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09738B1 - 진공청소기용 더스트컨테이너 조립체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용 더스트컨테이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9738B1
KR101509738B1 KR20140145707A KR20140145707A KR101509738B1 KR 101509738 B1 KR101509738 B1 KR 101509738B1 KR 20140145707 A KR20140145707 A KR 20140145707A KR 20140145707 A KR20140145707 A KR 20140145707A KR 101509738 B1 KR101509738 B1 KR 101509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or
casing
air
inlet
fil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140145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코네트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코네트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코네트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20140145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97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738B1/ko
Priority to US14/924,544 priority patent/US20160113459A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5Dry filters funnel-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Construction of inl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용 더스트컨테이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흡입구를 갖고 타측에 배출구를 형성하며 유입된 공기가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흡입구에 대응되는 내측에 인렛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케이싱, 이 배출구 측에 구비되어 흡입구를 통해 이물질과 공기를 흡입 유도하는 작동부, 및 이 케이싱의 내측에 구비되고 흡입구로 유입되어 배출구로 이동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고 배출구 측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필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다양한 기능의 필터를 콘(corn) 타입의 프로텍터에 설치하고, 프로텍터를 더스트컨테이너 내측에 고정 장착함으로써, 더스트컨테이너 내로 흡입되는 각종 이물질을 필터링하며, 흡입물질에 함유된 각종 가스와 냄새를 제거하면서 순수한 공기만을 배출하도록 할 수 있고, 흡음패드를 통해 공기와 이물질의 유입을 위해 가동되는 팬모터의 소음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용 더스트컨테이너 조립체{DUST-CONTAINER ASSEMBLY OF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용 더스트컨테이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기능의 필터를 콘(corn) 타입의 프로텍터에 설치하고, 프로텍터를 더스트컨테이너 내측에 고정 장착함으로써, 더스트컨테이너 내로 흡입되는 각종 이물질을 필터링하며, 흡입물질에 함유된 각종 가스와 냄새를 제거하면서 순수한 공기만을 배출하도록 할 수 있고, 흡음패드를 통해 공기와 이물질의 유입을 위해 가동되는 팬모터의 소음을 줄이기 위한 진공청소기용 더스트컨테이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내에 진공발생용 모터와 봉투형의 필터를 설치하고 모터의 구동에 따라 발생하는 진공력에 의하여 오니가 청소기의 본체로 유입되도록 하며 이 유입되는 오니를 필터로 필터링하여 오물은 청소기 본체에 있도록 하고 필터를 통과한 오니와 공기만이 본체의 상부에 설치된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진공청소기는 본체에 내장된 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나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것으로, 통상 바닥을 청소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진공정소기는 크게 바닥의 먼지가 흡입하는 흡입노즐이 본체와 별도로 구비되어 사용처에 따라 용도에 맞는 흡입노즐로 교체할 수 있는 캐니스터 타입(Canister type)과 흡입노즐이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업라이트 타입(Upright type)으로 구분된다.
캐니스터 타입의 진공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며 수거된 먼지가 집진되는 본체와, 바닥에 접촉되어 이동되면서 먼지 및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노즐과, 이 흡입노즐을 본체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캐니스터 타입의 진공청소기는 청소하고자 하는 물건이나 바닥의 형태, 재질 등에 따라 흡입노즐을 교체할 수 있고 흡입력이 강하여 업라이트 타입보다 그 사용범위가 넓다.
또한, 업라이트 타입의 진공청소기는, 본체에 흡입노즐과 손잡이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어 이동이 편리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 비교적 간단한 청소를 할 때 주로 사용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진공청소기에 대해서는 국내공개특허 제10-2012-0114132호(발명의 명칭: 진공청소기 흡입관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에 제안되어 있다.
기존 진공청소기는 먼지 등 이물질을 저장하는 케이스 내부에서 모터 소음이 큰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 진공청소기의 고깔 타입의 프로텍터는 인렛가이드부재와의 간격이 좁아 크기가 큰 먼지나 쓰레기들이 원활하게 통과하지 못하여 공기와 먼지의 회전력을 저감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기능의 필터를 콘(corn) 타입의 프로텍터에 설치하고, 프로텍터를 더스트컨테이너 내측에 고정 장착함으로써, 더스트컨테이너 내로 흡입되는 각종 이물질을 필터링하며, 흡입물질에 함유된 각종 가스와 냄새를 제거하면서 순수한 공기만을 배출하고자 하는 진공청소기용 더스트컨테이너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흡음패드의 형상을 변경하여 공기와 이물질의 유입을 위해 가동되는 팬모터의 소음을 줄이고자 하는 진공청소기용 더스트컨테이너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더스트컨테이너 조립체는: 일측에 흡입구를 갖고, 타측에 배출구를 형성하며, 유입된 공기가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흡입구에 대응되는 내측에 인렛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케이싱; 상기 배출구 측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이물질과 공기를 흡입 유도하는 작동부; 및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고, 상기 배출구 측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필터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케이싱의 바닥에 지지되고,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가동되며 송풍하는 팬모터부재; 상기 팬모터부재를 덮어 차음 역할을 하고, 공기의 흐름을 허용하도록 형성되는 인너캡부재; 상기 인너캡부재의 둘레면에 구비되고, 흡음 기능을 갖는 흡음패드; 및 상기 인너캡부재와 상기 흡음패드를 덮어 차음 역할을 하는 아웃터캡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흡음패드는 내측면에 요철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필터유닛은, 공기가 통과하도록 망 형상이고, 경질로 이루어지며, 상광하협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프로텍터; 상기 프로텍터의 내측과 외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면접되게 지지되어 형상을 유지하고,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부재를 지지하는 상기 프로텍터를 상기 케이싱에 고정하는 장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케이싱의 바닥에 돌출되는 장착돌부; 상기 장착돌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적어도 마주하는 한 쌍으로 연장 돌출되는 제 1회전방지돌부; 및 상기 프로텍터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프로텍터에 연장되어 상기 제 1회전방지돌부와 교차되어 결합되는 제 2회전방지돌부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은 이물질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프로텍터 또는 상기 필터부재와 접하는 상부 내측면에 가스켓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로텍터는 상기 인렛가이드부재와의 사이 공간으로 공기의 흐름량을 확보하기 위해 둘레면 기울기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더스트컨테이너 조립체는 종래 기술과 달리 다양한 기능의 필터를 콘(corn) 타입의 프로텍터에 설치하고, 프로텍터를 더스트컨테이너 내측에 고정 장착함으로써, 더스트컨테이너 내로 흡입되는 각종 이물질을 필터링하며, 흡입물질에 함유된 각종 가스와 냄새를 제거하면서 순수한 공기만을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흡음패드의 형상을 변경하여 공기와 이물질의 유입을 위해 가동되는 팬모터의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컨테이너와 작동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더스트컨테이너 내부를 보인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컨테이너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컨테이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패드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더스트컨테이너 조립체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컨테이너와 작동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더스트컨테이너 내부를 보인 절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컨테이너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컨테이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00)는 더스트컨테이너 조립체, 작동부(300), 청소노즐 조립체(400) 및 청소호스(500)를 포함한다.
그래서, 작동부(300)가 작동하면, 공기와 이물질이 청소노즐 조립체(400)와 청소호스(500)를 거쳐 더스트컨테이너 조립체로 이송된다. 더스트컨테이너 조립체는 이물질을 걸러낸 후 공기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더스트컨테이너 조립체는 더스트컨테이너(200)를 포함한다.
더스트컨테이너(200)는 케이싱(205)으로 외형을 형성한다. 케이싱(205)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케이싱(205)은 일측에 흡입구(210)를 구비하여 강제 흐름이 발생되며 유입되는 공기와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케이싱(205)은 타측으로 배출구(215)를 형성하여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를 배기 유도한다.
즉, 케이싱(205)은 유입되는 이물질을 저장하도록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에 흡입구(210)를 구비하여 이물질과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며, 타측에 배출구(215)를 형성하여 이물질을 걸러낸 공기의 배출을 유도한다. 편의상, 흡입구(210)는 케이싱(205)의 둘레면에 형성되고, 배출구(215)는 케이싱(205)의 상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또한, 케이싱(205)은 유입된 공기가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흡입구(210)에 대응되는 내측에 인렛가이드부재(280)를 구비한다.
즉, 인렛가이드부재(280)는 케이싱(205)의 흡입구(210) 안쪽에 위치되며, 유입된 공기와 이물질이 케이싱(205)의 원주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방향성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인렛가이드부재(28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싱(205)은 용이하게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캐리어(220)에 장착된다. 캐리어(220)는 복수 개의 롤러(222)를 구비한다. 캐리어(220)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더스트컨테이너(200)의 케이싱(205)은 타측에 작동부(300)를 구비한다. 작동부(300)는 공기의 흐름을 강제로 발생시킴에 따라 공기와 이물질이 흡입구(210)를 통해 케이싱(205)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배출구(215)로 배출되도록 한다.
아울러, 청소노즐 조립체(400)는 작동부(300)의 작동으로 바닥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공기와 함께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청소호스(500)는 더스트컨테이너(200)와 청소노즐 조립체(400)를 연결하여 청소노즐 조립체(400)로 흡입되는 이물질과 공기를 더스트컨테이너(200)로 이송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작동부(300)는 하우징(310) 및 팬모터부재(320)를 포함한다.
하우징(310)은 작동부(30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하우징(310)은 케이싱(205)의 배출구(215)에 놓여진다. 아울러, 하우징(310)과 케이싱(205)과 캐리어(220)는 클램프(230)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속된다. 클램프(230)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310)은 내부에 팬모터부재(320)를 구비한다. 팬모터부재(320)는 가동시 케이싱(205)의 흡입구(210)를 통해 공기와 이물질이 케이싱(205) 내부로 유입되거나 또는, 케이싱(205) 내부의 공기가 배출구(215)를 통해 토출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310)은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팬모터부재(320)가 하우징(310) 내부에서 가동시 소음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인너캡부재(330), 흡음패드(340) 및 아웃터캡부재(350)가 더 포함된다.
인너캡부재(330)는 하우징(310) 내부에서 팬모터부재(320)를 덮어 일차적으로 차음 역할을 한다. 이때, 인너캡부재(330)는 공기의 순환을 허용해야 한다. 물론, 인너캡부재(330)는 다양한 방식으로 하우징(310)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흡음패드(340)는 인너캡부재(330)의 둘레면을 에워싸고, 흡음 기능을 갖는다. 흡음패드(340)는 스폰지 등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흡음패드(340)는 내측면에 요철부(342)를 형성할 수 있다. 요철부(342)는 소리의 파동이 부딪히며 음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론, 요철부(342)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아웃터캡부재(350)는 공기의 순환을 위해 홀이 형성된 인너캡부재(330)와 흡음패드(340)를 덮어 이차적으로 차음 역할을 한다. 물론, 아웃터캡부재(350)도 공기의 흐름을 허용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케이싱(205)은 흡입구(210)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필터유닛(240)을 구비한다.
특히, 필터유닛(240)은 케이싱(205)의 내측에 구비되고, 흡입구(210)로 유입된 후 배출구(215)로 이동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고, 배출구(215) 측에서 멀어지는 방향인 케이싱(205)의 바닥면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필터유닛(240)은 프로텍터(242), 필터부재(244) 및 장착부(250)를 포함한다.
프로텍터(242)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망 형상이고, 경질로 이루어지며, 상광하협 즉, 대략 하측으로 뾰족한 고깔 형상으로 형성된다. 프로텍터(242)가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이물질은 케이싱(205)의 내부 하측에서 원주 방향으로 유동되면서 많이 모여질 수 있고, 공기는 케이싱(205)의 내부에서 상승되며 넓은 표면적에 걸쳐 원활히 통과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부재(244)는 프로텍터(242)의 내측과 외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면접되게 지지되어 형상을 유지하고,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편의상, 필터부재(244)는 프로텍터(242)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동시에 면접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아울러, 필터부재(244)는 활성탄 필터와 먼지 제거용 필터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프로텍터(242)는 케이싱(205)에 안정적으로 장착되어야 한다. 즉, 프로텍터(242)는 장착부(250)에 의해 케이싱(205)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장착된다.
장착부(250)는 장착돌부(252)를 포함한다.
장착돌부(252)는 프로텍터(242)의 대략 뾰족하게 돌출되는 하측에 대응되도록 케이싱(205)의 내부 바닥에 돌출된다. 장착돌부(252)는 프로텍터(242)의 하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장착돌부(252)는 케이싱(205) 자체일 수도 있다.
특히, 프로텍터(242)는 장착돌부(252)에 지지된 채 회전 방지되어야 한다. 이는,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래서, 장착부(250)는 제 1회전방지돌부(254) 및 제 2회전방지돌부(256)를 더 포함한다.
제 1회전방지돌부(254)는 장착돌부(252)의 가장자리를 따라 적어도 마주하는 한 쌍으로 연장 돌출된다. 편의상, 제 1회전방지돌부(254)는 장착돌부(252)의 상측에 마주하는 한 쌍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제 2회전방지돌부(256)는 프로텍터(242)의 하측에서 장착돌부(25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제 2회전방지돌부(256)는 제 1회전방지돌부(254)와 교차되어 결합되게 배치된다. 그래서, 프로텍터(242)는 케이싱(205) 내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 방지된다. 편의상, 제 2회전방지돌부(256)는 마주하는 한 쌍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물론, 제 1회전방지돌부(254) 및 제 2회전방지돌부(256)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필터부재(244)의 형상을 유지하는 프로텍터(242)와 인렛가이드부재(280) 사이의 공간은 다른 영역에 해당되는 프로텍터(242)와 케이싱(205) 사이의 공간보다 좁게 된다. 그래서, 유동되는 공기가 프로텍터(242)와 인렛가이드부재(280) 사이의 공간에서 병목현상을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소음이 크게 발생하며, 공기의 배출이 늦어져 청소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케이싱(205)의 흡입구(210)에 장착되는 인렛가이드부재(28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케이싱(205)의 내측 벽면을 따라 유동된다. 이때, 고깔모양의 프로텍터(242)와 필터부재(244)의 경우, 회전하는 공기가 프로텍터(242)와 인렛가이드부재(280) 사이의 좁은 공간을 통과할 때 병목현상이 발생하면서 원심력에 의한 회전력이 저감된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하측에 일직선 형상의 모서리를 갖는 변형된 형태의 프로텍터(242)와 필터부재(244)가 구비된다. 여기서, '일직선 형상의 모서리'는 제 2회전방지돌부(256)를 말한다.
따라서, 프로텍터(242)는 인렛가이드부재(280)와의 사이 공간으로 공기의 흐름량을 확보하기 위해 둘레면 기울기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인렛가이드부재(280)를 향하는 프로텍터(242)의 해당 둘레면 기울기(θ1)는 그 이외의 프로텍터의 둘레면 기울기(θ2) 기울기보다 크게 된다.
이로 인해, 하측에 일직선 형상의 모서리를 갖는 변형된 형태의 프로텍터(242)와 필터부재(244)는 케이싱(205)의 인렛가이드부재(280)와의 간격을 최대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케이싱(205)의 장착돌부(244)에 장착되며, 이로 인하여, 프로텍터(242)와 인렛가이드부재(280) 사이의 공간이 확대됨에 따라, 회전하는 공기의 회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케이싱(205)은 흡입구(210)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이 개방된 상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프로텍터(242)와 접하는 상부 내측면에 가스켓(270)을 구비할 수 있다.
케이싱(205)이 프로텍터(242)에 부딪히거나 눌림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가스켓(270)은 고무 등 완충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가스켓(270)은 다양한 방식으로 케이싱(205)의 내측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물론, 가스켓(27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진공청소기 200: 더스트컨테이너
210: 흡입구 220: 캐리어
240: 필터유닛 242: 프로텍터
250: 필터 250: 장착부
270: 가스켓 300: 작동부
310: 하우징 320: 팬모터부재
330: 인너캡부재 340: 흡음패드
342: 요철부 350: 아웃터캡부재
400: 청소노즐 조립체 500: 청소호스

Claims (7)

  1. 일측에 흡입구를 갖고, 타측에 배출구를 형성하며, 유입된 공기가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흡입구에 대응되는 내측에 인렛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케이싱; 상기 배출구 측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이물질과 공기를 흡입 유도하는 작동부; 및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고, 상기 배출구 측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필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유닛은, 공기가 통과하도록 망 형상이고, 경질로 이루어지며, 상광하협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프로텍터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텍터는 상기 인렛가이드부재와의 사이 공간으로 공기의 흐름량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인렛가이드부재를 향하는 둘레면의 기울기가 그 이외의 둘레면의 기울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더스트컨테이너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케이싱의 바닥에 지지되고,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가동되며 송풍하는 팬모터부재;
    상기 팬모터부재를 덮어 차음 역할을 하고, 공기의 흐름을 허용하도록 형성되는 인너캡부재;
    상기 인너캡부재의 둘레면에 구비되고, 흡음 기능을 갖는 흡음패드; 및
    상기 인너캡부재와 상기 흡음패드를 덮어 차음 역할을 하는 아웃터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더스트컨테이너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패드는 내측면에 요철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더스트컨테이너 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프로텍터의 내측과 외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면접되게 지지되어 형상을 유지하고,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부재를 지지하는 상기 프로텍터를 상기 케이싱에 고정하는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더스트컨테이너 조립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케이싱의 바닥에 돌출되는 장착돌부;
    상기 장착돌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적어도 마주하는 한 쌍으로 연장 돌출되는 제 1회전방지돌부; 및
    상기 프로텍터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프로텍터에 연장되어 상기 제 1회전방지돌부와 교차되어 결합되는 제 2회전방지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더스트컨테이너 조립체.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이물질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프로텍터 또는 상기 필터부재와 접하는 상부 내측면에 가스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더스트컨테이너 조립체.
  7. 삭제
KR20140145707A 2014-10-27 2014-10-27 진공청소기용 더스트컨테이너 조립체 Active KR101509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5707A KR101509738B1 (ko) 2014-10-27 2014-10-27 진공청소기용 더스트컨테이너 조립체
US14/924,544 US20160113459A1 (en) 2014-10-27 2015-10-27 Dust-container assembly of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5707A KR101509738B1 (ko) 2014-10-27 2014-10-27 진공청소기용 더스트컨테이너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9738B1 true KR101509738B1 (ko) 2015-04-14

Family

ID=53034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45707A Active KR101509738B1 (ko) 2014-10-27 2014-10-27 진공청소기용 더스트컨테이너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113459A1 (ko)
KR (1) KR1015097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168B1 (ko) * 2022-11-10 2023-02-23 주식회사 코네트인더스트리 진공청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171393B2 (en) 2011-03-04 2024-12-2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20120222252A1 (en) 2011-03-04 2012-09-06 G.B.D. Corp.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534043B2 (en) 2011-03-04 2022-12-2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534041B2 (en) 2014-12-17 2022-12-2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445872B2 (en) 2014-12-17 2022-09-2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445871B2 (en) 2014-12-17 2022-09-2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452409B2 (en) 2014-12-17 2022-09-2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745190B2 (en) 2019-01-23 2023-09-0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2075966B2 (en) 2021-08-05 2024-09-03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ousehold appliance having an improved cyclone and a cyclone for same
US11779178B2 (en) 2021-08-05 2023-10-1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ousehold appliance having an improved cyclone and a cyclone for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4423A (ja) * 1990-08-28 1992-06-10 Houston Hergesheimer August バキュムクリーナ用集麈装置
KR20040040092A (ko) * 2002-11-06 2004-05-12 주식회사코네트인더스트리 진공청소기
KR100553043B1 (ko) 2004-12-27 2006-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집진유닛
KR20070048875A (ko) * 2005-11-07 2007-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27553A (en) * 1940-07-27 1943-08-24 Robert A Ponselle Vacuum cleaner
US2516707A (en) * 1947-01-11 1950-07-25 Lewyt Corp Vacuum cleaner
US2627936A (en) * 1950-08-24 1953-02-10 Royal Vacuum Cleaner Company Suction cleaner dome mounting construction
US2703152A (en) * 1952-03-25 1955-03-01 Clarke Sanding Machine Company Suction cleaner
US2889006A (en) * 1955-06-07 1959-06-02 Pauline A Ortega Pneumatic cleaning device
US3046718A (en) * 1959-04-08 1962-07-31 Kent Company Inc Suction cleaner
DE2944749A1 (de) * 1979-11-06 1981-05-14 Rommag P. Wörwag & Co., Romanshorn Staubsauger
US4533370A (en) * 1982-03-30 1985-08-06 Sharp Kabushiki Kaisha Electric cleaner with minimum noise
US4547206A (en) * 1983-06-22 1985-10-15 Royal Appliance Mfg. Co. Vacuum cleaner
US4609387A (en) * 1984-12-28 1986-09-02 Shop-Vac Corporation Collapsible support cage for vacuum cleaner filter
KR970009718A (ko) * 1995-08-31 1997-03-27 배순훈 진공 청소기의 배기 유로를 길게한 흡음방
US7475449B2 (en) * 2003-12-24 2009-01-13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Vacuum cleaner
US7434657B2 (en) * 2004-05-11 2008-10-14 H-P Products, Inc. Acoustic foam sound reducer for vacuum power unit
US8287655B2 (en) * 2005-08-05 2012-10-16 Stein & Co. Gmbh Method for cleaning dirt and debris from surfaces
KR100725515B1 (ko) * 2005-12-15 2007-06-0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모터 소음저감구조를 갖는 진공청소기
KR101353311B1 (ko) * 2005-12-27 2014-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
GB2436787A (en) * 2006-04-05 2007-10-10 Vax Ltd Electric motor housing
US20080040883A1 (en) * 2006-04-10 2008-02-21 Jonas Beskow Air Flow Losses in a Vacuum Cleaners
CN101621951A (zh) * 2006-12-12 2010-01-06 Gbd公司 具有衬里袋的表面清洁设备
GB2468299B (en) * 2009-03-03 2012-06-20 Dyson Technology Ltd Noise reduction arrangement for a cleaning appliance.
US8393050B2 (en) * 2009-10-28 2013-03-12 Robert M. Witter Portable cyclonic dust collector/vacuum cleaner
EP2581013B1 (en) * 2011-10-12 2016-11-23 Black & Decker Inc. Hand-holdable vacuum cleaner with cyclonic separation apparatus
US9326652B2 (en) * 2013-02-28 2016-05-03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4423A (ja) * 1990-08-28 1992-06-10 Houston Hergesheimer August バキュムクリーナ用集麈装置
KR20040040092A (ko) * 2002-11-06 2004-05-12 주식회사코네트인더스트리 진공청소기
KR100553043B1 (ko) 2004-12-27 2006-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집진유닛
KR20070048875A (ko) * 2005-11-07 2007-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168B1 (ko) * 2022-11-10 2023-02-23 주식회사 코네트인더스트리 진공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13459A1 (en) 2016-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9738B1 (ko) 진공청소기용 더스트컨테이너 조립체
KR100437364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EP1674017B1 (en) Dust collection unit and vacuum cleaner with the same
US7645309B2 (en) Dust collection unit and vacuum cleaner with the same
US7556661B2 (en) Dust collection unit and vacuum cleaner with same
RU2325836C2 (ru) Узел пылеулавливания для пылесоса (варианты)
CN101612025B (zh) 旋风灰尘收集器
KR20160034041A (ko) 핸디형 청소기
JP2002291665A (ja) 真空掃除機のサイクロン集塵装置
KR102516499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CN1775160A (zh) 旋风式集尘装置
KR102665028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CN111789526B (zh) 便携式吸尘器
CN107205603A (zh) 具有旋风分离器的吸尘器
US20080000044A1 (en) Vacuum cleaner
JP2009504308A (ja) 真空掃除機の排気流路構造
RU2304916C1 (ru) Пылесб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ылесоса (варианты)
JP2008104734A (ja) 掃除機
US20050138759A1 (en)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CN111031870A (zh) 旋风除尘装置以及包括旋风除尘装置的真空吸尘器和手持-杆式真空吸尘器
RU2728134C1 (ru) Напольный пылесос
KR100647896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메쉬 필터
CN222466788U (zh) 清洁设备
KR100562112B1 (ko) 진공 청소기의 필터 구조
KR100677878B1 (ko)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3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4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