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02553B1 - 절수기능을 갖는 좌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절수기능을 갖는 좌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2553B1
KR101502553B1 KR20130143976A KR20130143976A KR101502553B1 KR 101502553 B1 KR101502553 B1 KR 101502553B1 KR 20130143976 A KR20130143976 A KR 20130143976A KR 20130143976 A KR20130143976 A KR 20130143976A KR 101502553 B1 KR101502553 B1 KR 101502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oilet
pipe
washing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30143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현숙
Original Assignee
권우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우득 filed Critical 권우득
Priority to KR20130143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25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55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fluid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범용의 좌변기에 외장된 형태로 설치되어 좌변기의 수조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것으로, 특히 대변과 소변에 따른 세척수의 공급량을 달리하여 불필요한 세척수의 낭비를 절감하도록 한 절수기능을 갖는 좌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화장실의 내벽에 형성된 급수관과 좌변기의 수조에 형성된 공급구 사이에 배치되어,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절수기능을 갖는 좌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에 있어서,
급수관과 좌변기의 수조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의 연통경로를 형성하는 세척수관과; 상기 세척수관에 배치되어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양을 계측하는 전자 유량계와; 상기 세척수관의 개폐를 제어하는 전자밸브와; 상기 전자 유량계와 전자밸브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수조에 공급되는 유량값을 입력하여, 입력된 유량값을 따라 제어부가 좌변기의 수조에 세척수를 정량 공급하도록 하는 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절수기능을 갖는 좌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supply equipment of wash-down water closet}
본 발명은 절수기능을 갖는 좌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범용의 좌변기에 외장된 형태로 설치되어 좌변기의 수조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것으로, 특히 대변과 소변에 따른 세척수의 공급량을 달리하여 불필요한 세척수의 낭비를 절감하도록 한 절수기능을 갖는 좌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제인구행동연구소(PAI: Population Action International)에서는 한국을 물부족 국가로 분류하고 있으며, 21세기에는 한국에 물부족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국가 중 물 소비량이 가장 많은 나라로서 일인당 물소비량이 독일이나 프랑스의 2-3배에 이르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의 물소비 습관을 바꿔 낭비하는 물 가운데 10%만 아껴도 연간 절약할 수 있는 수돗물은 약 4억 1천만 톤에 이르고, 이는 영월댐 저수량인 2억 톤보다도 훨씬 많은 양이며 연간 2,900억원 이상을 절약할 수 있는 것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물부족의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물의 공급측면 뿐만 아니라 수요측면에서 물절약 운동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상황으로, 일상생활의 물소비량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 중의 하나가 대소변을 처리할 때 사용되는 변기의 물이다.
한편, 좌변기는 일정량의 물이 담긴 수조가 변기 본체의 후방에 장착되어 수조에 담긴 물로 용변을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수조에 담긴 물을 변기로 배출시키는 일반적인 좌변기의 배수장치는, 수조의 외부에 설치된 세정레버의 내측 후 단부에 수조와 연통하는 배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변이 직접 연결되어 이 세척레버의 조작에 의해 개폐 변을 개방시키게 되면, 수조에 다긴 세척수가 배출된 후 폐쇄되어 일정량의 물을 공급받아 보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좌변기는 용변의 종류에 관계없이 수조에 보유된 세척수를 모두 배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소변후 세척할 경우에도 대변후 세척하는 경우와 동일한 많은 량의 물을 소비하게 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는 좌변기의 경우 변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1회 사용 때마다 대략 13ℓ의 물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좌변기의 특성에 따라 좌변기의 물소비량을 줄이려는 여러 가지 시도가 행하여져 왔으며, 물탱크 안에 벽돌이나 병 등을 넣는 일상적인 방법, 세면대에서 일차적으로 사용한 중수를 다시 사용하는 좌변기(예, 특허 제218648호 및 특허 제225780호), 소비되는 물의 절대량을 줄일 수 있도록 배수개폐밸브 등의 부품을 개량한 좌변기(예, 공개실용신안 제99-34064호)가 그 대표적인 절수 방법들이다.
그러나, 이러한 좌변기들은 좌변기 자체의 배수구조를 변경하여야 하므로, 기존 시공된 좌변기에는 적용이 어려워, 새로이 개발 및 시공되는 좌변기에만 적용이 가능한 한계성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절수구조를 갖는 좌변기들은 사용자가 절수량을 인지하지 못하는 한계성을 갖고, 또 원활한 세정을 도모하는 세정제를 수조나 용변조 내에 배치하여야 하므로, 이는 미관이나 외형상 좋지 못하고, 또 수조에 배치한 경우 주기적 수조를 개방하여 세정제의 잔류량을 육안으로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지적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범용의 좌변기에 외장된 형태로 설치되어 좌변기의 수조에 세척수를 정량 공급하는 것으로, 특히 대변과 소변에 따른 세척수의 공급량을 달리하여 불필요한 세척수의 낭비를 절감하도록 한 절수기능을 갖는 좌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수기능을 갖는 좌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는,
화장실의 내벽에 형성된 급수관과 좌변기의 수조에 형성된 공급구 사이에 배치되어,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절수기능을 갖는 좌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에 있어서,
급수관과 좌변기의 수조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의 연통경로를 형성하는 세척수관과;
상기 세척수관에 배치되어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양을 계측하는 전자 유량계와;
상기 세척수관의 개폐를 제어하는 전자밸브와;
상기 전자 유량계와 전자밸브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수조에 공급되는 유량값을 입력하여, 입력된 유량값을 따라 제어부가 좌변기의 수조에 세척수를 정량 공급하도록 하는 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와 입력부에는 무선 송수신 모듈이 마련되어, 입력부는 제어부에 무선으로 급수량을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용변의 종류에 따라 공급되는 세척수의 절수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되어진 절수량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부가 부가하여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척수관과 좌변기의 수조 사이에는 개폐밸브가 마련된 바이패스관이 형성되어, 전자밸브의 작동 불능시 개폐밸브를 개방시켜 바이 패스관을 통해 좌변기의 수조에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관에는 카트리지형의 세정제를 삽입하는 세정제 투입부가 형성되어, 세정제 투입부에 삽입된 카트리지형 세정제에 의해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세척수에 세정제가 용해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유량값에 따라 좌변기의 수조에 정량의 세척수를 공급하는 절수기능을 갖는 좌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를 제안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용변 종류에 따라 유량값을 선택하여 용변을 세척할 수 있어서, 불필요한 세척수의 낭비를 예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절수기능을 갖는 좌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는 좌변기의 교환 설치없이 기존 시공된 좌변기에 외장하여 설치되므로 시공에 따른 부대비용과 시공에 따른 편리성이 도모되고, 또 절수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절수기능을 갖는 좌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는 바이 패스관을 통해 정전 등 작동이 불능한 상태에서도 수조에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고, 세척수관 내에 카트리지형의 세정제를 투입하도록 구성되어 세정제의 오염이나 노출이 발생되지 아니하고, 또 산도 계측센서를 통해 세정제의 잔류량을 확인할 수 있어서, 세정제의 교환 주기를 사용자가 보다 신속하고 정밀하게 인식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절수기능을 갖는 좌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의 전체 구성과 시공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절수기능을 갖는 좌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의 작용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절수기능을 갖는 좌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절수기능을 갖는 좌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의 전체 구성과 시공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절수기능을 갖는 좌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의 작용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절수기능을 갖는 좌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장실의 내벽에 형성된 급수관(120)과 좌변기(100)의 수조(111) 사이에 배치되어, 급수관(120)을 통해 좌변기(100)의 수조(111)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절수기능을 갖는 좌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급수관(120)과 좌변기(100)의 수조(110)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의 연통경로를 형성하는 세척수관(10)과; 상기 세척수관(10)에 배치되어 좌변기(100)의 수조(110)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양을 계측하는 전자 유량계(20)와; 상기 세척수관(10)의 개폐를 제어하는 전자밸브(30)와; 상기 전자 유량계(20)와 전자밸브(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30)에 유량값을 입력하여, 제어부(40)가 전자밸브(30)를 개폐시켜 유량값에 따라 좌변기(100)의 수조(111)에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입력부(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세척수관(10)과 전자 유량계(20)와 전자밸브(30), 및 제어부(40)를 단일 함체(60)에 수용한 다음 좌변기(100)의 후방과 벽체 사이에 배치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와 입력부(50)에는 무선 송수신 모듈(41, 51)을 마련하여 입력부(50)는 제어부(40)에 무선으로 유량값을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입력부(50)는 장소의 구애없이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용이한 지점에 고정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제어부와 입력부의 무선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면을 보면 본 실시예에서는 육안 식별이 용이한 좌변기(100)의 수조(111) 상부에 입력부(50)를 배치하여, 사용자는 용변을 보기전 입력부(50)를 통해 좌변기(100)의 수조(111)에 공급되는 세척수의 공급량을 입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용변의 종류별로 좌변기(100)의 수조(111)에 세척수를 정량 공급함에 따른 절수량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부(70)를 부가하여, 사용자는 제어부(40)에 의해 산출하여 전송되어진 절수량을 모니터링부(70)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입력부(50)와 모니터링부(70)는 본 실시예와 같이 분리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필요에 따라 단일 몸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블루투스와 NFC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을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도 4와 같이 외부에 노출되는 입력부(50)에 제어부(40)와 스마트폰(70')의 페어링을 자동 설정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테그(53)를 내설하여, 사용자가 입력부(50)에 모니터링부를 구성하는 스마트폰(70')을 근접시켜 NFC 테그(53)를 인식시키면, 모니터링부로 활용되는 스마트폰(70')과 제어부(40)가 자동으로 페어링되어서,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제어부(40)에 의해 산출하여 전송되어진 절수량이 모니터링부로 활용되는 스마트 폰(70')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별도의 모니터링부를 고정하여 설치함에 따른 공간상의 제약과 비용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관(10)과 좌변기(100)의 수조(111) 사이에는 개폐밸브(91)를 갖는 바이패스관(90)이 형성되어, 도 4와 도 5b와 같이 정전 등에 의해 전자밸브(30)의 작동 불능시 사용자는 개폐밸브(91)를 임의로 개방시켜 바이 패스관(90)을 통해 좌변기(100)의 수조(111)에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50)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변과 소변, 그리고 세척수 보충을 포함하는 3개의 선택항목(52a, 52b, 52c)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입력부(50)를 통해 해당 선택항목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40)는 전자 유량계(20)를 통해 세척수관(10)을 따라 이동하는 세척수의 유량을 감지하고 전자밸브(30)를 세척수관(10)을 일시적으로 개방시켜서, 해당 선택항목에 따른 정량의 세척수가 좌변기의 수조에 공급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입력부(50)에 형성된 대변 선택항목(52a)을 입력하면 8리터의 세척수가 좌변기의 수조에 정량 공급되도록 구성하고, 소변 선택항목(52b)을 입력하면 대략 3리터의 세척수가 좌변기의 수조에 정량 공급되도록 구성하는 한편, 세척수 보충 선택항목(52c)을 입력하면 5리터의 세척수가 좌변기의 수조에 추가로 정량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용변을 보기 전 사용자가 입력부(50)를 통해 해당 선택항목(52a, 52b, 52c)을 입력하면, 제어부(40)는 전자 유량계(20)를 통해 세척수관(10)을 따라 이동하는 세척수의 유량을 감지하고 전자밸브(30)를 일시적으로 개방시켜서, 도 4와 도 5a와 같이 좌변기(100)의 수조(111)에 해당 용변의 세정에 요구되는 세척수를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용변을 마친 다음 사용자는 좌변기(100) 자체에 마련된 세정밸브(113)를 조작하여 수조에 정량 공급된 세척수를 배출시킴으로써, 좌변기(100)의 용변조(112) 내에 잔류된 용변을 안정되게 세정하여 배출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절수기능을 갖는 좌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1)는 해당 용변에 따른 세척수의 공급 및 배출량을 정밀하게 설정하여 불필요한 세척수의 낭비를 예방하므로, 향상된 절수효과를 발휘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세정수 공급장치(1)를 구현함에 있어, 상기 세척수관(10)을 따라 좌변기(100)의 수조(111)로 공급되는 세척수에 세정제(80)가 용해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용해된 세정제(80)에 의해 좌변기(100) 내에 잔류된 용변의 안정된 세정을 통해 항시 안정된 위생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세척수가 통과하는 세척수관(10)에, 세정제 투입부(12)를 형성하여,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세척수관(10)에 봉상으로 이루어진 카트리지형의 세정제(80)를 삽입시켜서, 세척수관(10)을 통과하는 세척수에 의해 카트리지형의 세정제(80)가 용해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세척수관(10)에 형성된 세정제 투입부(12)의 진입구(12a)에는 체결관체(12b)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카트리지 투입부(12)를 관통하여 세정수관(10) 내에 진입된 카트리지형 세정제(80)는 후미에 체결캡(81)이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져, 진입구(12a)를 통해 세척수관(10)에 진입된 카트리지형 세정제(80)는 후미에 형성된 체결캡(81)을 체결관체(12b)에 체결시켜서, 세척수관(10)의 보다 안정된 수밀상태를 형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서 세척수관(10)을 따라 좌변기(100)의 수조(111)로 정량 공급되는 세척수에는 세정제 투입부(12)에 삽입된 카트리지형 세정제(80)가 일부 용해되고, 상기 세정제(80)가 용해된 세척수는 좌변기(100)의 수조(111)에 공급, 및 용변조(112)로 배출되어서 용변조(112)의 안정된 세정을 도모한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상기 급수관(120)과 연결된 세척수관(10)의 유입구(11)에는 판막(11a-a)으로 이루어진 역류 방지구(11a)가 형성되어, 단수 등에 의해 세정제가 용해된 세척수가 급수관(120)으로 역류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카트리지형 세정제(80)를 세척수관(10) 내에서 분리하여 육안으로 확인하지 아니하고도 세정제(80)의 잔류여부를 신속히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세정 카트리지(80)의 신속한 교환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세척수관(10)에 세정제가 혼입된 세척수의 산도를 계측하는 산도 계측센서(42)를 배치하여, 제어부(40)는 세정제가 용해된 세척수의 산도를 계측하고, 제어부(40)는 상기 산도 계측센서(42)에 의해 계측된 산도값에 따라 세정제의 잔류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0)는 산도 계측센서(42)에 의해 계측된 산도가 정상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아니할 경우 입력부(50)에 형성된 모니터링부(70)를 통해 세척수의 교환을 알림하여서,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카트리지형 세정제(80)를 신속히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1. 절수기능을 갖는 좌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
10. 세척수관 11. 유입구
11a. 역류 방지구 11a-a. 판막
12. 세정제 투입부 12a. 진입구
12b. 체결관체
20. 전자 유량계
30. 전자 밸브 40. 제어부
41. 무선 송수신 모듈 42. 산도 계측센서
50. 입력부 51. 무선 송수신 모듈
52a, 52b, 52c. 선택항목 53. NFC 테그
60. 함체 70. 모니터링부
70'. 스마트폰
80. 카트리지형 세정제 81. 체결캡
90. 바이 패스관 91. 개폐밸브
100. 좌변기 111. 수조
112. 용변조 113. 세정밸브
120. 급수관

Claims (5)

  1. 화장실의 내벽에 형성된 급수관과 좌변기의 수조에 형성된 공급구 사이에 배치되어,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절수기능을 갖는 좌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에 있어서,
    급수관과 좌변기의 수조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의 연통경로를 형성하는 세척수관과;
    상기 세척수관에 배치되어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양을 계측하는 전자 유량계와;
    상기 세척수관의 개폐를 제어하는 전자밸브와;
    상기 전자 유량계와 전자밸브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수조에 공급되는 유량값을 입력하여, 입력된 유량값을 따라 제어부가 좌변기의 수조에 세척수를 정량 공급하도록 하는 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세척수관과 좌변기의 수조 사이에는 개폐밸브가 마련된 바이패스관이 형성되어, 전자밸브의 작동 불능시 개폐밸브를 개방시켜 바이 패스관을 통해 좌변기의 수조에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기능을 갖는 좌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입력부에는 무선 송수신 모듈이 마련되어, 입력부는 제어부에 무선으로 급수량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기능을 갖는 좌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용변의 종류에 따라 공급되는 세척수의 절수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되어진 절수량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부가 부가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기능을 갖는 좌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관에는 카트리지형의 세정제를 삽입하는 세정제 투입부가 형성되어, 세정제 투입부에 삽입된 카트리지형 세정제에 의해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세척수에 세정제가 용해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기능을 갖는 좌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
KR20130143976A 2013-11-25 2013-11-25 절수기능을 갖는 좌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502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3976A KR101502553B1 (ko) 2013-11-25 2013-11-25 절수기능을 갖는 좌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3976A KR101502553B1 (ko) 2013-11-25 2013-11-25 절수기능을 갖는 좌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2553B1 true KR101502553B1 (ko) 2015-03-19

Family

ID=53027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3976A Expired - Fee Related KR101502553B1 (ko) 2013-11-25 2013-11-25 절수기능을 갖는 좌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25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057U (ko) * 2015-04-24 2015-05-29 박흥복 세면수 재활용 변기 세척밸브절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539Y1 (ko) * 2003-01-10 2003-04-16 권병성 비데의 부가용액투입장치
JP2005146734A (ja) 2003-11-18 2005-06-09 Kimura Giken:Kk フラッシュ弁ユニット
KR200401106Y1 (ko) 2005-08-08 2005-11-15 (주)포에스텍 양변기 세척수 절수 시스템
KR20110059787A (ko) * 2003-11-18 2011-06-03 기무라 가부시끼가이샤 유량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539Y1 (ko) * 2003-01-10 2003-04-16 권병성 비데의 부가용액투입장치
JP2005146734A (ja) 2003-11-18 2005-06-09 Kimura Giken:Kk フラッシュ弁ユニット
KR20110059787A (ko) * 2003-11-18 2011-06-03 기무라 가부시끼가이샤 유량 제어 장치
KR200401106Y1 (ko) 2005-08-08 2005-11-15 (주)포에스텍 양변기 세척수 절수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057U (ko) * 2015-04-24 2015-05-29 박흥복 세면수 재활용 변기 세척밸브절수장치
KR200484308Y1 (ko) * 2015-04-24 2017-09-12 김의탁 세면수(水) 재활용 변기세척밸브절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15965B (zh) 一种外置洗涤剂投放装置、其控制方法及洗衣机
CN107201631B (zh) 具有水质处理功能的洗衣机自动投放装置及滚筒洗衣机
EP3428126A1 (en) Water treatment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domestic water treatment device
CN106283534B (zh) 一种絮凝洗衣机及其控制方法
US10006214B2 (en) pH balancing dispenser and system with piercing opener
EP2201185B1 (en) System used to feed wc flushing tanks with recycled water
KR20100007210U (ko) 변기용 세정제 자동공급장치
CN106594352A (zh) 一种智能外置控水器及其工作方法
KR101502553B1 (ko) 절수기능을 갖는 좌변기용 세정수 공급장치
WO2019114505A1 (zh) 一种利用负压自动添加洗涤剂的洗衣机及其洗衣方法
KR101511986B1 (ko) 자가 발전구조를 갖는 좌변기용 절수장치
US1220939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water re-use
CN109402968B (zh) 一种精确计量洗涤助剂投放量的方法
CN110036158A (zh) 饮用水节水器
WO2019018862A1 (en) WATER SAVING SYSTEM FOR WATER DISPENSERS, FOR EXAMPLE SHOWERS
US11365532B2 (en) Automated device for saving shower water
CN214782716U (zh) 洗衣机
CN210886630U (zh) 一种洗衣机排水槽系统
CN216454891U (zh) 一种洗碗机供水结构
JP7498095B2 (ja) 洗濯機
CN203498663U (zh) 一种洗衣粉投放装置及洗衣机
CN209798357U (zh) 投放装置及具有其的洗衣机
KR100773805B1 (ko) 연수통의 손상을 방지하고 재생작업시에도 출수구로 물이 공급되는 연수기
CN203924203U (zh) 纯水机节水器
KR101489224B1 (ko) 절수형 좌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402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3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3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