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08282B1 - 패널 결합용 클립 및 이를 구비한 패널 - Google Patents

패널 결합용 클립 및 이를 구비한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8282B1
KR101508282B1 KR20140169475A KR20140169475A KR101508282B1 KR 101508282 B1 KR101508282 B1 KR 101508282B1 KR 20140169475 A KR20140169475 A KR 20140169475A KR 20140169475 A KR20140169475 A KR 20140169475A KR 101508282 B1 KR101508282 B1 KR 101508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lip
mounting hole
plate
pie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140169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계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계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계로
Priority to KR20140169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2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28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2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support posts
    • E04B2/7425Details of connection of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61Details of connection of sheet panels to frame or posts
    • E04B2002/7466Details of connection of sheet panels to frame or posts using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을 프레임에 거치할 때 사용하는 클립과 관련되며, 실시예로 장착홀이 형성되어 있는 패널의 배면판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패널의 전면판과 상기 배면판 사이에 들어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홀에 걸리는 연장편 및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어 있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편이 상기 장착홀에 들어간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 상기 연장편 및 상기 걸림부가 일체로 회전하면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배면판에서 돌출되는 패널 결합용 클립을 제시한다.

Description

패널 결합용 클립 및 이를 구비한 패널{Clip for connection panel and panel having it}
본 발명은 패널을 프레임에 거치할 때 사용하는 클립 및 이를 구비하는 패널과 관련된다.
실내 인터리어 용품 중 파티션은 실내 공간을 구획함으로써 폐쇄 공간을 형성하여 주는 것으로, 사무실 등에 널리 사용된다. 파티션은 설치 장소에서 조립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지면에 세워지는 프레임에 패널을 장착하여 조립된다.
한편 최근에는 벽면의 인테리어를 위해 장식 패널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장식 패널은 벽면 등에 프레임을 고정 설치하고, 이 프레임에 패널을 장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에 패널을 장착하는 방안 중 하나는 클립을 이용하는 것이다. 클립으로 패널을 프레임에 걸어주어 패널의 하강을 방지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6347호가 있다.
클립은 프레임에 걸리는 부재로 패널의 부착면에서 돌출되어야 한다. 하지만 패널의 보관이나 운반 시에는 돌출된 클립에 의해 패널의 적재성이 좋지 않다. 따라서 종래에는 패널과 클립을 별도로 제공하고 현장에서 패널에 클립을 결합하면서 조립을 해야 하였다. 다수의 패널을 거치하여야 하는 현장에서 클립을 일일이 결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클립의 분실로 인한 시공지연이 문제되어 왔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6347호 (2003.02.21)
본 발명은 패널에서 돌출되지 아니하게 결합되어 있다가 패널 설치 시에 간단히 클립이 돌출되게 하여 패널 시공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패널 결합용 클립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장착홀이 형성되어 있는 패널의 배면판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패널의 전면판과 상기 배면판 사이에 들어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홀에 걸리는 연장편 및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어 있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편이 상기 장착홀에 들어간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 상기 연장편 및 상기 걸림부가 일체로 회전하면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배면판에서 돌출되는 패널 결합용 클립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걸림부가 수직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일단부에는 상기 연장편이 연결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연장편과 마주보게 상기 베이스판의 타단부에서 이어지며, 상기 연장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내면과 이격되어 있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연장편의 내측면에는 상기 배면판의 두께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걸림돌기가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편에는 상기 장착홀에 파지되어 걸리는 갈고리턱이 돌출될 수 있다.
한편 가장자리가 내측으로 말려 배면판을 형성하고 있는 패널판, 상기 배면판에 형성된 장착홀에 결합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클립 및 상기 클립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배면판에 고정되는 자석을 포함하는 패널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체로 구성된 1 피스의 클립을 이용하여 걸림부를 뉘이거나 세울 수 있으므로 클립의 강성이 우수하고, 조립 현상에서는 클립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걸림부를 돌출시키므로 패널을 설치하는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장착홀에 결합시킨 클립이 임의로 이탈하지 아니함으로써 클립 분실의 염려가 없으며, 클립을 세우는 과정 중에 올바르게 클립이 올바르게 세워지는 지에 대한 장착감을 전달하므로 오조립의 염려가 해소된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결합용 클립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패널의 결합 방향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패널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실시예와 패널의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가 패널에서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패널에서 돌출되게 세우는 과정을 나타난 단면도.
도 8은 도 6에 따른 실시예와 패널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패널 결합용 클립 및 패널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결합용 클립과 관련되며, 도 2는 클립의 사용 상태와 관련된다.
먼저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200)을 설명한다.
패널(200)은 가장자리가 내측으로 말려 배면판(201)을 형성하고 있는 패널판(210), 패널 결합용 클립(100) 및 클립(100)과 이격된 위치에서 배면판(201)에 고정되는 자석(M)을 포함한다.
패널판(210)은 금속판 등으로 제작되는 것으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자리 부분이 뒤로 말려져 전면판()과 평행한 배면판(201)을 형성하고 있다. 전면판()의 후면과 배면판(201) 사이에는 공간(S)이 형성된다.
배면판(201)에는 장착홀(202)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홀(202)의 단면은 직사각형 형태로,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장착홀(202)은 패널(200)의 후방에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어, 각 장착홀(202)에는 클립(100)이 장착된다.
도 2에서 장착된 클립(100)은 배면판(201)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프레임(300)에 형성된 장착용 홀(301)에 걸어진다. 한편 장착홀(202)의 상부에 고정된 자석(M)은 프레임(300)에 들러붙음으로써 패널(200)을 프레임(300)에 고정시킨다.
다시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패널 결합용 클립(100)은 몸체부(10), 연장편(20) 및 걸림부(30)를 포함한다.
몸체부(10)는 패널(200)의 전면판()과 배면판(201) 사이의 공간(S)에 들어가는 부분이다.
몸체부(10)의 일단부에는 연장편(20)이 연장되어 있다. 몸체부(10)와 연장편(20)은 이격되어 있어, 몸체부(10)와 연장편(20) 사이로 패널(200)의 배면판(201)이 수용된다.
연장편(20)과 평행한 방향으로 몸체부(10)에는 걸림부(30)가 연결되어 있다. 걸림부(30)는 비스듬히 돌출된 갈고리의 형태로, 프레임(300)에 형성된 장착용 홀(301)에 걸리는 구조이다. 걸림부(30)는 장착용 홀(301)에 걸리는 형태이면, 형상이 다양하게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몸체부(10), 연장편(20) 및 걸림부(30)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일체로 제작된다. 단일한 피스로 제작되는 클립(100)은 강성이 우수하며, 제작, 장착, 관리 등에 편리성이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살펴보면, 배면판(201)의 장착홀(202)에 연장편(20)이 걸리도록 클립(100)이 결합된다. 이때 클립(100)의 걸림부(30)는 패널(200)의 전면판과 평행하게 놓이므로 클립(100)에 의한 패널(200)의 두께 증가가 미미하다. 따라서 이 상태로 패널들을 적층하기가 용이하다.
패널(200)을 프레임(300)에 거치할 때에는 클립(100)을 회전시켜 걸림부(30)가 배면판(201)에서 사실상 수직되게 돌출시킨다. 클립(100)의 회전 시에 연장편(20)이 장착홀(202)에 들어가면서, 일체로 형성된 몸체부(10), 연장편(20) 및 걸림부(30)가 함께 회전하며 클립이 세워진다.
클립(100)을 세우면 연장편(20)의 상하단이 장착홀(202)의 내면에 걸리게 되므로, 클립(100)은 배면판(201)에 견고하게 세워지고, 이후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부(30)와 자석(M)을 이용하여 패널(200)을 프레임(300)에 거치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여, 몸체부(10)의 세부 구성을 살펴본다.
몸체부(10)는 베이스판(11)과 탄성지지부(12)를 포함한다.
베이스판(11)의 외측에는 걸림부(30)가 수직되게 연결되어 있으며, 베이스판(11)의 일단부에는 걸림부(30)가 돌출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편(20)이 연결되어 있다.
탄성지지부(12)는 베이스판(11)의 타단부에서 연결된다. 탄성지지부(12)는 연장편(20)과 사실상 평행하게 구비됨으로써, 베이스판(11), 연장편(20) 및 탄성지지부(12)에 의한 단면 형상은 대략 사각형이 된다.
탄성지지부(12)는 연장편(20)과 평행한 지지편(121), 지지편(121)에서 이어지며 베이스판(11)과 평행하게 놓이는 바닥편(122) 및 바닥편(122)에서 시작되어 연장편(20)의 내측면을 지나 베이스판(11)의 내측면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있으면서, 연장편(20) 및 베이스판(11)과는 이격되어 있는 탄성편(123)을 포함한다.
클립(1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지지편(121) 또는 바닥편(122)이 패널 전면판()의 후면을 향하게 된다.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클립(100)이 누운 상태에서는 지지편(121)이 패널(200)의 전면판()의 후면과 인접하고, 도 6과 도 8에서와 같이 클립(100)이 세워진 상태에서는 바닥편(122)이 패널(200)의 전면판()의 후면과 접하게 된다.
지지편(121)과 바닥편(122)이 이어지는 모서리 부분(124)은 라운드 처리되어 있다. 라운드 처리된 모서리 부분(124)은, 누운 클립을 작업자가 클립을 용이하게 세울 수 있게 한다(도 7 참고).
탄성편(123)은 연장판()과 베이스판(11)과는 이격되어 있다. 탄성편(123)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면판(201)을 가압하여 배면판(201)이 연장편(20) 또는 베이스판(11)과 밀착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베이스판(11)과 지지편(121)이 만나는 내측 모서리에는 스톱퍼돌기(125)가 돌출되어 있다.
연장편(20)의 내측면에는 배면판(201)의 두께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베이스판(11)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걸림돌기(21)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연장편(20)의 끝단부에는 장착홀(202)에 파지되어 걸리는 갈고리턱(22)이 돌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패널의 전면판()과 배면판(201) 사이에 클립(100)을 뉘인 상태로 끼운 상태를 설명한다.
도 3과 도 4에서 패널(200)의 전면판()과 배면판(201) 사이로 몸체부(10)가 놓이도록 하면서 클립(100)을 장착한다. 이때 연장편(20)과 몸체부(10) 사이로 장착홀(202)이 형성된 배면판(201)이 들어가게 된다.
도 5를 참고하면, 연장편(20)의 갈고리턱(22)은 장착홀(202)에 들어가며, 배면판(201)은 연장편(20)과 탄성편(123) 사이에 개재된다. 탄성편(123)의 복원력에 의해 배면판(201)이 연장편(20)을 향하여 가압되는 상태가 유지된다. 이로써 갈고리턱(22)이 장착홀(202)의 내면에 걸려, 클립(100)이 임의로 배면판(201)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나아가 연장편(20)과 몸체부(10) 사이로 들어온 배면판(201)의 선단부는 걸림돌기(21)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걸림돌기(21)는 배면판(201)을 눌러줌으로써 탄성편(123)에 의한 가압력을 크게 하고, 갈고리턱(22)에 의한 클립(100)의 이탈 방지 효과를 더욱 크게 한다.
이와 같이 클립(100)이 뉘어 끼운 상태에서, 걸림부(30)는 패널(200)의 전면판()과 나란하게 놓이므로 패널들을 적재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클립을 세우는 과정과 관련된다.
패널 조립 현장에서 걸림부(30)를 돌출시키기 위해서 클립(100)을 회전시킨다. 도 7은 클립을 세우는 중간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연장편(20)이 장착홀(202)의 내부를 통과하고 있다.
잠시 도 3을 참고하면, 연장편(20)의 선단부의 상하 모서리(23)는 라운드 처리되어 있다. 이로써 장착홀(202)의 상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한 연장편(20)이 장착홀(202)에 삽입될 때에, 라운드진 모서리(23)가 장착홀(202)의 주변에 걸리지 않고, 연장편(20)이 쉽게 장착홀(202)을 찾아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전면판()의 후면에 바닥편(122)과 지지편(121)의 라운드 처리된 모서리 부분(124)이 접하면서 클립(100)이 회전되며, 탄성편(123)은 배면판(201)에 의해 크게 탄성 변형된다. 또한 베이스판(11)에 외팔보 형태로 연결되어 있는 연장편(20)도 장착홀(202)의 내면을 타고 외측으로 벌어지며 탄성변형된다.
연장편(20)의 내면에 돌출된 걸림돌기(21)는 장착홀(202)을 통과하면서, 장착홀(202)의 내면에 걸리게 된다. 클립(100)이 더 회전하면서 걸림돌기(21)가 장착홀(202)의 내면을 타고 넘게 된다. 걸림돌기(21)가 장착홀을 지나면서, 탄성 변형되었던 연장편이 복원되며 장착홀(202)의 내면과 충격하여 작업자에게 클립이 온전히 회전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장착감을 전달하게 된다.
도 8은 클립이 완전히 세워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바닥편(122)이 패널 전면판()의 후면을 지지하고, 연장편(20)은 장착홀(202)에 끼워져 있다. 배면판(201)의 선단부는 스톱퍼돌기(125)에 접하여 더 이상 전진할 수 없으며, 베이스판(11)에 접촉하게 된다. 탄성편(123)이 베이스판(11)을 상부로 눌러주고 있으며, 걸림돌기(21)과 베이스판(11) 사이에 장착홀(202)의 일단이 갇히게 된다.
몸체부(10)의 내부로 들어온 배면판(201)은, 선단부는 스톱퍼블록()에, 상면은 베이스판(11)에, 하면은 탄성편(123)과 걸림돌기(21)에, 장착홀(202)을 형성하는 타단부는 연장편(20)에 막힌 상태가 되므로, 클립(100)이 배면판(201)에 견고하게 세워지고 클립(100)이 패널(200)에서 임의로 이탈하지 않게 된다.
나아가 클립(100)을 다시 누이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클립을 세울 때보다 큰 힘을 들여 클립을 다시 뉘일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에서 떼어낸 패널들을 다시 적층하여 운반할 수 있다.
100 : 클립
10 : 몸체부
11 : 베이스판 12 : 탄성지지부 121 : 지지편 122 : 바닥편
123 : 탄성편 124 : 모서리 부분 125 : 스톱퍼돌기
20 : 연장편
21 : 걸림돌기 22 : 갈고리턱 23 : 모서리
30 : 걸림부
200 : 패널
210 : 패널판 201 : 배면판 202 : 장착홀 S : 공간 M : 자석
300 : 프레임 301 : 장착용 홀

Claims (5)

  1. 장착홀이 형성되어 있는 패널의 배면판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패널의 전면판과 상기 배면판 사이에 들어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홀에 걸리는 연장편 및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어 있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편이 상기 장착홀에 들어간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 상기 연장편 및 상기 걸림부가 일체로 회전하면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배면판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걸림부가 수직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일단부에는 상기 연장편이 연결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연장편과 마주보게 상기 베이스판의 타단부에서 이어지며, 상기 연장편과 상기 베이스판의 내면과 이격되어 있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패널 결합용 클립.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연장편의 내측면에는
    상기 배면판의 두께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걸림돌기가 돌출되어 있는 패널 결합용 클립.
  4. 제1항에서,
    상기 연장편에는 상기 장착홀에 파지되어 걸리는 갈고리턱이 돌출되어 있는 패널 결합용 클립.
  5. 가장자리가 내측으로 말려 배면판을 형성하고 있는 패널판,
    상기 배면판에 형성된 장착홀에 결합되는 것으로, 제1항, 제3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한에 따른 클립 및
    상기 클립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배면판에 고정되는 자석을 포함하는 패널.
KR20140169475A 2014-12-01 2014-12-01 패널 결합용 클립 및 이를 구비한 패널 Active KR101508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9475A KR101508282B1 (ko) 2014-12-01 2014-12-01 패널 결합용 클립 및 이를 구비한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9475A KR101508282B1 (ko) 2014-12-01 2014-12-01 패널 결합용 클립 및 이를 구비한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8282B1 true KR101508282B1 (ko) 2015-04-07

Family

ID=53032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69475A Active KR101508282B1 (ko) 2014-12-01 2014-12-01 패널 결합용 클립 및 이를 구비한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2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3540A (ko) * 2018-07-30 2020-02-07 전승환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
KR102500828B1 (ko) 2022-09-06 2023-02-16 박창원 타일 후크 및 이를 구비한 파티션 패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347Y1 (ko) * 2002-12-09 2003-03-04 주식회사 퍼시스 칸막이용 자석 패널
KR200318034Y1 (ko) 2003-04-07 2003-06-28 주식회사 퍼시스 칸막이용 패널
KR200430775Y1 (ko) * 2006-08-09 2006-11-10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파티션 판넬 클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347Y1 (ko) * 2002-12-09 2003-03-04 주식회사 퍼시스 칸막이용 자석 패널
KR200318034Y1 (ko) 2003-04-07 2003-06-28 주식회사 퍼시스 칸막이용 패널
KR200430775Y1 (ko) * 2006-08-09 2006-11-10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파티션 판넬 클립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3540A (ko) * 2018-07-30 2020-02-07 전승환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
KR102181056B1 (ko) * 2018-07-30 2020-11-19 전승환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
KR102500828B1 (ko) 2022-09-06 2023-02-16 박창원 타일 후크 및 이를 구비한 파티션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72618B (zh) 封板固定装置
US20140251558A1 (en) Support structure for increasing fixing force of a curtain
US9151061B2 (en) Method and a device to attach building trims
US4938443A (en) Venetian blind installation bracket
KR101887203B1 (ko) 면진 기능을 구비한 천장마감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방법
WO2016045451A1 (zh) 用于电梯轿厢内装饰的插挂式安装结构
KR101719106B1 (ko) 벽지에 부착되는 행거
TW201432120A (zh) 邊緣裝飾條固定夾
KR101508282B1 (ko) 패널 결합용 클립 및 이를 구비한 패널
KR20180060274A (ko) 천정판 체결 프레임 구조
KR102084704B1 (ko) 천정패널 체결 구조
KR200475185Y1 (ko) 파티션용 수납 걸이대
JP6071507B2 (ja) 天井板
KR101905659B1 (ko) 욕실 코너 선반
KR200491880Y1 (ko) 클립을 이용한 천장 점검구 커버 고정구조
KR20100131845A (ko) 건축용 조립식 판넬
US2026117A (en) Resilient building construction
KR101825662B1 (ko) 건축물의 마감패널 고정장치
KR100981307B1 (ko) 창틀 받침용 브래킷
KR20140005485U (ko) 천정판 고정구조
CN107044471A (zh) 一种用于固定不同厚度展板的可选配件的卡钉结构
KR101917322B1 (ko) 시공성이 향상된 건물외단열 시공용 브라켓
US8398183B2 (en) Hanging hook and modular storage furniture system
TWI860219B (zh) 隔板安裝總成
KR200483804Y1 (ko) 조립식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0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3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3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1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