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3029B1 -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마커 제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마커 제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03029B1 KR101503029B1 KR20140009195A KR20140009195A KR101503029B1 KR 101503029 B1 KR101503029 B1 KR 101503029B1 KR 20140009195 A KR20140009195 A KR 20140009195A KR 20140009195 A KR20140009195 A KR 20140009195A KR 101503029 B1 KR101503029 B1 KR 1015030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ea
- marker
- region
- pixels
- boundar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6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relating to illumination properties, e.g. using a reflectance or lighting model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G06V20/46—Extra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from the video content, e.g. video fingerprints, representative shots or key fram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46—Descriptors for shape, contour or point-related descriptors, e.g. 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SIFT] or bags of words [BoW]; Salient regional features
- G06V10/467—Encoded features or binary features, e.g. local binary patterns [LB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커 제거부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마커 제거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마커들이 포함된 비디오 프레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간접 광고가 삽입된 비디오 프레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간접 광고가 삽입되고, 마커들이 제거된 비디오 프레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커 영역 및 삽입 영역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페인팅 영역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인페인팅 영역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마커 제거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130: 마커 제거부 140: 광고 삽입부
210: 영상 분리부 220: 구조 인페인팅부
230: 질감 합성부 240: 영상 합성부
310: 패치 분할부 320: 패치 선택부
330: 패치 합성부 400: 비디오 프레임
410: 마커 510: 가상간접 광고
Claims (21)
- 비디오의 프레임들에 포함된 마커를 인식하는 마커 인식부;
상기 마커에 상응하는 마커 영역, 가상간접 광고가 삽입될 삽입 영역, 및 상기 마커 영역 및 삽입 영역을 이용하여 마커 제거 영역을 결정하는 영역 결정부;
상기 마커 제거 영역에만 인페인팅을 수행하는 마커 제거부; 및
상기 마커 제거 영역의 인페인팅 후 상기 삽입 영역에 상기 가상간접 광고를 삽입하는 광고 삽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마커 제거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역 결정부는
상기 마커 영역을 인페인팅 영역 및 비인페인팅 영역으로 나누고, 상기 인페인팅 영역을 상기 마커 제거 영역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마커 제거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영역 결정부는
상기 마커 영역 내 마커 픽셀들 각각에 대해 상기 삽입 영역 안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삽입 영역 안에 존재하지 아니하는 마커 픽셀들을 상기 인페인팅 영역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마커 제거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영역 결정부는
상기 마커 영역 내 마커 픽셀들 각각에 대해 상기 삽입 영역 안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삽입 영역 안에 존재하는 마커 픽셀들을 상기 비인페인팅 영역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마커 제거 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영역 결정부는
상기 삽입 경계를 이루는 픽셀을 포함하는 삽입 경계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삽입 경계 영역 중 일부를 상기 인페인팅 영역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마커 제거 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영역 결정부는
상기 삽입 영역의 경계를 이루는 픽셀들 각각에 대해 상기 삽입 영역의 경계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픽셀들로 이루어진 영역을 삽입 경계 영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삽입 경계 영역을 고려하여 상기 마커 제거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마커 제거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영역 결정부는
상기 삽입 경계 영역 내 픽셀들 각각에 대해 상기 마커 영역 및 삽입 영역 안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마커 영역 및 삽입 영역 안에 존재하는 픽셀들을 상기 인페인팅 영역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마커 제거 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마커 제거부는
상기 인페인팅 영역에 상응하는 영상을 구조영상과 질감영상으로 나누는 영상 분리부;
상기 구조영상에 대하여 상기 인페인팅 영역의 외곽에 근접한 화소가 인페인팅 영역 내부로 명암값이 동일한 선을 따라 확산함으로써 인페인팅을 수행하여 가공 구조영상을 생성하는 구조 인페인팅부;
상기 질감영상에 대하여 질감합성을 수행하여 가공 질감영상을 생성하는 질감 합성부; 및
상기 가공 구조영상 및 상기 가공 질감영상을 합성하는 영상 합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마커 제거 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마커 제거부는
상기 인페인팅 영역 및 상기 인페인팅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각각 패치 단위로 나누는 패치 분할부;
상기 인페인팅 영역의 각 패치에 대하여 상기 인페인팅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서 가장 비슷한 패치를 선택하는 패치 선택부; 및
상기 인페인팅 영역의 각 패치에 대하여 상기 선택된 패치를 합성하는 패치 합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간접 광고 서비스 장치.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인페인팅부는
상기 인페인팅 영역의 외곽에 상응하는 단위 영역부터 내부 방향으로 인페인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간접 광고 서비스 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영역 결정부는
상기 마커 경계를 이루는 픽셀을 포함하는 마커 경계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마커 경계 영역 중 일부를 상기 인페인팅 영역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마커 제거 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영역 결정부는
상기 마커 영역의 경계를 이루는 픽셀들 각각에 대해 상기 마커 영역의 경계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픽셀들로 이루어진 영역을 마커 경계 영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마커 경계 영역을 고려하여 상기 마커 제거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마커 제거 장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영역 결정부는
상기 마커 경계 영역 내 픽셀들 각각에 대해 상기 마커 영역 및 삽입 영역 안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마커 영역 및 삽입 영역 안에 존재하지 아니하는 픽셀들을 상기 인페인팅 영역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마커 제거 장치. - 비디오의 프레임들에 포함된 마커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마커에 상응하는 마커 영역, 가상간접 광고가 삽입될 삽입 영역, 및 상기 마커 영역 및 삽입 영역을 이용하여 마커 제거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마커 제거 영역에만 인페인팅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마커 제거 영역의 인페인팅 후 상기 삽입 영역에 상기 가상간접 광고를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마커 제거 방법.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마커 제거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마커 영역을 인페인팅 영역 및 비인페인팅 영역으로 나누고, 상기 인페인팅 영역을 상기 마커 제거 영역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마커 제거 방법.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마커 제거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마커 영역 내 마커 픽셀들 각각에 대해 상기 삽입 영역 안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삽입 영역 안에 존재하지 아니하는 마커 픽셀들을 상기 인페인팅 영역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마커 제거 방법.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마커 제거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마커 영역 내 마커 픽셀들 각각에 대해 상기 삽입 영역 안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삽입 영역 안에 존재하는 마커 픽셀들을 상기 비인페인팅 영역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마커 제거 방법.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마커 제거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삽입 경계를 이루는 픽셀을 포함하는 삽입 경계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삽입 경계 영역 중 일부를 상기 인페인팅 영역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마커 제거 방법. -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마커 제거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삽입 영역의 경계를 이루는 픽셀들 각각에 대해 상기 삽입 영역의 경계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픽셀들로 이루어진 영역을 삽입 경계 영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삽입 경계 영역을 고려하여 상기 마커 제거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마커 제거 방법. -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마커 제거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삽입 경계 영역 내 픽셀들 각각에 대해 상기 마커 영역 및 삽입 영역 안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마커 영역 및 삽입 영역 안에 존재하는 픽셀들을 상기 인페인팅 영역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마커 제거 방법. - 청구항 14 내지 20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09195A KR101503029B1 (ko) | 2014-01-24 | 2014-01-24 |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마커 제거 장치 및 방법 |
CN201480033739.0A CN105284122B (zh) | 2014-01-24 | 2014-12-10 | 用于通过使用帧聚类来插入广告的装置和方法 |
PCT/KR2014/012159 WO2015111840A1 (ko) | 2014-01-24 | 2014-12-10 | 프레임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광고 삽입 장치 및 방법 |
US14/898,450 US10904638B2 (en) | 2014-01-24 | 2014-12-10 | Device and method for inserting advertisement by using frame cluster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09195A KR101503029B1 (ko) | 2014-01-24 | 2014-01-24 |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마커 제거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03029B1 true KR101503029B1 (ko) | 2015-03-16 |
Family
ID=53027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009195A Active KR101503029B1 (ko) | 2014-01-24 | 2014-01-24 |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마커 제거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03029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47271A (ko) * | 1999-10-25 | 2002-06-21 | 추후제출 | 광고 방법 및 광고 시스템 |
KR20060105910A (ko) * | 2005-04-01 | 2006-10-1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특정 방송컨텐츠의 재생/저장을 위한 양방향 디지털 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그에 따른 양방향 디지털 방송 수신단말기 및 그 방법 |
KR20100015479A (ko) * | 2007-03-12 | 2010-02-12 | 볼텍스 테크놀로지 서비스 리미티드 | 의도성 매칭 |
-
2014
- 2014-01-24 KR KR20140009195A patent/KR10150302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47271A (ko) * | 1999-10-25 | 2002-06-21 | 추후제출 | 광고 방법 및 광고 시스템 |
KR20060105910A (ko) * | 2005-04-01 | 2006-10-1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특정 방송컨텐츠의 재생/저장을 위한 양방향 디지털 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그에 따른 양방향 디지털 방송 수신단말기 및 그 방법 |
KR20100015479A (ko) * | 2007-03-12 | 2010-02-12 | 볼텍스 테크놀로지 서비스 리미티드 | 의도성 매칭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672305B2 (ja) | オブジェクト検出に基づき外挿画像を生成する方法及び装置 | |
US7689062B2 (en) |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content placement | |
JP2021511729A (ja) | 画像、又はビデオデータにおいて検出された領域の拡張 | |
US20160142792A1 (en) | Device and method for inserting advertisement by using frame clustering | |
JP7098601B2 (ja) |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US10127643B2 (en) | Inpainting device and method using segmentation of reference region | |
CN107636728B (zh) | 用于确定图像的深度图的方法和装置 | |
KR20190030870A (ko) | 가상 크로마키 배경을 이용하여 영상을 합성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
CN107507155A (zh) | 视频分割结果边缘优化实时处理方法、装置及计算设备 | |
KR101485820B1 (ko) | 지능형 동영상 메타 정보 생성 시스템 | |
KR20170097745A (ko) | 재귀적 계층적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외삽된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
Li et al. | Seam carving based aesthetics enhancement for photos | |
US20140098246A1 (en) |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focusing Photographed Image | |
KR101503029B1 (ko) |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마커 제거 장치 및 방법 | |
KR102135671B1 (ko) | 가상간접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101540613B1 (ko) | 가상 광고 영상 선택 장치 및 방법 | |
JP2013150203A (ja) | 画像処理プログラム、装置及び方法 | |
Chamaret et al. | Video retargeting for stereoscopic content under 3D viewing constraints | |
CN115443662A (zh) | 制作视频以用于内容插入 | |
KR101561083B1 (ko) |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경계값 산출 장치 및 방법 | |
KR101264358B1 (ko) | 자동화된 포토 모자이크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 | |
KR101893142B1 (ko) | 객체 영역 추출 방법 및 그 장치 | |
KR102180478B1 (ko) | 자막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 |
KR101458944B1 (ko) | 포커스 정보를 이용한 스피커 좌표 지정 장치 및 방법 | |
CN108875692B (zh) | 基于关键帧处理技术的缩略影片生成方法、介质和计算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1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3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3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