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05903B1 - 감수 추출물,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디테르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 또는 피부 활성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감수 추출물,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디테르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 또는 피부 활성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903B1
KR101505903B1 KR1020120062231A KR20120062231A KR101505903B1 KR 101505903 B1 KR101505903 B1 KR 101505903B1 KR 1020120062231 A KR1020120062231 A KR 1020120062231A KR 20120062231 A KR20120062231 A KR 20120062231A KR 101505903 B1 KR101505903 B1 KR 101505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raction
skin
pharmaceutical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8548A (ko
Inventor
김재화
오세량
안경섭
강호범
권옥경
김승호
손장미
송혁환
이희구
전병화
지다정
피셋키엡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62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903B1/ko
Priority to PCT/KR2013/005131 priority patent/WO2013187665A1/ko
Priority to EP13804383.1A priority patent/EP2859897B1/en
Publication of KR20130138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548A/ko
Priority to US14/559,254 priority patent/US906102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90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7Euphorbiaceae (Spurge family), e.g. Ricinus (castorbe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3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3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 A61K31/23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having one or two double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two or more oxygen atoms in the same ring, e.g. crown ethers, guanadr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수(Euphobia kansui)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디테르펜 화합물이 상피세포에 작용하여 분화된 상피세포의 재생능력을 높이는데 필요한 PKD1의 활성을 유도하고, 이는 하부의 ERK1의 인산화를 유도하고 Cyclin D의 생성을 유도함으로써 손상된 상피세포의 활성을 유도하는 효능이 뛰어나 상처 치료와 손상된 피부의 재생을 활성화하는 능력이 매우 뛰어남을 확인하여 손상된 피부를 회복시키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세포의 활성을 유도하는 기능성 화장품으로 개발될 수 있다.

Description

감수 추출물,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디테르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 또는 피부 활성용 약학적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Euphorbia kansui extract, fractions thereof or diterpene compound isolated from the fraction for wound-healing or skin activation}
본 발명은 감수(Euphorbia kansui)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 부터 분리한 디테르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 또는 피부 활성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감수(Euphorbia kansui) 추출물은 동양 전통의학에서 강심작용, 사하작용(장을 자극하여 연동운동을 촉진하고 설사를 일으키는 작용), 항염증작용, 몸이 붓고 배에 물이 찼을 때, 숨차고 소변이 잘나가지 않을 때, 오줌 내기약, 센 설사약, 이뇨, 사하, 부기, 수종, 복수(물고임), 각기, 숨이 차고 기침이 날 때, 늑막염, 가슴 아픔, 황달, 사수음(瀉水飮), 파적취(破積聚), 통이변(通二便), 수종창만(水腫脹滿), 류음(留飮), 결흉(結胸), 당뇨병, 저리고 아플 때, 대소변이 나오지 않을 때, 간질, 식도암, 징가적취(痂積聚), 이변불통(二便不通), 습성 늑막염을 치료한다고 했으나 이의 생물학적 활성은 아직까지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상피세포의 재생은 창상 치료(wound-healing)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최근 상피세포의 재생과 관련된 세포의 활성을 PKD1와 ERK1 활성에 의하여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J Biol Chem. 2010 Jul 23;285(30):23387-97. Epub 2010 May 12.Nature, 2008 May 15;453(7193):314-21: J Biol Chem, 2005 Sep 30;280(39):33262-9. Epub 2005 Jul 8). 지금까지 알려진 상처 난 피부의 재생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피부조직의 변화를 분석에 따르면 상처에 따른 피부조직의 활성물질은 주로 EGF, FGF, HGF로 이들 물질은 주로 세포의 스캐터링 인자로 세포의 이동성을 증가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EMBO J. 2011 Feb 16;30(4):783-95. Epub 2011 Jan 11:Mol Physiol, 2010 Jun;298(6):L715-31:J Eur Acad Dermatol Venereol, 2011 Dec 26. doi: 10.1111/j.1468-3083.2011.04415.x). 상피세포의 훼손시 이를 회복하기 위한 활성물질 생성을 유도하기 위한 물질을 천연물의 추출액에서 발굴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러한 천연물 추출물 중에서 생리학적 근거를 가지고 상처 치료에 효능을 지닌 천연물 신약을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감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상피세포의 활성 또는 상처 회복에 효과가 있다는 보고는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감수 추출물이 상피세포에서 내재 인자로 작용하는 HGF가 가지는 세포의 이동능력의 향상과 이들 물질이 세포 내에서 활성을 가지는 기본적인 세포 신호 전달 체계인 PKD1의 활성과 ERK1의 인산화를 유도하는 능력이 탁월함을 확인하였고, 상처 회복능력이 매우 뛰어남을 실험 동물에서 창상 치료 또는 피부 활성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감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활성 및 피부 회복용 창상 치료 또는 피부 활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디테르펜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또는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여 피부 활성 및 피부 회복용 창상 치료 또는 피부 활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46288252-pat00001
;및
[화학식 2]
Figure 112012046288252-pat00002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감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감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손상된 피부 회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감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손상된 피부 회복용 건강 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감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활성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감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활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감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활성용 건강 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손상된 피부 회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손상된 피부 회복용 건강 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활성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활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활성용 건강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수 추출물,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디테르페 화합물은 상피세포의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창상 치료 효능의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세포의 활력을 유지하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로 개발될 수 있다.
도 1은 감수 추출물이 처리한 상피세포인 HCT116, KM12c 및 SW620에서 세포의 이동성이 유도됨을 확인한 그림이다.
도 2는 감수 추출물이 처리된 상피세포인 KM12c 및 SW620세포에서 세포의 이동성과 관련된 피브로넥틱의 발현이 증가되고(도 2A), 이러한 현상이 시간에 따라 증가 됨을 확인한 그림이다(도 2B).
도 3은 감수 추출물이 처리된 상피세포인 SW620에서 처리된 추출물의 농도와 시간에 따라 PKD1과 ERK1의 인산화가 일어나고(도 3의 A 및 B) ERK의 인산화는 다른 상피세포에서 일어남을 확인한(도 3의 C)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4는 감수 추출물이 처리된 세포의 이동성이 증가하고 상피세포의 결손을 채우는 능력이 뛰어남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5는 세포의 전이성을 증가시키는 효능을 지니는 실험결과로서 마트리겔 분석을 통하여 감수 추출물과 TGF-베타가 함께 첨가된 상태에서 세포의 전이성이 극대화됨 보여준 것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6는 정상적인 Balb/C 생쥐 피부를 제모하고 테잎 스트랩핑을 유도하여 상처를 낸 후 감수 추출물을 처리하여 피부가 재생되는 형태를 관찰한 결과 피부의 회복 속도가 빠르고 정상적인 피부로의 환원력이 뛰어남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감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 및 피부 활성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2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한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감수 추출물은 감수의 줄기 또는 잎으로부터 얻은 추출물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분획물은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 아세테이드, 1,3-부틸렌글리콜, 핵산 또는 디에틸에테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수득 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감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피부 상처 또는 피부 회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감수 추출물을 제조하고,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을 제조하였으며, 분획물에서 하기와 같이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2046288252-pat00003
Figure 112012046288252-pat00004
감수 추출물이 상피세포의 스캐트닝을 유도하는 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피세포인 HCT116, KM12C, SW620 및 Colo205 세포에 처리한 결과 감수 추출물에 의해 세포의 이동성이 유도됨을 것을 확인하였다(도 1 참조).
감수 추출물을 상피세포인 HCT116, KM12C, SW620 및 Colo205에 처리하여 세포내 이동성을 주도하는 세포내 인자인 피브로넥틴의 mRNA 수준 변화를 확인한 결과 SW620에서 가장 뚜렷한 차이를 확인하였다(도 2A 참조). 상기 SW620를 6시간 동안 분석한 결과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이동성 억제와 관련된 Zeb1의 발현 양상도 피브로넥틴과 비슷함을 확인하였다(도 2B 참조).
상피세포 활성과 관련된 PKD1(protein kinase D1)와 ERK(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의 인산화가 감수 추출물에 유도됨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피세포 SW620 세포에서 감수 추출물 처리한 결과 30분까지 PKD1와 ERK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도 3A 참조).
상피세포의 창상 회복 활성과 관련된 세포의 배양조건에서 이동성을 분석하기 위해 세포의 트렌스 웰(trans well)의 활력을 평가하기 위해 마트리겔 분석을 한 결과 감수 추출물이 첨가된 배지에서 효능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4 참조).
상처시 분비되는 다양한 사이토카인(TGF, PDGF 및 FDF 등)에 의하여 일어나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마트리겔 분석을 한 결과 감수 추출액이 첨가된 배지에서 효능이 증대하였고 TGF와 동시에 처리한 경우 세포의 이동성이 효능이 더 좋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도 5 참조).
감수 추출물에 의한 피부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모델 동물인 Balb/C 생쥐에 제모 된 피부에 테잎 스트랩핑을 기도하여 피부손상을 유발한 후 감수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피부의 회복속도가 매우 빠르고 상처 회복 후 정상적인 피부로의환원력도 뛰어남을 확인하였다(도 6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에 상처를 입었을 경우 상피세포의 활성을 유도하는 PKD1의 인산화 활성과 ERK인산화를 확인하였고, 세포의 스캐터링을 활성 시키는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상처 치료 능력이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므로 창상 치료 및 피부 활성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선"이란 조성물의 투여로 상기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일반적인 모든 경로를 통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조성물은 활성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에 상처를 입었을 경우 상피세포의 활성을 유도하는 PKD1의 인산화 활성과 ERK인산화를 확인하였고, 세포의 스캐터링을 활성 시키는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상처 치료 능력이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므로 창상 치료 및 피부를 회복시킬 수 있으므로 피부 상처 예를 들면 찰과상, 절상, 타박상, 자상, 열상 및 교상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자, 산제, 과립제, 캡슐제, 트로키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하나 이상의 본 발명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감수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1 ㎏당 0.1 내지 100 mg,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mg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비만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 및 피부 활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감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창상 치료, 피부 상처 회복 또는 피부 회복에 활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으로서의 제형으로는 감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r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무,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 조성물의 화장품으로서의 구체적인 제형으로는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아이새도 등의 제형을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46288252-pat00005
;및
[화학식 2]
Figure 112012046288252-pat00006
.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디테르펜계 화합물은 감수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화합물은 피부 상처 또는 피부 회복에 강화 활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디테르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혀용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처 또는 피부 회복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치료 및 피부 활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감수 추출물의 제조
감수 추출물은 감수(Euphobia kansui)의 줄기나 잎으로부터 이미 보고된 프로토콜(Planta Med 2010; 76(14): 1544-1549)에 따라 분리하였다. 건조한 감수 줄기(칠성사, 중국) 20 kg를 메탄올 100 %(SK Chemicals, 한국) 20 리터(liter)로 추출하여 감수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과정을 통해 수득한 감수 메탄올 추출물의 수득량은 1.0 kg이었다.
< 실시예 2> 감수 분획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의 감수 메탄올 추출물 1.0 kg을 물 1.5 리터에 현탁시키고, 각 용매 1.5 리터의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 아세테이드, 1,3-부틸렌글리콜, 핵산 또는 디에틸에테르을 용매로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추출해내었다.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 아세테이드, 1,3-부틸렌글리콜, 핵산 또는 디에틸에테르 분획물을 각각 4.0 g, 4.5 g, 230 g, 41 g, 35 g, 20 g 및 25 g 수득하였다.
< 실시예 3> 감수 추출물로부터 디테르펜계 화합물의 분리 및 정제
감수 추출물의 화합물은 줄기 또는 잎에서 활성을 확인하였고, 10 g을 수득하였다. 열매추출물로부터 크로마토그래피 분획에 의해 정제하였고, 구조를 분석하였다(Planta Med 2010; 76(14): 1544-1549) 분석된 결과는 하기의 화학식 1 또는 2와 같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46288252-pat00007
;및
[화학식 2]
Figure 112012046288252-pat00008
.
< 실시예 4 > 세포 배양
인간 세포주 HCT116, KM12C, SW620 및 COLO205(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Rockville, MD)의 배양은 37 ℃ 또는 5 % CO2의 습화된 조건하에서 수행하였다. 상기 세포주는 10 % 우아혈청(Fetal Calf Serum, FCS, HyClone, Logan, UT), 2 mM L-글루타메이트, 100 ㎍/㎖ 페니실린, 100 ㎍/㎖ 스트렙토마이신(Life Technologies)을 포함하는 DMEM(Life Technologies, Karlsruhe, Germany) 배지에서 유지하였다.
< 실험예 1> 감수 추출물은 상피세포의 스캐터링 ( scattering ) 유도 활성 분석
감수로부터 분리한 추출물(Eupho K1)이 상피세포인 HCT116, KM12C, SW620 및 Colo205 세포에서 세포의 이동성(mobility)을 유도되고, 세포의 이동성을 주도하는 세포내 인자인 피브로넥틴(Fibronectin)생성과 관련된 mRNA 수준의 변화를 RT-PCR(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인 RT-PCR 방법은 하기와 같다. 총 RNA는 표준 프로토콜에 따라 분리하였고, cDNA는 제조자의 지시서에 따라 AccuScript High Fidelity 1st Strand cDNA Synthesis Kit(Stratagene)를 사용하여 합성하였다. 2 단계 RT-PCR 반응은 올리고-dT 프라이머와 역전사효소, 특이 프라이머쌍과 Taq 폴리머라아제(Takara, Shiga, Japan)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합성한 1 ㎕의 cDNA 를 0.5 U ExTaq DNA 폴리머라아제, 1 buffer 및 1 mM dNTP mix (Takara)와 특이 프라이머 쌍으로 이루어진 20 ㎕의 PCR 반응에 사용하였다. PCR 반응에 의한 증폭은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GeneAmp PCR system 2700 (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 USA)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94°에서 5분, 이어서 94°에서 45 초, 56°에서 45초 및 72°에서 1 분을 25-40 사이클 행한 후, 최종 연장반응은 72°에서 7분간 행하였다. 표 1의 PCR 프라이머는 프라이머 3 프로그램으로 바이오니어(대한민국)로부터 구입하였다.
PCR 에 의해 cDNA 증폭에 사용된 프라이머
Name Forward Reverse
GAPDH CCATCACCATCTTCCAGGAG ACAGTCTTCTGGGTGGCAGT
Fibronectin CGGGAATCTTCTCTGTCAGC GCCATGACAATGGTGTGAAC
Zeb1 GCACCTGAAGAGGACCAGAG GTGTAACTGCACAGGGAGCA
PCR 생성물은 1.5 % 아가로즈젤상에서 분리하여 에티듐 브로마이드(ethidium bromide, EtBr)로 염색하여 겔 Doc 2000 UV 트렌스-일루미네이터 (Bio-Rad Laboratories, Hercules, CA, USA)으로 시각화한 후에, 정량 원 소프트웨어(Bio-Rad Laboratories)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샘플들은 3회 이상 테스트하였으며 대표 데이터를 제시하였다.
세포들을 1ug/ml의 감수 추출물 함께 6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서, 세포를 용해시킨 후에 RNA를 분리하였다. RNA에 대해 poly A+프라이머와 함께 역전사효소(reverse transcriptase)를 사용하여 cDNA를 제조하였다. 피브로넥틴, Zeb1에 대해 디자인된 프라이머를 PCR 증폭에 사용하였다(표 1). GAPDH를 내부 표준으로 사용하였다.
감수 추출물을 상피세포인 HCT116, KM12C, SW620 및 Colo205 세포에 처리한 결과 피브로넥틴의 전사물은 감수 추출물(Eupho K1)이 처리된 SW620에서 가장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감수 추출물을 상피세포인 SW620에 처리한 후 시간별로 분석하여 결과 3시간부터 피브로넥틴의 전사체의 증가되며 6시간까지 꾸준히 증가되는 현상을 확인하였으며, 상피세포의 이동성 억제와 관련된 E-카드헤린(E-cadherin)의 전사억제물질인 Zeb1의 발현양상도 피브로넥틴과 전사체 발현양상이 서로 비슷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2).
< 실험예 2> 감수 추출물의 상피세포의 활성과 관련된 PKD1 ERK 의 인산화 유도 활성 분석
상기 <실험예 1>의 방법을 이용하여 감수 추출물을 상피세포 SW620에 처리한 후, 상피세포 관련된 PKD1과 ERK의 인산화를 확인하였다.
감수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에 차가운 SDS- 용해 버퍼(lysis buffer) 50 mM HEPES, 150 mM NaCl, 0.2 mM EDTA, 0.5 % NP-40, 0.1 % SDS, 1 mM Na3VO4, 10 mM NaF 및 완전 단백질 저해 칵테일(Roche)를 사용하여 30분 동안 얼음에 용해하였다. 용해된 세포용액을 고속 회전기로 30분 동안 13,000 rpm으로 회전하여 불용성 부분을 침전시키고 수용성 용액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세포 수용액을 정량 후 10~12 % 정도 농도의 SDS-PAGE를 이용하여 전기영동 하였다. 젤 상에서 분리된 세포 단백질을 PVDF 멤브레인 (Millipore, Billerica, MA, USA)에 100V에서 2시간 동안 전사시켰다. 세포 내에서 인산화된 PKD1과 ERK를 확인하기 위해 폴리 래빗(poly rabbit) 안티-PKD1, -phosphoPKD1(Ser744/748), -ERK 및 -phosphoERK IgG(Cell signaling Technology, USA)를 1:1000으로 1차 항체로 이용하여 실온에서 60분간 반응시켰다. 2차 항체로 호스라디시 페록시다제가 컨쥬게이션 된 (horseradish peroxidase peroxidase-conjugated) 고트(goat) 안티-래빗 IgG (Santa Cruz Biotechnology, USA)을 1:3000으로 실온에서 60분간 반응시켰다. 세포 단백질의 동일량의 측정은 폴리 래빗(poly rabbit) 안티(anti)-PKD1와 -ERK로 확인하였다. 면역반응이 끝난 멤브레인은 ECL시약(Millipore, Billerica, MA, USA)로 반응시켜, X-레이 필름에 노출시켜 PKC 아이소타입(isotype)의 인산화 정도를 필름 상에 나타난 밴드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상피세포인 SW620세포에서 PKD1와 ERK의 인산화는 감수 추출물의 처리 후 30분까지 시간 의존적으로 증가됨을 확인하였고(도 3의 A), 0.5ug/ml의 농도에서 역가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3의 B). 감수 추출물이 (Eupho K1)이 인간 상피세포인 A549세포와 HCT116세포에서도 ERK의 인산화 현상을 확인하였으며, 대조군으로 ERK의 인산화와 관련된 키모카인인 CCL2보다도 훨씬 더 강력한 ERK의 인산화를 유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3의 C).
< 실험예 3> 감수 추출물에 의한 상피세포의 창상 회복 활성과 관련된 세포의 이동성 분석
<3-1> 감수 추출물에 의한 세포 이동성 확인
상처가 발생하면 상피세포의 활성이 일어나고, 이러한 활성에 의하여 조직의 재생이 일어난다. 이때 상피세포의 이동성/스캐터링은 상처 치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다.
세포의 이동성/스캐터링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배양 접시에 세포를 80% 정도 밀집되도록 하루 전에 배양한 후 다음날 파이펫 팁으로 일직선으로 세포 위를 긁어낸 후 부유된 세포를 제거한다. 대조군에는 DMSO를 처리하고 감수 추출물을 처리한 군을 하루 단위로 이틀 동안 세포의 변화 상태를 현미경 상에서 사진 촬영을 하여 세포의 이동성/스캐터링 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감수 추출물은 이러한 활성 인자보다 효능적으로 더 뛰어난 세포의
이동성 효능을 보여주고 있음을 통하여 확인하였다(도 4 또는 도 5). 세포의 이동에 의한 확산능력이 대조군(DMSO) 처리한 그룹보다 세포의 이동성이 뛰어난 상피세포의 결손을 채우는 능력이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DMSO를 처리한 대조군은 세포확산에 의해 1일 후 12.5 %, 2일 후 45 % 정도 결손 된 부분을 채우는 정도인 반면 감수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는 1일 후 27.8 %, 2일 후 72.3 %로 세포가 결손 된 부분을 채우는 강력한 세포이동 활성을 확인하였다(도 4).
<3-2> 감수 추출물에 의한 상처 활성 분석
상처가 발생하면 상피세포의 활성이 일어나고, 이러한 활성에 의하여 조직의 재생이 일어난다. 이러한 현상은 주로 상처시 분비되는 다양한 사이토카인(TGF, PDGF, FDF등)에 의하여 나타내는 대표 활성 중 하나이다.
세포의 트랜스 웰의 활력을 평가하기 위한 마트리겔 분석을 하였다.
마트리겔(Becton-dickinson, USA)을 차가운 배양액에 20 %로 희석하여 24-트랜스웰(Coster, USA)의 상부에 도포하여 37 ℃에서 2 ~ 3시간 정도 코팅한 후 그 위에 세포를 배양하였다. 이때 감수 추출물을 0, 0.1 0.5 및 1 ug/ml 농도별로 처리하고 하부의 배양액에는 TGF 2 ng/ml을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배양한 세포를 48시간 후에 트랜스 웰 상부에 붙어있는 세포는 면봉으로 닦아내고 크리스털 바이올렛으로 염색하여 트랜스 웰을 통과한 세포를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이동한 세포의 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감수추출액이 첨가된 배지에서 효능이 증대하였고 TGF와 동시에 처
리한 경우 세포의 이동성이 효능이 더 좋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TGF만 처리한 경우가 1배일 때 감수추출액이 첨가된 0.1, 0.5 및 1 ug/ml 농도에 따라 18배, 61.8배 및 69배로 세포이동성 효율을 높이는 결과를 보여주었다(도 5).
< 실험예 4> 감수 추출물에 의한 피부 개선 효과
실험에 사용된 쥐는 중앙실험동물(한국)에서 구입하여 적응을 위해 식이 제한없이 사육 한 후 정상적인 5주령 수컷 Balb/C 생쥐(mouse)로 대조군의 생쥐도 동일한 환경에서 사육하였다. 정상적인 Balb/C 생쥐를 제모한 후 테이프 스트랩핑(tape strapping)을 시도하여 인위적으로 약간의 피부손상을 유발하였다. 상처난 피부에 감수 추출물(Eupho K1)을 처리한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피부의 회복속도가 매우 빠르고 상처회복 후 정상적인 피부로의 환원력도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사용된 생쥐는 그룹 당 5 마리씩 2번 반복으로 실험하였다.
그 결과, 감수 추출물이 피부의 상피세포 활성을 유도함으로써 창상 회복에 뛰어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6).
이하 감수 추출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학적 제제를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 제조예 1> 약제의 제조
1. 산제의 제조
감수 추출물 500 n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 정제의 제조
감수 추출물 500 ng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3. 캡슐제의 제조
감수 추출물 500 ng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4. 주사제의 제조
감수 추출물 500 ng
만니톨 180 ㎎
Na2HPO4ㆍ2H2O 26 ㎎
증류수 2,974 ㎎
통상적인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제시된 함량으로 함유시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이하 감수 추출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 제조예 2>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1. 크림의 제조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8 중량부
밀납 2.6 중량부
스테아린산 1.4 중량부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 중량부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1 중량부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탈 1.4 중량부
호호바오일 4 중량부
스쿠알란 3.8 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 60 1.1 중량부
마카다이아오일 2 중량부
초산토코페롤 0.2 중량부
메칠폴리실록산 0.4 중량부
에칠파라벤 0.1 중량부
프로필파라벤 0.1 중량부
Euxyl K-400 0.1 중량부
1,3-부칠렌글리콜 7 중량부
메칠파라벤 0.05 중량부
글리세린 6 중량부
d-판데놀 0.2 중량부
감수 추출물 4.6 중량부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부
pt 41891 0.2 중량부
p-H2O 46.05 중량부
2. 로션의 제조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6 중량부
스테아린산 1.4 중량부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1.8 중량부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2.6 중량부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탈 0.6 중량부
스쿠알렌 4.8 중량부
마카다이아오일 2 중량부
호호바오일 2 중량부
초산토코페롤 0.4 중량부
메칠폴리실록산 0.2 중량부
에칠파라벤 0.1 중량부
프로필파라벤 0.1 중량부
1,3-부칠렌글리콜 4 중량부
메칠파라벤 0.1 중량부
산탄검 0.1 중량부
글리세린 4 중량부
d-판데놀 0.15 중량부
알란토인 0.1 중량부
감수 추출물 3.5 중량부
카르보머(2% aq. Sol) 4 중량부
트리에탄올아민 0.15 중량부
에탄올 3 중량부
pt 41891 0.1 중량부
p-H20 48.3 중량부
< 제조예 3> 건강식품의 제조
1. 건강식품의 제조
감수 추출물 500 n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2. 건강 음료의 제조
감수추출물 500 ng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건강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 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에 포함된다.

Claims (12)

  1. 감수(Euphorbia kansui)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수 추출물은 물, C1 내지 C2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한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수 추출물은 감수의 줄기 또는 잎으로부터 얻은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 아세테이드, 1,3-부틸렌글리콜, 핵산 및 디에틸에테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상피세포의 활성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상피세포의 이동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상처난 피부회복 및 회복 후 정상 피부로의 환원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감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9. 감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20062231A 2012-06-11 2012-06-11 감수 추출물,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디테르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 또는 피부 활성용 약학적 조성물 Active KR101505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231A KR101505903B1 (ko) 2012-06-11 2012-06-11 감수 추출물,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디테르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 또는 피부 활성용 약학적 조성물
PCT/KR2013/005131 WO2013187665A1 (ko) 2012-06-11 2013-06-11 감수 추출물,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디테르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 또는 피부 활성용 약학적 조성물
EP13804383.1A EP2859897B1 (en) 2012-06-11 2013-06-11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wounds or revitalizing skin comprising euphorbia kansui extracts or fractions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US14/559,254 US9061022B2 (en) 2012-06-11 2014-12-03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wounds or revitalizing skin comprising Euphorbia kansui extracts, fractions thereof or diterpene compounds separated from the fractions as active ingred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231A KR101505903B1 (ko) 2012-06-11 2012-06-11 감수 추출물,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디테르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 또는 피부 활성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548A KR20130138548A (ko) 2013-12-19
KR101505903B1 true KR101505903B1 (ko) 2015-03-25

Family

ID=49758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231A Active KR101505903B1 (ko) 2012-06-11 2012-06-11 감수 추출물,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디테르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 또는 피부 활성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61022B2 (ko)
EP (1) EP2859897B1 (ko)
KR (1) KR101505903B1 (ko)
WO (1) WO201318766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847A (ko) 2015-04-13 2016-10-21 주식회사 래디안 백미 추출물의 지표성분인 시나프산 또는 이를 함유하는 백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및 상처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50010260A (ko) 2023-07-12 2025-01-21 필리아바이오 주식회사 동물 피부질환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5957A (ja) * 1994-12-27 1996-07-09 Kao Corp 皮膚外用剤
CN1179961A (zh) * 1997-04-02 1998-04-29 孙亭胜 速效冻疮膏
CN1066056C (zh) * 1998-03-27 2001-05-23 薛弘扬 红肿膏药
CN1319580C (zh) * 2005-06-15 2007-06-06 李景辉 跌打损伤膏药及其制备方法
JP5171097B2 (ja) * 2007-04-17 2013-03-27 花王株式会社 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ヘパリン結合性上皮増殖因子様増殖因子遺伝子発現促進剤
KR100926408B1 (ko) * 2007-10-09 2009-11-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감마허피스바이러스 재활성을 유도하는 감수 및 이를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1467605B1 (ko) * 2010-11-29 2014-12-0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의 다프난 디테르펜계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N103007240A (zh) * 2013-01-04 2013-04-03 徐彬 一种用于老年性创伤愈合的药剂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goniya, P. & Rana, A. C. Journal of natural remedies, 2007, 7(1), 94-101 *
James, O., & Friday, E. T. International Journal on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Research, 2010, 1(1), 54-63 *
Rasik, A. M., et al. "Wound healing activity of latex of Euphorbia neriifolia Linn", Indian Journal of Pharmacology, 1996, 28(2), 107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847A (ko) 2015-04-13 2016-10-21 주식회사 래디안 백미 추출물의 지표성분인 시나프산 또는 이를 함유하는 백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및 상처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50010260A (ko) 2023-07-12 2025-01-21 필리아바이오 주식회사 동물 피부질환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548A (ko) 2013-12-19
WO2013187665A1 (ko) 2013-12-19
EP2859897A4 (en) 2015-08-19
EP2859897B1 (en) 2017-06-14
US9061022B2 (en) 2015-06-23
EP2859897A1 (en) 2015-04-15
US20150093456A1 (en) 2015-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6057B2 (en) Methods for treating muscle wasting and degeneration diseases
EP2711014B1 (en) Daphne genkwa extract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fractions of the extracts or compounds separated from the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s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WO2016104911A1 (ko) 엑소솜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 노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WO2016190683A1 (ko) 길경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EP3017822B1 (en)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inflammatory skin disease, comprising, as active ingredient, immature citrus fruit extract, or synephrine or salt thereof
KR102267796B1 (ko) 천연 추출물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CN104379155B (zh) 包含裙带菜孢子叶和海鞘皮的混合物提取液的异位性皮肤炎改善用组合物
TWI385007B (zh) 包含獼猴桃(Actinidia)之組成物及其使用方法
TWI842139B (zh) 用於改善皮膚狀態的組合物以及新型油鞘氨醇單胞菌菌株及其溶解產物、培養液、提取物
KR102124986B1 (ko) 익모초 추출물 또는 레오누린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770035B1 (ko) 상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IL-1β에 의한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US20120065272A1 (en) Novel use of panduratin derivatives or extract of kaempferia pandurata comprising the same
KR101505903B1 (ko) 감수 추출물,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디테르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 또는 피부 활성용 약학적 조성물
KR20210047594A (ko) 하이드란제놀 또는 필로둘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장벽 강화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20220110443A (ko) 만병초, 당삼, 또는 고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기능 개선용 조성물
JP6034107B2 (ja) 幹細胞から褐色脂肪細胞への分化促進剤
KR101348550B1 (ko) α-리포산 또는 이의 유도체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갑상선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2361014B1 (ko) 더마코쿠스 니시노미야엔시스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20150058698A (ko) 정제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조성물
KR20120113201A (ko) 판두라틴 에이 또는 보에센베르기아 판두라타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12116766A (ja) Cgrp応答性抑制剤
KR102411240B1 (ko) 파이시코쿠스 제주엔시스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717836B1 (ko) 자소엽에서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44264B1 (ko) 익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11241B1 (ko) 코리네박테리움 상귀니스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1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9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6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2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11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2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1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9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502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2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1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9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3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3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