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089B1 - Output current control circuit for power converters - Google Patents
Output current control circuit for power converte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12089B1 KR101512089B1 KR20130058160A KR20130058160A KR101512089B1 KR 101512089 B1 KR101512089 B1 KR 101512089B1 KR 20130058160 A KR20130058160 A KR 20130058160A KR 20130058160 A KR20130058160 A KR 20130058160A KR 101512089 B1 KR101512089 B1 KR 1015120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voltage
- generate
- output
- inpu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09—Devices or circuits for detecting current in a converte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4—Magnetic structures combining different functions, e.g. storage, filtering or transform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제어회로는 전력변환장치의 입력전류를 제어하는 전력변환장치에 적용될 수 있어 전력변환장치가 각 라인 싸이클에서 기정의된 출력 전하량을 출력한다. 제어회로는 입력전류 제어회로, 출력 전하검출회로 및 게이팅 로직회로를 구비한다. 입력전류 제어회로는 펄스폭 변조(PWM)신호를 발생해 전력변환장치의 입력전류를 제어한다. 단일 라인 싸이클에서 전력변환장치에 의해 출력된 출력 전하량이 기정의된 양에 도달한 후, 출력 전하검출회로는 해당 게이팅 로직신호를 발생한다. 게이팅 로직회로는 게이팅 로직신호 및 펄스폭 변조신호에 따라 전력변환장치의 스위치를 제어하여 전력변환장치가 각 라인 싸이클에서 기정의된 출력 전하량을 출력한다.The control circuit can be applied to a power conversion device that controls the input current of the power conversion device, so that the power conversion device outputs the predetermined amount of output charge in each line cycle. The control circuit includes an input current control circuit, an output charge detection circuit, and a gating logic circuit. The input current control circuit generates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signal to control the input current of the power converter. After the amount of output charge output by the power converter in a single line cycle reaches a predetermined amount, the output charge detection circuit generates the corresponding gating logic signal. The gating logic circuit controls the switch of the power conversion device according to the gating logic signal and the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so that the power conversion device outputs the predetermined amount of output charge in each line cycle.
Description
본 출원은 전력변환장치용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 라인 싸이클에서 기정의된 전하량을 출력하는 전력변환장치용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circuit for a power convers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 circuit for a power conversion apparatus that outputs a predetermined amount of charge in each line cycle.
전력변환장치는 교류전류를 직류전류(AC/DC) 또는 직류전류를 직류전류(DC/DC) 변환하는데 사용된다. 전력변환장치는 입력전력을 출력전력으로 변환하고 시스템의 출력전압 또는 출력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The power converter is used to convert AC current to DC current (AC / DC) or DC current to DC current (DC / DC). The power conversion device can convert input power to output power and adjust the output voltage or output current of the system.
스위치 모드 전력변환장치는 일종의 전력변환장치이다. 스위치 모드 전력변환장치의 효율은 선형 레귤레이터의 효율보다 더 낫다. 스위치 모드 전력변환장치는 에너지를 저장 및 방출함으로써 입력전력을 출력전력으로 변환한다. 에너지를 저장하고 방출하기 위해, 변압기와 같은 자기 에너지 저장장치 또는 커패시터와 같은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The switch mode power conversion device is a kind of power conversion device. The efficiency of a switched mode power converter is better than that of a linear regulator. Switch mode power converters convert input power into output power by storing and releasing energy. To store and discharge energy, an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such as a magnetic energy storage device or a capacitor, such as a transformer, may be used.
대개, 스위치 모드 전력변환장치에는 스위치가 있다. 스위치는 전력변환장치의 전력변환을 제어한다. 전력변환장치용 제어회로는 주로 스위치를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관련 기술들이 2012년 6월 14일자로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No. 2012/0,146,607 및 2012년 3월 20일자로 간행된 미국특허 No. 8,139,384에 기술되어 있다. Typically, switch mode power converters have switches. The switch controls the power conversion of the power conversion device. The control circuit for the power converter is mainly used to control the switch. Related technology is disclosed in U. S. Patent Application No. < RTI ID = 0.0 > No. < / RTI > 2012 / 0,146,607; and U.S. Pat. 8,139,384.
전력변환장치용 제어회로가 모노-스테이지 LED 드라이버의 디머회로에 적용되면, 일반적으로 실호(misfiring) 또는 라인전력분배로 인해 명멸과 같은 어떤 문제들이 있게 된다.When the control circuit for the power converter is applied to the dimmer circuit of the mono-stage LED driver, there are usually some problems such as flicker due to misfiring or line power distribution.
실호 또는 라인전력분배로 인한 상술한 명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은 전력변환장치용 제어회로를 개시하고 있다. 제어회로는 각 라인 싸이클에서 기정의된 출력 전하량을 출력하기 위해 전력변환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flickering problem due to the silent or line power distribution, the present application discloses a control circuit for a power conversion device. The control circuit can control the power conversion device to output the predetermined amount of output charge in each line cycle.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변환장치용 제어회로는 입력전류 제어회로, 출력 전하검출회로 및 게이팅 로직회로를 구비한다. 입력전류 제어회로는 제 1 기준전압 및 입력전류에 따라 펄스폭 변조신호를 발생하여 전력변환장치의 입력전류를 제어한다. 출력 전하검출회로는 출력전류를 출력 전하량을 나타내는 대표전압으로 변환한다. 출력 전하검출회로는 대표전압 및 제 2 기준전압에 따라 게이팅 로직신호를 더 발생한다. 게이팅 로직회로는 게이팅 로직신호에 따라 펄스폭 변조신호를 선택적으로 보내거나 보내지 않는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control circuit for the power converter comprises an input current control circuit, an output charge detection circuit and a gating logic circuit. The input current control circuit generates a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and the input current to control the input current of the power conversion device. The output charge detection circuit converts the output current into a representative voltage representing the amount of output charge. The output charge detection circuit further generates a gating logic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representative voltage and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The gating logic circuit does not selectively send or send the pulse width modulated signal according to the gating logic signal.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회로는 컷오프 라인전압 검출기를 더 구비한다. 컷오프 라인전압 검출기는 게이팅 로직신호, 입력전압, 제 3 기준전압에 따라 피드백 전압을 발생한다. 입력전류 제어회로는 제 1 기준전압 및 피드백 전압에 따라 펄스폭 변조신호를 발생하여 입력전류를 제어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control circuit further comprises a cutoff line voltage detector. The cutoff line voltage detector generates the feedback voltage according to the gating logic signal, the input voltage, and the third reference voltage. The input current control circuit generates a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and the feedback voltage to control the input current.
결론적으로, 출력 전하검출회로는 각 라인 싸이클에서 전력변환장치에 의해 출력된 총 전하량을 검출한다. 게이팅 로직회로는 상기 전하량이 기정의된 양에 도달하면 펄스폭 변조신호 출력을 중단시켜 전력변환장치가 에너지를 출력하는 것을 중단시킨다. 따라서, 전력변환장치에 의해 출력된 총 전하량은 각 라인 싸이클에서 기정의된 양과 같다. 더욱이, 입력 전류제어회로는 펄스폭 변조신호를 조절함으로써 전력변환장치의 입력전류를 제어한다.Consequently, the output charge detection circuit detects the total amount of charge output by the power converter in each line cycle. The gating logic circuit stops the output of the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when the amount of charge reaches the predetermined amount to stop the power converter from outputting the energy. Thus, the total amount of charge output by the power converter is equal to the predetermined amount in each line cycle. Furthermore, the input current control circuit controls the input current of the power conversion device by adjusting the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됨.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원은 단지 예로써 본원에 국한되지 않는 하기에 주어진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완전히 이해된다.
도 1은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에 적용된 제어회로의 회로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어회로의 상세한 구조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입력필터의 회로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제어회로의 타임시퀀스 도표이다.
도 5는 본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에 적용된 제어회로의 회로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제어회로의 상세한 구조회로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 컷오프 라인전압 검출기의 타임시퀀스 도표이다.This disclosure is more ful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given by way of example only, and not by way of limitation.
1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a control circuit applied to a power conver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etailed structural circuit diagram of the control circuit of FIG.
FIG. 3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the input filter in FIG. 2; FIG.
Figure 4 is a time sequence diagram of the control circuit in Figure 1;
5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a control circuit applied to the power conver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6 is a detailed structural circuit diagram of the control circuit in Fig.
FIG. 7 is a time sequence diagram of the cutoff line voltage detector in FIG. 5; FIG.
본원의 상세한 특징 및 이점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며, 상세한 설명의 내용은 본원의 기술적 내용을 이해하고 이에 따라 본원을 실행하는 당업자들에게 충분하다. 명세서, 특허청구범위 및 도면의 내용을 기초로, 당업자는 본원의 관련 목적 및 이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The detailed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are set forth in more detail in the specification that follow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is sufficient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understand the technical details of the invention and to practice the invention accordingly.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description, claims an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the related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원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에 적용된 제어회로의 회로블록도인 도 1을 참조하라.1, which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a control circuit applied to the power conver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제어회로(80)가 전력변환장치(90)에 적용될 수 있다. 제어회로(80)는 전력변환장치(90)의 입력포트(91a)와 출력포트(91b)에 전기 연결되어 입력포트(91a)와 출력포트(91b)의 상태를 검출한다.The
교류전류(AC) 전원(96)은 디머회로(94)에 AC 전압(VAC)을 제공한다. AC 전압(VAC)은 디머회로(94)에 의해 조절되고 브릿지 정류기(92)에 의해 정류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한 전파(full wave) 정류신호(Vin)를 형성한다. 전파 정류신호(Vin)는 전력변환장치(90)의 입력포트(91a)에 공급된다. 제어회로(80)에 의해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전력변환장치(90)의 스위치(93)는 해당 출력신호(Vout)를 출력한다. 출력신호(Vout)는 임의의 타입의 부하, 가령 발광다이오드(LED)용으로 적용될 수 있다.An alternating current (AC)
상술한 디머회로(94)는 가령 양방향 3단자 사이리스터((bidirectional triode thyristor)로서, TRIAC(Triode for Alternating Current)이라고도 한다. AC 전압(VAC)이 TRIAC에 인가되는 동안, TRIAC에 의해 AC 전압(VAC)의 소정 위상이 컷된다. 그런 후, 디밍 페이즈컷(dimming phase-cut) AC 전압은 브리지 정류기(92)에 의해 정류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파 정류신호(Vin)를 형성한다.The
상술한 전력변환장치(90)는 가령 벌크 컨버터, 부스트 컨버터, 스텝업 컨버터, 플라이백 컨버터, 또는 포워드 컨버터이다.The
도 1의 제어회로의 상세한 구조회로도인 도 2를 참조하라. 제어회로(80)는 입력전류 제어회로(10), 출력 전하검출회로(20) 및 게이팅 로직회로(30)를 구비한다. 2, which is a detailed structural circuit diagram of the control circuit of Fig. The
입력전류 제어회로(10)는 제 1 기준전압(Vref1)과 입력전류(Iin)에 따라 펄스폭 변조(PWM) 신호를 발생해 전력변환장치(90)의 입력전류를 제어한다. 출력 전하검출회로(20)는 출력전류(Iout)를 출력 전하량을 나타내는 대표전압(VQout)으로 변환시킨다. 출력 전하검출회로(20)는 제 2 기준전압(Vref2)과 대표전압(VQout)에 따라 게이팅 로직신호(Vlogic)를 더 발생한다. 게이팅 로직회로(30)는 펄스폭 변조신호 및 게이팅 로직신호(Vlogic)에 따라 스위치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특히, 게이팅 로직회로(30)는 게이팅 로직신호(Vlogic)가 하이 로직레벨인 경우 펄스폭 변조신호를 스위칭 게이트(34)에 전해 스위치(93)를 제어한다. 게이팅 로직회로(30)는 상기 게이팅 로직신호(Vlogic)가 로우 로직레벨인 경우 펄스폭 변조신호를 스위칭 게이트(34)에 전하는 것을 중단하여, 전력변환장치(90)가 입력에너지를 출력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을 중단시킨다. The input
게이팅 로직회로(3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스위치 제어신호라 한다. 스위치 제어신호는 전력변환장치(90)의 스위치(93)를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다시 말하면, 게이팅 로직신호((Vlogic)가 하이 로직레벨이면, 스위치 제어신호는 펄스폭 변조신호와 같다. 게이팅 로직신호((Vlogic)가 로우 로직레벨이면, 스위치 제어신호는 로우 로직레벨에 있어서 스위치(93)를 오프시킨다. The signal output from the
입력전류 제어회로(10)는 입력필터(12), 에러증폭기(14), 발진기(18), 램프 발생기(19), 제 1 비교기(16) 및 래치(17)를 구비한다.The input
도 2에서 입력필터의 회로블록도이인 도 3을 참조하라. 입력필터(12)는 입력전류센서(120) 및 필터(122)를 구비한다. 입력필터(12)는 입력전류(Iin)에 따라 평균 입력전류에 해당하는 평균입력 전압신호(VIin)를 발생한다. 평균입력 전압신호(VIin)는 평균 입력전류에 직접 비례한다. 입력 전류센서(120)와 필터(122)의 순서는 교번될 수 있다.3, which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the input filter in Fig. The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라. 에러증폭기(14)는 평균입력 전압신호(VIin)와 제 1 기준전압(Vref1)에 따라 에러신호(EAout)를 발생한다. 즉, 에러증폭기(14)는 평균입력 전압신호(VIin)와 제 1 기준전압(Vref1) 간의 차(差)를 도출하고, 그 차를 증폭시켜 에러신호(EAout)를 발생한다. 상기 에러신호(EAout)의 타이밍 시퀀스 도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에러증폭기(14)의 양의 입력포트는 제 1 기준전압(Vref1)을 수신하는데 사용되고, 에러증폭기(14)의 음의 입력포트는 평균입력 전압신호(VIin)를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상술한 제 1 기준전압(Vref1)은 전력변환장치(90)의 입력전류에 직접 비례한다. See FIGS. 1 and 2 again. The
발진기(18)는 클록신호(CLK)를 발생하는데 사용된다. 타이밍 시퀀스 도표가 4에 도시되어 있다. 클록신호(CLK)의 스위칭 주기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변환장치(90)의 스위칭 싸이클(Tsw)을 나타낸다. 스위칭 싸이클은 펄스폭 변조신호(PWM)의 스위칭 싸이클이다.The
램프 발생기(19)는 클록신호(CLK)에 따라 램프 신호(Ramp)를 발생한다. 타이밍 시퀀스 도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제 1 비교기(16)는 램프신호(Ramp)를 에러신호(EAout)와 비교해 비교신호(Comp_out)를 발생한다. 타이밍 시퀀스 도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제 1 비교기(16)의 음의 입력포트는 에러신호(EAout)를 수신하는데 사용되고, 제 1 비교기(16)의 양의 입력포트는 램프신호(Ramp)를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신호(Ramp)의 전압이 에러신호(EAout)의 전압보다 더 크면, 비교신호(Comp_out)는 하이 로직레벨에 있다. 그렇지 않으면, 비교신호(Comp_out)는 로우 로직레벨에 있다. The
래치(17)는 비교신호(Comp_out)와 클록신호(CLK)에 따라 펄스폭 변조신호(PWM)를 발생한다. 래치(17)는 가령 SR 래치이다. SR 래치의 예에서, SR 래치의 세트 포트는 클록신호(CLK)를 수신하는데 사용되고, SR 래치의 리셋 포트는 비교신호(Comp_out)를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듀티 싸이클이라고도 하는 펄스폭 변조신호(PWM)의 듀티 싸이클은 클록신호(CLK)의 상승 에지에서 시작해 비교신호(Comp_out)의 상승 에지에서 끝난다.The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전류 제어회로(10)에 의해 출력된 펄스폭 변조신호(PWM)는 제 1 기준전압(Vref1) 및 입력전류(Iin)와 관련있다. 입력전류 제어회로(10)는 입력전류(Iin)를 제어해 입력전류(Iin) 값이 제 1 기준전압(Vref1)에 해당하는 값으로 유지되게 한다. 입력전류(Iin)는 전력변환장치(90)에 공급되는 전류이다. 따라서, 입력전류 제어회로(10)는 입력전류(Iin)가 기정의된 전류값과 같거나 더 큰 것을 보장한다. 기정의된 전류값은 디머회로(94)의 홀딩전류(Iholding)와 관련될 수 있다. 가령, 디머회로(94)가 TRIAC이면, 기정의된 전류값은 TRIAC의 홀딩전류(Iholding)의 최소값으로 설정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PWM output by the input
다음,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라. 출력 전하검출회로(20)는 출력필터(22), 적분기(24), 및 제 2 비교기(26)를 구비한다. 본 명세서에서, 출력필터(22)는 적분기(2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Next, see FIGS. 2 and 4. The output
출력필터(22)는 출력전류(Iout)에 따라 평균출력 전압신호(VIout)를 발생한다. 출력필터(22)는 상술한 입력필터(12)와 유사하다.The
적분기(24)는 평균입력 전압신호(VIout)를 적분함으로써 대표전압(VQout)을 나타낸다. 대표전압(VQout)의 타이밍 시퀀스 도표가 도 4에서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대표전압(VQout)은 단일 라인 싸이클에서 전력변환장치(90)에 의해 출력된 총 전하량에 직접 비례한다.The
제 2 비교기(26)의 양의 입력포트는 제 2 기준전압(Vref2)을 수신하는데 사용되고 제 2 비교기(26)의 음의 입력포트는 대표전압(VQout)을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제 2 비교기(26)는 제 2 기준전압(Vref2)과 대표전압(VQout)을 비교해 게이팅 로직신호(Vlogic)을 발생하여 전력변환장치의 스위칭을 중단시켜 디머가 온될 때마다 스위칭 전력변환장치가 활성화되고 VQout이 Vref2와 같아지는 동안인 컷오프 시간에 멈추게 된다. 제 2 기준전압(Vref2)은 단일 라인 싸이클에서 전력변환장치(90)에 의해 출력된 기정의된 총 전하량과 관련 있으며, 기정의된 양은 제어회로(80)에 의해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서 라인 싸이클은 전파 정류신호(Vin)의 라인 싸이클과 같다. 예로 도 1을 들어, AC 전압(VAC)의 주파수가 60Hz인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파 정류신호(Vin)의 주파수는 120Hz이고 전파 정류신호(Vin)의 라인 싸이클은 1/120초이다. 즉, 상술한 제 2 기준전압(Vref2)은 각 라인 사이클에서 전력변환장치(90)에 의해 출력된 기정의된 총 전하량와 관련있다.The positive input port of the
여기서, 제 2 기준전압(Vref2)이 대표전압(VQout)보다 더 큰 경우, 게이팅 로직신호(Vlogic)는 하이 로직레벨에 있다. 제 2 기준전압(Vref2)이 대표전압(VQout)보다 더 작은 경우, 게이팅 로직신호(Vlogic)는 로우 로직레벨에 있다. Here, when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V ref2 is greater than the representative voltage V Qout , the gating logic signal V logic is at a high logic level. When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V ref2 is less than the representative voltage V Qout , the gating logic signal V logic is at a low logic level.
게이팅 로직회로(30)는 게이팅 로직신호(Vlogic)와 펄스폭 변조신호(PWM)에 따라 스위치 제어신호를 발생해 전력변환장치(90)의 스위치(93)를 제어한다. 게이팅 로직회로(30)는 게이팅 로직신호(Vlogic)가 하이 로직레벨에 있는 경우 펄스폭 변조신호(PWM)를 보내고, 게이팅 로직신호(Vlogic)가 로우 로직레벨에 있는 경우 펄스폭 변조신호(PWM)를 중단시킨다. 다시 말하면, 게이팅 로직신호(Vlogic)가 하이 로직레벨에 있는 경우 스위치 제어신호는 펄스폭 변조신호(PWM)와 같다. 게이팅 로직신호(Vlogic)가 로우 로직레벨에 있는 경우 스위치 제어신호는 로우 로직레벨에 있다. 게이팅 로직회로(30)는 가령 AND 게이트(32)이다. AND 게이트(32)는 펄스폭 변조신호(PWM)와 게이팅 로직신호(Vlogic)를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게이팅 로직회로(30)는 펄스폭 변조신호(PWM)를 보내거나 보내는 것을 중단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디지털 회로일 수 있다.The
다음,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라. 도 5는 본원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에 적용된 제어회로의 회로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제어회로의 상세한 구조회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5에서 컷오프 라인전압 검출기의 타이밍 시퀀스 도표이다.Next, see FIGS. 5 to 7. 5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a control circuit applied to the power conver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 6 is a detailed structural circuit diagram of the control circuit in Fig. 5; Fig. And FIG. 7 is a timing sequence diagram of the cut-off line voltage detector in FIG.
제어회로(82)는 입력전류 제어회로(10'), 출력 전하검출회로(20), 게이팅 로직회로(30), 및 컷오프 라인전압 검출기(40)를 구비한다. 출력 전하검출회로(20)는 출력전류(Iout)를 출력 전하량을 나타내는 대표전압(VQout)으로 변환시킨다. 출력 전하검출회로(20)는 제 2 기준전압(Vref2)과 대표전압(VQout)에 따라 게이팅 로직신호(Vlogic)를 더 발생한다. 컷오프 라인전압 검출기(40)는 게이팅 로직신호(Vlogic), 전파 정류신호(Vin), 및 제 3 기준전압(Vref3)에 따라 피드백 전압(VERROR)을 발생한다. 입력전류 제어회로(10')는 제 1 기준전압(Vref1), 피드백 전압(VERROR), 및 입력전류(Iin)에 따라 펄스폭 변조신호(PWM)를 발생해 입력전류(Iin)를 제어한다. 게이팅 로직회로(30)는 게이팅 로직신호(Vlogic)와 펄스폭 변조신호(PWM)에 따라 펄스폭 변조신호(PWM)를 선택적으로 보내거가 보내지 않는다.The
컷오프 라인전압 검출기(40)는 샘플앤홀드회로(42)와 에러증폭기(44)를 구비한다. 도 7을 예로 들어, K<1에서, 샘플앤홀드회로(42)는 전파 정류신호(Vin)를 샘플화 및 홀드시켜 게이팅 로직신호(Vlogic)에 따라 샘플화된 컷오프 라인 전압신호(VS /H)를 발생한다. 게이팅 로직신호(Vlogic)가 하이 로직레벨에 있을 때 샘플화된 컷오프 라인 전압신호(VS /H)가 불변인 채로 있는 것이 주목된다. 샘플화된 컷오프 라인 전압신호(VS /H)는 게이팅 로직신호(Vlogic)가 로우 로직레벨에 있을 때 전파 정류신호(Vin)와 같다. 에러증폭기(44)의 음의 입력포트는 제 3 기준전압(Vref3)을 수신하는데 사용되고 에러증폭기(44)의 양의 입력포트는 샘플화된 컷오프 라인 전압신호(VS /H)를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에러증폭기(44)는 샘플화된 컷오프 라인 전압신호(VS /H)와 제 3 기준전압(Vref3)을 비교해 에러신호라고도 하는 피드백 전압(VERROR)을 발생한다.The cutoff
입력전류 제어회로(10')가 디머회로(94)와 함께 전력변환장치(90)에 적용되면, 피드백 전압(VERROR)은 샘플화된 컷오프 라인 전압신호(VS /H)가 제 3 기준전압(Vref3)에 가까워질 수 있도록 기정의된 입력전류 레벨을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가령, 샘플화된 컷오프 라인 전압신호(VS /H)가 제 3 기준전압(Vref3)보다 더 큰 경우, 입력전류(Iin)는 다운그레이드되어 컷오프 라인전압이 제 3 기준전압(Vref3)으로 다운그레이드되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된다. When the input current control circuit 10 'is applied to the
입력전류 제어회로(10')는 입력필터(12), 합산회로(13), 에러증폭기(14), 발진기(18), 램프 발생기(19), 제 1 비교기(16), 및 래치(17)를 구비한다. 입력필터(12)는 입력전류(Iin)에 따라 평균입력 전압신호(VIin)를 발생한다. 평균입력 전압신호(VIin)는 입력전류(Iin)의 평균에 직접 비례한다. 합산회로(13)는 평균입력 전압신호(VIin)와 피드백 전압(VERROR)을 합해 조절전압신호(Vadj)를 발생한다. 에러증폭기(14)의 음의 입력포트는 조절전압신호(Vadj)를 수신하는데 사용되고, 에러증폭기(14)의 양의 입력포트는 제 1 기준전압(Vref1)을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에러증폭기(14)는 조절전압신호(Vadj) 및 제 1 기준전압(Vref1)에 따라 에러신호(EAout)를 발생한다. 다시 말하면, 에러증폭기(14)는 조절전압신호(Vadj)를 제 1 기준전압(Vref1)와 비교함으로써 차를 도출하고 그 차를 증폭시켜 에러신호(EAout)를 발생한다. 에러신호(EAout)의 타이밍 시퀀스 도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합산회로(13) 및 컷오프 라인전압 검출기(40)는 단일 라인 싸이클에서 전력변환장치(90)에 의해 출력된 총 전하량이 기정의된 값과 같은 것을 보장하는데 사용된다. The input current control circuit 10 'includes an
상술한 바와 같이, 출력 전하검출회로(20)는 단일 라인 싸이클에서 전력변환장치(90)에 의해 출력된 총 전하량을 검출한다. 상기 전하량이 기정의된 값에 도달하면, 게이팅 로직회로(30)는 펄스폭 변조신호(PWM)를 출력하는 것을 중단하여 출력변환장치(90)의 출력포트(91b)가 전력을 출력하는 것을 중단시킨다. 따라서, 전력변환장치(90)에 의해 출력된 총 전하량이 제어된다. 전력변환장치(90)가 복수의 발광다이오드(LED)에 적용되면, 출력전류가 유지된다. 더욱이, 입력전류 제어회로(10 또는 10')에 의해 출력된 펄스폭 변조신호(PWM)로, 전력변환장치(90)의 입력전류는 TRIAC과 같은 디머회로(94)의 광조절장치가 디머회로(94)의 최소 홀딩전류로 동작되도록 제어된다.As described above, the output
10 또는 10': 입력전류 제어회로
12: 입력필터
13: 합산회로
14: 에러증폭기
16: 제 1 비교기
17: 래치
18: 발진기
19: 램프 발생기
20: 출력 전하검출회로
22: 출력필터
24: 적분기
26: 제 2 비교기
30: 게이팅 로직회로
32: AND 게이트
40: 컷오프 라인전압 검출기
44: 에러증폭기
80: 제어회로
90: 출력변환장치
91b: 입력포트
91b: 출력포트
92: 브릿지 정류기
93: 스위치
94: 디머회로
96: 전원10 or 10 ': input current control circuit
12: Input filter
13: summing circuit
14: Error amplifier
16: first comparator
17: Latch
18: Oscillator
19: Lamp generator
20: Output charge detection circuit
22: Output filter
24: integrator
26: second comparator
30: Gating logic circuit
32: AND gate
40: Cutoff line voltage detector
44: Error amplifier
80: control circuit
90: output conversion device
91b: input port
91b: output port
92: Bridge rectifier
93: Switch
94: dimmer circuit
96: Power supply
Claims (8)
출력전류를 출력 전하량을 나타내는 대표전압으로 변환하고, 대표전압과 제 2 기준전압에 따라 게이팅 로직신호를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출력 전하검출회로와,
게이팅 로직신호에 따라 펄스폭 변조신호를 보내는데 사용되는 게이팅 로직회로와,
상기 게이팅 로직신호, 입력전압 및 제 3 기준전압에 따라 상기 피드백 전압을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컷오프 라인전압 검출기를 구비하는 전력변환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제어회로.An input current control circuit used to generate a pulse width modulated signal according to a first reference voltage, a feedback voltage, and an input current to control an input current of the power conversion apparatus;
An output charge detection circuit which converts the output current into a representative voltage representing the amount of output charge and generates a gating logic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representative voltage and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A gating logic circuit used to send a pulse width modulated signal in accordance with a gating logic signal,
And a cutoff line voltage detector used to generate the feedback voltage according to the gating logic signal, the input voltage and the third reference voltage.
입력전류 제어회로는
입력전류에 따라 평균입력 전압신호를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입력필터와,
평균입력 전압신호 및 제 1 기준전압에 따라 에러신호를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에러증폭기와,
클록신호를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발진기와,
클록신호에 따라 램프신호를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램프 발생기와,
램프신호와 에러신호를 비교함으로써 비교신호를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제 1 비교기와,
램프신호와 에러신호를 비교함에 따라 펄스폭 변조신호를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래치를 구비하는 전력변환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제어회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put current control circuit
An input filter used to generate an average input voltage signal according to an input current,
An error amplifier used to generate an error signal according to an average input voltage signal and a first reference voltage,
An oscillator used to generate a clock signal,
A ramp generator used to generate a ramp signal in response to a clock signal,
A first comparator used to generate a comparison signal by comparing the ramp signal and the error signal,
And a latch used for generating a pulse width modulated signal by comparing the ramp signal and the error signal.
입력필터는
입력전류에 따라 전압신호를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입력 전류센서와,
전압신호에 따라 평균입력 전압신호를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필터를 구비하는 전력변환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제어회로.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put filter
An input current sensor used to generate a voltage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current,
A control circuit that can be applied to a power conversion device having a filter used to generate an average input voltage signal in accordance with a voltage signal.
출력 전하검출회로는
출력전류에 따라 평균출력 전압신호를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출력필터와,
대표전압을 출력하기 위해 평균출력 전압신호를 적분하는데 사용되는 적분기와,
대표전압을 제 2 기준전압과 비교함으로써 게이팅 로직신호를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제 2 비교기를 구비하는 전력변환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제어회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put charge detection circuit
An output filter used to generate an average output voltage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current,
An integrator used to integrate an average output voltage signal to output a representative voltage,
And a second comparator used to generate a gating logic signal by comparing the representative voltage with a second reference voltage.
출력필터는
출력전류에 따라 전압신호를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출력전류센서와,
전압신호에 따라 평균출력 전압신호를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필터를 구비하는 전력변환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제어회로.5. The method of claim 4,
The output filter
An output current sensor used to generate a voltage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current,
A control circuit that can be applied to a power conversion apparatus having a filter used to generate an average output voltage signal in accordance with a voltage signal.
컷오프 라인전압 검출기는
샘플앤홀드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게이팅 로직신호에 따라 입력전압을 샘플화 및 홀딩하는데 사용되는 샘플앤홀드 회로와,
상기 샘플앤홀드 신호와 제 3 기준전압을 비교함으로써 피드백 전압을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에러증폭기를 구비하는 전력변환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제어회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utoff line voltage detector
A sample and hold circuit used to sample and hold an input voltage in accordance with a gating logic signal to generate a sample and hold signal,
A control circuit that can be applied to a power conversion apparatus having an error amplifier used to generate a feedback voltage by comparing the sample and hold signal with a third reference voltage.
입력전류 제어회로는
입력전류에 따라 평균입력 전압신호를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입력필터와,
조절전압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평균입력 전압신호와 피드백 전압을 더하는데 사용되는 합산회로와,
조절전압신호와 제 1 기준전압에 따라 에러신호를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에러폭기와,
클록신호를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발진기와,
클록신호에 따라 램프 신호를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램프 발생기와,
램프신호를 에러신호와 비교함으로써 비교신호를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제 1 비교기와,
비교신호와 클록신호에 따라 펄스폭 변조신호를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래치를 구비하는 전력변환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제어회로.8. The method of claim 7,
The input current control circuit
An input filter used to generate an average input voltage signal according to an input current,
A summation circuit used to add the average input voltage signal and the feedback voltage to generate the regulated voltage signal,
An error amplifier used to generate an error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regulated voltage signal and the first reference voltage,
An oscillator used to generate a clock signal,
A ramp generator used to generate a ramp signal in response to a clock signal,
A first comparator used to generate a comparison signal by comparing the ramp signal with an error signal,
And a latch used for generating a pulse width modulated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comparison signal and the clock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TW101148709 | 2012-12-20 | ||
TW101148709A TWI470914B (en) | 2012-12-20 | 2012-12-20 | An output current control circuit for a power convert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80400A KR20140080400A (en) | 2014-06-30 |
KR101512089B1 true KR101512089B1 (en) | 2015-04-14 |
Family
ID=51131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58160A Active KR101512089B1 (en) | 2012-12-20 | 2013-05-23 | Output current control circuit for power converters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512089B1 (en) |
TW (1) | TWI470914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717772B (en) * | 2015-03-16 | 2017-10-17 | 昂宝电子(上海)有限公司 | Control circuit and control method for electromagnetic oven overcurrent protection |
CN104850019B (en) * | 2015-03-16 | 2017-11-07 | 昂宝电子(上海)有限公司 | Control circuit and its control method and electromagnetic oven |
CN104703312B (en) * | 2015-03-16 | 2017-01-04 | 昂宝电子(上海)有限公司 | For the control circuit of electromagnetic oven and control method and electromagnetic oven thereof |
US10886856B2 (en) | 2017-10-03 | 2021-01-05 | Delta Electronics, Inc. | Power converter and power converter control method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335162A (en) * | 1993-01-15 | 1994-08-02 | Toko America, Inc. | Primary side controller for regulated power converters |
JP3415759B2 (en) * | 1998-02-17 | 2003-06-09 | 富士通アクセス株式会社 |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for switching power supply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531854B2 (en) * | 2001-03-30 | 2003-03-11 | Champion Microelectronic Corp. |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arrangement |
US7088598B2 (en) * | 2004-04-02 | 2006-08-08 | System General Corp. | Power-mode control circuitry for power converters |
FR2884076A1 (en) * | 2005-04-04 | 2006-10-06 | Thomson Licensing Sa | Smooth switching DC converter for generating regulated voltage, has inductive circuit connected between secondary winding and charge capacitor whose end is connected to inductance through switch |
TWI411206B (en) * | 2010-09-27 | 2013-10-01 | Sitronix Technology Corp |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of power converter |
US9143033B2 (en) * | 2010-11-30 | 2015-09-22 |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 Hysteretic power converter with calibration circuit |
-
2012
- 2012-12-20 TW TW101148709A patent/TWI470914B/en active
-
2013
- 2013-05-23 KR KR20130058160A patent/KR10151208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335162A (en) * | 1993-01-15 | 1994-08-02 | Toko America, Inc. | Primary side controller for regulated power converters |
JP3415759B2 (en) * | 1998-02-17 | 2003-06-09 | 富士通アクセス株式会社 |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for switching power supply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Fairchild사 LED Driver FL7732 datasheet(2012.10.) * |
Fairchild사 LED Driver FL7732 datasheet(2012.1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470914B (en) | 2015-01-21 |
KR20140080400A (en) | 2014-06-30 |
TW201427249A (en) | 2014-07-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832836B (en) | Cascade boost and inverting buck converter with independent control | |
US8547034B2 (en) | Trailing edge dimmer compatibility with dimmer high resistance prediction | |
US8749174B2 (en) | Load current management circuit | |
CN103370990B (en) | Based on the discontinuous mode-critical conduction mode conversion of switch parameter | |
US10999903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stage-based control related to TRIAC dimmers | |
US8143800B2 (en) | Circuits and methods for driving a load with power factor correction function | |
US8294377B2 (en) | Power converter with compensation circuit for adjusting output current provided to a constant load | |
EP2636138A2 (en) | Controlled power dissipation in a link path in a lighting system | |
US9214862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valley switching in a switching power converter | |
KR101512089B1 (en) | Output current control circuit for power converters | |
CN105324925B (en) | Quantization error in constant output current control driver is reduced | |
WO2013186227A2 (en) | A constant current switched mode power supply controller | |
EP2283700A2 (en) | Apparatus for coupling power source to lamp | |
CN105554973A (en) | Accurate Mains Time-Base for LED Light Driver | |
CN115884461A (en) | Average current control circuit and method | |
KR101149797B1 (en) | Ac driving type lamp dimmer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26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4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