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12347B1 - 쿠션조립체 - Google Patents

쿠션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347B1
KR101512347B1 KR20140113225A KR20140113225A KR101512347B1 KR 101512347 B1 KR101512347 B1 KR 101512347B1 KR 20140113225 A KR20140113225 A KR 20140113225A KR 20140113225 A KR20140113225 A KR 20140113225A KR 101512347 B1 KR101512347 B1 KR 101512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cushion
plates
resilient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40113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임
Original Assignee
김경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임 filed Critical 김경임
Priority to KR20140113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3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347B1/ko
Priority to PCT/KR2015/008828 priority patent/WO2016032189A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쿠션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쿠션조립체는 탄성을 갖는 복수의 탄력판재가 상호 격자형태를 이루도록 조립된 쿠션틀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쿠션조립체 {a cushion assembly}
침대 매트리스나 소파, 쿠션의자 등의 내부에 쿠션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된 쿠션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 매트리스나 소파의 내부에는 쿠션력을 제공하기 위한 쿠션조립체가 내장되고 있으며, 종래 쿠션조립체 중 상당수는 복수개의 코일스프링을 헬리컬코일을 이용하여 결합시킨 것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쿠션조립체는 각기 금속으로 마련되는 코일스프링과 헬리컬코일 간의 접촉소음이 크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런 접촉소음은 쿠션조립체의 사용기간이 오래 경과하여 코일스프링과 헬리컬코일의 접촉부가 부식됨에 따라 더욱 커지게 된다.
또 이러한 종래 쿠션조립체는 각각의 코일스프링을 헬리컬코일을 이용하여 일일이 연결하도록 되어 있어 쿠션조립체의 조립시에도 번거로움이 많았다.
따라서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포켓스프링을 채용하도록 마련된 쿠션조립체가 등장하고 있다.
포켓스프링 방식의 쿠션조립체는 얇은 필름형태의 부직포로 형성된 포켓 내부에 코일스프링을 삽입하여 마련된 다수의 포켓스프링을 외피에 접착제로 부착시켜 형성된다.
포켓스프링을 이용한 쿠션조립체는 포켓을 통한 금속 코일스프링 간의 마찰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포켓스프링을 이용한 쿠션조립체 역시 얇은 부직포로 마련된 포켓과 코일스프링 사이의 접촉시 포켓이 구겨지면서 소음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포켓스프링을 구비하는 쿠션조립체의 경우에도 각각의 코일스프링을 개별적으로 포켓에 삽입한 후 다시 각 포켓을 밀봉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절차가 그리 간단하지만은 못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0317호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사용중 발생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은 물론 생산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쿠션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탄성을 갖는 복수의 탄력판재가 상호 격자형태를 이루도록 조립된 쿠션틀을 포함하는 쿠션조립체 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탄력판재의 재질은 고무, 라텍스, 합성수지 발포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력판재는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탄력판재와,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2탄력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탄력판재들 사이의 상기 쿠션틀에는 다수의 격자홀이 형성되며, 상기 쿠션조립체는 상기 격자홀에 삽입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격자홀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탄력판재들 사이는 상기 탄력판재에 마련된 끼움홈을 통해 상호 끼움 결합되고, 상기 쿠션조립체는 상기 쿠션틀 상면을 덮도록 마련된 상면마감판재와, 상기 쿠션틀 하면을 덮도록 마련된 하면마감판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면 및 하면마감판재는 탄성을 갖도록 마련되며, 상기 탄력판재들은 상기 상면 및 하면마감판재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쿠션조립체는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력판재들을 격자형태로 조립하여 마련된 쿠션틀을 포함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이러한 쿠션조립체는 탄력판재의 탄력작용을 통해 쿠션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게 됨은 물론, 탄력판재 사이에서 접촉소음이 발생할 우려가 없게 되어 작동소음도 거의 생기지 않게 된다. 또한 탄력판재를 조립식으로 끼워 마련되는 쿠션틀은 재봉이나 용접과 같은 공정이 없이도 생산이 가능하게 되어 쿠션조립체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쿠션조립체의 구성으로써, 쿠션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쿠션틀을 형성하는 탄력판재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쿠션조립체가 내부에 설치된 매트리스의 요부 구조를 절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쿠션조립체가 내부에 설치된 매트리스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 내지 도 4의 매트리스가 설치된 침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쿠션조립체의 변형 예로써, 쿠션틀의 격자홀에 제1탄성부재가 삽입된 쿠션조립체의 요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쿠션조립체의 변형 예로써, 쿠션틀의 격자홀에 제2탄성부재가 삽입된 쿠션조립체의 요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쿠션조립체의 변형 예로써, 쿠션틀의 격자홀에 제3탄성부재가 삽입된 쿠션조립체의 요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쿠션조립체의 변형 예로써, 쿠션틀의 상면과 하면이 각각 상면 및 하면마감판재를 통해 마감처리 되는 쿠션조립체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쿠션조립체의 변형 예로써, 쿠션틀의 상면, 하면, 외곽 측면들이 각각 상면마감판재, 하면마감판재, 측면마감판재를 통해 마감처리 되는 쿠션조립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쿠션조립체의 변형 예로써, 외곽 측면이 측면마감부재를 통해 마감처리 되는 쿠션조립체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상태에서 격자홀에 탄성부재가 삽입된 쿠션조립체가 내부에 설치된 매트리스의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쿠션조립체(1)는 침대 매트리스나, 소파, 쿠션의자 등의 내부에 설치되어 쿠션력을 발휘하도록 마련된 것으로, 탄성을 갖는 복수의 탄력판재(21,22)들을 격자형태를 이루도록 조립된 쿠션틀(10)을 통해 뼈대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쿠션의자는 쿠션력을 발휘하도록 마련된 의자로써, 자동차나 기차 등의 좌석을 꾸미도록 이용되는 것들을 포함한다.
탄력판재(21,22)는 자체적으로 탄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고무, 라텍스, 견면, 스펀지, 합성수지 발포폼과 같은 재질을 통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합성수지 발포폼은 ABS,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에틸렌(polythylene), EVA, PVC 등의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를 발포성형하여 마련할 수 있다. 이외에도 탄력판재(21,22)는 상호 가압되거나 접촉되는 과정에서 소음발생 우려가 적으며, 충격완화를 위한 쿠션작용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기에 언급되지 않는 다른 다양한 재질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쿠션조립체(1)는 전반적인 틀을 형성하는 쿠션틀(10)이 탄성을 갖는 탄력판재(21,22)들로 구성됨에 따라 탄력판재(21,22) 자체적으로도 쿠션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됨은 물론, 격자 형태로 배열되는 탄력판재(21,22)들 사이에 격자홀(11)이 형성되어 격지홀(11) 상부와 하부가 매트리스나 소파, 의자의 외피를 통해 가려지도록 할 경우, 격자홀(11)이 에어가 충진된 에어홀 역할을 수행하게 되면서 완충효과를 높이게 되어 전반적인 쿠션작용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이러한 쿠션틀(10)은 탄력판재(21,22) 상호 간의 접촉소음을 유발할 우려가 거의 없게 되어 쿠션작용 수행에 따른 작동소음도 큰 폭으로 줄어들게 된다.
복수의 탄력판재(21,22)는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탄력판재(21)와,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2탄력판재(22)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탄력판재(21,22)에는 탄력판재(21,22)들 사이의 조립을 위한 끼움홈(21a,22a)이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끼움홈(21a,22a)은 제1탄력판재(21)에 마련된 제1끼움홈(21a)과, 제2탄력판재(22)에 마련된 제2끼움홈(22a)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1끼움홈(21a)은 제2탄력판재(22) 쪽으로 개방되고, 제2끼움홈(22a)은 제1탄력판재(21) 쪽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탄력판재(21,22)들은 상호 교차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대응하는 제1끼움홈(21a)과 제2끼움홈(22a) 사이를 끼움 결합시킴에 따라 쿠션틀(10)을 형성하게 된다.
제1 및 제2끼움홈(21a,22a)은 상호 간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안쪽의 지지면(21b,22b)을 통해 상호 끼움 조립된 상태에서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쿠션틀(10)의 상면과 하면이 단차가 없이 평평하게 마련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탄력판재(21,22)들은 같은 높이를 갖도록 마련되고, 제1 및 제2끼움홈(21a,22a)의 깊이의 합은 탄력판재(21,22)의 높이와 같게 마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가로와 세로로 배치된 탄력판재(21,22)들을 격자 모양으로 조립하여 형성되는 쿠션틀(10)은 자체적으로 탄력을 갖는 탄력판재(21,22)들과, 탄력판재(21,22) 사이의 격자홀(11)을 통해 쿠션조립체(1)의 쿠션성능이 배가되도록 하면서도 탄력판재(21,22)들을 격자 형태로 교차시켜 소재의 이용량을 최소화시킨 상태에서 끼움방식으로 간단히 제작할 수 있게 되어 쿠션조립체(1)의 생산성 향상에도 기여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쿠션조립체(1)는 침대 매트리스의 외피(2) 내부에 설치되어 쿠션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쿠션조립체(1)는 소파나 쿠션 의자의 외피 내부에도 동일한 형태로 설치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쿠션조립체(1)가 쿠션틀(10)로만 구성될 경우, 제1 및 제2탄력판재(21,22)의 끼움홈(21a,22a) 사이는 핫멜트와 같은 접착제를 통해 상호 접착되어 외피(2) 내부에서 쿠션틀(10)이 분해될 우려가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피(2) 내부의 쿠션조립체(1)의 상면과 하면에는 보조쿠션층(3)으로써, 견면, 부직포, 스펀지 등이 다중으로 깔리게 되며, 이때 격자홀(11)은 상하부가 차단되어 에어가 충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쿠션기능을 높이게 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쿠션틀(10)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탄력판재(21,22) 사이는 모두 수직으로 직교하도록 교차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제1 및 제2탄력판재(21,22) 사이는 수직이 아닌 다양한 각도로 상호 교차되어 조립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탄력판재(21,22)들의 두께를 모두 동일하게 구성하였으나, 쿠션틀(10)은 탄력판재들의 두께가 서로 달라지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서도 부분적으로 다른 쿠션력을 발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 탄력판재(21,22)들의 두께를 동일하게 구성하더라도 개별 탄력판재(21,22)들을 경도가 다른 것으로 채용할 경우에도 쿠션틀(10)의 쿠션력은 부분적으로 다르게 구현이 가능하다.
도 6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조립체(1)는 쿠션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쿠션틀(10)의 격자홀(11)에 삽입되는 탄성부재(3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30)는 쿠션틀(10)의 모든 격자홀(11) 내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으나, 제조자의 기호나 이용자의 요구를 고려하여 일부 격자홀(11)에만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탄성부재(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 형태로 마련된 제1탄성부재(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탄성부재(31)는 플라스틱 재질은 물론 금속재질의 것도 포함할 수 있다. 금속재질로 마련된 제1탄성부재(31)의 경우도 탄력판재(21,22)의 재질적 특성을 통해 쿠션조립체(1)의 쿠션동작 중 탄력판재(21,22)와의 접촉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탄성부재(30)는 쿠션틀(10) 전체적으로 보다 고른 쿠션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탄력판재(21,22)와 같은 재질을 통해 마련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30)는 폴리에틸렌처럼 신축성을 갖는 합성수지 폼 재질을 통해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된 제2탄성부재(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력판재(21,22)와 같은 결합구조를 갖도록 한 쌍의 탄성판재(33a,33b)를 십자모양이 되도록 교차되게 조립하여 마련된 제3탄성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탄성부재(30)는 제조자의 기호나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탄력판재(21,22)보다 탄력이 더욱 크거나 작게도 마련될 수 있다. 도 8에 있어서 미설명 부호 33c는 탄성판재(33a,33b) 상호 간의 조립을 위한 조립홈을 가리킨다.
중공의 원통모양으로 마련되어 중앙이 격자홀 방향으로 뚫리도록 마련된 제2탄성부재(32)는 중공의 내부와 외부 사이를 통해 격자홀(11) 내부를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어 전술한 에어홀을 보다 세분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 쌍의 탄성판재(33a,33b)를 교차시켜 마련되는 제3탄성부재(33)의 경우에도 격자홀(11) 내부를 4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세분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30)는 탄력판재(21,22)가 수축작용을 수행하지 못하는 구간에서도 수축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의 상하방향 길이가 탄력판재(21,22)의 높이보다 다소 더 길게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탄성부재(30)의 상하방향 길이는 탄성부재(30)가 적어도 탄력판재(21,22)와 함께 신축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탄력판재(21,22)의 높이와 같게 마련될 수도 있다.
즉 탄성부재(30)는 쿠션틀(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원활한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의 상항방향 길이가 적어도 탄력판재(21,22)의 높이와 같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조립체(1)는 쿠션틀(10) 상면을 덮도록 마련된 상면마감판재(40)와, 쿠션틀(10) 하면을 덮도록 마련된 하면마감판재(5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면 및 하면마감판재(40,50)는 쿠션조립체(1)의 탄력을 더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쿠션틀(10)을 구성하도록 상호 교차된 상태로 끼움조립된 제1 및 제2탄력판재(21,22)들은 상호 간에 접착이 이루어지지 않고 단순히 끼워진 상태에서 상단면과 하단면이 상면 및 하면마감판재(40,50)에 결합됨에 따라 상호 간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상면 및 하면마감판재(40,50)는 탄력판재(21,22)와 같은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탄력판재(21,22)들과 상면 및 하면마감판재(40,50) 사이는 핫멜트와 같은 접착제를 통해 상호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면 및 하면마감판재(40,50)를 통해 쿠션틀(10)의 상면과 하면이 마감처리된 쿠션조립체(1)는 유통이나 이동과정에서 격자홀(11)에 삽입된 탄성부재(30)가 외부로 이탈될 우려가 없이 일체를 이루게 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조립체(1)는 쿠션틀(10)의 외곽 측면을 덮도록 마련된 측면마감판재(6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측면마감판재(60)는 쿠션틀(10)의 외곽 쪽 4측면을 덮도록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쿠션틀(10)의 외곽 측면을 보호하기 위해 측면마감판재(60)는 탄성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측면마감판재(60) 역시 탄력판재(21,22)와 같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측면파감판재(60)는 외곽 끝단 쪽 제2탄력판태(22)와 상면 및 하면마감판재(40,50)에 핫멜트와 같은 접착제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곽이 측면마감판재(60)를 통해 마감 처리된 쿠션조립체(1)는 외곽 둘레 쪽의 쿠션효과가 증가됨은 물론 외곽 측면이 전체적으로 탄력을 갖는 평평한 면으로 마감처리 될 수 있게 된다. 또 이러한 쿠션조립체(1)는 외곽 쪽 탄력판재(21,22) 사이에도 격자홀(11) 형태를 구성할 수 있게 되어 에어홀 효과나 탄성부재(60) 삽입효과를 전체적으로 확장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조립체(1)의 외곽 측면은 외곽 쪽 탄력판재(21,22)들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는 복수의 측면마감부재(61)를 통해서도 마감처리 될 수 있다. 복수의 측면마감부재(61)는 상면 및 하면마감판재(40,50)와 탄력판재(21,22)에 핫멜트를 통해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12에는 격자홀(11)에 원기둥 형태의 제2탄력부재(32)가 삽입되고, 외면 전체가 상면 및 하면마감판재(40,50)와, 측면마감판재(60)를 통해 마감처리 된 쿠션조립체(1)가 외피(2) 내부에 설치된 침대 매트리스의 단면 구조가 도시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쿠션조립체(1)는 탄성부재(30)와, 상면 및 하면마감판재(40,50)를 통해 탄력작용이 배가됨에 따라 쿠션성능이 개선된다.그리고 상면 및 하면마감판재(40,50)를 통해 상하면이 마감처리 된 쿠션조립체(1)가 채용되는 매트리스는 내부의 보조쿠션층(3) 일부를 삭제할 수 있게 되어 제조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1: 쿠션조립체 2: 외피
3: 보조쿠션층 10: 쿠션틀
11: 격자홀 21: 제1탄력판재
22: 제2탄력판재 30: 탄성부재
31: 제1탄성부재 32: 제2탄성부재
33: 제3탄성부재 40: 상면마감판재
50: 하면마감판재 60: 측면마감판재

Claims (5)

  1. 탄성을 갖는 복수의 탄력판재가 상호 격자형태를 이루도록 조립된 쿠션틀을 포함하되,
    상기 탄력판재는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탄력판재와,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2탄력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력판재들을 모두 동일한 탄력을 갖는 것으로 구성하거나, 일부의 상기 탄력판재를 나머지 상기 탄력판재들과 탄력이 다른 것으로 구성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탄력판재들을 탄력이 다양한 것들 중에서 선택하여 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탄력판재는 개별적으로 제작되며, 상기 제1 및 제2탄력판재들 사이는 상기 탄력판재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복수의 끼움홈을 통해 상호 끼움 결합된 쿠션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판재의 재질은 고무, 라텍스, 합성수지 발포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쿠션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탄력판재들 사이의 상기 쿠션틀에는 다수의 격자홀이 형성되며,
    상기 격자홀에 삽입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쿠션조립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격자홀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마련된 쿠션조립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틀 상면을 덮도록 마련된 상면마감판재와, 상기 쿠션틀 하면을 덮도록 마련된 하면마감판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면 및 하면마감판재는 탄성을 갖도록 마련되며,
    상기 탄력판재들은 상기 상면 및 하면마감판재에 결합된 쿠션조립체.
KR20140113225A 2014-08-28 2014-08-28 쿠션조립체 Expired - Fee Related KR101512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3225A KR101512347B1 (ko) 2014-08-28 2014-08-28 쿠션조립체
PCT/KR2015/008828 WO2016032189A1 (ko) 2014-08-28 2015-08-24 쿠션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3225A KR101512347B1 (ko) 2014-08-28 2014-08-28 쿠션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2347B1 true KR101512347B1 (ko) 2015-04-15

Family

ID=53034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13225A Expired - Fee Related KR101512347B1 (ko) 2014-08-28 2014-08-28 쿠션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12347B1 (ko)
WO (1) WO201603218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67481A (zh) * 2022-09-21 2022-12-13 安徽扬子地板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中间缓冲层的高韧性装饰墙板
KR20230112807A (ko) * 2022-01-21 2023-07-28 주식회사 명인퍼니쳐 쿠션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4949A (zh) * 2017-12-14 2018-03-30 俞小林 一种静电聚尘设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9526A (ja) * 2002-09-02 2004-03-25 France Bed Co Ltd クッション装置
JP3121554U (ja) * 2006-02-28 2006-05-18 日本ジェル株式会社 立体格子ジェル状クッション
KR200447612Y1 (ko) 2009-08-31 2010-02-11 박길동 암염이 격자부재에 삽입된 침대
KR200453014Y1 (ko) 2009-01-10 2011-03-31 김영인 쿠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8158A (ko) * 2011-01-31 2012-08-08 박경서 격자형 격벽 어셈블리를 구비한 물 매트리스
KR101465353B1 (ko) * 2013-07-22 2014-11-25 김우성 매트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9526A (ja) * 2002-09-02 2004-03-25 France Bed Co Ltd クッション装置
JP3121554U (ja) * 2006-02-28 2006-05-18 日本ジェル株式会社 立体格子ジェル状クッション
KR200453014Y1 (ko) 2009-01-10 2011-03-31 김영인 쿠션
KR200447612Y1 (ko) 2009-08-31 2010-02-11 박길동 암염이 격자부재에 삽입된 침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2807A (ko) * 2022-01-21 2023-07-28 주식회사 명인퍼니쳐 쿠션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636288B1 (ko) * 2022-01-21 2024-02-15 주식회사 명인퍼니쳐 쿠션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CN115467481A (zh) * 2022-09-21 2022-12-13 安徽扬子地板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中间缓冲层的高韧性装饰墙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32189A1 (ko)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8745B2 (ja) モジュラー支持要素
EP3300633B1 (en) Hybrid mattress assemblies
EP2384671B1 (en) Bed frame structure
KR200462261Y1 (ko) 매트리스용 마이크로 스프링
KR200462262Y1 (ko) 마이크로 포켓스프링이 내장된 이중 쿳션 매트리스
KR101512347B1 (ko) 쿠션조립체
US3069701A (en) Seat unit
KR20190028159A (ko) 스폰지를 이용한 매트리스
JP4794543B2 (ja)
KR101454221B1 (ko) 침대용 매트리스 측면 보강 장치
US12029326B2 (en) Mattress having a multiplicity of elastic elevations
KR100970910B1 (ko)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조립체의 가요성 보강 구조
KR101054449B1 (ko) 매트리스용 측면 보강재
KR101066984B1 (ko) 스프링 조립형 침대 매트리스
KR20170000522U (ko) 매트리스
KR101779176B1 (ko) 강성이 차별화된 매트리스
KR102216239B1 (ko) 침대용 파운데이션
KR102770961B1 (ko) 하이브리드 쿠션 어셈블리와 그 제조방법
KR102312498B1 (ko) 체압 분산 성능을 갖는 침대용 매트리스
KR101300580B1 (ko) 에어 튜브가 내장된 침대용 매트리스
JP2014045890A (ja) 睡眠用枕
JPS591559Y2 (ja) スプリングマツトレス
JP4866030B2 (ja) マットレス装置
KR100984025B1 (ko) 침대 매트리스용 에지포머
KR101054446B1 (ko) 매트리스용 스프링 조립체 보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15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4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5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00109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10112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1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112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109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40109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