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410B1 - Automatic Brake Rotor Drag Force Tester - Google Patents
Automatic Brake Rotor Drag Force Tes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12410B1 KR101512410B1 KR1020140151999A KR20140151999A KR101512410B1 KR 101512410 B1 KR101512410 B1 KR 101512410B1 KR 1020140151999 A KR1020140151999 A KR 1020140151999A KR 20140151999 A KR20140151999 A KR 20140151999A KR 101512410 B1 KR101512410 B1 KR 1015124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xle
- level
- rotation
- drag force
- st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28—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testing brak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V)의 차축(11)에 설치된 브레이크 디스크(10)에 의한 로터 드래그 포스(Drag force) 토크를 측정하는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 장치에 있어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측에 위치각도 조절 수단(130)에 의하여 그 상하 위치 및 각도가 조절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과,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상에 설치되며, 상기 차축(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차축 연결 수단(140)이 상기 차축 방향 말단에 결합되는 회전축(150);과,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상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150)의 차축 반대 방향 말단에 등속 조인트(152)를 통하여 결합되어 상기 차축(11)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구동수단(153);과, 상기 등속 조인트(152)와 상기 회전구동수단(153)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구동수단(153)의 구동에 따른 상기 로터 드래그 포스(Drag force) 토크를 측정하는 토크 센서(160);와, 상기 본체(110)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구동수단(153)의 회전 여부 및 회전 속도를 소정의 시간 간격 및 회전수 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증감하도록 제어하고, 각각의 회전 속도에서의 상기 토크 센서(160)의 측정값을 입력받아 표시 및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위치각도 조절 수단(130)을 제어하여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는 주제어 장치(17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brake rotor drag force measuring device for a vehicle and is provided with a rotor drag force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a rotor drag force torque by a brake disc 10 installed on an axle 11 of a vehicle V A level and an inclination angle adjusting station 120 installed at an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10 such that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and angles thereof can be adjusted by the position angle adjusting means 130; A rotation axis 150 installed on the level and inclination adjusting station 120 and coupled to the axle end of the axle connecting means 140 detachably coupled to the axle 11, A rotation driving means 153 installed on the regulating station 120 and connected to the opposite end of the rotating shaft 150 via a constant velocity joint 152 to transmit a driving force to the axle 11; The constant velocity A torque sensor 160 installed between the engine 152 and the rotation driving means 153 for measuring the torque of the rotor drag forc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rotation driving means 153, And controls the rotation speed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driving means 153 so as to be sequentially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a rotation number interval. The torque sensor 160 A main controller 170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and angle adjusting unit 130 to adjust a vertical position and an angle of the level and tilt angle adjusting station 120; And an automatic brake rotor drag force measurement device (100) for a vehicle.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V)의 차축(11)에 설치된 브레이크 디스크(10)와 패드 마찰에 의한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Drag force) 토크를 측정하는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 장치에 있어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측에 위치각도 조절 수단(130)에 의하여 그 상하 위치 및 각도가 조절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과,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상에 설치되며, 상기 차축(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차축 연결 수단(140)이 상기 차축 방향 말단에 결합되는 회전축(150);과,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상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150)의 차축 반대 방향 말단에 등속 조인트(152)를 통하여 결합되어 상기 차축(11)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구동수단(153);과, 상기 등속 조인트(152)와 상기 회전구동수단(153)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구동수단(153)의 구동에 따른 상기 로터 드래그 포스(Drag force) 토크를 측정하는 토크 센서(160);와, 상기 본체(110)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구동수단(153)의 회전 여부 및 회전 속도를 소정의 시간 간격 및 회전수 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증감하도록 제어하고, 각각의 회전 속도에서의 상기 토크 센서(160)의 측정값을 입력받아 표시 및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위치각도 조절 수단(130)을 제어하여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는 주제어 장치(17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brake rotor drag force measuring device for a vehicle and is provided with a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제동 장치는 주행중의 자동차를 감속하거나 정지시키거나 또는 정지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마찰 브레이크가 주로 사용되어 왔으며, 이것은 주행중 운동 에너지를 기계적인 마찰장치에 의해서 열 에너지로 바꾸어 그의 마찰열을 대기중에 방출하여 제동을 하는 방식이다.Generally, a braking device of an automobile is used for decelerating, stopping or stopping a motor vehicle while driving, and a friction brake has been mainly used, which converts kinetic energy during running into thermal energy by a mechanical friction device, This is a method of releasing frictional heat into the atmosphere and braking.
근래에 들어서는 브레이크 기구의 개발, 마찰 재료 등의 성능 향상 등으로 초기의 브레이크와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고성능의 브레이크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 마찰 브레이크 이외의 브레이크도 보조 브레이크로서 개발되어 주 브레이크의 작용을 보완하고 있는 것도 있다. 또한 브레이크의 조작력을 경감하기 위해서 제동 배력 장치가 사용되며, 한편 제동시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안정성이 높고, 운전자의 피로가 적은 이상적인 브레이크에 접근하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High-performance brakes have been developed to such an extent that they can not be compared with initial brakes due to development of brake mechanisms and improvement of performance of friction materials and the like in recent years. Brakes other than the friction brakes are also developed as auxiliary brakes to complement the action of the main brakes. In addition, a braking force control device is used to reduce the operation force of the brake. In order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at the time of braking, the brake is approaching an ideal brake with high stability and less fatigue of the driver.
그리고, 최고 속도와 자동차 중량에 대하여 충분한 제동 작용을 하여야 하고, 신뢰성 및 내구성이 커야하며, 작동이 확실하여야 한다.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perform sufficient braking action with respect to the maximum speed and the weight of the vehicle, to have high reliability and durability, and to be sure to operate.
이러한 브레이크의 측정에 관련된 장치로서 하기 특허문헌 1의 "차량용 브레이크 디스크의 측정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9857호)"에는 바닥면을 구성하는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의 상부 일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에 피측정물을 안착시킨 상태로 승강시키는 회전부와, 이 회전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부에 회전구동력을 부여하는 회전구동부와, 베이스부의 상부 타방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피측정물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이 측정부의 일방에 설치되어 측정부를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회전부의 상단에 피측정물을 안착시킨 상태로 회전시키면서 부상시켜 측정하게 됨으로써, 브레이크 디스크 또는 브레이크 드럼의 런아웃, 두께편차, 원통도, 동심도, 평탄도 및 주파수 분석 등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As a device relating to the measurement of such a brake, a "measuring device for a brake disk for a vehic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29857)" of
그러나, 이러한 기존 발명은 부품 상태의 브레이크 디스크 또는 분리하여 탈거된 브레이크 디스크의 경우에만 그 측정이 가능한 것으로, 차량에 브레이크 디스크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동 후 캘리퍼 피스톤의 원위치 복귀 불량으로 유발되는 브레이크 패드와 로터 마찰면 접촉에 의한 로터 드래그 포스(Drag force) 토크를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 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invention can be measured only in the case of a brake disc in a state of a component state or a brake disc which is detached from a brake disc in a state where the brake disc is engaged with the brake pad, which is caused by a failure of the caliper piston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after brak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measure the rotor drag force torque due to the contact of the rotor friction surface.
한편, 상기한 로터 드래그 포스 토크를 측정하기 위한 기존 발명으로, 하기 특허문헌 2의 "자동차 디스크 브레이크용 디스크 로터의 끌림 정도 측정 장치(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44496호)"에는,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디스크 로터를 허브에 결합하는 볼트와 대응하는 소켓이 일측면에 방사상으로 결합되며, 타측면 중앙으로 토오크 렌치를 장착할 수 있는 장방형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디스크 로터의 끌림 정도를 육안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하여서, 마찰 부재의 조기 마모 및 디스크 로터의 열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as a conventional invention for measuring the above-mentioned rotor drag fork torque, in the "apparatus for measuring the degree of drag of a disk rotor for an automotive disk brake" (Japanes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44496) of Patent Document 2, A socket having a bolt for coupling the disk rotor to the hub is radially coupled to one side and a rectangular groove for mounting a torque wrench is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side, So that it can be measured with the naked eye to prevent premature wear of the friction member and thermal deformation of the disk rotor.
그러나, 특허문헌 2의 기존 발명은 차량에 브레이크 디스크가 장착된 상태에서 끌림 정도를 측정할 수는 있으나, 측정자가 수동으로 토크 렌치를 조작하여 끌림 정도를 육안을 통하여 토크 렌치의 수치를 확인하여 측정하는 것만이 가능한 것에 불과한 것은 물론, 실제와 같이 차축이 회전하는 경우의 끌림 정도를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 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although the conventional invention of Patent Document 2 can measure the degree of dragging with the brake disk mounted on the vehicle, the numerical value of the torque wrench is visually checked by measuring the degree of dragging by manually operating the torque wrench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measure the degree of attraction when the axle rotates as in the actual case.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차량에 브레이크 디스크가 부착된 상태 그대로 저속 영역부터 고속 영역까지 다양한 회전수 영역에서의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를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automatic brake rotor drag capable of automatically measuring a brake rotor drag force in various rotational speed ranges from a low speed range to a high speed range, A force measuring device is provided.
또한,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하 위치 및 각도가 조절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차축과 회전축의 결합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여 효율적이고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Furth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utomatic brake rotor drag force measurement device for a vehicle, which is capable of adjusting the vertical position and angle of the level and tilt
한편, 자동으로 차축과 회전축의 결합 위치 및 각도를 탐색한 후, 정확한 측정위치로 조절하는 자동 측정위치 탐색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ic brake rotor drag force measuring device for a vehicle capable of automatically performing an automatic measurement position search function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 position and angle of engagement between an axle and a rotary shaft and then adjusting the position and the angle to an accurate measurement position.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는, 차량(V)의 차축(11)에 설치된 브레이크 디스크(10)에 의한 로터 드래그 포스(Drag force) 토크를 측정하는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 장치에 있어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측에 위치각도 조절 수단(130)에 의하여 그 상하 위치 및 각도가 조절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과,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상에 설치되며, 상기 차축(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차축 연결 수단(140)이 상기 차축 방향 말단에 결합되는 회전축(150);과,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상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150)의 차축 반대 방향 말단에 등속 조인트(152)를 통하여 결합되어 상기 차축(11)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구동수단(153);과, 상기 등속 조인트(152)와 상기 회전구동수단(153)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구동수단(153)의 구동에 따른 상기 로터 드래그 포스(Drag force) 토크를 측정하는 토크 센서(160);와, 상기 본체(110)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구동수단(153)의 회전 여부 및 회전 속도를 소정의 시간 간격 및 회전수 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증감하도록 제어하고, 각각의 회전 속도에서의 상기 토크 센서(160)의 측정값을 입력받아 표시 및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위치각도 조절 수단(130)을 제어하여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는 주제어 장치(170); 와, 유압공급원(181)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상기 주제어 장치(17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차량(V)의 상기 차축(11)에 설치된 브레이크 실린더(20)에 조절하여 공급하는 유압컨트롤러(18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utomatic brake rotor drag force measuremen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otor (10) for measuring a rotor drag force torque by a brake disk (10) installed on an axle (11) A drag force measuring apparatus comprising: a
또한, 상기 토크 센서(160)는 비접촉식 토크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위치각도 조절 수단(130)은,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기 차축 방향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는 제 1 상하 조절 수단(131);과,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기 차축 반대 방향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는 제 2 상하 조절 수단(13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또한, 상기 제 1 상하 조절 수단(131)은, 상기 본체(11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주제어장치(170)의 제어에 따라 회전 구동되는 제 1 구동 수단(131a);과,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기 차축 방향 하측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 1 구동 수단(131a)의 회전 구동력을 제 1 구동 전달 수단(131b)을 통하여 각각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며, 외주연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종동 회전축(131c);과,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기 차축 방향 하측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며, 내측에는 상기 제 1 종동 회전축(131c)이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된 나사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종동 회전축(131c)의 회전구동에 따라 상하로 구동되는 제 1 조절 블럭(131d);과, 각각의 상기 제 1 조절 블럭(131d)을 연결하는 제 1 연결축(131e);과,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기 차축 방향 하측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 1 연결축(131e)의 양 말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설치되는 제 1 축 고정 수단(131f);을 포함하여 구성되며,The first vertical adjustment means 131 includes a first driving means 131a installed on the
상기 제 2 상하 조절 수단(132)은, 상기 본체(11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주제어장치(170)의 제어에 따라 회전 구동되는 제 2 구동 수단(132a);과,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기 차축 반대 방향 하측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 2 구동 수단(132a)의 회전 구동력을 제 2 구동 전달 수단(132b)을 통하여 각각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며, 외주연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종동 회전축(132c);과,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기 차축 반대 방향 하측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며, 내측에는 상기 제 2 종동 회전축(132c)이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된 나사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종동 회전축(132c)의 회전구동에 따라 상하로 구동되는 제 2 조절 블럭(132d);과, 각각의 상기 제 2 조절 블럭(132d)을 연결하는 제 2 연결축(132e);과,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기 차축 방향 하측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 2 연결축(132e)의 양 말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설치되는 제 2 축 고정 수단(132f);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cond vertical adjustment means 132 includes a second driving means 132a installed on the
또한, 상기 주제어 장치(170)는, 상기 회전구동수단(153)의 회전수를 소정의 측정 위치 탐색 회전 속도로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위치각도 조절 수단(130)을 제어하여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하 위치 및 각도를 소정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변경해가면서 상기 토크 센서(160)에서 상기 로터 드래그 포스(Drag force) 토크를 측정한 후, 측정된 각각의 상기 로터 드래그 포스(Drag force) 토크값 중 최소값을 가지는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하 위치 및 각도를 측정 위치로 선택하여, 상기 위치각도 조절 수단(130)을 제어하여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을 상기 측정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자동 측정위치 탐색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본체의 하부에 3개소 이상에 설치되며, 고정을 위한 캐스터 락(112)을 구비하는 캐스터(111);와,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150), 상기 등속 조인트(152), 상기 토크 센서(160) 및 상기 회전구동수단(153)을 덮는 구동부 커버(145);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The
상기 차축 연결수단(140)은, 장공 형상의 체결 통공(141a)이 소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 체결 통공 플렌지(141);와, 상기 체결 통공 플렌지(141)에 연속하여 형성되며, 내부가 원통 형상인 실린더부(142);와, 교체가능하도록 상기 실린더부(142)안에서 탄성 수단(144)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어 설치되며, 상기 차축(11)의 차축 허브축(12)가 접촉하는 원추형 접촉부(143a)가 상기 차축(11)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접촉 센터링 피스톤(14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xle connecting means 140 includes a fastening through-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기존 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차량에 브레이크 디스크가 부착된 상태 그대로 저속 영역부터 고속 영역까지 실차 주행 조건을 재현하여 다양한 회전수 영역에서의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를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어, 이러한 정확한 측정 결과를 토대로 연비개선, 브레이크 로터와 패드 수명연장 및 패드마모에 따른 분진발생감소를 가져오도록 차량을 정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s, and reproduces actual vehicle travel conditions from a low speed range to a high speed range with the brake disk attached to the vehicle, and automatically measures the brake rotor drag force in various ranges of speed Based on these accurate measurement result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fuel economy, extend the life of the brake rotor and the pad, and improve the maintenance of the vehicle to reduce dust generation due to pad wear.
또한,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하 위치 및 각도가 조절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차축과 회전축의 결합 위치 및 각도를 일치시켜 회전 저항을 최소한으로 하여 효율적이고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level and inclination
한편, 자동으로 차축과 회전축의 결합 위치 및 각도를 탐색한 후, 정확한 측정위치로 조절하는 자동 측정위치 탐색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On the other hand,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automatic measurement position search function of automatically searching for the position and angle of engagement between the axle and the rotary shaft, and then adjusting the position and angle of the axle to an accurate measurement position.
또한, 본체를 용이하게 이동시키고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 편의성이 높은 것은 물론,
Further, since the main body can be easily moved and fixed, it is not only easy to use,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의 전체 외관 사시도.
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의 정면도.
도 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의 차량측 측면도.
도 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의 상면도.
도 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의 주요부 측면도.
도 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의 주요부 사시도.
도 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의 측정 위치 조정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를 2개소 이상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9: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의 구성 블럭다이어그램.
도 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의 작동에 따른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의 차축 연결수단의 외관 사시도.
도 1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의 차축 연결수단의 단면도.
도 1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의 차축 연결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1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의 차축 연결수단의 중심 일치 연결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의 차축 연결수단의 다양한 규격의 차축 허브축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brake rotor drag force measur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an automatic brake rotor drag force measur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ehicle side view of an automatic brake rotor drag force measuremen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top view of an apparatus for measuring an automatic brake rotor drag fo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of a main portion of an automatic brake rotor drag force measuremen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ortion of an automatic brake rotor drag force measuremen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adjusting a measurement position of an automatic brake rotor drag force measuremen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ase where the automatic brake rotor drag force measur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two or more positions.
9 is a structural block diagram of an automatic brake rotor drag force measur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display screen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n automatic brake rotor drag force measur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axle connecting means of an automatic brake rotor drag force measur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ectional view of an axle connecting means of an automatic brake rotor drag force measur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xle connecting means of an automatic brake rotor drag force measur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enter-to-center connection process of an axle connecting means of an automatic brake rotor drag force measur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rocess of being coupled to axle hub axes of various sizes of an axle connecting means of an automatic brake rotor drag force measur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Hereinafter, an apparatus for measuring an automatic brake rotor drag fo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so as to avoid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로터 드래그 포스(Drag force) 토크는, 제동 후 캘리퍼 피스톤의 원위치 복귀 불량으로 유발되는 브레이크 패드와 로터 마찰면(브레이크 디스크 표면) 접촉에 의한 로터 드래그 포스(Drag force) 토크를 의미한다.
The drag force torque to be measur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ag force due to the contact between the brake pad and the rotor friction surface (brake disk surface) caused by the failure of the caliper piston to return to the home position after braking, Torque.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100)는 도 1 및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체(110),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 위치각도 조절 수단(130), 차축 연결 수단(140), 회전축(150), 회전구동수단(153), 토크 센서(160) 및 주제어 장치(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and 9, the vehicle automatic brake rotor drag
먼저, 본체(1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본체(110)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를 설치하기 위한 베이스의 기능을 가진다. 한편, 상기 본체(110)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용이한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 3개소 이상에 설치되며, 고정을 위한 캐스터 락(112)을 구비하는 캐스터(11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rst, the
다음으로,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은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회전축(150), 상기 토크 센서(160) 및 상기 회전구동수단(153)이 설치되는 플랫폼의 기능을 가진다.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은 도 1 및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110)의 상측에 위치각도 조절 수단(130)에 의하여 그 상하 위치 및 각도가 조절가능하도록 설치된다.
Next, the level and tilt
다음으로, 위치각도 조절 수단(13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위치각도 조절 수단(130)은 도 1 및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경우, 상기 위치각도 조절 수단(130)은,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기 차축 방향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는 제 1 상하 조절 수단(131)과,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기 차축 반대 방향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는 제 2 상하 조절 수단(1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한 기능을 가지도록 제 1 상하 조절 수단(131) 및 상기 제 2 상하 조절 수단(132)을 구현하는 실시예는 기계적 구동방식, 서보모터 등을 이용하는 전기적 구동 방식,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하는 구동 방식 등 대단히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Next, the position angle adjusting means 130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S. 1 and 7, the position angle adjusting means 130 has a function of adjusting the vertical position and angle of the level and tilt
이러한 다양한 실시예 중, 비교적 저속으로 조정이 되나 대단히 정밀한 제어가 가능한 실시예로, 상기 제 1 상하 조절 수단(131) 및 상기 제 2 상하 조절 수단(132)은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나사의 회전 운동을 상하운동(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 1 상하 조절 수단(131)은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11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주제어장치(170)의 제어에 따라 회전 구동되는 제 1 구동 수단(131a)과,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기 차축 방향 하측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 1 구동 수단(131a)의 회전 구동력을 제 1 구동 전달 수단(131b)을 통하여 각각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며, 외주연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종동 회전축(131c)과,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기 차축 방향 하측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며, 내측에는 상기 제 1 종동 회전축(131c)이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된 나사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종동 회전축(131c)의 회전구동에 따라 상하로 구동되는 제 1 조절 블럭(131d)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각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상하 조절 수단(131)은 각각의 상기 제 1 조절 블럭(131d)을 연결하는 제 1 연결축(131e)과,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기 차축 방향 하측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 1 연결축(131e)의 양 말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설치되는 제 1 축 고정 수단(131f)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 1 구동 수단(131a)은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구동 스프로켓의 구성을 통하여 그 회전 구동력을 체인으로 구성되는 제 1 구동 전달 수단(131b)에 전달하며, 각각의 제 1 종동 회전축(131c)에는 상기 제 1 구동 전달 수단(131b)에 함께 물려있는 종동 스프로켓이 각각 설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6, the first up-down adjustment means 131 and the second up-down adjustment means 132 are arranged in such a manner that they are rotated at a relatively low speed, It is preferable to have a configuration for converting the motion into a vertical motion (linear motion). 6, the first up / down
또한, 상기 제 2 상하 조절 수단(132) 역시 상기 제 1 상하 조절 수단(131) 과 유사하게, 상기 본체(11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주제어장치(170)의 제어에 따라 회전 구동되는 제 2 구동 수단(132a)과,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기 차축 반대 방향 하측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 2 구동 수단(132a)의 회전 구동력을 제 2 구동 전달 수단(132b)을 통하여 각각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며, 외주연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종동 회전축(132c)과,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기 차축 반대 방향 하측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며, 내측에는 상기 제 2 종동 회전축(132c)이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된 나사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종동 회전축(132c)의 회전구동에 따라 상하로 구동되는 제 2 조절 블럭(132d)과, 각각의 상기 제 2 조절 블럭(132d)을 연결하는 제 2 연결축(132e);과,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기 차축 방향 하측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 2 연결축(132e)의 양 말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설치되는 제 2 축 고정 수단(132f)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역시, 상기 제 2 구동 수단(132a)은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구동 스프로켓의 구성을 통하여 그 회전 구동력을 체인으로 구성되는 제 2 구동 전달 수단(132b)에 전달하며, 각각의 제 2 종동 회전축(132c)에는 상기 제 2 구동 전달 수단(132b)에 함께 물려있는 종동 스프로켓이 각각 설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Similarly to the first up-down adjustment means 131, the second up-down adjustment means 132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 1 상하 조절 수단(131) 및 상기 제 2 상하 조절 수단(132)이 도 7에서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동시에 상승하는 경우에는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위치가 상승하게 되며, 상기 제 1 상하 조절 수단(131) 및 상기 제 2 상하 조절 수단(132)이 도 7에서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동시에 하강하는 경우에는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위치가 하강하게 된다.
7 (a), when the first up-
한편, 도 7에서 (c)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 1 상하 조절 수단(131)이 상승하고 제 2 상하 조절 수단(132)이 하강하는 경우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은 상기 차축 방향이 들리고 상기 차축 반대방향이 내려가도록 그 각도가 조절되게 된다. 반대로, 도 7에서 (d)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 1 상하 조절 수단(131)이 하강하고 제 2 상하 조절 수단(132)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은 상기 차축 방향이 내려가고 상기 차축 반대방향이 들리도록 그 각도가 조절되게 된다.
7 (c), when the first up-and-down regulating means 131 is raised and the second up-down regulating means 132 is lowered, the level and tilt
또한, 상기 제 1 상하 조절 수단(131) 및 상기 제 2 상하 조절 수단(132)의 상승/하강 정도에 따라,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은 상하위치 조절과 동시에 각도 조절이 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The leveling and tilt
이와 같이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는 기능에 의하여 상기 차축(11)이 정확한 위치(즉, 상기 회전축(150)과 일직선 상에 위치)에서 정렬되어 상기 차축 연결수단(140)과 결합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효율적이고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것은 물론, 회전축의 정렬이 어긋나는 경우(특히 차축(11)의 회전수가 높은 경우) 진동이 심하게 발생하여 정확한 측정을 방해하고 심한 경우 차량 및 장비의 파손을 가져올 수 있는 것을 방지하여, 고속영역(즉, 높은 회전수 영역)에서의 측정도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상의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의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100)는 상기 차축(11)의 회전수를 약 2000RPM 이상까지 도달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여, 실제 차량의 고속 주행시의 상태를 재현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and angles of the level and tilt
다음으로, 회전축(15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회전축(150)은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상에 설치되며, 상기 차축(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차축 연결 수단(140)이 상기 차축 방향 말단에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150)의 상기 차축 반대 방향 말단에는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상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150)의 차축 반대 방향 말단에 등속 조인트(152)를 통하여 미세한 장렬 오차를 흡수하면서 결합되어 상기 차축(11)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구동수단(153)이 연결된다.
Next, the
이 경우, 상기 차축 연결수단(140)은 용이하게 상기 회전축(150)과 상기 차축(11)의 회전 중심을 맞추어 연결하고, 다양한 규격을 가지는 차축 허브축(12)에 범용적으로 대응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장공 형상의 체결 통공(141a)이 소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 체결 통공 플렌지(141)와, 상기 체결 통공 플렌지(141)에 연속하여 형성되며, 내부가 원통 형상인 실린더부(142)와, 교체가능하도록 상기 실린더부(142)안에서 탄성 수단(144)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어 설치되며, 상기 차축(11)의 차축 허브축(12)가 접촉하는 원추형 접촉부(143a)가 상기 차축(11)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접촉 센터링 피스톤(14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axle connecting means 140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rotational axis of the
먼저, 상기 차축 연결수단(140)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150)과 상기 차축(11)의 회전 중심을 맞추어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체결 과정의 시작에서는 도 14에서 가는 실선으로 표현한 것과 같이, 상기 회전축(150)과 상기 차축(11)의 회전 중심이 서로 어긋나게 진입하는 경우라 하여도, 상기 차축(11)의 차축 허브축(12)이 상기 원추형 접촉부(143a)에 접촉하여 밀고 들어오는 과정에서, 최종적으로 상기 차축 허브축(12)의 말단 외주연은 상기 원추형 접촉부(143a)에 전부 접촉할 수 있는 위치로 밀고 들어오게 되므로, 상기 차축 허브축(12)의 회전중심(즉, 상기 차축(11)의 회전중심)은 도 14에서 실선으로 표현한 것과 같이 상기 접촉 센터링 피스톤(143)의 회전중심과 자연스럽게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대단히 용이하게 상기 회전축(150)과 상기 차축(11)의 회전 중심을 맞추어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First, a process of connecting the rotational center of the
한편, 상기 차축 허브축(12)은 다양한 구성 및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차축의 허브의 중심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된 부분을 지칭하며, 차종에 따라 도 1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다양한 직경(D)과 높이(h)를 가지는 다양한 규격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으로, 이를 상기 회전축(150)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그 규격에 맞도록 규격별로 각각 제작된 상기 차축 연결수단(140)들이 필요한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 경우 역시 상기한 구성과 같은 상기 차축 연결수단(140)을 통하여, 체결 과정에서 상기 접촉 센터링 피스톤(143)이 도 1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탄성 수단에 의하여 탄성 지지 되면서 상기 차축 허브축(12)의 말단 외주연이 상기 원추형 접촉부(143a)에 전부 접촉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여 밀고 들어온 후 체결되므로, 다양한 규격의 상기 차축 허브축(12)에 대하여도 하나의 상기 차축 연결수단(140)을 이용하여 체결이 가능하게 된다.
The
다음으로, 토크 센서(16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토크 센서(160)는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등속 조인트(152)와 상기 회전구동수단(153)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구동수단(153)의 구동에 따른 상기 로터 드래그 포스(Drag force) 토크를 측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경우, 상기 토크 센서(160)는 슬립링과 브러쉬 같은 소모성 부품이 필요 없고, 특히 본 발명의 특징인 고속회전이 가능한 특징 및 장시간 사용에도 적합할 수 있도록 비접촉식 토크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Next, the
한편, 측정 과정 중에 회전 구동되고 있는 구성 요소에 의한 사용자의 부상이나 이물질의 혼입 또는 작동 부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100)는 도 1 및 도 5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150), 상기 등속 조인트(152), 상기 토크 센서(160) 및 상기 회전구동수단(153)을 덮는 구동부 커버(14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automatic brake rotor drag
다음으로, 주제어 장치(17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주제어 장치(170)는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110)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구동수단(153)의 회전 여부 및 회전 속도를 소정의 시간 간격 및 회전수 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증감하도록 제어하고, 각각의 회전 속도에서의 상기 토크 센서(160)의 측정값을 입력받아 표시 및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위치각도 조절 수단(130)을 제어하여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진다.
Next, the
한편, 상기 주제어 장치(170)는 상기 회전구동수단(153)의 회전수를 소정의 측정 위치 탐색 회전 속도로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위치각도 조절 수단(130)을 제어하여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하 위치 및 각도를 소정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변경해가면서 상기 토크 센서(160)에서 상기 로터 드래그 포스(Drag force) 토크를 측정한 후, 측정된 각각의 상기 로터 드래그 포스(Drag force) 토크값 중 최소값을 가지는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하 위치 및 각도를 '측정 위치'로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차축(11)과 상기 회전축(150)이 일직선상에 정렬된 경우, 상기 로터 드래그 포스(Drag force) 토크값의 측정값이 가장 작은 특성을 가지게 되므로, 상기 로터 드래그 포스(Drag force) 토크값의 측정값이 최소값을 가지는 경우의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하 위치 및 각도를 가장 적합한 상기 '측정위치'로 선택하도록 상기 위치각도 조절 수단(130)을 제어하여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을 상기 측정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자동 측정위치 탐색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또한, 상기 주제어 장치(170)에는 도 1 및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로터 드래그 포스(Drag force) 토크값의 측정값 및 작동 상태 등을 외부에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0)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172)가 더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172)는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110)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커버(173)에 의하여 보호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S. 1 and 9, the
또한, 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사용자의 조작입력(예를 들어, 상기 회전구동수단(153)의 회전수, 상기 제 1 상하 조절 수단(131) 및 상기 제 2 상하 조절 수단(132)의 상승/하강 정도, 측정 시작/정지, 브레이크 조작 상태)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도 1 및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조작 입력 수단(19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조작 입력 수단(190)은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 1 상하 조절 수단(131) 및 상기 제 2 상하 조절 수단(132)의 상승/하강 정도를 각각 조정하는 제 1 상하 조절 수단 조작 조이스틱(191) 및 제 2 상하 조절 수단 조작 조이스틱(192), 상기 회전구동수단(153)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회전수 조절 노브(193), 상기 브레이크 실린더(20)에 인가되는 압력을 조절하는 브레이크 압력 조절 노브(194), 측정 시작/정지를 각각 조작하는 시작버튼(195) 및 정지 버튼(19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such as the operation input of the user (for example,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driving means 153, the up / down control means 131 and the up / 1 and 9, so as to be able to receive the input of the operation input means 190, the measurement start / stop, and the brake operation state).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9, the
또한, 상기 주제어 장치(170)는 측정한 각각의 회전 속도에서의 상기 토크 센서(160)의 측정값 등의 데이터를 외부의 장치(예를 들어 컴퓨터 등)로 전달할 수 있도록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입.출력 기능을 가지는 인터페이스(171)가 더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171)는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100)를 2개 이상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100) 사이의제어 신호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8에서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좌/우의 차축에 동시에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100)를 연결하고, 동일하게 회전속도를 변화시키며 여 좌/우의 차축의 로터 드래그 포스(Drag force) 토크를 각각 측정하여 비교하는 경우, 차축의 차동기어 간섭 영향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전/후의 차축에 동시에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100)를 연결하고 동일하게 회전속도를 변화시키며 전/후의 차축의 로터 드래그 포스(Drag force) 토크를 각각 측정하여 비교하는 경우, 상시 4륜구동 차량 등에서의 전, 후륜 차축간의 상호 간섭이나 영향을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9, the
한편, 별도로 차량의 브레이크를 조작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100)에서 차량의 브레이크를 조작하여 제어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100)는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유압공급원(181)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상기 주제어 장치(17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차량(V)의 상기 차축(11)에 설치된 브레이크 실린더(20)에 조절하여 공급하는 유압컨트롤러(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주제어 장치(170)는 실제 차량의 운행 상황을 재현하기 위하여, 상기 브레이크 실린더(20)에 압력을 인가하였다가(즉, 브레이크를 조작하는 경우를 재현하였다가), 상기 압력을 해제한 후(즉, 브레이크의 조작을 해제하는 상태를 재현하여) 측정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여, 실제 측정하고자 하는 상기 차량(V)에서의 실제 브레이크 작동 상태에 따른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토크값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automatic brake rotor drag force measur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by controlling the brakes of the vehicle without separately operating the brakes of the vehicle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from the hydraulic
이 경우, 측정 개시 전에 일정 제동압으로 제동 동작을 2~3회 작동시켜 상기 브레이크 실린더(20)(캘리퍼 마스터 실린더)의 복귀 상태를 재현시킨 후(이러한 과정은 도 10의 작동 화면에서, 에, 회전 속도를 가/감속하면서 각 속도 단계별로 로터 드래그 포스(Drag force) 토크를 측정하여 특정 속도에서의 휠 발란스, 공진 유무를 측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braking operation is performed at a constant braking pressure two to three times before starting the measurement to reproduce the return state of the brake cylinder 20 (caliper master cylinder) (this process is performed in the operation screen of Fig. 10, It is preferable to measure the torque of the rotor drag force for each step of the speed while increasing / decreasing the rotational speed to measure wheel balance and resonance at a specific speed.
이상에서는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In the foregoing, optimal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employed herein, they are u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브레이크 디스크 11: 차축
12: 차축 허브축
h: 차축 허브축 높이 D: 차축 허브축 직경
20: 브레이크 실린더 21: 브레이크 캘리퍼
22: 브레이크 패드
100: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
110: 본체 111: 캐스터
112: 캐스터 락
120: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30: 위치각도 조절 수단
131: 제 1 상하 조절 수단
131a: 제 1 구동 수단 131b: 제 1 구동 전달 수단
131c: 제 1 종동 회전축 131d: 제 1 조절 블럭
131e: 제 1 연결축 131f: 제 1 축 고정 수단
132: 제 2 상하 조절 수단
132a: 제 2 구동 수단 132b: 제 2 구동 전달 수단
132c: 제 2 종동 회전축 132d: 제 2 조절 블럭
132e: 제 2 연결축 132f: 제 2 축 고정 수단
140: 차축 연결수단 141: 체결 통공 플렌지
141a: 체결 통공
142: 실린더부
143: 접촉 센터링 피스톤 143a: 원추형 접촉부
144: 탄성 수단
145: 구동부 커버
150: 회전축 151: 회전축 지지부
152: 등속 조인트 153: 회전구동수단
152: 모터 드라이버
160: 토크 센서
170: 주제어장치 171: 인터페이스
172: 디스플레이 173: 디스플레이 커버
180: 유압 컨트롤러 181: 유압공급원
190: 조작 입력 수단
191:
V: 차량
10: brake disk 11: axle
12: Axle hub axle
h: Axle hub axis height D: Axle hub axis diameter
20: brake cylinder 21: brake caliper
22: Brake pad
100: Automotive brake rotor drag force measuring device
110: main body 111: casters
112: Castor Rock
120: Level and tilt control station
130: position angle adjusting means
131: first vertical adjustment means
131a: first driving means 131b: first driving transmitting means
131c: first driven
131e:
132: second vertical adjustment means
132a: second driving means 132b: second driving transmitting means
132c: second driven
132e: second connecting
140: axle connecting means 141: fastening through-hole flange
141a: fastening hole
142:
143:
144: elastic means
145: Drive cover
150: rotating shaft 151: rotating shaft supporting part
152: constant velocity joint 153: rotation driving means
152: Motor driver
160: Torque sensor
170: main controller 171: interface
172: Display 173: Display cover
180: Hydraulic controller 181: Hydraulic supply source
190: Operation input means
191:
V: vehicle
Claims (5)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상측에 위치각도 조절 수단(130)에 의하여 그 상하 위치 및 각도가 조절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상에 설치되며, 상기 차축(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차축 연결 수단(140)이 상기 차축 방향 말단에 결합되는 회전축(150);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상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150)의 차축 반대 방향 말단에 등속 조인트(152)를 통하여 결합되어 상기 차축(11)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구동수단(153);
상기 등속 조인트(152)와 상기 회전구동수단(153)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구동수단(153)의 구동에 따른 상기 로터 드래그 포스(Drag force) 토크를 측정하는 토크 센서(160);
상기 본체(110)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구동수단(153)의 회전 여부 및 회전 속도를 소정의 시간 간격 및 회전수 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증감하도록 제어하고, 각각의 회전 속도에서의 상기 토크 센서(160)의 측정값을 입력받아 표시 및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위치각도 조절 수단(130)을 제어하여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는 주제어 장치(17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100).1. A rotor drag force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a brake rotor drag force torque due to a friction between a brake disc (10) provided on an axle (11) of a vehicle (V)
A body 110;
A level and inclination adjusting station 120 installed on the body 110 so as to be adjustable in vertical position and angle by the position angle adjusting means 130;
A rotating shaft 150 installed on the level and tilt angle adjusting station 120 and having an axle connecting means 140 detachably coupled to the axle 11 to be coupled to the axle end;
A rotation driving means 153 installed on the level and inclination adjusting station 120 and coupled to the opposite end of the rotating shaft 150 via a constant velocity joint 152 to transmit a driving force to the axle 11; );
A torque sensor (160) provided between the constant velocity joint (152) and the rotation driving means (153) for measuring the torque of the rotor drag forc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rotation driving means (153);
And controls the rotation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driving means 153 so as to sequentially increase or decrease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a rotation number interval, And a main controller 170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and angle adjusting unit 130 to adjust the up and down position and angle of the level and tilt angle adjusting station 120, ; And an automatic brake rotor drag force measuring device (100) for a vehicle.
상기 토크 센서(160)는 비접촉식 토크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위치각도 조절 수단(130)은,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기 차축 방향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는 제 1 상하 조절 수단(131);과,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기 차축 반대 방향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는 제 2 상하 조절 수단(13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orque sensor 160 is a non-contact type torque sensor,
The position angle adjusting means (130)
First up-down adjustment means (131) for adjusting a vertical position of the level and tilt angle adjustment station (120) in the axle direction;
And a second vertical adjustment means (132) for adjusting a vertical position of the level and the tilt angle adjustment station (120)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axle axis. The vehicle automatic brake rotor drag force measurement apparatus (100) .
상기 제 1 상하 조절 수단(131)은,
상기 본체(11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주제어장치(170)의 제어에 따라 회전 구동되는 제 1 구동 수단(131a);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기 차축 방향 하측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 1 구동 수단(131a)의 회전 구동력을 제 1 구동 전달 수단(131b)을 통하여 각각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며, 외주연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종동 회전축(131c);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기 차축 방향 하측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며, 내측에는 상기 제 1 종동 회전축(131c)이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된 나사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종동 회전축(131c)의 회전구동에 따라 상하로 구동되는 제 1 조절 블럭(131d);
각각의 상기 제 1 조절 블럭(131d)을 연결하는 제 1 연결축(131e);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기 차축 방향 하측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 1 연결축(131e)의 양 말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설치되는 제 1 축 고정 수단(131f);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2 상하 조절 수단(132)은,
상기 본체(11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주제어장치(170)의 제어에 따라 회전 구동되는 제 2 구동 수단(132a);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기 차축 반대 방향 하측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 2 구동 수단(132a)의 회전 구동력을 제 2 구동 전달 수단(132b)을 통하여 각각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며, 외주연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종동 회전축(132c);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기 차축 반대 방향 하측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며, 내측에는 상기 제 2 종동 회전축(132c)이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된 나사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종동 회전축(132c)의 회전구동에 따라 상하로 구동되는 제 2 조절 블럭(132d);
각각의 상기 제 2 조절 블럭(132d)을 연결하는 제 2 연결축(132e);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기 차축 방향 하측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 2 연결축(132e)의 양 말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설치되는 제 2 축 고정 수단(132f);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100).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vertical adjustment means (131)
A first driving means 131a installed on the main body 110 to be rotationally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170;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driving means 131a is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driving transmitting means 131b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lower and upper sides of the axle of the level and tilt angle adjusting station 120, A first driven rotation shaft 131c having a thread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thereof;
A screw hole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level and the angle of inclination adjusting unit 120 so as to be threadedly engaged with the first driven rotation shaft 131c, A first adjusting block 131d driven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first driven rotary shaft 131c;
A first connecting shaft 131e connecting each of the first adjusting blocks 131d;
First axis fixing means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lower side of the axle axis direction of the level and tilt angle adjusting station 120 and provided with both ends of the first connecting axis 131e rotatably supported 131f,
The second up-down adjustment means (132)
Second driving means 132a installed on the main body 110 and driven to rotate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170;
The level and tilt angles are provided respectively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lower side of the axle opposite to the axle of the adjusting station 120 and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second driving means 132a is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driving transmitting means 132b A second driven rotary shaft 132c having a thread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thereof;
A screw hole is formed on an inner side of the level and the angle of inclination adjusting unit 120 so as to be vertically penetrated so that the second driven rotary shaft 132c can be screwed, A second adjusting block 132d driven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second driven rotary shaft 132c;
A second connecting shaft 132e connecting each of the second adjusting blocks 132d;
A second shaft fixing means installed at both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lower and upper sides of the level and tilt angle adjusting station 120 in the axle direction and having both ends of the second connecting shaft 132e rotatably supported, 132f) of the vehicle brake rotor drag force measurement device (100).
상기 주제어 장치(170)는,
상기 회전구동수단(153)의 회전수를 소정의 측정 위치 탐색 회전 속도로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위치각도 조절 수단(130)을 제어하여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하 위치 및 각도를 소정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변경해가면서 상기 토크 센서(160)에서 상기 로터 드래그 포스(Drag force) 토크를 측정한 후,
측정된 각각의 상기 로터 드래그 포스(Drag force) 토크값 중 최소값을 가지는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의 상하 위치 및 각도를 '측정 위치'로 선택하여, 상기 위치각도 조절 수단(130)을 제어하여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을 상기 측정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자동 측정위치 탐색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controller 170,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on driving means 153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measurement position seek rotational speed,
The torque sensor 160 controls the position angle adjusting means 130 so as to sequentially change the vertical position and the angle of the level and tilt angle adjusting station 12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torque of the rotor drag force torque After the measurement,
The position and angle adjusting unit 130 selects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and angles of the level and tilt angle adjusting station 120 having the minimum value among the measured values of the rotor drag force torque as the ' To perform an automatic measurement position search function to control the level and tilt angle adjustment station (120) to be positioned at the measurement position.
상기 본체의 하부에 3개소 이상에 설치되며, 고정을 위한 캐스터 락(112)을 구비하는 캐스터(111);
상기 레벨 및 경사각도 조절 스테이션 (120)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150), 상기 등속 조인트(152), 상기 토크 센서(160) 및 상기 회전구동수단(153)을 덮는 구동부 커버(145);
유압공급원(181)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상기 주제어 장치(17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차량(V)의 상기 차축(11)에 설치된 브레이크 실린더(20)에 조절하여 공급하는 유압컨트롤러(18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차축 연결수단(140)은,
장공 형상의 체결 통공(141a)이 소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 체결 통공 플렌지(141);
상기 체결 통공 플렌지(141)에 연속하여 형성되며, 내부가 원통 형상인 실린더부(142);
교체가능하도록 상기 실린더부(142)안에서 탄성 수단(144)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어 설치되며, 상기 차축(11)의 차축 허브축(12)가 접촉하는 원추형 접촉부(143a)가 상기 차축(11)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접촉 센터링 피스톤(14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브레이크 로터 드래그 포스 측정장치(10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 caster 111 installed at three or more places below the main body and having a caster lock 112 for fixing;
A drive unit cover 150 detachably coupled to the level and tilt angle adjustment station 120 and covering the rotation axis 150, the constant velocity joint 152, the torque sensor 160, and the rotation drive unit 153 145);
A hydraulic controller 180 that adjusts and supplies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from the hydraulic pressure supply source 181 to the brake cylinder 20 installed on the axle 11 of the vehicle V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170; Further comprising:
The axle connecting means (140)
A fastening through-hole flange 141 in which long hole-shaped fastening holes 141a are formed at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s;
A cylinder portion 142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fastening through-hole flange 141 and having an internal cylindrical shape;
And a conical contact portion 143a in which the axle hub shaft 12 of the axle 11 is in contact is disposed in the cylinder portion 142 in the direction of the axle 11 And a contact centering piston (143)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dy (12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1999A KR101512410B1 (en) | 2014-11-04 | 2014-11-04 | Automatic Brake Rotor Drag Force Tes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1999A KR101512410B1 (en) | 2014-11-04 | 2014-11-04 | Automatic Brake Rotor Drag Force Test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12410B1 true KR101512410B1 (en) | 2015-04-16 |
Family
ID=53053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51999A Expired - Fee Related KR101512410B1 (en) | 2014-11-04 | 2014-11-04 | Automatic Brake Rotor Drag Force Tes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12410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4941B1 (en) | 2018-08-27 | 2019-05-31 | 주식회사 액트 | Test device for drag force |
CN110031144A (en) * | 2019-05-20 | 2019-07-19 | 江苏省特种设备安全监督检验研究院 | Multifunctional static braking moment test device and test method |
CN119223517A (en) * | 2024-12-03 | 2024-12-31 | 浙江省质量科学研究院 | A torque sensor calibration method and devi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44496Y1 (en) * | 1996-11-29 | 1999-06-15 | 양재신 | Device for measuring the degree of drag of the disc rotor for automobile disc brakes |
JP2005037391A (en) * | 2003-07-16 | 2005-02-10 | Minebea Co Ltd | Torque measurement device for electric motor and torque measurement method for electric motor |
-
2014
- 2014-11-04 KR KR1020140151999A patent/KR10151241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44496Y1 (en) * | 1996-11-29 | 1999-06-15 | 양재신 | Device for measuring the degree of drag of the disc rotor for automobile disc brakes |
JP2005037391A (en) * | 2003-07-16 | 2005-02-10 | Minebea Co Ltd | Torque measurement device for electric motor and torque measurement method for electric motor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4941B1 (en) | 2018-08-27 | 2019-05-31 | 주식회사 액트 | Test device for drag force |
CN110031144A (en) * | 2019-05-20 | 2019-07-19 | 江苏省特种设备安全监督检验研究院 | Multifunctional static braking moment test device and test method |
CN110031144B (en) * | 2019-05-20 | 2023-11-17 | 江苏省特种设备安全监督检验研究院 | Multifunctional static braking torque testing device and testing method |
CN119223517A (en) * | 2024-12-03 | 2024-12-31 | 浙江省质量科学研究院 | A torque sensor calibration method and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12410B1 (en) | Automatic Brake Rotor Drag Force Tester | |
CN104614189B (en) | A kind of radial loaded experimental provision for tire dynamic test | |
US11307016B2 (en) |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concentricity of an internal toothing of a shaft | |
CN101034025A (en) | Automobile hub bearing friction torque tester and testing method thereof | |
CN111069875B (en) | Variable-track-pitch wheel pair assembling device and method | |
CN106926912B (en) | A kind of magnetic force distribution absorption type three-wheel climbing robot | |
CN207045059U (en) | Vehicle wheel side assembly locking device | |
CN113588298B (en) | Test system for vehicle steering performance | |
CN206606257U (en) | A kind of independent steering system of electric automobile | |
CN1648631A (en) | Automobile anti-lock brake device test bench based on brake inertia test | |
CN112157528A (en) | Valve seat grinding, clamping and moving device | |
KR100933900B1 (en) | Fatigue Endurance Tester of Large Independent Suspension System | |
CN114396456A (en) | Dynamic balance adjusting device | |
CN110624221A (en) | Balance training platform integrating test and active and passive training | |
CN113984377A (en) | Automobile transmission test comprehensive road condition simulation method | |
CN107024359B (en) | Weight bearing wheel test device with elastic damping element and induction tooth arc-shaped base | |
CN113984408A (en) | Comprehensive road condition simulation system for automobile transmission test | |
CN108507895A (en) | A kind of vertical type multifunctional friction-wear test test machine | |
CN109774968B (en) | A multi-span rotor test bench with adjustable shaft sections and supports | |
CN112985841A (en) | Dynamic detection system for automobile ABS (anti-lock braking system) braking performance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 |
WO2017107239A1 (en) | Adhesion test system and method | |
KR20170135434A (en) | Pull-out test apparatus of constant velocity joint assembly | |
CN105667488A (en) | Auxiliary installation device of automobile wheel speed sensor | |
CN202351048U (en) | Performance detection device for motorcycle anti-lock braking system | |
CN201876355U (en) | Universal automotive transmission testing bench capable of automatically adjusting position and orient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11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4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