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337B1 - 광폭 pc 복합거더 - Google Patents
광폭 pc 복합거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99337B1 KR101499337B1 KR1020130095925A KR20130095925A KR101499337B1 KR 101499337 B1 KR101499337 B1 KR 101499337B1 KR 1020130095925 A KR1020130095925 A KR 1020130095925A KR 20130095925 A KR20130095925 A KR 20130095925A KR 101499337 B1 KR101499337 B1 KR 1014993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steel
- steel plate
- reinforcing
- mold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8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8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29910001294 Reinforc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386 neutral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 E04C3/07—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at least partly of bent or otherwise deformed strip- or sheet-like materi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8—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apertured web, e.g. with a web consisting of bar-like components; Honeycomb gi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는, 복수의 타설공이 천공되어 형성된 상부판과, 상부판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서 수직 또는 경사를 이루며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판으로 구성되며, 측면판의 하부가 개구되도록 하단부가 절취되어 형성되는 하측 개구부, 측면판의 상단부와 하단부로 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부분에 천공되어 형성되는 중앙 개구부, 상부판과 측면판이 만나는 부분에 천공되어 형성되는 상측 개구부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조합되어 형성되는 성형 강판과; 성형 강판의 측면판 하단부가 일정 깊이 매입되도록 형성되며, 상부판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하부 강성 콘크리트;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광폭 PC 복합거더의 일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광폭 PC 복합거더의 성형 강판(10)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전단보강재(30)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광폭 PC 복합거더의 성형 강판(10)의 다양한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성형 강판(10)에 다양한 실시 예의 상부판 압축 보강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성형 강판(10)이 불연속 분할되어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관통 전단 부재(40)가 구성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프리스트레스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합성보의 구체예의 종단면도(a) 및 횡단면도(b)이다.
10 : 성형 강판
11 : 상부판
111 : 상부판 압축 보강재
111a : 압축 보강 강판
111b : 보강근
111c : 보강 강관
113 : 타설공
12 : 측면판
13 : 인장보강판
14 : 인장보강판 보강부재
121 : 하측 개구부
122 : 중앙 개구부
20 : 하부 강성 콘크리트
30 : 전단보강재
31 : 절곡 보강재
311 : 하부 보강 강재
32 : 전단보강 형강
321a : 관통공
34 : 스터드
40 : 관통 전단 부재
Claims (18)
- 복수의 타설공(113)이 천공되어 형성된 상부판(11)과, 상부판(11)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서 수직 또는 경사를 이루며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판(12)으로 구성되며,
상부판(11)의 하부 또는 상부에는 전길이에 걸쳐 강판으로 형성된 압축 보강 강판(111a), 강봉 또는 이형철근으로 형성된 보강근(111b) 및 각형이나 원형 단면의 강관으로 내부를 충진하지 않거나 시멘트계 충진재(11b)를 충진한 보강 강관(111c)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상부판 압축 보강재가 형성되며,
측면판(12)의 하부가 개구되도록 하단부가 절취되어 형성되는 하측 개구부(121), 측면판(12)의 상단부와 하단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부분에 천공되어 형성되는 중앙 개구부(122), 상부판(11)과 측면판(12)이 만나는 부분에 천공되어 형성되는 상측 개구부(123)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조합되어 형성되는 성형 강판(10)과;
성형 강판(10)의 측면판(12) 하단부가 일정 깊이 매입되도록 형성되며, 상부판(11)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하부 강성 콘크리트(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폭 PC 복합거더.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판(11)의 폭방향 중앙부의 길이방향으로 성형 강판(10) 보다 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하단부가 하부 강성 콘크리트(20)에 매입되도록 구성되며, 상단이 성형 강판(10) 상부판(11)의 하면에 결합되어 성형 강판(10)의 좌굴장을 줄이고 단면력을 보강하도록 구성되는 전단보강재(30)가 성형 강판(10)의 전길이 구성, 양단부에만 구성 및 전길이에 걸쳐 불연속 균등 분할 구성 중 어느 하나로 결합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폭 PC 복합거더. - 청구항 2에 있어서,
전단보강재(30)는 강봉 또는 철근을 삼각형, 사각형 및 사다리꼴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연속하여 절곡하여 형성된 절곡 보강재(3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폭 PC 복합거더. - 청구항 3에 있어서,
절곡 보강재(31)는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하부 보강 강재(311)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폭 PC 복합거더. - 청구항 2에 있어서,
전단보강재(30)는 일단부의 단면이 확대된 형태의 스터드(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폭 PC 복합거더. - 청구항 2에 있어서,
전단보강재(30)는 웨브가 상부판(11)에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H형 또는 ⊥형 단면을 갖는 전단보강 형강(3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폭 PC 복합거더. - 청구항 6에 있어서,
전단보강 형강(32)의 웨브는 파형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폭 PC 복합거더. - 청구항 6에 있어서,
전단보강 형강(32)은 성형 강판(10)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구성되되, 외측단부가 성형 강판(10)의 단부와 일치하거나 더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보 양단의 부모멘트 및 전단력에 대한 저항능력을 향상시키고 기둥과의 접합성을 높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폭 PC 복합거더. - 청구항 6에 있어서,
전단보강 형강(32)은 웨브에 다수의 관통공(321a)이 통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폭 PC 복합거더.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형 강판(10)의 측면판(12)의 하단부에서 수평방향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인장보강판(13) 또는 측면판(12)의 하단부에서 폭방향의 양측으로 일정폭을 유지하도록 결합되는 판 형상의 인장보강부재(13a)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폭 PC 복합거더. - 청구항 10에 있어서,
인장보강판(13)의 상부에는 철근, 강판, ㄱ-형강 및 ㄷ-형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인장보강판 보강부재(14)가 추가로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폭 PC 복합거더.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성형 강판(10)은 불연속 분할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폭 PC 복합거더.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압축 보강 강판(111a)은 성형 강판(10)의 상부판(11)의 하부면에서 하부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양단부가 측면판(12)에 결합되어, 상부판(11)과 압축 보강 강판(111a)의 사이에 공간 압축부(11a)를 형성하고,
공간 압축부(11a)에 시멘트계 충진재(11b)가 충진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폭 PC 복합거더. - 삭제
- 삭제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형 강판(10)의 측면판(12)에 연결구(124)가 형성되고, 강봉, 철근, ㄱ-형강 및 ㄷ-형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연결구(124)를 폭방향으로 관통하고 하부 강성 콘크리트(20)에 매립되는 관통 전단 부재(4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폭 PC 복합거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5925A KR101499337B1 (ko) | 2013-08-13 | 2013-08-13 | 광폭 pc 복합거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5925A KR101499337B1 (ko) | 2013-08-13 | 2013-08-13 | 광폭 pc 복합거더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9274A KR20150019274A (ko) | 2015-02-25 |
KR101499337B1 true KR101499337B1 (ko) | 2015-03-16 |
Family
ID=52578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95925A Active KR101499337B1 (ko) | 2013-08-13 | 2013-08-13 | 광폭 pc 복합거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9933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1843B1 (ko) * | 2018-02-08 | 2019-01-25 | (주)덕암테크 | 슬림플로어 시공을 위한 강재보 및 이를 이용한 슬림플로어 구조 |
CN109457801B (zh) * | 2018-12-26 | 2023-12-15 | 长安大学 | 一种装配式预制钢筋混凝土梁的连接节点及其施工方法 |
KR102278450B1 (ko) * | 2019-12-09 | 2021-07-19 |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 Pc하부플랜지를 갖는 트러스 복합보 |
KR102278451B1 (ko) * | 2019-12-09 | 2021-07-19 |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 중간종대와 중간횡대를 이용한 트러스 슬림보 |
KR102491762B1 (ko) * | 2020-07-27 | 2023-01-30 | 주식회사 덕암테크 | 반슬림 합성보용 보강재와 개량형 반슬림 합성보 및 이를 이용한 개량형 반슬림 합성보 구조 |
KR102726033B1 (ko) | 2024-06-10 | 2024-11-06 | 주식회사 태명실업 | 안정성 향상과 시공 편의성 증대를 위한 와이드 거더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슬라브 시공공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42612A (ja) * | 2000-06-02 | 2001-12-14 | Akimitsu Kurita | 床版とウェブ鋼板等との接合装置 |
JP2002088971A (ja) * | 2000-09-18 | 2002-03-27 | Toyota Soken Co Ltd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薄肉合成板 |
KR20050059663A (ko) * | 2003-12-15 | 2005-06-21 | 주식회사 윈스틸 |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 방법 |
KR101273156B1 (ko) * | 2012-01-17 | 2013-06-17 | 권희재 | 덮개형 연결부재를 이용한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거더의 복부파형강판과 콘크리트의 합성구조 |
-
2013
- 2013-08-13 KR KR1020130095925A patent/KR10149933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42612A (ja) * | 2000-06-02 | 2001-12-14 | Akimitsu Kurita | 床版とウェブ鋼板等との接合装置 |
JP2002088971A (ja) * | 2000-09-18 | 2002-03-27 | Toyota Soken Co Ltd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薄肉合成板 |
KR20050059663A (ko) * | 2003-12-15 | 2005-06-21 | 주식회사 윈스틸 |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 방법 |
KR101273156B1 (ko) * | 2012-01-17 | 2013-06-17 | 권희재 | 덮개형 연결부재를 이용한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거더의 복부파형강판과 콘크리트의 합성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9274A (ko) | 2015-02-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99337B1 (ko) | 광폭 pc 복합거더 | |
CN101936054B (zh) | 钢桁腹组合pc梁及其施工方法 | |
KR100626542B1 (ko) | 강판성형보와 콘크리트를 이용한 복합보 구조 | |
KR101272116B1 (ko) | 파형강판 복부 피에스씨 거더의 파형강판 복부와 콘크리트의 결합구조 | |
KR101107300B1 (ko) | 강판전단벽 | |
KR101464866B1 (ko) | 반채움 pc 타이앵커 합성보 | |
KR101275754B1 (ko) | 전단블록이 상면에 형성된 피에스씨 거더와 그 제작방법 및 전단블록이 상면에 형성된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KR101012402B1 (ko)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 |
KR100903211B1 (ko) | 지지구가 보강된 데크플레이트 | |
KR20130111862A (ko) | 상부 돌출 보강보를 가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 |
JP2742989B2 (ja) | 組み立て鉄筋ト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160763B1 (ko) |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 |
KR101358878B1 (ko) | 거더의 상부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거더 | |
KR101738244B1 (ko) | 트러스보강 조립보 | |
JP6253058B2 (ja) | 鉄筋部材、及び、その鉄筋部材を使用した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 | |
CN110392758B (zh) | 倒t形截面混合型预应力混凝土梁及利用其的面板施工方法 | |
KR20180008206A (ko) | 횡단면 압축 좌굴이 보강된 프리캐스트 바닥판 | |
KR101191545B1 (ko) |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 | |
KR101752285B1 (ko) | 광폭 psc 하부플랜지와 단면확대용 상부플랜지를 갖는 하이브리드 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 |
KR101212259B1 (ko) | 파형 굴곡판으로 형성된 보강재를 이용한 합성바닥판 및 그 제작방법 | |
KR101994089B1 (ko) | 인발전단메쉬부재가 구성되며 넓은 폭을 갖는 현장 타설용 하프 pc 슬래브 및 이의 제작방법 | |
KR20180011528A (ko) | 트러스 작용을 활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하이브리드 합성보 | |
KR101698807B1 (ko) | 파형강판을 이용한 psc거더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psc거더 | |
JP4432421B2 (ja) | コンクリート平板部材 | |
KR20050073773A (ko) | 골판형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라브 구조 및 시공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405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6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2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