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516B1 - In-line Test Handler - Google Patents
In-line Test Handl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08516B1 KR101508516B1 KR20130163925A KR20130163925A KR101508516B1 KR 101508516 B1 KR101508516 B1 KR 101508516B1 KR 20130163925 A KR20130163925 A KR 20130163925A KR 20130163925 A KR20130163925 A KR 20130163925A KR 101508516 B1 KR101508516 B1 KR 1015085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st
- test tray
- chamber
- unit
- test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6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7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9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3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11179 visual insp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160 loading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ositioning, orientation or align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30—Structur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r specially adapted for reliability measur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스트될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 트레이에 수납시키는 로딩공정 및 테스트된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 트레이로부터 분리하는 언로딩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N개(N은 0보다 큰 정수)의 소팅부; 상기 소팅부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고, 테스트 트레이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장비에 접속시키기 위한 M개(M은 N보다 큰 정수)의 챔버부; N개의 소팅부 및 M개의 챔버부가 서로 인라인으로 연결되도록 테스트 트레이를 운반하는 컨베이어부; 및 반도체 소자가 제1온도로 테스트되는 제1테스트모드 및 반도체 소자가 상기 제1온도에 비해 낮은 제2온도로 테스트되는 제2테스트모드 간에 테스트모드가 전환되도록 상기 챔버부들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테스트모드 및 제2테스트모드로 작동하는 챔버부가 조합되도록 구현됨으로써 반도체 소자를 다양한 테스트조건으로 테스트할 수 있고, 챔버부에 성에가 형성된 후에도 계속하여 제2테스트모드로 테스트가 수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반도체 소자의 테스트 결과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N (N is an integer greater than 0) sorting unit for performing a loading process for accommodating a semiconductor device to be tested in a test tray and an unloading process for separating the tested semiconductor device from a test tray; M (M is an integer greater than N) chamber portion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orting portion and for connecting the semiconductor devices accommodated in the test tray to the test equipment; A conveyor portion for conveying the test tray such that the N sorting portions and the M chamber portions are inlin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each of the chamber sections so that the test mode is switched between a first test mode in which the semiconductor element is tested at a first temperature and a second test mode in which the semiconductor element is tested at a second temperature low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line test hand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miconductor device can be tested with various test conditions by being configured to be a combination of the chamber parts operating in the first test mode and the second test mode, and even after the casting is formed in the chamber par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test result of the semiconductor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 결과에 따라 등급별로 분류하기 위한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line test handler for classifying semiconductor devices into classes according to test results.
메모리 혹은 비메모리 반도체 소자, 모듈 IC 등(이하, '반도체 소자'라 함)은 여러 가지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들을 거쳐 제조된다. 이러한 장치들 중의 하나인 테스트 핸들러는 반도체 소자가 테스트되도록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장비에 접속시키고, 테스트된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 결과에 따라 등급별로 분류하는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반도체 소자는 테스트 결과 양품으로 분류됨으로써 제조가 완료된다.Memory or non-memory semiconductor devices, module IC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miconductor devices") are manufactured through devices that perform various processes. One of these devices is a device for performing a process of connecting a semiconductor device to a test equipment so that the semiconductor device is tested and classifying the tested semiconductor device into classes according to a test result. The semiconductor device is classified as a good product as a result of the test, thereby completing the manufactur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테스트 핸들러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test handl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테스트 핸들러(1000)는 고객트레이에 담겨진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 트레이(200)에 수납시키는 로딩유닛(1100), 테스트 트레이(200)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장비에 접속시키는 테스트유닛(1200), 및 테스트된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 결과에 따라 등급별로 분류하여 고객트레이에 수납시키는 언로딩유닛(1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상기 로딩유닛(1100)은 테스트된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 트레이(200)에 수납시키는 로딩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로딩유닛(1100)은 테스트될 반도체 소자가 담겨진 고객트레이를 저장하는 로딩스택커(1110), 및 테스트될 반도체 소자를 고객트레이에서 테스트 트레이(200)로 이송하는 로딩픽커(1120)를 포함한다. 테스트 트레이(200)는 테스트될 반도체 소자가 수납되면, 상기 테스트유닛(1200)으로 이송된다.The
상기 테스트유닛(1200)은 테스트 트레이(200)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장비(400)에 접속시키는 테스트공정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상기 테스트장비(400)는 테스트 트레이(200)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테스트 트레이(200)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한다. 반도체 소자에 대한 테스트가 완료되면, 테스트 트레이(200)는 상기 언로딩유닛(1300)으로 이송된다.The
상기 언로딩유닛(1300)은 테스트된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 트레이(200)로 분리하는 언로딩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언로딩유닛(1300)은 테스트된 반도체 소자를 담기 위한 고객트레이를 저장하는 언로딩스택커(1310), 및 테스트된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 트레이(200)에서 고객트레이로 이송하는 언로딩픽커(1320)를 포함한다. 테스트된 반도체 소자가 고객트레이로 이송됨에 따라 테스트 트레이(200)가 비게 되면, 비어 있는 테스트 트레이(200)는 다시 상기 로딩유닛(1100)으로 이송된다.The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테스트 핸들러(1000)는 하나의 장치 안에서 테스트 트레이(200)를 순환 이동시키면서 상기 로딩공정, 상기 테스트공정 및 상기 언로딩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테스트 핸들러(1000)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Thus, the
첫째, 최근 기술 발전에 따라 하나의 테스트 트레이(200)를 기준으로 상기 로딩유닛(1100)이 로딩공정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고 있다. 반면, 상기 테스트장비(400)는 반도체 소자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반도체 소자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등에 따라 하나의 테스트 트레이(200)를 기준으로 테스트공정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테스트 트레이(200)를 기준으로 테스트공정이 로딩공정에 비해 더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되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테스트 핸들러(1000)는 로딩공정이 완료된 테스트 트레이(200)를 상기 테스트유닛(1200)으로 곧바로 이송하지 못하고, 상기 테스트유닛(1200)에서 테스트공정이 완료될 때까지 테스트 트레이(200)를 상기 로딩유닛(1100)에서 대기시켜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테스트 트레이(200)가 상기 로딩유닛(1100)에서 대기하는 시간이 발생함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테스트 핸들러(1000)는 상기 로딩유닛(1100)이 다음 테스트 트레이(200)에 대해 로딩공정을 수행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도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First, according to recent technological developments, the time taken for the
둘째, 상기 로딩공정과 마찬가지로 상기 언로딩유닛(1300)이 언로딩공정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 또한 단축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테스트공정이 완료될 때까지 테스트 트레이(200)가 상기 로딩유닛(1100)에서 대기하여야 하므로, 종래 기술에 따른 테스트 핸들러(1000)는 언로딩공정이 완료된 테스트 트레이(200)를 상기 로딩유닛(1100)으로 곧바로 이송하지 못하고, 테스트 트레이(200)를 상기 언로딩유닛(1300)에서 대기시켜야 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테스트 핸들러(1000)는 상기 언로딩유닛(1100)이 다음 테스트 트레이(200)에 대해 언로딩공정을 수행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Second, the time required for the
셋째, 종래 기술에 따른 테스트 핸들러(1000)는 상기 로딩유닛(1100), 상기 테스트유닛(1200) 및 상기 언로딩유닛(1300) 중에서 어느 하나에만 고장이 발생해도,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나머지 구성 또한 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Third, th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로딩공정, 언로딩공정 및 테스트공정 각각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에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line test handler that can prevent a delay in the operation time even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ime required for performing each of the loading process, .
본 발명은 로딩공정, 테스트공정 및 언로딩공정 각각을 수행하는 장치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전체 작업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line test handler that can prevent an entire operation time from being affected even if a failure occurs in at least one of the devices performing the loading process, the test process, and the unloading process.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lude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는 테스트될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 트레이에 수납시키는 로딩공정 및 테스트된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 트레이로부터 분리하는 언로딩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N개(N은 0보다 큰 정수)의 소팅부; 상기 소팅부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고, 테스트 트레이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장비에 접속시키기 위한 M개(M은 N보다 큰 정수)의 챔버부; N개의 소팅부 및 M개의 챔버부가 서로 인라인으로 연결되도록 테스트 트레이를 운반하는 컨베이어부; 및 반도체 소자가 제1온도로 테스트되는 제1테스트모드 및 반도체 소자가 상기 제1온도에 비해 낮은 제2온도로 테스트되는 제2테스트모드 간에 테스트모드가 전환되도록 상기 챔버부들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line test hand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ading process for accommodating a semiconductor device to be tested in a test tray and a N (N is an integer greater than 0) sorting process for performing an unloading process for separating the tested semiconductor device from the test tray part; M (M is an integer greater than N) chamber portion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orting portion and for connecting the semiconductor devices accommodated in the test tray to the test equipment; A conveyor portion for conveying the test tray such that the N sorting portions and the M chamber portions are inlin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each of the chamber sections so that the test mode is switched between a first test mode in which the semiconductor element is tested at a first temperature and a second test mode in which the semiconductor element is tested at a second temperature low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이룰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chieved.
본 발명은 제1테스트모드 및 제2테스트모드로 작동하는 챔버부가 조합되도록 구현됨으로써 반도체 소자를 다양한 테스트조건으로 테스트할 수 있고, 챔버부에 성에가 형성된 후에도 계속하여 제2테스트모드로 테스트가 수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반도체 소자의 테스트 결과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such that the chamber portions operating in the first test mode and the second test mode are combined to test the semiconductor device under various test conditions and the test is continuously performed in the second test mode even after the casting is formed in the chamber por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test result of the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로딩공정, 언로딩공정 및 테스트공정 각각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고려하여 테스트 트레이를 효율적으로 분배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장비 가동률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테스트 트레이를 운반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distribute the test tray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taken to perform each of the loading process, the unloading process, and the test process, thereby improving the equipment operation rate and reducing the time taken to transport the test tray Can be shortened.
본 발명은 로딩공정, 언로딩공정 및 테스트공정 각각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에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반도체 소자에 대한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 delay in the operation time even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ime required to perform each of the loading process, the unloading process, and the test process, thereby improving the manufacturing yield of the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로딩공정, 언로딩공정 및 테스트공정 각각을 수행하는 장치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전체 시스템이 정지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시간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entire system from stopping even if a failure occurs in any one of the devices performing the loading process, the unloading process, and the testing process, thereby preventing the loss of the working time.
본 발명은 로딩공정과 언로딩공정을 수행하는 장치 및 테스트공정을 수행하는 장치를 배치하는 작업의 용이성과 배치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공정라인을 확장 또는 축소시키는 작업의 용이성과 이러한 작업에 소요되는 추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ease of placement and arrangement of the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loading and unloading processes and the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testing process, The additional cost of the operation can be reduc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테스트 핸들러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에 있어서 컨베이어기구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에 있어서 컨베이어기구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에 있어서 챔버부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에 있어서 챔버부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에 있어서 소팅부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에 있어서 좌표설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에 있어서 비젼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에 있어서 보관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에 있어서 보관부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에 있어서 승강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에 있어서 지지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 14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일부 절개도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에 있어서 보관부가 테스트 트레이를 보관위치에서 운반경로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에 있어서 보관부가 테스트 트레이를 운반경로에서 보관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에 있어서 대기위치, 운반경로, 및 보관위치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1 is a schematic top view of a test handl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schematic top view of an inline test hand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nveyor mechanism in an inline test hand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conveyor mechanism in an inline test hand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chamber part in an inline test hand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and 7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chamber part in the inline test hand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inline test hand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chematic top view of a sorting section in an inline test hand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 coordinate setting unit in the inline test hand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 vision part in the inline test hand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storage portion of the inline test hand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orage portion of the inline test hand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elevation unit in the inline test hand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n enlarged partial cutaway view of part A of Fig. 14 for explaining the support unit in the inline test hand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8 to 20 are schematic side 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moving the test tray from the storage position to the transport path in the inline test hand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1 to 23 are schematic side 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moving the test tray from the transport path to the storage position in the inline test hand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waiting position, the conveyance path, and the storage position in the inline test hand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line test hand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테스트 트레이(100)를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부(2), 테스트 트레이(100)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장비(300)에 접속시키는 테스트공정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챔버부(3), 상기 챔버부(3)들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부(4), 및 상기 챔버부(3)들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소팅부(5)를 포함한다.2, the
상기 소팅부(5)는 테스트될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 트레이(100)에 수납시키는 로딩공정 및 테스트된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 트레이(100)로부터 분리하는 언로딩공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N개(N은 0보다 큰 정수)의 소팅부(5) 및 M개(M은 N보다 큰 정수)의 챔버부(3)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상기 소팅부(5)에 비해 더 많은 개수의 챔버부(3)를 포함한다.The
상기 컨베이어부(2)는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 챔버부(3)와 소팅부(5) 간에 테스트 트레이(100)를 운반함으로써, 상기 로딩공정과 상기 언로딩공정을 수행하는 것에 대해 상기 테스트공정이 독립적으로 수행되도록 구현된다.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erefore, the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상기 로딩공정, 상기 언로딩공정 및 상기 테스트공정 각각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컨베이어부(2)가 테스트 트레이(100)를 효율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장비 가동률을 향상시킴으로써, 반도체 소자에 대해 로딩공정, 테스트공정, 및 언로딩공정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First, the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상기 컨베이어부(2)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 소팅부(5) 및 챔버부(3) 간에 테스트 트레이(100)를 운반하므로, 상기 소팅부(5) 및 상기 챔버부(3)를 배치하는 작업의 용이성과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상기 소팅부(5) 및 상기 챔버부(3) 간에 테스트 트레이(100)를 운반하기 위한 동선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소팅부(5) 및 상기 챔버부(3)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하나의 테스트 트레이(100)를 기준으로 상기 로딩공정, 상기 테스트공정 및 상기 언로딩공정이 완료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줄임으로써, 테스트된 반도체 소자에 대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상기 소팅부(5) 및 상기 챔버부(3)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추가되더라도, 상기 컨베이어부(2)가 테스트 트레이(100)를 운반하는 경로를 변경함으로써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상기 소팅부(5) 및 상기 챔버부(3)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추가 또는 제거하여 공정라인을 확장 또는 축소시키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러한 작업에 소요되는 추가 비용 또한 줄일 수 있다.Thirdly, the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상기 컨베이어부(2)가 상기 로딩공정과 상기 언로딩공정에 대해 상기 테스트공정이 독립적으로 수행되도록 테스트 트레이(100)를 운반하므로, 상기 챔버부(3) 및 상기 소팅부(5) 중에서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나머지 장치는 계속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상기 챔버부(3) 및 상기 소팅부(5) 중에서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전체 시스템이 정지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시간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ourthly, since the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상기 소팅부(5)에 비해 더 많은 개수의 챔버부(3)를 포함하도록 구현됨으로써, 하나의 테스트 트레이(100)를 기준으로 상기 로딩공정과 상기 언로딩공정에 비해 상기 테스트공정에 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인해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부(2)가 상기 챔버부(3)들 각각이 개별적으로 테스트 트레이(100)에 대한 테스트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테스트 트레이(100)를 운반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복수개의 테스트 트레이(100)에 대해 동시에 테스트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Fifth, the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상기 챔버부(3)에 비해 더 적은 개수의 소팅부(5)를 포함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소팅부(5)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상기 로딩공정, 상기 언로딩공정 및 상기 테스트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공정라인을 구성하는데 드는 장비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상기 소팅부(5)가 설치공간에서 차지하는 면적을 줄임으로써, 설치공간에 대한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Sixth, the
일곱째,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상기 소팅부(5)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상기 소팅부(5)를 유지, 관리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상기 소팅부(5) 및 상기 챔버부(3) 간에 테스트 트레이(100)를 운반하는 작업을 상기 컨베이어부(2)에 의해 자동으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작업을 없애거나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작업자의 수를 줄임으로써,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Seventh, the
여덟째,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상기 소팅부(5) 및 상기 챔버부(3)가 별개의 장치로 구성되므로, 상기 소팅부(5) 각각에 설치되는 기구 내지 장치들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상기 소팅부(5)에 대한 잼 레이트(Jam Rate)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상기 소팅부(5)에 잼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소팅부(5)가 정지하는 시간을 줄임으로써 상기 소팅부(5)에 대한 가동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number of mechanisms or devices provided in each of the sorting
이하에서는 상기 컨베이어부(2), 상기 챔버부(3), 상기 제어부(4), 및 상기 소팅부(5)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컨베이어부(2)는 상기 소팅부(5)에서 로딩공정이 완료된 테스트 트레이(100)가 상기 챔버부(3)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거쳐 테스트공정이 수행되도록 테스트 트레이(100)를 운반한다. 상기 컨베이어부(2)는 상기 챔버부(3)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거쳐 테스트공정이 완료된 테스트 트레이(100)가 상기 소팅부(5)에서 언로딩공정이 수행되도록 테스트 트레이(100)를 운반한다. 즉, 상기 컨베이어부(2)는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 챔버부(3) 및 소팅부(5)를 인라인(In-line)으로 연결한다. 상기 컨베이어부(2)는 테스트 트레이(100)를 운반하기 위한 복수개의 컨베이어기구(21)를 포함한다.2 to 4, the
상기 컨베이어기구(21)들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 챔버부(3) 및 소팅부(5)를 인라인으로 연결하기 위한 운반경로(P1)(도 4에 도시됨)를 따라 테스트 트레이(100)를 운반한다. 상기 컨베이어기구(21)들은 상기 운반경로(P1)를 따라 서로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예컨대, 상기 컨베이어기구(21)들 중에서 일부는 상기 챔버부(3)들이 설치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소팅부(5)에서 로딩공정이 완료된 테스트 트레이(100)가 상기 챔버부(3)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거쳐 테스트공정이 수행되도록 테스트 트레이(100)를 운반할 수 있다.For example, some of the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가 상기 소팅부(5)를 복수개 포함하는 경우, 상기 컨베이어기구(21)들 중에서 일부는 상기 소팅부(5)들이 설치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챔버부(3)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거쳐 테스트공정이 완료된 테스트 트레이(100)가 상기 소팅부(5)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서 언로딩공정이 수행되도록 테스트 트레이(100)를 운반할 수 있다.When the
상기 컨베이어기구(21)들 중에서 일부는, 상기 챔버부(3)들이 설치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설치된 컨베이어기구(21)들 및 상기 소팅부(5)들이 설치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설치된 컨베이어기구(21)들 각각에 연결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기구(21)들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 챔버부(3) 및 소팅부(5)를 인라인으로 연결할 수 있다.Some of the
상기 컨베이어기구(21)들은 각각 수직방향(Z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 제1컨베이어(211, 도 4에 도시됨) 및 제2컨베이어(212, 도 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제1컨베이어(211)는 제1운반경로(P1, 도 4에 도시됨)를 따라 테스트 트레이(100)를 운반한다. 상기 제1컨베이어(211)는 상기 제2컨베이어(212)의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컨베이어(211)는 상기 컨베이어기구(21)의 컨베이어본체(21a)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컨베이어(212)의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본체(21a)는 상기 제1컨베이어(211)가 바닥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컨베이어(211)를 지지한다.The
상기 제1컨베이어(211)는 테스트 트레이(100)를 지지하기 위한 제1운반벨트(211a), 상기 제1운반벨트(211a)를 순환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제1풀리(211b), 및 상기 제1풀리(211b)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작동기구(211c)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제1운반벨트(211a)는 내측에 상기 제1풀리(211b)들이 위치되도록 상기 제1풀리(211b)들에 감겨진다. 상기 제1운반벨트(211a)는 상기 제1풀리(211b)들이 회전함에 따라 순환 이동하면서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제1운반경로(P1)를 따라 운반할 수 있다.The
상기 제1풀리(211b)들은 상기 컨베이어본체(2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풀리(211b)들은 상기 제1운반경로(P1)와 동일한 방향으로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상기 컨베이어본체(21a)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풀리(211b)들은 상기 제1운반벨트(211a)에 지지된 테스트 트레이(100)가 상기 제1운반경로(P1)를 따라 운반되도록 상기 제1운반벨트(211a)를 순환 이동시킬 수 있다.The
상기 제1작동기구(211c)는 상기 제1풀리(211b)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풀리(211b)들은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운반벨트(211a)를 순환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운반벨트(211a)에 지지된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제1운반경로(P1)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작동기구(211c)는 상기 제1풀리(211b)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운반벨트(211a)에 지지된 테스트 트레이(100)를 전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작동기구(211c)는 상기 제1풀리(211b)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반시계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운반벨트(211a)에 지지된 테스트 트레이(100)를 후진 이동시킬 수 있다.The
상기 제1작동기구(211c)는 상기 제1풀리(211b)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모터는 상기 컨베이어본체(21a)에 결합된다. 상기 제1모터는 상기 제1풀리(211b)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 직접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풀리(211b)들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모터와 상기 제1풀리(211b)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회전축이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된 경우, 상기 제1작동기구(211c)는 제1연결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수단은 벨트, 체인 등일 수 있다. 상기 제1모터는 상기 제1연결수단을 통해 상기 제1풀리(211b)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작동기구(211c)는 상기 제1모터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The
상기 제2컨베이어(212)는 제2운반경로(P2, 도 4에 도시됨)를 따라 테스트 트레이(100)를 운반한다. 상기 제2컨베이어(212)는 상기 제1컨베이어(211)의 하측에 위치되게 설치됨으로써,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제2운반경로(P2)를 따라 운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기구(21)는 상기 수직방향(Z축 방항)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운반경로들(P1, P2)을 따라 복수개의 테스트 트레이(100)를 개별적으로 운반할 수 있다.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상기 챔버부(3) 또는 상기 소팅부(5)에 공급되기 위한 제1테스트 트레이(110, 도 4에 도시됨)가 상기 제1운반경로(P1)에 대기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2컨베이어(212)를 이용하여 제2테스트 트레이(120, 도 4에 도시됨)를 상기 제2운반경로(P2)를 따라 운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상기 제2테스트 트레이(120)가 상기 제1운반경로(P1)에서 대기하고 있는 제1테스트 트레이(110)를 회피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제2테스트 트레이(120)를 상기 제2운반경로(P2)를 따라 운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상기 제1컨베이어(211)에서 대기하고 있는 테스트 트레이(100)로 인해 다른 테스트 트레이(100)에 대한 운반작업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상기 로딩공정, 상기 언로딩공정 및 상기 테스트공정 각각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컨베이어부(2)가 테스트 트레이(100)를 더 효율적으로 분배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장비 가동률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The
상기 제2컨베이어(212)는 상기 컨베이어기구(21)의 컨베이어본체(21a)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컨베이어(211)의 하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본체(21a)는 상기 제2컨베이어(212)가 상기 제1컨베이어(211)와 바닥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2컨베이어(212)를 지지한다.The
상기 제2컨베이어(212)는 상기 제1컨베이어(211)가 테스트 트레이(100)를 운반하는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으로 테스트 트레이(100)를 운반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컨베이어(211)는 테스트 트레이(100)를 제1방향(A 화살표 방향, 도 3에 도시됨)으로 운반할 수 있고, 상기 제2컨베이어(211)는 테스트 트레이(100)를 제2방향(B 화살표 방향, 도 3에 도시됨)으로 운반할 수 있다. 상기 제2방향(B 화살표 방향)은 상기 제1방향(A 화살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이다. 이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부(2)는 상기 제1운반경로(P1)를 따라 배치되는 제1컨베이어(211)들이 상기 제1방향(A 화살표 방향)으로 운반되는 테스트 트레이(100)를 전담하여 운반하고, 상기 제2운반경로(P2)를 따라 배치되는 제2컨베이어(212)들이 상기 제2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운반되는 테스트 트레이(100)를 전담하여 운반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00)는 상기 제1방향(A 화살표 방향)으로 운반되는 테스트 트레이(100) 및 상기 제2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운반되는 테스트 트레이(100)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테스트 트레이(100)들이 서로 충돌함에 따라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테스트 트레이(100)를 운반하는 작업에 대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상기 제2컨베이어(212)는 상기 챔버부(3)를 거쳐 상기 소팅부(5)로 공급될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제2운반경로(P2)를 따라 운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컨베이어(211)는 상기 챔버부(3)에 공급된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제1운반경로(P1)를 따라 운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부(2)는 상기 제1운반경로(P1)를 따라 배치되는 제1컨베이어(211)들이 상기 챔버부(3)에 공급된 테스트 트레이(100)를 전담하여 운반하고, 상기 제2운반경로(P2)를 따라 배치되는 제2컨베이어(212)들이 상기 챔버부(3)를 거쳐 상기 소팅부(5)로 공급될 테스트 트레이(100)를 전담하여 운반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00)는 상기 챔버부(3)를 거쳐 테스트공정이 완료된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소팅부(5)로 운반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테스트 완료된 반도체 소자를 등급별로 분류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The
상기 제2컨베이어(212)는 테스트 트레이(100)를 지지하기 위한 제2운반벨트(212a), 상기 제2운반벨트(212a)를 순환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제2풀리(212b), 및 상기 제2풀리(212b)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작동기구(212c)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제2운반벨트(212a)는 내측에 상기 제2풀리(212b)들이 위치되도록 상기 제2풀리(212b)들에 감겨진다. 상기 제2운반벨트(212a)는 상기 제2풀리(212b)들이 회전함에 따라 순환 이동하면서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제2운반경로(P2)를 따라 운반할 수 있다. 상기 제2운반벨트(212a)는 상기 제1운반벨트(211a)의 하측에 위치되게 설치된다.The
상기 제2풀리(212b)들은 상기 컨베이어본체(2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풀리(212b)들은 상기 제2운반경로(P2)와 동일한 방향으로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상기 컨베이어본체(21a)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풀리들(212b)들은 상기 제2운반벨트(212a)에 지지된 테스트 트레이(100)가 상기 제2운반경로(P2)를 따라 운반되도록 상기 제2운반벨트(212a)를 순환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풀리들(212b)들은 상기 제2운반벨트(212a)가 상기 제1운반벨트(211a)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풀리들(211b)의 하측에 위치되게 상기 컨베이어본체(21a)에 결합된다.The
상기 제2작동기구(212c)는 상기 제2풀리(212b)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풀리(212b)들은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2운반벨트(212a)를 순환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운반벨트(212a)에 지지된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제2운반경로(P2)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작동기구(212c)는 상기 제2풀리(212b)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운반벨트(212a)에 지지된 테스트 트레이(100)를 전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작동기구(212c)는 상기 제2풀리(212b)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반시계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운반벨트(212a)에 지지된 테스트 트레이(100)를 후진 이동시킬 수 있다.The
상기 제2작동기구(212c) 및 상기 제1작동기구(211c)는 각각 테스트 트레이(100)를 동일한 방향으로 운반할 수도 있고,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운반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기구(21)는 상기 수직방향(Z축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운반경로들(P1, P2)을 따라 복수개의 테스트 트레이(100)를 개별적으로 운반할 수 있다.The
상기 제2작동기구(212c)는 상기 제2풀리(212b)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모터는 상기 컨베이어본체(21a)에 결합된다. 상기 제2모터는 상기 제2풀리(212b)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 직접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풀리(212b)들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모터와 상기 제2풀리(212b)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회전축이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된 경우, 상기 제2작동기구(212c)는 제2연결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수단은 벨트, 체인 등일 수 있다. 상기 제2모터는 상기 제2연결수단을 통해 상기 제2풀리(212b)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작동기구(212c)는 상기 제2모터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The
도 4에는 상기 컨베이어기구(21)가 2개의 컨베이어들(211, 212)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컨베이어기구(21)는 상기 수직방향(Z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3개 이상의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컨베이어부(2)는 상기 수직방향(Z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3개 이상의 운반경로를 따라 테스트 트레이(100)를 운반할 수 있다.4, the
도 2,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챔버부(3)는 상기 테스트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챔버부(3)는 테스트 트레이(100)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장비(300, 도 5에 도시됨)에 접속시킴으로써, 상기 테스트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장비(300)는 반도체 소자가 접속됨에 따라 반도체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한다. 테스트 트레이(100)는 복수개의 반도체 소자를 수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챔버부(3)는 복수개의 반도체 소자를 상기 테스트장비(300)에 접속시킬 수 있다. 상기 테스트장비(300)는 복수개의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장비(300)는 하이픽스보드(Hi-Fix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2, 5 to 7, the
상기 챔버부(3)는 상기 테스트공정이 이루어지는 제1챔버(31, 도 5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상기 제1챔버(31)에는 상기 테스트장비(300)가 설치된다. 상기 테스트장비(300)는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제1챔버(31) 내부에 삽입되게 설치된다. 상기 테스트장비(300)는 테스트 트레이(100)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들이 접속되는 테스트소켓들(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테스트장비(300)는 상기 테스트 트레이(100)에 수납되는 반도체 소자들의 개수와 대략 일치하는 개수의 테스트소켓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테스트 트레이(100)는 64개, 128개, 256개, 512개 등의 반도체 소자들을 수납할 수 있다. 테스트 트레이(100)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들이 상기 테스트소켓들에 접속되면, 상기 테스트장비(300)는 상기 테스트소켓들에 접속된 반도체 소자들을 테스트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31)는 상기 테스트장비(300)가 삽입되는 부분이 개방되게 형성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챔버부(3)는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테스트장비(300)에 접속시키기 위한 콘택유닛(32, 도 5에 도시됨)을 포함한다. 상기 콘택유닛(32)은 상기 제1챔버(31)에 설치된다. 상기 콘택유닛(32)은 테스트 트레이(100)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들을 상기 테스트장비(300)에 접속시킨다. 상기 콘택유닛(32)은 테스트 트레이(100)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들을 상기 테스트장비(300)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콘택유닛(32)이 테스트 트레이(100)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들을 상기 테스트장비(30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테스트 트레이(100)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들은 상기 테스트장비(300)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상기 테스트장비(300)는 반도체 소자들을 테스트할 수 있다. 반도체 소자들에 대한 테스트가 완료되면, 상기 콘택유닛(32)은 테스트 트레이(100)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들을 상기 테스트장비(3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e
테스트 트레이(100)에는 반도체 소자들을 수납하기 위한 캐리어모듈들이 설치된다. 상기 캐리어모듈들은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도체 소자를 수납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모듈들은 각각 스프링(미도시)들에 의해 테스트 트레이(100)에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콘택유닛(32)이 테스트 트레이(100)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들을 상기 테스트장비(30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밀면, 상기 캐리어모듈들이 상기 테스트장비(30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콘택유닛(32)이 테스트 트레이(100)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들을 밀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캐리어모듈들은 스프링이 갖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테스트장비(3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콘택유닛(32)이 상기 캐리어모듈들과 반도체 소자들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테스트 트레이(100)가 함께 이동할 수도 있다.The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콘택유닛(32)은 테스트 트레이(100)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들에 접촉되기 위한 복수개의 콘택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택소켓들은 테스트 트레이(100)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들에 접촉되어 반도체 소자들을 이동시킴으로써, 반도체 소자들을 상기 테스트장비(300)에 접속시킬 수 있다. 상기 콘택유닛(32)은 테스트 트레이(100)에 수납되는 반도체 소자들의 개수와 대략 일치하는 개수의 콘택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택유닛(32)은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를 이용한 실린더방식, 모터와 볼스크류 등을 이용한 볼스크류방식, 모터와 랙기어와 피니언기어 등을 이용한 기어방식, 모터와 풀리와 벨트 등을 이용한 벨트방식, 코일과 영구자석 등을 이용한 리니어모터 등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도 2,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챔버부(3)는 상기 테스트장비(300, 도 5에 도시됨)가 상온의 환경에서 뿐만 아니라, 고온 또는 저온의 환경에서도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할 수 있도록, 제2챔버(33)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2 and 5 to 7, the
상기 제2챔버(33)는 상기 제1챔버(31)에 연결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2챔버(33)는 테스트 트레이(100)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를 상기 제1챔버(31)에서 테스트되는 테스트온도로 조절한다. 상기 제2챔버(33)에 위치된 테스트 트레이(100)는 상기 소팅부(5)에 의해 테스트될 반도체 소자가 수납된 것으로, 상기 컨베이어부(2, 도 2에 도시됨)에 의해 상기 챔버부(3) 쪽으로 운반된 후에 상기 제2챔버(33)로 이송된 것이다. The second chamber (33) is connected to the first chamber (31). The
상기 제2챔버(33)는 테스트 트레이(100)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1온도조절유닛(331, 도 5에 도시됨) 및 제2온도조절유닛(332, 도 5에 도시됨)을 포함한다.5) and a second temperature regulating unit 332 (see FIG. 5) f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of the semiconductor element accommodated in the
상기 제1온도조절유닛(331)은 테스트 트레이(100)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의 온도를 제1온도로 조절한다. 상기 제1온도는 상온에 비해 높은 온도로, 반도체 소자가 제품에 설치되어 작동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온도에 대응되는 온도이다. 상온은 15도 ~ 20도 정도의 온도를 의미한다. 상기 제1온도는 반도체 소자의 종류, 반도체 소자가 설치되는 제품의 종류, 제품이 설치되는 주변 환경의 온도 등에 따라 작업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온도는 80도일 수 있다. 상기 제1온도조절유닛(331)은 상기 제2챔버(33)의 내부를 가열함으로써, 테스트 트레이(100)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의 온도를 상기 제1온도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온도조절유닛(331)은 전열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온도조절유닛(331)은 상기 제2챔버(33) 내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상기 제2온도조절유닛(332)은 테스트 트레이(100)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의 온도를 제2온도로 조절한다. 상기 제2온도는 상기 제1온도에 비해 낮은 온도이다. 상기 제2온도는 상온에 비해 낮은 온도로, 반도체 소자가 제품에 설치되어 작동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온도에 대응되는 온도이다. 상기 제2온도는 반도체 소자의 종류, 반도체 소자가 설치되는 제품의 종류, 제품이 설치되는 주변 환경의 온도 등에 따라 작업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온도는 0도일 수 있다. 상기 제2온도조절유닛(332)은 상기 제2챔버(33)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테스트 트레이(100)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의 온도를 상기 제2온도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온도조절유닛(332)은 액화질소분사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온도조절유닛(332)은 상기 제2챔버(33) 내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상기 제2챔버(33)에서 테스트될 반도체 소자가 상기 제1온도 또는 상기 제2온도로 조절되면, 테스트 트레이(100)는 상기 제2챔버(33)에서 상기 제1챔버(31)로 이송된다. 상기 제1챔버(31)에서는 상기 제1온도 또는 상기 제2온도로 조절된 반도체 소자에 대한 테스트공정이 수행된다.When the semiconductor device to be tested in the
도 2,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챔버부(3)는 제3챔버(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2, 5 to 7, the
상기 제3챔버(34)는 테스트 트레이(100)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를 상온 또는 상온에 근접한 온도로 조절한다. 상기 제3챔버(34)에 위치된 테스트 트레이(100)는 상기 테스트공정을 거쳐 테스트된 반도체 소자가 수납된 것으로, 상기 제1챔버(31)로부터 이송된 것이다. 테스트된 반도체 소자가 상온 또는 상온에 근접한 온도로 조절되면, 테스트 트레이(100)는 상기 컨베이어부(2)로 이송된다.The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챔버부(3)는 테스트 트레이(100)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수단은 테스트 트레이(100)를 밀거나 테스트 트레이(100)를 당겨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이송수단은 테스트될 반도체 소자가 수납된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제2챔버(33)에서 상기 제1챔버(31)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이송수단은 테스트된 반도체 소자가 수납된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제1챔버(31)에서 상기 제3챔버(34)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이송수단은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를 이용한 실린더방식, 모터와 볼스크류 등을 이용한 볼스크류방식, 모터와 랙기어와 피니언기어 등을 이용한 기어방식, 모터와 풀리와 벨트 등을 이용한 벨트방식, 코일과 영구자석 등을 이용한 리니어모터 등을 이용하여 테스트 트레이(100)를 이송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부(3)는 상기 제2챔버(33), 상기 제1챔버(31), 및 상기 제3챔버(34)가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챔버부(3)는 복수개의 제1챔버(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31)들은 복수개가 상하로 적층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부(3)는 상기 제2챔버(33), 상기 제1챔버(31), 및 상기 제3챔버(34)가 수직방향으로 적층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2챔버(33), 상기 제1챔버(31), 및 상기 제3챔버(34)는 상하로 적층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33)는 상기 제1챔버(31)의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챔버(34)는 상기 제1챔버(31)의 하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7, the
도 2,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챔버부(3)는 테스트 트레이(100)를 수평상태와 수직상태 간에 회전시키기 위한 로테이터(35, 도 6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2, 5 to 7, the
상기 로테이터(35)는 상기 챔버부(3)에 설치된다. 상기 로테이터(35)는 테스트될 반도체 소자가 수납된 테스트 트레이(100)를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챔버(31)는 수직상태로 세워진 테스트 트레이(100)에 대해 상기 테스트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팅부(5)는 수평상태로 눕혀진 테스트 트레이(100)에 대해 상기 로딩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로테이터(35)는 테스트된 반도체 소자가 수납된 테스트 트레이(100)를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소팅부(5)는 수평상태로 눕혀진 테스트 트레이(100)에 대해 상기 언로딩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The rotator (35) is installed in the chamber part (3). The
상기 챔버부(3)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로테이터(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로테이터(35)는 상기 제2챔버(33)와 상기 제3챔버(34)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테스트될 반도체 소자가 수납된 테스트 트레이(100)는 상기 로테이터(35)에 의해 수직상태가 되도록 회전된 후에,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로테이터(35)에서 상기 제2챔버(33)로 이송될 수 있다. 테스트된 반도체 소자가 수납된 테스트 트레이(100)는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제3챔버(34)에서 상기 로테이터(35)로 이송된 후에, 상기 로테이터(35)에 의해 수평상태가 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The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챔버부(3)는 테스트될 반도체 소자가 수납된 테스트 트레이(10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로테이터 및 테스트된 반도체 소자가 수납된 테스트 트레이(10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로테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로테이터는 상기 제2챔버(33) 내부 또는 상기 제2챔버(33) 외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로테이터는 상기 제3챔버(34) 내부 또는 상기 제3챔버(34) 외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챔버부(3)는 상기 로테이터(35) 없이 수평상태의 테스트 트레이(100)에 대해 테스트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테스트 트레이(100)는 수평상태로 상기 제2챔버(33), 상기 제1챔버(31) 및 상기 제3챔버(34) 간에 이송되면서 상기 테스트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도 2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컨베이어부(2)에 지지된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챔버부(3)으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컨베이어부(2)에 지지된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제1챔버(31)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챔버부(3)가 상기 제2챔버(33)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컨베이어부(2)에 지지된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제2챔버(33)를 경유하여 상기 제1챔버(31)로 이송할 수 있다.2 and 5, the conveying unit may convey the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테스트공정이 완료된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컨베이어부(2)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테스트공정이 완료된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제1챔버(31)에서 상기 컨베이어부(2)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챔버부(3)가 상기 제3챔버(34)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테스트공정이 완료된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제1챔버(31)에서 상기 제3챔버(34)를 경유하여 상기 컨베이어부(2)로 이송할 수 있다.The conveying unit may convey the
도 2, 도 5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어부(4)는 제1테스트모드 및 제2테스트모드 간에 테스트모드가 전환되도록 상기 챔버부(3)를 제어한다. 상기 제1테스트모드는 상기 챔버부(3)에서 반도체 소자가 상기 제1온도로 테스트되는 테스트모드이다. 상기 제2테스트모드는 상기 챔버부(3)에서 반도체 소자가 상기 제2온도로 테스트되는 테스트모드이다. 상기 제어부(4)는 상기 챔버부(3)들 중에서 일부가 상기 제1테스트모드로 작동하고, 상기 챔버부(3)들 중에서 일부가 상기 제2테스트모드로 작동하도록 상기 챔버부(3)들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2, 5 and 8,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상기 제1테스트모드로 작동하는 챔버부(3) 및 상기 제2테스트모드로 작동하는 챔버부(3)가 조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반도체 소자가 상기 제1온도로 테스트된 후에 상기 제2온도로 테스트되도록 테스트 트레이(100)를 운반할 수 있으므로, 반도체 소자를 다양한 테스트조건으로 테스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반도체 소자가 상기 제2온도로 테스트된 후에 상기 제1온도로 테스트되도록 테스트 트레이(100)를 운반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4)는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챔버부(3)들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상기 제어부(4)는 상기 제1챔버(31)에서 수행되는 테스트모드에 따라 상기 제1온도조절유닛(331) 및 상기 제2온도조절유닛(332) 중에서 어느 하나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챔버(31)에서 상기 제1테스트모드로 반도체 소자에 대한 테스트공정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4)는 해당 챔버부(3)에 설치된 제1온도조절유닛(331)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4)는 상기 제2온도조절유닛(332)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상기 제1챔버(31)에서 상기 제2테스트모드로 반도체 소자에 대한 테스트공정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4)는 해당 챔버부(3)에 설치된 제2온도조절유닛(332)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4)는 상기 제1온도조절유닛(331)의 작동을 정지시킨다.The
도 2, 도 5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어부(4)는 확인모듈(41, 도 8에 도시됨) 및 전환모듈(42, 도 8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2, 5 and 8, the
상기 확인모듈(41)은 상기 챔버부(3)들 중에서 상기 제2테스트모드로 반도체 소자가 테스트된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한 챔버부(3)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기설정된 시간은 상기 제2테스트모드로 반도체 소자가 테스트됨에 따라 상기 제2챔버(33)의 내부에 성에(Frost)가 형성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기설정된 시간은 작업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확인모듈(41)은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챔버부(3)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테스트모드의 종류, 및 해당 테스트모드로 반도체 소자가 테스트된 시간에 관한 테스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확인모듈(41)은 상기 테스트정보로부터 상기 챔버부(3)들 중에서 상기 제2테스트모드로 작동한 챔버부(3)를 확인한 후에, 해당 챔버부(3)들 각각이 상기 제2테스트모드로 작동한 시간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제2테스트모드로 반도체 소자가 테스트된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한 챔버부(3)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The
상기 전환모듈(42)은 상기 제2테스트모드로 반도체 소자가 테스트된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한 챔버부(3)를 상기 제2테스트모드에서 상기 제1테스트모드로 전환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상기 제2챔버(33)의 내부에 성에가 형성된 후에도 계속하여 상기 제2테스트모드로 테스트가 수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반도체 소자의 테스트 결과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성에로 인해 챔버부(3)가 오작동하거나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챔버부(3)에 대한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전환모듈(42)은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확인모듈(41)로부터 상기 제2테스트모드로 반도체 소자가 테스트된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한 챔버부(3)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환모듈(42)은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테스트모드가 전환되도록 상기 챔버부(3)들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The
상기 전환모듈(42)은 상기 제2테스트모드에서 상기 제1테스트모드로 전환된 챔버부(3)가 발생하면, 상기 제1테스트모드로 작동하는 챔버부(3)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챔버부(3)를 상기 제1테스트모드에서 상기 제2테스트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상기 제1테스트모드로 작동하는 챔버부(3) 및 상기 제2테스트모드로 작동하는 챔버부(3)가 조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반도체 소자가 상기 제1온도로 테스트된 후에 상기 제2온도로 테스트되도록 테스트 트레이(100)를 운반할 수 있으므로, 반도체 소자를 다양한 테스트조건으로 테스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반도체 소자가 상기 제2온도로 테스트된 후에 상기 제1온도로 테스트되도록 테스트 트레이(100)를 운반할 수도 있다.When the
상기 전환모듈(42)은 상기 제2테스트모드에서 상기 제1테스트모드로 전환되는 챔버부(3)의 개수 및 상기 제1테스트모드에서 상기 제2테스트모드로 전환되는 챔버부(3)의 개수가 동일하도록 상기 챔버부(3)들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환모듈(42)은 상기 제2테스트모드로 작동하는 챔버부(3)가 더 많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제2테스트모드에서 상기 제1테스트모드로 전환되는 챔버부(3)의 개수에 비해 상기 제1테스트모드에서 상기 제2테스트모드로 전환되는 챔버부(3)의 개수가 더 많도록 상기 챔버부(3)들 각각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전환모듈(42)은 상기 제1테스트모드로 작동하는 챔버부(3)가 더 많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제2테스트모드에서 상기 제1테스트모드로 전환되는 챔버부(3)의 개수에 비해 상기 제1테스트모드에서 상기 제2테스트모드로 전환되는 챔버부(3)의 개수가 더 적도록 상기 챔버부(3)들 각각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전환모듈(42)은 상기 제1테스트모드로 작동하는 챔버부(3)들이 계속하여 상기 제1테스트모드로 작동하도록 상기 챔버부(3)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The
도 2, 도 5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어부(4)는 경로전환모듈(43, 도 8에 도시됨)을 더 포함할 수 있다.2, 5, and 8, the
상기 경로전환모듈(43)은 상기 챔버부(3)들 중에서 상기 테스트모드가 전환된 챔버부(3)가 발생하면, 테스트 트레이(100)에 대한 이동경로를 재설정한다. 상기 경로전환모듈(43)은 테스트 트레이(100)가 재설정된 이동경로에 따라 운반되도록 상기 컨베이어부(2)를 제어한다. 상기 컨베이어부(2)는 기설정된 이동경로에 따라 테스트 트레이(100)를 운반하는 도중에 상기 경로전환모듈(43)로부터 테스트 트레이(100)의 이동경로에 대한 재설정정보가 수신되면, 재설정된 이동경로에 따라 테스트 트레이(100)를 운반할 수 있다. 기설정된 이동경로는 테스트 트레이(100)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에 대해 테스트공정을 수행하는 순서 등에 따라 테스트 트레이(100)가 상기 챔버부(3)들을 거쳐가는 경로로, 테스트 트레이(100)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의 종류, 사양 등과 같은 반도체 소자 정보, 상기 제1테스트모드로 작동하는 챔버부(3)들의 배치정보, 및 상기 제2테스트모드로 작동하는 챔버부(3)들의 배치정도 등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기설정된 이동경로는 반도체 소자 정보, 배치정보 등에 따라 상기 제어부(4)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기설정된 이동경로는 작업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The
예컨대, 상기 제1온도로 테스트될 반도체 소자가 수납된 테스트 트레이(100)는 상기 제1테스트모드로 작동하는 챔버부(3)로 운반되도록 이동경로가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테스트 트레이(100)에 대한 이동경로는 상기 소팅부(5)에 의해 로딩공정이 완료된 후에 상기 제어부(4)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는 상기 제1테스트모드로 작동하는 챔버부(3)들 각각에 대기하고 있는 테스트 트레이(100)의 개수, 상기 제1테스트모드로 테스트하는데 걸리는 시간 등을 고려하여 해당 테스트 트레이(100)가 상기 제1테스트모드로 작동하는 챔버부(3)들 중에서 가장 빠른 시간에 테스트될 수 있는 챔버부(3)로 운반되도록 해당 테스트 트레이(100)에 대한 이동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이와 같이 설정된 이동경로에 따라 테스트 트레이(100)가 해당 챔버부(3)로 운반되는 도중에 해당 챔버부(3)가 상기 제2테스트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경로전환모듈(43)은 테스트 트레이(100)에 대한 이동경로를 재설정한다. 상기 경로전환모듈(43)은 해당 테스트 트레이(100)의 현재 위치 등을 고려하여 상기 제1테스트모드로 작동하는 챔버부(3)들 중에서 해당 테스트 트레이(100)가 가장 빠른 시간에 테스트될 수 있는 챔버부(3)로 운반되도록 해당 테스트 트레이(100)에 대한 이동경로를 재설정하고, 해당 테스트 트레이(100)가 재설정된 이동경로에 따라 운반되도록 상기 컨베이어부(2)를 제어할 수 있다.If the
예컨대, 상기 제2온도로 테스트될 반도체 소자가 수납된 테스트 트레이(100)는 상기 제2테스트모드로 작동하는 챔버부(3)로 운반되도록 이동경로가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테스트 트레이(100)에 대한 이동경로는 상기 소팅부(5)에 의해 로딩공정이 완료된 후에 상기 제어부(4)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는 상기 제2테스트모드로 작동하는 챔버부(3)들 각각에 대기하고 있는 테스트 트레이(100)의 개수, 상기 제2테스트모드로 테스트하는데 걸리는 시간 등을 고려하여 해당 테스트 트레이(100)가 상기 제2테스트모드로 작동하는 챔버부(3)들 중에서 가장 빠른 시간에 테스트될 수 있는 챔버부(3)로 운반되도록 해당 테스트 트레이(100)에 대한 이동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이와 같이 설정된 이동경로에 따라 테스트 트레이(100)가 해당 챔버부(3)로 운반되는 도중에 해당 챔버부(3)가 상기 제1테스트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경로전환모듈(43)은 테스트 트레이(100)에 대한 이동경로를 재설정한다. 상기 경로전환모듈(43)은 해당 테스트 트레이(100)의 현재 위치 등을 고려하여 상기 제2테스트모드로 작동하는 챔버부(3)들 중에서 해당 테스트 트레이(100)가 가장 빠른 시간에 테스트될 수 있는 챔버부(3)로 운반되도록 해당 테스트 트레이(100)에 대한 이동경로를 재설정하고, 해당 테스트 트레이(100)가 재설정된 이동경로에 따라 운반되도록 상기 컨베이어부(2)를 제어할 수 있다.If the
상기 전환모듈(42)은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부(2)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환모듈(42)은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전환모듈(42)로부터 상기 테스트모드가 전환된 챔버부(3)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도 2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소팅부(5)는 상기 로딩공정과 상기 언로딩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소팅부(5)는 상기 챔버부(3)들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소팅부(5)는 상기 컨베이어부(2)를 통해 상기 챔버부(3)들에 인라인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상기 소팅부(5) 및 상기 챔버부(3)들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더라도, 상기 컨베이어부(2)를 통해 상기 로딩공정이 완료된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소팅부(5)에서 상기 챔버부(3)로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상기 테스트공정이 완료된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챔버부(3)에서 상기 소팅부(5)로 운반할 수 있다.2 to 11, the
상기 소팅부(5)는 반도체 소자(S, 도 10에 도시됨)를 이송하기 위한 픽커(51, 도 10에 도시됨), 및 상기 픽커(51, 도 10에 도시됨)에 대한 기준좌표를 설정하기 위한 좌표설정부(52, 도 10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픽커(51)는 상기 로딩공정 및 상기 언로딩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반도체 소자(S)를 이송한다. 상기 픽커(51)는 상기 로딩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고객트레이로부터 반도체 소자(S)를 픽업하여 테스트 트레이(100)에 수납시킬 수 있다. 상기 픽커(51)는 상기 언로딩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테스트 트레이(100)로부터 반도체 소자(S)를 픽업하여 테스트 트레이(100)를 수납시킬 수 있다.The
상기 좌표설정부(52)는 상기 픽커(51)에 대한 기준좌표를 설정한다. 상기 기준좌표는 상기 픽커(51)가 고객트레이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S) 및 테스트 트레이(100)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S)를 안정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높이좌표를 의미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픽커(51)가 상기 기준좌표로 하강하면, 상기 픽커(51)는 상기 고객트레이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S) 및 테스트 트레이(100)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S)를 손상 내지 파손시키지 않으면서 해당 반도체 소자(S)에 접촉됨으로써, 반도체 소자(S)를 안정적으로 흡착할 수 있다.The coordinate setting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좌표설정부(52)는 상기 기준좌표를 획득하기 위해 측정기구(521, 도 10에 도시됨) 및 좌표설정모듈(522, 도 10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10 and 11, the coordinate setting
상기 측정기구(521)는 상기 픽커(51)가 반도체 소자(S)를 흡착하기 위해 발생시키는 흡입력을 측정한다. 상기 측정기구(521)는 상기 픽커(51)에 연결되게 설치된 흡입기구(미도시)가 발생시키는 흡입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기구(521)는 상기 픽커(51) 및 상기 흡입기구를 연결하는 연결튜브를 통해 흡입력을 측정할 수도 있다. 상기 측정기구(521)는 상기 픽커(5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측정기구(521)는 압력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좌표설정모듈(522)은 상기 픽커(51)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측정기구(521)가 측정한 흡입력이 기설정된 기준흡입력에 도달하는 지점을 상기 기준좌표로 설정할 수 있다. 기설정된 기준흡입력은 상기 픽커(51)가 반도체 소자(S)를 안정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흡입력의 크기 범위로, 작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좌표설정모듈(522)이 상기 기준좌표를 설정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coordinate
우선, 상기 픽커(51)가 반도체 소자(S) 쪽으로 소정의 제1거리로 하강하면, 상기 측정기구(521)는 상기 픽커(51)가 반도체 소자(S)를 흡착하기 위해 발생시키는 흡입력을 측정한다. 상기 제1거리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픽커(51)는 상기 제어부(4, 도 2에 도시됨)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1거리로 하강할 수 있다.First, when the
다음, 상기 좌표설정모듈(522)은 상기 측정기구(521)가 측정한 흡입력 및 상기 기준흡입력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상기 측정기구(521)가 측정한 흡입력이 상기 기준흡입력에 비해 작으면, 상기 좌표설정모듈(522)은 상기 픽커(51)가 상기 기준좌표에 해당하는 지점까지 하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측정기구(521)가 측정한 흡입력이 상기 기준흡입력에 비해 작은 것은, 상기 픽커(51) 및 상기 반도체 소자(S) 사이로 흡입력이 손실되고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Next, the coordinate
상기 측정기구(521)는 상기 픽커(51)가 상기 제1거리로 하강한 후에 상승하면 흡입력을 측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좌표설정모듈(522)은 상기 측정기구(521)가 측정한 흡입력이 상기 기준흡입력에 비해 작으면, 상기 픽커(51)에 반도체 소자(S)가 흡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픽커(51)가 상기 기준좌표에 해당하는 지점까지 하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다음, 상기 제어부(4)는 상기 픽커(51)가 반도체 소자(S) 쪽으로 상기 제1거리에 비해 더 큰 제2거리로 하강하도록 상기 픽커(51)를 제어한다. 상기 픽커(51)가 상기 제2거리로 하강하면, 상기 측정기구(521)는 상기 픽커(51)가 반도체 소자(S)를 흡착하기 위해 발생시키는 흡입력을 측정한다.Next, the
다음, 상기 좌표설정모듈(522)은 상기 측정기구(521)가 측정한 흡입력 및 상기 기준흡입력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상기 측정기구(521)가 측정한 흡입력이 상기 기준흡입력에 비해 작으면, 상기 좌표설정모듈(522)은 상기 픽커(51)가 상기 기준좌표에 해당하는 지점까지 하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측정기구(521)는 상기 픽커(51)가 상기 제2거리로 하강한 후에 상승하면 흡입력을 측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좌표설정모듈(522)은 상기 측정기구(521)가 측정한 흡입력이 상기 기준흡입력에 비해 작으면, 상기 픽커(51)에 반도체 소자(S)가 흡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픽커(51)가 상기 기준좌표에 해당하는 지점까지 하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Next, the coordinate
상기 측정기구(521)가 측정한 흡입력이 상기 기준흡입력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좌표설정부(5)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측정기구(521)가 측정한 흡입력이 상기 기준흡입력에 도달하면, 상기 좌표설정모듈(522)은 상기 픽커(51)가 하강한 지점을 상기 기준좌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고객트레이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S) 및 테스트 트레이(100)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S)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서 미설명부호 (C)는 상기 기준좌표를 설정하기 위한 반도체 소자(S)를 수납하고 있는 것으로, 고객트레이 또는 테스트 트레이일 수 있다.The coordinate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소팅부(5)는 상기 로딩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로딩유닛(53, 도 9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8 and 9, the
상기 로딩유닛(53)은 테스트될 반도체 소자를 고객트레이에서 테스트 트레이(100)로 이송한다. 상기 로딩유닛(53)은 로딩스택커(531, 도 9에 도시됨) 및 로딩픽커(532, 도 9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로딩스택커(531)는 고객트레이를 지지한다. 상기 로딩스택커(531)에 지지된 고객트레이는 테스트될 반도체 소자들을 담고 있다. 상기 로딩스택커(531)는 테스트될 반도체 소자들이 담겨진 고객트레이를 복수개 저장할 수 있다. 고객트레이들은 상하로 적층되어 상기 로딩스택커(531)에 저장될 수 있다.The
상기 로딩픽커(532)는 상기 로딩스택커(531)에 위치된 고객트레이로부터 테스트될 반도체 소자를 픽업하여 테스트 트레이(100)에 수납시킬 수 있다. 테스트 트레이(100)에 테스트될 반도체 소자가 수납될 때, 테스트 트레이(100)는 로딩위치(53a, 도 9에 도시됨)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로딩픽커(532)는 제1축방향(X축 방향)과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테스트될 반도체 소자를 이송할 수 있다. 상기 로딩픽커(532)는 승강할 수도 있다. 상기 좌표설정부(52)는 상기 로딩픽커(532)에 대한 기준좌표를 설정할 수 있다.The
상기 로딩유닛(53)은 테스트될 반도체 소자를 일시적으로 수납하기 위한 로딩버퍼(533, 도 9에 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로딩픽커(532)는 고객트레이로부터 테스트될 반도체 소자를 픽업한 후에, 픽업한 반도체 소자를 상기 로딩버퍼(533)를 경유하여 상기 로딩위치(53a)에 위치된 테스트 트레이(100)에 수납시킬 수 있다. 상기 로딩픽커(532)는 테스트될 반도체 소자를 고객트레이에서 상기 로딩버퍼(533)로 이송하는 제1로딩픽커(5321, 도 9에 도시됨), 및 테스트될 반도체 소자를 상기 로딩버퍼(533)에서 테스트 트레이(100)로 이송하는 제2로딩픽커(5322, 도 9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로딩유닛(53)은 테스트 트레이(100)를 이송하기 위한 로딩이송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딩이송수단은 테스트 트레이(100)를 밀거나 당겨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로딩이송수단은 상기 로딩공정이 완료된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로딩위치(53a)에서 상기 컨베이어부(2)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로딩이송수단은 비어 있는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컨베이어부(2)에서 상기 로딩위치(53a)로 이송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소팅부(5)는 상기 언로딩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언로딩유닛(54, 도 9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8 and 9, the
상기 언로딩유닛(54)은 테스트된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 트레이(100)로부터 분리하여 고객트레이로 이송한다. 상기 언로딩유닛(54)은 언로딩스택커(541, 도 9에 도시됨) 및 언로딩픽커(542, 도 9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The unloading
상기 언로딩스택커(541)는 고객트레이를 지지한다. 상기 언로딩스택커(541)에 지지된 고객트레이에는 테스트된 반도체 소자들이 담겨진다. 상기 언로딩스택커(541)는 테스트된 반도체 소자들이 담겨진 고객트레이를 복수개 저장할 수 있다. 고객트레이들은 상하로 적층되어 상기 언로딩스택커(541)에 저장될 수 있다.The
상기 언로딩픽커(542)는 테스트 트레이(100)로부터 테스트된 반도체 소자를 픽업하여 상기 언로딩스택커(541)에 위치된 고객트레이에 수납시킬 수 있다. 테스트 트레이(100)로부터 테스트된 반도체 소자가 픽업될 때, 테스트 트레이(100)는 언로딩위치(54a, 도 9에 도시됨)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언로딩픽커(542)는 테스트된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 결과에 따른 등급별로 그 등급에 해당하는 고객트레이에 수납시킬 수 있다. 상기 언로딩픽커(54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과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테스트된 반도체 소자를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언로딩픽커(542)는 승강할 수도 있다. 상기 언로딩유닛(54)이 테스트 트레이(100)로부터 테스트된 반도체 소자를 모두 분리함에 따라 테스트 트레이(100)가 비게 되면, 상기 소팅부(5)는 비어 있는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언로딩유닛(54)에서 상기 로딩유닛(53)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좌표설정부(52)는 상기 로딩픽커(532)에 대한 기준좌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소팅부(5)는 상기 좌표설정부(52)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The unloading
상기 언로딩유닛(54)은 테스트된 반도체 소자를 일시적으로 수납하기 위한 언로딩버퍼(543, 도 9에 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언로딩픽커(542)는 상기 언로딩위치(54a)에 위치된 테스트 트레이(100)로부터 테스트된 반도체 소자를 픽업한 후에, 픽업한 반도체 소자를 상기 언로딩버퍼(543)를 경유하여 상기 고객트레이에 수납시킬 수 있다. 상기 언로딩픽커(542)는 테스트된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 트레이(100)에서 상기 언로딩버퍼(543)로 이송하는 제1언로딩픽커(5421, 도 9에 도시됨), 및 테스트된 반도체 소자를 상기 언로딩버퍼(543)에서 고객트레이로 이송하는 제2언로딩픽커(5422, 도 9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unloading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언로딩유닛(54)은 테스트 트레이(100)를 이송하기 위한 언로딩이송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언로딩이송수단은 테스트 트레이(100)를 밀거나 당겨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언로딩이송수단은 상기 테스트공정이 완료된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컨베이어부(2)에서 상기 언로딩위치(54a)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언로딩이송수단은 상기 언로딩공정이 완료됨에 따라 비게 되는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언로딩위치(54a)에서 상기 컨베이어부(2)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언로딩이송수단은 상기 언로딩공정이 완료됨에 따라 비게 되는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언로딩위치(54a)에서 상기 로딩위치(53a)로 이송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unloading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상기 소팅부(5)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소팅부(5)들은 상기 컨베이어부(2)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팅부(5)는 상기 로딩유닛(53)과 상기 언로딩유닛(54)이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상기 로딩공정과 상기 언로딩공정이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상기 로딩공정, 상기 언로딩공정 및 상기 테스트공정이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각 공정들에 걸리는 작업시간이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로딩유닛(53)과 상기 언로딩유닛(54)은 상기 컨베이어부(2)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도 8,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외관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비젼부(6)를 더 포함할 수 있다.8, 12 and 13, the
상기 비젼부(6)는 상기 컨베이어부(2)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게 상기 컨베이어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테스트 트레이(100)는 상기 컨베이어부(2)에 의해 운반되면서 상기 비젼부(6)의 아래를 통과하게 된다. 테스트 트레이(100)가 상기 비젼부(6)의 아래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비젼부(6)는 외관검사를 수행한다. The
예컨대, 상기 비젼부(6)는 테스트 트레이(100)에 설치된 캐리어모듈 중에서 반도체 소자가 수납되지 않은 캐리어모듈이 존재하는지 여부, 캐리어모듈 중에서 손상 내지 파손된 캐리어모듈이 존재하는지 여부, 테스트 트레이(100)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의 개수, 테스트 트레이(100)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의 손상 여부 등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한 외관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상기 비젼부(6)는 테스트 트레이(100)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한 후, 획득한 이미지를 기준이미지와 비교함으로써 외관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준이미지는 정상적인 외관을 갖는 반도체 소자에 대한 이미지, 정상적인 외관을 갖는 캐리어모듈에 대한 이미지 등일 수 있다. 상기 비젼부(6)는 상기 기준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젼부(6)는 테스트 트레이(100)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젼부(6)는 상기 카메라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카메라들은 상기 컨베이어부(2)가 테스트 트레이(100)를 운반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The
상기 비젼부(6)는 복수개의 프레임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기 컨베이어부(2)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게 상기 컨베이어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비젼부(6)는 유선 통신과 무선 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외관검사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상기 소팅부(5)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소팅부(5)는 상기 비젼부(6)로부터 외관검사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테스트 결과에 따라 반도체 소자를 등급별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소팅부(5)는 캐리어모듈이 손상 내지 파손된 경우, 해당 캐리어모듈이 설치된 테스트 트레이(100)가 상기 로딩영역(53a)으로 이송되지 않도록 외부로 반출할 수도 있다.The
상기 비젼부(6)는 하나의 테스트 트레이(100)에 비해 작은 크기의 촬영영역(6a)을 촬영함으로써, 외관검사를 위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컨베이어부(2)는 상기 촬영영역(6a)을 기준이동단위(6L)로 하여 상기 비젼부(6)의 아래를 통과하는 테스트 트레이(100)를 스탭(Step)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부(2)는 테스트 트레이(100) 중에서 상기 촬영영역(6a)에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촬영역역(6a) 내에 속하도록 테스트 트레이(100)를 운반한 후에 정지시킨다.6, the
다음, 상기 컨베이어부(2)가 테스트 트레이(100)를 정지시키면, 상기 비젼부(6)는 테스트 트레이(100) 중에서 상기 촬영영역(6a) 내에 속한 부분을 촬영하여 외관검사를 위한 이미지를 획득한다.Next, when the
다음, 상기 비젼부(6)가 외관검사를 위한 이미지를 획득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부(2)는 상기 촬영영역(6a)에 대응되는 기준이동단위(6L)만큼 테스트 트레이(100)를 운반한 후에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부(2)는 상기 촬영영역(6a) 내에 아직 외관검사를 위한 이미지가 획득되지 않은 부분이 위치되도록 테스트 트레이(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13, when the
다음, 상기 컨베이어부(2)가 테스트 트레이(100)를 정지시키면, 상기 비젼부(6)는 상기 촬영영역(6a) 내에 속한 부분을 촬영하여 외관검사를 위한 이미지를 획득한다.Next, when the
이와 같은 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상기 비젼부(6)는 테스트 트레이(100)에 대한 부분별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획득하여 테스트 트레이(100) 전체에 대해 외관검사를 위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테스트 트레이(100) 전체를 한번에 촬영하기 위해 상기 비젼부(6)를 복수개 구비하는 것과 비교할 때, 상기 비젼부(6)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제조 비용 및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기준이동단위(6L)는 상기 촬영영역(6a)의 크기에 따라 작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By repeating such a process, the
도 8, 도 14 및 도 1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보관부(7)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8, 14 and 15, the
상기 보관부(7)는 상기 컨베이어부(2)에 지지된 테스트 트레이(100)를 보관위치(SP, 도 15에 도시됨)로 이송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컨베이어부(2)에 설치된다. 테스트 트레이(100)는 상기 보관위치(SP)에 위치됨에 따라 상기 운반경로(P1, 도 15에 도시됨)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부(2)에 의해 상기 운반경로(P1)를 따라 운반되는 테스트 트레이(100)를 회피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부(2)는 상기 테스트 트레이(100)가 상기 보관위치(SP)에 위치된 테스트 트레이(100)의 아래를 통과하도록 테스트 트레이(100)를 운반할 수 있다. The
상기 보관부(7)는 상기 비젼부(6)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상기 컨베이어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관부(7)는 상기 외관검사에 따라 불량으로 판정된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보관위치(SP)로 이송하여 보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보관부(7)는 상기 외관검사에 따라 캐리어모듈이 손상 내지 파손된 것으로 확인된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보관위치(SP)로 이송하여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00)는 상기 외관검사에 따라 불량으로 판정된 테스트 트레이(100)가 상기 컨베이어부(2)에 남아 있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테스트 트레이(100)에 대한 운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도 8, 도 14 및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 보관부(7)는 상기 컨베이어부(2)에 설치되는 보관부재(71), 및 상기 보관위치(SP, 도 15에 도시됨)에 위치된 테스트 트레이(100)를 지지하는 지지유닛(72)을 포함한다.8, 14 and 15, the
상기 보관부재(71)는 상기 보관위치(SP)에 위치된 테스트 트레이(100)를 보관한다. 테스트 트레이(100)는 상기 보관부재(71)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지지유닛(72)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보관위치(SP)에 위치된다. 상기 보관부재(71)는 내부가 비어 있는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부에 테스트 트레이(100)를 보관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상기 보관부재(71)는 상기 컨베이어부(2)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부(2)에 지지된다. 상기 보관부재(71)는 상기 운반경로(P1, 도 15에 도시됨)의 상측에 위치되게 상기 컨베이어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관위치(SP)에 위치된 테스트 트레이(100)는 상기 운반경로(P1)의 상측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부(2)가 운반하는 테스트 트레이(100)는, 상기 보관위치(SP)에 위치된 테스트 트레이(100)의 아래를 통과함으로써 상기 보관위치(SP)에 위치된 테스트 트레이(100)에 충돌하지 않고 계속하여 운반될 수 있다.The
이에 따라, 상기 보관부(7)는 상기 보관부재(71)가 상기 운반경로(P1)에 대해 측방에 설치되는 것과 비교할 때, 상기 보관부재(71)가 상기 운반경로(P1)의 상측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보관부재(71)로 인해 상기 컨베이어부(2)의 크기가 측방으로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도 8, 도 14 및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 지지유닛(72)은 상기 보관부재(71)에 설치된다. 상기 지지유닛(72)은 상기 운반경로(P1, 도 15에 도시됨)로부터 이격된 테스트 트레이(100)가 상기 보관위치(SP, 도 15에 도시됨)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보관위치(SP)에 위치된 테스트 트레이(100)를 지지한다. 테스트 트레이(100)는 상기 지지유닛(72)에 지지되어 상기 보관위치(SP)에 위치되면, 상기 컨베이어부(2)에 의해 상기 운반경로(P1)를 따라 운반되는 테스트 트레이(100)를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관부(7)는 테스트 트레이(100)에 대한 운반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반도체 소자에 대한 테스트공정이 완료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8, 14 and 15, the
도 8, 도 14 및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 지지유닛(72)은 지지기구(721)를 포함할 수 있다.8, 14 and 15, the
상기 지지기구(721)는 상기 보관부재(71)에 설치된다. 상기 지지기구(721)는 상기 보관위치(SP, 도 15에 도시됨)에 위치된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운반경로(P1, 도 15에 도시됨)의 상측에서 지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부(2)에 의해 상기 운반경로(P1)를 따라 운반되는 테스트 트레이(100)는, 상기 보관위치(SP)에 위치된 테스트 트레이(100)의 아래를 통과하여 계속하여 운반될 수 있다.The
상기 지지기구(721)는 상기 보관위치(SP)에 위치된 테스트 트레이(100)의 밑면을 지지한다. 이 경우, 상기 보관부재(71)는 복수개의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하로 적층하여 보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기구(721)는 상기 보관부재(71)에 보관된 테스트 트레이(100)들 중에서 최하측에 위치된 테스트 트레이(100)를 지지함으로써, 테스트 트레이(100)들이 상기 보관부재(71)에 보관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최하측에 위치된 테스트 트레이(100)는, 상기 운반경로(P1) 상측에 위치되게 상기 지지기구(721)에 지지될 수 있다.The
따라서, 상기 보관부(7)는 상기 컨베이어부(2)에 의해 상기 운반경로(P1)를 따라 운반되는 테스트 트레이(100)를 회피하도록 상기 보관부재(71)에 보관되는 테스트 트레이(100)의 개수를 늘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는 테스트 트레이(100)에 대한 운반 효율을 더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도체 소자에 대한 테스트공정이 완료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더 줄일 수 있다.The
상기 지지기구(721)는 전체적으로 '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테스트 트레이(100)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관부(7)는 상기 지지유닛(72)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72)들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보관부재(71)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기구(721)들은 테스트 트레이(100)의 서로 다른 부분을 분담하여 지지함으로써, 테스트 트레이(100)가 상기 보관위치(SP)에 위치되게 더 안정적으로 테스트 트레이(100)를 지지할 수 있다.The
도 14, 도 16 내지 도 19을 참고하면, 상기 보관부(7)는 승강유닛(73)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4 and 16 to 19, the
상기 승강유닛(73)은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운반경로(P1, 도 18에 도시됨) 및 상기 보관위치(SP, 도 18에 도시됨) 간에 승강시킨다. 상기 승강유닛(73)은 상기 컨베이어부(2, 도 14에 도시됨)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유닛(72)은 상기 지지기구(721)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기구(7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기구(722)는 상기 지지기구(721)를 지지위치(HP, 도 19에 도시됨) 및 해제위치(RP, 도 18에 도시됨) 간에 이동시킨다. 상기 지지기구(721)는 상기 지지위치(HP)에 위치되면, 상기 보관위치(SP)에 위치된 테스트 트레이(100)를 지지한다. 상기 지지기구(721)는 상기 해제위치(RP)에 위치되면, 상기 보관위치(SP)에 위치된 테스트 트레이(100)로부터 이격된다.The elevating
상기 승강유닛(73)은 상기 지지기구(721)가 상기 해제위치(RP)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운반경로(P1)에 위치된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보관위치(SP)로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보관부(7)는 상기 승강유닛(73)이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운반경로(P1)에서 상기 보관위치(SP)로 상승시키는 과정에서, 테스트 트레이(100)가 상기 지지기구(721)에 충돌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테스트 트레이(100)가 상기 보관위치(SP)에 위치되면, 상기 이동기구(722)는 상기 지지기구(721)를 상기 지지위치(HP)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보관위치(SP)에 위치된 테스트 트레이(100)를 지지한다. 상기 이동기구(722)는 상기 지지기구(721)가 상기 보관부재(71) 내부를 향하도록 상기 보관부재(7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기구(722)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를 이용한 실린더방식, 모터와 볼스크류(Ball Screw) 등을 이용한 볼스크류방식, 모터와 랙기어(Rack Gear)와 피니언기어(Pinion Gear) 등을 이용한 기어방식, 모터와 풀리와 벨트 등을 이용한 벨트방식, 코일과 영구자석 등을 이용한 리니어모터(Linear Motor) 등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기구(721)를 이동시킬 수 있다.The elevating
상기 승강유닛(73)은 상기 지지기구(721)가 상기 해제위치(RP)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보관위치(SP)에 위치된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운반경로(P1)로 하강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보관부(7)는 상기 승강유닛(73)이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보관위치(SP)에서 상기 운반경로(P1)로 하강시키는 과정에서, 테스트 트레이(100)가 상기 지지기구(721)에 충돌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승강유닛(73)이 상기 보관위치(SP)에 위치된 테스트 트레이(100)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기구(722)는 상기 지지기구(721)를 상기 지지위치(HP)에서 상기 해제위치(RP)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72)은 상기 지지위치(HP)에 위치된 지지기구(721)가 상기 보관위치(SP)로 상승된 승강유닛(73)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보관부재(71)에 설치될 수 있다.The elevating
도 14, 도 16, 도 18 내지 도 20를 참고하면, 상기 보관부재(71)에 복수개의 테스트 트레이(100)가 보관되는 경우, 상기 보관부(7)는 다음과 같이 동작하여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보관위치(SP)에서 상기 운반경로(P1)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외관검사에 따라 불량으로 판정된 테스트 트레이(100)가 수리가 완료된 후에 상기 보관부재(71)에 보관되거나 새로운 테스트 트레이(100)가 상기 보관부재(71)에 보관되면, 상기 보관부(7)는 다음과 같이 동작하여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보관위치(SP)에서 상기 운반경로(P1)로 이동시킬 수 있다.14, 16 and 18 to 20, when a plurality of
우선, 상기 지지기구(721)는 상기 이동기구(722)에 의해 상기 지지위치(HP)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보관부재(71)에 보관된 테스트 트레이(100) 중에서 최하측에 위치된 제1테스트 트레이(110)를 지지하고 있다. 상기 제1테스트 트레이(110)에는 제2테스트 트레이(120)가 지지되어 있다.The
다음, 상기 승강유닛(73)이 상승하여 상기 제1테스트 트레이(110)를 지지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기구(722)는 상기 지지기구(721)를 상기 해제위치(RP)로 이동시킨다.18, the moving
다음, 상기 이동기구(722)가 상기 해제위치(RP)에 위치되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유닛(73)은 상기 제2테스트 트레이(120)가 상기 제1테스트 트레이(110)의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강한다.19, when the moving
다음, 상기 이동기구(722)는 상기 지지기구(721)를 상기 지지위치(HP)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기구(721)는 상기 제1테스트 트레이(110)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홈(11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테스트 트레이(120)의 밑면을 지지하게 된다. 테스트 트레이(100)들은 각각 상기 지지기구(721)와 대략 일치하는 개수의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moving
다음, 상기 지지기구(721)가 상기 제2테스트 트레이(120)를 지지하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유닛(73)은 상기 제1테스트 트레이(110)가 상기 운반경로(P1)에 위치되도록 하강한다. 이 경우, 상기 제2테스트 트레이(120)는 상기 지지기구(721)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보관부재(71)에 보관된 테스트 트레이(100)들을 지지하면서 상기 보관위치(SP)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된다.20, when the
상술한 바와 과정을 거쳐, 상기 보관부(7)는 상기 보관부재(71)에 복수개의 테스트 트레이(100)가 보관되는 경우,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보관위치(SP)에서 상기 운반경로(P1)로 이동시킬 수 있다.When the plurality of
도 14, 도 16, 도 21 내지 도 23를 참고하면, 상기 보관부재(71)에 복수개의 테스트 트레이(100)가 보관되는 경우, 상기 보관부(7)는 다음과 같이 동작하여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운반경로(P1)에서 상기 보관위치(SP)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외관검사에 따라 불량으로 판정된 테스트 트레이(100)가 발생하면, 상기 보관부(7)는 다음과 같이 동작하여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운반경로(P1)에서 상기 보관위치(SP)로 이동시킬 수 있다.14, 16, and 21 to 23, when a plurality of
우선,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기구(721)는 상기 이동기구(722)에 의해 상기 지지위치(HP)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보관부재(71)에 보관된 테스트 트레이(100) 중에서 최하측에 위치된 제1테스트 트레이(110)를 지지하고 있다.21, the
다음, 상기 승강유닛(73)은 상기 운반경로(P1)에 위치된 제2테스트 트레이(120)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2테스트 트레이(120)가 상기 제1테스트 트레이(110)의 밑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2테스트 트레이(120)를 상승시킨다. 이 경우, 상기 지지기구(721)는 상기 제2테스트 트레이(120)에 형성된 삽입홈(111)에 삽입된다. 상기 제2테스트 트레이(120)는 외관검사에 따라 불량으로 판정된 것이다.The
다음, 상기 제1테스트 트레이(110)가 상기 승강유닛(73)에 지지된 제2테스트 트레이(120)에 지지되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기구(722)는 상기 지지기구(721)를 상기 해제위치(RP)로 이동시킨다.Next, when the
다음, 상기 지지기구(721)가 상기 해제위치(RP)에 위치되면, 상기 승강유닛(73)은 상기 제2테스트 트레이(120)가 상기 제1테스트 트레이(110)를 밀어 올려서 상기 보관위치(SP)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2테스트 트레이(120)를 상승시킨다.Next, when the
다음, 상기 제2테스트 트레이(120)가 상기 보관위치(SP)에 위치되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기구(722)는 상기 지지기구(721)를 상기 지지위치(RP)로 이동시킨다. 그 후, 상기 승강유닛(73)은 상기 운반경로(P1) 쪽으로 하강한다. 이 경우, 상기 제2테스트 트레이(120)는 상기 지지기구(721)에 의해 밑면이 지지됨으로써, 상기 제1테스트 트레이(110)를 포함하여 보관부재(71)에 보관된 테스트 트레이(100)들을 지지하면서 상기 보관위치(SP)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된다.23, when the
상술한 바와 과정을 거쳐, 상기 보관부(7)는 상기 보관부재(71)에 복수개의 테스트 트레이(100)가 보관되는 경우,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운반경로(P1)에서 상기 보관위치(SP)로 이동시킬 수 있다.When the plurality of
도 14, 도 16 및 도 24를 참고하면, 상기 승강유닛(73)은 승강부재(731, 도 24에 도시됨) 및 승강기구(732, 도 2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14, 16 and 24, the elevating
상기 승강부재(731)는 상기 승강기구(732)에 결합된다. 상기 승강부재(731)는 상기 승강기구(732)에 의해 승강된다. 상기 승강부재(731)는 테스트 트레이(100)를 지지할 수 있다.The elevating
상기 승강기구(732)는 상기 승강부재(731)를 승강시킨다. 상기 승강기구(732)는 상기 승강부재(731)를 대기위치(WP, 도 24에 도시됨), 상기 운반경로(P1, 도 24에 도시됨) 및 상기 보관위치(SP) 간에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대기위치(WP)는 상기 운반경로(P1)의 하측에 형성된다. 상기 승강부재(731)가 상기 대기위치(WP)에 위치되면, 상기 컨베이어부(2, 도 14에 도시됨)는 상기 승강부재(731)에 방해됨이 없이 상기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운반경로(P1)를 따라 운반할 수 있다. 상기 승강기구(732)는 상기 테스트 트레이(100)를 상기 운반경로(P1) 및 상기 보관위치(SP) 간에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승강부재(731)를 상기 운반경로(P1) 및 상기 보관위치(SP) 간에 승강시킬 수 있다.The elevating
상기 승강기구(732)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를 이용한 실린더방식, 모터와 볼스크류 등을 이용한 볼스크류방식, 모터와 랙기어와 피니언기어 등을 이용한 기어방식, 모터와 풀리와 벨트 등을 이용한 벨트방식, 코일과 영구자석 등을 이용한 리니어모터 등을 이용하여 상기 승강부재(73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기구(732)는 상기 컨베이어부(2)에 설치될 수 있다.The elevating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1 :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 2 : 컨베이어부
3 : 챔버부 4 : 제어부
5 : 소팅부 6 : 비젼부
7 : 보관부 100 : 테스트 트레이1: Inline test handler 2: Conveyor part
3: chamber part 4: control part
5: sorting unit 6: vision unit
7: Storage part 100: Test tray
Claims (10)
상기 소팅부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고, 테스트 트레이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장비에 접속시키기 위한 M개(M은 N보다 큰 정수)의 챔버부;
N개의 소팅부 및 M개의 챔버부가 서로 인라인으로 연결되도록 테스트 트레이를 운반하는 컨베이어부; 및
반도체 소자가 제1온도로 테스트되는 제1테스트모드 및 반도체 소자가 상기 제1온도에 비해 낮은 제2온도로 테스트되는 제2테스트모드 간에 테스트모드가 전환되도록 상기 챔버부들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부들은 각각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장비에 접속시키는 테스트공정이 수행되는 제1챔버, 및 상기 제1챔버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제2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챔버들은 각각 반도체 소자를 상기 제1온도로 조절하기 위한 제1온도조절유닛, 및 반도체 소자를 상기 제2온도로 조절하기 위한 제2온도조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챔버에서 수행되는 테스트모드에 따라 상기 제1온도조절유닛 및 상기 제2온도조절유닛 중에서 어느 하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N (N is an integer greater than 0) sorting unit for performing a loading process for accommodating a semiconductor device to be tested in a test tray and an unloading process for separating the tested semiconductor device from a test tray;
M (M is an integer greater than N) chamber portion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orting portion and for connecting the semiconductor devices accommodated in the test tray to the test equipment;
A conveyor portion for conveying the test tray such that the N sorting portions and the M chamber portions are inlin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nd a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each of the chamber sections so that the test mode is switched between a first test mode in which the semiconductor element is tested at a first temperature and a second test mode in which the semiconductor element is tested at a second temperature low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and;
Wherein each of the chamber portions includes a first chamber in which a test proces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devices to the test equipment is performed, and a second chamber connected to the first chamber;
The second chambers each include a first temperature regulation unit for adjusting the semiconductor element to the first temperature and a second temperature regulation unit for adjusting the semiconductor element to the second temperature;
Wherein the controller operates one of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unit according to a test mode performed in the first chamber.
상기 소팅부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고, 테스트 트레이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장비에 접속시키기 위한 M개(M은 N보다 큰 정수)의 챔버부;
N개의 소팅부 및 M개의 챔버부가 서로 인라인으로 연결되도록 테스트 트레이를 운반하는 컨베이어부; 및
반도체 소자가 제1온도로 테스트되는 제1테스트모드 및 반도체 소자가 상기 제1온도에 비해 낮은 제2온도로 테스트되는 제2테스트모드 간에 테스트모드가 전환되도록 상기 챔버부들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챔버부들 중에서 상기 제2테스트모드로 반도체 소자가 테스트된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한 챔버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모듈; 및
상기 제2테스트모드로 반도체 소자가 테스트된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한 챔버부를 상기 제2테스트모드에서 상기 제1테스트모드로 전환하는 전환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N (N is an integer greater than 0) sorting unit for performing a loading process for accommodating a semiconductor device to be tested in a test tray and an unloading process for separating the tested semiconductor device from a test tray;
M (M is an integer greater than N) chamber portion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orting portion and for connecting the semiconductor devices accommodated in the test tray to the test equipment;
A conveyor portion for conveying the test tray such that the N sorting portions and the M chamber portions are inlin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nd a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each of the chamber sections so that the test mode is switched between a first test mode in which the semiconductor element is tested at a first temperature and a second test mode in which the semiconductor element is tested at a second temperature low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and;
Wherein the control unit comprises: a confirmation module for confirming whether a chamber portion exceeding a predetermined time period has been tested in the second test mode among the chamber portions; And
And a switching module for switching the chamber part from the second test mode to the first test mode when the time at which the semiconductor device is tested in the second test mode exceeds a predetermined time.
상기 전환모듈은 상기 제2테스트모드에서 상기 제1테스트모드로 전환된 챔버부가 발생하면, 상기 제1테스트모드로 작동하는 챔버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챔버부를 상기 제1테스트모드에서 상기 제2테스트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witching module switches at least one of the chambers operating in the first test mode from the first test mode to the second test mode when the chamber portion changed from the second test mode to the first test mode is generated, In-line test handler.
상기 소팅부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고, 테스트 트레이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장비에 접속시키기 위한 M개(M은 N보다 큰 정수)의 챔버부;
N개의 소팅부 및 M개의 챔버부가 서로 인라인으로 연결되도록 테스트 트레이를 운반하는 컨베이어부; 및
반도체 소자가 제1온도로 테스트되는 제1테스트모드 및 반도체 소자가 상기 제1온도에 비해 낮은 제2온도로 테스트되는 제2테스트모드 간에 테스트모드가 전환되도록 상기 챔버부들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부는 기설정된 이동경로에 따라 상기 제1온도로 테스트될 반도체 소자가 수납된 테스트 트레이를 상기 제1테스트모드로 작동하는 챔버부로 운반하고, 기설정된 이동경로에 따라 상기 제2온도로 테스트될 반도체 소자가 수납된 테스트 트레이를 상기 제2테스트모드로 작동하는 챔버부로 운반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챔버부들 중에서 상기 테스트모드가 전환된 챔버부가 발생하면, 테스트 트레이에 대한 이동경로를 재설정하고 재설정된 이동경로에 따라 테스트 트레이가 운반되도록 상기 컨베이어부를 제어하는 경로설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N (N is an integer greater than 0) sorting unit for performing a loading process for accommodating a semiconductor device to be tested in a test tray and an unloading process for separating the tested semiconductor device from a test tray;
M (M is an integer greater than N) chamber portion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orting portion and for connecting the semiconductor devices accommodated in the test tray to the test equipment;
A conveyor portion for conveying the test tray such that the N sorting portions and the M chamber portions are inlin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nd a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each of the chamber sections so that the test mode is switched between a first test mode in which the semiconductor element is tested at a first temperature and a second test mode in which the semiconductor element is tested at a second temperature low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and;
The conveyor portion conveys the test tray containing the semiconductor element to be tested at the first temperature to the chamber portion operating in the first test mod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ovement path, Conveying a test tray containing a semiconductor element to a chamber section operating in the second test mode;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path setting module for reestablishing a travel path to the test tray and controlling the conveyor unit to transport the test tray according to the reset travel path when the chamber unit in which the test mode is switched among the chamber units is generated Features an inline test handler.
상기 소팅부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고, 테스트 트레이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장비에 접속시키기 위한 M개(M은 N보다 큰 정수)의 챔버부;
N개의 소팅부 및 M개의 챔버부가 서로 인라인으로 연결되도록 테스트 트레이를 운반하는 컨베이어부; 및
반도체 소자가 제1온도로 테스트되는 제1테스트모드 및 반도체 소자가 상기 제1온도에 비해 낮은 제2온도로 테스트되는 제2테스트모드 간에 테스트모드가 전환되도록 상기 챔버부들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팅부는 반도체 소자를 이송하기 위한 픽커, 및 상기 픽커에 대한 기준좌표를 설정하기 위한 좌표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표설정부는 상기 픽커가 반도체 소자를 흡착하기 위해 발생시키는 흡입력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기구, 및 상기 픽커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측정기구가 측정한 흡입력이 기설정된 기준흡입력에 도달하는 지점을 상기 기준좌표로 설정하는 좌표설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N (N is an integer greater than 0) sorting unit for performing a loading process for accommodating a semiconductor device to be tested in a test tray and an unloading process for separating the tested semiconductor device from a test tray;
M (M is an integer greater than N) chamber portion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orting portion and for connecting the semiconductor devices accommodated in the test tray to the test equipment;
A conveyor portion for conveying the test tray such that the N sorting portions and the M chamber portions are inlin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nd a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each of the chamber sections so that the test mode is switched between a first test mode in which the semiconductor element is tested at a first temperature and a second test mode in which the semiconductor element is tested at a second temperature low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and;
Wherein the sorting section includes a picker for transferring semiconductor elements and a coordinate setting section for setting reference coordinates for the picker;
Wherein the coordinate setting unit includes a measuring mechanism for measuring a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picker for causing the semiconductor element to be attracted by the picker and a point at which the suction force measured by the measuring mechanism reaches a preset reference suction force, And a coordinate setting module which sets the coordinate of the inline test handler to the in-line test handler.
상기 소팅부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고, 테스트 트레이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장비에 접속시키기 위한 M개(M은 N보다 큰 정수)의 챔버부;
N개의 소팅부 및 M개의 챔버부가 서로 인라인으로 연결되도록 테스트 트레이를 운반하는 컨베이어부; 및
반도체 소자가 제1온도로 테스트되는 제1테스트모드 및 반도체 소자가 상기 제1온도에 비해 낮은 제2온도로 테스트되는 제2테스트모드 간에 테스트모드가 전환되도록 상기 챔버부들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외관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부에 설치되는 비젼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부는 상기 비젼부가 촬영하는 촬영영역을 기준이동단위로 하여 상기 비젼부의 아래를 통과하는 테스트 트레이를 스탭(Step)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N (N is an integer greater than 0) sorting unit for performing a loading process for accommodating a semiconductor device to be tested in a test tray and an unloading process for separating the tested semiconductor device from a test tray;
M (M is an integer greater than N) chamber portion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orting portion and for connecting the semiconductor devices accommodated in the test tray to the test equipment;
A conveyor portion for conveying the test tray such that the N sorting portions and the M chamber portions are inlin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each of the chamber units so that a test mode is switched between a first test mode in which the semiconductor element is tested at a first temperature and a second test mode in which the semiconductor element is tested at a second temperature low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And
And a vision part installed in the conveyor part to perform a visual inspection;
Wherein the conveyor unit steps the test tray passing under the vision unit as a reference moving unit, the imaging region being photographed by the vision unit.
상기 소팅부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고, 테스트 트레이에 수납된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장비에 접속시키기 위한 M개(M은 N보다 큰 정수)의 챔버부;
N개의 소팅부 및 M개의 챔버부가 서로 인라인으로 연결되도록 테스트 트레이를 운반하는 컨베이어부; 및
반도체 소자가 제1온도로 테스트되는 제1테스트모드 및 반도체 소자가 상기 제1온도에 비해 낮은 제2온도로 테스트되는 제2테스트모드 간에 테스트모드가 전환되도록 상기 챔버부들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부;
외관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부에 설치되는 비젼부; 및
상기 컨베이어부에 지지된 테스트 트레이를 보관위치로 이송하여 보관하기 위한 보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관부는 상기 외관검사에 따라 불량으로 판정된 테스트 트레이를 상기 보관위치로 이송하여 보관하며;
상기 컨베이어부는 테스트 트레이가 상기 보관위치에 위치된 테스트 트레이의 아래를 통과하도록 테스트 트레이를 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N (N is an integer greater than 0) sorting unit for performing a loading process for accommodating a semiconductor device to be tested in a test tray and an unloading process for separating the tested semiconductor device from a test tray;
M (M is an integer greater than N) chamber portion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orting portion and for connecting the semiconductor devices accommodated in the test tray to the test equipment;
A conveyor portion for conveying the test tray such that the N sorting portions and the M chamber portions are inlin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each of the chamber units so that a test mode is switched between a first test mode in which the semiconductor element is tested at a first temperature and a second test mode in which the semiconductor element is tested at a second temperature low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A vision unit installed on the conveyor unit to perform a visual inspection; And
And a storage unit for transferring and storing the test tray supported by the conveyor unit to a storage position;
Wherein the storage unit transports and stores a test tray determined to be defective according to the visual inspection to the storage position;
Wherein the conveyor portion conveys the test tray so that the test tray passes under the test tray located in the storage location.
상기 외관검사에 따라 불량으로 판정된 테스트 트레이가 상기 컨베이어부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보관위치에 위치되도록 테스트 트레이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유닛;
상기 보관위치에서 테스트 트레이를 상하로 적층하여 보관하기 위한 보관부재; 및
테스트 트레이가 상기 보관부재 내부에서 상하로 적층되어 보관되도록 상기 보관부재에 보관된 테스트 트레이 중에서 최하측에 위치된 테스트 트레이를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9.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An elevating unit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test tray so that the test tray determined to be defective according to the visual inspec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conveyor unit and positioned at the storage position;
A storage member for storing the test tray stacked vertically in the storage position; And
And a support unit for supporting a test tray positioned at the lowermost position among the test trays stored in the storage member so that the test tray is stacked vertically inside the storage member.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보관위치에 위치된 테스트 트레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기구, 및 상기 지지기구가 상기 보관위치에 위치된 테스트 트레이를 지지하는 지지위치 및 상기 지지기구가 상기 보관위치에 위치된 테스트 트레이로부터 이격되는 해제위치 간에 상기 지지기구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지지기구가 상기 해제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테스트 트레이를 상기 보관위치로 상승시키고, 상기 지지기구가 상기 해제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테스트 트레이를 상기 컨베이어부로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upport unit comprises: a support mechanism for supporting the test tray positioned in the storage position; and a support position for supporting the test tray in which the support mechanism is located in the storage position, And a moving mechanism for moving the supporting mechanism between the releasing positions spaced from the releasing position;
The elevation unit elevates the test tray to the storage position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mechanism is located at the release position and descends the test tray to the conveyor part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mechanism is located at the release position Inline test handl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63925A KR101508516B1 (en) | 2013-12-26 | 2013-12-26 | In-line Test Handl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63925A KR101508516B1 (en) | 2013-12-26 | 2013-12-26 | In-line Test Handl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08516B1 true KR101508516B1 (en) | 2015-04-08 |
Family
ID=53033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63925A KR101508516B1 (en) | 2013-12-26 | 2013-12-26 | In-line Test Handl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08516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28882A (en) * | 2016-09-09 | 2018-03-19 | (주)테크윙 |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devices |
KR20210061316A (en) * | 2015-04-30 | 2021-05-27 | (주)테크윙 | Handler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 |
CN113998451A (en) * | 2021-11-12 | 2022-02-01 | 苏州华兴源创科技股份有限公司 | Test equipment |
KR20230019757A (en) * | 2021-08-02 | 2023-02-09 | 미래산업 주식회사 | Test Handler for Electronic Component |
KR102549629B1 (en) * | 2022-10-27 | 2023-06-30 | (주)성우 | Apparatus for inspecting cap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30743A (en) * | 2007-09-21 | 2009-03-25 | 미래산업 주식회사 | Handler,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test tray transfer method using same |
KR20100123506A (en) * | 2009-05-15 | 2010-11-24 | (주)아테코 | Burn-in test system |
KR20120069471A (en) * | 2010-12-20 | 2012-06-28 | 미래산업 주식회사 | Test handler and method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 |
-
2013
- 2013-12-26 KR KR20130163925A patent/KR10150851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30743A (en) * | 2007-09-21 | 2009-03-25 | 미래산업 주식회사 | Handler,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test tray transfer method using same |
KR20100123506A (en) * | 2009-05-15 | 2010-11-24 | (주)아테코 | Burn-in test system |
KR20120069471A (en) * | 2010-12-20 | 2012-06-28 | 미래산업 주식회사 | Test handler and method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61316A (en) * | 2015-04-30 | 2021-05-27 | (주)테크윙 | Handler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 |
KR102407476B1 (en) | 2015-04-30 | 2022-06-14 | (주)테크윙 | Handler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 |
KR20180028882A (en) * | 2016-09-09 | 2018-03-19 | (주)테크윙 |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devices |
KR20240011209A (en) * | 2016-09-09 | 2024-01-25 | (주)테크윙 |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devices |
KR102664951B1 (en) * | 2016-09-09 | 2024-05-10 | (주)테크윙 |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devices |
KR102731311B1 (en) * | 2016-09-09 | 2024-11-19 | (주)테크윙 | Handler for testing electronic devices |
KR20230019757A (en) * | 2021-08-02 | 2023-02-09 | 미래산업 주식회사 | Test Handler for Electronic Component |
KR102652903B1 (en) * | 2021-08-02 | 2024-03-29 | 미래산업 주식회사 | Test Handler for Electronic Component |
CN113998451A (en) * | 2021-11-12 | 2022-02-01 | 苏州华兴源创科技股份有限公司 | Test equipment |
KR102549629B1 (en) * | 2022-10-27 | 2023-06-30 | (주)성우 | Apparatus for inspecting cap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628371B2 (en) | Semiconductor element handling system | |
KR100959372B1 (en) | Semiconductor device transfer device, handler, an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
US8070410B2 (en) | Scalable stocker with automatic handling buffer | |
US11978652B2 (en) | Automatic handling buffer for bare stocker | |
JP5539568B2 (en) | Semiconductor element handling system | |
KR101508516B1 (en) | In-line Test Handler | |
KR101799217B1 (en) | Substrate process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for semiconductor device, and recording medium | |
JP5628372B2 (en) | Semiconductor element handling system | |
KR100938170B1 (en) | Handler, test tray transfer method, an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
KR101333435B1 (en) | Test handler | |
KR101487278B1 (en) | In-line Test Handler | |
KR100901977B1 (en) | Handler,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test tray transfer method using same | |
KR20150010039A (en) | In-line Test Hand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ving of Test Tray in In-line Test Handler | |
KR101448527B1 (en) | Buffer Apparatus for Test tray and In-line Test Handler having the same | |
KR20150010041A (en) | In-line Test Hand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ving of Test Tray in In-line Test Handler | |
EP2245656B1 (en) | Automatic handling buffer for bare stocker | |
KR101029064B1 (en) | Semiconductor device transfer device and test handler including the same | |
KR20220072236A (en) | Transfer apparatus | |
KR102652903B1 (en) | Test Handler for Electronic Component | |
KR102213105B1 (en) | Equipment to prepare article for interlayer conveyance and method used therefor | |
KR20150005816A (en) | Apparatus for Replacing Test tray and In-line Test Handler having the same | |
KR20150014199A (en) | Apparatus for Withdrawing Test tray and In-line Test Handler | |
KR20150010040A (en) | In-line Test Hand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ving of Test Tray in In-line Test Handl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3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3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