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14148B1 - 공작기계의 베어링장치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의 베어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148B1
KR101514148B1 KR1020130131831A KR20130131831A KR101514148B1 KR 101514148 B1 KR101514148 B1 KR 101514148B1 KR 1020130131831 A KR1020130131831 A KR 1020130131831A KR 20130131831 A KR20130131831 A KR 20130131831A KR 101514148 B1 KR101514148 B1 KR 101514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spacer
discharge
supply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1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수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조규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조규홍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1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1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14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02Driving main working members
    • B23Q5/04Driving main working members rotary shafts, e.g. working-spi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5/00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adjustable for wear or play
    • F16C25/06Ball or roller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작기계에 사용되는 베어링으로 오일을 원활히 공급하여 수명을 향상시키고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공작기계의 베어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공작기계의 스핀들을 지지하는 베어링의 간극을 스페이서로 유지하고 하우징의 메인유로를 통해 베어링으로 오일을 공급하는 베어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의 내·외륜 사이에 결합되는 결합림과 상기 하우징의 메인유로에 연결된 공급유로 및 이 공급유로에서 분기되어 베어링의 볼과 내륜 사이로 오일을 토출시키도록 결합림을 관통하는 제1 토출홀을 갖는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의 공급유로에서 분기된 오일을 베어링의 볼로 토출시키도록 외륜을 관통하는 제2 토출홀을 갖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공작기계의 베어링장치{BEARING APPARATUS FOR MACHINE TOOLS}
본 발명은 공작기계에 사용되는 베어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베어링으로 오일을 원활히 공급하여 수명을 향상시키고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공작기계의 베어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공작기계는 주조, 단조 등으로 만든 기계부품을 가공하는 기계로서, 19세기 중에 발명되었으며 20세기 이후에는 성능향상이 이루어지면서 수치제어 공작기계 등이 제조되고 있다.
그리고 공작기계에는 스핀들(spindle)의 종단에 장착된 인서트(insert)를 이용하여 피가공물에 대한 가공을 하는데, 이러한 공작기계에는 스핀들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도록 베어링장치가 장착된다.
공작기계에 사용되는 베어링장치는 스핀들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스핀들을 원활히 회전시키고 강도를 향상시키며 진동을 저감시킨다.
도 1은 종래의 베어링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에서 유입된 오일은 스페이서(14)의 외륜(14a)을 통해 베어링(16)의 외륜(16b)과 내륜(16a) 사이로 공급-공급라인(F)참조-된다.
그러나 종래의 베어링장치는 스핀들이 회전하는 동안 베어링(16)의 내륜(16a)과 외륜(16b) 사이에 강한 공기의 흐름이 발생되고, 이때 베어링(16)의 내륜(16a)과 외륜(16b) 사이에 오일이 공급되면서 풍절음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오일이 베어링(16)의 볼(16c)까지 공급되지 못하고 드레인홀(14c)을 통해 후방으로 배출-드레인라인(D)참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어링장치로 오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수명을 연장하고 스핀들의 회전시 강한 공기의 흐름으로 인한 풍절음의 발생을 최소화시켜서 품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공작기계의 베어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작기계의 스핀들을 지지하는 베어링의 간극을 스페이서로 유지하고 하우징의 메인유로를 통해 베어링으로 오일을 공급하는 베어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의 내·외륜 사이에 결합되는 결합림과 상기 하우징의 메인유로에 연결된 공급유로 및 이 공급유로에서 분기되어 베어링의 볼과 내륜 사이로 오일을 토출시키도록 결합림을 관통하는 제1 토출홀을 갖는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의 공급유로에서 분기된 오일을 베어링의 볼로 토출시키도록 외륜을 관통하는 제2 토출홀을 갖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토출홀은 베어링의 내륜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토출홀은 베어링의 외륜에서 볼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토출홀은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베어링의 외륜 일면에는 공급유로에서 분기된 오일을 각각의 제2 토출홀로 공급하도록 환상의 제2 유입환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페이서는 공급유로를 갖는 스페이서본체와 복수의 제1 토출홀을 갖는 결합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결합림에 결합되는 스페이서본체의 일면에는 환상의 제1 유입환홈이 형성되어 어느 한 제1 분기홀에서 분기된 오일을 양측 제1 토출홀로 흘러 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급유로에서 공급된 오일이 제1 토출홀을 통해 베어링의 볼과 내륜사이로 토출되고 제2 토출홀을 통해 베어링의 볼에 직접적으로 토출되어, 베어링의 원활한 회전을 도모하고 수명을 연장시킬 뿐만 아니라 스핀들의 회전 시 강한 공기의 흐름에 의한 풍절음의 발생을 최소화시켜서 공작기계의 품질을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작기계의 베어링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베어링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스페이서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베어링과 스페이서가 결합된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공작기계의 베어링장치는 스페이서(100)와 베어링(200)을 포함하는데, 스페이서(100)는 베어링(200)의 내·외륜(210)(220) 사이에 결합되는 결합림(130)과 하우징(10)의 메인유로(12)에 연결된 공급유로(111) 및 이 공급유로(111)에서 분기되어 베어링(200)의 볼(230)과 내륜(210) 사이로 오일을 토출시키도록 결합림(130)을 관통하는 제1 토출홀(131)을 갖고, 베어링(200)은 스페이서(100)의 공급유로(111)에서 분기된 오일을 베어링(200)의 볼(230)로 토출시키도록 외륜(220)을 관통하는 제2 토출홀(222)을 갖는 것을 기술적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스페이서(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유로(111)를 갖는 스페이서본체(110)와 제1 토출홀(131)을 갖는 결합림(130)으로 대별된다.
먼저, 스페이서본체(110)는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연 상하 양측에는 공급유로(111)가 형성되어 하우징(10)의 메인유로(12)를 통해 오일을 공급받게 된다. 여기서, 공급유로(111)는 하우징(10)의 메인유로(12)에 연결되는 공급홀(111a), 공급홀(111a)의 입구측에서 분기된 제2 분기홀(111c), 공급홀(111a)의 말단부에서 분기된 제1 분기홀(111b)로 구성된다. 그리고 결합림(130)이 결합되는 스페이서본체(110)의 일면에는 환상(環狀)의 제1 유입환홈(112)이 형성되어 어느 한 제1 분기홀(111b)에서 분기된 오일을 양측 제1 토출홀(131)로 흘러 보낸다. 또한 스페이서본체(110)의 다른 일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홀(113)이 형성되어 사용된 오일을 하우징(10)의 드레인유로를 통해 배출시킨다.
다음으로 결합림(130)은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스페이서본체(110)의 일면 중앙에 기밀히 결합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결합림(130)은 베어링(200)의 내·외륜(210)(220) 사이에 결합되었을 때 볼(230)에 근접되도록 적절한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결합림(130)에는 제1 유입환홈(112)에 연이어지도록 제1 토출홀(131)이 형성되어 베어링(200)의 볼(230)과 내륜(210) 사이로 오일을 토출시키는데, 이러한 제1 토출홀(13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200)의 내륜(210)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한 베어링(200)은 내륜(210)과 외륜(220) 및 볼(130)을 기본적인 구성으로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외륜(220)에 형성된 제2 유입환홈(221)과 제2 토출홀(222)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한다.
부연하면, 외륜(220)의 일면, 즉 스페이서본체(110)와 결합되는 외륜(220)의 일면에는 환상의 제2 유입환홈(221)이 형성되어 어느 한 제2 분기홀(111c)에서 분기된 오일을 복수의 제2 토출홀(222)로 흘러 보낸다.
그리고 제2 토출홀(22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륜(220)을 4등분으로 나눈 지점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적절한 복수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토출홀(22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200)의 외륜(220)에서 볼(230)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볼(230)에 직접적으로 오일을 토출시킨다. 또한, 제2 토출홀(222)은 볼(230)이 구동되는 볼홈(223)에 연결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에서와 같이 하우징(10)의 메인유로(12)에서 유입되는 오일은 스페이서(100)의 공급유로(111)로 이동된다.
이어서, 스페이서(100)의 공급유로(111)로 이동된 오일은 제1 분기홀(111b)을 지나 제1 유입환홈(112)으로 유입되어 전체적으로 흐르면서 양측 제1 토출홀(131)로 공급되고, 제2 분기홀(111c)을 지나 제 제2 유입환홈(221)으로 유입된 오일은 환상의 라인을 따라 흐르면서 복수의 제2 토출홀(222)로 공급된다.
다음, 제1 토출홀(131)로 공급된 오일은 베어링(200)의 내륜(210)과 볼(230) 사이로 토출되어 볼(230)과 내륜(210) 사이의 원활한 회전을 유도하고, 제2 토출홀(222)로 공급된 오일은 베어링(200)의 볼(230)에 직접적으로 토출되어 볼(230)의 원활한 회전을 유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된 오일은 스페이서(100)의 드레인홀(113)을 통해 하우징(10)의 드레인유로을 따라 배출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급유로에서 공급된 오일이 제1 토출홀을 통해 베어링의 볼과 내륜사이로 토출되고 제2 토출홀을 통해 베어링의 볼에 직접적으로 토출되어 베어링의 원활한 회전을 도모하고 수명을 연장시키는 동시에 스핀들의 회전 시 강한 공기의 흐름에 의한 풍절음의 발생을 최소화시켜서 공작기계의 품질을 향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 대체, 부가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하다.
10 : 하우징 12 : 메인유로
100 : 스페이서 110 : 스페이서본체
111 : 공급유로 112 : 제1 유입환홈
130 : 결합림 131 : 제1 토출홀
200 : 베어링 210 : 내륜
220 : 외륜 221 : 제2 유입환홈
222 : 제2 토출홀 230 : 볼

Claims (5)

  1. 공작기계의 스핀들을 지지하는 베어링의 간극을 스페이서로 유지하고 하우징의 메인유로를 통해 베어링으로 오일을 공급하는 베어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의 내·외륜 사이에 결합되는 결합림과 상기 하우징의 메인유로에 연결된 공급유로 및 이 공급유로에서 분기되어 베어링의 볼과 내륜 사이로 오일을 토출시키도록 결합림을 관통하는 제1 토출홀을 갖는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의 공급유로에서 분기된 오일을 베어링의 볼로 토출시키도록 외륜을 관통하는 제2 토출홀을 갖는 베어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토출홀은 베어링의 내륜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 토출홀은 베어링의 외륜에서 볼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 토출홀은 복수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어링의 외륜 일면에는 공급유로에서 분기된 오일을 각각의 제2 토출홀로 공급하도록 환상의 제2 유입환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페이서는 공급유로를 갖는 스페이서본체와 복수의 제1 토출홀을 갖는 결합림을 포함하되, 상기 스페이서 본체는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연 상하 양측에는 공급유로가 형성되어 하우징의 메인유로를 통해 오일을 공급받으며, 상기한 공급유로는 하우징의 메인유로에 연결되는 공급홀, 공급홀의 입구측에서 분기된 제2 분기홀, 공급홀의 말단부에서 분기된 제1 분기홀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림에 결합되는 스페이서 본체의 일면에는 환상의 제1 유입환홈이 형성되어 어느 한 제1 분기홀에서 분기된 오일을 양측 제1 토출홀로 흘러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베어링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30131831A 2013-10-31 2013-10-31 공작기계의 베어링장치 Active KR101514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831A KR101514148B1 (ko) 2013-10-31 2013-10-31 공작기계의 베어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831A KR101514148B1 (ko) 2013-10-31 2013-10-31 공작기계의 베어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4148B1 true KR101514148B1 (ko) 2015-04-21

Family

ID=53053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1831A Active KR101514148B1 (ko) 2013-10-31 2013-10-31 공작기계의 베어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41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83240A4 (en) * 2018-08-31 2021-07-21 Gree Green Refrigeration Technology Center Co., Ltd. of Zhuhai BEARING AND COMPRESSOR ASSEMBLY WITH DUDIT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4833A (ja) * 2002-08-30 2005-03-03 Nsk Ltd 転がり軸受、軸受装置、主軸装置、軸受のグリース補給装置および工作機械用主軸
JP2005180531A (ja) * 2003-12-18 2005-07-07 Ntn Corp 転がり軸受のエアオイル潤滑構造
JP2010216651A (ja) * 2009-02-23 2010-09-30 Nsk Ltd 転がり軸受及び回転軸冷却構造
JP2012021581A (ja) * 2010-07-14 2012-02-02 Jtekt Corp オイルエア潤滑式転がり軸受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4833A (ja) * 2002-08-30 2005-03-03 Nsk Ltd 転がり軸受、軸受装置、主軸装置、軸受のグリース補給装置および工作機械用主軸
JP2005180531A (ja) * 2003-12-18 2005-07-07 Ntn Corp 転がり軸受のエアオイル潤滑構造
JP2010216651A (ja) * 2009-02-23 2010-09-30 Nsk Ltd 転がり軸受及び回転軸冷却構造
JP2012021581A (ja) * 2010-07-14 2012-02-02 Jtekt Corp オイルエア潤滑式転がり軸受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83240A4 (en) * 2018-08-31 2021-07-21 Gree Green Refrigeration Technology Center Co., Ltd. of Zhuhai BEARING AND COMPRESSOR ASSEMBLY WITH DUDIT ASSEMBLY
US11802589B2 (en) 2018-08-31 2023-10-31 Gree Green Refrigeration Technology Center Co., Ltd. Of Zhuhai Bearing assembly and compressor with bearing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8385B2 (en) Spindle device with rotor jetting driving fluid
US8956050B2 (en) Rolling bearing and rolling bearing assembly
CN205218665U (zh) 旋转接头支承构造部、机床的主轴以及电动机
US10001170B2 (en) Rolling bearing
JP2015117820A (ja) 軸受装置の冷却構造
JP2016089975A (ja) 軸受装置の冷却構造
JP2023519397A (ja) 高回転型カップホイール
KR101514148B1 (ko) 공작기계의 베어링장치
JP2019173908A (ja) 軸受装置の冷却構造
KR101713839B1 (ko) 통합구조를 갖는 매니폴드가 장착된 에어베어링 스핀들
JP6385089B2 (ja) 軸受装置の冷却構造
WO2022188256A1 (zh) 一种外转内冷刀柄
JP6210877B2 (ja) 面取り機
KR101795853B1 (ko) 실링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작기계
KR101181705B1 (ko) 에어베어링 스핀들의 이물질 유입방지구조
CN107120352A (zh) 一种带矩状环形供油槽的电主轴用动静压轴承
KR102060842B1 (ko) 공작 기계의 이물질 유입 방지 구조
TWM451196U (zh) 具防噴濺功能之高速主軸
CN206795412U (zh) 一种高速电主轴的防尘装置
CN220101676U (zh) 一种摇篮转台摆动轴结构以及机床
CN208697087U (zh) 一种旋转式气动工具
JP2015533661A (ja) 回転駆動可能な切削工具
JP2004230496A (ja) 回転チャック機構
JP5974383B2 (ja) 研削砥石および研削装置
CN106984998A (zh) 一种高速电主轴的防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402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4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