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05880B1 - Door Rock Control System in Home Network - Google Patents

Door Rock Control System in Home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880B1
KR101505880B1 KR1020140036955A KR20140036955A KR101505880B1 KR 101505880 B1 KR101505880 B1 KR 101505880B1 KR 1020140036955 A KR1020140036955 A KR 1020140036955A KR 20140036955 A KR20140036955 A KR 20140036955A KR 101505880 B1 KR101505880 B1 KR 101505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central control
unit
door lock
do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69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한대
전영환
최원석
성지훈
한연주
Original Assignee
주영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전자(주) filed Critical 주영전자(주)
Priority to KR1020140036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88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88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홈 네트워크의 도어 제어 시스템으로서, 도어 록과 중앙 통제부를 포함한다. 중앙 통제부는 도어 록으로부터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인증 요청 신호에 대해 승인 여부를 판단한다. 인증 요청 신호를 승인하는 경우에는 도어 록으로 승인 신호를 전송하고, 인증 요청 신호를 불승인하는 경우에는 인증 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관리 단말기로 전송한다.A door control system for a home network, the door control system comprising a door lock and a central control unit. The central control unit receives the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door lock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is approved. When the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is approved, the approva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oor lock. When the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is disallowed, the authentication terminal transmits a message to the management terminal indicating that there is an authentication request.

Description

홈 네트워크의 도어 록 제어 시스템{Door Rock Control System in Home Network}[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홈 네트워크에서 도어 록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controlling a door lock in a home network.

도어 록(door lock)은 도어의 잠금 장치로서, 작동 방식에 따라 기계식, 전기식, 전자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계식은 수동으로 잠금(locking)과 해제(unlocking)가 이루어지고, 전기식은 솔레노이드 또는 모터 등을 이용하여 잠금과 해제가 이루어지며, 전자식은 키 패드, 지문 인식기, 카드 리더 등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잠금과 해제가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사용 편의성과 보안성이 우수한 전자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Door locks are door locks and can be classified into mechanical, electrical, and electronic types depending on their operation. The mechanical type is manually locked and unlocked. The electric type is locked and unlocked by using a solenoid or a motor. The electronic type is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a keypad, a fingerprint reader, a card reader, etc. Locking and unlocking are based on this. In recent years, an electronic type having excellent usability and security has been widely used.

전자식 도어 록은 출입자의 인증 과정이 전자적으로 이루어지지만, 실질적인 잠금과 해제는 데드 볼트와 래치 볼트를 구비한 모티스 록(mortise lock)등에 의해 기계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도어 록의 잠금과 해제는 전자적인 잠금/해제 명령과 잠금/해제의 기계적 동작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The electronic door lock is made electronically by a person, but the actual locking and unlocking is done mechanically by a mortise lock with a dead bolt and a latch bolt. As such, locking and unlocking of door locks are organically combined with electronic lock / unlock commands and lock / unlock mechanical operations.

그런데, 종래의 도어 록은 내장된 건전지와 모터로 데드 볼트를 작동시켜 도어를 잠그거나 해제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건전지가 완전 방전되면 모터를 작동할 수 없어 도어 록을 잠그거나 해제할 수 없다. 특히, 화재 발생 시에 도어 록이 잠겨 있으면, 도어 록을 파손한 후 도어를 열어야 하므로 내부 사람을 신속히 구조하는데 장애가 될 수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door lock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dead bolt is operated by the built-in battery and the motor to lock or unlock the door. When the battery is completely discharged, the door lock can not be locked or released because the motor can not be operated. In particular, if the door lock is locked when a fire occurs, the door must be opened after the door lock is broken, which may hinder rapid rescue of internal persons.

또한, 도둑이 인증을 시도하거나, 친척이 변경 전의 비밀번호로 인증을 시도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종래의 도어 록은 인증이 실패하면 도어를 해제하지 않는 것으로 동작을 종료한다. 그 결과, 집에서 불법 침입 등이 시도되고 있음에도, 집 주인은 그러한 사실을 알 길이 없다.
Further, the thief may try to authenticate, or the relatives may try to authenticate with the password before the change. In this case, the conventional door lock ends the operation by not releasing the door if the authentication fails. As a result, although the house is attempting an illegal invasion, the owner can not know such a fact.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첫째, 허가되지 않은 주거 침입 시도를 집 주인에게 실시간으로 통지하여 집 주인이 필요한 조치를 신속히 취할 수 있게 하고,First, by notifying house owners in real time about unauthorized home intrusion attempts, the owner can take necessary measures quickly,

둘째, 화재 초기에 도어 록을 해제함으로써 도어 록의 잠금으로 인한 2차 피해를 방지하며,Second, by releasing the door lock at the beginning of the fire, it prevents the secondary damage due to the locking of the door lock,

셋째, 도어 록의 인증을 강화하여, 제3자의 주거 침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의 도어 록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Third, it intends to provide a door lock control system of a home network which can more effectively block intruders of a third party by enhancing authentication of door lock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어 록 제어 시스템은 도어 록과 중앙 통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oor lock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oor lock and a central control unit.

도어 록은 데드 볼트 등을 포함하여 도어를 개폐한다.The door lock opens and closes the door including the dead bolt and the like.

중앙 통제부는 도어 록으로부터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인증 요청 신호에 대한 승인 여부를 판단한다. 인증 요청 신호를 승인하는 경우에는 도어 록으로 승인 신호를 전송하고, 인증 요청 신호를 불승인하는 경우에는 인증 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관리 단말기로 전송한다.
The central control unit receives the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door lock and determines whether the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is approved. When the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is approved, the approva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oor lock. When the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is disallowed, the authentication terminal transmits a message to the management terminal indicating that there is an authentication request.

본 발명의 도어 록 제어 시스템에서, 도어 록은 홈 네트워크의 중앙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In the door lock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lock can be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central power source of the home network.

본 발명의 도어 록 제어 시스템은 연기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중앙 통제부는 연기 감지 센서로부터 연기 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도어 록으로 도어 해제 신호를 전송한다.
The door lock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moke detection sensor. In this case, the central control unit transmits a door release signal to the door lock when receiving a smoke generation signal from the smoke detection sensor.

본 발명의 도어 록 제어 시스템에서, 도어 록은 지문 인식부와 키 패드부를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 록은 지문 인식부를 통해 입력된 지문 정보를 제1 인증 요청 신호로서 중앙 통제부로 전송하고, 중앙 통제부로부터 지문 정보에 대한 승인 신호를 수신하면 키 패드부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 정보를 제2 인증 요청 신호로서 중앙 통제부로 전송한다. 중앙 통제부로부터 비밀번호 정보에 대한 승인 신호를 수신하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한다.In the door lock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lock may include a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and a keypad unit. In this case, the door lock transmits the fingerprin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to the central control unit as the first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and when receiving the approval signal for the fingerprint information from the central control unit, 2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to the central control unit. Upon receiving an approval signal for the password information from the central control unit, the door is unlocked.

한편, 중앙 통제부는 지문과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이 경우, 중앙 통제부는 메모리를 검색하여 도어 록으로부터 수신한 지문 정보와 비밀번호에 일치하는 지문과 비밀번호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있으면 승인 신호를 도어 록으로 전송하고, 없으면 인증 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관리 단말기로 전송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entral control unit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the fingerprint and the password. In this case, the central control unit searches the memory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fingerprint and a password matching the fingerprint information and the password received from the door lock, and transmits the approval signal to the door lock if there is, To the management terminal.

본 발명의 도어 록 제어 시스템에서, 키 패드부는 점자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door lock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pad section may include a braille display section.

본 발명의 도어 록 제어 시스템에서, 도어 록은 패턴 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 록은 패턴 인식부를 통해 입력된 패턴 정보를 인증 요청 신호로서 중앙 통제부로 전송하고, 중앙 통제부로부터 패턴 정보에 대한 승인 신호를 수신하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한다. In the door lock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lock may include a pattern recognition unit. In this case, the door lock transmits the pattern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to the central control unit as an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and releases the door when receiving the approval signal for the pattern information from the central control unit.

한편, 중앙 통제부는 패턴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중앙 통제부는 메모리를 검색하여 도어 록으로부터 수신한 패턴 정보에 일치하는 패턴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있으면 승인 신호를 도어 록으로 전송하고, 없으면 인증 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관리 단말기로 전송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entral control unit may include a memory for storing the pattern. In this case, the central control unit searches the memory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oor lock. If there is a pattern, the central control unit transmits the approval signal to the door lock. If not, do.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도어 록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불법적인 주거 침입 시도가 있는 경우 집 주인은 이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으며, 그 결과 필요한 조치를 신속히 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oor lock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re is an illegal intrusion into the house, the house owner can know it in real time, and as a result, the necessary measures can be quickly taken.

또한, 화재 발생의 가장 빠른 신호인 연기를 감지하여 신속히 도어의 잠금을 해제함으로써, 도어 잠금에 따른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detecting the smoke, which is the earliest signal of fire, quickly unlocking the doo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condary damage due to the door locking.

나아가, 본 발명의 도어 록 제어 시스템은 다중 보안을 통해 도어 록의 개방 요건을 강화하고 있어, 제3자의 주거 침입을 더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Further, the door lock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enhances the opening requirement of the door lock through multiple security, thereby more effectively blocking the third party's house intrus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 제어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 제어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3a,3b는 제1,2 실시예의 변형례를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4a,4b는 제1,2 실시예의 다른 변형례를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5a,5b는 제1,2 실시예의 또다른 변형례를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door lock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door lock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block diagrams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4A and 4B are block diagrams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5A and 5B are block diagrams showing still another modific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 제어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door lock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 실시예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통제부(100)와 도어 록(200)을 포함한다.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central control unit 100 and a door lock 200 as shown in Fig.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예를들어 가구 별로 독립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댁내 네트워크, 댁내 네트워크를 외부로 연결하는 게이트 웨이, 그리고 댁내 네트워크들을 연결하여 그룹화하는 단지 네트워크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The home network system can be classified into, for example, a home network constituting an independent network for each household, a gateway for connecting the home network to the outside, and a complex network grouping the home networks.

댁내 네트워크는 제어부인 월 패드(wall pad)와 여기에 전화기, 카메라, 도어 개폐 감지기, 동체 감지기, 난방 제어기, 가스 감지기 등이 연결되어 있다.The home network is connected to a wall pad, a control unit, and a telephone, a camera, a door open / close detector, a moving body detector, a heating controller, and a gas detector.

제1 실시예에서, 중앙 통제부(100)는 댁내 네트워크의 월 패드일 수 있다. 보통, 월 패드는 거실 벽면에 설치되며, 터치 패널로 구성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may be a monthly pad of the home network. Normally, the wall pad is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living room and comprises a touch panel.

중앙 통제부(100)는 중앙 제어부(110)와 메모리(120)로 구성할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 unit 100 may include a central control unit 110 and a memory 120.

중앙 통제부(100)는 도어 록(200)으로부터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인증 요청 신호에는 비밀번호, 지문, 패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receives an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door lock 200. [ The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may include a password, a fingerprint, a pattern, and the like.

중앙 통제부(10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비밀번호, 지문, 패턴 등을 검색하여 인증 요청 신호에 포함된 비밀번호, 지문, 패턴과 일치하는 것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비밀번호, 지문, 또는 패턴이 일치하는 것이 있으면, 중앙 통제부(100)는 승인 신호를 도어 록(200)으로 전송한다. 만약, 일치하는 비밀번호 등이 없으면, 중앙 통제부(100)는 도어 록(200)으로 불승인 신호를 전송하고, 아울러 메모리(120)에서 관리 단말기를 검색하여 해당 관리 단말기로 인증 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searches the password 120, the fingerprint, and the pattern stored in the memory 120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match with the password, fingerprint, or pattern included in the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If the password, the fingerprint, or the pattern match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transmits an approval signal to the door lock 200. If there is no matching password or the like,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transmits a disapproval signal to the door lock 200, searches the management terminal in the memory 120, and transmits a message informing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terminal of an authentication request .

메모리(120)는 인증 요청을 승인하는데 필요한 정보, 예를 들어 도어 개방을 위한 비밀번호, 가족 구성원의 지문 정보, 비밀번호 풀기 패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는 관리 단말기의 전화번호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 단말기는 가족 구성원의 휴대폰, 관리 사무소 직원의 휴대폰, 경비 업체의 담당 직원의 휴대폰, 인근 방범 파출소의 전화번호 등일 수 있다.
The memory 120 may store information necessary to approve the authentication request, for example, a password for door opening, fingerprint information of a family member, a password unpacking pattern, and the like. Also, the memory 120 may store the telephone number of the management terminal and the like. Here, the management terminal may be a cell phone of a family member, a cell phone of a management office employee, a cell phone of a staff member of a security company, a telephone number of a nearby security police box, and the like.

도어 록(200)은 도어 제어부(210), 개폐부(220), 도어 전원부(230)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door lock 200 may include a door control unit 210, an opening / closing unit 220, a door power unit 230, and the like.

도어 제어부(210)는 외부로부터 인증 정보, 예를 들어 비밀번호, 지문, 패턴 등이 입력되면, 이를 인증 요청 신호에 부가하여 중앙 통제부(100)로 전송한다. 또한, 도어 제어부(210)는 중앙 통제부(100)로부터 승인 신호를 수신하면, 도어 전원부(230)로부터 개폐부(220)로 전원을 공급한다.
When authentication information such as a password, a fingerprint, a pattern, and the like is input from the outside, the door control unit 210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in addition to the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When the door control unit 210 receives the approval signal from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the door control unit 210 supplies power from the door power unit 230 to the opening / closing unit 220.

개폐부(220)는 도어를 개폐하는 것으로, 모티스 록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모티스 록은 손잡이에 의해 작동하는 도어 개폐용 래치 볼트와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돌출 및 수축되면서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데드 볼트를 포함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part 220 can open and close the door, and can use the moti-locking method. The moti lock includes a latch bol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which is operated by a handle, and a dead bolt, which is protruded and contrac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to lock or unlock the door.

개폐부(220)는 도어 제어부(210)로부터 도어 해제 신호를 수신하면, 도어 전원부(2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모터를 구동시키고, 모터 구동으로 데드 볼트를 수축시켜 도어를 해제 상태로 만든다.
Upon receiving the door release signal from the door control unit 210, the opening / closing unit 220 receives power from the door power unit 230 to drive the motor, and drives the motor to retract the dead bolt to release the door.

도어 전원부(230)는 도어 제어부(210)와 개폐부(220)에 전원을 공급하며, 특히 개폐부(220)의 모터를 구동시키는 구동원이 된다.
The door power supply unit 230 supplies power to the door control unit 21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220, and in particular, is a driving source for driving the motor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220.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 제어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door lock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 실시예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록(200)이 중앙 전원부(3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자체에는 전원부를 구비하지 않는다. 여기서, 중앙 전원부(300)는 댁내 네트워크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종래의 중앙 전원부(300)는 도어 록(20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았다. 즉, 도어 록(200)은 자체적으로 건전지 등의 개별 전원을 사용하여 도어 록(200)의 동작을 제어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중앙 전원부(300)로부터 도어 록(200)으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도어 록(200)의 자체 전원이 완전 방전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도어의 잠금/해제 불능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the door lock 200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central power supply unit 300, and does not have a power supply unit itself. In this case, the central power supply unit 300 supplies power to the home network, and the conventional central power supply unit 300 does not supply power to the door lock 200. That is, the door lock 200 itself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oor lock 200 using a separate power source such as a battery. Howev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upplying power from the central power supply unit 300 to the door lock 2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ck / unlock of the door, which may occur when the door lock 200 itself is completely discharged .

중앙 전원부(300)에서 도어 록(200)으로의 전원 공급은 월 패드와 도어 록(200) 사이를 연결하는 꼬임 케이블의 미사용 가닥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즉, 꼬임 케이블은 보통 8 가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 중 월 패드와 도어 록(200) 사이의 통신용으로 2~4 가닥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나머지 4 가닥 중에서 2 가닥을 이용하면, 이더넷 전원 장치(Power over Ethernet, PoE) 방식으로 중앙 전원부(300)에서 도어 록(200)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from the central power supply unit 300 to the door lock 200 can be implemented using an unused strand of a twisted cable connecting between the wall pad and the door lock 200. [ That is, twisted cables are usually composed of eight strands, of which two to four strands are used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wall pad and the door lock 200. Accordingly, if two of the remaining four strands are used, power can be supplied from the central power supply unit 300 to the door lock 200 by an Ethernet power supply (PoE) method.

도 2에서는 중앙 전원부(300)를 월 패드인 중앙 통제부(100)의 외부에 위치시키고 있으나, 중앙 전원부(300)를 중앙 통제부(100) 내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2, the central power supply unit 300 may be located outside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which is a wall pad, but the central power supply unit 300 may be located in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그 밖의 구성은 도 1의 관련 구성과 동일하므로, 나머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FIG. 1, and therefor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maining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from the description of FIG.

도 3a는 제1 실시예의 변형례를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다.3A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 제어 시스템은 연기 감지 센서(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기 감지 센서(400)는 실내에 구비되며, 화재로 발생하는 연기를 감지하여 중앙 통제부(100)로 연기 감지 신호를 전송한다. 연기는 화재 발생을 가장 빨리 알리는 징후의 하나여서, 화재 발생을 빠르게 감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A, the door lock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moke detection sensor 400. The smoke detection sensor 400 is installed in the room, detects smoke generated by a fire, and transmits a smoke detection signal to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Smoke is one of the fastest signs of a fire, so you can quickly detect the occurrence of a fire.

연기 감지 센서(400)는 감광식, 광산란식, 이온화식 등이 있다. 예를 들어, 감광식(투과식)은 광(LED)과 수광 소자(포토다이오드)가 대향 배치되어 있으며, 광로에 연기가 들어오면 흡수나 산란에 의해 수광 소자에 들어가는 광량이 감소된다. 감광식은 이러한 감광 현상을 이용하여 연기의 존재 여부를 감지한다.The smoke detection sensor 400 may be a photosensitive type, a light scattering type, or an ionization type. For example, in the photosensitive type (transmissive type), light (LED) and light receiving element (photodiode) are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When smoke enters the optical path, the amount of light entering the light receiving element due to absorption or scattering is reduced. The photosensitive type senses the presence of smoke by using this photosensitive phenomenon.

연기 감시 센서(400)는 월 패드인 중앙 통제부(100) 내부, 댁 내의 화재 방생 가능성이 높은 주방, 난방 기기가 위치하는 방이나 거실, 또는 도어 록(200)에 구비할 수 있다.
The smoke monitoring sensor 400 may be provided in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which is a month pad, in a kitchen or a living room or a door lock 200 in which a fire is likely to occur in a home, a heating device is located.

중앙 통제부(100)는 연기 감지 센서(400)로부터 연기 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도어 록(200)으로 도어 해제 신호를 전송한다. 이 경우, 중앙 통제부(100)는 연기 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바로 도어 록(200)으로 도어 해제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으나, 연기 발생 신호에 대해 그 정도를 판단하여 도어 해제 신호를 전송할 지를 추가 판단할 수도 있다. 추가 판단은 연기 발생 신호의 크기가 소정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로 설정할 수 있다.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transmits a door release signal to the door lock 200 upon receiving a smoke generation signal from the smoke detection sensor 400. In this case,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may transmit the door release signal to the door lock 200 immediately after receiving the smoke generation signal. However,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may determine the degree of the smoke generation signal and determine whether to transmit the door release signal You may. The additional determination can be made when the magnitude of the smoke generation signal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그 밖의 구성은 도 1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나머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FIG. 1, and therefor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maining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from the description of FIG.

도 3b는 제2 실시예의 변형례를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다.3B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변형례는 중앙 전원부(300)를 포함하는 도 2의 구성에 도 3a에서 설명한 연기 감지 센서(400)를 결합한 것이다.As shown in FIG. 3B, the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combines the configuration of FIG. 2 including the central power supply unit 300 with the smoke detection sensor 4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A.

제2 실시예의 변형례에서, 중앙 전원부(300)는 도 2의 것과 동일하고, 연기 감지 센서(400)는 도 3a의 것과 동일하므로, 이들 구성에 대한 설명은 위의 도 2, 3a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In the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central power supply unit 300 is the same as that in Fig. 2, and the smoke detection sensor 400 is the same as that in Fig. 3a. .

도 4a는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례를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다.4A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례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록(200)에 사용자 인증을 강화하기 위해 이중 인증 수단, 즉 지문 인식부(240)와 키 패드부(250)를 구비하고 있다. 4A, the door lock 200 includes a dual authentication unit, that is, a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240 and a keypad unit 250 for enhancing user authentication have.

지문 인식부(240)는 지문 센서로 구성된다. 지문 센서는 인증 요구자의 지문을 감지하여 지문 정보를 생성한다. 지문 센서는 광학식, 반도체 소자 방식, 초음파 방식, 열감지 방식, 비접촉식, 또는 이들 방식의 복합 등의 방법으로 인증 요구자의 지문을 획득한다.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240 is configured by a fingerprint sensor. The fingerprint sensor senses the fingerprint of the authentication requester and generates fingerprint information. The fingerprint sensor acquires the fingerprint of the authentication requester through a method such as optical, semiconductor device, ultrasonic, thermal, non-contact, or a combination of these methods.

키 패드부(250)는 다수의 숫자 버튼을 갖는 숫자판으로 구성할 수 있고, 인증 요구자가 해당 숫자 버튼을 터치할 때 이를 감지하여 해당 버튼에 해당하는 숫자를 출력한다. 입력된 숫자들은 비밀번호 정보를 구성한다. The key pad unit 250 may be formed of a numeric keypad having a plurality of numeric buttons, and when the authentication requester touches the corresponding numeric keypad, the keypad unit 250 detects the key and outputs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key. The numbers entered constitute the password information.

도어 제어부(210)는 지문 인식부(240)를 먼저 활성화하여 지문 정보를 획득한다. 도어 제어부(210)는 지문 정보를 중앙 통제부(100)로 전송하여 이에 대한 승인 신호를 수신하면, 그 때 키 패드부(250)를 활성화한다. 이후, 키 패드부(250)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 정보를 중앙 통제부(100)로 전송하며, 중앙 통제부(100)로부터 비밀번호 정보에 대한 승인 신호를 수신하면, 도어 전원부(230)에서 개폐부(220)로 전원을 공급하여 도어 잠금을 해제한다.
The door control unit 210 activates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240 first to acquire fingerprint information. The door control unit 210 transmits the fingerprint information to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and receives the approval signal, thereby activating the keypad unit 250 at that time. Then, when the password information inputted through the keypad unit 250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and the approval signal for the password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220 to release the door lock.

중앙 통제부(100)에 포함된 메모리(120)는 지문 정보와 비밀번호를 저장한다. 여기서, 지문 정보는 출입이 허용된 가족 구성원, 친척 등의 지문일 수 있다.
The memory 120 included in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stores fingerprint information and a password. Here, the fingerprint information may be a fingerprint of a family member or a relative who is allowed to enter and exit.

중앙 통제부(100)는 도어 록(200)으로부터 지문 정보를 수신하면 메모리(120)를 검색하여 일치하는 지문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있으면 지문 승인 신호를 도어 록(200)으로 전송한다. 만약, 일치하는 지문 정보가 없으면, 메모리(120)에 저장된 관리 단말기로 인증 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When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receives fingerprint information from the door lock 200,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searches the memory 120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fingerprint information that matches the fingerprint information. If the fingerprint information is present,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transmits a fingerprint recognition signal to the door lock 200. If there is no matching fingerprint information, a message informing that there is an authentication request to the management terminal stored in the memory 120 is transmitted.

중앙 통제부(100)는 도어 록(200)으로 지문 승인 신호를 전송한 후, 도어 록(200)으로부터 비밀번호를 수신하면, 메모리(120)를 검색하여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일치하면 비밀번호 승인 신호를 도어 록(200)으로 전송한다. 만약,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메모리(120)에 저장된 관리 단말기로 인증 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When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receives the password from the door lock 200 after transmitting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ignal to the door lock 200,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searches the memory 120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password matches,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door lock 200. If the passwords do not match, a message is sent to the management terminal stored in the memory 120 to notify that there is an authentication request.

그 밖의 구성은 도 1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나머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FIG. 1, and therefor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maining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from the description of FIG.

도 4b는 제2 실시예의 다른 변형례를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다.4B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다른 변형례는 중앙 전원부(300)를 포함하는 도 2의 구성에 도 4a에서 설명한 지문 인식부(240) 및 키 패드부(250)를 결합한 것이다. 4B, another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is a combination of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240 and the keypad unit 25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A in the configuration of FIG. 2 including the central power supply unit 300. FIG.

제2 실시예의 다른 변형례에서, 중앙 전원부(300)는 도 2의 것과 동일하고, 지문 인식부(240) 및 키 패드부(250)는 도 4a의 것과 동일하므로, 이들 구성에 대한 설명은 위의 도 2, 4a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2,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240 and the keypad unit 250 are the same as those in FIG. 4A. Therefore, the descriptions of these configurations are omitted in the above description 2 and 4a of Fig.

도 5a는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례를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다.5A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4a에서 이중 인증 수단으로 사용한 지문 인식부(240)와 키 패드부(250)를 패턴 인식부(260)으로 대체하고 있다.As shown in FIG. 5A,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260 replaces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240 and the keypad unit 250 used as the dual authentication means in FIG. 4A.

패턴 인식부(260)는 예를 들어 다수의 점들을 연결하는 일정 모양의 패턴을 인증 요구자로부터 입력받아, 패턴 정보를 생성한다.For example,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260 receives a pattern of a predetermined shape connecting a plurality of points from an authentication requestor, and generates pattern information.

도어 제어부(210)는 패턴 인식부(260)가 인식한 패턴 정보를 중앙 통제부(100)로 전송하고, 이후 중앙 통제부(100)로부터 패턴 승인 신호를 수신하면, 도어 전원부(230)에서 개폐부(220)로 전원을 공급하여 도어 잠금을 해제한다.
The door control unit 210 transmits the patter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260 to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and then receives the pattern recognition signal from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Then, Power is supplied to the door lock unit 220 to release the door lock.

중앙 통제부(100)의 메모리(120)는 패턴 정보를 저장한다.
The memory 120 of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stores pattern information.

중앙 통제부(100)는 도어 록(200)으로부터 패턴 정보를 수신하면 메모리(120)를 검색하여 일치하는 패턴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있으면 패턴 승인 신호를 도어 록(200)으로 전송한다. 만약, 일치하는 패턴 정보가 없으면, 메모리(120)에 저장된 관리 단말기로 인증 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When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receives the pattern information from the door lock 200,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searches the memory 120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pattern information that matches the pattern information. If the pattern information is present,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transmits a pattern recognition signal to the door lock 200. If there is no matching pattern information, a message informing that there is an authentication request to the management terminal stored in the memory 120 is transmitted.

그 밖의 구성은 도 4a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나머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a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FIG. 4A, so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maining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from the description of FIG. 4A.

도 5b는 제2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례를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다.5B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4b에서 인증 수단으로 사용한 키 패드부(250)를 패턴 인식부(260)로 대체하고 있다.As shown in FIG. 5B,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260 replaces the keypad unit 250 used as the authentication means in FIG. 4B.

도어 제어부(210)는 지문 인식부(240)를 먼저 활성화하여 지문 정보를 획득한다. 도어 제어부(210)는 지문 정보를 중앙 통제부(100)로 전송하여 이에 대한 승인 신호를 수신하면, 그 때 패턴 인식부(260)를 활성화한다. 패턴 인식부(260)는 예를 들어 다수의 점들을 연결하는 일정 모양의 패턴을 인증 요구자로부터 입력받아, 패턴 정보를 생성한다.The door control unit 210 activates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240 first to acquire fingerprint information. The door control unit 210 transmits the fingerprint information to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and receives the approval signal, thereby activating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260 at that time. For example,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260 receives a pattern of a predetermined shape connecting a plurality of points from an authentication requestor, and generates pattern information.

도어 제어부(210)는 패턴 인식부(260)가 인식한 패턴 정보를 중앙 통제부(100)로 전송하고, 이후 중앙 통제부(100)로부터 패턴 승인 신호를 수신하면, 중앙 전원부(300)에서 개폐부(220)로 전원을 공급하여 도어 잠금을 해제한다.The door control unit 210 transmits the patter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260 to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and then receives the pattern recognition signal from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Then, Power is supplied to the door lock unit 220 to release the door lock.

중앙 통제부(100)는 도어 록(200)으로부터 패턴 정보를 수신하면 메모리(120)를 검색하여 일치하는 패턴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있으면 패턴 승인 신호를 도어 록(200)으로 전송한다. 만약, 일치하는 패턴 정보가 없으면, 메모리(120)에 저장된 관리 단말기로 인증 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When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receives the pattern information from the door lock 200,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searches the memory 120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pattern information that matches the pattern information. If the pattern information is present, the central control unit 100 transmits a pattern recognition signal to the door lock 200. If there is no matching pattern information, a message informing that there is an authentication request to the management terminal stored in the memory 120 is transmitted.

그 밖의 구성은 도 4b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나머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b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Since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Fig. 4B,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maining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from the description of Fig. 4B.

한편, 도 4a ~ 5b의 지문 인식부(240), 키 패드부(250), 패턴 인식부(260)에 점자 표시부를 구비하여, 시각 장애인이 해당 구성을 지문 인식부(240), 키 패드부(250), 패턴 인식부(260)으로 구분 인식하게 할 수 있다.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240, the keypad unit 250 and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260 shown in FIGS. 4A to 5B are provided with a braille display unit. (250), and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260).

또한, 도 4a,4b의 구성요소인 키 패드부(250)는 각 숫자에 해당하는 점자를 각 숫자 표시에 인접하여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key pad unit 250, which is a component of FIGS. 4A and 4B, may be provided with braille corresponding to each number adjacent to each number display.

이상 본 발명을 여러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이다. 당업자라면, 이러한 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다른 형태로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므로, 그러한 변형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ased on various embodiments, it is intended to exemplify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ould be able to modify the invention to other forms based on this example. However, sinc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such modifications can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중앙 통제부 110 : 중앙 제어부
120 : 메모리 200 : 도어 록
210 : 도어 제어부 220 : 개폐부
230 : 도어 전원부 240 : 지문 인식부
250 : 키 패드부 260 : 패턴 인식부
300 : 중앙 전원부 400 : 연기 감지 센서
100: central control unit 110: central control unit
120: memory 200: door lock
210: door control unit 220:
230: Door power supply unit 240: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250: key pad unit 260: pattern recognition unit
300: Central power unit 400: Smoke detection sensor

Claims (6)

도어 록;
상기 도어 록으로부터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 요청 신호에 대해 승인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인증 요청 신호를 승인하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 록으로 승인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인증 요청 신호를 불승인하는 경우에는 상기 인증 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관리 단말기로 전송하는 중앙 통제부;
상기 도어 록에 전원을 공급하는 중앙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록은,
외부로부터 인증 정보가 입력되면 인증 요청 신호를 중앙 통제부로 전송하고, 중앙 통제부로부터 승인 신호를 수신하면 도어 전원부로부터 개폐부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도어 제어부;
도어를 개폐하는 개폐부;
상기 도어 제어부와 개폐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도어 전원부;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의 도어 록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어 록은 지문 인식부와 키 패드부, 또는 패턴 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문 인식부를 통해 입력된 지문 정보를 제1 인증 요청 신호로서 상기 중앙 통제부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 통제부로부터 지문 정보에 대한 승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키 패드부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 정보를 제2 인증 요청 신호로서 상기 중앙 통제부로 전송하며, 상기 중앙 통제부로부터 상기 비밀번호 정보에 대한 승인 신호를 수신하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거나,
상기 패턴 인식부를 통해 입력된 패턴 정보를 상기 인증 요청 신호로서 상기 중앙 통제부로 전송하며, 상기 중앙 통제부로부터 상기 패턴 정보에 대한 승인 신호를 수신하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중앙 통제부는 지문과 비밀번호, 또는 패턴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를 검색하여 상기 도어 록으로부터 수신한 지문 정보와 비밀번호에 일치하는 지문과 비밀번호가 있는지를 판단하거나 패턴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있으면 승인 신호를 상기 도어 록으로 전송하고, 없으면 인증 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관리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의 도어 록 제어 시스템.
Door lock;
And transmits the acknowledgment signal to the door lock when the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is acknowledged, and disables the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when the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is not acknowledged A central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 message informing that the authentication request exists to the management terminal;
And a central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door lock,
The door lock
A door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n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to the central control unit whe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outside and for supplying power from the door power unit to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upon receiving the approval signal from the central control unit;
An opening / closing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nd a door power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door control unit and the opening / closing unit, the door lock control system comprising:
Wherein the door lock includes a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a keypad unit, or a pattern recognition unit,
And transmits the fingerprin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to the central control unit as a first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and upon receipt of an approval signal for the fingerprint information from the central control unit, And transmits the request signal to the central control unit. When receiving the approval signal for the password information from the central control unit,
And transmits the pattern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to the central control unit as the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When receiving the approval signal for the pattern information from the central control unit,
The central control unit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a fingerprint, a password, or a pattern. The central control unit searches the memory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fingerprint and a password matching the fingerprint information and the password received from the door lock, ,
And transmits a message informing that there is an authentication request to the management terminal if it is not presen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연기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통제부는 상기 연기 감지 센서로부터 연기 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도어 록으로 도어 해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의 도어 록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moke detection sensor,
Wherein the central control unit transmits a door release signal to the door lock when receiving a smoke generation signal from the smoke detection senso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패드부는 점자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의 도어 록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keypad unit includes a braille display unit.
삭제delete
KR1020140036955A 2014-03-28 2014-03-28 Door Rock Control System in Home Network Active KR1015058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955A KR101505880B1 (en) 2014-03-28 2014-03-28 Door Rock Control System in Home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955A KR101505880B1 (en) 2014-03-28 2014-03-28 Door Rock Control System in Home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5880B1 true KR101505880B1 (en) 2015-03-26

Family

ID=53028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6955A Active KR101505880B1 (en) 2014-03-28 2014-03-28 Door Rock Control System in Home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588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0153A (en) * 2005-03-16 2006-09-20 오정식 Multi-unit integrated security system with various functions
KR20080045340A (en) * 2006-11-20 2008-05-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ersonal based home network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KR20120037840A (en) * 2010-10-12 2012-04-20 김민겸 Security reinforced door lock
KR20140002117A (en) * 2012-06-28 2014-01-08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Opening and closing system for an automatic do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0153A (en) * 2005-03-16 2006-09-20 오정식 Multi-unit integrated security system with various functions
KR20080045340A (en) * 2006-11-20 2008-05-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ersonal based home network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KR20120037840A (en) * 2010-10-12 2012-04-20 김민겸 Security reinforced door lock
KR20140002117A (en) * 2012-06-28 2014-01-08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Opening and closing system for an automatic do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3902B2 (en) Access management system
US9805534B2 (en) Increased security electronic lock
US20180108192A1 (en) Access management system
TWI492191B (en) Security System
JP2009524752A (en) Safe with controllable data transfer capability
KR101570463B1 (en) Portable terminals and door locks are interlocked
KR101954449B1 (en) Smart door lock and its operating method
US20190325677A1 (en) Home security system with automatic authorization functionality
KR101025830B1 (en) Fingerprint Security System
KR20160010009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emote entrance of person
JP5796337B2 (en) Entrance / exit management system
KR101505880B1 (en) Door Rock Control System in Home Network
JP2006144226A (en) Entrance / exit management system using remote IC card
CN108520581A (en) A face recognition community intelligent lock management system
KR20150108238A (en) Security apparatus for energy storage system
WO2017175268A1 (en) Entry/exit management system
JP5877613B2 (en) Safe management method, safe and safe management device
TWM491703U (en) Security system
JP2009035866A (en) Electric locking-unlocking system
KR20100032609A (en) Digital door lock having self-security function and digital door lock system having the same
KR20080092546A (en) Going in and out man management type electronic door lock
CN206431714U (en) A kind of telephone encryption anti-theft door system of belt switch monitoring
CN106846571A (en) A kind of automatic locking anti-theft door system of opening by telephone
JP2018115446A (en) Locking and unlocking system of building
CN206431718U (en) A kind of anti-interference anti-theft door system of remote tele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1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12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3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3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