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01430B1 - 솔라 모듈용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솔라 모듈용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430B1
KR101501430B1 KR1020127025880A KR20127025880A KR101501430B1 KR 101501430 B1 KR101501430 B1 KR 101501430B1 KR 1020127025880 A KR1020127025880 A KR 1020127025880A KR 20127025880 A KR20127025880 A KR 20127025880A KR 101501430 B1 KR101501430 B1 KR 101501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tact
cable
blind mating
conn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5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7482A (ko
Inventor
안드레아스 레온하르트
베른트 코쉬
크리스토퍼 잘츠만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027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43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3Dummy plu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솔라 모듈(400)용 접속 장치(100, 101, 102, 103)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접속 장치(100, 101, 102, 103)는 하우징(110, 111, 112, 113) 및 솔라 모듈(400)의 접촉 요소(430)와 접촉하기 위해 하우징(110, 111, 112, 113)에 배열되는 접촉 수단(180)을 가진다. 상기 접속 장치(100, 101, 102, 103)는 접촉 수단(180)으로의 전기 접속 없이 하우징(110, 111, 112, 113) 상으로 배열되는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 150)에 의해 구별되며, 상기 커넥터 상으로 플러그-및-소켓 커넥터(220, 250)가 플러그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더욱이 이 같은 접속 장치(100, 101, 102, 103)를 구비한 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솔라 모듈용 접속 장치 {CONNECTION DEVICE FOR A SOLAR MODULE}
본 발명은 솔라 모듈용 접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하우징 및 솔라 모듈(solar module)의 접촉 요소를 접촉하기 위해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연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은 더욱이 이 같은 접속 장치를 구비한 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또한 솔라 패널로서 지칭되는, 광전지 솔라 모듈은 전형적으로 방사 에너지(대체로 태양광)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복수의 솔라 셀을 포함한다. 솔라 셀은 방사선과 직면하는 전반 측 상의 레이어와 후방 측 상의 레이어 사이에서 나란히 배치되며, 이러한 샌드위치 구조 내에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두 개의 레이어들은 예를 들면 유리의 페인(pane)이다. 샌드 위치 구조는 프레임에 의해 추가로 둘러싸일 수 있다.
솔라 모듈의 후방 측부 상에, 통상적으로 솔라 셀로부터 나오는 솔라 모듈의 접촉 요소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속 장치 또는 연결 박스, 예를 들면 연결 포일 또는 연결 스트립이 제공되며, 상기 연결 포일 또는 연결 스트립은 후방 측부 상에 라인 또는 케이블로 연결된다. 복수의 접속 장치 및 이에 따른 솔라 모듈은 케이블을 경유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태양 모듈의 일련의 상호 연결은 더 높은 전압의 발생을 달성하기 위해 관습적이다. 더욱이, 솔라 모듈은 케이블을 경유하여 예를 들면 인버터와 같은 장치로 연결될 수 있다.
종래의 구성에서, 또한 연결 박스 또는 솔라 박스로서 지칭되는 접속 장치는 솔라 모듈을 관통하는 접촉 요소를 통과하기 위한 관통 개구를 구비한 하우징, 및 접촉 요소와 접촉하기 위해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접촉 수단을 포함한다. 접촉 수단은 예를 들면 클램프에 연결되는 전도체 바아를 포함하며 상기 전도체 바아는 솔라 모듈의 접촉 요소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전도체 바아로 상기 케이블 또는 이들의 전도체가 또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케이블은 예를 들면 하우징 상에 제공된 케이블 글랜드에 의해 케이블 단부의 구역에 하우징에 체결될 수 있다. 케이블의 마주하는 단부에서, 케이블은 보통 플러그-및-소켓 커넥터가 제공되며, 이는 인버터로 케이블의 부착 또는 상이한 접속 장치(예를 들면, 연속 상호 연결을 위해)의 케이블의 간단한 연결을 허용한다.
공지된 접속 장치의 하나의 단점은 하나의 케이블 단부에 의해 접속 장치로 체결되는 케이블이 단지 부적절하게 또는 안전하지 않게 접속 장치에 홀딩 또는 고정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하나의 현재의 실시는 예를 들면 케이블을 케이블 타이의 도움으로 저장 또는 운반하기 위한 접속 장치의 하우징으로 고정하기에 일시적이고, 접착 테이프를 이용함으로써 또는 클립 체결된다. 이는 예를 들면 케이블의 매달림, 및 가능하게는 운반 동안 케이블에 대한 손상과 같은 문제점으로 링크된다. 더욱이 케이블의 임시 고정은 솔라 모듈 상에 접속 장치를 장착하고 솔라 모듈 상에 최종 전기 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어렵게 하며, 여기에서 문제의 상기 솔라 모듈은 솔라 모듈 상에 배치되는 접속 장치의 케이블을 경유하여 접촉된다.
하나의 추가의 문제점은 케이블 단부 상에 배치되는 플러그-및-소켓 커넥터가 개방되거나 자유롭게 접근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는 플러그-및-소켓 커넥터의 접촉 요속 예를 들면 물 및 먼지와 같은 영향에 노출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이에 따라 "오염된" 플러그-및-소켓 커넥터에 의해 실현되는 플러그-인 연결이 손상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솔라 모듈용 접속 장치에 대한 개선된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접속 장치에 의해 그리고 청구항 10에 따른 솔라 모듈에 의한 접속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용한 실시예들이 종속 청구항들에 제시된다.
본 발명에 따라, 솔라 모듈용 접속 장치가 제안된다. 접속 장치는 하우징 및 솔라 모듈의 접촉 요소를 접촉하기 위한, 하우징에 배치된, 접촉 수단을 가진다. 접속 장치는 접촉 수단으로의 전기 접속 없이 하우징 상에 배치되는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에 의해 구별되며, 상기 블라인드 정합 커네터 상으로, 플러그-및-소켓 커넥터가 플러그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이 같은 접속 장치가 구비된 추가의 솔라 모듈이 제안된다.
하우징 상에 배치된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는 플러그-및-소켓 커넥터를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이에 따라 케이블의 케이블 단부는 하우징에 분리가능하게 플러그-및-소켓 커넥터가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면 다른 단부에 의해 하우징에 이미 체결되고 연결 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이 접속 장치의 운반 및 저장 동안, 그러나 또한 솔라 모듈 상의 접속 장치의 장착과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더욱이, 플러그-및-소켓 커넥터(또는 플러그-및-소켓 커넥터 내에 배치된 접촉 요소)는 예를 들면 물 및 먼지와 같은 외부 영향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케이블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 수단을 가진다. 체결 수단은 하우징 내로 케이블이 관통하여 통과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에 의해 케이블(또는 이의 컨덕터)은 접촉 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같은 체결 수단은 예를 들면 케이블 글랜드의 형태로 하우징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접속 장치는 하나의 (자유) 케이블 단부에 플러그-및-소켓 커넥터를 구비한, 접촉 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가진다. 문제의 케이블 단부는 플러그-및-소켓 커넥터를 경유하여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케이블의 타 단부는 예를 들면 전술된 체결 수단의 도움으로 하우징에 체결될 수 있다.
케이블의 임시 고정에 부가하여,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는 솔라 모듈의 기능 테스트 또는 최종 검사에 대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접속 장치가 솔라 모듈에 부착되면 이 같은 기능 테스트가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추가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플러그-및-소켓 커넥터의 상보적 접촉 요소와 플러그될 수 있는 접촉 요소를 가지도록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솔라 모듈의 솔라 셀(들)로의 전기 접속(플러그-및-소켓 커넥터, 케이블, 접촉 수단, 솔라 모듈의 접촉 요소를 경유하여)은 기능적 테스트를 수행하도록, 예를 들면 암형 접촉부의 형태로 또는 접촉 핀의 형태가 되는,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의 접촉 요소와 접촉함으로써 생산될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는 접근 개구를 가지며 접근 개구를 경유하여 플러그-및-소켓 커넥터가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 상으로 플러그될 때 조차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의 접촉 요소가 접촉될 수 있다. 이는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의 접촉 요소는 예를 들면 접근 개구를 통한 접촉 요소까지 대응하는 테스팅 장치의 테스트 핀을 연결하고 상기 요소에 대해 가압함으로써 기능 테스트의 상황에서 간단한 방식으로 접촉될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의 접촉 요소는 접근 개구의 구역에 편평한 섹션을 가진다. 이 같은 구성은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의 접촉 요소의 상대적인 고정 접촉을 허용한다.
추가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접속 장치는 접촉 수단으로 전기 접속 없이 제 1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 하나의 케이블 단부에서 제 1 플러그-및-소켓 커넥터와의 접촉 수단으로 전기 접속 없이 제 2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 연결 수단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케이블, 및 하나의 케이블 단부에서 제 2 플러그-및-소켓 커넥터와의 접촉 수단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케이블을 가진다. 제 1 케이블의 단부는 제 1 플러그-및-소켓 커넥터를 경유하여 제 1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로 체결될 수 있다. 제 2 케이블의 단부는 제 2 플러그-및-소켓 커넥터를 경유하여 제 2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로 체결될 수 있다. 더욱이, 제 1 및 제 2 플러그-및-소켓 커넥터는 서로 플러그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두 개의 케이블의 단부들은 관련된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 상의 대응하는 플러그-및-소켓 커넥터와 안전하게 "파킹(park)"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이 같은 접속 장치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는 일련의 연결이며, 각각의 경우 상이한 접속 장치의 제 1 및 제 2 케이블은 대응하는 플러그-및-소켓 커넥터를 경유하여 함께 플러그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제 1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는 제 1 접촉 요소를 가지며 제 2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는 제 2 접촉 요소를 가진다. 더욱이, 제 1 및 제 2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는 각각 접근 개구를 가지며 플러그-및-소켓 커넥터가 각각 제 1 또는 제 2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 상으로 플러그될 때조차 접근 개구를 경유하여 제 1 및 제 2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의 제 1 및 제 2 접촉 요소는 접촉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의 접근 개구는 제 1 및 제 2 접촉 요소가 동일한 접촉 방향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는 두 개의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의 양 접촉 요소가 접촉되는, 기능적 테스트가 간단하고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1은 솔라 모듈 상에 배치되는 접속 장치 및 솔라 모듈의 측방향 단면도이며;
도 2는 일렬로 연결되는, 도 1의 두 개의 접속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플러그-및-소켓 커넥터가 제공된 케이블이 접속 장치의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로 연결되는, 접속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비-플러그된 상태에서 도 3의 핀 플러그의 및 두 개의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 중 하나의 상이한 단면도이며;
도 6은 플러그된 상태에서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 및 핀 플러그의 도 4에 대응하는 도면이며;
도 7 및 도 8은 비-플러그된 상태에서 도 3의 소켓 플러그 및 두 개의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 중 다른 하나의 상이한 단면도이며;
도 9는 플러그된 상태에서 소켓 플러그 및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의 도 7에 대응하는 도면이며;
도 10은 도 3의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 및 플러그-및-소켓 커넥터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11은 추가의 접속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2 및 도 13은 추가의 접속 장치의 도면이다.
도 1은 접속 장치(100)이 제공되는 광전지 솔라 모듈(400)의 측방향 단면도이다. 솔라 모듈(400)은 방사선 측 상에 전방(투명) 층(420) 및 후방 측 상에 층(421)을 구비한 샌드위치 구조를 포함하며, 그 층들 사이에 하나 이상의 솔라 셀(410)이 배치된다. 두 개의 층들(420, 421)은 예를 들면 유리면들, 또는 대안적으로 다른 재료(특히,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층들 또는 시트일 수 있다. 이러한 성분에 부가하여, 솔라 모듈(400)은 추가의 성분(도시안됨), 예를 들면 층들(420, 421) 사이에 배치되고 솔라 셀(들)(410)이 매립되는 (투명한) 매립 층 또는 접착 층, 및 샌드위치 구조를 둘러싸는 프로파일형 프레임을 가질 수 있다.
특히 태양 광선과 같은 전자기 방사선으로 조사될 때 솔라 셀(410)은 전기 에너지를 발생하도록 설계된다. 전기 에너지(즉, 발생된 전압 또는 발생된 전류)를 탭 오프하고 방전하기 위해 그리고 복수의 솔라 셀(41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솔라 모듈(400)은 솔라 모듈(400)의 후방 측부 상의 접촉 요소(430)를 포함하거나 후방 측부 상에 있는 접촉 요소(430) 내로 통합되는 전도체 시스템을 가진다. 예에 의해, 개별 접촉 요소(430)는 도 1에 도시된다. 예를 들면 연결 포일의 형태 또는 연결 스트립의 형태인, 솔라 모듈(400)의 이 같은 접촉 요소(430)는 예를 들면 후방 측부 상에 있거나 층(421) 상 또는 층(421) 위로 돌출하는 층(421) 내의 피드-스루 개구(feed-through opening; 422)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박스 또는 솔라 박스로 지칭되는, 접속 장치(100)는 솔라 모듈(400)의 연결 요소(430)와 접촉하기 위해 그리고 추가로 연결 요소를 대응하는 케이블(300)들(이들 중 단지 하나의 케이블(300)이 도 1에 도시됨)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접속 장치(100)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하우징(110)을 가진다. 하우징(110)은 내부 챔버를 둘러싸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라 모듈(400)의 후방 측부에 또는 후방 측부 상에 있는 레이어(421)에 예를 들면 접착제(105)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또한 후방 측부 상에 있는 층(421)에 마주하여 위치된 측부 상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하우징 개구(119)를 가지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하우징 개구(119)를 통하여 솔라 모듈(400)의 접촉 요소(430)는 내부 챔버로 도입될 수 있다.
접속 장치(100)는 접촉 요소(430)와 접촉하고 접촉 요소를 전방에 연결하기 위해, 하우징(110)의 내부 챔버에 배열된 수단(180)을 포함하고, 상기 수단은 접촉 수단(180)으로서 아래에서 지칭된다. 접촉 수단(180)은 예를 들면 복수의 전도체 바아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전도체 바아는 예를 들면 접촉 요소(430)로 연결하기 위한 클램프 또는 클램프 수단이 제공된다.
접촉 요소(430)가 하우징(110)의 내부 챔버 내로 도입될 때 접촉 요소(430)와 접촉 수단(180)(또는 상기 수단(180)의 부품) 사이의 전기 접속은 수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110)은 예를 들면 내부 챔버를 노출하는 하우징 개구를 구비한 하우징 베이스 부분을 가지며, 접촉 수단(430)이 접촉 수단(180)으로 연결된 후 상기 베이스 부분은 덮개(도시 안됨)로 폐쇄된다.
선택적으로, 접촉 수단(180)은 접촉 요소(430)의 "자동" 접촉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접촉 요소(430)의 접촉 및 접촉 수단(180)으로의 접촉 요소의 체결은 부가 수동 작동이 필요하지 않고, 하우징 개구(119)를 통하여 도입시 자동적으로 발생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하우징(110)은 또한 덮개(내부 챔버를 폐쇄하기 위해 이용되는) 없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솔라 모듈(400)의 접촉 요소(430)와 관련된 케이블(300)(특히 두 개의 케이블(300), 도 2 참조) 사이의 전기 접속은 접촉 수단(180)을 경유하여 생성된다. 이를 위해, 접속 장치(100)는 하우징(100)으로 케이블(300)을 체결하기 위한 케이블(300)들 각각에 대한 체결 수단(190), 각각의 경우 케이블(300)을 내부 챔버 내로 관통하여 접촉 수단(180)(도 1 및 도 2 참조)으로 통과하기 위한 개구를 가지는 체결 수단(190)을 가질 수 있다. 체결 수단(190)은 특히 케이블 글랜드의 형태로 하우징(1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케이블 외장(320)에 의해 덮혀지는, 예를 들면 꼬아진 라인의 형태의, 전기 전도체(310)를 가진다. 접촉 수단(180)과의 전기 접속을 생성하도록, 당해 케이블(30)은 하나의 케이블 단부에서 벗겨질 수 있어, 전도체(310)의 부분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하여, 케이블(300)은 체결 수단(190)에서 개구를 통하여 내부 챔버 내로 가압될 수 있고, 전도체(310)는 접촉 수단(180)(또는 특히 수단(180)의 전도체 바아와 같은 부품으로)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도체(310)는 예를 들면 나사조립, 납땜 또는 용접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후속적으로, 케이블 외장(320)의 체결 또는 타이트한 클램핑은 체결 수단(190)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체결 수단에 의해 내부 챔버는 또한 동시에 이러한 지점에서 밀폐될 수 있다. 전술된 케이블 글랜드에 대해, 케이블 외장(320)은 클램핑 너트를 장착 또는 타이트하게 나사 조립함으로써 단단히 클램핑될 수 있다. 케이블 글랜드의 추가의 상세는 아래에서 추가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접속 장치(100)들 중 두 개를 평면도로 보여주며, 이에 의해 추가의 상세부가 더 명료하게 된다. 각각의 접속 장치(100)는 두 개의 케이블(300)을 가지며, 각각의 경우 케이블(300)의 일 단부는 관련된 체결 수단(190)을 경유하여 접속 장치(100)의 하우징(110)으로 체결된다. 하우징(110)은 평면도로 볼 때 라운드처리된 "모서리" 또는 에지를 구비한 실질적인 사변형 또는 직사각형인 형태를 가지며, 체결 수단(190)은 라운드처리된 에지들 중 두 개 위에 배열된다. 이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45°의 각도로 외측으로 각도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에 체결되지 않는 케이블 단부에서, 케이블(300)은 플러그-및-소켓 커넥터(220, 250)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은 이러한 경우 접속 장치(100) 당, 또한 핀 플러그(220)로서 아래에서 지칭되는 "수형(male)" 커넥터, 및 또한 소켓 플러그(250)로서 아래에서 지칭되는 "암형(female)" 커넥터이다. 접속 장치(100), 및 접속 장치(100)를 경유하여 접촉되거나 접촉가능한 이러한 솔라 모듈(400)이 결과로서, 특히 인버터와 같은 추가의 장치로 연결될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단부 상에 제공되는 플러그-및-소켓 커넥터(220, 250)에 의해 일렬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이한 플러그-및-소켓 커넥터(220, 250)의 사용은 단지 미리 결정된 극성으로 접속 장치(100)를 연결하도록 역-극성 보호(reverse-polarity protection)의 제공을 허용한다.
접속 장치(100)를 경유하여 솔라 모듈(400)의 직렬 연결에 대해, 개별 솔라 모듈(400)을 구비한 보호 또는 우회 다이오드와 결합하도록 추가로 제공되며 개별 솔라 모듈에 의해 직렬 연결을 통한 전류 유동은 솔라 모듈(400)들 중 하나가 충분한 방사선이 제공되지 않거나 차단되는 경우조차 보장될 수 있다. 이 같은 다이오드는 접속 장치(100)(예를 들면 전술된 전도체 바아들 사이)의 접촉 수단(180)의 영역 내에 또는 접촉 수단의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각각의 접속 장치(100)는 체결 수단(190) 사이의 하우징(110)의 일 측부 상에 두 개의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 150)를 가지며, 이 정합 커넥터는 접촉 수단(180)으로 전기 접속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는 "암형" 커넥터 또는 플러그의 형태이며, "암형" 커넥터 또는 플러그 상으로 케이블(300)의 일 단부 상에 핀 플러그(220)가 플러그될 수 있다. 한편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50)는 "수형" 커넥터 또는 플러그의 형태이며, "수형" 커넥터 또는 플러그 상으로 하나의 케이블 단부에 제공되는 소켓 플러그(250)가 플러그될 수 있다.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 150)를 구비한 접속 장치(100)의 구성에 의해, 플러그-및-소켓 커넥터(220, 250) 또는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 150)로/블라인드 정합 커넥터 상의 플러그-및-소켓 커넥터의 케이블 단부가 제공되는, 임시 체결 또는 "파킹(parking)"의 가능성이 있다. 이 같은 파킹은 예에 의해 도 3에서 접속 장치(100)의 사시도로 도시된다. 이러한 경우, 케이블(300)(케이블 길이에 따라)은 하나의(또는 대안적으로 몇 개(several)) 코일로 감겨질 수 있다.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 150)를 경유하여 달성되는 케이블(300)의 탈착가능한 고정은 접속 장치(100)의 운반 및 저장 동안, 그러나 또한 솔라 모듈(400) 상의 접속 장치(100)의 장착과 관련하여 케이블(300)을 고정할 가능성을 제공한다.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에 연결되는 플러그-및-소켓 커넥터(220, 250) 또는 플러그-및-소켓 커넥터(220)에 배열되는 접촉 요소(230, 260)는 또한 예를 들면 물 및 먼지와 같은 외부 영향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더욱이,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 150)는 솔라 모듈(400)의 최종 검사의 수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대응하는 접속 장치(100)의 부착 후). 이를 위해,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 150)는 접촉 수단(180)으로 추가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한정된 위치에서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접근가능한 일체형 접촉 요소(130, 160)를 가진다.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 150) 및 플러그-및-소켓 커넥터(220, 250)의 이러한 및 추가의(가능한) 특징은 아래에서 추가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접속 장치(100)의 추가의 (가능한) 구성은 도 3을 참조하여 명확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하우징(110)은 두 개의 대향되는 측부 상에, 예를 들면 각각의 경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리브(114)들의 형태로 구조물을 가진다. 리브(114)들은 하우징(110)으로 증가된 기계적 안정성을 전달할 수 있다. 더욱이, 리브(114)들은 또한 예를 들면 솔라 모듈(400) 상에 접속 장치(100)의 장착 시, 더 용이한 취급으 허용할 수 있다.
도 3은 케이블 글랜드(또한 도 11 참조)의 형태로 체결 수단(190)의 구성을 추가로 보여준다. 체결 수단(190)은 각각의 경우 하우징(110)에 연결되는(또는 하우징에 사출-성형되는) 중공형-원통형 또는 포트-형 섹션(191) 및 이 섹션(191) 상에 나사 조립될 수 있는 내부 나사부를 구비한 중공형-원통형 섹션(192)을 가진다. 상기 섹션(191)은 케이블(300)이 하우징(110) 내로 통과하기 위한 전술된 개구를 포함한다. "클램핑 너트"(192)로서 아래에서 또한 지칭되는 섹션(192)은 상기 섹션(191)으로의 나사 조립을 용이하게 하도록 또는 툴(tool)의 이용에 의해 나사 조립을 허용하도록 하나의 에지 상에 예를 들면 6각형의 형태로 작동 영역(193)을 가진다. 상기 섹션(191) 상에 클램핑 너트(192)를 나사 조립시 내측으로 가압되는 상기 섹션(191)과 클램핑 너트(192) 사이에 밀봉 또는 클램핑 링(도 3에 도시 안됨)에 추가로 배치되어, 상기 섹션(191) 내로 도입되는 케이블(300)의 케이블 외장(320)이 클램핑될 수 있고 케이블 외장(320)이 결론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는 또한 하우징(110)의 내부 챔버가 이 때 밀봉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케이블 글랜드의 추가의 (가능한) 상세는 또한 (이 같은) 케이블 글랜드가 제공되는 플러그-및-소켓 커넥터(220, 250)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추가로 명백하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암형"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 및 도 3의 하나의 케이블 단부(도시안됨) 상에 제공된 핀 플러그(220)를 각각의 경우 플러그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6은 서로 조립된 상태에서 이러한 두 개의 부품(120, 220)의 측방향 단면도를 보여준다.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는 하우징(110)에 연결되거나 하우징(110)으로 사출 성형되는 하우징 부분을 포함하며, 전방 측부 상의(즉, 도 4 내지 도 6의 좌측 상의) 상기 부분은 실질적으로 중공-원통형 또는 포트형 섹션(123)을 가진다. 아래에서 "리셉터클" 또는 "수용 섹션"(123)으로서 지칭되는, 섹션(123) 내에,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의 금속 접촉 요소(130)가 배열된다. 본 발명의 경우 접촉 요소(130)는 실질적인 원통형 구성을 구비한 암형 접촉부(130)의 형태이다.
암형 접촉부(130)는 전방 측부 상에 절개부(cutout)를 구비한 수용 영역(131)을 가지며, 절개부 내로 핀 플러그(220)의 접촉 요소(230)가 삽입될 수 있다. 수용 영역(131)에 인접하여, 암형 접촉부(130)는 추가로 주위 에지 또는 스텝(step)을 구비한 체결 영역(135)을 가지며, 주위 에지 또는 스텝은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의 대응하는 스텝-형 홀딩 영역(125)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홀딩된다. 하나의 후방 단부에서, 암형 접촉부(130)는 편평한 섹션을 구비한 영역(138)을 가지며 편평한 섹션은 암형 접촉부(130)가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에 부착될 때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의 입방형 공동에 배치된다. 공동, 및 이에 따른 암형 접촉부(130)의 영역(138)은 리셉터클(123)로부터(또는 전방 측부 상에 있는 이의 개구로부터) 분리되는 출입 개구(128)에 의해 노출되며, 이는 기능 테스트의 상황하에서 암형 접촉부(130)가 용이하게 접근가능하거나 아래에서 추가로 더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핀 플러그(220)가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 상으로 플러그될 때 외부로부터 접촉될 수 있다. 리셉터클(123) 및 개별 출입 개구(128)는 상이한 방향 또는 서로에 대한 방위로 배향된다.
암형 접촉부(130)를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로 부착하도록, 암형 접촉부(130)는 외부로부터 리셉터클(123) 내로 도입되고 영역들(125, 135)의 스텝들이 서로 인접하거나 암형 접촉부(130)를 위한 정지부로서 작용할 때까지 암형 접촉부(130)의 체결 영역(135)은 홀딩 영역(125) 내로 밀거나 누른다.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 내의 이러한 암형 접촉부(130)의 "단부 위치"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다.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123) 까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바형 래치 클립(124)이 제공되며, 상기 클립은 리셉터클(123)의 방향으로 지향된(또는 하방으로) 래치 에지 또는 래치 돌출부를 전방 측부에 가진다. 래치 클립(124)은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에 탈착가능하게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으로 연결될 수 있는 핀 플러그(220)를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핀 플러그(220)는 두 개의 실질적인 중공-원통형 플러그 부분(221, 222)을 포함한다.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는 두 개의 플러그 부분(221, 222)은 또한 서로 대응하는 나선형 섹션(226, 227)을 구비한 케이블 글랜드의 행태이며, 플러그 부분(221)은 외부 나사부(226)를 구비한 베이스 부분(221)으로서 작용하고 플러그 부분(222)은 내부 나사부(227)를 구비한 클램핑 너트(222)로서 기능한다.
베이스 부분(221) 내에, 접촉 핀(230)의 형태로 금속 접촉 요소는 대응하는 절개부에 배치된다. 접촉 핀(230)은 전방 측부 상에(즉, 도 4 내지 도 6의 우측 상에) 핀 영역(231)을 가지며 핀 영역은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의 암형 접촉부(130)의 수용 영역(131)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는 두 개의 접촉 요소(130, 230)가 서로 접촉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접촉 핀(230)의 핀 구역(231)은 전방 측부 상의 베이스 부분(221)의 단부로부터 후방/내부를 향하여 연장하는 개구 또는 개구 구조물(223) 내에 제공되며, 상기 개구 또는 구조물은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의 리셉터클(123)의 형상에 정합된다.
후방 단부에서, 접촉 핀(230)은 절개부 없는 주름 영역(238)을 가지며, 절개부의 도움으로 케이블(300)의 전도체(310)는 접촉 핀(230)(도시안됨)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핀 영역(231)과 주름 영역(238) 사이에, 접촉 핀(230)은 스프링-링 영역(235)으로서 아래에서 지칭되는, 추가의 영역(235)을 더 가지며, 스프링-링 영역 위에, 베이스 부분(221) 위/내 접촉 핀(230)을 체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스프링 링(도시안됨)이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링 영역(235)은 두 개의(반지름 방향) 주위 에지 또는 스텝에 의해 제한되어, 핀 영역(231)에 더 근접하게 위치되는 상기 에지는 (반지름 방향으로 또는 원형으로) 주위 상승 섹션(232)의 부분이다.
케이블(300) 상에 핀 플러그(220)의 장착시, 우선 당해 케이블 단부가 벗겨지고, 케이블 외장(320)의 일 부분이 제거되고 전도체(310)의 부분이 노출된다. 노출된 전도체(310)는 접촉 핀(230)의 주름 영역(238)으로 주름 형성(crimping)함으로써 추가로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도체(310)는 주름 영역(238) 내의 절개부 내로 도입되고, 접촉 핀(230)은 주름 플라이어에 의해 주름 영역(238)에서 압축되거나 변형되며, 주름 플라이어는 주름 영역(238)에/내에 전도체(310)를 고정한다. 후속적으로, 전도체(310)에 그리고 이에 따라 당해 케이블 단부에 연결되는 접촉 핀(230)은 개구(223)에 대해 마주하는 단부에 있는 후방 측부 상의 개구에서 베이스 부분(221) 내로 도입된다. 이러한 경우, 클램핑 너트(222)는 미리 베이스 부분(221) 상으로 나사조립될 수 있다(약간).
베이스 부분(221)은 접촉 핀(230)을 수용하는 절개부 상에, 내향(반지름 방향) 주위 상승 섹션(225)을 가지며, 상기 주위 상승 섹션을 지나 스프링-링 영역(235)상의 접촉 핀(230) 상에 제공되는 스프링 링(도시 안됨)은 접촉 핀(230)의 삽입시 압축 상태로 이동된다. 상승 섹션(225)이 통과되자 마자, 스프링 링은 다시 팽창 또는 확대되고 스프링 링이 베이스 부분(221) 상의 접촉 핀(230)을 래칭하거나 록킹한다.
베이스 부분(221)과 클램핑 너트(222) 사이에 또한 강성 재료(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외부 클램핑-링 부분(246) 및 탄성 재료(예를 들면 고무 재료)로 제조된 내부 클램핑-링 부분(245)으로 구성되는 클램핑 링이 배치된다. 접촉 핀(230)이 베이스 부분(221) 상에 래칭될 때, 케이블(300)의 적절한 단부에서 케이블 외장(320)의 부분은 클램핑 링 또는 내부 클래핑-링 부분(245)에 의해 둘러싸인다. 클램핑 너트(222)는 내부 상에 베벨(258)을 가지며 베벨에 클램핑-링 부분(246)이 (두꺼워진) 단부 섹션으로 놓인다. 따라서 베이스 부분(221) 상에 클램핑 너트(222)의 (추가의) 나사 조립이 클램핑 링을 초래하며, 결론적으로 클램핑 링 부분(245)은 점차적으로 내측으로 가압하여 이러한 지점에서 케이블(300)의 케이블 외장(320)을 클램프하여 결론적으로 케이블 외장을 고정한다. 이는 케이블(300)에 대해 고정 또는 당김 해제 뿐만 아니라 이 지점에서 동시에 핀 플러그(220)의 밀봉(후방 측부 상의)이 발생한다. 클램핑 너트(222)의 나사 조립을 용이하게 하도록, 클램핑 너트(222)는 하나의 에지에 예를 들면 6각형(도 10 참조)의 형태의, 작동 영역(243)을 가진다.
일 단부에 핀 플러그(220)가 제공되는 케이블(300)은 케이블을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로 연결함으로써 임시적으로 파킹될 수 있다. 이 같은 경우, 핀 플러그(220)는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 상으로 가압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의 리셉터클(123)이 핀 플러그(220) 내의 전방 측부 상의 개구(223) 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동시에 접촉 핀(230)의 핀 영역(231)은 암형 접촉부(130)의 수용 영역(131) 내로 삽입되고 결론적으로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의 암형 접촉부(130)와 핀 플러그(220)의 접촉 핀(230) 사이의 전기 접속이 발생된다.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로(그러나 또한 예를 들면 다른 접속 장치(100)의 케이블(300)의 소켓 플러그(250)) 핀 플러그(220)의 (수동) 연결 및 취급을 용이하게 하도록, 핀 플러그(220)의 베이스 부분(221)은 상측부 및 하측부(도 4 내지 도 6 참조) 상의 절개부(241) 및 두 개의 측방향의 편평한 파지 섹션(242)(도 10 참조)을 더 가진다.
더욱이, 각각의 경우 래치 에지(224)의 형태의 구조는 상측부 및 하측부 상의 절개부(241)들 중 전방 절개부의 형태이다. 핀 플러그(220)가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220) 상으로 플러그되고, 래치 에지(224)들 중 하나는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의 래치 클립(124)(도 4 및 도 5에 도시된)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둘러싸이거나 결합되며, 래치 클립은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로부터 비의도적인 분리에 대해 핀 플러그(220)를 고정한다. 대응적으로, 양 래치 에지(224)들은 상이한 접속 장치(100)의 소켓 플러그(220, 250)와 핀 플러그 사이에 연결을 고정하도록, 소켓 플러그(250)의 래치 클립(254)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도 10 참조). 체결의 각각의 분리에 대해, 소켓 플러그(250)의 래치 클립(254) 또는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의 래치 클립(124)은 래치 에지(들)(224)과의 결합을 해체하도록 상승 또는 작동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각각의 경우 비-플러그된 상태에서 측방향 단면도 및 단면처리된 사시도로 도 3의 하나의 케이블 단부(도시안됨) 상에 제공된 소켓 플러그(250) 및 "수형"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50)를 보여준다. 도 9는 서로 조립된 상태로 이러한 두 개의 부품들(150, 250)의 측방향 단면도를 보여준다.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50)는 하우징(110)으로 연결되거나 하우징(110) 상으로 사출 성형되며, 상기 부분은 전방 측부 상에(즉, 도 7 내지 도 9의 우측 상에) 리셉터클 또는 수용 섹션(153)으로서 아래에서 지칭되는, 실질적인 중공-원통형 또는 포트-형 섹션(153)의 형태이다. 리셉터클(153)은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소켓 플러그(250)의 형상에 정합되고 개구 내에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50)의 금속 접촉 요소(160)가 배치된다. 접촉 요소(160)는 실질적인 원통형 형상을 구비한 접촉 핀(160)의 형태이다.
접촉 핀(160)은 소켓 플러그(260)의 접촉 요소(260) 내로 삽입될 수 있는 핀-형상 영역(161)을 전방 측부 상에 가진다. 핀 영역(161)에 인접하게, 접촉 핀(160)은 (방사상으로) 주위 상승 섹션(166) 및 체결 영역(165)을 가진다. 접촉 핀(160)은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50) 상에 배치되고 체결 영역(165)은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50)의 홀딩 영역(155)에 의해 둘러싸인다.
후방 단부에서, 접촉 핀(160)은 편평한 섹션을 구비한 영역(168)을 가지며, 편평한 섹션은 접촉 핀(160)이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50)로 부착될 때,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50)의 입방형 공동에 배치된다. 공동 및 이에 따라 접촉 핀(160)의 영역(168)은 리셉터클(153)로부터(또는 전방 측부 상에 있는 리셉터클의 개구로부터) 분리되는 출입 개구(158)에 의해 노출되며 이는 아래에서 추가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소켓 플러그(250)가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50) 상으로 플러그될 때 기능 테스트 상황에서 접촉 핀(160)이 출입가능하거나 접촉될 수 있다. 리셉터클(153) 및 개별 출입 개구(158)는 서로 상이한 방향 또는 배향으로 지향된다.
접촉 핀(160)을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50)로 부착하도록, 접촉 핀(160)은 외부로부터 리셉터클(153) 내로 도입되며 접촉 핀(160)의 체결 영역(165)은 상승된 섹션(166)이 리셉터클(153)의 대응하는 내부 벽 영역과 인접하여 접촉 핀(160)을 위한 정지부로서 작용할 때까지 홀딩 영역(155) 내로 밀거나 누른다.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50) 내의 접촉 핀(160)의 "단부 위치"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다.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50)로 연결될 수 있는 소켓 플러그(250)는 두 개의 실질적인 중공-원통형 플러그 부분(251, 252)을 포함한다.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는 두 개의 플러그 부분(251, 252)은 또한 서로 대응하는 나사형 섹션(256)을 구비한 케이블 글랜드의 형태이며, 플러그 부분(251)은 외부 나사부(256)를 구비한 베이스 부분(251)으로서 작용하고, 플러그 부분(252)은 내부 나사부(257)를 구비한 클램핑 너트(252)로서 기능한다.
베이스 부분(251) 내에, 암형 접촉부(260)의 형태의 금속 접촉 요소는 대응하는 절개부 내에 배치된다. 암형 접촉부(260)는 전방 측부 상에(즉, 도 7 내지 도 9의 좌측 상에) 수용 영역 또는 소켓 영역(261)을 가지며 수용 영역 또는 소켓 영역 내로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50)의 접촉 핀(160)의 핀 영역(161)이 삽입될 수 있고, 수용 영역 또는 소켓 영역에 의해 두 개의 접촉 요소(160, 260)가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암형 접촉부(260)의 소켓 영역(261)은 베이스 부분(251)이 전방 측부 상의 삽입 영역(253) 내에 제공되며, 상기 부분은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50)의 리셉터클(153)의 형상에 (또는 리셉터클(153)에 의해 둘러싸이는 절개의 형상에) 정합된다.
후방 단부에서, 암형 접촉부(260)는 절개부를 구비한 주름 영역(268)을 가지며, 주름 영역에 의해 케이블(300)의 전도체(310)(상술된 접촉 핀(230)을 구비한 것으로서)가 주름에 의해 암형 접촉부(260)(도시안됨)로 연결될 수 있다. 소켓 영역(261)과 주름 형성 영역(268) 사이에, 암형 접촉부(260)는 또한 스프링-링 영역(265)을 가지며, 베이스 부분(251)상/베이스 부분 내 암형 접촉부(260)를 체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스프링-링 영역 상에 스프링 링(도시안됨)이 배치될 수 있다. 암형 접촉부(260)의 경우 스프링-링 영역(265)은 (방사상) 주위 그루브에 의해 형성된다.
케이블(300)의 일 단부 상에 소켓 플러그(250)의 장착은 전술된 핀 플러그(220)로 비교가능하게 수행된다. 이러한 경우, 스트립형 케이블 단부에서 노출되는 케이블(300)의 전도체(310)는 주름에 의해 암형 접촉부(260)의 주름 형성영역(268)으로 체결된다. 후속적으로, 케이블 단부에 연결되는 암형 접촉부(260)는 삽입 영역(253)에 대한 마주하는 단부에서 후방 축부 상의 개구에서 베이스 부분(251) 내로 삽입되며, 클램핑 너트(252)가 이미 베이스 부분(251) 상으로 이전에 나사조립(다소)되는 것이 가능하다. 베이스 부분(251)은 암형 접촉부(260)를 수용하는 절개부 상에 내향(방사상) 주위 상승 섹션(255)을 가지며, 주위 상승 섹션을 지나 암형 접촉부(260)의 스프링-링 영역(265) 상에 제공되는 스프링 링(도시안됨)이 암형 접촉부(260)의 삽입시 압축 상태로 이동한다. 상승된 섹션(255)이 통과하자 마자, 스프링 링은 다시 팽창하거나 넓어져서, 암형 접촉부(260)를 베이스 부분(251)으로 고정된다.
전술된 핀 플러그(220)에 대응하여, 클램핑 링은 또한 소켓 플러그(250)의 경우 클램핑 너트(252)와 베이스 부분(251)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링은 강성 재료(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외부 클램핑-링 부분(276) 및 탄성 재료(예를 들면 고무 재료)로 제조된 내부 클램핑-링 부분(275)로 구성된다. 암형 접촉부(260)가 베이스 부분(251) 내로 삽입될 때, 당해 케이블(300)의 케이블 외장(320)의 부분은 클램핑 링 또는 내부 클램핑-링 부분(275)에 의해 둘러싸인다. 클램핑 너트(252)는 내부에 베벨(258)을 가지며 베벨에 대해 클램핑-링 부분(276)이 (두꺼워진) 단부 섹션에 놓인다. 따라서 베이스 부분(251) 상의 클램핑 너트(252)의 (추가) 나사 조립은 클램핑 링에서 초래되고, 결론적으로 클램핑-링 부분(275)가 점차적으로 내측으로 가압되어, 클램핑-링 부분은 이 지점에서 케이블 외장(320)을 클램핑하여 고정한다. 이는 동시에 또한 이 지점에서 소켓 플러그(250)의 밀봉(후방 측부 상)을 달성한다. 나사-고정(screwing-on)을 용이하게 하도록, 클램핑 너트(252)는 예를 들면 6각형(도 10 참조)의 형태의 작동 영역(273)을 하나의 에지 상에 가진다.
하나의 케이블 단부에 소켓 플러그(250)가 제공되는 케이블(300)은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50)에 연결함으로써 임시적으로 파킹될 수 있다. 이 같은 경우, 소켓 플러그(250)는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50) 상으로 플러그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플러그(250)의 삽입 영역(253)이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50)의 리셉터클(153) 내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 같은 경우, 동시에 접촉 핀(160)의 핀 영역(161)은 암형 접촉부(260)의 소켓 영역(261) 내로 삽입되고 결론적으로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50)의 접촉 핀(160)과 소켓 플러그(250)의 암형 접촉부(260) 사이의 전기 접속이 발생한다.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50)와 소켓 플러그(250) 사이의 향상된 고정을 달성하도록,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50)는 소켓 플러그(250) 상의 두 개의 측부 상에 형성되는 래치 클립(254)의 래치 돌출부가 결합할 수 있는 외부의 두 개의 그루브 또는 래치 노치(154)를 가진다. 래치 클립(254)은 래치 돌출부에 대해 마주하는 단부들에서, 노치 또는 그루브가 제공되는 작동 영역을 가지며, 상기 영역에서 래치 클립(254)을 피봇팅하고 결합을 해체하기 위해 작동될 수 있다.
상이한 접속 장치(100)의 핀 플러그와 소켓 플러그(220, 250) 사이의 연결에 대해(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되는 직렬 상호 연결에 대응하는), 상기 장치에서 소켓 플러그(250)의 베이스 부분(251)은 핀 플러그(220)의 베이스 부분(221)의 개구(223) 내로 삽입 영역(253)이 도입되고, 접촉 핀(230)은 암형 접촉부(260) 내로 삽입되고 전술된 바와 같이 소켓 플러그(250)의 래치 클립(254)은 핀 플러그(220)의 대응하는 래치 에지(224)를 둘러싼다. 이 같은 연결의 부가 밀봉을 위해, 소켓 플러그(250)는 또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플러그(250)의 삽입 영역(253) 상의 외부 상에 형성된 대응하는(반지름 방향으로 주위의) 그루브-형 구조에 홀딩되는, O-링(279)의 형태의 밀봉부가 제공된다.
접속 장치(100)의 블라인드 정합 연결부(120, 150)는 플러그-및-소켓 커넥터(220, 250)를 경유한 케이블 단부들의 임시적 체결에 부가하여, 또한 접속 장치(100)가 솔라 모듈(400) 상에 배치될 때 솔라 모듈(400)의 기능 시험 또는 최종 검사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솔라 모듈(400)의 솔라 셀(410)의 작동 모드가 체크될 수 있는 이 같은 기능 시험은 예를 들면 광 펄스의 형태로 특정 방사선에 솔라 모듈(400)을 노출하고, 접속 장치(100)를 경유하여 솔라 모듈(400)의 전류 또는 전압 발생을 측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300) 상에 제공되는 플러그-및-소켓 커넥터(220, 250)는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 150)로 연결된다.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 150)의 접촉 요소(130, 160)를 접촉함으로써, 플러그-및-소켓 커넥터(220, 250)의 접촉 요소(230, 260), 케이블(300) 또는 케이블의 전도체(310), 접촉 수단(180) 및 접촉 수단에 연결된 접촉 요소(430)를 경유하여 전류 또는 전압의 발생을 감지하도록 솔라 모듈(400)의 솔라 셀(들)(410)로의 전기 접속이 발생할 수 있다.
테스트 포인트로서 기능하는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 150)의 접촉 요소(130, 160)와 접촉하도록, 대응하는 시험 장치(도시안됨)의 대응하는 시험 접촉 또는 시험 핀은 접촉 요소(130, 160) 또는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 150)에서 출입 개구(128, 158)를 통하여 편평한 섹션이 제공되고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에 대해 가압될 수 있는 접촉 요소의 영역(138, 168)에 대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편평한 섹션이 구비된 영역(138, 168)의 구성은 이들의 상대적으로 안정된 접촉을 허용한다.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 150)의 접촉 요소(130, 160)의 접촉 또는 기능 테스트는 각각의 접속 장치(100)에 대해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 150)이 서로로부터 특정 거리에서 미리결정된 위치에 배열되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될 수 있다. 특히,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 150)의 접촉 요소(130, 160)가 동일한 접촉 방향으로 접촉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는 하나의 평면 내에 실질적으로 놓이도록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 개구(128, 158) 또는 출입 개구의 (직사각형) 에지 윤곽에 대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테스팅 장치로 기능 테스트를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접속 장치(100)에 부가하여, 전술되는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를 구비한 추가의 접속 장치가 실현될 수 있다. 유사한 또는 일치하는 부품, 사용될 수 있는 조립을 위한 방법 단계들, 가능한 장점 등에 관련되는 이미 설명된 상세에 대해, 상기 설명이 참조된다.
도 11은 접속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품을 가지는 접속 장치(101)의 대안적인 하나의 구성을 보여준다. 접속 장치(100)와 달리, 접속 장치(101)는 다소 변형된 형태를 구비한 하우징(111)을 가지며, 하우징 내에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 150)가 체결 수단(190)의 외부 상에 추가로 제공된다. 하우징(111)은 2차원 에지 영역(116)에 의해 외부 상에 추가로 둘러싸이며 하우징의 외벽 및 에지 영역(116)으로 연결되는 노치를 구비한 두 개의 측부 리브들(115)을 가진다. 리브들(115)은 하우징(111)의 더 큰 안정성이 발생할 수 있고 노치에 의해 하우징(111)의 간단한 취급을 더 증진한다.
도 12는 추가의 접속 장치(102)가 평면도로 도시되며, 추가의 접속 장치는 하우징(112)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112) 내에 배치된 접촉 수단(180) 및 접속 수단(180)에 대한 연결 없이 하우징(112) 상에 배치되는 두 개의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 150)를 구비한다. 플러그-및-소켓 커넥터(220, 250)가 제공되는 케이블(300)의 단부들은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 150)로 임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접속 장치(100, 101)와 달리, 케이블(300)을 위한 어떠한 체결 수단 또는 케이블 글랜드(190)도 접속 장치(102) 내에 제공되지 않는다. 이 대신, 두 개의 플러그 또는 플러그-및-소켓 커넥터(201)는 하우징(112) 상에 형성되고, 플러그 또는 커넥터의 접촉 요소는 접촉 수단(180)으로 연결된다. 대응적으로, 접속 장치(102) 상에 제공되는 케이블(300)의 케이블 단부는 플러그-및-소켓 커넥터(201)에 정합되거나 대응하는 접촉 요소를 가지는 플러그-및-소켓 커넥터(202)가 제공된다. 케이블(300)(또는 케이블의 전도체(310))은 따라서 플러그-및-소켓 커넥터(201) 상으로 플러그-및-소켓 커넥터(202)를 플러깅함으로써 접촉 수단(180)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플러그-및-소켓 커넥터(201, 202)는 서로 플러그될 수 있는 소켓 플러그 및 핀 플러그의 형태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술된 플러그-및-소켓 커넥터(220, 250)에 대응하거나 비교가능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2) 상에 제공된 플러그-및-소켓 커넥터(201)는 역-극성 보호에 대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플러그-및-소켓 커넥터(201)들 중 하나가 핀 플러그 형태이고 플러그-및-소켓 커넥터(201) 중 나머지는 소켓 플러그 형태이다.
도 13은 추가의 접속 장치(103)를 평면도로 보여주며, 여기에서 접속 장치(100, 101, 102)에서와 달리, 4개의 케이블(300)이 제공된다. 이 같은 구성은 예를 들면 접속 장치의 병렬 연결의 경우에 고려될 수 있다. 도시된 접속 장치(103)는 4개의 체결 수단(190) 및 4개의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 150)를 구비한 하우징(113)을 가지며, "암형"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가 예를 들면 하우징(113) 상의 체결 수단(190)들 사이에 제공되고 "수형"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50)는 예를 들면 하우징(113) 상의 체결 수단(190)의 외부에 제공된다. 케이블(300)은 체결 수단(190)에 체결되지 않는 케이블 단부 상에 대응하는 플러그-및-소켓 커넥터(220, 250)를 가진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접속 장치 및 이들의 부품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또는 예에 의한 실시예를 제공한다. 설명되고 도시되는 실시예들에 부가하여, 설명된 특징들의 추가 변형 또는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추가의 실시예가 생각된다.
가능한 변형은 예를 들면 상이하게 구성된 하우징, 또는 하우징 형태,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 플러그-및-소켓 커넥터, 체결 수단 또는 케이블 글랜드, 접촉 요소, 래치 요소 및 래치 수단, 등에 관련될 수 있지만, 또한 예를 들면 하우징 상의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의 상이한 개수에 관련될 수 있다. 또한,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 및 케이블 글랜드 또는 플러그-및-소켓 커넥터는 상이한 배향 또는 기하학적 형상으로 하우징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3의 접속 장치(103)에 대해, 체결 수단(190)을 플러그-및-소켓 커넥터(도 12에 대응됨)로 대체할 가능성이 있다.
하나의 추가의 가능한 변형은 설명되는 접촉 수단(180)에 관련된다. 예를 들면 설명된 클램프에 의해 예를 들면 나사조립, 납땜, 또는 용접에 의해 보다 상이하게 발생하기 위한 수단(180)에 대한 솔라 모듈(400)의 접촉 요소(430)의 연결을 위해 가능하다. 이는 특히 접촉 수단(180)의 "수동" 구성에 대해 경우이다.
더욱이, 접착에 의해 예를 들면 나사에 의해 보다 상이한 방식으로 솔라 모듈에 접속 장치의 하우징을 체결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더욱이, 접속 장치 상에 접촉 요소의 통합 없이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를 제공하는 가능성이 있다. 이 같은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는 케이블 단부 상에 제공된 플러그 또는 플러그-및-소켓 커넥터를 경유하여 케이블 단부를 파킹하기 위해 배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하우징(110, 111, 112, 113), 및
    솔라 모듈(400)의 접촉 요소(430)와 접촉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10, 111, 112, 113) 내에 배치되는, 접촉 수단(180)을 가지는, 솔라 모듈(400)용 접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촉 수단(180)에 대한 전기 접속 없이 상기 하우징(110, 111, 112, 113) 상에 배열되는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 150)로서, 상기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 상으로 플러그-및-소켓 커넥터(220, 250)가 플러그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 모듈용 접속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 111, 113)은 케이블(300)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 수단(190)을 가지며, 상기 체결 수단(190)은 상기 케이블(300)을 상기 하우징(110, 111, 113) 내로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는,
    솔라 모듈용 접속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수단(18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는 케이블(300)을 더 가지며, 하나의 케이블 단부에 플러그-및-소켓 커넥터(220, 250)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블 단부는 상기 플러그-및-소켓 커넥터(220, 250)를 경유하여 상기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 150)에 체결될 수 있는,
    솔라 모듈용 접속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 150)는 상기 플러그-및-소켓 커넥터(220, 250)의 상보적 접촉 요소(230, 260)와 플러그될 수 있는 접촉 요소(130, 160)를 가지는,
    솔라 모듈용 접속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 150)는 출입 개구(128, 158)를 가지며, 상기 출입 개구를 경유하여 상기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 150)의 접촉 요소(130, 160)는 상기 플러그-및-소켓 커넥터(220, 250)가 상기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 150) 상으로 플러그될 때조차 접촉될 수 있는,
    솔라 모듈용 접속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 150)의 접촉 요소(130, 160)는 상기 출입 개구(128, 158)의 영역 내에 편평한 섹션(138, 168)을 가지는,
    솔라 모듈용 접속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 150)의 접촉 요소(130, 160)는 접촉 핀(160) 또는 암형 접촉부(130) 중 하나인,
    솔라 모듈용 접속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수단(180)으로의 전기 접속 없는 제 1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
    상기 접촉 수단(180)으로의 전기 접속 없는 제 2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50),
    하나의 케이블 단부에서 제 1 플러그-및-소켓 커넥터(220)를 이용하여, 상기 접촉 수단(180)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케이블(300); 및
    하나의 케이블 단부에서 제 2 플러그-및-소켓 커넥터(220)를 이용하여, 상기 접촉 수단(180)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케이블(300)을 가지며,
    상기 제 1 케이블(300)의 단부는 상기 제 1 플러그-및-소켓 커넥터(220)를 경유하여 상기 제 1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로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케이블(300)의 단부는 상기 제 2 플러그-및-소켓 커넥터(250)를 경유하여 상기 제 2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50)로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플러그-및-소켓 커넥터(220, 250)는 서로 플러그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솔라 모듈용 접속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는 제 1 접촉 요소(130)를 가지며, 상기 제 2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50)는 제 2 접촉 요소(160)를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 150)는 각각 출입 개구(128, 158)를 가지며, 상기 출입 개구를 경유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 150)의 제 1 및 제 2 접촉 요소(130, 160)는 플러그-및-소켓 커넥터(220, 250)가 제 1 또는 제 2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 150) 상으로 각각 플러그될 때조차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블라인드 정합 커넥터(120, 150)의 출입 개구(128, 158)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 요소(130, 160)가 동일한 접촉 방향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솔라 모듈용 접속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접속 장치(100, 101, 102, 103)를 구비한,
    솔라 모듈.
KR1020127025880A 2010-03-04 2011-03-02 솔라 모듈용 접속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5014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02565A DE102010002565B8 (de) 2010-03-04 2010-03-04 Anschlussvorrichtung für ein Solarmodul
DE102010002565.8 2010-03-04
PCT/EP2011/053069 WO2011107497A2 (en) 2010-03-04 2011-03-02 Connection device for a solar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482A KR20130027482A (ko) 2013-03-15
KR101501430B1 true KR101501430B1 (ko) 2015-03-11

Family

ID=44503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5880A Expired - Fee Related KR101501430B1 (ko) 2010-03-04 2011-03-02 솔라 모듈용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632358B2 (ko)
EP (1) EP2438657B1 (ko)
JP (1) JP5687290B2 (ko)
KR (1) KR101501430B1 (ko)
CN (1) CN102598305B (ko)
CA (1) CA2763743C (ko)
DE (1) DE102010002565B8 (ko)
PH (1) PH12012501754A1 (ko)
WO (1) WO201110749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29648B2 (ja) * 2011-10-13 2015-06-03 ホシデン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端子ボックス
US10992254B2 (en) 2014-09-09 2021-04-27 Shoals Technologies Group, Llc Lead assembly for connecting solar panel arrays to inverter
DE102014219030B4 (de) * 2014-09-22 2016-07-07 Robert Bosch Gmbh Steckermodul
CN105811871B (zh) * 2016-03-18 2018-03-02 张家港协鑫集成科技有限公司 太阳能光伏接线盒组件
US11063375B2 (en) * 2017-12-06 2021-07-13 Zeon Corporation Connection instrument
SE542735C2 (en) * 2018-09-20 2020-06-30 Cc90 Composite Ab Solar panel mounting system
US12040742B2 (en) * 2019-05-15 2024-07-16 Xplor Llc Scalable solar modular array
CN110323623B (zh) * 2019-07-29 2024-02-20 浙江人和光伏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光伏电池的连接器
KR102514581B1 (ko) * 2021-03-04 2023-03-29 (주) 대하전선 태양광 모듈용 커넥터 어셈블리
US12347961B2 (en) * 2021-07-23 2025-07-01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Et Al Dead-end plugs for solar cabl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9002A1 (en) * 2000-03-15 2002-04-25 Yasushi Higashida Electrical connection box
JP2005286070A (ja) * 2004-03-29 2005-10-13 Kyocera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光発電装置
WO2008142016A1 (de) * 2007-05-18 2008-11-27 Anton Gensler Gmbh Elektrische anschlusseinrichtung für photovoltaische module
WO2009074335A1 (de) * 2007-12-13 2009-06-18 Yamaichi Electronics Deutschland Gmbh Anschlussdose, system, verfahren und verwendung

Family Cites Families (8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5570A (en) * 1969-03-10 1971-06-15 John T Jans Electrical terminal assembly
US4354727A (en) * 1980-08-15 1982-10-19 Heyman Manufacturing Company Contact strip for electrical connector
US4545638A (en) * 1982-06-21 1985-10-0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Rib cage terminal
US4647735A (en) * 1985-05-03 1987-03-03 Unimax Switch Corporation Electrical security device
US4921444A (en) * 1988-10-12 1990-05-01 C.C.C. Trading, Inc. Electric plug organizer
US5507667A (en) * 1994-05-11 1996-04-16 Asian Micro Sources, Inc. Power cord securing and storage device
JPH08163870A (ja) * 1994-12-13 1996-06-21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携帯型電子機器
US5630728A (en) * 1995-11-01 1997-05-20 Watters, Jr.; Henry W. Plug holder
US5700158A (en) * 1996-03-06 1997-12-23 Neiser; Gabe Cord-reel assembly mounted within a wall
US5775943A (en) * 1996-12-13 1998-07-07 Mcelhone; James J. Standby receptacles
JP3918245B2 (ja) * 1997-09-19 2007-05-23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US5964617A (en) * 1998-03-06 1999-10-12 Whirlpool Corporation Access panel with blind connector
US6074241A (en) * 1998-06-05 2000-06-13 The Whitaker Corporation Non-slip spring clamp contact
JP2000031517A (ja) * 1998-07-09 2000-01-28 Sekisui Chem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
US6354846B1 (en) * 1998-09-17 2002-03-12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nnection box
US6780047B1 (en) * 2000-03-24 2004-08-24 Intel Corporation Network communications system
US6352447B1 (en) * 2000-03-24 2002-03-05 Techsonic Industries, Inc. Cable bundle connector
US6428348B1 (en) * 2000-10-27 2002-08-06 Hewlett-Packard Company Power supply adapt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3744458B2 (ja) * 2002-04-10 2006-02-08 住友電装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端子ボックス装置
DE20308863U1 (de) * 2003-06-06 2003-08-21 Ria Btr Produktions Gmbh Anschlussklemme
US7442077B2 (en) * 2003-06-17 2008-10-28 Icp Global Technologies, Inc. Modular cable system for solar power sources
DE20311184U1 (de) * 2003-07-21 2004-02-19 Tyco Electronics Amp Gmbh Anschlussdose zum Anschließen an ein Solarpaneel
DE20311183U1 (de) * 2003-07-21 2004-07-08 Tyco Electronics Amp Gmbh Anschlussdose für ein Solarpaneel und Solarpaneel
US6848937B1 (en) * 2003-09-09 2005-02-01 Feng-Shen Hsiao Retractable extension cord housing having a low-profile plug holder
JP3744531B1 (ja) * 2004-05-07 2006-02-15 住友電装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端子ボックス及び整流素子ユニット
TWI236183B (en) * 2004-05-11 2005-07-11 Primax Electronics Ltd Configuration changeable adapter
JP3965418B2 (ja) * 2004-05-25 2007-08-29 木谷電器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端子ボックス
CN2716748Y (zh) * 2004-06-17 2005-08-10 玉环县阳光能源有限公司 一种太阳能组件接线盒的改良结构
US20060025009A1 (en) * 2004-07-28 2006-02-02 Shuming Wu Electrical plug
JP3767618B2 (ja) * 2004-08-19 2006-04-19 住友電装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端子ボックス
US7210960B2 (en) * 2005-08-01 2007-05-01 Mak Raymond Wai-Man Extension co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0435439C (zh) * 2006-02-16 2008-11-19 岑振华 一种接线盒
ITMI20060373A1 (it) * 2006-03-02 2007-09-03 Ilme Spa Connettore elettrico multipolare con contatti a molla
US7528323B2 (en) * 2006-04-03 2009-05-05 Hsinhan Wu Power supply cover box
DE102007017593B4 (de) * 2006-04-28 2011-07-21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32423 Elektrische Anschluß- und Verbindungsklemme
US7175469B1 (en) * 2006-07-21 2007-02-1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having dual tabbed wire trap
DE102007027861A1 (de) * 2006-10-04 2008-04-10 Günther Spelsberg GmbH & Co. KG Montageset für eine Elektrodose
TWM312817U (en) * 2006-10-12 2007-05-21 Powertech Ind Ltd Socket capable of winding wire
US7291036B1 (en) * 2006-11-08 2007-11-0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Photovoltaic connection system
DE102007020843A1 (de) * 2007-03-28 2008-10-02 Günther Spelsberg GmbH & Co. KG Paneldose
EP2143147B1 (de) * 2007-04-13 2011-09-28 Huber+Suhner AG Anschlussdosen
US7722384B2 (en) * 2007-07-09 2010-05-25 Ideal Industries, Inc. In-line push-in wire connector
US7695312B2 (en) * 2007-08-20 2010-04-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rd wrap and power plug receptacle arrangement for inflator
DE102007043178A1 (de) * 2007-09-11 2009-03-12 Yamaichi Electronics Deutschland Gmbh Anschlußdose, Solarpaneel, Kontaktvorrichtung und Verfahren
US8222533B2 (en) * 2007-10-02 2012-07-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Low profile photovoltaic (LPPV) box
US20110294363A1 (en) * 2007-10-31 2011-12-01 Anytek Technology Corporation, Ltd. Terminal table fastener
DE102008003448B4 (de) * 2008-01-08 2017-01-05 Yamaichi Electronics Deutschland Gmbh Anschlußdose, Verwendung, Solarpaneel, Kontaktelement, und Verfahren
US7614922B1 (en) * 2008-02-19 2009-11-10 Genlyte Thomas Group Llc Quick attachment junction box
US7833033B2 (en) * 2008-04-16 2010-11-16 Molex Incorporated Solar panel junction box and components thereof
DE102008022051A1 (de) * 2008-05-03 2009-11-19 Lumberg Connect Gmbh Anschlussdose für ein Solarmodul
DE102008022050B3 (de) * 2008-05-03 2009-02-26 Lumberg Connect Gmbh Anschlussdose für ein Solarmodul
DE102008022049B4 (de) * 2008-05-03 2010-07-15 Lumberg Connect Gmbh Anschlussdose zur Anbindung eines Solarmoduls
DE102008050155A1 (de) * 2008-05-09 2009-11-12 Yamaichi Electronics Deutschland Gmbh Verbindersystem, Verwendung und Verfahren
JP2009295722A (ja) * 2008-06-04 2009-12-17 Sharp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その製造方法、測定装置
DE102008028462A1 (de) * 2008-06-14 2009-12-17 Kostal Industrie Elektrik Gmbh Elektrische Anschluss- und Verbindungsdose für ein Solarzellenmodul
JP5279829B2 (ja) * 2008-07-14 2013-09-04 三菱電機株式会社 端子ボックス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ATE540564T1 (de) * 2008-08-29 2012-01-15 Heyco Inc Anschlussdose für fotovoltaiksysteme
US7914298B2 (en) * 2008-10-10 2011-03-2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olar box and two position solar connectors
DE102008052348B4 (de) * 2008-10-20 2016-12-29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Verbindungsvorrichtung zur Verbindung eines elektrischen Leiters mit einem Solarmodul, sowie Solarmodul mit einer solchen Verbindungsvorrichtung
US7850476B2 (en) * 2008-10-29 2010-12-1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Low profile solar laminate connector assembly
US7938661B2 (en) * 2008-10-29 2011-05-1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Photovoltaic module connector assembly
DE102008062034B4 (de) * 2008-12-12 2010-08-12 Tyco Electronics Amp Gmbh Verbindungsvorrichtung zum Anschluss an ein Solarmodul und Solarmodul mit einer solchen Verbindungsvorrichtung
WO2010123325A2 (ko) * 2009-04-24 2010-10-28 커넥스일렉트로닉스(주) 태양 전지 모듈용 스마트 정션박스
US20100279518A1 (en) * 2009-04-30 2010-11-04 Targus Group International, Inc. Electronic hub
CN102439734B (zh) * 2009-05-20 2014-12-03 行田电线株式会社 连接端子、端子连接结构及端子盒
CN102422429B (zh) * 2009-05-22 2014-08-06 太阳能安吉科技有限公司 电隔离的散热接线盒
US8053670B2 (en) * 2009-06-23 2011-11-08 Inscape Data Corporation Apparatus for an electrical equipment enclosure with tubular weatherproofing of electrical connections
JP2011119462A (ja) * 2009-12-03 2011-06-16 Hosiden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端子ボックス
TW201131913A (en) * 2010-03-08 2011-09-16 Powertech Ind Co Ltd Detachable electrical power receptacle
US20110230085A1 (en) * 2010-03-16 2011-09-22 The Coast Distribution System, Inc. Trailer jack with electrical plug storage
US20110240088A1 (en) * 2010-03-31 2011-10-06 Ats Automation Tooling Systems Inc. One-piece junction box
US8235749B2 (en) * 2010-05-25 2012-08-0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for photovoltaic modules
US8083540B1 (en) * 2010-06-04 2011-12-2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Photovoltaic module connector assemblies having cable strain relief
CN201754409U (zh) * 2010-06-30 2011-03-0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太阳能电池接线盒
DE102010032692A1 (de) * 2010-07-29 2012-02-02 Lumberg Connect Gmbh Steckverbinder
DE102010034633B4 (de) * 2010-08-17 2012-06-28 Lumberg Connect Gmbh Anschlussdose mit Prüfkontakt
DE102010034631B9 (de) * 2010-08-17 2014-01-09 Lumberg Connect Gmbh Anschlussdose mit Distanzstücken
DE102010034634B3 (de) * 2010-08-17 2011-12-08 Lumberg Connect Gmbh Anschlussdose mit Halteeinrichtung für Steckverbinder
US8723031B2 (en) * 2010-08-30 2014-05-13 Hosiden Corporation Terminal box
CN201830173U (zh) * 2010-09-01 2011-05-1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接线盒
CN201797460U (zh) * 2010-09-01 2011-04-1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接线盒
US20120067613A1 (en) * 2010-09-17 2012-03-22 Delta Electronics, Inc. Junction box and conductor strip connection device thereof
CA2752914C (en) * 2010-09-29 2019-06-04 Hosiden Corporation Terminal box, output cable connection arrangement for solar cell module terminal box and fixation arrangement for the output cable
US8471144B2 (en) * 2010-10-06 2013-06-25 Solarworld Ag Adapter box for protec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a photovoltaic module
US8519278B2 (en) * 2011-02-16 2013-08-27 Amphenol Corporation Photovoltaic junction box
US8262405B1 (en) * 2011-03-15 2012-09-11 Avx Corporation Wire-to-wire connector
TWI414113B (zh) * 2011-04-15 2013-11-01 Rigous Corp Ltd Power supply socket box with a flexible socke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9002A1 (en) * 2000-03-15 2002-04-25 Yasushi Higashida Electrical connection box
JP2005286070A (ja) * 2004-03-29 2005-10-13 Kyocera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光発電装置
WO2008142016A1 (de) * 2007-05-18 2008-11-27 Anton Gensler Gmbh Elektrische anschlusseinrichtung für photovoltaische module
WO2009074335A1 (de) * 2007-12-13 2009-06-18 Yamaichi Electronics Deutschland Gmbh Anschlussdose, system, verfahren und verwend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2012501754A1 (en) 2018-02-07
JP5687290B2 (ja) 2015-03-18
US8632358B2 (en) 2014-01-21
EP2438657A2 (en) 2012-04-11
US20120270450A1 (en) 2012-10-25
CA2763743A1 (en) 2011-09-09
WO2011107497A3 (en) 2012-05-03
EP2438657B1 (en) 2015-05-06
KR20130027482A (ko) 2013-03-15
WO2011107497A2 (en) 2011-09-09
DE102010002565B3 (de) 2011-09-08
CA2763743C (en) 2012-07-03
JP2013521638A (ja) 2013-06-10
CN102598305B (zh) 2015-06-03
CN102598305A (zh) 2012-07-18
DE102010002565B8 (de)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1430B1 (ko) 솔라 모듈용 접속 장치
US8083540B1 (en) Photovoltaic module connector assemblies having cable strain relief
JP4778116B2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における電力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装置
US20200396851A1 (en) Bulkhead interface and cable connector
US7850476B2 (en) Low profile solar laminate connector assembly
JP5737660B2 (ja) 分散型電力源を相互接続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7387537B1 (en) Connector system for solar cell roofing tiles
US20110290303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photovoltaic modules
US20150028684A1 (en) Multi-connector splice box for coupling a plurality of power converters
US20220268431A1 (en) Connection device for lighting unit drivers
GB2504279A (en) Cable connection apparatus and system
KR101959629B1 (ko) 인장력이 향상된 태양광 발전용 커넥터 구조
CA3168423A1 (en) Dead-end plugs for solar cabl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CN211508042U (zh) 光伏组件接线盒的接线端子防护组件和光伏组件接线盒
WO2009027984A2 (en) Electric plug
AU20142777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onnecting distributed power sources
JP2000031520A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の電力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5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3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3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