형 홀의 내경에 상응하여 삽입되는 외경을 가지고 양측 끝단이 상기 격막플렌지(22)의 원형 홀에 삽입되는 메쉬관(23)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유입된 가스가 막분리 필터(3)로 급격하게 유입되면서 압력의 공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메쉬관(23)에 의하여 압력이 저하되는 것을 완충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추가 실시 예에 따른 버퍼탱크와 수평분배관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버퍼탱크(1)는 하단에는 수평으로 절곡된후 다시 수직 상부로 절곡되어 상기 수평분배관(2)의 중간 하부와 연결되는 연결관(12)에 의하여 수평분배관(2)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전술한 실시 예와 같이 버퍼탱크(1)가 수평분배관(2)의 일측단에 연결되는 경우 압력이 고르게 퍼져 작용하기에 불리하므로 중앙부분에서 연결되도록 하여 최대한 압력의 분배가 고르게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시한 실시 예이다.
이때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추가 실시 예에 따른 버퍼탱크와 수평분배관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연결관(12)과 연결되는 수평분배관(2)의 내부에는 연결관(12)과 연결되는 입구에서 상부로 이격되어 수평으로 연장됨으로 유입된 가스가 양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압력완화 격막(24)이 추가로 형성되도록 하여 연결관(12)과 연결된 곳과 가까운 막분리 필터(3)에 강한 압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도 바람직한 실시 예라고 할 수 있다.
1 : 버퍼탱크
11 : 확장관 12 : 연결관
2 : 수평분배관
21 : 히팅장치 22 : 격막플렌지
23 : 메쉬관 24 : 압력완화 격막
3 : 막분리 필터
4 : 불순가스 배출관로
5 : 제1 질소가스 재활용관로
51 : 제1 백큠펌프 52 : 보조 막분리 필터
6 : 제2 질소가스 재활용관로
61 : 제2 백큠펌프
7 : 리턴관로
71 : 제1 감지센서 72 : 제2 감지센서
73 : 제1 3상밸브 74 : 제2 3상밸브

Claims (5)

  1. 드라이 에칭공정과 CVD 세정 챔버를 포함하는 과불화화합물을 이용하거나 생성되는 배가스 발생시설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포함하는 가스를 처리하는 과불화화합물의 분리 및 재활용시스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배가스 발생시설에서 발생하는 배가스가 유입되어 관로의 단면적이 테이퍼지게 확장되는 확장관(11)과, 상기 확장관(11)에서 수직 아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버퍼탱크(1)와;
    일측이 상기 버퍼탱크(1)의 확장관(11)이 형성된 타측과 연결되어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수평분배관(2)과;
    하단은 상기 수평분배관(2)과 연결되고 수직상부로 연장되어 내부에 입도가 작은 질소는 통과하고 과불화화합물을 포함하는 불순가스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분리막이 형성되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장착되는 다수의 막분리 필터(3)와;
    다수의 상기 막분리 필터(3)에서 분리막을 통과하지 못한 불순가스를 취합하여 재처리실로 이동시키는 불순가스 배출관로(4)와;
    다수의 상기 막분리 필터(3)에서 분리막을 통과한 질소가스를 취합하여 빨아들이는 제1 백큠펌프(51)가 장착되고, 상기 제1 백큠펌프(51)에서 흡입된 질소가스를 보조 막분리필터(52)에 의하여 다시 분리하여 불순가스는 불순가스 배출관로(4)로 배출하고 질소가스는 재활용할 수 있도록 이동시키는 제1 질소가스 재활용관로(5)와;
    상기 보조 막분리 필터(52)에서 분리막을 통과한 질소가스를 빨아들이는 제2 백큠펌프(61)가 장착되고, 상기 제2 백큠펌프(61)에서 흡입된 순도 높은 질소가스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이동시키는 제2 질소가스 재활용관로(6)와;
    상기 제1 내지 제2 질소가스 제활용관로(5, 6)의 제1 내지 제2 백큠펌프(51, 61)를 지난 직후의 관로의 육불화황과 삼불화질소을 각각 감지하도록 하는 제1 및 제2 감지센서(71, 72)와, 제1 내지 제2 백큠펌프(51, 61)를 지난 직후의 관로에 각각 제1 및 제2 3상밸브(73, 74)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연결된 후 취합하여 상기 버퍼탱크(1)로 다시 재진입되도록 하는 리턴관로(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불화화합물의 분리 및 재활용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탱크(1)가 연결된 수평분배관(2)의 내측에는 내부에 열선이 장착되어 설정된 온도까지 상승하도록 하는 히팅장치(21)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불화화합물의 분리 및 재활용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분배관(2)에는 외경이 수평분배관(2)의 내경에 상응하여 밀착되고 중앙에는 원형 홀이 형성되는 원판형의 격막플렌지(22) 두 개가 수평분배관(2)의 상기 버퍼탱크(1)와 만나기 직전과 반대편 끝단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격막플렌지(22)의 원형 홀의 내경에 상응하여 삽입되는 외경을 가지고 양측 끝단이 상기 격막플렌지(22)의 원형 홀에 삽입되는 메쉬관(23)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불화화합물의 분리 및 재활용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탱크(1)는 하단에는 수평으로 절곡된후 다시 수직 상부로 절곡되어 상기 수평분배관(2)의 중간 하부와 연결되는 연결관(12)에 의하여 수평분배관(2)과 연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불화화합물의 분리 및 재활용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12)과 연결되는 수평분배관(2)의 내부에는 연결관(12)과 연결되는 입구에서 상부로 이격되어 수평으로 연장됨으로 유입된 가스가 양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압력완화 격막(24)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불화화합물의 분리 및 재활용 시스템.
KR1020130072924A 2013-06-25 2013-06-25 과불화화합물의 분리 및 재활용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1514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924A KR101514801B1 (ko) 2013-06-25 2013-06-25 과불화화합물의 분리 및 재활용시스템
CN201380016518.8A CN104619401B (zh) 2013-06-25 2013-07-10 全氟化合物的分离及回收系统
EP13879248.6A EP3015156A4 (en) 2013-06-25 2013-07-10 System for separating and recycling perfluoro compounds
PCT/KR2013/006146 WO2014208808A1 (ko) 2013-06-25 2013-07-10 과불화화합물의 분리 및 재활용시스템
JP2015524170A JP5915952B2 (ja) 2013-06-25 2013-07-10 パーフルオロ化合物の分離及びリサイクルシステム
US14/394,027 US9592473B2 (en) 2013-06-25 2013-07-10 Separation and recycling system of perfluorinated compounds
US14/383,120 US9599225B2 (en) 2013-06-25 2014-01-07 Blocking configuration of oil pressure circuit h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924A KR101514801B1 (ko) 2013-06-25 2013-06-25 과불화화합물의 분리 및 재활용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619A KR20150000619A (ko) 2015-01-05
KR101514801B1 true KR101514801B1 (ko) 2015-04-24

Family

ID=52142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924A Expired - Fee Related KR101514801B1 (ko) 2013-06-25 2013-06-25 과불화화합물의 분리 및 재활용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92473B2 (ko)
EP (1) EP3015156A4 (ko)
JP (1) JP5915952B2 (ko)
KR (1) KR101514801B1 (ko)
CN (1) CN104619401B (ko)
WO (1) WO20142088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60770B2 (ja) * 2014-06-02 2018-07-18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プラズマ処理方法及びプラズマ処理装置
KR102503150B1 (ko) * 2020-11-30 2023-02-23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기체 분리막 운전 방법
US20240125527A1 (en) * 2021-02-19 2024-04-18 Mitsubishi Heavy Industries Thermal Systems, Ltd. Air purg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78350A (en) * 1944-05-24 1945-06-12 Buena Vista Iron Company Single effect evaporator
US2947687A (en) * 1954-10-29 1960-08-02 American Oil Co Separation of hydrocarbons by permeation membrane
US3307330A (en) * 1965-04-30 1967-03-07 Du Pont Diffusion process and apparatus
JPS6044025A (ja) * 1983-08-19 1985-03-08 Showa Denko Kk ドライエッチング排ガスの処理方法
EP0257012B1 (en) * 1986-08-15 1992-10-07 PERMEA, Inc. Asymmetric gas separation membranes having graded density skins
JPS63291624A (ja) * 1987-05-23 1988-11-29 Showa Denko Kk ガリウム・ヒ素ウェハ−のドライエッチング排ガスの処理方法
US5281255A (en) * 1992-11-04 1994-01-25 Membrane Technology And Research, Inc Gas-separation process
JPH0929002A (ja) * 1995-07-17 1997-02-04 Teisan Kk ガス回収装置
US5785741A (en) * 1995-07-17 1998-07-28 L'air Liquide, Societe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Process and system for separation and recovery of perfluorocompound gases
US5858065A (en) * 1995-07-17 1999-01-12 American Air Liquide Process and system for separation and recovery of perfluorocompound gases
IE80909B1 (en) * 1996-06-14 1999-06-16 Air Liquide An improved process and system for separation and recovery of perfluorocompound gases
US5759237A (en) * 1996-06-14 1998-06-02 L'air Liquide Societe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Process and system for selective abatement of reactive gases and recovery of perfluorocompound gases
US5730779A (en) * 1996-10-31 1998-03-24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Fluorochemical recovery and recycle using membranes
US5779763A (en) * 1997-03-07 1998-07-14 Membrane Technology And Research, Inc. Process for recovering semiconductor industry cleaning compounds
US5855647A (en) * 1997-05-15 1999-01-05 American Air Liquide, Inc. Process for recovering SF6 from a gas
US5843208A (en) * 1997-07-24 1998-12-01 Alliedsignal Inc. Process for recovering sulfur hexafluoride
US6458249B2 (en) * 1997-11-10 2002-10-0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purifying perfluorinated products
CN1246216C (zh) * 1997-11-10 2006-03-22 纳幕尔杜邦公司 全氟化产物的纯化方法
US6032484A (en) * 1998-03-23 2000-03-07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Recovery of perfluorinated compounds from the exhaust of semiconductor fabs with recycle of vacuum pump diluent
US5976222A (en) * 1998-03-23 1999-11-02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Recovery of perfluorinated compounds from the exhaust of semiconductor fabs using membrane and adsorption in series
JP2000009037A (ja) * 1998-06-18 2000-01-11 Fujitsu Ltd 排気装置及び排気方法
US6395066B1 (en) * 1999-03-05 2002-05-28 Ube Industries, Ltd. Partially carbonized asymmetric hollow fiber separation membrane,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gas separation method
DE19923155A1 (de) * 1999-05-20 2000-11-23 Solvay Fluor & Derivate SF¶6¶-Abtrennung aus Isoliergasen aus gasisolierten Leitungen
JP4018858B2 (ja) * 1999-12-20 2007-12-05 大同エアプロダクツ・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パーフルオロ化合物分離回収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パーフルオロ化合物分離回収装置
JP2002001047A (ja) * 2000-06-21 2002-01-08 Seiko Epson Corp Pfc回収装置及びpfc回収方法
JP2002035527A (ja) * 2000-07-26 2002-02-05 Japan Atom Energy Res Inst ガス分離装置
DE60231600D1 (de) * 2001-01-25 2009-04-30 Ube Industries Verfahren und anlage zur trennung und rückgewinnung von halogengas
JP4211227B2 (ja) * 2001-03-16 2009-01-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過弗化物の処理方法及びその処理装置
JP3727552B2 (ja) * 2001-05-31 2005-12-14 財団法人地球環境産業技術研究機構 パーフルオロ化合物ガスの分離回収装置
JP3727551B2 (ja) * 2001-05-31 2005-12-14 財団法人地球環境産業技術研究機構 パーフルオロ化合物ガスの分離回収方法および装置
KR100905710B1 (ko) * 2002-09-19 2009-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제조 공정으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운반시스템
US6843830B2 (en) * 2003-04-15 2005-01-18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Abatement system targeting a by-pass effluent stream of a semiconductor process tool
US7261763B2 (en) * 2003-07-17 2007-08-28 The Boc Group, Inc. Method for the recovery and recycle of helium and chlorine
JP4538622B2 (ja) * 2003-07-29 2010-09-08 オルガノ株式会社 ガス分離装置
JP4652860B2 (ja) * 2004-04-27 2011-03-16 大陽日酸株式会社 クリプトン又はキセノンの回収方法
US7384618B2 (en) * 2005-04-07 2008-06-1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urification of nitrogen trifluoride
KR100706793B1 (ko) * 2005-08-03 2007-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케미컬 공급 장치 및 케미컬 공급 방법
KR100860835B1 (ko) * 2007-01-10 2008-09-29 서윤석 육불화황의 처리방법
JP4850223B2 (ja) * 2008-09-10 2012-01-1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プラズマ処理方法及び装置
US8281534B2 (en) * 2008-11-07 2012-10-09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Formed steel beam for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and slab
KR101077025B1 (ko) * 2009-01-22 2011-10-26 우성진공기술(주) 액화회수장치 및 액화회수방법
KR100998883B1 (ko) * 2010-01-29 2010-12-08 운해이엔씨(주) 수소불화탄소의 재활용 처리 시스템
CN102658006A (zh) * 2012-05-14 2012-09-12 威海拓展纤维有限公司 废气回收装置
KR101540585B1 (ko) * 2014-06-20 2015-07-3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기체회수장치 및 방법
US9302214B2 (en) * 2014-08-22 2016-04-05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Purification of nitrogen trifluoride by pressure swing absorption
KR101676099B1 (ko) * 2014-09-24 2016-11-15 오씨아이 주식회사 Nf3 가스 분리농축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619401A (zh) 2015-05-13
JP5915952B2 (ja) 2016-05-11
WO2014208808A1 (ko) 2014-12-31
US20160214062A1 (en) 2016-07-28
EP3015156A1 (en) 2016-05-04
JP2015525134A (ja) 2015-09-03
EP3015156A4 (en) 2017-03-01
CN104619401B (zh) 2016-08-24
US9592473B2 (en) 2017-03-14
KR20150000619A (ko) 2015-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64730A1 (en) Gas abatement system
JP5258560B2 (ja) 統合された脱気および脱泡装置
KR101514801B1 (ko) 과불화화합물의 분리 및 재활용시스템
WO2010113863A1 (ja) ガス溶解水供給装置及びガス溶解水の製造方法
CN102149460B (zh) 等离子体处理方法和设备
JP7198676B2 (ja) 希ガス回収システムおよび希ガス回収方法
KR20090006802A (ko) 가스 분리 장치 및 가스 분리 방법
US20100119420A1 (en) Abatement system having enhanced effluent scrub and moisture control
KR101410914B1 (ko) 과불화화합물의 분리 및 재활용시스템
KR101488300B1 (ko) 막분리필터 히팅장치가 장착된 과불화화합물 분리 및 재활용시스템
US20220199380A1 (en) High efficiency trap for particle collection in a vacuum foreline
CN111354616A (zh) 半导体加工设备
KR101552538B1 (ko) 과불화화합물의 분리 및 재활용시스템
JP5999222B2 (ja) ガス溶解水供給装置及びガス溶解水の製造方法
RU2015139149A (ru) Кислородный сепаратор и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ислорода
JP2004022572A (ja) 基板処理装置および不活性ガス濃度制御方法
JP6294724B2 (ja) ガス分離装置
CN209093031U (zh) 压缩空气除杂系统、制氮制氧系统
JP5633167B2 (ja) エピタキシャル成長システム
KR101638325B1 (ko) 분리막시스템과 스크러버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과불화화합물 분리시스템
KR20120032613A (ko) 가스 분리막을 이용한 반도체 및 엘씨디용 설비 가스 재생 공급장치 및 가스 재생 공급방법
JP6677958B2 (ja) 気相成長装置における汚染部品のドライ洗浄装置
JP2003068595A (ja) 半導体製造設備
CN210253530U (zh) 一种针对土壤中气体的处理装置
TWI380010B (en) Sampling device and sampl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0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