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07052B1 - 와류 형성을 위한 사육수 분사용 노즐 - Google Patents

와류 형성을 위한 사육수 분사용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052B1
KR101507052B1 KR1020140128970A KR20140128970A KR101507052B1 KR 101507052 B1 KR101507052 B1 KR 101507052B1 KR 1020140128970 A KR1020140128970 A KR 1020140128970A KR 20140128970 A KR20140128970 A KR 20140128970A KR 101507052 B1 KR101507052 B1 KR 101507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breeding
water tank
breeding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8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노백
박미선
민병화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40128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0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05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B05B1/34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일정 면적을 갖는 바닥부와 상부가 개구되고 외벽으로 이루어진 사육수조, 사육수조의 외벽 내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사육수와 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분사파이프가 수조의 외벽 일측에 직경의 크기를 달리한 분사노즐을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하여 수압과 공기압에 의해 사육수를 회전시켜 소용돌이를 형성함으로서 바닥에 가라앉은 이물질 및 사료 찌꺼기등을 단시간 내에 배수구로 배출시킬 수 있는 소용돌이 분사용 노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와류 형성을 위한 사육수 분사용 노즐{WATER INJECTION NOZZLE FOR GENERATION OF SWIRLING FLOW}
본 발명은 와류 형성을 위한 분사용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조 내에 직경이 다른 수류 분사용 노즐을 하나 이상 설치하여 사육수조의 중심에 와류를 형성하여 사육수를 순환 또는 교반시켜 용존산소 증가 또는 수조 내 유기물을 회전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와류 형성을 위한 사육수 분사용 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수에 의한 양식은 육상 수조식 및 해상 가두리식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는데, 육상 수조식은 유상의 수조에 대상 생물을 옮겨 서식 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양식하는 방식이고, 해상 가두리방식은 바다의 넓은 공간에 그물등으로 대상 생물을 가두어 기르는 방식으로 해수 교환 및 수처리가 용이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나 환경변화에 큰 영향을 받는 단점이 있다.
육상 수조식 양식이란 육지에 수조를 설치하여 사육수를 채운 후 수생생물을 수조에서 사육하는 방식으로, 환경변화로부터 수생생물을 보호하고 양식에 적합한 환경을 형성시킬 수 있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수생생물을 생산할 수 있다.
통상의 육상 양식 수조에서 사용되는 사육수는 메인파이프를 통해 해수로부터 채수되어 양식장내로 공급된다. 수조로 공급되는 사육수는 양식장 안으로 연장, 설치된 메인파이프를 중심으로 각 수조에 사육수를 공급하고, 수조 내부의 바닥 또는 수조의 어느 한 벽면에 통공형태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사용한 사육수를 외부로 배출시켜서 수조에 저장되는 양식수의 청정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육상 양식장의 경우, 바다의 가두리 양식장과 달리 수조 공간과 사육수량에 제한을 받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배설물, 사료 찌꺼기 등의 유기오염 물질이 양식수조 내에 축적된다. 육상 양식장에서는 바닥에 축적되는 암모니아 등의 오염물질을 인위적으로 제거시켜주거나 깨끗한 물로 환수해주지 않으면 양식장 수질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크게 악화된다.
더욱이, 양식 수조 공간대비에 비해 내부에 많은 양의 어류를 고밀도로 저장하게 되면, 양식수에 포함된 용존산소가 급속도로 소모됨과 동시에 활어의 먹이와 배설물에 의하여 각종 부유물 또는 단백질이나 암모니아 및 질소 성분 등이 빠른 시간 안에 고농도로 축적될 수 있다.
수질이 악화되면, 수온이 높은 여름철에는 암모니아나 황화수소가 발생되어 심한 악취가 날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및 병원성 미생물이 증식하여 치사량이 높아지고 경우에 따라 양식 생물이 전량 폐사할 수 있다. 바이러스 내성을 높이기 위하여 양식장에 항생제를 투입하기도 하지만, 잔류 항생제 문제 때문에 항생제가 투여된 수산물은 식용으로 사용될 때 인체에 위해를 가할 수 있다.
사육수 수질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인근 해역의 신선한 해수로 자주 갈아주거나, 활어수조의 바닥에 자갈이나 모래 또는 스폰지 등의 여과재를 깔아서 일정기간 동안 사육수를 여과시킨 다음, 이 여과재를 세척하여 다시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신선한 사육수의 공급은 해수의 운반에 따른 수송비와 인건비의 부담이 매우 크고 연안해역과 거리가 먼 내륙지방에서는 적용할 수 없고 넓이가 넓고 수량이 많아 양식장에서는 실질적으로는 불가능하다. 여과재에 의한 정화는 그 능력이 매우 저조할 뿐만 아니라 단백질 및 부유물 등이 여과재에 축적되어 부패되는 과정에서 각종 세균들이 발생할 수 있고 여과재를 꺼내 세척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임펠러와 같은 장치를 설치하여 사육수를 교반시켜 폭기를 생성하고 또는 폭기관을 설치하여 사육수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사육수를 교반하고, 회전시켜 수조 내부바닥에 모여지는 사료 찌꺼기 또는 오염물질들이 정체하지 않고 유동됨으로써 수조 내부의 사육수가 부패되지 않고 일정한 수질을 유지할 수 있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 장치들은 수조로 사육수를 낙하시켜 공급하고 사육수가 낙하되는 힘으로 사육수가 순환력을 얻어 정체된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방법으로, 수류의 회전력이 좋지 않아 오염물질이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특허출원번호 제10-2009-0024994호에는 양식장 , 호수 및 하천, 종말처리장, 폐수처리장 등 물속의 유기물과 수면위로 부상되는 거품을 포함하는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다량의 물을 수조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로, 물을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펌프, 수면 부위의 거품을 포함하는 부유물질과 유기물질을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관로, 상기 수면 부위에 부상되어 수면의 수위 변동에 따라 수면 부위의 부유물질과 유기물질을 배수되도록 하는 회수관로, 상기 회수관로가 각각 삽입 결합되며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는 고정관로, 상기 회수관로로 배수된 부유물질과 유기물질을 회수하는 회수펌프; 회수된 부유물질과 유기물질을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조내의 부유물질과 유기물 제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국내 특허출원번호 제10-2012-0024960호에는 활어수의 폭기실과 부유거품의 분리실 및 정화수의 배출실을 장치케이싱의 내부에 구획시키되, 상기 폭기실을 분리실의 일측 상부에 배치시키는 한편, 폭기실의 외측 상부에 폭기모터를 설치하고, 폭기모터와 연결되어 원심펌프 방식으로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폭기용 임펠러를 폭기실의 내부 상측에 설치하며, 활어수의 유입관과 부유거품의 여액회수관을 폭기실의 상부측에 연결시키고, 폭기처리된 활어수의 배출통로 또한 폭기실의 내측 상단에 형성시켜 활어수중에 폭기를 행하여 활어수에 포함된 각종 오염물질을 부유거품 형태로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한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국내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3-0018554호에는 측벽부와 바닥부로 구성되되, 상기 측벽부는 그 내측 단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는 중앙부가 높고 측벽부측으로 하향경사지는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수조, 상기수조의 중앙부와 측벽부를 잇는 선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이물질 걸림턱, 상기 이물질 걸림턱의 반경 방향 최외곽측에 형성되며 어체 보호망이 구비된 배수구, 상기 배수구에서 배출된 물이 필터를 통해 여과된 후, 환수관을 통해 다시 수조로 공급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정화용 펌프, 상기 수조 측벽부의 내측 적어도 일지점에 설치되며, 대략 측벽부의 접선 방향으로 설치되어, 가압 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를 분사하여 수조내의 물에 원주 방향의 선회류를 발생시키는 분사 수단을 포함하는 활어조가 개시되어 있다. 국내 특허출원번호 제10-2012-0072728호에는 양식장 경계 내부에 칸막이가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설치한 양식조로 구분하고, 다수의 양식조 각각에 대하여, 상기 양식조의 길이방향으로 순환수로가 형성된 분리막이 설치되며, 순환수로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침전지가 형성되어, 양식조 내에 해수가 채워진 상태에서 소정의 수류형성 장치에 의해 상기 순환수로 내에 수류가 형성되어 침전지 내에 침전되는 오염물질을 펌프에 의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에서는 본 발명에서와 같이 다각형의 바닥부와 수조외벽으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개구된 수조와 상기 수조의 외벽 내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사육수분사구의 직경이 서로 다른 분사관을 복수개 설치하여 수류에 의해 교반 또는 와류를 형성하여 바닥부에 침전된 이물질이 단기간에 적은 사육수의 양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한 본 발명의 구성과는 차이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수조에 직경의 크기를 달리한 분사관을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하고 높이에 따라 사육수를 분사하여 수류의 힘으로 회전시켜 소용돌이를 만듦으로서 바닥에 가라앉은 이물질 및 사료 찌꺼기 등을 단시간 내에 배수구로 배출시킬 수 있는 와류 분사용 노즐을 제공한다.
일정한 면적을 갖는 바닥부와 상부가 개구되고 외벽으로 이루어진 사육수조에 거치되는 분사파이프, 상기 분사파이프에는 하나 이상의 사육수 분사관이 사육수조 내측면을 향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형성을 위한 사육수 분사용 노즐을 제공한다.
사육수분사관은 사육수와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산소공급관과 사육수공급관이 형성되어 이동관에서 공기와 사육수가 혼합되어 수조내로 분사되도록 형성되며, 분사파이프의 상부에는 미세조절파이프와 미세조절밸브가 형성되어 분사파이프로 사육수와 공기가 공급되는 동안 수조 내부로 일정량의 사육수가 흐르도록 형성된다.
분사파이프에 형성된 분사관의 직경은 하측에 형성되는 분사관의 직경이 상부에 위치하는 분사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분사파이프에 형성되는 사육수분사관은 분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절가능하게 이루어지고 분사파이프에는 분사관 거치대가 형성된다.
또한 사육수 공급부에는 이물질제거용 필터가 형성되며, 이동관에는 분사부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는 와류형성을 위한 사육수 분사용 노즐을 제공한다.
바닥에 가라앉은 이물질을 부상시켜 배수하는 기존의 방법과는 달리 사육수 분사관이 수직으로 복수개 장착되어 높이에 따라 다른 수압으로 분사시킨 사육수에 의해서 수류가 소용돌이를 만들어 배수 작업시 단시간 내에 오염물질을 배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와류형성을 위한 분사용 노즐이 장착된 수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와류형성을 위한 분사용 노즐의 분사관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와류형성을 위한 분사용 노즐의 분무부 분리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와류형성을 위한 변형된 분사용 노즐이 장착된 수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와류형성을 위한 변형된 분사용 노즐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와류형성을 위한 분사용 노즐의 와류 형성의 원리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소용돌이 분사용 노즐과 관련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와류형성을 위한 분사용 노즐이 장착된 수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소용돌이 분사용 노즐은 바닥부와 일정 높이를 갖는 수조외벽으로 이루어진 수조(10); 상기 수조의 수조외벽 내측면으로 설치되고 수조 하부 방향으로 일정 직경의 분사관이 형성된 분사파이프(40)에는 하나 이상의 분사관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분사파이프 상부에 설치되는 미세조절파이프(20)와 미세조절파이프상에 형성되는 미세조절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조(10)는 수조의 외벽과 일체로 연결되어 수조의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형태로 설치된다. 수조 개구부를 통해서 사육수를 공급시킬 수 있고 어류를 수조 내부로 입식시킬 수 있다. 수조의 재질은 섬유강화플라스틱(FRP),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강도가 우수하며 부식이 되지 않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사육수 분사시 수압을 견뎌낼 수 있는 내구력을 지닌 것 또한 가능하다.
상기 수조의 상부 개구부에는 사육수 공급부(90)가 설치되어 수조내부로 깨끗한 사육수를 공급할 수 있다. 수조 바닥부는 일정면적을 가진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고 바닥부에는 통공으로 이루어진 배수구가 형성된다. 상부 개구부를 통해 수조 내부로 분사파이프(40)가 수조외벽 내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직선파이프 형태로 설치된다. 분사파이프에는 외부에 설치된 공기 가압부(50)와 사육수 공급관이 연결되어 수조내부로 도입되고 분사파이프에 형성되는 분사관은 서로 다른 노즐 직경을 갖고 수직으로 설치된다.
분사파이프의 상부에는 미세조절파이프(20)와 미세조절밸브가 형성되어 분사파이프에 사육수와 공기가 혼합되어 분사관으로 공급되는 동안 수조 내부로 일정량의 사육수가 흐르도록 한다. 분사파이프 상부에 위치하는 미세조절파이프(20)와 미세조절파이프 상에 형성되는 미세조절밸브는 분사파이프가 수조 내부의 수중에 잠겨 있어, 사육수가 공급되는지 여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이를 확인하기 위한 가시적 효과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분사파이프가 받는 수압과 공기압에 따라 미세조절파이프로 일정량의 사육수가 흐르도록 미세조절밸브로 수류의 양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분사파이프의 어느 한 개구부가 가압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가압부는 분사파이프로 공기를 공급시킬 뿐만 아니라 적절한 수압으로 분사관을 통해 사육수를 분사함으로서 수조내의 사육수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사관은 수조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제1분사관, 중간부에는 제2분사관, 최하부에는 제3분사관이 수직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분사관의 직경은 하부로 내려갈수록 크기가 점차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동일한 공기압력을 분사 파이프가 받아 사육수와 함께 공급되면, 분사관을 통해 배출되는 사육수와 공기압은 수직하부로 내려갈수록 분사관의 노즐직경에 따라 압력차이가 생기게 되며, 하부에 위치한 노즐직경이 작을수록 빠른 수류를 만들게 된다.
높이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노즐직경으로 형성된 분사관은 각 분사관에서 분사되는 사육수의 양과 수압이 달라지는데 직경이 가장 큰 제1분사관은 느린 속도로 대량의 사육수가 일정방향으로 토출되며, 하부로 갈수록 노즐 직경이 작아지고 노즐의 직경이 작아질수록 순환하는 사육수의 토출양이 적어지고 압력이 높아져 노즐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하부에서 빠른 속도의 수류가 형성된다.
따라서 분사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수압이 낮아지므로 하부에서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사육수는 상층으로 올라갈수록 수조 내부에서 와류를 일으키게 되고 와류는 수중에 분포하는 찌꺼기 또는 수조 바닥에 가라앉았던 찌꺼기를 배수구로 단기간에 고효율로 배출될 수 있다.
가압부와 연결된 분사관은 수조내에 쌓이는 찌꺼기의 양에 따라 공기압과 수압을 조절하여 찌꺼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와류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분사관은 이젝터 장치로 설치하는 것이 적절하며 이젝터 장치로 설치하게 되면 수조 내 사육수를 분사시 주위공기가 분사관에 빨려 들어와 수조로 분사되어 별도의 가압부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사육수 내의 용존산소량을 균질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용존산소 공급을 위해 사용하는 각종 기기 및 구조물들을 대체할 수 있어 수조 내에 설치되는 산소 공급기 등의 복잡한 구조물 장애를 없앨 수 있다.
사육수가 교반되고 회전됨으로써 수조 내부바닥에 모여지는 사료찌꺼기 또는 오염물질이 정체되지 않고 일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사육수 내의 사육수가 부패되지 않고 일정한 수질을 유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와류형성을 위한 분사용 노즐의 분사관 사시도를 나타낸다. 고압분사 노즐의 노즐본체는 노즐의 전체적인 틀을 구성하고 분사부, 산소공급부, 사육수공급부가 고정되어 수조내에 산소, 사육수 등을 공급시키거나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분사관은 산소와 사육수의 이동과 고압공기로 사육수를 팽창시켜 공급하는 연결부(60), 연결부로 이동한 고압공기 및 사육수를 수조내부로 분사시키는 분사부(7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압분사 노즐 분사부는 분사관의 돌출된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직경이 어느 한 측면에 나 있는 형태로 분사부의 개구부를 통해서 분사관을 수용하고 분사관의 돌출된 부위를 거치시켜 분사부에 분사관을 고정시킬 수 있다.
연결부(60)는 분사관의 전체적인 틀을 형성하고 파이프와 같이 내부가 비어있는 구조이고 프레임의 설치 각도 및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분사각도를 용이하게 설치되는 것이 적절하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연결부 프레임을 주름관으로 설치하여 나타내었다.
연결부 내부에는 외부에 설치된 가압부에 의해 제어된 적정량의 산소를 이동시키는 산소공급부(80)와 사육수 공급관으로부터 제어된 양의 사육수를 이동시키는 사육수 공급부(90)이루어지고 산소공급부와 사육수 공급부에는 산소공급관(81)과 사육수 공급관(91)이 각각 설치된다. 외부에 설치된 분사부 제어 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된 적정량의 산소, 사육수는 산소 공급관와 사육수 공급관을 통해서 산소공급부와 사육수공급부로 각각으로 이동한다.
산소공급부(80)는 산소공급관(81)을 수용하고 대응할 수 있는 직경으로 설치되고 연결부로 고압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컴프레셔와 연결되어야 한다. 사육수 공급부(90)는 사육수 공급관(91)과 대응할 수 있는 직경으로 구성되고 사육수공급관이 사육수공급부와 대응하는 개구부에는 장착과 분리를 할 수 있는 일정직경으로 이루어진 필터부재를 설치되어 사육수에 섞여있는 이물질을 연결부로 이동시키기 전에 여과시킬 수 있다.
사육수 공급부에서 연결부로 이동한 사육수와 양분은 산소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고압공기와 혼합되어 분사부(70)로 이동하여 제어된 압력의 사육수를 수조내부로 분사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와류형성을 위한 분사용 노즐의 분무부 분리도를 나타낸다. 분사부(70)는 파이프와 같이 내부가 비어있는 구조로, 연결부와 대응하는 개구부와 연결부에서 이동한 산소와 사육수가 수조로 분사되는 통로역할을 하는 통공형태의 분사공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와 대응하는 분사부 개구부와 연결부는 볼트와 너트와 같은 원리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대응하는 부분에 나사산을 설치할 수 있지만, 상기 방법은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분사부와 연결부의 대응부에는 고무패킹을 끼워 사육수와 공기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분사부(70) 내부에는 연결부에서 사육수와 양분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관(71)이 설치될 수 있고 이동관은 연결부에서 분사부로 이어지는 방향으로 다수의 통공이 형성시킬 수 있다. 이동관의 외측에는 고무패킹을 설치하여 분사부 내부와 이동관의 고정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연결부에서 이동관으로 공기와 사육수가 이동시에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와류형성을 위한 변형된 분사용 노즐이 장착된 수조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5는 본 발명의 와류형성을 위한 변형된 분사용 노즐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변형된 노즐은 분사관이 설치되는 일측면에 분사관 거치대를 설치하여 분사관의 분사각도를 변경했을 시 고압의 사육수를 분사를 하면 분사각도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고 분사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고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노즐본체는 산소공급 대응부, 사육수 공급 대응부, 분사부 대응부로 구성되는 3개의 돌출된 형태의 개구부가 설치되고, 개구부 외측과 대응하는 구성요소의 내측에는 고정장치가 설치되어 장착과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와류형성을 위한 분사용 노즐의 와류 형성의 원리를 나타낸다. 분사관의 분사각도는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사육수를 수조로 공급할 때에는 분사관이 설치된 방향과 직선방향으로 분사각도를 조정하고, 사육수의 와류를 형성하여 이물질 배출하고자 할 때에는 분사관의 분사각도를 0~60˚범위로 조절하는 것이 적절하다.
가압부와 연결된 분사관은 사육수조 내에 분포하는 찌꺼기 농도에 따라 공기압을 조절하여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있다. 사육수가 교반되고 회전됨으로서 수조 내부바닥에 모여지는 사료찌꺼기 또는 오염물질이 정체되지 않고 일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서 사육수 내의 사육수가 부패되지 않고 일정한 수질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조내에 사육수의 순환을 위한 직경의 크기가 다른 분사관을 높이에 따라 하나 이상 설치하여 사육수를 와류를 갖도록 유동시킴으로서 단시간 내에 사육수조 내의 찌꺼기 배출 효율이 증가하므로 배수에 사용되는 물의 양을 감소시키는 한편 사육수조 내의 사육환경을 친환경적으로 조성하고 사육생물의 질병예방을 할 수 있으므로 양식산업의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어 양식 기반확대 및 수산분야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 수조 20 : 미세조절파이프
21; 미세조절밸브 30 : 배수구
40 : 분사 파이프 41 : 제1사육수 분사관
42 : 제2 사육수분사관 43 : 제3 사육수분사관
50 : 가압부 60 : 연결부
70 : 분사부 71 : 이동관
80 : 산소공급부 81 : 산소공급관
90 : 사육수 공급부 91 : 사육수 공급관

Claims (6)

  1. 일정한 면적을 갖는 바닥부와 상부가 개구되고 외벽으로 이루어진 사육수조의 외벽 상측에 거치되는 분사파이프,
    상기 분사파이프의 상부에는 미세조절파이프와 미세조절밸브가 형성되고, 복수개의 사육수 분사관이 사육수조 내측면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사육수 분사관은 산소공급부와 이물질제거용 필터가 형성된 사육수공급부가 각각 연결되어 사육수와 공기를 각각 동시에 주입하여 분사부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된 이동관에서 공기와 사육수가 혼합되어 사육수조 내측으로 분사되며,
    사육수가 분사되는 동안 미세조절파이프로 일정량의 사육수가 흐르도록 조절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형성을 위한 사육수 분사용 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분사파이프에 형성된 사육수 분사관의 직경은 하측에 형성되는 사육수 분사관의 직경이 상부에 위치하는 분사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형성을 위한 사육수 분사용 노즐
  3. 제1항에 있어서, 분사파이프에 형성되는 사육수분사관은 분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절가능하게 이루어지고 분사파이프에는 분사관 거치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형성을 위한 분사용 노즐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40128970A 2014-09-26 2014-09-26 와류 형성을 위한 사육수 분사용 노즐 Active KR101507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970A KR101507052B1 (ko) 2014-09-26 2014-09-26 와류 형성을 위한 사육수 분사용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970A KR101507052B1 (ko) 2014-09-26 2014-09-26 와류 형성을 위한 사육수 분사용 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7052B1 true KR101507052B1 (ko) 2015-03-30

Family

ID=53028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8970A Active KR101507052B1 (ko) 2014-09-26 2014-09-26 와류 형성을 위한 사육수 분사용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052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390B1 (ko) 2015-07-10 2015-11-06 대한민국 원형수조용 수직형 선회류 분사장치
KR101647341B1 (ko) * 2016-02-19 2016-08-23 에프엔에스 주식회사 양식수조용 수처리 장치
KR101761025B1 (ko) * 2015-11-30 2017-07-25 엔유씨 주식회사 저서성 어류 양식을 위한 중층 에어인젝터를 형성한 바이오플락 시스템
KR101796422B1 (ko) * 2017-06-22 2017-12-01 이상철 지반침하를 고려하고 안전 배수 장치를 구비한 수조 구조체
KR20180019006A (ko) * 2015-05-28 2018-02-22 에스에프아이 시스템 아이브이에스 어류의 외부 기생충 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8195061A1 (en) * 2017-04-18 2018-10-25 Foster-Miller, Inc.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fish
EP3669647A1 (en) * 2018-12-19 2020-06-24 Alfa Laval Corporate AB Fish farming tank for cultivating living fish
US10757922B2 (en) 2017-03-08 2020-09-01 Foster-Miller, Inc.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fish
KR20210059287A (ko) * 2019-11-15 2021-05-25 방승원 슬러지 침전 방지를 위한 수류 형성 시스템
KR102300773B1 (ko) * 2021-05-07 2021-09-10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엔지니어링 슬러지 고착방지기구를 구비한 양식장용 산소용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2534A (ko) * 1988-02-14 1989-09-18 단홍덕 양어수조의 와류, 난방 및 산소공급장치
KR200324699Y1 (ko) * 2003-06-12 2003-08-27 유덕수 활어조
KR20120027953A (ko) * 2010-09-14 2012-03-22 김지은 인조 수류 수족관
KR101150442B1 (ko) 2012-01-12 2012-06-01 주식회사 삼안 빗물을 이용한 도심지 인공 연못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2534A (ko) * 1988-02-14 1989-09-18 단홍덕 양어수조의 와류, 난방 및 산소공급장치
KR200324699Y1 (ko) * 2003-06-12 2003-08-27 유덕수 활어조
KR20120027953A (ko) * 2010-09-14 2012-03-22 김지은 인조 수류 수족관
KR101150442B1 (ko) 2012-01-12 2012-06-01 주식회사 삼안 빗물을 이용한 도심지 인공 연못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9006A (ko) * 2015-05-28 2018-02-22 에스에프아이 시스템 아이브이에스 어류의 외부 기생충 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392339B1 (ko) 2015-05-28 2022-04-29 에스에프아이 시스템 에이피에스 어류의 외부 기생충 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66390B1 (ko) 2015-07-10 2015-11-06 대한민국 원형수조용 수직형 선회류 분사장치
KR101761025B1 (ko) * 2015-11-30 2017-07-25 엔유씨 주식회사 저서성 어류 양식을 위한 중층 에어인젝터를 형성한 바이오플락 시스템
KR101647341B1 (ko) * 2016-02-19 2016-08-23 에프엔에스 주식회사 양식수조용 수처리 장치
US10757922B2 (en) 2017-03-08 2020-09-01 Foster-Miller, Inc.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fish
WO2018195061A1 (en) * 2017-04-18 2018-10-25 Foster-Miller, Inc.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fish
KR101796422B1 (ko) * 2017-06-22 2017-12-01 이상철 지반침하를 고려하고 안전 배수 장치를 구비한 수조 구조체
EP3669647A1 (en) * 2018-12-19 2020-06-24 Alfa Laval Corporate AB Fish farming tank for cultivating living fish
WO2020126988A1 (en) * 2018-12-19 2020-06-25 Alfa Laval Corporate Ab Fish farming tank for cultivating living fish
KR20210059287A (ko) * 2019-11-15 2021-05-25 방승원 슬러지 침전 방지를 위한 수류 형성 시스템
KR102358155B1 (ko) 2019-11-15 2022-02-04 방승원 슬러지 침전 방지를 위한 수류 형성 시스템
KR102300773B1 (ko) * 2021-05-07 2021-09-10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엔지니어링 슬러지 고착방지기구를 구비한 양식장용 산소용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7052B1 (ko) 와류 형성을 위한 사육수 분사용 노즐
US9392775B2 (en) Fish culturing system
KR101206491B1 (ko) 에어 리프트 장치를 이용한 양식 시스템 및 새우 양식 방법
KR101867109B1 (ko) 쌍각류 등의 저서 생물의 양식 장치
US9497941B2 (en) Modular aqaculture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1247990B1 (ko) 고형물 제거기능이 겸비된 생물여과조
KR101996238B1 (ko) 모듈형 해수 순환여과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US8813686B2 (en) Modular aquaculture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1782735B1 (ko) 에너지 절감용 순환 여과식 어류 양식시스템
JP5652758B2 (ja) ポンプエアレ−ション装置
JP2012005947A5 (ko)
JP2006217822A (ja) 魚介類の養殖装置及び養殖方法
US201802969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Foam Fractionation
JP5913717B1 (ja) 砂地生息水中生物の養殖装置
JP2001293467A (ja) 養殖水浄化方法とその装置
KR101353929B1 (ko) 양식장의 오염수 처리를 위한 스키머 장치
JP2017099347A (ja) 養殖用旋回流気液混合装置
KR101070820B1 (ko) 사육수 여과기능이 구비된 멸치 인공 사육수조
JP2017099331A (ja) 鮮度維持装置及び鮮度維持方法
CN205258117U (zh) 漂浮式曝气溶氧生物循环水处理装置及水处理系统
KR101639573B1 (ko) 수족관용 스키머
KR101762181B1 (ko) 양식장용 미세기포 필터링장치
JP5077874B2 (ja) 浄水装置
KR101964802B1 (ko) 새우 양식 구조물
JP2005348664A (ja) 陸上養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17

PR0702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R0702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324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324

End annual number: 20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