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00360B1 - 단기 운전성향 판정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단기 운전성향 판정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360B1
KR101500360B1 KR1020130065505A KR20130065505A KR101500360B1 KR 101500360 B1 KR101500360 B1 KR 101500360B1 KR 1020130065505 A KR1020130065505 A KR 1020130065505A KR 20130065505 A KR20130065505 A KR 20130065505A KR 101500360 B1 KR101500360 B1 KR 101500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vehicle
term
inter
driv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5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3877A (ko
Inventor
전병욱
정동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5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0360B1/ko
Priority to DE102013114278.8A priority patent/DE102013114278A1/de
Priority to CN201310757096.1A priority patent/CN104228842B/zh
Priority to US14/144,430 priority patent/US8903614B1/en
Publication of KR20140143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36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40/09Driving style or behavi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20Ste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0Accelerator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2Brake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4Clutch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6Ratio selector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8Steering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05Type of road, e.g. motorways, local streets, paved or unpaved r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40Coefficient of 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80Spatial relation or speed relative to objects
    • B60W2554/801Lateral d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5/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exterior condition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52/00, B60W2554/00
    • B60W2555/20Ambient conditions, e.g. wind or rai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단기 운전성향 판정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운행에 따른 운전자의 단기 운전성향 판정 장치는, 단기 운전성향 판단을 위한 입력 변수를 입력 받아 퍼지 제어 이론을 사용하여 운전자의 단기 운전의지를 객관적인 수치로서 판단하기 위한 단기 운전성향 지수(Sporty Index)를 산출하는 단기 운전성향 연산 모듈; 및 상기 차량과 전방 차량과의 차간 거리를 체크하여 상기 차간 거리가 일정 기준치 이하인 조건에서는 상기 단기 운전성향 지수의 연산을 금지하는 연산 금지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단기 운전성향 판정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SHORT TERM DRIVING TENDENCY}
본 발명은 차량 운전자의 단기 운전성향 판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확한 단기 운전성향 판정이 불가능한 주행조건에서는 단기 운전성향 판정을 제한하는 단기 운전성향 판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운행하는 고객들은 저마다 다른 다양한 운전성향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평균 주행 속도가 높은 고객, 감가속 특성이 다른 운전자에 비해 낮은 고객, 연비 운전을 하는 고객, 주로 주말에 고속도로를 이용한 장거리 운행을 하는 고객 등의 다양한 운전성향을 가질 수 있다.
차량의 주행 성능과 관련한 고객의 만족도는 차량이 얼마나 고객의 성향에 맞게 주행하느냐에 달려 있지만, 일반적으로 출고 차량은 획일화된 성능 특성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고객의 다양한 운전성향을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고객의 운전 성향을 파악하고 고객의 운전 성향에 적합하게 차량이 반응하도록 하는 고객의 운전 성향 기반 차량 제어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고객의 운전 성향 기반 차량 제어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고객의 운전성향을 정확하게 판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종래에는 운전자의 가속 운전 성향을 판단하는데 특정 조건 (예; APS, ΔAPS, 차속, 구배도)을 활용하여 운전자의 운전 성향을 연산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운전 성향 연산 방법은 운전하고 있는 차량의 전방에 장애물이 없는 경우에는 결과가 잘 일치하지만, 전방 차량이 서행하여 따라가고 있는 경우에는 운전자의 성향과는 관계 없이 전방 차량의 속도와 연동되므로 운전자의 성향을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게 전방 차량의 영향을 받는 상황에서는 운전자 성향의 연산을 지속 수행하는 경우 운전자의 성향이 마일드 방향으로 이동하여 부정확한 성향 판정 수치가 얻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만족도가 높은 고객의 운전 성향 기반 차량 제어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보다 고객의 운전성향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한국등록특허 제0391724호 (2003.07.16. 공고)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의 운행시 정확한 단기 운전성향 판정이 불가능한 특정 운행조건에서는 단기 운전성향 판정을 제한하는 단기 운전성향 판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 운행에 따른 운전자의 단기 운전성향 판정 장치는, 단기 운전성향 판단을 위한 입력 변수를 입력 받아 퍼지 제어 이론을 사용하여 운전자의 단기 운전의지를 객관적인 수치로서 판단하기 위한 단기 운전성향 지수(Sporty Index)를 산출하는 단기 운전성향 연산 모듈; 및 상기 차량과 전방 차량과의 차간 거리를 체크하여 상기 차간 거리가 일정 기준치 이하인 조건에서는 상기 단기 운전성향 지수의 연산을 금지하는 연산 금지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산 금지 제어 모듈은, 상기 차량 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차간 거리 기준맵을 설정하고, 차량 속도 별 차간 거리 조건을 판단하여 상기 일정 기준치 이하인 조건에 해당되는 경우 연산 금지 요청 신호를 단기 운전성향 연산 모듈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산 금지 제어 모듈은, 상기 단기 운전성향 지수의 연산을 금지하는 차간 거리 기준을 차량 속도에 연동하여 속도가 증가할수록 연산 금지 차간 거리의 기준치를 비례적으로 증가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기 운전성향 판정 장치는, 상기 운전자의 차량 운행에 따른 차량 속도, 차량 가속도, 차간 거리, 가속 페달 위치, 브레이크 페달 위치, 기어 변속 위치, 차량의 조향 상태, GPS/GIS 기반 위치정보, 도로 정보, 운행 구간의 혼잡도 및 기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운행정보를 수집하는 운행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기 운전성향 연산 모듈은, 상기 차량의 속도 및 차간 거리에 대해 퍼지 제어 이론을 적용하여 상기 차량의 속도 및 차간 거리에 기초한 멤버십 함수(membership function)를 설정하고, 입력된 차량 속도 및 전방 차량 과의 차간 거리의 멤버십 함수로부터 퍼지 결과값인 단기 운전성향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단기 운전성향 연산 모듈은, 상기 운전자의 차량과 전방 차량과의 차간 거리 및 차량 가속도의 멤버쉽 함수를 기초할 때 차속이 제1 기준치 이하이고 상기 차간 거리가 제2 기준치보다 멀 수록 마일드(MILD)한 운전성향인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차속이 제3 기준치 이상이고 상기 차간 거리가 제4 기준치에 가까울 수록 스포티(SPORTY)한 운전성향인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산 금지 제어 모듈은, 상기 차량이 운행중인 도로가 각각의 소정 기준 이상의 눈길, 빙판길, 굴곡로, 구배로, 안개로 및 비포장 도로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 상기 단기 운전성향 지수 계산을 금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 운행에 따른 운전자의 단기 운전성향 판정 방법은, a) 상기 단기 운전성향 판정을 위한 입력 변수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 변수에서 전방 차량과의 차간 거리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차간 거리가 일정 기준치 이하인 단기 운전성향 지수 연산 금지 조건에 해당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차간 거리가 상기 단기 운전성향 지수 연산 금지 조건에 해당되면 운전자 단기성향 지수 연산을 금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입력 변수에서 차량 속도를 더 검출하여 상기 차량의 속도가 차량 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차간 거리 조건의 기준치 이하인 단기성향 판정 금지조건에 해당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차량의 시동 온(ON) 후에 누적된 주행 시간 또는 주행 거리가 소정의 단기 운전성향 지수 연산 개시 조건에 도달하면 단기 운전성향 연산을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단기 운전성향 연산 금지 조건에 해당되지 않으면, 상기 운전자의 단기 운전성향 지수 연산을 수행하되, 차량 속도 및 전방 차량 과의 차간 거리의 멤버십 함수로부터 퍼지 결과값을 연산하여 마일드 또는 스포티 운전성향에 해당되는 단기 운전성향 지수를 산출할 수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차량 운행에 따른 운전자의 단기 운전성향 판정 방법은, a) 상기 단기 운전성향 판정을 위한 입력 변수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 변수에서 차량 위치에 따른 도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도로 정보가 단기 운전성향 지수 연산 금지를 위한 소정 도로 조건에 해당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도로 정보가 상기 도로 조건에 해당되면 운전자 단기 운전성향 지수 연산을 금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로 조건은, 눈길, 빙판길, 소정 굴곡로, 소정 구배로, 안개로, 비포장 도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 속도 별로 설정된 특정 차간거리 이하의 조건에서는 운전자의 단기성향 연산을 금지함으로써 전방 차량 속도와 연동되는 상황에서의 부정확한 성향 판단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속도가 높을수록 연산 금지 차간 거리의 기준을 비례적으로 크게 설정함으로써 저속의 혼잡로와 고속 주행도로의 상태를 차별화하여 보다 정확한 운전자의 단기성향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의 운행 정보를 기반으로 고객의 차량 운전성향을 파악하고 개별 고객의 운전성향에 맞는 맞춤형 주행모드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감성가치를 제고하고 기업 이미지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성향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의 전체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기 운전성향 판정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기 운전성향 판정 제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기 운전성향 판정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성향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의 전체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성향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은 운행정보 수집부(100), 운전성향 분석부(200) 및 주행 모드 결정부(300)를 포함한다.
운행정보 수집부(100)는 운전자의 성향을 판단하기 위해 기초가 되는 차량 운행 정보를 검출하며, 이를 위해 차량의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각종 센서, 제어기 및 장치와 연결된다.
운행정보 수집부(100)는 차속 센서(11), 가속도 센서(12), 차간거리 센서(13), 가속페달 위치 센서(14), 브레이크 페달 위치 센서(15), TCU(16), 스티어링 휠 센서(17), 차량위치 센서(GPS/GIS)(18), 텔레메틱스(19)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하여 운행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운행정보 수집부(100)는 차속 센서(11)를 통한 차량 속도와 가속도 센서(12)를 통한 차량의 가속도를 수집하고, 차간거리 센서(13)를 통해 전방 차량과의 차간 거리를 수집한다. 이 때, 차간거리 센서(13)는 전방 레이더신호를 활용하여 전방 차량과 본 차량과의 상대적인 거리를 구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적외선 센서 및 초음파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운행정보 수집부(100)는 가속 페달 위치 센서(14)를 통해 운전자의 가속 패턴 작동 상태를 수집하고, 브레이크 페달 위치 센서(15)를 통해 브레이크 작동 상태를 수집한다. 이 때, 가속 페달 위치 센서(14) 및 브레이크 페달 위치 센서(15)의 작동 패턴을 통해 운전자의 가속 및 감속 성향을 검출할 수 있다.
운행정보 수집부(100)는 TCU(Transmission Control Unit)(16)를 통해 기어 변속 위치를 수집하고, 스티어링 휠 센서(17)를 통해 차량의 조향 상태를 수집한다.
운행정보 수집부(100)는 차량 위치 센서(18)를 통해 GPS/GIS 기반 차량의 위치정보와 도로종류, 굴곡, 구배 정보를 수집하고, 텔레매틱스(19)를 통해 운행 구간의 혼잡도 및 기상정보(예; 눈길/빗길/안개)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텔레매틱스(19)는 모젠(MOZEN)이라고 불리는 MTS(Mobile Telematics System) 단말기와 오토케어라고 불리는 Cubis(Car Ubiquitous System) 단말기, Bluelink(긴급 상황 서비스) 및 네비게이션 단말기 등의 기능이 통합된 단말기로 차량의 무선 네트워크 통신(예; 3G/4G)을 지원한다.
운전성향 분석부(200)는 운행정보 수집부(100)에서 수집된 운전자의 차량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운전자의 운전성향을 판정하며, 장기 운전성향 판정부(210), 단기 운전성향 판정부(220) 및 실시간 도로 조건 판정부(230)를 포함한다.
장기 운전성향 판정부(210)는 운전자의 차량 운행정보를 소정 장기간 또는 소정운행 횟수 동안 누적하고, 누적된 운행정보의 평균치를 비교 분석하여 정규 분포 기반 확률 값으로 장기 운전성향 지수를 계산하여 통상적인 운전성향에 반영한다.
한편, 운전자의 성향은 항상 일정한 것이 아니며 운전자의 감정이나 순간적인 운전 의지의 변화, 도로 조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기 운전성향 판정부(220)는 퍼지 제어 이론(Fuzzy Control Theory)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단기 운전의지를 객관적인 수치로서 판단하기 위한 단기 운전성향 지수를 산출한다.
여기서, 단기 운전성향은 장기 운전성향에 대비되는 의미로서 운전자의 순간적인 가/감속 의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즉, 장기 운전성향에 비해 비교적 짧은 시간 단위로 나타나는 운전 조작의 형태를 정량적으로 수치화함으로써 운전자의 실시간 운전성향을 객관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단기 운전성향을 통해 가속감, 연비, 변속감등에 관여하는 제어 인자를 최적의 운전 조건을 위해 자동 절환하는 기준값으로 활용할 수 있다.
실시간 도로 조건 판정부(230)는 차량 운행에 영향을 주는 기상 정보 및 GPS/GIS 기반 차량 위치정보에 따른 굴곡로, 구배로, 혼잡로, 고속도로, 눈길 등을 분석한다. 이 때 분석되는 실시간 도로 조건은 고객 성향에 따른 주행모드 결정에 반영될 수 있다.
주행 모드 결정부(300)는 고객의 운전성향별 선호 패턴을 규명하고, 통상적인 장기 운전성향을 반영하여 최적의 주행모드를 결정한다.
예컨대, 주행 모드 결정부(300)는 고객의 개인 운전성향 인덱스 기반의 연비운전(Eco Drive) 모드, 스포츠(Sports)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주행 모드 결정부(300)는 운전자의 장기 운전성향에 기초한 최적 주행모드에 단기 운전성향을 반영하여 운전자의 운전자의 감정이나 순간적인 운전 의지의 변화에 따른 변경 주행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주행 모드 결정부(300)는 상기 최적 주행모드에 실시간 도로상황을 더 고려하여 도로 상황 따른 변경 주행 모드를 결정할 수 있으며, 예컨대, 차량 운행 구간을 고려한 도심형 모드, 출퇴근 구간별 모드 등의 다양한 주행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고객의 운전 성향을 판정하여 변속감, 변속패턴, 엔진토크맵, 엔진 필터등을 차별화하는 것은 주행 성능의 고객 맞춤이라는 측면에서 대단히 중요한 요소이며, 앞서 설명한 대로, 이러한 운전 성향을 판단하기 위한 기본적인 구성 요소로서 단기 운전성향 판정부(220)를 제안하였다.
다만, 앞선 배경기술에서도 지적하였듯이 운전자의 차량 운행 중 전방 차량이 서행하여 그 뒤를 따라가고 있는 경우에는 운전자의 성향과는 관계 없이 전방 차량의 속도와 연동되어 성향을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부정확한 판정결과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도 2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기 운전성향 판정 제한 기능을 포함하는 단기 운전성향 판정부(22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기 운전성향 판정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기 운전성향 판정부(220)는 단기 운전성향 연산 모듈(221) 및 연산 금지 제어 모듈(222)을 포함한다.
단기 운전성향 연산 모듈(221)은 운행정보 수집부(100)로부터 운전자 단기 운전성향 판단을 위한 입력 변수를 입력 받고, 퍼지 제어 이론을 사용하여 운전자의 단기 운전의지를 객관적인 수치로서 판단하기 위한 단기 운전성향 지수(Sporty Index)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단기 운전성향 연산 모듈(221)은 차량의 속도 및 차간 거리에 대해 퍼지 제어 이론을 적용하여, 차량의 속도 및 차간 거리에 기초한 멤버십 함수(membership function)를 설정한다.
그리고, 단기 운전성향 연산 모듈(221)은 수집된 차량 속도 및 전방 차량 과의 차간 거리의 멤버십 함수로부터 퍼지 결과값인 단기 운전성향 지수(SI=0~100%)를 산출한다.
여기서, 운전성향의 판정을 위한 퍼지 룰(FUZZY RULE)은 다음의 실시 예와 같이 정의 될 수 있다.
단기 운전성향 연산 모듈(221)은 운전자의 차량과 전방 차량과의 차간 거리 및 차량 가속도의 멤버쉽 함수를 기초할 때 운전자의 차속이 낮고 전방 차량과의 차간거리가 멀 수록 운전자는 마일드(MILD) 운전성향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단기 운전성향 연산 모듈(221)은 차속이 높고 전방 차량과의 차간 거리가 가까울 수록 운전자는 스포티(SPORTY) 운전성향인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즉, 마일드 운전성향은 전방 차량과의 차간 거리를 여유 있게 유지하는 방어적(Defensive) 운행패턴을 가지는 운전자이며, 스포티 운전성향은 전방 차량과의 차간 거리가 작게 붙이는 공격적인 운행패턴을 가지는 운전자로 판단될 수 있다.
한편, 연산 금지 제어 모듈(222)은 운전자가 운행중인 차량과 전방 차량과의 차간 거리를 체크하여 상기 차간 거리가 일정 기준치 이하인 조건에서는 운전자 단기성향의 연산을 금지 한다.
연산 금지 제어 모듈(222)은 차량 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차간 거리 기준맵을 설정하고, 차량 속도 별 차간 거리 조건을 판단하여 특정 소정 기준치 이하인 차간거리 이하의 조건(단기 운전성향 연산 금지조건)에 해당되는 경우 연산 금지 요청 신호를 단기 운전성향 연산 모듈(221)로 전달한다.
이 때, 연산 금지 제어 모듈(222)은 단기성향 판정을 금지하는 차간 거리 기준을 차량 속도에 연동하여 속도가 높을수록 연산 금지 차간 거리의 기준을 비례적으로 크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저속의 혼잡로와 고속 주행도로의 상태를 차별화하여 부정확한 잡음 요소를 줄이고 보다 정확한 운전자의 단기성향을 도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기 운전성향 판정부(220)의 구성을 바탕으로 하는 운전자의 단기 운전성향 판정 제한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기 운전성향 판정 제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기 운전성향 판정부(220)는 운전자의 차량 시동 온(ON) 후에 누적된 주행 시간 또는 주행 거리가 소정의 단기 운전성향지수 연산 개시 조건에 도달하면 단기성향 연산을 개시한다(S10; 예).
이 때, 단기 운전성향 판정부(220)는 현재 주행 시간 동안(거리) 또는 현재의 주행 내 설정된 시간(거리) 동안의 단기 운전성향 개시 조건을 설정하여 해당 조건 만족 시 실시간 운전자의 단기 운전성향 판정을 개시할 수 있다.
단기 운전성향 판정부(220)는 운행정보 수집부(100)로부터 운전자 단기 운전성향 판단을 위한 입력 변수를 입력 받고(S20), 상기 입력 변수에서 전방 차량과의 차간거리를 검출한다(S30).
단기 운전성향 판정부(220)는 전방 차량과의 차간 거리가 일정 기준치 이하인 단기 운전성향 지수 연산 금지 조건에 해당되는지 판단한다(S40).
이 때, 단기 운전성향 판정부(220)는 상기 입력변수로 차간 거리뿐 아니라 현재 차량 속도를 더 검출하여, 현재 차량의 속도가 차량 속도 기반 차간 거리 조건의 기준치 이하인 단기성향 연산 금지조건에 해당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단기 운전성향 판정부(220)는 상기 전방 차량과의 차간 거리가 단기 운전성향 지수 연산 금지 조건에 해당되면(S50: 예), 운전자 단기성향 지수 연산을 금지하고 리턴 한다(S60).
반면, 상기 S50 단계에서, 운전성향 판정부(220)는 상기 전방 차량과의 차간 거리가 일정 기준치를 초과하여 단기성향 연산 금지 조건에 해당되지 않으면(S50: 아니오), 운전자의 단기 운전성향 지수 연산을 수행하고 리턴 한다(S70).
이 때, 운전성향 판정부(220)는 차량 속도 및 전방 차량 과의 차간 거리의 멤버십 함수로부터 퍼지 결과값을 산출하여 마일드 또는 스포티 운전성향에 해당되는 단기 운전성향 지수(SI=0~100%)를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 속도 별로 설정된 특정 차간거리 이하의 조건에서는 운전자의 단기성향 연산을 금지함으로써 전방 차량 속도와 연동되는 상황에서의 부정확한 성향 판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 속도가 높을수록 연산 금지 차간 거리의 기준을 비례적으로 크게 설정함으로써 저속의 혼잡로와 고속 주행도로의 상태를 차별화하여 보다 정확한 운전자의 단기성향을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객의 운행 정보를 기반으로 고객의 차량 운전성향을 파악하고 개별 고객의 운전성향에 맞는 맞춤형 주행모드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감성가치를 제고하고 기업 이미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연산 금지 제어 모듈(222)이 차량 속도 및 차간 거리 조건을 이용하여 단기 운전성향 지수 연산을 금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로 조건에 따라 단기 운전성향 지수 연산을 금지할 수 도 있다.
즉, 연산 금지 제어 모듈(222)은 눈길이나 빙판길, 험로(예; 네비게이션 맵상의 소정 굴곡로, 소정 구배로), 안개로 및 비포장 도로와 같은 특이 노면상태에 대한 도로 조건을 설정하고, 실시간 도로 조건 판정부(230)와 연동하여 실시간 도로 상태가 상기 특이 노면상태에 대한 도로 조건에 해당되면 상기 단기 운전성향 지수계산을 금지시킬 수 있다.
또한, 연산 금지 제어 모듈(222)은 앞서 설명한 차간 거리 및 도로 조건에 따른 단기 연산 금지 제어를 장기 운전성향 판정부(210)에도 적용하여 장기 성향 기반 최적 주행모드 결정에서도 부정확한 성향 판단정보가 반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운행정보 수집부 200: 운전 성향 분석부
210: 장기 운전성향 판정부 220: 단기 운전성향 판정부
221: 단기 성향 연산 모듈 222: 연산 금지 제어 모듈
230: 실시간 도로 조건 판정부 300: 주행 모드 결정부

Claims (13)

  1. 차량 운행에 따른 운전자의 단기 운전성향 판정 장치에 있어서,
    단기 운전성향 판단을 위한 입력 변수를 입력 받아 퍼지 제어 이론을 사용하여 운전자의 단기 운전의지를 객관적인 수치로서 판단하기 위한 단기 운전성향 지수(Sporty Index)를 산출하는 단기 운전성향 연산 모듈; 및
    상기 차량과 전방 차량과의 차간 거리를 체크하여 상기 차간 거리가 일정 기준치 이하인 조건에서는 상기 단기 운전성향 지수의 연산을 금지하는 연산 금지 제어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연산 금지 제어 모듈은, 상기 차량 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차간 거리 기준맵을 설정하고, 차량 속도 별 차간 거리 조건을 판단하여 상기 일정 기준치 이하인 조건에 해당되는 경우 연산 금지 요청 신호를 단기 운전성향 연산 모듈로 전달하는 단기 운전성향 판정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금지 제어 모듈은,
    상기 단기 운전성향 지수의 연산을 금지하는 차간 거리 기준을 차량 속도에 연동하여 속도가 증가할수록 연산 금지 차간 거리의 기준치를 비례적으로 증가되게 설정하는 단기 운전성향 판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차량 운행에 따른 차량 속도, 차량 가속도, 차간 거리, 가속 페달 위치, 브레이크 페달 위치, 기어 변속 위치, 차량의 조향 상태, GPS/GIS 기반 위치정보, 도로 정보, 운행 구간의 혼잡도 및 기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운행정보를 수집하는 운행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는 단기 운전성향 판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기 운전성향 연산 모듈은,
    상기 차량의 속도 및 차간 거리에 대해 퍼지 제어 이론을 적용하여 상기 차량의 속도 및 차간 거리에 기초한 멤버십 함수(membership function)를 설정하고, 입력된 차량 속도 및 전방 차량 과의 차간 거리의 멤버십 함수로부터 퍼지 결과값인 단기 운전성향 지수를 산출하는 단기 운전성향 판정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단기 운전성향 연산 모듈은,
    상기 운전자의 차량과 전방 차량과의 차간 거리 및 차량 가속도의 멤버쉽 함수를 기초할 때 차속이 제1 기준치 이하이고 상기 차간 거리가 제2 기준치보다 멀 수록 마일드(MILD)한 운전성향인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차속이 제3 기준치 이상이고 상기 차간 거리가 제4 기준치에 가까울 수록 스포티(SPORTY)한 운전성향인 것으로 판정하는 단기 운전성향 판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금지 제어 모듈은,
    상기 차량이 운행중인 도로가 각각의 소정 기준 이상의 눈길, 빙판길, 굴곡로, 구배로, 안개로 및 비포장 도로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 상기 단기 운전성향 지수 계산을 금지하는 단기 운전성향 판정 장치.
  8. 차량 운행에 따른 운전자의 단기 운전성향 판정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단기 운전성향 판정을 위한 입력 변수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 변수에서 전방 차량과의 차간 거리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차간 거리가 일정 기준치 이하인 단기 운전성향 지수 연산 금지 조건에 해당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차간 거리가 상기 단기 운전성향 지수 연산 금지 조건에 해당되면 운전자 단기성향 지수 연산을 금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는, 상기 입력 변수에서 차량 속도를 더 검출하여 상기 차량의 속도가 차량 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차간 거리 조건의 기준치 이하인 단기성향 판정 금지조건에 해당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기 운전성향 판정 방법.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차량의 시동 온(ON) 후에 누적된 주행 시간 또는 주행 거리가 소정의 단기 운전성향 지수 연산 개시 조건에 도달하면 단기 운전성향 연산을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기 운전성향 판정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단기 운전성향 연산 금지 조건에 해당되지 않으면, 상기 운전자의 단기 운전성향 지수 연산을 수행하되,
    차량 속도 및 전방 차량 과의 차간 거리의 멤버십 함수로부터 퍼지 결과값을 연산하여 마일드 또는 스포티 운전성향에 해당되는 단기 운전성향 지수를 산출하는 단기 운전성향 판정 방법.
  12. 삭제
  13. 삭제
KR1020130065505A 2013-06-07 2013-06-07 단기 운전성향 판정 장치 및 그 방법 Active KR101500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505A KR101500360B1 (ko) 2013-06-07 2013-06-07 단기 운전성향 판정 장치 및 그 방법
DE102013114278.8A DE102013114278A1 (de) 2013-06-07 2013-12-18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mitteln einer kurzfristigen Fahrabsicht
CN201310757096.1A CN104228842B (zh) 2013-06-07 2013-12-27 用于确定短期驾驶倾向的装置和方法
US14/144,430 US8903614B1 (en) 2013-06-07 2013-12-30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short-term driving tendenc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505A KR101500360B1 (ko) 2013-06-07 2013-06-07 단기 운전성향 판정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877A KR20140143877A (ko) 2014-12-18
KR101500360B1 true KR101500360B1 (ko) 2015-03-10

Family

ID=51948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5505A Active KR101500360B1 (ko) 2013-06-07 2013-06-07 단기 운전성향 판정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903614B1 (ko)
KR (1) KR101500360B1 (ko)
CN (1) CN104228842B (ko)
DE (1) DE1020131142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218B1 (ko) * 2013-06-07 2015-01-1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575296B1 (ko) 2014-08-13 2015-12-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선회 단계를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5391756A (zh) * 2015-10-09 2016-03-09 中国科学院计算技术研究所 一种用于车联网的通信资源分配方法和系统
KR101724505B1 (ko) * 2016-03-29 2017-04-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변속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6610525B2 (ja) * 2016-12-15 2019-11-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走行支援装置
US10953887B2 (en) * 2017-06-20 2021-03-23 Nira Dynamics Ab Road condition monitoring
CN110239558B (zh) * 2019-05-07 2021-02-12 江苏大学 一种基于识别系数的驾驶风格分层模糊识别系统
JP7708086B2 (ja) 2022-12-21 2025-07-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2288A (ja) * 2000-07-26 2002-02-08 Yazaki Corp 運行状態記録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運行管理システム
KR20020089920A (ko) * 2001-05-25 2002-11-30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운전 성향에 따른 자동 변속 장치 및 방법
JP2003211999A (ja) * 2001-11-15 2003-07-30 Denso Corp 車両の走行制御装置
JP2012185582A (ja) * 2011-03-03 2012-09-27 Toyota Motor Corp 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8422B2 (ja) * 2000-12-06 2006-10-25 現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4480995B2 (ja) 2003-12-18 2010-06-16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運転支援装置
JP4471018B2 (ja) * 2008-04-15 2010-06-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US8014928B2 (en) * 2008-06-17 2011-09-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tomotive slipstreaming support system
EP2434466A1 (en) * 2009-05-20 2012-03-28 Optex Co., Ltd. Driving assistance method and device
KR20120000818A (ko) 2010-06-28 2012-01-04 주식회사 만도 차간 유지 거리/최소 거리 설정 시스템 및 그 설정 방법
KR101683917B1 (ko) 2011-04-27 2016-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패턴 기반의 속도 프로파일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2288A (ja) * 2000-07-26 2002-02-08 Yazaki Corp 運行状態記録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運行管理システム
KR20020089920A (ko) * 2001-05-25 2002-11-30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운전 성향에 따른 자동 변속 장치 및 방법
JP2003211999A (ja) * 2001-11-15 2003-07-30 Denso Corp 車両の走行制御装置
JP2012185582A (ja) * 2011-03-03 2012-09-27 Toyota Motor Corp 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877A (ko) 2014-12-18
DE102013114278A1 (de) 2014-12-11
US8903614B1 (en) 2014-12-02
CN104228842B (zh) 2018-09-14
CN104228842A (zh) 2014-12-24
US20140365089A1 (en) 2014-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0360B1 (ko) 단기 운전성향 판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1542957B1 (ko) 단기 운전성향 판정 가변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500361B1 (ko) 단기 운전성향 판정 장치 및 그 방법
CN106573623B (zh) 用于自动选择机动车上的行驶模式的方法和设备
US11275379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mated driving vehicle
KR101509693B1 (ko) 운전자의 단기 운전 성향을 판단하는 장치 및 방법
US10343686B2 (en) Autonomous driving system
CN110871802A (zh) 车辆的控制方法、装置及车辆
GB2549377A (en) Autonomous occupant attention-based control
GB2549376A (en) Autonomous peril control
GB2549580A (en) Autonomous probability control
GB2549184A (en) Autonomous vehicle control transitioning
KR101461878B1 (ko) 운전자의 장기 운전 성향을 판단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713725B1 (ko) 차량의 주행 모드 제어 장치 및 방법
JP3882541B2 (ja) 運転者将来状況予測装置
US20150042463A1 (en) Unexpectedness prediction sensitivity determination apparatus
KR101490919B1 (ko) 운전자의 단기 운전 성향을 판단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713751B1 (ko) 차량 중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370987B (zh) 在机动车辆中启用机动车辆自动驾驶控制的系统和方法
KR101484218B1 (ko) 차량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JP3240505B2 (ja) 渋滞区間推定方法および渋滞区間推定装置
JP4789367B2 (ja) 運転心理判定装置及び運転心理判定方法、並びに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方法
JP2007232109A (ja) 車両用駆動力制御装置
KR101518891B1 (ko) 차량용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6323876A (ja) 運転者将来状況予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3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