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03111B1 - 혈장-적응성 완전 전해질 용액 - Google Patents

혈장-적응성 완전 전해질 용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3111B1
KR101503111B1 KR1020117020980A KR20117020980A KR101503111B1 KR 101503111 B1 KR101503111 B1 KR 101503111B1 KR 1020117020980 A KR1020117020980 A KR 1020117020980A KR 20117020980 A KR20117020980 A KR 20117020980A KR 101503111 B1 KR101503111 B1 KR 101503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mol
electrolyte solution
solution
aqueous electrolyte
plasm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0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1204A (ko
Inventor
미카엘 볼
Original Assignee
베. 브라운 멜중엔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 브라운 멜중엔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베. 브라운 멜중엔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10131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11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14Alkali metal chlorides; Alkaline earth metal chlo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42Phosphoru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6Blood substitute; Oxygen transporting formulations; Plasma ext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electrolyte homeost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abetes (AREA)
  • Obesit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성 완전 전해질 용액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수성 완전 전해질 용액의 혈장-적응성에 기인하여 정맥내 주입 및 피하용 수액으로써 특히 적절한 수성 전해질 용액에 관한 것이다. 완전 전해질 용액 그 자체에 추가로, 전해질 혼합물, 그로부터 전해질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용액 및 임의로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의약이 또한 제공된다.

Description

혈장-적응성 완전 전해질 용액{Plasma-adapted full electrolyte solution}
본 발명은 평형 수성 전해질 용액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그의 혈장-적응성으로 인하여 정맥내 및 피하 주입을 위한 용액으로써 특히 적절한 평형 수성 전해질 용액에 관한 것이다. 평형 전해질 용액 그 자체에 추가로, 전해질 혼합물 뿐 아니라 상기 혼합물로부터 평형 전해질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용액 및 임의로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의약이 제공된다.
환자에 염 용액의 정맥내 투여 ("점적주입(drip)")는 긴급상황 및 사고의 임상전 분야, 임상 분야 (어디서나), 사무실-기초 내과의의 진료, 및 점차 노인 보호 시설에서 수행되는 가장 일반적인 주입 처치이다. 이는 예컨대, 갈증의 감각의 장애에 기인하거나, 위장관의 필요한 연동운동 억제에 기인하여, 흡음에 의한 충분히 빠른 치료가 불가능하거나, 이를 꺼리거나, 이를 받을 수 없는 환자가 세포외 공간의 체액의 급성 결핍을 나타내는 경우에 적용된다. 이러한 염 용액은 특히 예컨대 구토 또는 설사 또는 쇼크-유래 순환시 탈수에 의하여 야기된 체액의 급성 손실, 또는 혈액 손실을 보상하기 위하여 주입된다. 후자는 콜로이드 혈량 보충 용액 또는 혈액 제제가 이용가능할 때까지 일시적으로 부분적으로만 행해진다. 그러한 모든 경우에 이용될 수 있는 염 용액은 평형 전해질 용액, 즉, 인간 혈장에서 생성되는 모든 전해질을 이상적으로 즉, 그 안에 우세한 삼투적으로 활성인 농도 및 정량적 비율로 포함하는 용액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염 용액은 정맥내로 투여되는 약물, 영양분 또는 첨가 미네랄을 용해하거나 희석하고, 이들을 정의된 일정 속도로 주입하기 위하여 광범위하게 이용된다 ("담체 용액").
우리가 오늘날 이해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주입 요법은 20세기에서야 인식되었으며, 세계 2차 대전 이후 널리 통용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유럽에서 주입 용액을 사용전 병원에서 혼합하고, 멸균을 위하여 가열하는 것이 오랫동안 일반적이었다. 이후, 상기 용액은 개별 병원 조제실에 의해 표준화되고, 제형화되었다. 지난 30년 동안, 이는 주로 비용적인 이유로 산업분야에서 행하여져 왔다 (W. Druml, Wien. Klin Wochenschr. 2005, 117/3, 67-70).
세포외 체액 및 전해질의 대체를 위한 이러한 평형 전해질 용액의 제조 및 제형화에서의 도전은 일면 혈장의 생리학적 전해질 패턴이 필수적으로 그의 중요성과 같이, 즉, 양이온 (나트륨, 칼륨, 칼슘 및 마그네슘) 및 음이온 (염소, 인산 및 탄산수소염) 농도를 닮아야 하나 [Zander et al., Anathesiol. Intensivmed. Notfallmed. Schmerzther. 2005, 40, 701-719], 반면 기술적, 임상적 이유에서 기인한 제한들이 관찰된다는 사실에 놓여있다. 이미 갈레노스 및 다른 이유로, 특히 가열멸균하는 동안 및 일반적 플라스틱 용기에서 사용되는 동안의 탄산수소염의 불안정성 때문에 혈장-동일 탄산수소염 함량에 대한 요구가 단지 부분적으로 충족될 수 있었다. 결국, 이는 탄산수소염 또는 그와 같은 이론적으로 적절한 염 대신에 탄산수소염 전구체를 이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유기체 내 주입시에만 탄산수소염으로 대사되어 탄산수소염을 제공하는 유기 음이온, 예컨대, 락테이트, 아세테이트 등이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적절하다. 탄산수소염의 결핍 또는 대체와 관련한 문제들과 별개로, 개별 용액의 삼투질 농도는 세포내 및 세포외 공간 사이의 바람직하지 않은 체액 재배치를 피하기 위하여 혈장의 삼투질 농도와 비슷해야 한다. 또한, 정맥내 주입을 위한 용액은 주입시 양호한 국부 허용성을 보장할 목적으로 어떤 심각한 산도 또는 알칼리도를 나타내어서는 안되며, 또한 이들은 생리학적 산-염기 균형을 변경하지 않는 방식으로 조성되어야 한다. 끝으로, 혈장은 그 자체로 평형 전해질 용액의 일부가 아닌 특정 단백질을 포함하며, 그의 음전하가 무-단백질 전해질 용액에서는 동일하게 모방될 수 없는 전기적 중성도의 이유로 카운터 이온의 존재를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현재 이용되는 모든 평형 전해질 용액은 이상적인 혈장-동일 전해질 분포에 대한 요구와 용액 내 실제로 존재하는 것 사이의 절충안이며, 앞서 언급된 다른 요건은 충족하지 못하거나 불완전하게 충족시킬 뿐이다. 이상적 조성과 실제 조성 사이의 불일치는 개별적 요소들에 부합하기 위한 어떤 증가된 노력이 필수적으로 다른 요소의 소홀을 야기한다는 사실에 의해 더해진다.
상기 언급된 역사적 발전에 기인하여, 수액은 지역 기반 병원 영역 자체에서 제조되는 과정에서 상기 언급된 문제를 다루기 위한 각각의 고유의 방식에 의한 시도로 현재 상이한 조성의 광범위한 수액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0.9% 염화나트륨 용액 (염수)는 예컨대 간단한 제조법 및 낮은 비용과 같은 제조 기술상의 이유로 이미 주입 요법에서 가장 자주 적용되는 수액으로써 최초로 확립되었다. 또한, 염화나트륨에 추가로 다른 전해질을 포함하는 용액, 예컨대 제조사의 이름을 딴 링커 및 하트만 용액 ((Ringer and Hartmann solution), 및 하트만 용액과 같이 락테이트 이온을 포함하는 젖산 링거 (LR) 용액 (Lactated Ringer solution) 이 있다. 표 1은 인간 혈장의 전해질 함량을 갖는 본 수액의 조성들을 비교한다 (J. Boldt, Transfusion Alternatives in Transfusion Medicine, 2007, 9, 189-197).
상이한 수액의 조성. 개별 조성은 제조사 및 기원 국가에 따라 다양하다.
전해질 혈장 0.9 % NaCl 링커 LR 플라스마라이트(PlasmaLyte) 148 하트만
Na+ [mmol/l] 140 154 154 131 140 129
K+ [mmol/l] 4.2 - 4.0 5.4 5 5
Ca2 + [mmol/l] 2.5 - 2.3 1.8 - 4
Mg2 + [mmol/l] 3 - - 0.5 3 -
인산 [mmol/l] 1.25 - - - - -
Cl- [mmol/l] 103 154 163 112 98 109
락테이트 [mmol/l] 1 - - 27 - 29
아세테이트 [mmol/l] - - - - 27 -
Na+/Cl- 비율 1.36 1.0 0.94 1.17 1.42 1.18
혈장의 조성과 비교한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언급된 용액들은 전해질의 비-생리학적 혼합물, 즉, 혈장 내 정량적 비율에 상응하지 않거나, 혈장의 삼투질 농도와 다른 삼투질 농도 또는 기타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들은 부분적으로 "생리학적"이지 않다.
또한, 상기 용액의 일부 중요한 부작용이 일부 공지되어 있거나, 상기 수액들의 이용시 합병증이 보고되었다. 따라서, 환자의 산-염기 평형의 중요한 변화가 상기한 탄산수소염을 포함하지 않는 염 용액을 많은 양으로 주입받은 사람 또는 염소 대 나트륨의 비율이 혈장의 비율을 초과하는 경우 관찰된다. 관점에 따라, 이러한 현상은 "희석성 산증" 또는 "과염소혈증성 산증"으로 분류된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탄산수소염의 결핍은 탄산수소염으로 대사되는 특정 유기 음이온을 이용하여 보충될 수 있으며, 이차적 방식으로 그것을 대체할 수 있지만,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요구되는 유기 음이온의 양은 예컨대 염소와 같은 무기 음이온의 비율을 혈장-동일 수준으로 낮출 수 있기 위하여 바람직한 양 보다 더 적다. 따라서, 염소 음이온을 탄산수소염-제공 유기 음이온으로 부분적으로 대체하는 경우, 과염소혈증성 산증이 완전히 예방될 수 없거나, 또는 탄산수소염-제공 음이온의 더 높은 농도가 사용되는 경우, 부적절하게 조성된 수액 주입의 결과로써 알칼리혈증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다른 합병증들은 현재 사용되는 많은 전해질 용액의 삼투질 농도가 혈장의 삼투질 농도 미만이며, 따라서, 소위 "자유수(free water)" 가 과량으로 공급된다는 사실에 일부 기인한다. "자유수"는 상응하는 이온 분획이 풍부하지 않은 유체를 의미한다. 정맥내 주입시, "자유수"는 점차 신체 조직 내로 투과되어, 그 안의 유체 축적 ("부종")의 형성을 돕는다. 뇌 세포들은 특히 삼투질 농도의 변화에 특히 민감하며, 이는 과다 수면 장애에서 뇌병증 또는 심지어 코마에 이르는 뇌 징후로 나타난다. 특히, 성인과 비교하여 뇌 중량이 체중에 대해 불균형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조산아 및 만삭아에서 뇌 부종이 특히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더 많은 양의 "자유수"가 저장성 수액 또는 혈장과 비교하여 상당히 낮은 삼투질 농도를 갖는 수액의 형태로 공급되는 경우, 특히 소아과에서 사망까지 보고되어 있다 (A.I. Arieff, Paediatric Anaesthesia, 1998, 8, 1-4). 또한, 저장성 수액으로 처치시 뇌 부종이 악화되거나 뇌압이 증가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두부 손상을 갖는 환자가 특히 위험하다. 저장성 수액의 대표적인 예가 예를 들어 널리 사용되는 젖산 링거 용액이다. 가능한 합병증과 관련된 이러한 종류의 용액의 다른 단점은 심각한 중증 환자 또는 큰 쇼크를 갖는 환자의 경우에 빈번하는 심각한 간 손상이 있다면 용액 내 포함된 락테이트가 탄산수소염으로 대사될 수 없다는 사실이다.
또한, 예컨대, 취약한 국소 허용성 및 혼합되는 약물과의 양립성의 문제와 같은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수액의 주입의 불리한 부작용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대학 및 상업 연구기관은 혈장의 생리학적 전해질 프로파일에 상응하고, 제조 과정에서 가열-멸균될 수 있고, 높은 국소 허용성 및 첨가되는 의약과 높은 양립성을 나타내며, 혈장과 동일한 삼투질 농도를 갖고, 산-염기 평형에 영향을 주지 않는, 주입에 적합한 전해질 용액의 개발 및 제조를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DE 32 24 823 A1는 혈액투석에서 적용하기 위한 개별적 각각의 질환에 최적화된 전해질 용액의 제조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상기 제조는 45.5 val 의 나트륨 (Na+), 350 mval 의 마그네슘 (Mg++), 12.25 val 의 아세테이트 (CH3CO2 -) 및 33.6 val 의 염소 (Cl-) 및 임의로 630 내지 720 g 의 글루코스를 함유하는 모 용액 9 리터로 시작된다. 목적하는 최종 함량은 희망하는 농도 단계에 상응하는 3.5 N 의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및/또는 마그네슘 아세테이트 용액의 멸균 단위로 10 리터에 이르기 위하여 필요한 부피를 채움으로써 조정된다.
EP 0 613 688 B2 은 염화나트륨 및 탄산수소염 나트륨을 주로 포함하는 기초 농축물을 이용하여 투석 액체의 조성을 다른 치료적 요구에 개별적으로 적응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언급한 이유로, 기존의 평형 전해질 용액의 결점을 가능한 회피하는, 혈장-적응성, 등장성, 평형 수액의 제조가 바람직하였다. 따라서, 전해질 및 산-염기 평형 항상성의 주입-유래 장애를 야기하지 않고, 높은 국소 허용성을 나타내는 등장성, 혈장-적응성, 평형 전해질 용액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요약
본 발명은 평형 수성 전해질 용액을 기재한다. 특히, 혈장-적응성으로 인하여 정맥내 및 피하 주입용 용액으로써 특히 적절한 평형 수성 전해질 용액이 기재되어 있다. 평형 전해질 용액 자체에 추가로, 전해질 혼합물 뿐 아니라 상기 혼합물로부터 평형 전해질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용액 및 임의로 활성 성분들을 함유하는 의약이 제공된다.
놀랍게도, 상기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평형 수성 전해질 용액에 의해 달성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른 전해질 용액이 상기 언급한 선행기술의 문제들을 해결하고, 특히 주입 부위 근처 조직의 혈관의 국소 자극을 야기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제1 국면으로, 본 발명은 하기 비율의 이온들을 함유하는 평형 수성 전해질 용액에 관한 것이다: a) 138 내지 146 mmol/l 의 나트륨, b) 4 내지 5 mmol/l 의 칼륨, c) 0.5 내지 2.0 mmol/l 의 칼슘, d) 1.0 내지 1.5 mmol/l 의 마그네슘, e) 100 내지 108 mmol/l 의 염소, f) 0.5 내지 1.5 mmol/l 의 인산, g) 18 내지 26 mmol/l 의 글루코네이트, 및 h) 20 내지 28 mmol/l 의 아세테이트.
본 발명에 따른 평형 전해질 용액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하기 농도들 중 하나 이상에 독립적으로 상응하는 비율의 이온들을 포함한다: a) 140 내지 144 mmol/l 의 나트륨, 및/또는 b) 4.3 내지 4.7 mmol/l 의 칼륨, 및/또는 c) 1.0 내지 1.5 mmol/l 의 칼슘, 및/또는 d) 1.1 내지 1.4 mmol/l 의 마그네슘, 및/또는 e) 102 내지 106 mmol/l 의 염소, 및/또는 f) 0.8 내지 1.2 mmol/l 의 인산, 및/또는 g) 20 내지 24 mmol/l 의 글루코네이트, 및/또는 h) 22 내지 26 mmol/l 의 아세테이트.
평형 수성 전해질 용액은 5.0 내지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 의 범위 내의 pH 를 가지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평형 전해질 용액은 280 내지 300 mOsmol/kg 의 삼투질 농도의 H2O 를 가진다.
물에 용해시켜 본 발명에 따른 전해질 용액을 제공할 수 있는 고체 형태의 전해질 혼합물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용매의 중량 및 부피가 함께 수송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수송을 단순화한다. 또한, 안정성 및 저장수명의 증가가 이러한 방식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 비율의 이온들을 포함하는 전해질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a) 24.5 내지 25.9 중량% 의 나트륨, b) 1.21 내지 1.51 중량% 의 칼륨, c) 0.15 내지 0.61 중량% 의 칼슘, d) 0.19 내지 0.28 중량% 마그네슘, e) 27.3 내지 29.5 중량% 의 염소, f) 0.18 내지 0.54 중량% 의 인산, e) 27.1 내지 39.1 중량% 의 글루코네이트, 및 h) 9.10 내지 12.7 중량% 의 아세테이트, 상기 중량 백분률 각각은 전해질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한 것임.
본 발명에 따르면, 다른 것들 중에서, 관련 약전, 예컨대 유럽약전 및 미국약전의 전문서에서 추천되고, 다루어지는 염들을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염들은 염화나트륨, 나트륨 아세테이트 x 3 H2O, 나트륨 탄산수소염 x 2 H2O, D-글루콘산 나트륨 염, 염화칼륨, 칼륨 아세테이트, 칼슘 D-글루코네이트 x H2O, 및 염화마그네슘 x 6 H2O 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해질 혼합물은 물에 용해시키고, pH 값을 조정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전해질 용액으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평형 수성 전해질 용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i) 본 발명에 따른 전해질 혼합물을 각각의 전해질들의 몰농도를 조정하기에 충분한 양의 물에 용해하는 단계; 및 (ii) 상기 용액의 pH 값을 5.0 내지 8.0 의 범위 내로 조정하는 단계.
혈장-적응성 및 평형 조성, 등장성 및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국소 허용성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전해질 용액은 정맥내 투여 뿐 아니라 피하 투여("피하주입")용 수액으로써 매우 적절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정맥내 또는 피하 수액으로써 평형 수성 전해질 용액의 이용에 관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저장성 또는 등장성 탈수증 치료용, 세포외 체액 손실, 저혈량증 또는 쇼크 치료용, 및 콜로이드 혈량 보충 후 간극(interstitial space)의 재수화용, 또는 양립성 전해질, 영양분 및 의약에 대한 담체 용액으로써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평형 수성 전해질 용액 및 임의로 아미노산, 탄수화물, 비타민, 미네랄, 히드록시에틸 전분, 젤라틴, 알부민 및 주입용 약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바람직하게는 항생제, 진통제, 진정제, 신경이완제, 제토제, 아편제, 근육이완제, 카테콜아민 및 다른 심혈관작용을 갖는 약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의 성분을 포함하는 의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은 바람직하게는 저장성 또는 등장성 탈수증 치료용, 세포외 체액 손실 치료용, 저혈량증 또는 쇼크 치료용, 및 콜로이드 혈량 보충 후 간극의 재수화용 의약이다.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외과 수술 동안 관주 및 청소용, 상처 및 화상의 관주 및 청소용, 체강의 관주용, 눈 세척용, 기구의 세척 및 청소용, 인공 항문 관리를 위한 국소 세척 용액, 또는 양립성 전해질, 영양분 및 의약용 담체 용액으로써 평형 수성 전해질 용액의 이용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하기 표 2에 언급된 실시예들이 본 발명에 따른 전해질 용액이다.
제조 실시예
성분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염화나트륨 5.815 g 6.195 g 5.639 g 5.902 g
나트륨 아세테이트 x 3 H2O 3.266 g 2.314 g 2.382 g 3.539 g
인산이수소 나트륨 x 2 H2O 0.156 g 0.156 g 0.156 g 0.234 g
D-글루콘산 나트륨 염 3.817 g 4.799 g 5.454 g 3.381 g
염화칼륨 0.298 g - 0.186 g 0.186 g
칼륨 아세테이트 - 0.491 g 0.245 g 0.196 g
칼슘 D-글루코네이트 x H2O 0.561 g 0.897 g 0.224 g 0.561 g
염화 마그네슘 x 6 H2O 0.203 g 0.203 g 0.305 g 0.254 g
주사용 수 1000 ml 까지 첨가 1000 ml 까지 첨가 1000 ml 까지 첨가 1000 ml 까지 첨가
상기 언급된 성분들을 상기 실시예에 대하여 언급된 양으로 주사용 수 내에 교반하며 완전히 용해한다. 그후, pH 값을 10 ml 의 2 N 염산 및 5 ml 의 2N 아세트산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pH = 6.5 로 조정하고, 주사용 수로 부피를 1000 ml 까지 채우고, 상기 용액을 마개와 함께 제공되고, 플랜지가 있는 250 ml 의 주입 유리병 내에 담는다. 상기 병을 선행기술에 따른 공지의 방식으로 멸균한다 (예를 들어, 121℃ 에서 20분).

Claims (17)

  1. 하기 비율의 이온들을 포함하는 평형 수성 전해질 용액:
    a) 138 내지 146 mmol/l 의 나트륨,
    b) 4 내지 5 mmol/l 의 칼륨,
    c) 0.5 내지 2.0 mmol/l 의 칼슘,
    d) 1.0 내지 1.5 mmol/l 의 마그네슘,
    e) 100 내지 108 mmol/l 의 염소,
    f) 0.5 내지 1.5 mmol/l 의 인산,
    g) 18 내지 26 mmol/l 의 글루코네이트, 및
    h) 20 내지 28 mmol/l 아세테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140 내지 144 mmol/l 의 나트륨을 포함하는 평형 수성 전해질 용액.
  3. 제1항에 있어서, 4.3 내지 4.7 mmol/l 의 칼륨을 포함하는 평형 수성 전해질 용액.
  4. 제1항에 있어서, 1.0 내지 1.5 mmol/l 의 칼슘을 포함하는 평형 수성 전해질 용액.
  5. 제1항에 있어서, 1.1 내지 1.4 mmol/l 의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평형 수성 전해질 용액.
  6. 제1항에 있어서, 102 내지 106 mmol/l 의 염소를 포함하는 평형 수성 전해질 용액.
  7. 제1항에 있어서, 0.8 내지 1.2 mmol/l 의 인산을 포함하는 평형 수성 전해질 용액.
  8. 제1항에 있어서, g) 20 내지 24 mmol/l 의 글루코네이트를 포함하는 평형 수성 전해질 용액.
  9. 제1항에 있어서, h) 22 내지 26 mmol/l 의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평형 수성 전해질 용액.
  10. 제1항에 있어서, 5.0 내지 8.0, 또는 6.0 내지 7.0 의 범위 내의 pH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수성 전해질 용액.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액으로 사용하기 위한, 또는 국소 세척 용액으로 사용하기 위한 평형 수성 전해질 용액.
  14. 삭제
  15. 기구의 세척 및 청소용, 또는 양립성 전해질, 영양분 및 의약용 담체 용액으로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평형 수성 전해질 용액.
  16. 삭제
  17. 삭제
KR1020117020980A 2009-03-13 2010-03-08 혈장-적응성 완전 전해질 용액 Expired - Fee Related KR1015031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12671A DE102009012671A1 (de) 2009-03-13 2009-03-13 Plasmaadaptierte Vollelektrolytlösung
DE102009012671.6 2009-03-13
PCT/EP2010/052895 WO2010102972A1 (de) 2009-03-13 2010-03-08 Plasmaadaptierte vollelektrolytlös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204A KR20110131204A (ko) 2011-12-06
KR101503111B1 true KR101503111B1 (ko) 2015-03-16

Family

ID=42167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0980A Expired - Fee Related KR101503111B1 (ko) 2009-03-13 2010-03-08 혈장-적응성 완전 전해질 용액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445029B2 (ko)
EP (1) EP2405924B1 (ko)
KR (1) KR101503111B1 (ko)
CN (1) CN102348459B (ko)
BR (1) BRPI1009116B1 (ko)
CA (1) CA2753498C (ko)
DE (1) DE102009012671A1 (ko)
ES (1) ES2401372T3 (ko)
MX (1) MX2011009565A (ko)
PL (1) PL2405924T3 (ko)
PT (1) PT2405924E (ko)
RU (1) RU2550963C2 (ko)
WO (1) WO20101029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3004047U1 (de) * 2013-05-02 2013-06-25 Ralf Ludwig Hahn Infusionslösung
RU2708389C1 (ru) * 2019-04-24 2019-12-0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ротекс" Раствор для инфузий
KR102644617B1 (ko) 2019-05-23 2024-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부분부하 토크 제어장치 및 제어 방법
RU2732754C1 (ru) * 2020-06-01 2020-09-22 Совмест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в форме общества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РЕМЕДИ ГРУП»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мплексного инфузионного препарата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для коррекции гиперфосфатемии и уменьшения сосудистой непроницаемости у больных с почечной недостаточностью
CN111956604A (zh) * 2020-07-10 2020-11-20 福建孚兴药业有限公司 一种平衡液的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13688A1 (de) * 1993-02-19 1994-09-07 Wilfried Dr.-Ing. Schäl Verfahren zur Bereitung von bicarbonathaltigen Dialysierflüssigkeiten für die Hämodialyse
WO2001094349A1 (en) 2000-06-02 2001-12-13 Gambr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activation of biological contaminants using photosensitizer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1368A (en) * 1971-06-01 1974-06-28 Cybersal Inc Therapeutic composition
US4308255A (en) * 1980-03-24 1981-12-29 Haemophor Corporation Balanced oncotic pressure fluid
DE3224823A1 (de) 1982-07-02 1984-01-05 Lentia GmbH Chem. u. pharm. Erzeugnisse - Industriebedarf, 8000 Münche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uer den entsprechenden krankheitsfall optimierten elektrolytloesung zur anwendung in der haemodialyse
JPH06172191A (ja) 1992-12-07 1994-06-21 Green Cross Corp:The ブドウ糖加電解質輸液
US5955257A (en) * 1997-10-21 1999-09-21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Infusible grade short-term cell storage medium for mononuclear cells
EP1062879B1 (en) * 1999-06-26 2003-08-27 B. Braun Melsungen Ag Aqueous solution for the parenteral nutrition
CN101167740B (zh) * 2007-10-16 2010-05-19 中国大冢制药有限公司 复方醋酸钠电解质注射液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13688A1 (de) * 1993-02-19 1994-09-07 Wilfried Dr.-Ing. Schäl Verfahren zur Bereitung von bicarbonathaltigen Dialysierflüssigkeiten für die Hämodialyse
WO2001094349A1 (en) 2000-06-02 2001-12-13 Gambr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activation of biological contaminants using photosensitiz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2405924E (pt) 2013-02-07
EP2405924B1 (de) 2012-12-19
PL2405924T3 (pl) 2013-04-30
RU2550963C2 (ru) 2015-05-20
WO2010102972A1 (de) 2010-09-16
KR20110131204A (ko) 2011-12-06
CN102348459A (zh) 2012-02-08
MX2011009565A (es) 2012-01-27
BRPI1009116B1 (pt) 2019-02-19
US20110311644A1 (en) 2011-12-22
CA2753498A1 (en) 2010-09-16
EP2405924A1 (de) 2012-01-18
BRPI1009116A2 (pt) 2016-03-08
CN102348459B (zh) 2014-01-01
RU2011141457A (ru) 2013-04-20
DE102009012671A1 (de) 2010-09-16
CA2753498C (en) 2015-07-14
ES2401372T3 (es) 2013-04-19
US8445029B2 (en) 2013-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26597B (en) Bicarbonate-based solutions for dialysis therapies
ES2223549T3 (es) Formulacion que contiene moxifloxacino y sal comun.
US6309673B1 (en) Bicarbonate-based solution in two parts for peritoneal dialysis or substitution in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CA2045610C (en) Histidine buffered peritoneal dialysis solution
CN101209344B (zh) 高渗液组合物在制备促进伤口愈合的药物中的应用
US7309502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reating and saving and the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EP1753437B1 (en) Bicarbonate-based peritoneal dialysis solutions
KR101503111B1 (ko) 혈장-적응성 완전 전해질 용액
EA010948B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лактат, и ее применение
JP4638106B2 (ja) 医薬的使用のための溶液中における浸透圧剤としての、l−カルニチンおよびそのアルカノイル誘導体の使用
US20220160816A1 (en) Angiotensin composition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KR100374436B1 (ko) 말초정맥투여용영양수액
JPH07502544A (ja) 眼内組織潅注用および眼内外科処置中の瞳孔散大維持用組成物
CN101032512B (zh) 一种用于扩充血容量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04149495A (ja) 電解質代謝および酸塩基平衡を管理する方法
Hoenich et al. Haemodialysis fluid: composition and clinical importance
Mirtallo et al. Stability of amino acids and the availability of acid in total parenteral nutrition solutions containing hydrochloric acid
CN107789365A (zh) 多种微量元素ⅴ药物组合物及其用途
JPH1087497A (ja) 末梢静脈投与用輸液
WO2005041977A2 (en) Process for producing injectable gabapentin compositions
HK1097460B (en) Process for producing injectable gabapentin compositions
HK1035146B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use in emergency treatme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HK1097460A1 (en) Process for producing injectable gabapentin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0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6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0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3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3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