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395B1 - Head for chip mounter having high speed activity - Google Patents
Head for chip mounter having high speed activit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10395B1 KR101510395B1 KR20090004737A KR20090004737A KR101510395B1 KR 101510395 B1 KR101510395 B1 KR 101510395B1 KR 20090004737 A KR20090004737 A KR 20090004737A KR 20090004737 A KR20090004737 A KR 20090004737A KR 101510395 B1 KR101510395 B1 KR 1015103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d
- nozzle
- pulley
- ball spline
- interlock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61 lubr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고속 활동성을 갖는 부품실장기용 헤드는 부품실장기의 X축에 설치되는 헤드프레임에 설치되어 승강되며, 적어도 하나의 헤드노즐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블록과, 상기 헤드프레임에 고정되며, 승강하는 헤드블록에 설치된 헤드노즐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세타모터와, 상기 세타모터와 연결되고, 헤드프레임에 고정되어 승강하는 헤드블록에 세타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볼 스플라인과, 상기 볼 스플라인에 설치되어 연동되며, 승강하는 헤드노즐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게 볼 스플라인을 따라 가변되는 연동풀리를 포함한다. A head for a component mounting machine having a high-speed activ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head frame installed on an X axis of a component body and is raised and lowered. The head block is fixed to the head frame A ball spline connected to the set motor and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t motor to a head block which is fixed to the head frame and ascends and descends; And an interlocking pulley interlocked with the ball spline so as to be able to transmit a rotational force to the head nozzle that ascends and descends.
본 발명의 고속 활동성을 갖는 부품실장기용 헤드는 부품실장기의 X축에 설치되는 헤드프레임에 설치되어 승강되며, 적어도 하나의 헤드노즐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블록과, 상기 헤드프레임에 고정되며, 승강하는 헤드블록에 설치된 헤드노즐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세타모터와, 상기 헤드프레임에 고정되며, 승강하는 헤드블록에 세타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볼 스플라인과, 상기 세타모터의 구동력을 볼 스플라인으로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재와, 상기 볼 스플라인에 설치되어 연동되며, 승강하는 헤드노즐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게 볼 스플라인을 따라 가변되는 연동풀리를 포함한다. A head for a component mounting machine having a high-speed activ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head frame installed on an X axis of a component body and is raised and lowered. The head block is fixed to the head frame A ball spline which is fixed to the head frame and transmits a rotation force of the set motor to a head block which is to be moved up and down; And an interlocking pulley interlocked with the ball spline and varying along a ball spline so as to transmit a rotational force to a head nozzle that ascends and descends.
부품실장기, 헤드, 헤드블록, 세타모터, 활동성 Parts Chain, Head, Head Block, Seta Motor, Active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속 활동성을 갖는 부품실장기용 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노즐에 설치되어 노즐을 회전시키는 세타모터를 헤드블록을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프레임에 설치되어 노즐 및 헤드블록의 승강에 따른 헤드의 고속 활동성을 향상시킨 고속 활동성을 갖는 부품실장기용 헤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 for a component mounting machine having high-speed activ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d for a component mounting machine having a high- To a head for a component mounting machine having a high-speed activity that improves the high-speed activity of the head.
일반적으로, 부품실장기는 인쇄회로기판과 같은 기판 상에 집적회로, 고밀도 집적회로, 다이오드, 콘덴서, 저항 등의 전자부품(이하,'부품'이라 칭하기로 함)을 실장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기기를 말한다. In general, the component mounting machine includes a device such as an integrated circuit, a high-density integrated circuit, a diode, a capacitor, a resistor, and other electronic componen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 components ") mounted on a substrate such as a printed circuit board It says.
이와 같은 부품실장기는 기판 상에 실장될 부품들을 공급하는 부품공급장치, 부품공급장치에서 공급하는 부품들이 실장될 수 있도록 기판을 운송하는 기판운송장치, 부품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부품들을 픽업한 후 픽업된 부품들을 기판 상에 실장할 수 있도록 노즐 스핀들(nozzle spindle)을 구비한 헤드 어셈블리가 부품이 공급되도록 미리 설정된 위치 즉, 부품픽업영역에서 부품들을 픽업한 후 픽업된 부품들을 부품이 실장되도록 미리 설정된 위치인 부품실장영역에서 실장할 수 있도 록 헤드 어셈블리를 X방향,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를 포함한다.Such a component mounting machine includes a component supply device for supplying components to be mounted on a substrate, a substrate transport device for transporting the substrate so that the components supplied from the component supply device can be mounted, components picked up from the component supply device, A head assembly having a nozzle spindle for mounting mounted components on a substrate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o which the component is supplied, that is, a component picked up in the component pickup area, And a moving device for moving the head assembly in the X and Y directions so as to be mounted in the component mounting area.
따라서 부품공급장치가 부품픽업영역으로 부품을 공급하면, 이동장치는 헤드 어셈블리를 상기 부품픽업영역의 상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부품픽업영역의 상부로 이동장치에 의해 헤드 어셈블리가 이동되면, 헤드 어셈블리는 구비된 노즐 스핀들을 Z축 방향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부품픽업영역으로 공급된 부품을 픽업하게 되고, 부품이 픽업된 후에는 상기 노즐 스핀들을 다시 원래의 위치 상측 방향으로 복귀시키게 된다.Therefore, when the component supply device supplies the component to the component pickup area, the moving device moves the head assembly to the upper part of the component pickup area. When the head assembly is moved by the moving device to the upper part of the component pickup area, the head assembly moves the nozzle spindle provided downward along the Z axis direction to pick up the component supplied to the component pickup area, And after the nozzle spindle is picked up, the nozzle spindle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upward.
이후, 상기 부품이 픽업되고 상기 노즐 스핀들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부품을 픽업한 헤드 어셈블리를 상기 기판운송장치가 부품이 실장되도록 기판을 운송한 위치인 상기 부품실장영역으로 이동시키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component is picked up and the nozzle spindle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moving device moves the head assembly, which picks up the component, to the component mounting area at a position where the substrate transport device transports the substrate .
따라서 상기 헤드 어셈블리는 부품을 픽업한 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 노즐 스핀들을 다시 그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픽업된 부품을 부품실장영역으로 운송된 기판 상에 실장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head assembly picks up the component, moves the nozzle spindl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ackward, and mounts the picked-up component on the substrate transported to the component mounting area.
이때 헤드 어셈블리는 X, Y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장치의 X축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헤드노즐이 결합되는 헤드블록이 마련되며, 헤드블록은 프레임에서 승강가능하게 구동수단이 마련되고, 헤드블록에 설치되는 헤드노즐에는 각각의 헤드노즐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이 마련된다. At this time, the head assembly is provided with a frame movably installed on the X axis of the moving device moving in the X and Y directions, and a head block mounted on the frame and coupled with at least one head nozzle, And a head nozzle provided on the head block is provided with a lifting means for lifting each head nozzle.
그리고 헤드노즐의 상부에는 각각의 헤드노즐을 부품의 위치보정을 위해 회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세타모터가 마련된다. 여기서 세타모터는 각각의 헤드노즐 의 상부에 설치된다. And at the top of the head nozzle there is provided at least one setter motor for rotating each head nozzle for position correction of the parts. Here, the setter motor is installed at the top of each head nozzle.
따라서 헤드노즐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헤드블록을 승강시키는 구동수단은 헤드 전체를 상하로 승강시 세타모터를 함께 승강시켜야 하므로 설치된 세타모터의 중량으로 인해 고속승강이 원활치 못하게 되므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Therefore, the elevating means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head nozzle and the driving means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head block require elevating and lowering the set motor together when the head is lifted up and down, so that the high speed elevation can not be smoothly performed due to the weight of the set- .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헤드노즐의 상부에 설치되어 노즐을 회전시키는 세타모터를 헤드블록을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프레임에 설치되어 노즐 및 헤드블록의 승강에 따른 헤드의 고속 활동성을 향상시킨 고속 활동성을 갖는 부품실장기용 헤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need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jet nozzle which is provided on a head frame provided on a head nozzle and rotatable about a nozzl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d for a component mounting machine having high-speed activity and high-speed activit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속 활동성을 갖는 부품실장기용 헤드는 부품실장기의 X축에 설치되는 헤드프레임에 설치되어 승강되며, 적어도 하나의 헤드노즐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블록과, 상기 헤드프레임에 고정되며, 승강하는 헤드블록에 설치된 헤드노즐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세타모터와, 상기 세타모터와 연결되고, 헤드프레임에 고정되어 승강하는 헤드블록에 세타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볼 스플라인과, 상기 볼 스플라인에 설치되어 연동되며, 승강하는 헤드노즐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게 볼 스플라인을 따라 가변되는 연동풀리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igh speed head for a component mounting machine having a head block mounted on a head frame installed on an X axis of a component body and lifted and lowered, A set motor fixed to the head frame and driven to rotate a head nozzle installed on a head block to be moved up and down; And an interlocking pulley which is installed on the ball spline and interlocked with the ball spline so as to transmit a rotational force to the head nozzle which ascends and descends.
여기서 상기 연동풀리에는 상기 볼 스플라인의 회전력을 상기 헤드노즐로 전달하면서 상기 볼 스플라인을 따라 가변될 수 있게 스플라인 너트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볼 스플라인과, 스플라인 너트 그 사이에 볼이 위치할 수 있게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는 볼가이드 홈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볼 스플라인의 외주와 스플라인 너트의 내주는 회전력을 전달하면서 상기 연동풀리가 승강될 수 있게 적어도 하나 의 편평면이 형성되며, 그 단면이 반원형, 부체꼴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및 그 이상의 다각형 중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Here, the interlocking pulley includes a spline nut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ball spline to the head nozzle and varying along the ball spline. And a ball guide groov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ball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ball spline and the spline nu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all spline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pline nut are formed with at least one flat surface so that the interlocking pulley can be lifted and lowered while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all spline has a semicircular shape, a parabolic shape, a triangular shape, Or more polygons.
그리고 상기 헤드노즐에는 연동풀리의 회전력이 노즐벨트를 통해 전달될 수 있게 각각 노즐풀리가 마련되며, 상기 노즐벨트는 상기 각각의 노즐풀리에 동시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때 상기 노즐벨트는 상기 노즐풀리에 지그재그 형태로 모두 연결되고, 상기 노즐벨트는 나란하는 두개의 벨트로 마련되며, 상기 연동풀리와, 노즐풀리는 각각 두개의 노즐벨트가 각각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복수단으로 마련된다. 상기 두개의 노즐벨트는 서로 어긋나게 지그재그 형태로 노즐풀리에 연결된다.The head nozzle is provided with a nozzle pulley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interlocking pulley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nozzle belt, and the nozzle belt transmits rotational force to each of the nozzle pulleys at the same time. In this case, the nozzle belts are all connected to the nozzle pulleys in a zigzag fashion, and the nozzle belts are provided by two belts arranged side by side. The two pulleys and the nozzle pulleys are driven by a plurality of Respectively. And the two nozzle belts are connected to the nozzle pulley in a zigzag shape so as to be shifted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속 활동성을 갖는 부품실장기용 헤드는 부품실장기의 X축에 설치되는 헤드프레임에 설치되어 승강되며, 적어도 하나의 헤드노즐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블록과, 상기 헤드프레임에 고정되며, 승강하는 헤드블록에 설치된 헤드노즐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세타모터와, 상기 헤드프레임에 고정되며, 승강하는 헤드블록에 세타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볼 스플라인과, 상기 세타모터의 구동력을 볼 스플라인으로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재와, 상기 볼 스플라인에 설치되어 연동되며, 승강하는 헤드노즐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게 볼 스플라인을 따라 가변되는 연동풀리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the head for a component mounting machine having high-speed activ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head frame installed on the X axis of a component body and is lifted and lowered, A set motor fixed to the head frame and driven to rotate a head nozzle installed on a head block to be moved up and down; a ball spline fixed to the head frame and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of the set motor to a head block moving up and down; A first power transmitting member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setter motor to a ball spline, and an interlocking pulley installed on the ball spline and varying along a ball spline so as to transmit a rotational force to a head nozzle that ascends and descends.
여기서 상기 제1동력전달부재는 세타모터의 구동축에 마련되는 세타풀리와, 상기 볼 스플라인에 설치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세타풀리와 종동풀리를 연결시키는 세타벨트를 포함한다. The first power transmitting member includes a set pulley provided on a drive shaft of the set motor, a driven pulley mounted on the ball spline, and a setta belt connecting the set pulley and the driven pulley.
이때 상기 세타풀리와, 종동풀리는 모두 기어로 마련되어 직접 맞물리거나, 그 사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들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both the set pulley and the driven pulley may include gears and at least one idle gear that directly engages or connects the driven pulleys.
또한, 상기 연동풀리와 헤드노즐 사이에는 제2동력전달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제2동력전달부재는 헤드노즐에 마련되는 노즐풀리와, 상기 노즐풀리와, 연동풀리를 연결하는 노즐벨트를 포함한다. Further, a second power transmission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interlocking pulley and the head nozzle,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ember includes a nozzle pulley provided on the head nozzle, and a nozzle belt connecting the nozzle pulley and the interlocking pulley .
이때 상기 노즐풀리와 연동풀리는 모두 기어로 마련되어 직접 맞물리거나, 그 사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들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both the nozzle pulley and the interlocking pulley may be provided with gears so as to directly engage with each other, or may include at least one idle gear that connects the gears.
상술한 바와 같이 세타모터를 헤드프레임에 고정한 고속 활동성을 갖는 부품실장기용 헤드는 상하 승강하는 헤드노즐 및 헤드블록의 승강에 따른 부하를 줄일 수 있어 고속활동성에 대한 고속 활동성을 개선함으로서 부품실장기의 부품실장에 따른 효율이 향상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ead for the component mounting machine having the high-speed activity fixed to the head frame as described above can reduce the load due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head nozzle and the head block, thereby improving the high- The efficiency with respect to component mounting improves, and the productivity is improv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ined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in a limiting sense of the technical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속 활동성을 갖는 부품실장기용 헤드를 보인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속 활동성을 갖는 부 품실장기용 헤드의 볼 스플라인을 보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d for a component mounting machine having high-speed ac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all spline of a head for a component mounting machine having high-speed ac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속 활동성을 갖는 부품실장기용 헤드를 보인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속 활동성을 갖는 부품실장기용 헤드의 노즐의 노즐벨트 연결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 showing a head for a component mounting machine having high-speed ac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 FIG. 7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ozzle is connected to the nozzle belt.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속 활동성을 갖는 부품실장기용 헤드(100)는 미도시한 부품실장기의 헤드 이동장치에 설치된다. 여기서 이동장치를 간략히 설명하면, 미도시한 기판 이송장치에 의해 기판의 이송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Y축이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마련되고, 기판의 이송방향에 나란하며 양측 Y축에 교차되게 설치되는 X축이 마련된다. As shown in FIGS. 1 to 4, a
그리고 본 발명의 고속 활동성을 갖는 부품실장기용 헤드(100)는 X축에 설치되어 X축을 따라 왕복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따라서 X축은 Y축을 따라 왕복이동하고, 헤드(100)는 X축을 따라 왕복 이동된다. 여기서 이동장치 및 기판이송장치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상기 헤드(100)는 복수의 구성요소로 구성된다. 즉, X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프레임(10)이 마련되고, 헤드프레임(10)에 수직하게 Z축 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블록(20)이 마련된다. The
여기서 헤드프레임(10)은 헤드블록(20)이 수직하게 승강될 수 있게 제1가이드레일(11)이 마련되고, 헤드블록(20)에는 제1가이드레일(11)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1가이드블록(21)이 마련된다. 따라서 제1가이드레일(11)에 제1가이드블록(21)이 결합되어 제1가이드레일(11)을 따라 제1가이드블록(21)이 승강한다. Here, the
이때 제1가이드레일(11)에서 제1가이드블록(21)이 승강될 수 있게 구동하는 미도시한 제1구동수단이 마련된다. 여기서 제1구동수단은 헤드프레임(10)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볼 스크류와, 볼 스크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로 구성되고, 헤드블록(20)에는 볼 스크류에 대응하는 구동너트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헤드프레임(10)에 설치되고, 로드가 헤드블록(20)에 결합되는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guide rail (11) is provided with a first driving means (not shown) for driving the first guide block (21) to be elevated and lowered.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driving means is constituted by a ball screw vertically installed on the
그리고 헤드블록(20)에는 미도시한 테이프 피더에서 공급된 부품을 픽업하여 기판에 실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노즐(22)(도면에는 8개로 도시하고 있음)이 마련된다. 여기서 헤드노즐(22)은 헤드블록(20)에서 승강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헤드블록(20)에는 제2가이드레일(23)이 마련되고, 각각의 헤드노즐(22)에는 제2가이드레일(23)에 결합되어 제2가이드레일(23)을 따라 승강하는 제2가이드블록(24)에 마련된다. The
그리고 헤드블록(20)에는 헤드노즐(22) 각각을 승강시키는 제2구동수단이 마련된다. 여기서 제2구동수단은 수직하게 설치되는 승강벨트(26)가 마련되고, 승강벨트(26)의 일측에는 미도시한 승강모터와 승강모터에 마련되는 승강풀리(25)에 의해 승강벨트(26)를 구동한다. 그리고 승강벨트(26)의 타측에는 승강벨트(26)가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게 미도시한 아이들풀리가 마련된다. The
이때 헤드노즐(22)은 상기 승강벨트(26)에 각각 결합되어 승강벨트(26)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하 승강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헤드노즐(22)은 제2가이드블록(24)에 결합되고, 승강벨트(26)는 제2가이드블록(24)을 승강시킨다. At this time, the
따라서 헤드노즐(22)은 헤드프레임(10)에서 제1승강수단에 의해 승강하는 헤드블록(20)에서 1차 승강이 이루어지고, 헤드블록(20)에서 제2구동수단에 의해 2차 승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승강은 Z축 방향으로 가변된다. Therefore, the
상기 헤드블록(20)에는 헤드노즐(22)에서 픽업된 부품을 기판에 정확하게 실장할 수 있게 헤드노즐(22)을 회전시키는 세타모터(50)가 마련된다. 여기서 세터모터는 X축에 설치되는 헤드프레임(10)에 설치된다. The
그리고 세타모터(50)의 회전구동력이 헤드노즐(22)로 전달될 수 있게 수직하게 설치되는 볼 스플라인(30)이 마련되고, 볼 스플라인(30)의 축 방향을 따라 가변되는 연동풀리(40)가 마련된다. A
여기서 볼 스플라인(30)은 수직하게 헤드노즐(22)의 승강방향에 나란하게 Z축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며, 양측 단부가 베어링에 의해 헤드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Here, the
이때 볼 스플라인(30)이 베어링에 의해 수직하게 헤드프레임(10)에 설치될 수 있게 제1브래킷(12)이 마련된다. 여기서 제1브래킷(12)은 헤드프레임(10)에 고정되는 것으로 양측단부가 돌출되고, 돌출된 양측 단부에 각각 볼 스플라인(30)이 수직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부에는 종동풀리(31)가 결합된다. At this time, the
그리고 세타모터(50)에는 볼 스플라인(30)으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게 제1동력전달부재가 마련되며, 제1동력전달부재는 종동풀리(31)와, 세타모터(50)에 마련되며, 종동풀리(31)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풀리(51)가 마련되고, 구동풀리(51)와 종동풀리(31) 사이에는 세타벨트(52)가 마련된다. 따라서 세타모터(50)는 헤드 프레임(10)에 고정되는 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제1브래킷(12)에 고정될 수 있다. The first power transmitting member is provided to the driven
또한 연동풀리(40)는 중앙에 볼 스플라인(30)이 위치될 수 있게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내부에는 볼 스플라인(30)을 따라 가변될 수 있게 그 사이에 볼이 삽입되는 스플라인 너트(41)가 마련된다. In addition, the interlocking
이때 볼 스플라인(30)을 따라 수직하게 승강가능하게 하면서 볼 스플라인(30)의 회전력을 헤드노즐(22)로 전달할 수 있게 볼 스플라인(30)의 외주와 스플라인 너트(41)의 내주 사이 또는 볼 스플라인(30) 및 스플라인 너트(41) 중에 하나에는 볼 스플라인(30)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볼가이드 홈(32)이 마련된다. In this case, between the outer periphery of the
그리고 여기서 볼가이드 홈(32)은 볼 스플라인(30)의 외주와 스플라인 너트(41)의 내주에 의해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스플라인너트를 자동윤활이 가능한 슬라이딩 베어링으로 형성하고, 슬라이딩 베어링과 볼 스플라인(30)에 적어도 한 면이 편평한 면을 갖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Here, the ball guide
즉, 적어도 볼 스플라인(30)의 외주와 스플라인 너트(41)의 내주가 하나의 편평면을 갖는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두개의 편평면을 갖는 부체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삼각형, 사다리꼴,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 그 이상의 다각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at least the outer periphery of the
한편, 헤드블록(40)에는 연동풀리(40)가 헤드블록(20)의 승강과 연동될 수 있게 연동풀리(40)에는 제2브래킷(27)이 마련된다. 즉, 제2브래킷(27)은 일측이 연동풀리(40)가 회전가능하게 베어링에 의해 결합되고, 타측은 헤드블록(20)에 결합된다. The
또한, 연동풀리(40)는 헤드노즐(22)에 제2동력전달부재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한다. 따라서 제2동력전달부재는 헤드노즐(22) 각각에 마련되며 연동풀리(40)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노즐풀리(22a)가 마련된다. 그리고 연동풀리(40)와 노즐풀리(22a) 사이에는 노즐벨트(42)가 마련된다. Further, the interlocking
이때 노즐풀리(22a)와 연동풀리(40)는 직경이 동일한 복수 단의 풀리로 마련되고, 노즐벨트(42) 또한 복수로 마련된다. 그리고 노즐벨트(42)는 헤드노즐(22) 각각에 마련되는 복수단의 노즐풀리(22a)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게 각각의 노즐풀리(22a)에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된다. At this time, the
그리고 복수의 노즐벨트(42)는 각각 서로 그 연결방향이 어긋나게 설치된다. 즉, 하부의 노즐벨트(42)가 하측 노즐풀리(22a)에 시계방향으로 감겨지면, 상부의 노즐벨트(42)는 하측 노즐풀리(22a)에 반시계방향으로 감겨지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노즐풀리(22a)는 타이밍 벨트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lurality of
또한, 연동풀리(40)와 노즐풀리(22a)를 각각 스프로킷으로 마련하고, 노즐벨트(42)를 체인으로 구성되거나, 연동풀리(40)와, 노즐풀리(22a)를 모두 기어와 아이들 기어를 형성하여 서로 맞물릴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The interlocking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속 활동성을 갖는 부품실장기용 헤드(100)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먼저 미도시한 테이프 피더에서 부품이 공급되고, 기판이송장치를 통해 기판이 이송되어 일정한 위치에서 정지하면 X축에 마련된 헤드프레임(10)은 헤드블록(20)을 미도시한 제1구동수단에 의해 수직으로 하강시키고, 하강된 상태에서 미 도시한 승강모터가 작동하여 벨트에 의해 헤드노즐(22)이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하강된 헤드노즐(22)은 테이프 피더에서 공급되는 부품을 픽업하게 된다. When the substrate is fed through the substrate feeder and stopp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이때 헤드프레임(10)에서 헤드블록(20)의 승강시 노즐밸트를 이용하여 노즐풀리(22a)를 통해 헤드노즐(22)을 회전시키는 연동풀리(40)가 볼 스풀라인의 축 방향을 따라 볼가이드 홈(32)에 의해 가이드 되어 승강된다. 그리고 연동풀리(40)는 헤드블록(20)에 고정된 제2브래킷(27)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므로 헤드블록(20)과 함께 상하 승강된다. At this time, an interlocking
이후 부품이 틀어지게 픽업되는 경우이거나, 부품을 회전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이를 보정하기 위해 세타모터(50)가 구동하게 되고, 세타모터(50)의 구동으로 구동풀리(51)와 세타벨트(52)를 통해 종동풀리(31)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The
이때 종동풀리(31)로 전달된 회전력은 종동풀리(31)와 연동하는 볼 스플라인(30)을 회전시킴으로서 연동풀리(40)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헤드블록(20)을 따라 상하 승강하면서 각각의 헤드노즐(22)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므로 불필요하게 세타모터(50)를 승강시키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At this time,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the driven
이상에서 본 발명의 고속 활동성을 갖는 부품실장기용 헤드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Accordingly,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속 활동성을 갖는 부품실장기용 헤드를 보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d for a component mounting machine having high-speed ac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속 활동성을 갖는 부품실장기용 헤드의 볼 스플라인을 보인 단면도.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all spline of a head for a component mounting machine having high-speed ac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속 활동성을 갖는 부품실장기용 헤드를 보인 도 2의 A-A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showing a head for a component mounting machine having high-speed ac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속 활동성을 갖는 부품실장기용 헤드의 노즐의 노즐벨트 연결 상태를 보인 개념도.4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nozzle of a nozzle for a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having high-speed activity is connected to a nozzle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0: 헤드 10: 헤드프레임100: Head 10: Head frame
11: 제1가이드레일 12: 제1브래킷11: first guide rail 12: first bracket
20: 헤드블록 21: 제1가이드블록20: head block 21: first guide block
22: 헤드노즐 23: 제2가이드레일22: head nozzle 23: second guide rail
24: 제2가이드블록 25: 승강풀리24: second guide block 25: lifting pulley
26: 승강벨트 27: 제2브래킷26: lifting belt 27: second bracket
30: 볼 스플라인 31: 종동풀리30: ball spline 31: driven pulley
32: 볼가이드 홈 40: 연동풀리32: ball guide groove 40: interlocking pulley
41: 스플라인 너트 42: 노즐벨트41: spline nut 42: nozzle belt
50: 세타모터 51: 구동풀리50: Seta motor 51: Driving pulley
52: 세타풀리52: Seta pulley
Claims (1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90004737A KR101510395B1 (en) | 2009-01-20 | 2009-01-20 | Head for chip mounter having high speed activit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90004737A KR101510395B1 (en) | 2009-01-20 | 2009-01-20 | Head for chip mounter having high speed activit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5450A KR20100085450A (en) | 2010-07-29 |
KR101510395B1 true KR101510395B1 (en) | 2015-04-13 |
Family
ID=42644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90004737A Active KR101510395B1 (en) | 2009-01-20 | 2009-01-20 | Head for chip mounter having high speed activit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1039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271468B (en) * | 2011-07-07 | 2013-07-10 | 余耀国 | Mounting structure of mounter and mounting method |
CN116367529B (en) * | 2023-05-15 | 2023-08-15 | 南京银茂微电子制造有限公司 | Chip mounter mouth for chip mounte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316698A (en) * | 1995-05-23 | 1996-11-29 | Yamaha Motor Co Ltd | Nozzle driving mechanism for mounting machine |
JPH08330791A (en) * | 1995-06-01 | 1996-12-13 | Yamaha Motor Co Ltd | Nozzle drive mechanism of mounter |
JP2002009486A (en) | 2000-06-21 | 2002-01-1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equipment |
JP2005188720A (en) | 2003-12-26 | 2005-07-14 | Thk Co Ltd | Ball spline |
-
2009
- 2009-01-20 KR KR20090004737A patent/KR10151039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316698A (en) * | 1995-05-23 | 1996-11-29 | Yamaha Motor Co Ltd | Nozzle driving mechanism for mounting machine |
JPH08330791A (en) * | 1995-06-01 | 1996-12-13 | Yamaha Motor Co Ltd | Nozzle drive mechanism of mounter |
JP2002009486A (en) | 2000-06-21 | 2002-01-1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equipment |
JP2005188720A (en) | 2003-12-26 | 2005-07-14 | Thk Co Ltd | Ball spl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5450A (en) | 2010-07-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76265B2 (en) |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machine and electronic component loading head | |
CN1071536C (en) | Automatic electronic parts mounting apparatus | |
JP5791408B2 (en) |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equipment | |
KR20010114161A (en) |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parts | |
US10226798B2 (en) | Mounting head cleaning device and mounting head cleaning method | |
CN1189761A (en) | Electronic-parts mounting apparatus | |
CN207766790U (en) | Automatic patch cooling fin equipment | |
JP2000288969A (en) | Mount head of surface mounting machine | |
KR101228315B1 (en) | Head assembly for chip mounter | |
KR101510395B1 (en) | Head for chip mounter having high speed activity | |
KR20050092415A (en) | Electronic parts moun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parts mounting method | |
JP3649091B2 (en) |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equipment | |
US20060005379A1 (en) | Component placing head and origin detection method of component placing head | |
JP2007096062A (en) | Electronic component transfer device | |
JP5042921B2 (en) | Ball nut, single-axis robot, and electronic component transfer device | |
KR101157155B1 (en) | Apparatus for Feeding Chip Tray | |
KR20130122977A (en) | Component Mounting Device | |
JP4183888B2 (en) |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equipment | |
KR101383882B1 (en) | Head assembly and chip mounter having the same | |
KR101287580B1 (en) | Head assembly for chip mounter | |
JP3804405B2 (en) |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suction nozzle unit for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 |
JP4062359B2 (en) |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equipment | |
JP3622642B2 (en) |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method | |
KR101141706B1 (en) | Head assembly for chip mounter | |
JP2017195228A (en) | Component mounting device and head unit for component mount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12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1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28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4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