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735B1 - 시간 검증을 이용한 엔에프씨카드 인증 방법 - Google Patents
시간 검증을 이용한 엔에프씨카드 인증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05735B1 KR101505735B1 KR1020130089942A KR20130089942A KR101505735B1 KR 101505735 B1 KR101505735 B1 KR 101505735B1 KR 1020130089942 A KR1020130089942 A KR 1020130089942A KR 20130089942 A KR20130089942 A KR 20130089942A KR 101505735 B1 KR101505735 B1 KR 1015057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tp
- nfc card
- value
- new
- record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90 polydopam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28—One-time or temporary data, i.e. information which is sent for every authentication or authorization, e.g. one-time-password, one-time-token or one-time-ke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4—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dditional secure or trusted devices, e.g. TPM, smartcard, USB or software toke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한편 사용자를 인증하는 기술 중의 하나로서 IC카드의 내부에서 OTP(One Time Password)를 생성하여 카드 일 면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고 이를 단말기에 입력하는 카드형 OTP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카드형 OTP는 일회성 비밀번호를 생성하고, 사용자가 OTP카드를 소지하고 있어야만 인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종래의 ID/PW 입력을 이용한 키 입력 방식의 사용자 인증보다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 카드형 OTP는 카드 내부에 OTP를 생성하기 위한 시간 값을 유지하기 위해 박막 배터리를 필수적으로 내장해야 하기 때문에 영구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3~5년 정도밖에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키 입력 방식의 사용자 인증과 유사하게 카드에 표시된 OTP를 직접 단말기에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카드형 OTP에 박막 배터리를 내장하지 않고도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통해 단말기로부터 시간 값을 전달받음과 동시에 NFC를 통해 단말기로부터 NFC카드의 내부에서 OTP를 생성하기 위한 동작 전원을 공급받아 OTP를 생성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다(특허공개공보 제10-2013-0020204호(2013.02.27)).
그러나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에 NFC기능을 제공하는 NFC모듈이 구비된 위치가 제각기 다르며, 사용자가 본인의 단말기에 구비된 NFC모듈의 위치를 인지하고 NFC카드를 NFC모듈과 최대한 근접시키지 않을 경우 NFC카드와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은 가능하더라도 NFC카드 내부에서 OTP 생성 알고리즘을 구동하여 OTP를 생성하는데 시간 지연이 발생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동작 전원 부족이나 시간 지연 등으로 인해 NFC카드 내부에서 정상적으로 OTP를 생성하지 못할 확률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게다가 종래에 NFC카드 내부에서 OTP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기 발급된 비접촉식 IC카드를 활용하지 못하고, 상기 OTP 생성 알고리즘을 내장한 신규 NFC카드를 발급해야 하기 때문에 NFC 기반 OTP 서비스의 확장을 지연시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무선단말과 프로그램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정보 저장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NFC카드 식별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시간 검증 기반의 NFC카드 인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시간 검증을 위한 신규 OTP와 시간 값을 갱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110 : 저장매체 115 : 번호 수신부
120 : 번호 제공부 125 : 정보 수신부
130 : 인증 처리부 135 : OTP 생성부
140 : 정보 갱신부 145 : 암호 처리부
150 : OTP 기록 요청부 155 : OTP 기록 검증부
160 : 결과 처리부 165 : 발급사 서버
170 : 인증요청 서버 200 : 무선단말
210 : NFC모듈 250 : NFC카드
Claims (11)
- 지정된 발급사에서 사용자에게 발급한 NFC카드를 인증하는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시간 검증을 이용한 엔에프씨카드 인증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NFC카드에 기록된 고유번호와 상기 NFC카드의 카드번호와 상기 NFC카드에 기록될 OTP를 생성하기 위한 씨드 값과 상기 NFC카드에 기록된 OTP의 기록 시간 값을 저장하는 제1 단계;
지정된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발급된 NFC카드의 카드번호를 수신하는 제2 단계;
상기 카드번호와 연계된 NFC카드의 고유번호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에 구비된 프로그램으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제3 단계;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에 구비된 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고유번호에 대응하는 NFC카드에 기록된 OTP를 수신하는 제4 단계;
상기 기록 시간 값과 씨드 값을 이용하여 생성된 OTP’를 통해 상기 수신된 OTP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제5 단계;
상기 OTP의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에 신규 OTP를 생성하기 위한 신규 시간 값을 결정하고 상기 저장된 씨드 값과 상기 결정된 신규 시간 값을 이용하여 신규 OTP를 생성하는 제6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신규 OTP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NFC카드에 기록되도록 요청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신규 시간 값은, 상기 NFC카드에 상기 신규 OTP가 기록된 기록 시간 값으로 갱신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검증을 이용한 엔에프씨카드 인증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NFC카드에 대한 카운트 값을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검증을 이용한 엔에프씨카드 인증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기록 시간 값의 초기 값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검증을 이용한 엔에프씨카드 인증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에 구비된 프로그램은,
사용자 정보를 통해 상기 발급사의 서버로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NFC카드의 고유번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고유번호를 통해 상기 NFC카드에 기록된 고유번호가 인증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고유번호가 인증된 경우에 상기 NFC카드에 기록된 OTP를 획득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검증을 이용한 엔에프씨카드 인증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NFC카드에 대한 카운트 값을 저장하는 경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NFC카드에 기록된 카운트 값을 암호 키로 사용하여 암호화된 OTP를 수신하고,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저장된 카운트 값을 복호 키로 사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OTP를 복호화하고,
상기 수신된 OTP의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에 신규 카운트 값을 계산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검증을 이용한 엔에프씨카드 인증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OTP는,
상기 저장된 기록 시간 값이 초기 값인 경우 상기 NFC카드에 기록된 OTP의 초기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된 기록 시간 값이 초기 값이 아닌 경우 이전에 상기 결정된 시간 값을 통해 생성되어 NFC카드에 기록된 이전 OTP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검증을 이용한 엔에프씨카드 인증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저장된 기록 시간 값이 초기 값인 경우 상기 수신된 OTP의 유효성이 인증된 것으로 간주하거나 또는 상기 OTP의 초기 값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저장된 기록 시간 값이 초기 값이 아닌 경우 상기 기록 시간 값과 씨드 값을 통해 인증용 OTP’를 생성한 후 상기 수신된 OTP와 비교하여 유효성을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검증을 이용한 엔에프씨카드 인증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NFC카드에 대한 카운트 값을 저장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카운트 값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수신된 카운트 값이 인증된 경우에 상기 신규 OTP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검증을 이용한 엔에프씨카드 인증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시간 값은,
상기 신규 OTP를 생성하는 시점의 현재 시간 값, 상기 신규 OTP를 생성하기 위한 임의 시간 값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 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검증을 이용한 엔에프씨카드 인증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OTP가 상기 NFC카드에 기록된 경우에 상기 신규 시간 값을 상기 신규 OTP의 기록 시간 값으로 갱신하여 저장하는 제8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검증을 이용한 엔에프씨카드 인증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OTP는,
신규 계산된 카운트 값을 암호 키로 사용하는 암호 방식을 통해 암호화되어 NFC카드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검증을 이용한 엔에프씨카드 인증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9942A KR101505735B1 (ko) | 2013-07-30 | 2013-07-30 | 시간 검증을 이용한 엔에프씨카드 인증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9942A KR101505735B1 (ko) | 2013-07-30 | 2013-07-30 | 시간 검증을 이용한 엔에프씨카드 인증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4595A KR20150014595A (ko) | 2015-02-09 |
KR101505735B1 true KR101505735B1 (ko) | 2015-03-25 |
Family
ID=52571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89942A Active KR101505735B1 (ko) | 2013-07-30 | 2013-07-30 | 시간 검증을 이용한 엔에프씨카드 인증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0573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529952B (zh) * | 2015-09-09 | 2021-09-17 |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 数据转移中的验证实现方法及系统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99386A (ja) | 2007-05-29 | 2008-12-11 | Dainippon Printing Co Ltd | ワンタイムパスワード認証システム |
-
2013
- 2013-07-30 KR KR1020130089942A patent/KR10150573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99386A (ja) | 2007-05-29 | 2008-12-11 | Dainippon Printing Co Ltd | ワンタイムパスワード認証システ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4595A (ko) | 2015-0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70140372A1 (en) | Mobile payment systems and mobile payment methods thereof | |
KR20150101016A (ko) | 엔에프씨 기반 종단 간 상호 인증을 이용한 거래수단 제어 방법 | |
KR101505735B1 (ko) | 시간 검증을 이용한 엔에프씨카드 인증 방법 | |
KR101853970B1 (ko) | 인증번호 중계 방법 | |
KR101628615B1 (ko) | 보안운영체제를 이용한 안심서명 제공 방법 | |
KR20150004955A (ko) | 유심과 서버 사이의 종단간 인증을 이용한 서버형 인증코드 제공 방법 | |
KR102193696B1 (ko) | 카드를 이용한 일회용코드 기반 안심 로그인 방법 | |
KR101628614B1 (ko) | 보안운영체제를 이용한 전자서명 처리 방법 | |
KR20160124336A (ko) | 보안운영체제를 이용한 전자서명 제공 방법 | |
KR102076313B1 (ko) | 무선단말의 유심기반 전자서명 처리 방법 | |
KR101542653B1 (ko) | 엔에프씨를 이용한 시간 검증 기반 오티피 생성 방법 | |
KR102358598B1 (ko) | 비접촉 매체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 |
KR102149313B1 (ko) | 유심기반 전자서명 처리 방법 | |
KR101505734B1 (ko) | 시간 검증 기반 엔에프씨카드 인증 방법 | |
KR102078319B1 (ko) | 통신사의 유심기반 전자서명 처리 방법 | |
KR20150000081A (ko) | 카드와 서버 사이의 종단간 인증을 이용한 일회용코드 제공 방법 | |
KR20140139167A (ko) | 사용자의 휴대형 매체를 이용한 매체 분리 기반 서버형 일회용코드 제공 방법 | |
KR20170010341A (ko) | 보안운영체제를 이용한 인증 처리 방법 | |
KR20150023144A (ko) | 유심을 이용한 전자서명 처리 방법 | |
KR101513434B1 (ko) | 키 입력 보호 방법과 이를 위한 키 보호 모듈 | |
KR102149315B1 (ko) | 금융사의 유심기반 전자서명 처리 방법 | |
KR20150107019A (ko) | 엔에프씨 기반 종단 간 상호 인증을 이용한 인증서 제어 방법 | |
KR101777041B1 (ko) | 비동기식 근거리 무선 통신 기반 오티피 구현 방법 | |
KR101537485B1 (ko) | 엔에프씨를 이용한 시간 검증 기반 오티피 생성 방법 | |
KR101513435B1 (ko) | 키 입력 보호 방법과 이를 위한 키 입력 보호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12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3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3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