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853B1 - vacuum cleaner and a manufacturion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and a manufacturion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07853B1 KR101507853B1 KR20130037102A KR20130037102A KR101507853B1 KR 101507853 B1 KR101507853 B1 KR 101507853B1 KR 20130037102 A KR20130037102 A KR 20130037102A KR 20130037102 A KR20130037102 A KR 20130037102A KR 101507853 B1 KR101507853 B1 KR 1015078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press
- center
- cleaner
-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4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4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467 acupunc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08 swee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8—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mattress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청소기 본체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 브라켓; 상기 지지부 브라켓을 관통하는 샤프트; 그리고 상기 샤프트가 기설정된 길이까지만 압입되는 압입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를 지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두 개의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의 양단이 각각 상기 바퀴의 압입홀에 상기 기설정된 길이까지만 압입되어, 상기 지지부 브라켓 좌우 중심에 상기 샤프트의 중심이 위치되며, 상기 샤프트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두 개의 바퀴는 서로 대칭되도록 위치되는 청소기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support bracket extending outwardly from a cleaner body; A shaft passing through the support bracke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cuum cleaner comprising two wheels, each of which has a press-fit hole in which the shaft is press-fit only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which rotatably supports the cleaner main body, The center of the shaft is positioned at the right and left center of the support bracket so that the two wheels are position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haf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escription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cleaner.
진공 청소기는 내부에 팬모터가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기와 먼지를 흡입하여 먼지를 걸러내는 장치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진공 청소기를 일반적으로 청소기라 부를 수 있다. The vacuum cleaner is equipped with a fan motor to suck air and dust from the outside to filter dust. Such a vacuum cleaner is generally referred to as a vacuum cleaner.
청소기는 일반적으로 몸체와 흡입노즐이 연장관이나 연결 호스로 연결되는 캐니스터(canister)형 청소기와 몸체에 흡입노즐이 직접 연결되는 업라이트(up-right)형 청소기가 있다.The cleaner generally has a canister type cleaner in which a body and a suction nozzl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extension pipe or a connecting hose, and an up-right type cleaner in which a suction nozzl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body.
한편, 간이 청소기로 사용자가 청소기 몸체를 직접 잡은 상태에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핸디형 청소기도 많이 보급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handy type vacuum cleaner which can perform cleaning while the user holds the cleaner body directly by the simple vacuum cleaner is widely used.
최근에는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침구를 청소할 수 있는 침구 청소기가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침구 청소기도 핸디형 청소기라 할 수 있는데, 일반적인 핸디형 청소기와는 달리 침구 청소기에는 침구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 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다.Recently, bedding cleaners that can clean bedding due to improvement in living standards have been spreading. Such bedding cleaners may also be referred to as handheld vacuum cleaners. Unlike general handheld vacuum cleaners, bedding cleaners may be equipped with vibration plates that apply vibration to bedding.
핸디형 청소기는 대상물의 일부분을 간단하게 청소하기 위해 제작됨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핸디형 청소기의 취급 시 사용자의 자세로 인한 불편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는 캐니스터형 청소기와 업라이트형 청소기도 마찬가지이다. 왜냐하면, 이들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서있는 자세에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A handheld vacuum cleaner is generally designed to simply clean a portion of an object. Therefor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posture of the user when handling the handy-type vacuum cleaner does not become a serious problem. This also applies to canister type cleaners and upright type cleaners. This is because, when using them, the user can perform cleaning in a standing posture.
그러나, 사용자가 침구 청소기를 사용하여 침구를 청소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많은 시간을 들여 침구 전체를 골고루 청소하게 된다. 따라서, 청소 시 사용자의 자세로 인한 불편이 문제가 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user uses the bedding cleaner to clean the bedding, the user generally takes a lot of time to clean the bedding evenly. Therefor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posture of the user during cleaning may become a problem.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종래의 청소기, 특히 침구 청소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1 to 3,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particularly, an acupuncture vacuum clean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침구 청소기(1)는 상부 바디(2), 핸들(3), 노즐 바디(5) 그리고 하부 바디(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노즐 바디(5)는 지면, 특히 침구에 수평하게 구비되며, 상기 노즐 바디(5)를 통해 침구를 청소하게 된다.The
상기 노즐 바디(5)에는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노즐(6), 진동 플레이트(7) 그리고 상기 애지테이터(agitator, 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동 플레이트(7)는 침구에 진동을 가하여 침구 내의 먼지를 비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애지테이터(8)는 침구 표면의 먼지를 쓸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러한 진동 플레이트(7)와 애지테이터(8)의 작동으로 인해 침구 청소가 더욱 효과적이게 된다. The
상기 하부 바디(4)는 상기 노즐 바디(5)에서 실질적으로 상기 지면과 수평하게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하부 바디(4)와 상기 노즐 바디(5)의 상부에 상기 상부 바디(2)가 결합되어 청소기의 몸체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The lower body (4) extends substantially rearwardly from the nozzle body (5) substantially horizontally to the ground. The
상기 하부 바디(4)에는, 지면에 대해서 상기 청소기를 지지하기 위한 롤러(9)가 구비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롤러(9)와 상기 애지테이터(8)에 의해 청소기가 지면 또는 침구 상에서 지지된다고 할 수 있다.The lower body (4) is provided with a roller (9) for supporting the cleaner against the ground. It can be said that the cleaner is supported on the ground or bedding by the
상기 롤러(9)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롤러(9)는 회전축(9a)을 통해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9a)은 하부 바디(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회전축(9a)은 하부 바디(4) 내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The
따라서, 하부 바디(4)와 상부 바디(2)의 결합 전에 회전축(9a)과 롤러(9)가 먼저 상기 하부 바디 내부를 통해 상기 하부 바디(4)와 결합하여야 한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전체적인 청소기 조립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Therefore, before the
또한, 상기 롤러(9)는 단일 구조로 되어 있어 좌우로 이격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물론, 회전축(9a)의 좌우 이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는 롤러(9) 외부로 금속성 회전축(9a)이 노출될 수 있으므로, 제품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될 수 있다. 아울러, 롤러(9)와 회전축(9a)의 좌우 이격으로 인해, 하부 바디(4)와의 접촉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 또한 제품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된다.Further, since the
한편, 상기 롤러(9)의 원통 형상으로 인해, 청소시 침구가 측면으로 밀리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는 롤러(9)와 침구 사이의 지지 면적이 넓기 때문이다. 따라서, 청소 시 청소기(1)를 침구에서 좌우로 이동시키는 경우 침구가 밀리는 문제로 인해, 침구에 의도치 않은 인장력을 가하게 된다. 이러한 인장력으로 인해 침구가 손상되거나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크다.On the other hand, due to the cylindrical shape of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핸들(3)을 잡고 전후로 청소기를 주행시키면서 침구를 청소하게 된다.As shown in FIG. 3, the user holds the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침구 청소기는 전체적으로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낮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침구 청소시 허리를 굽혀서 장시간 청소를 해야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However,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ventional bedding cleaner has a problem that the height from the ground as a whole is low. Therefore, the user inconveniences the user to bend his / her back when cleaning the bedding and clean it for a long time.
그리고, 침구의 특성 상, 침구 청소기가 전체적으로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낮으면, 침구 청소기와 침구 사이에 마찰이나 간섭이 많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침구 청소기의 저면이 모두 침구에 파묻힐 수 있다. 이는 청소가 수행되는 침구 부분뿐만 아니라 청소가 완료된 침구 부분들도 침구 청소기의 저면과 밀착되어 청소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야기한다. In add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dding, if the bedding cleaner is entirely lower in height than the ground, friction or interference may occur between the bedding cleaner and the bedding. That is, the bottom of the bedding cleaner may be buried in the bedding. This causes not only the bed portion to be cleaned but also the bed portions that have been cleaned to com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edding cleaner, thereby causing a problem of deteriorating the cleaning efficiency.
아울러, 청소기 상부 바디(2)와 핸들(3)과의 위치 차이로 인해, 지면 또는 침구로 힘을 가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사용자는 청소시 전방과 후방으로만 힘을 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노즐 바디(5)가 지면이나 침구와 밀착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로 효과적인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왜냐하면 충분히 침구에 진동을 가할 수 없기 때문이다.In addition, it is not easy to apply force to the floor or the bedding due to the positional difference between the cleaner
청소기의 높이를 키우기 위해 핸들(3)의 위치를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청소기 상부 바디(2)의 형상이 전후로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바디(2)의 형상과 핸들(3) 형상이 불균형을 이룰 수 있다. 이로 인해, 청소기의 전체적인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왜냐하면 청소기의 상부 바디(2)에 비해 핸들(3)이 너무 높게 되기 때문이다. It is possible to further raise the position of the
아울러, 상부 바디(2)와 핸들(3)은 별도로 구비되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핸들(3)의 높이를 키우게 되면 전체적인 외형이 커지게 되어, 취급이나 보관 시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In addition, the
한편, 안정적인 주행을 위해, 청소기의 무게 중심은 애지테이터(8)와 롤러(9) 사이에 구비된다. 그러나, 청소기의 무게 중심이 지면과 가깝기 때문에 주행을 위해 핸들(3)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과 모멘트 거리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전술한 바와 같이, 청소가 수행되는 노즐 바디(5)가 지면이나 침구와 밀착되지 않을 우려가 많다.On the other hand, for stable runn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leaner is provided between the
그리고, 하부 바디(4)와 노즐 바디(5)가 전체적으로 지면과 대응되도록 수평으로 형성되므로, 청소를 위한 주행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이는, 청소와 무관한 영역이 지면과 가까워지기 때문이다. 반대로, 이러한 형상은 청소 영역, 즉 노즐 바디(5) 면적을 키우는 것이 용이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효과적인 청소를 위해 시간당 주행 거리가 짧아질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이는 결국 청소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Since the
한편, 도 3에 도시된 청소기(1) 내부에서의 유로는 방향 전환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공기 저항이 높은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low path inside the
먼저, 에어 가이드(11)을 통해서 공기는 먼지통(12)로 유입된다. 상기 에어 가이드(11)에서는 공기가 상부, 후방 다시 상부로 방향 전환된다. 상기 먼지통(12)으로 유입된 공기는 먼지통 후방으로 배출되어 팬모터(13)로 유입된다. 상기 팬모터(13)로 유입된 공기는 팬모터(13)의 일측(지면 통과 방향)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First, air is introduced into the
이러한 유로 구조로 인해, 청소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고 외부로 배출되기까지 공기 유동의 방향 전환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따라서 소음이 증가하고 원활한 청소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아울러, 소음 차폐를 위해 부가적인 구성들이 더욱 추가될 수 있으며, 팬모터를 수용하는 팬 모터 챔버의 구조가 복잡해질 수 있다. Due to such a flow path structure, the direction of the air flow is frequently changed until air is introduced into the cleaner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noise is increased and smooth cleaning is difficult. In addition, additional constructions can be added for noise shielding, and the structure of the fan motor chamber accommodating the fan motor can be complicated.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종래의 청소기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of the conventional vacuum cleaner.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조립 구조가 간단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바퀴를 갖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cleaner having a simple and easy assembling structure.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청소기를 지지하는 바퀴의 좌우 이격과 바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의 좌우 이격이 효과적으로 제한되어 신뢰성이 증진된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cleaner in which reliability is improved by effectively restricting left and right separation of a wheel supporting a vacuum cleaner and separation of a rotation shaft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wheel.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청소기의 외형을 이루는 바디 외부에서 바퀴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장착 후 이탈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cleaner in which a wheel can be easily mounted outside a body forming an outer shape of a vacuum cleaner, and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청소기의 안정적인 주행을 가능하게 하고 청소기를 안정적으로 지면에 대해서 지지할 수 있는 바퀴를 갖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cleaner having wheels capable of stable running of the vacuum cleaner and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the vacuum cleaner on the ground.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청소시 허리를 굽히는 불편을 최소화하여 사용이 편리한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eaner that is easy to use by minimizing the inconvenience of bending the waist during clean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노즐 부분이 지면이나 침구와 더욱 밀착되도록 하여 청소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cleaner in which a nozzle portion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 floor or bedding to further enhance the cleaning effe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청소시 주행 안정성을 확보하여 사용이 편리한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which is easy to use by securing stability in traveling during cleaning 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청소기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이 보다 원활히 흐르도록 하여, 청소 효율을 높이고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leaner capable of increasing the cleaning efficiency and reducing the noise by making the flow of air flow more smoothly in the cleaner.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청소기 본체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 브라켓; 상기 지지부 브라켓을 관통하는 샤프트; 그리고 상기 샤프트가 기설정된 길이까지만 압입되는 압입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를 지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두 개의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의 양단이 각각 상기 바퀴의 압입홀에 상기 기설정된 길이까지만 압입되어, 상기 지지부 브라켓 좌우 중심에 상기 샤프트의 중심이 위치되며, 상기 샤프트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두 개의 바퀴는 서로 대칭되도록 위치되는 청소기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support bracket extending outwardly from a cleaner main body; A shaft passing through the support bracke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cuum cleaner comprising two wheels, each of which has a press-fit hole in which the shaft is press-fit only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which rotatably supports the cleaner main body, The center of the shaft is positioned at the left and right center of the support bracket and the two wheels are position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haft.
상기 압입홀은, 상기 샤프트의 최대 외경보다 내경이 큰 삽입홀; 그리고 상기 삽입홀 내측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샤프트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 걸림부의 내경은 상기 샤프트의 최대 외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Wherein the press-fit hole includes: an insertion hole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a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shaft; And a shaft engaging portion protruding radially from the inside of the insertion hole, wherein an inner diameter of the shaft engaging portion is smaller than a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shaft.
상기 샤프트의 양단에는 챔퍼가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의 양단에서의 상기 샤프트의 외경은 상기 샤프트 걸림부의 내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Chamfer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haft so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shaft at both ends of the shaft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haft engagement portion.
상기 샤프트의 일단이 상기 샤프트 걸림부를 지나 상기 기설정된 길이까지만 압입되도록, 상기 삽입홀의 깊이가 기설정됨이 바람직하다. The depth of the insertion hole is preferably set such that one end of the shaft is press-fitted only to the predetermined length after passing through the shaft engagement portion.
상기 삽입홀의 최대 깊이를 형성하는 상기 삽입홀의 저면에서, 상기 샤프트를 향해 돌출되는 스토퍼 리브의 돌출 길이에 의해, 상기 삽입홀의 깊이가 기설정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depth of the insertion hole is preset by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stopper rib protruding toward the shaft at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forming the maximum depth of the insertion hole.
상기 샤프트의 일측 단면과 마주하는 상기 스토퍼 리브의 돌출 단면의 단면적은, 상기 샤프트의 일측 단면의 단면적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Sectional area of the projecting end face of the stopper rib facing the one end face of the shaft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one end face of the shaft.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는 지지부 브라켓에 형성된 관통홀의 내경은, 상기 샤프트의 최대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가 상기 관통홀에 억지 끼움됨이 바람직하다.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support bracket through which the shaft penetrates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shaft so that the shaft is constrained to the through hole.
상기 샤프트는 회전이 구속되도록 고정되며, 상기 바퀴는 상기 고정된 샤프트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shaft is fixed so that rotation is restrained, and the wheel rotates relative to the fixed shaft.
상기 샤프트의 양측에 각각 상기 샤프트 걸림부의 최소 내경보다 최소 외경이 작게 형성되는 샤프트 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And a shaft groov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haft so that a minimum outer diameter is smaller than a minimum inner diameter of the shaft engaging portion.
상기 샤프트 걸림부는, 상기 샤프트 걸림부의 중심에서 내경이 최소가 되고 상기 샤프트 걸림부의 중심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증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 홈은, 상기 샤프트 홈의 중심에서 외경이 최소가 되고 상기 샤프트 홈의 중심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Wherein the shaft engaging portion is formed such that an inner diameter is minimized at the center of the shaft engaging portion and an inner diameter increases toward both sides from a center of the shaft engaging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diameter increases from the center of the groove toward both sides.
상기 샤프트 홈에 상기 샤프트 걸림부가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가 상기 압입홀에서 이탈이 방지되며, 상기 샤프트 걸림부가 상기 샤프트 홈에 대해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바퀴가 회전함이 바람직하다. The shaft is inserted into the shaft groove to prevent the shaf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ress-fit hole, and the wheel rotates as the shaft latch is slid with respect to the shaft groove.
상기 샤프트 중심에는, 상기 샤프트의 최대 외경보다 작고 소정 폭을 갖는 샤프트 고정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And a shaft fixing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smaller than a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shaft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haft.
상기 샤프트 고정홈은 상기 지지부 브라켓의 내부 공간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And the shaft fixing groove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bracket.
상기 샤프트가 상기 지지부 브라켓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샤프트 고정부재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And a shaft fixing member fix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to prevent the shaft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upporting bracket.
상기 본체의 하부 그리고 상기 지지부 브라켓 인근에 형성되는 충전 홀; 그리고 상기 충전 홀 내측에 구비되는 충전 단자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 내부에 고정되는 충전 단자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고정부는 상기 충전 단자 고정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A charging hol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near the support bracket; And a charging terminal fixing part fix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o fix a charging terminal provided inside the charging hole, wherein the shaft fixing part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charging terminal fixing part.
상기 바퀴는 수직 단면이 타원이 되도록 타원 형상의 용기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wheel is formed in an elliptical container shape such that the vertical cross section is elliptical.
상기 바퀴는, 타원 형상 용기의 중심에 원통형으로 돌출되어, 상기 압입홀을 형성하는 중심 리브; 상기 중심 리브의 반경 방향 외측 그리고 상기 타원 형상 용기의 내부에서, 상기 타원 형상 용기보다 더 높게 돌출되는 외각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외각 리브의 말단이 상기 지지부 브라켓과 마주 보도록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The wheel has a center rib protruding in a cylindrical shape at the center of the elliptical container and forming the press-fit hole; The outer periphery of the center rib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elliptical container,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periphery rib is positioned to face the support bracket.
상기 청소기 본체는, 지면에 대응되도록 수평으로 형성되는 흡입 노즐부 본체; 상기 흡입 노즐부 본체의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팬모터 실장부;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부와 상기 팬모터 실장부의 상측에서 결합되는 바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 브라켓은, 상기 팬모터 실장부와 상기 지면과의 높이 차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팬모터 실장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cleaner main body includes: a suction nozzle unit body horizontally formed to correspond to a ground; A fan motor mounting part extending obliquely to the rear upper side of the suction nozzle body; And a body cover coupled to the suction nozzle unit and the fan motor mounting unit at an upper side thereof, wherein the support bracket is disposed below the fan motor mounting unit to compensate for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an motor mounting unit and the ground surface, As shown in Fig.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청소기 본체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부 브라켓; 상기 청소기 본체 외부에서 억지 끼움에 의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회전이 구속되도록 고정되는 샤프트; 그리고 상기 샤프트가 기설정된 길이까지만 압입되는 압입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를 지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두 개의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청소기 본체 외부에서, 상기 두 개의 바퀴가 상기 샤프트의 양단에 각각 상기 기설정된 길이까지만 압입되어 결합됨에 따라, 상기 지지부 브라켓 좌우 중심에 상기 샤프트의 중심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support bracket extending outwardly from a cleaner main body, the support bracket having a through hole; A shaft through which the rotation is restricted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er body; And two wheels which are respectively formed with press-fit holes in which the shaft is press-fit only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which rotatably support the cleaner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ground, wherein, in the out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And the center of the shaft is positioned at the right and left center of the support bracket as the support bracket is press-fitted to only the predetermined lengths at both ends thereof.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청소기 본체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 브라켓의 관통홀에, 샤프트를 억지 끼움에 의해 관통시키는 샤프트 가결합 단계; 압입홀이 형성된 두 개의 바퀴를 샤프트의 양측에 위치시켜, 샤프트를 상기 압입홀에 삽입시키는 바퀴 가결합 단계; 그리고 상기 샤프트 양단이 기설정된 길이까지만 상기 압입홀 각각에 압입되도록, 상기 가결합된 두 개의 바퀴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압입하여, 상기 지지부 브라켓의 좌우 중심에 상기 샤프트의 중심이 위치시키는 바퀴 본결합 단계를 포함하는 청소기의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shaft coupling step of penetrating a shaft through a through hole of a support bracket extending outward from a cleaner main body; A wheel coupling step of placing two wheels with press-fit holes on both sides of the shaft, and inserting the shaft into the press-fit hole; And a center of the shaft is positioned at the left and right center of the support bracket so that the gap between the two coupled wheels is narrowed so that both ends of the shaft are pres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vacuum cleaner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조립 구조가 간단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바퀴를 갖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acuum cleaner having a wheel that can be assembled easily and easily.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청소기를 지지하는 바퀴의 좌우 이격과 바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의 좌우 이격이 효과적으로 제한되어 신뢰성이 증진된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acuum cleaner in which reliability is improved by effectively restricting the left and right separation of the wheel supporting the cleaner and the separation of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rotation shaft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wheel.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청소기의 외형을 이루는 바디 외부에서 바퀴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장착 후 이탈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청소기의 안정적인 주행을 가능하게 하고 청소기를 안정적으로 지면에 대해서 지지할 수 있는 바퀴를 갖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acuum cleaner having wheels capable of stable running of the vacuum cleaner and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the vacuum cleaner on the ground.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청소시 허리를 굽히는 불편을 최소화하여 사용이 편리한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leaner that is easy to use by minimizing the inconvenience of bending the waist during clean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노즐 부분이 지면이나 침구와 더욱 밀착되도록 하여 청소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leaner can be provided which further enhances the cleaning effect by making the nozzle portion more closely contact with the floor or the bedd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청소시 주행 안정성을 확보하여 사용이 편리한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leaner which is easy to use by securing stability during travel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청소기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이 보다 원활히 흐르도록 하여, 청소 효율을 높이고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leaner capable of improving the cleaning efficiency and reducing the noise by making the flow of air flow more smoothly inside the cleaner.
도 1은 종래 침구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침구 청소기의 저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침구 청소기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청소기의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청소기의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청소기의 메인 바디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청소기의 측단면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청소기의 전방부에 대한 사시 단면도;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청소기의 베이스 바디에 대한 저면 사시도;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베이스 바디에서 지지부 브라켓의 중심부에 대한 사시 종단면도;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지지부 브라켓의 중심부에 대한 횡단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바퀴의 단면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샤프트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bedding cleaner;
FIG. 2 is a bottom view of the bedding cleaner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bedding cleaner shown in FIG. 1; FIG.
4 is a side view of a vacuum cleaner applicable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acuum cleaner shown in FIG. 4; FIG.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of the vacuum cleaner shown in FIG. 4; FIG.
FIG.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vacuum cleaner shown in FIG. 4;
8 is a perspective sectional view of the front part of the cleaner shown in Fig. 4; Fig.
FIG. 9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body of the vacuum cleaner shown in FIG. 4; FIG.
10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 bracket in the base body shown in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nter bracket of the support bracket shown in Fig. 4;
12 is a sectional view of the wheel shown in Fig. 11;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aft shown in Fi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청소기(200)의 외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청소기(200)의 좌우 방향, 즉 청소기(200)의 주행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청소기(200)의 주행 방향 양측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4 to 6, the outer shape of the
청소기(200)는 바디 또는 메인 바디(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청소기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는 메인 바디(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바디(20)는 지면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메인 바디(20)의 중심선(S)이 지면에 대해서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메인 바디(20)의 후방으로 갈수록 지면에 대한 높이 차이가 더욱 커지게 된다. The
상기 중심선(S)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α)는 30°내지 50°임이 바람직하며, 대략 4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각도가 더욱 커질수록 청소기의 무게 중심이 지나치게 높아질 수 있고, 반대로 각도가 더욱 작아질수록 종래의 청소기에서와 동일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angle? Between the center line S and the paper surface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30 to 50 degrees, more preferably about 40 degrees. This is becaus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vacuum cleaner may become too high as the angle increases, and conversely, as the angle becomes smaller, the same problem as in the conventional vacuum cleaner may occur.
청소기(200)는 지면이나 침대에 수평으로 놓인 침구에 대응되도록 수평으로 형성되는 흡입 노즐부(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흡입 노즐부(25)가 청소 영역과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 노즐부(25)는 상기 메인 바디(20)의 전방 하부를 이루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메인 바디(20)는 상기 흡입 노즐부(25) 상부에서부터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됨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메인 바디(20)의 하부를 베이스 바디(22)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바디(22)의 전방 부분을 흡입 노즐부 바디 또는 제1 베이스 바디(23)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흡입 노즐부(25)에 대응되는 베이스 바디(22)를 제1베이스 바디(23)라 할 수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상기 제1 베이스 바디(23)에서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제2 베이스 바디(24)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베이스 바디(22)의 전방은 제1베이스 바디(23)라 할 수 있고, 후방은 제2베이스 바디(24)라 할 수 있다.The
따라서, 상기 제1베이스 바디(23)는 지면에 대응하여 수평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베이스 바디(24)는 후방으로 갈수록 지면과의 높이차가 더욱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베이스 바디(24)와 상기 지면과의 경사 각도는 상기 메인 바디(20)의 중심선(S)과 상기 지면과의 경사 각도(α)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베이스 바디(24)는 상기 제1베이스 바디(23)에서부터 후방으로 연속적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the
상기 제2 베이스 바디(24)의 하부에는 상기 메인 바디(20)를 지면에 대해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메인 바디(20)의 후방 상측에는 핸들부(80)가 구비될 수 있다. A
사용자는 상기 핸들부(80)를 잡고, 상기 흡입 노즐부(25)가 침구에 밀착된 상태에서 전후 주행하도록 힘을 가할 수 있다. The user can grasp the
한편, 상기 메인 바디(20)는 상부를 이루는 바디 커버(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디 커버(21)는 상기 베이스 바디(22)와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공간에 후술하는 각종 구성들이 위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도 6은 바디 커버(21)와 베이스 바디(22)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청소기(200)는 지면에 대응되도록 수평으로 형성되는 흡입 노즐부(25)와 상기 흡입 노즐부(25)의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팬모터 실장부(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leaner 200 may include a
상기 흡입 노즐부(25)와 팬모터 실장부(26)는 일체로 형성되어 단일 베이스 바디(22)를 이룰 수 있다. The
상기 베이스 바디(22)는 상기 흡입 노즐부(25)에 대응되는 제1 베이스 바디(23)와 상기 팬모터 실장부(26)에 대응되는 제2베이스 바디(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베이스 바디(24)가 상기 제1베이스 바디(23)와 일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베이스 바디(24)가 상기 제1베이스 바디(23)의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됨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베이스 바디(22)의 상부에는 바디 커버(21)가 구비되어, 양자의 결합으로 전체적인 청소기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A
상기 바디 커버(21)의 형상은 상기 베이스 바디(22)의 형상과 부합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바디 커버(21)도 마찬가지로 후방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shape of the
상기 바디 커버(21)의 경사진 전면을 통해 먼지통(90)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먼지통(90)의 장착 방향은 상기 청소기(200)의 경사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먼지통(90)에서 보다 원활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제1 베이스 바디(23)에는 진동시스템(3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 시스템(30)은 진동 모터(31)와 진동 플레이트(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제1 베이스 바디(23)의 상부에는 진동 모터(31)가 구비되고, 상기 제1베이스 바디(23)의 하부에는 진동 플레이트(32)가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흡입 노즐부(25)에 진동 모터(31)와 진동 플레이트(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동 모터(31)의 회전을 통해 직접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진동 플레이트(32)로 전달된다. 상기 진동 플레이트(32)는 지면 또는 침구와 수평되도록 위치되어, 상하로 진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진동 플레이트(32)는 침구에 진동을 가하여 먼지를 털어주게 된다. 진동시스템(30)에 대한 상세는 후술한다.A vibrating
한편, 상기 제2 베이스 바디(24)의 후방에는 전원 코드(46)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 코드(46)를 통해 청소기 작동을 위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Meanwhile, a
상기 청소기(200)는 침구 청소기에 적합할 수 있으므로, 청소 영역은 침구의 면적과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캐니스터 청소기나 업라이트 청소기와는 달리 청소 영역이 상대적으로 좁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전원 코드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짧을 수 있다. Since the cleaner 200 may be suitable for the bedding cleaner, the cleaning area corresponds to the area of the bedding. Therefore, unlike ordinary canister cleaners or upright cleaners, the cleaning area is relatively narrow. Therefore, the length of the power cord may be relatively short.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200)에는, 상기 전원 코드(46)와 선택적으로 배터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전원 코드(46)가 배제되고 배터리만 장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청소기(200)가 충전 스테이션(미도시)에 장착되면, 상기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일한 청소기에서 충전 방식과 전원 연결 방식이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The
상기 배터리의 장착을 위해서, 상기 제1베이스 바디(23)의 상부에는 배터리 장착부(4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베이스 바디(23)의 상부에 청소기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배터리의 선택적 장착을 위해, 상기 배터리 장착부(41)는 충전 방식이든 전원 연결 방식이든 구분없이 모두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In order to mount the battery, a
상기 배터리의 무게는 상대적으로 크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의 장착 위치에 따라 청소기(200)의 전체 무게중심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The weight of the battery is relatively large.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후방으로 갈수록 지면과의 높이 차이가 커진다. 따라서, 주행의 편리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무게 중심을 낮추는 한편, 무게 중심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ground becomes larger as it goes backwar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ove the center of gravity forward while lowering the center of gravity in order to secure the convenience of traveling.
이러한 이유로, 상기 배터리를 상기 제1베이스 바디(23) 상부에 장착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it is very effective to mount the battery on the
아울러, 상기 배터리 장착부(41)는 흡입 노즐부(25)의 전방에 위치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상기 청소기(200)의 무게 중심을 더욱 전방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의 장착 위치를 통해서, 주행 안정성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충전식 청소기가 아닌 전원 연결식 청소기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전원 코드(46)가 전원에 인가된 경우에만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청소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배터리가 메인 바디(20) 내부에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청소기(200)의 무게 중심이 메인 바디(20)의 후방으로 어느 정도 이동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as will be described below, a power connected vacuum cleaner other than a rechargeable vacuum cleaner may be provided. That is, a cleaner capable of performing cleaning only when the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청소기의 무게 중심과 지지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충전식 청소기(배터리를 갖고 있는 청소기)가 아닌 전원 연결식 청소기의 경우를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vacuum cleaner and the support structure applicable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FIG. More specifically, it describes the case of a power-connected vacuum cleaner, not a rechargeable vacuum cleaner (a vacuum cleaner with a battery).
청소시, 청소기의 바디 또는 메인 바디(20)는 실질적으로 애지테이터(44)에 의해서 지지된다. 즉, 흡입 노즐부(25)에 구비되는 애지테이터(44)에 의해 지면에 대해서 청소기가 지지된다. In cleaning, the body or
그러나, 상기 메인 바디(20)는 상기 애지테이터(44)의 후방, 더욱 구체적으로는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애지테이터(44)의 후방에 상기 청소기를 지지하는 지지부(7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However, the
상기 지지부(70)는 상기 흡입 노즐부(25)의 후방 그리고 상기 팬모터 실장부(26)의 하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제1베이스 바디(23)가 아닌 제2베이스 바디(24)에 지지부(7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부(70)를 통해 형성되는 지지점은, 상기 제2베이스 바디(24)에서 지면에 대한 수직 하부에 위치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여기서, 상기 청소기(200)의 무게 중심은 상기 지지부(70)의 전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무게 중심은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25)의 후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청소기(200)의 무게 중심은, 지면에서 수직한 위치의 상기 제2베이스 바디(24) 그리고 상기 지지점에서 전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따라서, 상기 청소기(200)의 무게 중심, 상기 애지테이터(44)의 위치 그리고 상기 지지부(70)의 위치 사이의 관계로 인하여 상기 청소기(200)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청소시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이를 통해서 사용 편의성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상기 지지부(70)는 지지부 브라켓(71)과 바퀴(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 브라켓(71)에 상기 바퀴(72)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바퀴(72)가 상기 애지테이터(44)와 함께 청소기(200)를 지면에 대해서 지지하는 지지점을 형성한다고 할 수 있다. The
상기 지지부 브라켓(71)은 상기 팬모터 실장부(26)와 상기 지면과의 높이 차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팬모터 실장부(26)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제2 베이스 바디(24)의 하부에서 지면을 향해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 브라켓(71)은 제2 베이스 바디(40)의 좌우 폭 중 일부에서만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지지부 브라켓(71)은 제2 베이스 바디(40)의 좌우 중심에서 하방으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지지부 브라켓(71)이 지면과 맞닿을 수 있는 면적이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As shown in FIG. 5, the
따라서, 청소 영역과는 무관한 면적, 즉 청소와 무관하게 지면이나 침구와 맞닿을 수 있는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다. Therefore, the area irrelevant to the cleaning area, that is, the area that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loor or the bedding irrespective of the cleaning, can be minimized.
한편, 상기 바퀴(72)는 지지부 브라켓(71)의 좌우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는 두 개의 지지점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바퀴 하나를 통한 지지보다는 보다 안정적으로 청소기를 지지할 수 있다. The
그리고, 상기 청소기의 무게 중심은 상기 좌우 바퀴(7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청소기의 주행시 좌우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보다 안정적으로 청소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leaner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left and
상기 바퀴(72)는 지지부 브라켓(71)에서 좌우로 연장됨에 따라 상부로 굴곡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타원 형태의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지면이나 침구와 맞닿는 바퀴(72)의 면적이 좁다는 것을 의미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일례로, 상기 바퀴의 형상은 롤러 형태로 원통형일 수 있다. 이러한 원통형 형상의 바퀴는 지면이나 침구와 맞닿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다. 아울러, 이러한 면적은 전후 방향이 아닌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wheel may be cylindrical in the form of a roller. Such a cylindrical shape wheel has a relatively large contact area with the ground or bedding. In addition, this area can be form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no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침구 청소기의 주행은 직선 방향 전후뿐만 아니라 좌우로 곡선을 형성하면 전진과 후진하는 경우도 많이 발생될 수 있다. 물론, 사용 형태에 따라서는 바퀴와 침구 사이의 마찰을 무시하고 좌우로 이동될 수도 있다. 그러나, 원통형 형상의 바퀴인 경우 좌우 이동시 침구가 걸려 침구의 밀림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왜냐하면 좌우 방향으로 접촉 면적이 길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If the bedding cleaner is curved not only in the straight direction but also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forward movement and the backward movement may occur. Of course, depending on the mode of use, the friction between the wheel and the bedding may be neglected and moved to the left or right. However, in the case of a wheel having a cylindrical shape, bedding may be caught when moving left and right, and the bedding may be pushed up. This is because the contact area is formed long in the lateral direction.
그러나, 바퀴(72)의 형상을 타원형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침구의 밀림 현상을 현저히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타원형 바퀴와 침구 사이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타원형 바퀴의 경우는 좌우 방향으로 갈수록 상부로 굴곡지기 때문에, 좌우 방향으로 접촉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바퀴 형상으로 인해 침구의 밀림이 방지되고, 이를 통해 침구의 손상이나 찢김이 방지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shape of the
청소기(200)의 주행은 사용자가 핸들부(80)를 잡고 힘을 가하면서 이루어진다. The traveling of the cleaner 200 is carried out while the user grips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부(80)는 라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잡기가 편리하고 손목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구체적으로, 상기 핸들부(80)의 위치는, 바디(20)의 후방 상부에 형성된다. 미련한 디자인과 최급 용이를 위하여, 상기 핸들부(80)는 상기 바디(20)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상기 핸들부(80)는 바디(20)의 일부분이 관통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osition of 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핸들부(80)는 폐곡선을 갖도록 상기 바디(20)의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핸들부(80)는 상기 바디 커버(21)에 구비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이러한 핸들부(80)의 형상과 위치로 인해, 사용자는 주행을 위하여 바디(10)의 경사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즉, 전방 주행을 위해서, 전방뿐만 아니라 하방으로 힘을 용이하게 가할 수 있다. 왜냐하면, 경사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은 전방 성분과 하방 성분으로 나뉠 수 있기 때문이다. Due to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상기 핸들부(80)를 통해 가해지는 힘의 하방 성분은, 상기 흡입 노즐부(25)를 지면에 더욱 밀착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청소 효과가 더욱 증진될 수 있다.The downward component of the force applied through the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청소기(200)의 유로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low path structure of the
지면 또는 침구로부터 공기와 먼지가 에어 가이드(42)를 통하여 청소기(20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에어 가이드(42)는 지면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Air and dust from the floor or bedding are introduced into the cleaner 200 through the
상기 에어 가이드(42)는 먼지통(90)과 연통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에어 가이드(42)는 흡입 노즐부(25)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후방 상측으로 안내하여 상기 먼지통(90)으로 공급하게 된다.The
상기 먼지통(90)은 바디(20)의 경사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장착되고 분리될 수 있다. The dust container (90) can be mounted and separat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oblique direction of the body (20).
상기 먼지통(90)은 내부에 먼지가 수용되는 챔버(91)를 포함하고, 먼지가 유입되는 먼지통 유입부(94) 그리고 공기가 배출되는 먼지통 토출부(95)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먼지통 토출부(95)는 상기 바디(20)의 경사 방향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먼지통 토출부(95)는 메쉬 형태의 격벽(93)에 통공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격벽(93)의 전방에는 필터(92)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92)에 의해서 공기 중의 먼지가 분리되고, 공기가 상기 먼지통 토출부(95)를 거쳐 팬 모터 어셈블리(50)으로 유입될 수 있다.The dust
상기 먼지통 유입부(94)는 상기 에어 가이드(42)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통 유입부(94)는 상기 먼지통 토출부(95)에 비해서 상기 흡입 노즐부(25) 측으로 더욱 치우치는 각도로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지면에 대해서 더욱 수평하게 되는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The dust receptacle (94) communicates with the air guide (42). In addition, the
상기 에어 가이드(42), 상기 먼지통 유입부(94) 그리고 상기 먼지통 토출부(95) 사이의 위치 관계로 인하여, 공기는 실질적으로 후방 경사 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좌우, 상하 그리고 전후로 유로 방향이 전환되는 것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다.Due to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아울러, 이러한 공기 유동 방향은 팬 모터 어셈블리(50)로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흡입이 매우 원활히 수행될 수 있고, 공기 유동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rection of air flow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irection in which air is introduced into the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50)는 팬모터 실장부(26)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팬모터 실장부(26)는 후방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베이스 바디(24)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팬모터 실장부(26)에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50)도 후방 경사지게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50)의 중심축이 상기 바디(20)의 중심선(S)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이러한 팬 모터 어셈블리(50)의 장착 위치로 인해, 실질적으로 바디(24) 내부에서 상기 바디(20)의 중심선(S)과 나란하거나 동일한 유로 방향을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팬 모터 어셈블리(50)의 장착 위치로 인해, 공기를 유입시키는 팬 모터(51)의 중심축도 상기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된다.Because of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상기 먼지통 토출부(95)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패킹(55)을 거쳐서 팬 모터(51)를 감싸는 모터 챔버(52, 53)로 유입된다. 상기 모터 챔버(52, 53)는 상부 모터 챔버(52)와 하부 모터 챔버(5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모터 챔버(52)와 하부 모터 챔버(53)가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팬 모터(51)가 장착될 수 있다.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상기 모터 챔버(52, 53)는 챔버 내부에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상기 상부 모터 챔버(52)의 상부에는 필터(54)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최종적으로 바디(20) 내부에서 매우 미세한 먼지까지 걸러주기 위해 필터(54)가 구비될 수 있다. A
상기 필터(54)를 거쳐 배출되는 공기는, 모터 챔버(52, 53)의 좌우 양측에서 하부로 이동하여, 제1 베이스 바디(26)의 양측에 구비되는 바디 토출구(4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여기서, 상기 바디(20) 특히 바디 커버(21)의 내측과 상기 모터 챔버(52, 53)의 외측 사이에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공기의 배출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바디 커버(21)의 측면 공간을 활용하여 공기를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유속 감소로 인해 배기풍으로 인한 소음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Here, it can be seen that a sufficient space can be secured between the inside of the
전술한 이유로, 상기 모터 챔버(52, 53)를 단순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팬 모터 어셈블리(50)로 인한 소음 차폐 구조를 단순화하거나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팬 모터(51)를 감싸는 모터 챔버를 이중으로 형성하지 않고 단일 챔버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모터 챔버(52)와 하부 모터 챔버(53)의 결합으로 단일 모터 챔버를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 커버(21)의 측면 공간을 활용하여 배기풍으로 인한 소음을 현저히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For the above-mentioned reason,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의 유로가 흡입 노즐 바디(23)의 저면에 형성되는 노즐 흡입구에서부터 팬모터(51)에 이르기까지 후방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즉, 메인 바디(20)의 경사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공기의 유로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는 메인 바디(20) 내부의 공기 유로의 방향이 변경되지 않고, 원활하다는 것을 의미한다.7,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air flow path is inclined from the nozzle intake port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구체적으로, 도 7에서 빈 화살표는 먼지의 유동 경로 그리고 채워진 화살표는 공기의 유동 경로를 나타낸다. 따라서, 먼지는 먼지통까지 경사 방향으로 유입되고, 공기는 팬모터(51)까지 경사 방향으로 유입된다. 팬모터(51)에서 공기는 팬모터의 하부를 통해 상부로 유입될 수 있다. Specifically, in FIG. 7, the hollow arrow indicates the flow path of the dust and the filled arrow indicates the air flow path. Therefore, the dust flows in the oblique direction to the dust container, and the air flows in the oblique direction to the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72)의 위치와 상기 팬모터(51)의 무게 중심과의 관계가 중요하다. 상기 팬모터(51) 또는 팬모터 어셈블리(50)는 상대적으로 무겁다. 따라서, 이들의 무게가 전체 청소기의 무게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7,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on of the
이러한, 팬모터(51) 또는 팬모터 어셈블리(50)의 무게 중심을 고려하여 상기 바퀴(72)와 지지부 브라켓(71)의 위치가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상기 바퀴(72)와 지지부 브라켓(71)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50)의 장착 위치를 결정함이 바람직하다.The positions of the
구체적으로,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50)의 무게 중심은, 주행 안정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상기 바퀴(72)를 통해 형성되는 지지점의 전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팬모터 어셈블리(50)의 장착 위치로 인해, 전체적인 청소기(200)의 무게 중심을 용이하게 상기 바퀴(72)의 전방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청소기의 무게 중심을 더욱 전방으로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그러나, 배터리의 유무에도 불구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에서의 무게 중심은, 흡입 노즐부(25) 후방 그리고 지지부(70) 전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후방 상부로 경사진 제2 베이스 바디(24)의 지면에 대한 수직 상부에 청소기(200)의 무게 중심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충전식 또는 전원 연결식 어느 하나로 청소기가 구현되더라도,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pite the presence of the battery,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 of gravity i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located behind the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에 적용될 수 있는 지지부(7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9 to FIG. 13, a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70)는 청소기 본체(23, 24)를 지면에 대해서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70)는 청소기 본체(23, 24)를 지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70)는 바퀴(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바퀴(72)를 회전 능하도록 지지하는 샤프트(73)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70)는 상기 샤프트(73)가 연결되는 지지부 브라켓(7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 브라켓(71)에 샤프트가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에 바퀴(72)가 결합되어, 전체적인 지지부(70)를 이룰 수 있게 된다. More specifically, the
상기 지지부 브라켓(71)은 상기 청소기 본체(23, 24)의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청소기 본체에서 지면을 향하여 하부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샤프트(73)의 위치를 지면에 근접시킬 수 있어서 보다 안정적인 지지 및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Preferably,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는 구체적으로 흡입 노즐부 본체(제1베이스 바디, 23)와 팬모터 실장부(제2 베이스 바디, 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모터 실장부는 후측으로 갈수록 지면과의 높이가 점차 커지게 형성된다. 즉, 후방으로 갈 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 브라켓(71)은, 상기 팬모터 실장부와 상기 지면 사이의 높이 차를 줄이도록, 하방으로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leaner main body may specifically include a suction nozzle unit main body (first base body 23) and a fan motor mounting portion (second base body 24). The fan motor mounting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height of the fan motor mounting portion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rear side. That is, it may be formed so as to be inclined so that the height increases toward the rear. Accordingly, the
한편, 상기 지지부(70) 인근에는 충전 홀(8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지지부 브라켓(71)에 상기 충전 홀(8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 브라켓의 일부분에서 내측으로 충전 홀(8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충전 홀(80)은 상기 흡입 노즐부 본체(23)와 상기 팬모터 실장부(24)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 charging
상기 충전 홀(80) 내측에는 충전 단자(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충전 단자(90)는 청소기가 안착되는 거치대(미도시)와 형합되어 거치대를 통해 청소기를 충전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A charging terminal (90) may be provided inside the charging hole (80). The charging
따라서, 상기 지지부 브라켓(71)은 청소기 본체를 지면에 지지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임과 동시에, 청소기 본체를 거치대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상기 지지부 브라켓(71)은 바퀴(72)가 위치되는 바퀴 안착부(71a)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퀴 안착부(71a)는 상기 지지부 브라켓(71)과 바퀴(72) 사이의 접촉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지지부 브라켓(71)의 다른 부분 보다 폭이 좁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바퀴 안착부(71a)는 지지부 브라켓(7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좌우 양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바퀴(72)도 두 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지지부 브라켓(71)의 중심선(S)를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구비되는 바퀴(72)를 통해 두 개의 지지점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안정적인 지지 및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The
한편, 지지부 브라켓(71), 샤프트(73) 그리고 두 개의 바퀴(72) 사이의 결합은 청소기 본체 외부에서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즉, 결합 작업이 청소기 본체 외부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러한 결합 작업을 위해서 청소기 본체를 들어 올리거나, 청소기 본체를 내부를 노출시키거나 폐쇄하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between the
또한, 샤프트(73)의 중심은 상기 지지부 브라켓(71)의 좌우 중심, 즉 중심선(S)와 일치하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좌우 바퀴들 사이에 균일하게 하중이 전달되어 보다 안정적인 지지 및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샤프트(73) 중심을 지지부 브라켓(71) 중심과 일치시킴에 따라, 상기 중심선(S)를 기준으로 바퀴들이 대칭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 of the
그러나, 이러한 샤프트(73)가 좌우로 이격되어, 중심이 상기 중심선(S)로 벗어나게 되면, 바퀴들도 비대칭되도록 위치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는, 바퀴(72)와 바퀴 안착부(71a) 사이의 마찰을 더욱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바퀴(72)의 회전이 구속되어 원활한 주행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However, when the
따라서, 지지부 브라켓(71), 샤프트(73) 그리고 두 개의 바퀴(72)를 서로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들 사이의 결합 시 샤프트의 중심이 지지부 브라켓(71)의 중심과 일치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샤프트(73)의 좌우 이격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지지부 브라켓(71), 샤프트(73) 그리고 두 개의 바퀴(72) 사이의 결합 구조 및 결합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를 위해서, 바퀴의 형상이나 상대적인 사이즈 그리고 샤프트의 형상이나 상대적인 사이즈가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Hereinafter, the joining structure between the
지지부(70) 조립을 위해서는, 먼저 샤프트(73)가 지지부 브라켓(71)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샤프트(73)가 지지부 브라켓(71)에 형성되는 관통홀(71b)를 관통하여 양자가 가결합될 수 있다. 즉, 지지부 브라켓(7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관통홀들(71b)을 샤프트(73) 일단이 모두 관통하여 지지부 브라켓(71)에 샤프트(73)를 가결합시키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In order to assemble the
여기서, 상기 샤프트(73)의 중심은 중심선(S)와 일치될 필요가 없다. 이러한 중심들의 일치는 후술하는 바퀴 본 결합 단계 수행을 통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center of the
상기 샤프트(73)는 기준 외경(d1)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기준 외경(d1)은 실질적으로 샤프트(73)의 최대 외경일 수 있다. 그리고, 샤프트(73)의 일부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은 이러한 기준 외경(d1)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샤프트(73)는 지지부(70) 조립 완료 후, 청소기 주행 중에 좌우로 이격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73)는 상기 관통홀(71b)에 압입또는 억지끼움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관통홀(71b)의 내경은 상기 샤프트의 최대 외경(d1)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not preferable that the
이러한 샤프트(73)의 압입 또는 억지끼움을 통해, 상기 샤프트의 좌우 이격 뿐만 아니라 샤프트(73)가 상기 관통홀(71b)에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관통홀(71b)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바퀴(72) 회전시 관통홀(71b)과 샤프트(72) 사이의 마찰 소음이 현저히 줄어들 수 있다.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바퀴(72)는 샤프트(72)의 일단과 결합되며, 다른 하나의 바퀴(72)는 샤프트(72)의 타단과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은, 샤프트가 바퀴(72)의 삽입홀 또는 압입홀(72c)에 삽입 또는 압입됨으로써 이루어진다. One of the
여기서, 삽입은 샤프트의 홀 내부로 들어갈 때 실질적으로 마찰 저항이 없거나 매우 작은 것을 의미하고, 압입은 반대로 마찰 저항이 매우 크거나 홀을 탄성 변형시킬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Here, the insertion means that there is substantially no or very little frictional resistance when entering the hole of the shaft, and the press-fit means that the frictional resistance is extremely large or the hole can be elastically deformed.
먼저, 샤프트(72)의 삽입을 위해 상기 바퀴(72)의 중앙 부분에는 삽입홀(72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홀(72c)의 내경(d2)는 상기 샤프트의 최대 외경(d1)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가 상기 삽입홀(72c)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샤프트(72)의 양단이 두 개의 바퀴 각각에 형성되는 삽입홀(72c)에 삽입되는 바퀴 가결합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First, an
그러나, 이러한 삽입은 반대로 양자의 분리가 매우 용이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삽입홀(72c)은 압입홀(72c, 72d)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삽입홀(72c)의 일부분에서 내경이 작은 부분(후술하는 샤프트 걸림부, 72d)을 형성함으로써 삽입홀(72c)이 압입홀로 전환될 수 있다. 즉, 상기 샤프트(73)가 삽입홀(72c)로 삽입되다가 상기 샤프트 걸림부(72d)에 이르러서 비로소 압입이 시작될 수 있다. However, this insertion, on the contrary, means that separation of both is very easy. Therefore, the
따라서, 상기 압입홀(72c, 72d)는 샤프트(73)의 최대 외경보다 내경이 큰 삽입홀(72c)와 상기 삽입홀(72c) 내측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샤프트 걸림부(72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걸림부(72d)로 인해 상기 샤프트(73)가 압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 걸림부(72d)의 내경은 상기 샤프트의 최대 외경(d1)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ess-
한편, 상기 샤프트(73)의 양단에는 챔퍼(73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챔퍼(73b)를 통해서 상기 샤프트(73)의 삽입과 압입이 용이하게 된다. 특히, 상기 챔퍼(73b)에 의한 샤프트(73)의 양단(73d)의 외경은 상기 샤프트 걸림부(72d)의 내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어느 정도 샤프트가 걸림부(72d)에 삽입된 후 압입이 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원활한 샤프트 압입이 수행될 수 있다. Meanwhile, a
결국, 상기 바퀴 가결합 단계에서는, 상기 샤프트(73)의 양단(73d)이 각각 바퀴의 샤프트 걸림부(72d)를 지나 압입이 시작될 때까지 샤프트(73)가 상기 삽입홀(72c)에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The
바퀴 가결합 단계가 종료되면, 본격적인 바퀴 본결합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바퀴 본결합 단계는, 샤프트(73)에 가결합된 두 개의 바퀴(72)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서로 압입시키면서 수행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바퀴(72)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상기 두 개의 바퀴(72)에 힘(결합력)을 가하면, 상기 샤프트(73)의 삽입 길이가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즉, 샤프트(73)의 보다 많은 부분이 상기 압입홀(72c, 72d)로 압입될 수 있다.When the wheel coupling step is completed, a full wheel-joining step can be performed. The step of engaging the wheel may be performed while pressing the two
여기서, 두 개의 바퀴(72)를 서로 미는 힘은 균형을 이루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일측이 샤프트(73)가 타측의 샤프트(73)보다 더 많이 압입홀로 압입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바퀴(72)의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Here, the forces that push the two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압입홀(72c, 72d)는 상기 샤프트(73)가 기설정된 길이까지만 압입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기설정된 길이까지 샤프트(73)가 압입되면 더이상 샤프트가 압입되지 않도록 상기 압입홀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
따라서, 일측 샤프트가 기설정된 길이까지 압입되는 경우, 상기 결합력이 유지됨에 따라, 타측 샤프트도 기설정된 길이까지 압입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one shaft is press-fitted to a predetermined length, the other shaft can be press-fitt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s the engagement force is maintained.
이러한, 삽입홀 또는 압입홀의 기설정 길이, 샤프트의 길이 그리고 바퀴의 폭을 통해, 상기 지지부 브라켓(71)의 좌우 중심(중심선 S)에 상기 샤프트(73)의 중심이 위치될 수 있다. The center of the
다시 말하면, 결합력은 샤프트(73)가 압입홀로 압입시키려는 힘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력은 동시에 샤프트를 관통홀(71b)에 압입된 위치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려는 힘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더 이상 샤프트(73)가 압입되지 않는 위치에 도달됨에 따라, 자동적으로 샤프트(73)의 중심은 상기 중심선 S 상에 위치하게 된다. 즉, 더 이상 샤프트(73)가 어느 바퀴에도 압입되지 않을 때, 즉 샤프트 양단이 모두 상기 기설정된 길이까지 압입됨으로써, 바퀴 본결합 단계가 종료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coupling force is converted into a force that the
구체적으로, 상기 샤프트(73)의 일단이 상기 샤프트 걸림부(73c)를 지나 상기 기설정된 길이까지만 압입되도록, 상기 삽입홀(72c) 또는 압입홀의 깊이가 기설정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depth of the
상기 삽입홀의 깊이를 기설정하여, 더 이상 샤프트의 압입을 방지하기 위해, 삽입홀 내측에 스토퍼 리브(72f)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샤프트가 압입되면서 상기 샤프트의 일단이 상기 스토퍼 리브(72f)에 맞닿게 되면, 더 이상 샤프트의 압입이 수행되지 않게 된다. A
따라서, 상기 스토퍼 리브(72f)는 삽입홀의 저면에서 상기 샤프트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스토퍼 리브(72f)의 돌출 방향이 상기 샤프트의 압입 방향과 정반대 방향임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스토퍼 리브의 손상과 파손이 방지되며, 효과적인 스토퍼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한편, 바퀴(73)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스토퍼 리브(72f)와 샤프트 일단면이 서로 접촉될 여지가 있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의 일측 단면과 마주하는 상기 스토퍼 리브(72f)의 돌출 단면의 단면적은, 상기 샤프트(73)의 일측 단면의 단면적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upling of the
전술한 지지부 조립 방법 또는 단계들은 청소기 본체 외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매우 용이하게 지지부를 조립하거나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 above-described support assembly method or steps may be performed outside the cleaner body.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assemble or form the support portion very easily.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샤프트(73)는 관통홀(71b)에 대해서 회전이 구속된다. 그리고, 샤프트(73)는 바퀴(72)에 압입되기 때문에, 바퀴(72)가 상기 샤프트(73)에 대해서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회전 구속이 해제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샤프트(73)와 관통홀(71b) 사이의 회전 구속은 여전히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바퀴(72)가 샤프트(73)에 대해서 회전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rotation of the
이를 위하여, 상기 샤프트(73)의 양측에는 샤프트 홈(73c)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샤프트 홈(73c)은 상기 샤프트 걸림부(72d)와 형합하는 구성임이 바람직하다. 즉, 실질적으로 상기 샤프트(73)가 최대로 압입될 때, 상기 샤프트 걸림부(72d)와 상기 샤프트 홈(73c)이 형합함이 바람직하다.For this purpose,
구체적으로, 상기 샤프트 걸림부(72d)의 최소 내경보다 상기 샤프트 홈(73c)의 최소 외경이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 걸림부(72d)가 상기 샤프트 홈(73c)에 삽입되어, 바퀴(72)가 회전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minimum outer diameter of the
왜냐하면, 샤프트(73)를 압입하기 위한 구성은 상기 샤프트 걸림부(72d)이다. 그러나, 상기 샤프트(73)는 상기 샤프트 홈(73c)을 통해 이러한 압입을 회피하게 된다. 즉, 샤프트 홈(73c) 내에 상기 샤프트 걸림부(72d)를 위치시킴으로써, 압입 또는 회전 구속이 해제될 수 있다. This is because the
따라서, 상기 샤프트 홈(73c)에서 상기 샤프트 걸림부(72d)가 롤링 또는 슬라이딩되면서 바퀴가 회전가능하게 된다. 즉, 샤프트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에 대해서 바퀴(72)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회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샤프트의 기준 외경 또는 최대 외경(d1)이 상기 삽입홀(72c)의 내경보다 기본적으로 작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the
한편, 상기 샤프트 걸림부는, 상기 샤프트 걸림부의 중심에서 내경이 최소가 되고, 상기 샤프트 걸림부의 중심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증가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샤프트 홈은, 상기 샤프트 홈의 중심에서 외경이 최소가 되고, 상기 샤프트 홈의 중심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shaft engagement portion has a minimum inner diameter at the center of the shaft engagement portion, and an inner diameter increases toward the both sides from the center of the shaft engagement portion. The shaft groove may be formed such that the outer diameter is minimized at the center of the shaft groove, and the outer diameter increases toward the both sides from the center of the shaft groove.
따라서, 상기 샤프트 홈에 상기 샤프트 걸림부가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가 삽입홀 또는 압입홀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물론, 이를 통해 상기 바퀴가 회전축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shaft engag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haft groove, so that the shaf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insertion hole or the press-fitting hole. Of course, this allows the wheel to rotate about the axis of rotation.
일반적으로, 청소기의 낙하와 같은 큰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샤프트(73)의 중심이 좌우로 이격될 수 있다. 심한 경우 샤프트(73)가 상기 지지부 브라켓(71)에서 이탈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외부 충격에도 샤프트(73)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Generally, the center of the
이를 위해서, 상기 샤프트 중심에는, 상기 샤프트(73)의 최대 외경(d1)보다 작고, 소정 폭을 갖는 샤프트 고정홈(73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 고정홈(73a)는 두 개의 관통홀(71b) 사이에 위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지부 브라켓의 내부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a
여기서, 상기 지지부 브라켓의 내부 공간은 청소기 본체의 내부 공간일 수 있으며, 상기 청소기 본체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공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베이스 바디(24) 또는 제1 베이스 바디(23)와 제2 베이스 바디(24)가 연결되는 부분의 내부 공간일 수 있다. Here,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bracket may be an inner space of the cleaner main body, or may be a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of the cleaner main body. The
따라서, 상기 본체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샤프트 고정부재(92)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92)의 고정편(92a)가 상기 샤프트 고정홈(73a)에 삽입됨으로써 샤프트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Therefore, a
예를 들어, 상기 샤프트(73)가 좌우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더라도,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92)로 인해 샤프트가 이격되지 않게 된다. For example, even if the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9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단자 고정부(91)의 일부분일 수 있다. 즉, 충전 단자(90)를 형성하고, 본체 내부에 고정되는 충전 단자 고정부(91)의 일부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92)는 상기 충전 단자 고정부(91)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The
따라서, 보다 견고하게 회전축이 지지부 브라켓(71)과 본체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rotation shaft can be more firmly fixed to the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의 수직 단면은 타원 형상의 용기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외연부(72a)가 타원 형상의 용기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연부(72a)는 바퀴의 외관을 형성하고, 직접 지면과 맞닿을 수 있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2에 도시된 외연부의 형상으로 인해, 지면과 맞닿는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적 특징으로 인해, 전술한 바와 같이, 청소 시 침구의 밀림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2,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wheel is preferably formed in the shape of an elliptical container. That is, the
상기 바퀴(72)의 외연부(72a) 내측 중심에는 전술한 압입홀 또는 삽입홀을 형성하기 위한 원통형의 중심 리브(72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심 리브의 반경 방향 외측 그리고 상기 외연부(72a)의 내부에서, 상기 타원 형상의 용기보다 더 높게 돌출되는 외각 리브(72e)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각 리브도 마찬가지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A
상기 외각 리브(72e)는 상기 외연부(72a)를 벗어나는 위치까지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퀴(72) 중 상기 외각 리브(72e)의 말단면이 실질적으로 바퀴 안착부(71a)와 가장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외각 리브(72e)를 통해 외연부(72a)가 상기 바퀴 안착부(71a)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원활한 바퀴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20 : 바디 (메인 바디) 21 : 바디 커버
22 : 베이스 바디 23 : 제1 베이스 바디
24 : 제2 베이스 바디 25 : 흡입 노즐부
25 : 팬모터 안착부 30 : 진동시스템
31 : 진동 모터 32 : 진동 플레이트
37 : 탄성 부재 49 : 가압 부재
70 : 지지부 71 : 지지부 브라켓
72 : 바퀴 73 : 샤프트20: Body (Main Body) 21: Body Cover
22: base body 23: first base body
24: second base body 25: suction nozzle part
25: Fan motor seat 30: Vibration system
31: Vibration motor 32: Vibration plate
37: elastic member 49: pressing member
70: Support part 71: Support part bracket
72: Wheel 73: Shaft
Claims (23)
상기 지지부 브라켓을 관통하는 샤프트; 그리고
상기 샤프트가 기설정된 길이까지만 압입되는 압입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를 지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두 개의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압입홀의 최대 깊이를 형성하는 상기 압입홀의 저면에서, 상기 샤프트를 향해 돌출되는 스토퍼 리브의 돌출 길이에 의해, 상기 압입홀의 깊이가 기설정되고,
상기 샤프트의 양단이 각각 상기 바퀴의 압입홀에 상기 기설정된 길이까지만 압입되어, 상기 지지부 브라켓 좌우 중심에 상기 샤프트의 중심이 위치되며, 상기 샤프트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두 개의 바퀴는 서로 대칭되도록 위치되는 청소기.A support bracket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cleaner main body;
A shaft passing through the support bracket; And
And two wheels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cleaner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ground, wherein the pressurized holes are formed in the shaft,
The depth of the press-fit hole is predetermined by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stopper rib protruding toward the shaft at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fit hole forming the maximum depth of the press-fit hole,
The two ends of the shaft are press-fitted into the press-fit holes of the wheel only up to the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center of the shaft is positioned at the right and left center of the support bracket, and the two wheels are position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haft Being cleaner.
상기 압입홀은,
상기 샤프트의 최대 외경보다 내경이 큰 삽입홀; 그리고
상기 삽입홀 내측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샤프트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 걸림부의 내경은 상기 샤프트의 최대 외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
An insertion hole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a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shaft; And
And a shaft engaging portion projecting radially from the inside of the insertion hole,
Wherein an inner diameter of the shaft engagement portion is smaller than a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shaft.
상기 샤프트의 양단에는 챔퍼가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의 양단에서의 상기 샤프트의 외경은 상기 샤프트 걸림부의 내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chamfer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haft so that an outer diameter of the shaft at both ends of the shaft is small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shaft engagement portion.
상기 샤프트의 일측 단면과 마주하는 상기 스토퍼 리브의 돌출 단면의 단면적은, 상기 샤프트의 일측 단면의 단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otruding end surface of the stopper rib facing the one end surface of the shaft is smaller than the sectional area of one end surface of the shaft.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는 지지부 브라켓에 형성된 관통홀의 내경은, 상기 샤프트의 최대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가 상기 관통홀에 억지 끼움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support bracket through which the shaft passes is smaller than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shaft so that the shaft is forced into the through hole.
상기 샤프트는 회전이 구속되도록 고정되며, 상기 바퀴는 상기 고정된 샤프트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haft is fixed so that rotation is restrained, and the wheel rotates relative to the fixed shaft.
상기 샤프트의 양측에 각각 상기 샤프트 걸림부의 최소 내경보다 최소 외경이 작게 형성되는 샤프트 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 shaft groov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haft such that a minimum outer diameter is smaller than a minimum inner diameter of the shaft engagement portion.
상기 샤프트 걸림부는,
상기 샤프트 걸림부의 중심에서 내경이 최소가 되고 상기 샤프트 걸림부의 중심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증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 홈은,
상기 샤프트 홈의 중심에서 외경이 최소가 되고 상기 샤프트 홈의 중심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haft-
Wherein an inner diameter is minimized at a center of the shaft engaging portion and an inner diameter is increased toward both sides from a center of the shaft engaging portion,
The shaft groove
Wherein the outer diameter of the shaft groove is minimized at the center of the shaft groove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shaft groove is increased toward the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shaft groove.
상기 샤프트 홈에 상기 샤프트 걸림부가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가 상기 압입홀에서 이탈이 방지되며, 상기 샤프트 걸림부가 상기 샤프트 홈에 대해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바퀴가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haft is inserted into the shaft groove to prevent the shaf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ress-fit hole, and the wheel rotates as the shaft latch is slid with respect to the shaft groove.
상기 샤프트 중심에는, 상기 샤프트의 최대 외경보다 작고 소정 폭을 갖는 샤프트 고정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shaft fixing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smaller than a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shaft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haft.
상기 샤프트 고정홈은 상기 지지부 브라켓의 내부 공간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shaft fixing groove is located in an inner space of the support bracket.
상기 샤프트가 상기 지지부 브라켓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샤프트 고정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a shaft fixing member fixed inside the main body and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to prevent the shaft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upporting bracket.
상기 본체의 하부 그리고 상기 지지부 브라켓 인근에 형성되는 충전 홀; 그리고
상기 충전 홀 내측에 구비되는 충전 단자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 내부에 고정되는 충전 단자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고정부는 상기 충전 단자 고정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A charging hol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near the support bracket; And
And a charging terminal fixing part fix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o fix a charging terminal provided inside the charging hole,
And the shaft fixing portion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charging terminal fixing portion.
상기 바퀴는 수직 단면이 타원이 되도록 타원 형상의 용기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6 to 15,
Wherein the wheel is formed in an elliptical container shape such that the vertical cross section is elliptical.
상기 바퀴는,
타원 형상 용기의 중심에 원통형으로 돌출되어, 상기 압입홀을 형성하는 중심 리브;
상기 중심 리브의 반경 방향 외측 그리고 상기 타원 형상 용기의 내부에서, 상기 타원 형상 용기보다 더 높게 돌출되는 외각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외각 리브의 말단이 상기 지지부 브라켓과 마주 보도록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wheel,
A center rib protruding in a cylindrical shape at the center of the elliptical container and forming the press-fit hole;
A radially outer side of the central rib and an outer rib that protrudes higher than the elliptical container in the interior of the elliptical container,
And a distal end of the outer rib is positioned to face the support bracket.
상기 청소기 본체는,
지면에 대응되도록 수평으로 형성되는 흡입 노즐부 본체;
상기 흡입 노즐부 본체의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팬모터 실장부;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부와 상기 팬모터 실장부의 상측에서 결합되는 바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 브라켓은, 상기 팬모터 실장부와 상기 지면과의 높이 차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팬모터 실장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cleaner main body includes:
A suction nozzle unit body horizontally formed to correspond to a ground;
A fan motor mounting part extending obliquely to the rear upper side of the suction nozzle body; And
And a body cover coupled to the suction nozzle unit and the fan motor mounting unit,
Wherein the support bracket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fan motor mounting portion to compensate for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an motor mounting portion and the ground surface.
상기 청소기 본체 외부에서 억지 끼움에 의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회전이 구속되도록 고정되는 샤프트;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를 지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두 개의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바퀴에는 상기 샤프트가 기설정된 길이까지만 압입되도록 형성된 압입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의 양측이 상기 압입홀에 각각 기설정된 길이까지 압입되어 자동적으로 샤프트의 중심이 상기 지지부 브라켓 좌우 중심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A support bracket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cleaner main body and having a through hole;
A shaft through which the rotation is restricted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er body; And
And two wheels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cleaner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ground,
Wherein the wheel is formed with a press-fit hole formed so that the shaft is press-fit only to a predetermined length,
Wherein the shaft is press-fitted into the press-fit hole to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center of the shaft is automatically positioned at the right and left center of the support portion bracket, with the shaft passing through the through-hole.
상기 압입홀은,
상기 샤프트의 최대 외경보다 내경이 큰 삽입홀; 그리고
상기 삽입홀 내측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샤프트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 걸림부의 내경은 상기 샤프트의 최대 외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press-
An insertion hole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a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shaft; And
And a shaft engaging portion projecting radially from the inside of the insertion hole,
Wherein an inner diameter of the shaft engagement portion is smaller than a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shaft.
상기 샤프트의 양단에는 챔퍼가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의 양단에서의 상기 샤프트의 외경은 상기 샤프트 걸림부의 내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chamfer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haft so that an outer diameter of the shaft at both ends of the shaft is small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shaft engagement portion.
상기 샤프트의 일측 단면과 마주하는 상기 스토퍼 리브의 돌출 단면의 단면적은, 상기 샤프트의 일측 단면의 단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otruding end surface of the stopper rib facing the one end surface of the shaft is smaller than the sectional area of one end surface of the shaft.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37102A KR101507853B1 (en) | 2013-04-04 | 2013-04-04 | vacuum cleaner and a manufacturion method of the same |
CN201410136579.4A CN104095586B (en) | 2013-04-04 | 2014-04-04 | Vacuum cleaner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37102A KR101507853B1 (en) | 2013-04-04 | 2013-04-04 | vacuum cleaner and a manufacturion method of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0782A KR20140120782A (en) | 2014-10-14 |
KR101507853B1 true KR101507853B1 (en) | 2015-04-07 |
Family
ID=51664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37102A Expired - Fee Related KR101507853B1 (en) | 2013-04-04 | 2013-04-04 | vacuum cleaner and a manufacturion method of the sam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507853B1 (en) |
CN (1) | CN104095586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224043A (en) * | 2013-06-24 | 2014-12-24 |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 Vacuum clea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N115279240B (en) * | 2020-03-16 | 2023-12-22 | Lg电子株式会社 | Dust collecto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58292B2 (en) * | 1986-02-27 | 1993-08-26 | Hitachi Ltd | |
KR19980022844U (en) * | 1996-10-29 | 1998-07-25 | 배순훈 | Wheel fixing structure of vacuum cleaner |
KR101187077B1 (en) * | 2010-08-09 | 2012-09-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Upright type vacuum cleaner |
KR101199397B1 (en) | 2010-07-06 | 2012-11-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546054B1 (en) * | 1983-05-17 | 1985-08-30 | Olivier Ets Georges | ROLLER VACUUM CLEANER |
EP0304609A1 (en) * | 1987-07-28 | 1989-03-01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Vacuum cleaner nozzle with a tiltable nozzle body |
JP4068526B2 (en) * | 2003-08-20 | 2008-03-26 | 株式会社エース電研 | Game machine |
FR2965164B1 (en) * | 2010-09-24 | 2012-10-12 | Seb Sa | VACUUM CLEANER BALANCING SKATE |
-
2013
- 2013-04-04 KR KR20130037102A patent/KR10150785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
- 2014-04-04 CN CN201410136579.4A patent/CN104095586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58292B2 (en) * | 1986-02-27 | 1993-08-26 | Hitachi Ltd | |
KR19980022844U (en) * | 1996-10-29 | 1998-07-25 | 배순훈 | Wheel fixing structure of vacuum cleaner |
KR101199397B1 (en) | 2010-07-06 | 2012-11-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
KR101187077B1 (en) * | 2010-08-09 | 2012-09-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Upright type vacuum clea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4095586A (en) | 2014-10-15 |
CN104095586B (en) | 2016-12-07 |
KR20140120782A (en) | 2014-10-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892773B (en) | Vacuum cleaner | |
US12029364B2 (en) | Nozzle for cleaner | |
AU2008203476B2 (en) | Vacuum Cleaner | |
US20210145237A1 (en) | Nozzle for cleaner | |
US20220007910A1 (en) | Nozzle for cleaner | |
CN105361798A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KR101490267B1 (en) | vacuum cleaner | |
KR101507853B1 (en) | vacuum cleaner and a manufacturion method of the same | |
CA2738299C (en) | Vacuum cleaner | |
JP7076466B2 (en) | Wheel support structure for self-propelled electronic devices | |
AU2009202139A1 (en) | Upright type cleaner | |
JP2010273872A (en) | Suction port body and vacuum cleaner | |
KR101443648B1 (en) | vacuum cleaner | |
KR101443649B1 (en) | vacuum cleaner | |
KR20090131464A (en) | Nozzle of vacuum cleaner | |
KR101248733B1 (en) | A agitator for vacuum cleaner | |
KR20100018780A (en) | Vacuunm cleaner | |
CN104224043A (en) | Vacuum clea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004471B1 (en) | Vacuum cleaner | |
CN112869629A (en) | Storage seat and dust collector assembly with same | |
KR20110107029A (en) | Vacuum cleaner | |
JP2004113533A (en) | Vacuum clea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26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3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3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