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623B1 - Lifting device of rotor for wind turbine generator and install method of rotor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ifting device of rotor for wind turbine generator and install method of rotor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08623B1 KR101508623B1 KR20130142849A KR20130142849A KR101508623B1 KR 101508623 B1 KR101508623 B1 KR 101508623B1 KR 20130142849 A KR20130142849 A KR 20130142849A KR 20130142849 A KR20130142849 A KR 20130142849A KR 101508623 B1 KR101508623 B1 KR 1015086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ing
- rotor
- connecting beam
- grippers
- hub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80—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nacelles or tow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지상에서 조립된 로터를 들어 올려 나셀에 설치하기 위한 로터의 리프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로터의 설치 방법이 개시된다. 로터의 리프팅 장치는 허브에 결합된 복수의 블레이드 각각의 루트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그리퍼와, 복수의 그리퍼 중 이웃한 두 개의 그리퍼를 연결하는 제1 연결빔과, 복수의 그리퍼 중 나머지 그리퍼와 제1 연결빔을 연결하는 제2 연결빔과, 기중기의 와이어 설치를 위한 결합부를 구비하며 제2 연결빔 상에서 제2 연결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대차와, 이동 대차에 연결 설치되어 이동 대차를 움직이는 구동부를 포함한다.A lifting device for a rotor for lifting a rotor assembled on the ground and installing the rotor on the nacelle, and a method of installing the rotor using the lifting device. The lifter of the rotor includes a plurality of grippers provided at the roo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lades coupled to the hub, a first connecting beam connecting the two adjacent grippers of the plurality of grippers, A second linking beam for connecting the first linking beam and a linking part for installing a wire of the crane, a moving truck installed on the second linking beam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linking beam, And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moving carriage.
Description
본 발명은 풍력 발전기용 로터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상에서 조립된 로터를 들어 올려 나셀에 설치하기 위한 로터의 리프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로터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nstalling a rotor for a wind turb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fter for lifting a rotor assembled on the ground and installing the rotor on a nacelle and a method of installing the rotor using the lifter.
허브와 복수의 블레이드로 구성된 로터를 나셀에 설치하는 방법에는 지상에서 로터를 조립하고 이를 들어 올려 나셀에 설치하는 방법과, 허브를 나셀에 먼저 설치하고 블레이드를 하나씩 들어 올려 허브에 순차적으로 조립하는 방법이 있다. 이 중 지상에서 조립된 로터를 들어 올려 나셀에 설치하는 방법이 보다 안정적이고 시공 시간이 적게 소요된다.A method of installing a rotor composed of a hub and a plurality of blades in a nacelle includes a method of assembling the rotor on the ground and lifting it up to install it in the nacelle, or installing the hub in the nacelle first and lifting the blades one by one and assembling them sequentially . Among them,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rotor assembled on the ground and installing it on the nacelle is more stable and takes less time.
지상에서 로터를 조립할 때 복수의 블레이드는 지면과 대략 평행하게 위치하는 반면, 로터를 나셀에 설치할 때 복수의 블레이드는 지면과 대략 수직한 상태로 세워진다. 종래에는 대형 기중기와 소형 기중기를 이용하여 로터를 나셀에 설치하였다.When assembling the rotor on the ground, the plurality of blades are positioned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ground, while the plurality of blades are placed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ground when installing the rotor in the nacelle. Conventionally, a rotor is installed in a nacelle using a large crane and a small crane.
즉 대형 기중기의 와이어를 허브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설치하고, 소형 기중기의 와이어를 하나의 블레이드에 설치한 상태에서 두 개의 기중기를 이용하여 로터를 수평 상태로 들어 올리며, 로터를 수직하게 세워도 지면에 닿지 않는 높이까지 로터가 올라가면 소형 기중기를 멈추고 대형 기중기로 계속 들어 올린다. 그러면 로터는 자중에 의해 수직 상태로 세워지게 된다.That is, the wire of the large crane is installed at a position deviated from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hub, and the wire of the small crane is installed on one blade, the two crane lifts the rotor horizontally, When the rotor goes up to a height that does not reach, the small crane is stopped and lifted by a large crane. Then, the rotor is vertically erected by its own weight.
그런데 전술한 설치 방법에서는 허브에 와이어 설치를 위한 특정 리프팅 포인트(예를 들어 기중기의 후크를 거는 고리 등)를 마련해야 하고, 리프팅 과정에서 로터 전체의 하중이 허브에 가해지므로 허브의 강도를 높여야 한다. 그 결과 허브의 중량이 커지게 된다. 또한, 대형 기중기와 소형 기중기를 같이 사용해야 하므로 시공 시간이 길어지고 공사비가 높아지게 된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installation method,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pecific lifting point (for example, a hook for hooking a hook of a crane) for installing a wire on the hub and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hub because the load of the whole rotor is applied to the hub during the lifting process. As a result, the weight of the hub becomes large. In addition, since a large-sized crane and a small-sized crane need to be used together, the construction time becomes longer and the construction cost becomes higher.
본 발명은 허브의 중량을 낮추고, 로터의 설계 유연성을 높이며, 한 대의 기중기를 사용하여 로터를 들어 올릴 수 있는 풍력 발전기용 로터의 리프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로터의 설치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fting device for a rotor for a wind power generator which can lower the weight of the hub, increase the design flexibility of the rotor, and lift the rotor by using a single crane, and a method of installing the rotor using the lifting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의 리프팅 장치는, 허브에 결합된 복수의 블레이드 각각의 루트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그리퍼와, 복수의 그리퍼 중 이웃한 두 개의 그리퍼를 연결하는 제1 연결빔과, 복수의 그리퍼 중 나머지 그리퍼와 제1 연결빔을 연결하는 제2 연결빔과, 기중기의 와이어 설치를 위한 결합부를 구비하며 제2 연결빔 상에서 제2 연결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대차와, 이동 대차에 연결 설치되어 이동 대차를 움직이는 구동부를 포함한다.The rotor lif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grippers installed at the root of each of a plurality of blades coupled to a hub, a first connecting beam connecting two neighboring grippers of the plurality of grippers, A second connecting beam connecting the remaining grippers of the plurality of grippers to the first connecting beam, and a connecting portion for wire installation of the crane, and being movably installed on the second connecting beam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beam And a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moving truck to move the moving truck.
복수의 그리퍼 각각은 힌지축에 의해 결합된 반고리 모양의 제1 및 제2 파트와, 제1 및 제2 파트 각각의 단부에 결합된 고정축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그리퍼 각각은 루트부와 접하는 내면에 완충부를 형성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grippers may include a first and a second part in the form of hooks that are coupled by a hinge axis and a fixed shaft coupled to an end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arts. Each of the plurality of grippers can form a buffer part on the inn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root part.
제1 연결빔은 허브의 원주 방향 외측에 위치하며 직선빔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연결빔은 허브의 앞부분을 둘러싸며 원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beam may be located in the circumferential outer side of the hub and may be a straight beam, and the second connection beam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surrounding the front portion of the hub.
이동 대차는 결합부를 구비한 제1 이동 대차와, 결합부를 구비하지 않은 제2 이동 대차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이동 대차는 제2 연결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The moving truck may include a first moving truck having an engaging portion and a second moving truck having no engaging portion.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ogies may be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beam.
제1 이동 대차는 제2 연결빔의 중앙 및 제1 연결빔과 접하는 제2 연결빔의 단부 사이를 이동할 수 있고, 제2 이동 대차는 그리퍼와 접하는 제2 연결빔의 단부와 제1 이동 대차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The first moving truck can move between the center of the second connecting beam and th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beam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ing beam and the second moving truck can move between th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beam and the first moving truck, .
제2 연결빔의 양 측면에 가이드 레일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이동 대차는 가이드 레일에 맞물려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Guide rails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linking beam, and the first and second moving lanes may be engaged with the guide rails to move along the guide rails.
구동부는 제1 및 제2 이동 대차에 연결 설치된 제1 구동부와, 제2 연결빔과 그리퍼 중 어느 하나와 제2 이동 대차에 연결 설치된 제2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first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ogie, and a second driving unit connected to any one of the second connecting beam and the gripper and the second moving bogie.
제1 구동부는 제2 이동 대차의 측면에 힌지 결합된 실린더와, 제1 이동 대차의 측면에 힌지 결합된 피스톤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동부는 제2 연결빔과 그리퍼 중 어느 하나에 힌지 결합된 실린더와, 제2 이동 대차의 측면에 힌지 결합된 피스톤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riving portion may include a cylinder hinged to the side of the second moving truck and a piston rod hinged to the side of the first moving truck. The second driving portion may include a cylinder hinged to either the second connecting beam and the gripper, and a piston rod hinged to the side of the second moving carri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의 설치 방법은, 지상에서 허브에 복수의 블레이드를 설치하여 로터를 조립하는 단계와, 복수의 블레이드 각각의 루트부에 그리퍼를 설치하고, 이동 대차의 결합부에 기중기의 와이어를 연결하는 단계와, 기중기를 이용하여 로터를 수평 상태로 들어 올리는 단계와, 구동부를 작동시켜 이동 대차를 움직임으로써 로터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켜 로터를 세우는 단계와, 세워진 로터를 나셀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installing a r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teps of assembling a rotor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blades in a hub on the ground, installing a gripper on a root of each of the blades, Connecting a wire of the crane, lifting the rotor to a horizontal state using a crane, mov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rotor by moving the moving carriage by driving the driving unit, setting the rotor to the nacelle .
이동 대차의 결합부에 와이어를 연결하기 전, 이동 대차를 제2 연결빔의 중앙에 위치시킬 수 있다. 로터를 세우는 단계에서, 제1 연결빔을 향해 이동 대차를 점진적으로 이동시켜 복수의 블레이드 중 제1 연결빔과 멀리 떨어진 하나의 블레이드가 아래를 향하도록 할 수 있다.The moving carriage can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connecting beam before connecting the wire to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moving carriage. In the step of erecting the rotor, the moving carriage may be gradually moved toward the first connecting beam such that one blade away from the first connecting beam of the plurality of blades faces downward.
본 실시예에 따르면, 허브 상에 리프팅 포인트를 마련하지 않아도 되므로 허브의 중량을 낮출 수 있고, 로터의 설계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한 대의 기중기를 사용하여 로터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 시간을 단축시키고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lifting point on the hub, so that the weight of the hub can be reduced and the design flexibility of the rotor can be enhanced. In addition, since a rotor can be installed using a single crane, the construction time can be shortened and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도 1은 일반적인 풍력 발전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로터의 일부와 본 실시예에 따른 로터의 리프팅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의 설치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단계 내지 제3 단계를 나타낸 로터와 리프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제4 단계를 나타낸 로터와 리프팅 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general wind turbine generator.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rotor shown in FIG. 1 and a lifting device of the r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nstalling a r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or and lifting device showing the first through third steps of FIG. 3;
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rotor and the lifting device showing the fourth step shown in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 1은 일반적인 풍력 발전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general wind turbine generator.
도 1을 참고하면, 풍력 발전기(100)는 지면에 세워진 일정 높이의 타워(10)와, 타워(10)의 상단에 설치되는 나셀(20)과, 나셀(20)의 전방에 설치되는 로터(30)를 포함한다. 로터(30)는 허브(31)와, 허브(31) 상에서 허브(3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32)를 포함한다.1, the
나셀(20)의 내부에는 허브(31)의 주축에 결합되는 증속기와, 증속기와 결합된 발전기 및 각종 제어 장치들이 설치되어 있다. 풍력에 의해 블레이드(32), 허브(31) 및 주축이 저속으로 회전하면 증속기는 주축의 회전을 고속으로 증속시키고, 발전기는 증속기의 고속 회전에 따른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발전을 행한다.Inside the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로터의 일부와 본 실시예에 따른 로터의 리프팅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rotor shown in FIG. 1 and a lifting device of the r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2를 참고하면, 로터(30)의 리프팅 장치(200)는 복수의 블레이드(32) 각각의 루트부(321)에 설치되는 복수의 그리퍼(40)와, 복수의 그리퍼(40) 중 이웃한 두 개의 그리퍼(40)를 연결하는 제1 연결빔(51)과, 제1 연결빔(51)과 나머지 그리퍼(40)를 연결하는 제2 연결빔(52)과, 제2 연결빔(52)에 설치되는 이동 대차(60) 및 구동부(70)를 포함한다.2, the
각각의 그리퍼(40)는 블레이드(32)의 루트부(321)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형성하며, 루트부(321)를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그리퍼(40)는 힌지축(45)에 의해 결합된 반고리 모양의 제1 및 제2 파트(41, 42)와, 제1 및 제2 파트(41, 42)의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축(4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파트(41, 42)는 고정축(46)이 제거된 상태에서 힌지축(45)을 중심으로 벌어짐 각도가 조절된다.Each
지상에서 로터(30)를 조립한 이후 제1 및 제2 파트(41, 42)를 넓게 벌려 루트부(321) 바깥에 그리퍼(40)를 위치시키고, 제1 및 제2 파트(41, 42)를 좁혀 루트부(321) 바깥에 그리퍼(40)를 밀착시킨 후 고정축(46)을 끼워 제1 및 제2 파트(41, 42)를 고정시킬 수 있다.The first and
이때 루트부(321)와 접하는 그리퍼(40)의 내면에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소재의 완충부(47)가 위치하여 금속 소재의 그리퍼(40)와의 접촉에 따른 루트부(321)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의 그리퍼(40)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착탈식으로 루트부(321)에 체결되어 루트부(321)에 고정될 수 있는 구성이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At this time, a rubber or
로터(30)와 리프팅 장치(200)는 각각 세 개의 블레이드(32)와 세 개의 그리퍼(4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연결빔(51)은 세 개의 그리퍼(40) 중 두 개의 그리퍼(40)를 연결하고, 제2 연결빔(52)은 제1 연결빔(51)과 멀리 떨어진 나머지 그리퍼(40)와 제1 연결빔(51)을 연결한다.The
제1 연결빔(51)은 허브(31)의 원주 방향 외측에서 허브(31)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위치한다. 제1 연결빔(51)은 직선빔일 수 있으며, 제1 연결빔(51)의 양 단부는 두 개의 그리퍼(40) 각각의 힌지축(45) 설치 부위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연결빔(51)은 로터(30)가 수직하게 세워진 이후 지면과 대략 나란하게 위치한다.The first connecting
제2 연결빔(52)은 직선 모양의 제1 연결빔(51)과 달리 원호(圓弧) 모양으로 형성된다. 제2 연결빔(52)은 유선형으로 이루어진 허브(31)의 앞부분을 둘러싸며, 허브(31)와 접하지 않도록 소정의 곡률을 가진 원호 모양으로 형성된다. 제2 연결빔(52)의 일단은 제1 연결빔(51)의 중앙부에 고정되고, 반대측 단부는 나머지 그리퍼(40)의 힌지축(45) 설치 부위에 고정될 수 있다.The
이로써 세 개의 그리퍼(40)는 허브(31)의 원주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빔(51)과 허브(31)의 앞부분을 원호 모양으로 둘러싸는 제2 연결빔(52)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다.Whereby the three
이동 대차(60)는 기중기의 와이어 설치를 위한 결합부(61)를 구비하며, 제2 연결빔(52) 상에서 제2 연결빔(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결합부(61)는 와이어의 단부에 고정된 후크를 거는 고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부(70)는 제2 연결빔(52)과 이동 대차(60)에 연결 설치되어 제2 연결빔(52) 상에서 이동 대차(60)를 움직인다.The moving
이동 대차(60)는 결합부(61)를 구비한 제1 이동 대차(62)와, 결합부(61)를 구비하지 않은 제2 이동 대차(63)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이동 대차(62, 63)는 제2 연결빔(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위치하며, 제1 이동 대차(62)가 제2 이동 대차(63)보다 제1 연결빔(51)에 가깝게 위치한다.The moving
제1 이동 대차(62)는 로터(30)의 설치 과정에서 제2 연결빔(52)의 중앙 및 제1 연결빔(51)과 접하는 제2 연결빔(52)의 단부 사이를 이동한다. 그리고 제2 이동 대차(63)는 그리퍼(40)와 접하는 제2 연결빔(52)의 단부와 제1 이동 대차(62) 사이를 이동한다.The first moving
제2 연결빔(52)의 양 측면에는 가이드 레일(53)이 설치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이동 대차(62, 63)는 가이드 레일(53)에 맞물려 가이드 레일(5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오목한 가이드 레일(53)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가이드 레일(53)의 형상은 도시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구동부(70)는 제1 및 제2 이동 대차(62, 63)에 연결 설치된 제1 구동부(71)와, 제2 연결빔(52) 또는 그리퍼(40)와 제2 이동 대차(63)에 연결 설치된 제2 구동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구동부(71, 72) 각각은 유압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The driving
제1 구동부(71)는 제2 이동 대차(63)의 측면에 힌지 결합된 실린더(711)와, 제1 이동 대차(62)의 측면에 힌지 결합된 피스톤 로드(712)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구동부(72)는 제2 연결빔(52) 또는 그리퍼(40)에 힌지 결합된 실린더(721)와, 제2 이동 대차(63)의 측면에 힌지 결합된 피스톤 로드(722)로 구성될 수 있다.The
제1 및 제2 구동부(71, 72)의 양단이 제1 및 제2 이동 대차(62, 63) 및 제2 연결빔(52)에 힌지 결합됨에 따라, 제1 및 제2 이동 대차(62, 63)는 원호 모양의 궤적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As both ends of the first and
제2 구동부(72)의 작동으로 그리퍼(40)와 접하는 제2 연결빔(52)의 단부에 대한 제1 및 제2 이동 대차(62, 63)의 상대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구동부(71)의 작동으로 제2 이동 대차(63)에 대한 제1 이동 대차(62)의 상대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결합부(61)를 구비한 제1 이동 대차(62)는 제1 구동부(71)와 제2 구동부(72)의 작동에 따라 2단계에 걸쳐 위치가 조절된다.The relative distance of the first and second moving
구동부(70)는 전술한 유압 실린더 타입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제2 연결빔(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이동 대차(62)를 밀어 움직일 수 있는 기계적 구성이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The driving
도 2에서는 이동 대차(60) 및 구동부(70)가 각각 두 개인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제2 이동 대차(63) 없이 하나의 구동부(70)가 제2 연결빔(52)과 제1 이동 대차(62) 사이에 설치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제1 이동 대차(62)가 제1 연결빔(51)과 접하는 제2 연결빔(52)의 단부로 이동할 때 구동부(70)가 허브(31)와 접촉하지 않도록 제2 연결빔(52)과 허브(31)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2 shows a case in which two moving
제2 연결빔(52) 상에 두 개의 이동 대차(62, 63)와 두 개의 구동부(71, 72)가 설치되는 경우, 제1 및 제2 구동부(71, 72)는 작동 과정에서 제2 연결빔(52)으로부터 크게 벗어나지 않으므로 제2 연결빔(52)과 허브(31) 사이의 거리를 크게 확보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제1 이동 대차(62)의 움직임에 따라 로터(30)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켜 로터(30) 설치 과정에서 로터(30)를 회전시킬 수 있다.When two movin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의 설치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nstalling a r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고하면, 로터의 설치 방법은 지상에서 로터를 조립하는 제1 단계(S10)와, 로터에 리프팅 장치를 설치한 후 기중기의 와이어를 리프팅 장치에 연결하는 제2 단계(S20)와, 기중기를 이용하여 로터를 수평 상태로 들어 올리는 제3 단계(S30)와, 구동부를 작동시켜 로터를 수직하게 세우는 제4 단계(S40)와, 세워진 로터를 나셀에 설치하는 제5 단계(S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a method of installing a rotor includes a first step (S10) of assembling a rotor on the ground, a second step (S20) of connecting a wire of a crane to a lifting device after installing a lifting device on the rotor, A third step (S30) of lifting the rotor in a horizontal state using a crane, a fourth step (S40) of operating the drive unit to raise the rotor vertically, and a fifth step (S50) of installing the rotor in the nacelle .
도 4는 도 3의 제1 단계 내지 제3 단계를 나타낸 로터와 리프팅 장치의 사시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or and lifting device showing the first through third steps of FIG. 3;
도 4를 참고하면, 제1 단계(S10)에서 지면에 설치된 가대(도시하지 않음) 상에 허브(31)의 앞부분이 위를 향하도록 허브(31)를 배치한다. 그리고 허브(3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블레이드(32)를 설치하여 로터(30)를 조립한다. 이때 복수의 블레이드(32)는 지면과 대략 나란하게 위치한다.Referring to FIG. 4, the
제2 단계(S20)에서 로터(30)에 리프팅 장치(200)를 설치한다. 즉 복수의 블레이드(32) 각각의 루트부(321)에 그리퍼(40)를 끼워 고정시키고, 제1 이동 대차(62)의 결합부(61)에 기중기의 와이어(80)를 연결한다. 이때 제1 이동 대차(62)는 제2 연결빔(52)의 중앙에 위치한다.The
제3 단계(S30)에서 기중기를 작동시켜 로터(30)를 수평 상태로 들어 올린다. 이때 제1 이동 대차(62)의 결합부(61)가 로터(30)의 무게 중심에 위치하므로 로터(30)를 기울어짐 없이 수평 상태 그대로 들어 올릴 수 있다. 로터(30)를 수직하게 세워도 블레이드(32)가 지면에 닿지 않는 높이까지 로터(30)를 들어 올린다.In the third step S30, the crane is operated to lift the
도 5와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제4 단계를 나타낸 로터와 리프팅 장치의 사시도이다.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rotor and the lifting device showing the fourth step shown in Fig.
도 5와 도 6을 참고하면, 제4 단계(S40)에서 제1 및 제2 구동부(71, 72)를 작동시켜 제1 이동 대차(62)를 제1 연결빔(51)을 향해 이동시킨다. 먼저 제1 및 제2 구동부(71, 72)의 피스톤 로드(712, 722)를 확장시켜 제1 및 제2 이동 대차(62, 63)를 제1 연결빔(51)을 향해 이동시킨다(도 5).5 and 6, the first and
그러면 제1 이동 대차(62)가 제2 연결빔(52)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면서 로터(30)의 무게 중심이 이동하고, 제1 연결빔(51)과 멀리 떨어진 블레이드(32)가 아래를 향하면서 로터(30)가 세워지기 시작한다.The center of gravity of the
이어서 제1 및 제2 구동부(71, 72)의 피스톤 로드(712, 722)를 최대로 확장시켜 제1 이동 대차(62)를 제1 연결빔(51)과 접하는 제2 연결빔(52)의 단부까지 이동시킨다(도 6). 그러면 제1 연결빔(51)과 멀리 떨어진 블레이드(32)가 지면에 대해 대략 수직하게 세워지면서 로터(30) 전체가 세워진다.The
이후 세워진 로터(30)를 도시하지 않은 나셀에 설치하여 로터(30) 설치를 완성한다. 그리고 블레이드(32)로부터 그리퍼(40)를 분리시켜 로터(30)와 리프팅 장치(200)의 조립을 해제하고, 기중기를 이용하여 리프팅 장치(200)를 지상으로 내린다.The erected
전술한 로터(30)의 설치 방법에 따르면, 허브(31) 상에 리프팅 포인트를 마련하지 않아도 되므로 허브(31)의 중량을 낮출 수 있고, 로터(30)의 설계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한 대의 기중기를 사용하여 로터(30)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 시간을 단축시키고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installing th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Of course.
30: 로터 31: 허브
32: 블레이드 321: 루트부
200: 리프팅 장치 40: 그리퍼
51: 제1 연결빔 52: 제2 연결빔
62: 제1 이동 대차 63: 제2 이동 대차
71: 제1 구동부 72: 제2 구동부30: rotor 31: hub
32: blade 321: root portion
200: lifting device 40: gripper
51: first connecting beam 52: second connecting beam
62: first moving truck 63: second moving truck
71: first driving part 72: second driving part
Claims (12)
상기 복수의 그리퍼 중 이웃한 두 개의 그리퍼를 연결하는 제1 연결빔;
상기 복수의 그리퍼 중 나머지 그리퍼와 상기 제1 연결빔을 연결하는 제2 연결빔;
기중기의 와이어 설치를 위한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연결빔 상에서 상기 제2 연결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대차; 및
상기 이동 대차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이동 대차를 움직이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로터의 리프팅 장치.A plurality of grippers installed in a root por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lades coupled to the hub;
A first connection beam connecting two neighboring grippers of the plurality of grippers;
A second connection beam connecting the remaining one of the plurality of grippers with the first connection beam;
A moving carriage having a coupling portion for wire installation of the crane and movably installed on the second coupling beam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upling beam; And
And a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moving truck to move the moving truck.
상기 복수의 그리퍼 각각은,
힌지축에 의해 결합된 반고리 모양의 제1 및 제2 파트; 및
상기 제1 및 제2 파트 각각의 단부에 결합된 고정축을 포함하는 로터의 리프팅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grippers comprises:
A first and a second part of a ring-shaped shape coupled by a hinge axis; And
And a stationary shaft coupled to an end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arts.
상기 복수의 그리퍼 각각은 루트부와 접하는 내면에 완충부를 형성하는 로터의 리프팅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said plurality of grippers forming a cushion on an inn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root portion.
상기 제1 연결빔은 상기 허브의 원주 방향 외측에 위치하며 직선빔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연결빔은 상기 허브의 앞부분을 둘러싸며 원호 모양으로 형성되는 로터의 리프팅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necting beam is located outside the circumference of the hub and is comprised of a straight beam,
And the second connection beam is formed in an arc shape surrounding the front portion of the hub.
상기 이동 대차는,
상기 결합부를 구비한 제1 이동 대차; 및
상기 결합부를 구비하지 않은 제2 이동 대차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대차는 상기 제2 연결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로터의 리프팅 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The moving bogie,
A first moving truck having the engaging portion; And
And a second moving truck which does not have the engag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ogie are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beam.
상기 제1 이동 대차는 상기 제2 연결빔의 중앙 및 상기 제1 연결빔과 접하는 상기 제2 연결빔의 단부 사이를 이동하며,
상기 제2 이동 대차는 상기 그리퍼와 접하는 상기 제2 연결빔의 단부와 상기 제1 이동 대차 사이를 이동하는 로터의 리프팅 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moving carriage moving between a center of the second connecting beam and an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beam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ing beam,
Wherein the second moving bogie moves between the first moving bogie and th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beam in contact with the gripper.
상기 제2 연결빔의 양 측면에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대차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맞물려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로터의 리프팅 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Guide rail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connection beam,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moving carts engage with the guide rails and move along the guide rails.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대차에 연결 설치된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연결빔과 상기 그리퍼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2 이동 대차에 연결 설치된 제2 구동부를 포함하는 로터의 리프팅 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The driving unit includes:
A first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moving bogies; And
And a second driving unit connected to any one of the second connection beam and the gripper and the second moving carriage.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2 이동 대차의 측면에 힌지 결합된 실린더와, 상기 제1 이동 대차의 측면에 힌지 결합된 피스톤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2 연결빔과 상기 그리퍼 중 어느 하나에 힌지 결합된 실린더와, 상기 제2 이동 대차의 측면에 힌지 결합된 피스톤 로드를 포함하는 로터의 리프팅 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driving portion includes a cylinder hinged to a side of the second moving truck and a piston rod hinged to a side of the first moving truck,
Wherein the second driving portion includes a cylinder hinged to either the second connecting beam and the gripper, and a piston rod hinged to a side of the second moving truck.
지상에서 허브에 복수의 블레이드를 설치하여 로터를 조립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각각의 루트부에 상기 그리퍼를 설치하고, 상기 이동 대차의 결합부에 기중기의 와이어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기중기를 이용하여 상기 로터를 수평 상태로 들어 올리는 단계;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이동 대차를 움직임으로써 상기 로터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켜 상기 로터를 세우는 단계; 및
상기 세워진 로터를 나셀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터의 설치 방법.A method of installing a rotor using th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Assembling the rotor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blades on the hub at the ground;
Attaching the gripper to a root por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lades, and connecting a wire of a crane to an engaging portion of the moving truck;
Lifting the rotor to a horizontal state using the crane;
Mov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rotor by moving the moving truck by operating the driving unit; And
And installing the erected rotor in a nacelle.
상기 로터를 세우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연결빔을 향해 상기 이동 대차를 점진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중 상기 제1 연결빔과 멀리 떨어진 하나의 블레이드가 아래를 향하도록 하는 로터의 설치 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tep of raising the rotor gradually moves the moving bobbins toward the first connecting beam such that one of the plurality of blades is away from the first connecting bea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42849A KR101508623B1 (en) | 2013-11-22 | 2013-11-22 | Lifting device of rotor for wind turbine generator and install method of rotor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42849A KR101508623B1 (en) | 2013-11-22 | 2013-11-22 | Lifting device of rotor for wind turbine generator and install method of rotor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08623B1 true KR101508623B1 (en) | 2015-04-08 |
Family
ID=53033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42849A Expired - Fee Related KR101508623B1 (en) | 2013-11-22 | 2013-11-22 | Lifting device of rotor for wind turbine generator and install method of rotor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08623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527739A (en) | 2002-05-27 | 2005-09-15 | ヴェスタス,ウィンド,システムズ エー/エス | Method for handling wind turbine blades, method for attaching said blades to a wind turbine, and system and gripping device for handling wind turbine blades |
US20090324380A1 (en) | 2007-01-24 | 2009-12-31 | Gunnar Kamp Storgaard Pedersen | Method for moving a wind turbine component, such as a wind turbine hub, from a transportation position to a wind turbine assembly position in or on the nacelle, the main shaft or the hub, a Handling unit, a Wind turbine hub and Use hereof |
US20130045110A1 (en) | 2009-09-07 | 2013-02-21 | Suzlon Engergy Gmbh | Lifting device for a rotor of a wind turbine |
KR20130084458A (en) * | 2012-01-17 | 2013-07-25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Apparatus for moving blade of wind turbine generator, method for repairing the pitch bearing using the same and wind turbine generator having the same |
-
2013
- 2013-11-22 KR KR20130142849A patent/KR10150862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527739A (en) | 2002-05-27 | 2005-09-15 | ヴェスタス,ウィンド,システムズ エー/エス | Method for handling wind turbine blades, method for attaching said blades to a wind turbine, and system and gripping device for handling wind turbine blades |
US20090324380A1 (en) | 2007-01-24 | 2009-12-31 | Gunnar Kamp Storgaard Pedersen | Method for moving a wind turbine component, such as a wind turbine hub, from a transportation position to a wind turbine assembly position in or on the nacelle, the main shaft or the hub, a Handling unit, a Wind turbine hub and Use hereof |
US20130045110A1 (en) | 2009-09-07 | 2013-02-21 | Suzlon Engergy Gmbh | Lifting device for a rotor of a wind turbine |
KR20130084458A (en) * | 2012-01-17 | 2013-07-25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Apparatus for moving blade of wind turbine generator, method for repairing the pitch bearing using the same and wind turbine generator hav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46446B2 (en) |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components from a wind power turbine | |
US10865077B2 (en) | System for assembling/disassembling windmills | |
JP6285546B2 (en) | Assembly and method for lifting a load | |
CN110944928B (en) | Lifting assembly for lifting a component to a wind turbin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
EP2746571B1 (en) | Wind turbine assembly system | |
DK2374966T3 (en) | A method of building a hybrid tower for a wind turbine | |
US9260875B2 (en) | Support arrangement of a wind turbine tower | |
EP2784310B1 (en) | Wind turbine tower section, a wind turbine having such tower section and method for forming such tower section | |
KR20140002751A (en) | Method for accessing the outer surface of wind turbine towers and device for use with this method | |
EP3260409B1 (en) | Method of assembling a wind turbine | |
EP4095086B1 (en) | Crane assemblies and methods for erecting towers and wind turbines | |
CN203715100U (en) | Part replacement device and part replacement system of wind driven generator | |
CN102628420A (en) | A wind turbine generator with a lifting device | |
EP2786953A1 (en) | Wind power generator | |
CN105439005A (en) | A crane | |
KR20190009359A (en) | Climbing device for performing movement to a tow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tower | |
CN103754772B (en) | The part replacement device of wind-driven generator, system and method | |
EP2495433B1 (en) | Wind turbine and method for lifting a gearbox torque arm | |
KR101508623B1 (en) | Lifting device of rotor for wind turbine generator and install method of rotor using the same | |
EP2857615A1 (en) | Mounting method and mounting device of a concrete tower formed with precast pieces | |
CN203529784U (en) | Wind power maintenance machine | |
KR101317384B1 (en) | The hoisting and installing method and apparatus of wind turbines by using the self tower | |
CN109502487B (en) | Tower crane with various cargo booms | |
WO2016076683A1 (en) | Method for mounting a tower support | |
JP7593555B2 (en) | Wind turbine assembly method and assembly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30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3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3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