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3251B1 - Multi nozzle head with dummy nozzle - Google Patents
Multi nozzle head with dummy nozz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13251B1 KR101513251B1 KR1020130077209A KR20130077209A KR101513251B1 KR 101513251 B1 KR101513251 B1 KR 101513251B1 KR 1020130077209 A KR1020130077209 A KR 1020130077209A KR 20130077209 A KR20130077209 A KR 20130077209A KR 101513251 B1 KR101513251 B1 KR 1015132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zzle
- ink
- unit
- chamber
- electro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7—Ink jet characterised by jet control
- B41J2/075—Ink jet characterised by jet control for many-valued deflection
- B41J2/08—Ink jet characterised by jet control for many-valued deflection charge-control type
- B41J2/085—Charge means, e.g. electro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B41J2/14016—Structure of bubble jet print heads
- B41J2/14032—Structure of the pressure chamber
- B41J2/1404—Geometrical characteristic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Production of nozz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21—Ink jet for multi-colour printing
- B41J2/2132—Print quality control characterised by dot disposition, e.g. for reducing white stripes or banding
- B41J2/2139—Compensation for malfunctioning nozzles creating dot place or dot size err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Particle Formation And Scattering Control In Inkjet Prin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를 토출하는 멀티 노즐 헤드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 양 측단에 잉크를 토출하지 않는 더미 노즐을 배치하여 잉크의 토출량을 보다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nozzle head for ejecting ink, and more particularly, a dummy nozzle which does not eject ink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a nozzle for ejecting ink, so that the ejection amount of ink can be finely adjus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잉크를 토출하는 멀티 노즐 헤드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 양 측단에 잉크를 토출하지 않는 더미 노즐을 배치하여 잉크의 토출량을 보다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nozzle head for ejecting ink, and more particularly, a dummy nozzle which does not eject ink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a nozzle for ejecting ink, so that the ejection amount of ink can be finely adjusted.
최근에는 각종 전자, 정보통신기기가 소형화, 경량화, 직접화되면서 더욱 향상된 기능을 가지는 각종 소자부품의 개발과 동시에 유럽의 RoHS 규제와 같이 유독물질 발생이 없는 청정생산기술 개발에 대한 요구가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의 하나가 잉크젯 프린팅 기술이다.In recent years, various electronics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have become smaller, lighter, and more direct, resulting in the development of various component parts with further improved functions, as well as demands for the development of clean production technology free of toxic substances such as European RoHS regulations come.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in response to this demand, and one of them is inkjet printing technology.
종래 인쇄회로 기판(PCB)의 제조시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노광/에칭/도금 공정을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Conventionally, an exposure / etching / plating process is used as a method of forming a pattern in the manufacture of a printed circuit board (PCB).
그러나, 노광/에칭/도금은 제조 시간이 많이 걸리고, 공정 설비가 고가의 장비 및 유지비도 상당히 많이 들고, 에칭공정시 폐액을 발생하게 되어 폐수 처리에도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한다.However, the exposure / etching / plating requires a lot of time for fabrication, and the equipment and maintenance cost of the process equipment are considerably high, and the waste liquid is generated in the etching process, which is a considerable burden on the wastewater treatment.
이에 비하여 잉크젯 프린팅 방식은 기존의 노광/에칭/도금 공정에 의하지 않고 배선을 직접 형성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서, 미세 노즐을 통하여 용액이나 현탁액을 수 내지 수십 pl(pico liter)의 방울로 토출하여 수십 ㎛폭의 미세 라인을 형성하는 패터닝 기술이다.On the other hand, the ink-jet printing method is a method for directly forming wirings without using an existing exposure / etching / plating process. The solution or suspension is ejected through a fine nozzle with droplets of several to several tens of picoliter Width fine lines.
이러한 잉크젯 프린팅을 위해 노즐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는 멀티 노즐 헤드가 사용되고 있으며, 잉크의 토출 량을 제어하기 위해 멀티 노즐 헤드와 전극사이에 전원을 인가하여 정전기력 방식의 잉크젯 프린팅 기술도 제안되고 있다.A multi-nozzle head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is used for such ink-jet printing, and an electrostatic force type ink-jet printing technique is also proposed by applying power between the multi-nozzle head and the electrodes to control the ink discharge amount.
이러한 정전기력 방식의 잉크젯 프린팅 기술의 경우 멀티 노즐 헤드와 전극사이의 정전기력 차이에 의해 잉크가 토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정전기력 차이에 의해 토출되는 잉크 량이 결정된다.In the case of such an electrostatic force type inkjet printing technique, ink is discharged by the electrostatic force difference between the multi-nozzle head and the electrode, and the amount of ink discharged by the electrostatic force difference is determined.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멀티 노즐 헤드의 경우 정전기의 분포가 균일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multi-nozzle head described above, the distribution of static electricity is not uniform.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멀티 노즐 헤드의 경우 다수 개의 노즐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다수 개의 노즐 중 양 측단에 배치되는 노즐에서의 정전기 분포가 균일하지 않아 정밀한 토출량 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In other words,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multi-nozzle head, a plurality of nozzles are formed. However, since the static electricity distribution in the nozzle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nozzles is not uniform,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control the discharge amount.
한편 상술한 멀티 노즐 헤드 및 정전기력 방식의 멀티 노즐 헤드는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특허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multi-nozzle head and the electrostatic-force type multi-nozzle head described above are well-known technologies and are particularly described in the following prior patent documents, and therefore, duplicated description and illustration are omitt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 개의 노즐 중 양 측단에 배치되는 노즐은 잉크를 토출하지 않는 더미 노즐을 채택하여 정전기의 분포가 균일한 영역에서만 잉크를 토출하도록 하여 잉크 토출량을 미세 제어할 수 있는 더미 노즐을 구비한 멀티 노즐 헤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by providing a dummy nozzle which does not discharge ink,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multi-nozzle head having a dummy nozz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노즐 바디(121)에 노즐(N)이 다수 개 형성되는 노즐부(120)를 포함하는 멀티 노즐 헤드(100)로서, 상기 노즐(N)은 잉크를 분사하는 다수 개의 분사 노즐(123)과, 상기 분사 노즐(120)의 양 측단에 각각 배치되되 잉크를 토출하지 않는 더미 노즐(122)을 포함하는 더미 노즐을 구비한 멀티 노즐 헤드에 일 특징이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nozzle head including a nozzle unit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N formed in a
이때, 상기 노즐부(120)는 판체 형상으로서 상기 노즐(N)이 저면에 형성되는 노즐 바디(121)와, 상기 노즐 바디(12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노즐 바디(1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노즐(N)과 연통되어 잉크가 노즐(N)로 공급되는 잉크 투입 슬롯(123)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또한, 상기 노즐부(120)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노즐부(120)를 지지하는 한편 상기 노즐부(120)에 잉크를 공급하는 챔버(11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챔버(110)는 판체 형상의 챔버 바디(111)와, 상기 챔버 바디(111)의 상면에 형성되어 잉크가 투입되는 잉크 투입구(112)와, 상기 챔버 바디(111) 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잉크 투입구(112)와 연통되되 상기 챔버 바디(111)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노즐(N)측으로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토출 슬롯(113)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또한, 상기 노즐부(120) 하단에 배치되는 전극부(130)와 상기 전극부(130) 일 측에 배치되는 가스 공급부(14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극부(130)는 판체 형상의 전극 바디(131)와, 상기 전극 바디(131)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노즐(N)이 삽입된 후 관통하도록 하는 노즐 삽입공(132)과, 상기 전극 바디(131)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일 측은 상기 가스 공급부(140)와 연통되고 타 측은 상기 노즐 삽입공(132)과 연통되는 가스 유입공(133)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또한, 상기 가스 공급부(140)는 가스가 주입되는 유입 튜브(141)와, 상기 유입 튜브(141) 일 측에 설치되는 밸브(142)와, 상기 밸브(142) 일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스 유입공(133)과 연통되어 상기 노즐 삽입공(132) 내부에 가스를 투입하는 토출 포트(143)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또한, 상기 노즐부(120)와 전극부(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V)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unit V for supplying power to the
또한, 상기 챔버(110) 저면에 배치되되 상기 노즐부(120)와 전극부(130)를 수용하는 중공의 박스 형상인 수용부(150)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부(150)의 일 부분에 형성되어 냉각수가 유동하는 냉각 자켓(152)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또한, 상기 챔버(110)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챔버(110)를 지지하는 마운팅부(1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마운팅부(160)는 판체 형상이되 일 영역이 개방되어 상기 챔버(110)의 잉크 투입구(112)가 노출되도록 하는 마운팅 바디(161)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라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Prior to that,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explain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노즐 양 측단에서의 정전기의 분포가 균일하도록 하여 잉크 토출량을 미세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distribution of the static electricity at both ends of the nozzle is made uniform, and the ink discharge amount can be finely controll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노즐 헤드를 설명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노즐을 설명하는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챔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부 및 가스공급부를 설명하는 분리 사시도 및 단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nozz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ulti-nozzle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ulti-nozz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ha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and 7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bottom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nozz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lectrode unit and a gas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receiv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제1", "제2", "일 측", "타 측"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ive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have the same number as far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lso, the terms "first", "second", "one side", "other side", etc.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It is not.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노즐 헤드를 설명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노즐을 설명하는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챔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부 및 가스공급부를 설명하는 분리 사시도 및 단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FIG. 1 is a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a nozz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nd 3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multi-nozzle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ha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and FIG. 7 are planar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nozz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8 and 9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lectrode unit and a gas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a rece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바디(121)에 노즐(N)이 다수 개 형성되는 노즐부(120)를 포함하는 멀티 노즐 헤드(100)로서, 상기 노즐(N)은 잉크를 분사하는 다수 개의 분사 노즐(123)과, 상기 분사 노즐(120)의 양 측단에 각각 배치되되 잉크를 토출하지 않는 더미 노즐(122)을 포함하는 것이다.1, the present invention is a
즉, 상기 노즐(N)은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바디(121) 저면에 다수 개 설치되어 있는데, 이 중 가운데 설치되는 다수 개의 노즐은 정상적으로 잉크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123)이고, 상기 분사 노즐(121) 좌우측 끝단에는 상기 분사 노즐(121)과 동일하나 내부는 막혀있어 잉크를 토출하지 않는 더미 노즐(122)이 각각 배치되는 것이다.That is, a plurality of nozzles N ar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이러한 더미 노즐(122)에 의해 정전기력 분포가 균일한 영역에서만 잉크의 토출이 이루어져 정밀한 토출량 제어가 가능해 진다.With this
다시 말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잉크의 토출은 상기 노즐부(130)와 후술하는 전극부(130)사이의 정전기력 차이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 때 상기 정전기력 분포가 일정하지 않으면 토출되는 잉크의 량이 일정하지 않게 된다.In other words, as described above, the ejection of the ink is performed by the electrostatic force difference between the
특히 상기 정전기력 분포는 노즐 양 측단에서 균일하지 않은 정도가 크게 되는데, 본 발명에 의한 경우 상기 노즐 양 측단에서는 잉크를 토출하지 않으므로 균일한 정전기력 분포가 이루어지는 영역에서만 잉크가 토출하도록 하여 정밀한 토출량 제어가 가능해 진다.
Particularly, the electrostatic force distribution is not uniform at both ends of the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nk is not ejected from both sides of the nozzle, ink can be ejected only in a region where uniform electrostatic force distribution is performed, Loses.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정전기력을 발생하기 위해 전극부(130)와 상기 노즐바디(121)에 전원을 공급해야 하며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은 전원 공급부(V)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전극부(130) 및 전원 공급부(V) 자체는 널리 알려진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In order to generate the electrostatic force as described above, power is supplied to the
한편, 상기 노즐부(12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체 형상으로서 상기 노즐(N)이 저면에 형성되는 노즐 바디(121)와, 상기 노즐 바디(12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노즐 바디(1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노즐(N)과 연통되어 잉크가 노즐(N)로 공급되는 잉크 투입 슬롯(123)을 포함할 수 있다.6 and 7, the
즉, 상기 잉크 투입 슬롯(123)을 통해 잉크가 투입된 후 상기 노즐(N)을 통해 분출되되, 상술한 분출 노즐(123)을 통해서만 잉크가 토출되고, 더미 노즐(122)을 통해서는 잉크가 토출되지 않는다.
That is, after ink is injected through the
한편, 상기 더미 노즐(122)은 상기 분출 노즐(123)과 동일하게 형성되되 내부는 막히도록 형성되어 잉크가 토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이하,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한 노즐부(12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멀티 노즐 헤드(100)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우선,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부(120)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노즐부(120)를 지지하는 한편 상기 노즐부(120)에 잉크를 공급하는 챔버(110)를 포함한다.2 to 5, the apparatus includes a
이때, 상기 챔버(11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체 형상의 챔버 바디(111)와, 상기 챔버 바디(111)의 상면에 형성되어 잉크가 투입되는 잉크 투입구(112)를 포함한다.2 through 5, the
또한, 상기 챔버 바디(111) 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잉크 투입구(112)와 연통되되 상기 챔버 바디(111)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노즐(N)측으로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토출 슬롯(113)을 포함한다.The
즉, 상기 챔버(110)는 상기 노즐부(120)를 지지하는 한편 상기 노즐부(120)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잉크 투입구(112)를 통해 잉크가 투입되고, 상기 잉크 토출 슬롯(113)을 통해 잉크가 토출되며, 상기 토출된 잉크는 상기 잉크 토출 슬롯(113)이 맞닿는 잉크 투입 슬롯(123)를 경유하여 최종적으로 노즐(N)로 투입된다.
That is, the
한편, 도 2 내지 도 5와 도 8에 도시되 바와 같이 상기 노즐부(120) 하단에 배치되는 전극부(130)와 상기 전극부(130) 일 측에 배치되는 가스 공급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2 to 5 and 8, an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극부(130)는 정전기력을 발생하기 위해 상기 노즐부(120)와 함께 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서, 판체 형상의 전극 바디(131)와, 상기 전극 바디(131)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노즐(N)이 삽입된 후 관통하도록 하는 노즐 삽입공(132)을 포함할 수 있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이때, 상기 전극부(130)의 노즐 삽입공(132)에 상기 노즐(N)이 삽입된 후 상기 노즐(N) 하측 끝단부가 상기 노즐 삽입공(132)을 관통한 후 하측으로 일부 노출되게 된다.(도 2참조)At this time, after the nozzle N is inserted into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정전기력이 발생하여 잉크 토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an electrostatic force is generated and the ink discharge amount can be controlled.
한편, 상기 노즐 삽입공(1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 바디(131)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주위에 요홈부(136)가 형성되는 단턱(134)에 상기 전극 바디(131)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The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극부(130) 일 측에 가스 공급부(140)를 설치되어 상기 노즐(N)측으로 분위기 가스를 투입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즉, 잉크는 상기 노즐(N)을 통해 분출되는데, 상기 잉크가 분출되는 과정에서 최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노즐(N)측으로 분위기 가스를 투입하는 것이다.
That is, the ink is ejected through the nozzle N, and the atmospheric gas is injected into the nozzle N so as to maintain the optimum state in the process of ejecting the ink.
이를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 바디(131)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일 측은 상기 가스 공급부(140)와 연통되고 타 측은 상기 노즐 삽입공(132)과 연통되는 가스 유입공(133)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9, a
이때, 상기 가스 공급부(140)는 가스가 주입되는 유입 튜브(141)와, 상기 유입 튜브(141) 일 측에 설치되는 밸브(142)와, 상기 밸브(142) 일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스 유입공(133)과 연통되어 상기 노즐 삽입공(132) 내부에 가스를 투입하는 토출 포트(14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즉, 상기 유입 튜브(141)를 통해 분위기 가스가 투입된 후 상기 밸브(142)와 토출 포트(143)를 거쳐 상기 가스 유입공(133)으로 유입되는 것이다.That is, after the atmospheric gas is introduced through the
이를 위해 상기 가스 유입공(13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 바디(131)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노즐 삽입공(132)은 상기 전극 바디(131)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중간 지점에서 연통되도록 형성된다.The
따라서, 상기 노즐 삽입공(132)에 노즐(N)이 삽입된 후 상기 가스 유입공(133)을 따라 분위기 가스가 주입되면, 상기 노즐(N) 주위로 분위기 가스가 유입되어 상기 노즐(N) 내부의 잉크가 최적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Therefore, when the atmospheric gas is injected along the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부(120)와 전극부(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V)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As shown in FIG. 1, it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unit V for supplying power to the
이때, 상기 전극부(130)에는 공정 환경 및 조건에 따라 0접지 또는 +/- 모두 인가가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가팅 상기 챔버(110) 저면에 배치되되 상기 노즐부(120)와 전극부(130)를 수용하는 중공의 박스 형상인 수용부(150)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10,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a hollow box-shaped
이때, 상기 수용부(150)의 일 부분에 형성되어 냉각수가 유동하는 냉각 자켓(152)을 포함하여 온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oling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을 노즐부(120)와 전극부(130)에 인가하게 되는데, 상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냉각 자켓(152)에 냉각수가 유동하도록 하여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source is applied to the
또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110)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챔버(110)를 지지하는 마운팅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as shown in FIG. 2 to FIG. 4,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mounting
이때, 상기 마운팅부(160)는 판체 형상이되 일 영역이 개방되어 상기 챔버(110)의 잉크 투입구(112)가 노출되도록 하는 마운팅 바디(161)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mounting
또한, 상기 마운팅 바디(161) 일 측에 다수 개의 고정공(163)을 형성한 후 상기 고정공(163)에 고정구(F)를 삽입하여 챔버(110)를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It is also possible to fix the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10 : 챔버 111 : 챔버 바디
112 : 잉크 투입부 113 : 잉크 토출 슬롯
120 : 노즐부 121 : 노블 바디
122 : 더미 노즐 123 : 분사 노즐
130 : 전극부 131 : 전극 바디
132 : 노즐 삽입부 133 : 가스 유입공
140 : 가스 공급부 141 : 유입 튜브
142 : 밸브 143 : 토출 포트
150 : 수용부 160 : 마운팅부110: chamber 111: chamber body
112: ink insertion portion 113: ink discharge slot
120: nozzle unit 121: noble body
122: dummy nozzle 123: injection nozzle
130: electrode part 131: electrode body
132: nozzle inserting portion 133: gas inlet hole
140: gas supply part 141: inflow tube
142: valve 143: discharge port
150: receiving portion 160: mounting portion
Claims (8)
상기 노즐부(120)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노즐부(120)를 지지하는 한편 상기 노즐부(120)의 잉크 투입 슬롯(123)에 잉크를 공급하는 챔버(110)와,
상기 노즐부(120) 하단에 배치되는 전극부(130)와,
상기 노즐부(120)와 전극부(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V)와,
상기 전극부(130)의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N) 주위로 분위기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N)은, 잉크를 분사하는 다수 개의 분사 노즐(123)과, 상기 분사 노즐(120)의 양 측단에 각각 배치되되 잉크를 토출하지 않는 더미 노즐(122)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부(130)는, 판체 형상의 전극 바디(131)와, 상기 전극 바디(131)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노즐(N)이 삽입된 후 관통하도록 하는 노즐 삽입공(132)과, 일 측은 상기 가스 공급부(140)와 연통되고 타 측은 상기 노즐 삽입공(132)과 연통되도록 상기 전극 바디(131)에 형성되는 가스 유입공(1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미 노즐을 구비한 멀티 노즐 헤드.A plurality of nozzles 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nozzle body 121 and a plurality of nozzles 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ozzle body 121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nozzles N, A nozzle unit 120 including an ink input slot 123 to be supplied to the nozzle N,
A chamber 110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nozzle unit 120 for supporting the nozzle unit 120 and supplying ink to the ink injection slot 123 of the nozzle unit 120,
An electrode unit 130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nozzle unit 120,
A power supply unit V for supplying power to the nozzle unit 120 and the electrode unit 130,
And a gas supply unit 14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electrode unit 130 to supply the atmospheric gas around the nozzle N,
The nozzle N includes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123 for ejecting ink and a dummy nozzle 122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injection nozzle 120 and not ejecting ink,
The electrode unit 130 includes a plate-shaped electrode body 131, a nozzle insertion hole 132 formed in the electrode body 131 to allow the nozzle N to pass through the electrode body 131, And a gas inflow hole (133) communicated with the gas supply part (140) and formed on the electrode body (131)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nozzle inserting hole (132) head.
상기 잉크 투입 슬롯(123)은 상기 노즐 바디(1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미 노즐을 구비한 멀티 노즐 헤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k supply slot (123) is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ozzle body (120).
판체 형상의 챔버 바디(111)와,
상기 챔버 바디(111)의 상면에 형성되어 잉크가 투입되는 잉크 투입구(112)와,
상기 챔버 바디(111) 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잉크 투입구(112)와 연통되되 상기 챔버 바디(111)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노즐(N)측으로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토출 슬롯(1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미 노즐을 구비한 멀티 노즐 헤드.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hamber (110)
Shaped body body 111,
An ink inlet 11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mber body 111 to receive ink,
An ink discharge slot 113 formed in the bottom of the chamber body 111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k inlet 112 and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amber body 111 to supply ink toward the nozzle N Wherein the nozzle head is a multi-nozzle head having a dummy nozzle.
가스가 주입되는 유입 튜브(141)와,
상기 유입 튜브(141) 일 측에 설치되는 밸브(142)와,
상기 밸브(142) 일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스 유입공(133)과 연통되어 상기 노즐 삽입공(132) 내부에 가스를 투입하는 토출 포트(1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미 노즐을 구비한 멀티 노즐 헤드.2. The fuel cell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as supply unit (140)
An inflow tube 141 into which gas is injected,
A valve 142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inflow tube 141,
And a discharge port (143) provided at one side of the valve (142) and communicating with the gas inlet hole (133) to inject gas into the nozzle insertion hole (132) One multi-nozzle head.
상기 챔버(110) 저면에 배치되되 상기 노즐부(120)와 전극부(130)를 수용하는 중공의 박스 형상인 수용부(150)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부(150)의 일 부분에 형성되어 냉각수가 유동하는 냉각 자켓(15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미 노즐을 구비한 멀티 노즐 헤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ox-shaped receptacle 150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110 for receiving the nozzle unit 120 and the electrode unit 130,
Further comprising a cooling jacket (152) formed on a part of the accommodating part (150) and through which cooling water flows.
상기 챔버(110)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챔버(110)를 지지하는 마운팅부(1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마운팅부(160)는 판체 형상이되 일 영역이 개방되어 상기 챔버(110)의 잉크 투입구(112)가 노출되도록 하는 마운팅 바디(16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미 노즐을 구비한 멀티 노즐 헤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ounting portion (160)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hamber (110) to support the chamber (110)
The mounting unit 160 includes a mounting body 161 that is opened in a region of a plate shape to expose the ink inlet 112 of the chamber 110. [ Equipped multi-nozzle head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7209A KR101513251B1 (en) | 2013-07-02 | 2013-07-02 | Multi nozzle head with dummy nozz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7209A KR101513251B1 (en) | 2013-07-02 | 2013-07-02 | Multi nozzle head with dummy nozz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4133A KR20150004133A (en) | 2015-01-12 |
KR101513251B1 true KR101513251B1 (en) | 2015-04-20 |
Family
ID=52476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77209A Expired - Fee Related KR101513251B1 (en) | 2013-07-02 | 2013-07-02 | Multi nozzle head with dummy nozz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1325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7077639A (en) * | 2015-10-19 | 2017-04-27 | 株式会社リコー | Liquid discharge member and image formation device |
JP6746329B2 (en) * | 2016-03-11 | 2020-08-26 | キヤノン株式会社 | Method of manufacturing recording element substrate and liquid ejection hea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73358B2 (en) * | 1996-02-22 | 2001-06-04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Inkjet printer and inkjet printhead |
JP2005271266A (en) * | 2004-03-23 | 2005-10-06 | Seiko Epson Corp | Droplet discharge head manufacturing method, manufacturing apparatus, droplet discharge head, and droplet discharge apparatus |
JP4070175B2 (en) * | 2000-09-29 | 2008-04-02 | 株式会社リコー | Droplet ejection head, inkjet record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pparatus for ejecting droplets |
KR100915377B1 (en) * | 2008-07-31 | 2009-09-03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Matrix type conductive liquid ejecting system using electrostatic force |
-
2013
- 2013-07-02 KR KR1020130077209A patent/KR10151325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73358B2 (en) * | 1996-02-22 | 2001-06-04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Inkjet printer and inkjet printhead |
JP4070175B2 (en) * | 2000-09-29 | 2008-04-02 | 株式会社リコー | Droplet ejection head, inkjet record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pparatus for ejecting droplets |
JP2005271266A (en) * | 2004-03-23 | 2005-10-06 | Seiko Epson Corp | Droplet discharge head manufacturing method, manufacturing apparatus, droplet discharge head, and droplet discharge apparatus |
KR100915377B1 (en) * | 2008-07-31 | 2009-09-03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Matrix type conductive liquid ejecting system using electrostatic for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4133A (en) | 2015-01-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32188B1 (en) | Ink jet module | |
CN109080265B (en) | Fluid injection device with fluid injection holes | |
JP3542389B2 (en) | Parallel print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CN107921782B (en) | Module for ink-jet printer | |
KR101779246B1 (en) | Liquid ejection head | |
CN100436136C (en) | Liquid discharge device and liquid discharge method | |
CN101209617A (en) | inkjet head | |
CN109661311B (en) | Ink jet head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 |
CN110891792B (en) | Fluid ejection device with enclosed lateral channels | |
JP2008254304A (en) | Inkjet recording head | |
KR20110018384A (en) | Joint edition | |
CN110891793B (en) | Fluid ejection die with enclosed lateral channels | |
KR101513251B1 (en) | Multi nozzle head with dummy nozzle | |
KR101510767B1 (en) | Flush pump for ink supply system | |
CN101835615B (en) | Bubbler | |
KR20110112325A (en) | Liquid filling method of liquid jet head, liquid jet recording device and liquid jet head | |
GB0018963D0 (en) | Highly parallel fabrication of microarrays by ink jet printheads | |
JP7293337B2 (en) | Liquid ejection head and recording device | |
JP6853309B2 (en) | Fluid injection device with fluid supply holes | |
JP4715350B2 (en) | Liquid discharge head and liquid discharge apparatus | |
KR101373732B1 (en) | Inkjet head assembly | |
WO2017169681A1 (en) | Ink jet head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 |
US7651209B2 (en) | Flow passage | |
JP2002036584A (en) | Printer and head cartridge | |
KR20250070758A (en) | Apparatus for cleaning head of inkjet printing and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6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02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4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