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178B1 - contact switch module of trunk latch for vehicle, and trunk latch module using it - Google Patents
contact switch module of trunk latch for vehicle, and trunk latch module using 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99178B1 KR101499178B1 KR20140008390A KR20140008390A KR101499178B1 KR 101499178 B1 KR101499178 B1 KR 101499178B1 KR 20140008390 A KR20140008390 A KR 20140008390A KR 20140008390 A KR20140008390 A KR 20140008390A KR 101499178 B1 KR101499178 B1 KR 1014991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contact switch
- terminal
- bent
- track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60Q1/2669—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on door or boot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트렁크 래치의 접촉스위치 모듈 및 이를 사용하는 차량의 트렁크 래치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트렁크 래치의 접촉스위치 모듈로서, 트렁크 래치 모듈의 모터 및/또는 트렁크 개폐 램프와 연결되는 양극의 도선과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2개의 라운드형 트랙으로 형성된 2트랙 터미널; 및 걸림 구조를 형성하고 회동에 따라 트렁크의 개폐를 결정하는 클로 일부에 연장되는 막대형으로, 상기 클로의 회동으로 상기 터미널의 양 트랙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모터 및/또는 트렁크 개폐 램프의 on/off를 결정하는 접촉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접촉스위치의 끝단부에 복수개의 절곡부를 형성하여, 상기 터미널의 양 트랙에 접촉시 두개의 접촉부분을 갖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불량률을 줄일 수 있으며, 강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내구성 향상 및 접촉압력 및 균일성이 높여 스위칭 안정성이 높아질 수 있는 차량의 트렁크 개폐 램프 접촉스위치 모듈 및 이를 사용하는 차량의 트렁크 래치 모듈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ct switch module of a trunk latch of a vehicle and a trunk latch module of a vehicle using the contact switch module of the trunk latch of a vehicle. The contact switch module of the trunk latch includes a lead of an anode connected to a motor of a trunk latch module and / A two-track terminal connected to each other and formed of two round-shaped track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trunk opening / closing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runk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two tracks of the terminal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due to the rotation of the claw, and a contact switch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ontact switch is in contact with the track, wherein a plurality of bending portions are formed at the end of the contact switch, and the contact portion has two contact portions when the contac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both tracks of th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unk opening / closing lamp contact switch module and a trunk opening / closing switch module of a vehicle which can be easily manufactured, can be easily manufactured, can be reduced in defective ratio, can be improved in durability and in contact pressure and uniformity, And a trunk latch module of a vehicle using the same.
Description
본 발명은 트렁크 개폐 램프 스위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이고 스위칭 안정성이 높은 차량의 트렁크 래치의 접촉스위치 모듈 및 이를 사용하는 차량의 트렁크 래치 모듈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unk opening / closing lamp switch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ct switch module of a trunk latch of a vehicle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high switching stability and a trunk latch module of a vehicle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후방 트렁크룸의 상부에는 개폐 가능한 구조의 트렁크리드가 장착되는데, 상기 트렁크리드가 개폐됨에 따라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이를 운전석의 트렁크리드 램프 측으로 신호를 전달되게 함으로써 운전자가 트렁크리드의 개폐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Generally, a trunk lid having an openable and closable structure is mounted on an upper part of a rear trunk room of an automobile. When the trunk lid is opened or closed, 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runk lid lamp side of the driver's seat So that the state can be grasped.
도 1a 와 도 1b 는 종래의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스트라이커 조립체에 있어서, 트렁크리드가 개폐되는 상태에 따라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S. 1A and 1B are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trunk lid lamp switch according to a state in which the trunk lid is opened and closed in a trunk lid striker assembly of a conventional automobile.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트렁크리드의 하단부에 위치한 트렁크리드 래치 조립체(10)가 상하로 이동하면, 트렁크리드 래치 조립체(10)와 대향하여 그 하부에 위치한 트렁크리드 스트라이크 조립체(30)의 베이스 플레이트(31)상에 설치된 트렁크Referring to the figure, when the luggage
리드 램프 스위치(40)와 접촉하게 된다.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ead lamp switch 40.
상기 트렁크리드 스트라이크 조립체(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31)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상에 설치된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40)와, 상기 램프 스위치(40)의 동작상태에 따라 이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차체패널을 통해 운전석의 전면의 트렁크리드 램프로 전달하는 연결 단자부(51,52,5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trunk
트렁크리드가 개방된 상태인 도 1a 의 경우에는, 트렁크리드 래치 어셈블리(10)의 하측단부(11)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눌러져 있던 램프 스위치(40)는 상부로 돌출하여 나오며, 이때 단락되어 있던 두 전원연결단자(51,52)가 접촉하여 전원이 인가되어 트렁크리드 램프에 불이 들어오게 된다.In the case of Fig. 1A in which the luggage compartment lid is opened, the lower end 11 of the luggage
이때, 상기 본 발명의 램프 스위치(40)는 하부의 램프 스위치 하우징(41)과, 상기 램프 스위치 하우징(41)의 내측에 일단이 결착된 램프 스위치 본체(43)로 구성되며, 램프 스위치 본체(43)를 누르는 트렁크리드 래치 조립체(10)가 상부로 이동하여 압박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램프 스위치 하우징(41)의 내측에 삽착되어 있는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램프 스위치 본체(43)가 상부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나온다. 이 경우 전원연결단자(51,52)간의 상호 접촉이 이루어져 전원이 인가된다.The lamp switch 40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ower
트렁크리드가 닫혀진 상태인 도 1b 에서는, 트렁크리드 래치 어셈블리(10)의 하측단부(11)가 그 대향하여 있는 트렁크램프 스위치 본체(33)의 상부를 압착하여 두 연결단자(51,52)간의 접촉이 끊어져 트렁크리드 램프가 작동되지 않는다.1B, in which the trunk lid is closed, the lower end 11 of the trunk
상기에서 하부연결단자(53)는 자동차 배터리의 + 전극에 연결되고, 스트라이커 베이스 플레이트(31)상에 볼트로 체결된 스위치 마운팅 플레이트(33)상의 다른 연결단자(52)는 차체 패널을 통해 - 전극에 연결된다.The lower connection terminal 53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automobile battery and the
상기한 바와 같이, 트렁크리드 스트라이커 조립체에 결착되는 종래의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 구조에서는, 트렁크리드가 완전히 개방되지 않고, 조금 만 개방되어 있는 경우, 예컨데, 추운 겨울에 트렁크리드를 비롯하여 차체가 전체적으로 얼어붙은 경우, 또는 트렁크리드를 일정한 힘의 작용하에 개폐하는 토션바의 내구적인 한계로 인해 트렁크리드의 개방이 완전히 되지 않는 경우, 트렁크리드 래치 조립체(10)의 하측단부(11)와 트렁크리드 스트라이커 조립체(30)의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40)와는 여전히 접촉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트렁크리드가 개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감지하지 못하여 트렁크리드 램프가 작용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운전자는 트렁크리드가 개방된 상태인데도 닫혀있는 것으로 판단할 우려가 있어 운전시 위험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trunk lid lamp switch structure of the automobile which is stuck to the trunk lid striker assembly, when the trunk lid is not completely opened but only slightly opened, for example, the trunk lid, The lower end 11 of the trunk
이와 같은 버튼형식의 스위칭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렁크리드 개폐 신호를 생성하는 컨텍트 스위치 구조는 2 트랙의 라운드형 트랙으로 이루어진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에 접촉하는 각각의 짧은 다리 및 긴 다리 접촉레버로 구성되어, 상기 접촉레버가 연장되는 트렁크 개폐에 관여하는 클로가 트렁크 개폐시 회동에 의해 상기 터미널에 접촉하여 스위칭 되는 구조를 공지된 기술에서 사용하고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switching structure of such a button type, as shown in Fig. 2, a contact switch structure for generating a trunk lid opening and closing signal includes a terminal composed of two round tracks and a short leg, And the claws involved in the trunk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in which the contact levers extend are used to switch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by rotation when the trunk is opened and closed.
그러나 상기 공지된 2개의 접촉레버 스위치 구조는 접촉레버가 터미널과 접촉시 과도한 변형이 발생하고, 과도한 변형에 의한 접지 불량이 발생할 확률이 높을 뿐만 아니라, 또한 제조단계에서 2개의 다리 접촉레버가 터미널에 균일한 압력분포를 갖도록 각각의 다리 접촉레버의 휘어진 각도를 달리하여 정밀하게 설계해야하는 것에 따른 불량률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known two contact lever switch structure, not only the contact lever is excessively deformed upon contact with the terminal, but also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a ground fault due to excessive deformation is high,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defective rate is high due to the need to precisely design each of the leg contact levers with different warping angles so as to have a uniform pressure distribution.
또한 각각의 다리 접촉레버의 접촉압력이 달라지고,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자주 사용함에 따른 변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충분한 강성을 가지지 못해 절단되는 등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tact pressures of the respective leg contact levers are varied and influence each other,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deformation due to frequent use is likely to occur, and durability is deteriorated due to lack of sufficient rigidity.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과제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불량률을 줄일 수 있으며, 강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내구성 향상 및 접촉압력 및 균일성이 높여 스위칭 안정성이 높아질 수 있는 차량의 트렁크 개폐 램프 접촉스위치 모듈 및 이를 사용하는 차량의 트렁크 래치 모듈을 제공하고자 함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s to provide a vehicle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easy to manufacture, capable of reducing a defective ratio, increasing rigidity, increasing durability,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nd uniformity, And a trunk latch module of a vehicle using the lamp contact switch modul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트렁크 래치의 접촉스위치 모듈로서, 트렁크 래치 모듈의 모터 및/또는 트렁크 개폐 램프와 연결되는 양극의 도선과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2개의 라운드형 트랙으로 형성된 2트랙 터미널; 및 걸림 구조를 형성하고 회동에 따라 트렁크의 개폐를 결정하는 클로 일부에 연장되는 막대형으로, 상기 클로의 회동으로 상기 터미널의 양 트랙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모터 및/또는 트렁크 개폐 램프의 on/off를 결정하는 접촉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접촉스위치의 끝단부에 복수개의 절곡부를 형성하여, 상기 터미널의 양 트랙에 접촉시 두개의 접촉부분을 갖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act switch module for a trunk latch, which is connected to a lead of an anode connected to a motor and / or a trunk opening / closing lamp of a trunk latch module, A two track terminal formed of a round type track; And a trunk opening / closing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runk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two tracks of the terminal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due to the rotation of the claw, and a contact switch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ontact switch is in contact with the track, wherein a plurality of bending portions are formed at the end of the contact switch, and the contact portion has two contact portions when the contac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both tracks of the terminal.
여기서, 상기 접촉스위치의 끝단부는 상기 터미널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 절곡부와, 상기 제1 절곡부로부터 일정간격 두고 상기 클로의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 절곡부와, 상기 제2 절곡부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2 절곡부와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3 절곡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2 절곡부와 상기 접촉스위치의 끝단 모서리가 상기 터미널의 각 트랙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nd portion of the contact switch includes a first bent portion bent in the terminal direction, a second bent portion ben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bent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claw, And a third bent portion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bent portion, wherein an end edge of the second bent portion and the contact switch contact each track of the terminal.
또한, 상기 접촉스위치의 끝단부는 상기 터미널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 절곡부와, 상기 제1 절곡부부터 일정간격 두고 상기 제1 절곡부와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 절곡부와, 상기 제2 절곡부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2 절곡부와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3 절곡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2 절곡부와 상기 접촉스위치의 끝단 모서리가 상기 터미널의 각 트랙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act switch may have a first bent portion bent toward the terminal, a second bent portion ben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bent por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bent portion, And a third bent portion ben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first bent portion and the second bent por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bent portion, wherein an end edge of the second bent portion and the contact switch contact each track of the terminal .
더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미널의 양 트랙 중 어느 하나의 일부에 절연부가 형성되어, 상기 접촉스위치의 회동에 따라 상기 모터 및/또는 트렁크 개폐 램프의 on/off를 결정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터미널의 양 트랙 중심에 상기 트랙을 따라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접촉스위치가 상기 가이드홈에 접촉되어 회동되는 것일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insulating portion is formed on a part of one of both tracks of the terminal so that on / off of the motor and / or the trunk opening / closing lamp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ontact switch, A guide groove may be formed along the track at the center of both tracks, and the contact switch may be rotated in contact with the guide groove.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특징으로서, 차량의 트렁크 래치 모듈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모터;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회동하는 웜기어; 상기 웜기어에 고정 장착되어 동시에 회동되는 릴리즈 레버와; 상기 릴리즈 레버의 회동으로 다른 축을 따라 회동하는 파울(pawl); 상기 파울의 회동에 따라 걸림 구조를 형성하여 회동하며 트렁크의 개폐를 결정하는 클로(claw); 및 상기 모터 및/또는 트렁크 개폐 램프와 연결되는 양극의 도선과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2개의 라운드형 트랙으로 형성된 2트랙 터미널, 상기 클로 일부에 연장되는 막대형으로 끝단부에 복수개의 절곡부를 형성하여, 상기 터미널의 양 트랙에 접촉시 두개의 접촉부분을 갖는 구조로서, 상기 클로의 회동으로 상기 터미널의 양 트랙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모터 및/또는 트렁크 개폐 램프의 on/off를 결정하는 접촉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접촉스위치 모듈을 포함한다.As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unk latch module of a vehicle includes: a motor mounted on a base plate; A worm gear connected to the motor and rotating; A release lever fixedly mounted on the worm gear and rotated at the same time; A pawl which rotates along the other axis by the rotation of the release lever; A claw which forms a 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oul so as to rotate and determines opening and closing of the trunk; And a two-track terminal connected to a lead of an anode connected to the motor and / or the trunk opening / closing lamp, the two-track terminal being formed of two round-shaped track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trunk opening / closing lamp is turned on / off according to the contact of both tracks of the terminal by the rotation of the claw. And a contact switch module that includes a contact switch for determining the contact position.
여기서, 상기 접촉스위치의 끝단부는 상기 터미널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 절곡부와, 상기 제1 절곡부로부터 일정간격 두고 상기 클로의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 절곡부와, 상기 제2 절곡부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2 절곡부와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3 절곡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2 절곡부와 상기 접촉스위치의 끝단 모서리가 상기 터미널의 각 트랙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nd portion of the contact switch includes a first bent portion bent in the terminal direction, a second bent portion ben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bent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claw, And a third bent portion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bent portion, wherein an end edge of the second bent portion and the contact switch contact each track of the terminal.
또한, 상기 접촉스위치의 끝단부는 상기 터미널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 절곡부와, 상기 제1 절곡부부터 일정간격 두고 상기 제1 절곡부와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 절곡부와, 상기 제2 절곡부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2 절곡부와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3 절곡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2 절곡부와 상기 접촉스위치의 끝단 모서리가 상기 터미널의 각 트랙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act switch may have a first bent portion bent toward the terminal, a second bent portion ben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bent por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bent portion, And a third bent portion ben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first bent portion and the second bent por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bent portion, wherein an end edge of the second bent portion and the contact switch contact each track of the terminal .
더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미널의 양 트랙 중 어느 하나의 일부에 절연부가 형성되어, 상기 접촉스위치의 회동에 따라 상기 모터 및/또는 트렁크 개폐 램프의 on/off를 결정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터미널의 양 트랙 중심에 상기 트랙을 따라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접촉스위치가 상기 가이드홈에 접촉되어 회동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insulating portion is formed on a part of one of both tracks of the terminal so that on / off of the motor and / or the trunk opening / closing lamp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ontact switch, A guide groove may be formed along the track at the center of both tracks, and the contact switch may be rotated in contact with the guide groov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불량률을 줄일 수 있으며, 폭이 넓은 하나의 막대형으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강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넓은 폭에 따른 내구성 향상 및 탄성력을 줄여 접촉점에 균일하고 높은 압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칭 안정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ructure is simple, it is easy to manufacture, the defective rate can be reduced, and since it is used as a single rod having a wide width, not only the rigidity is increased but also the durability is improved according to the wide width and the elastic force is reduced, And high pressure can be obtained,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switching stability is enhanced.
또한, 하나의 막대에서 절곡되어 2개의 접촉부를 형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접촉압력의 균일성, 접촉스위치의 강성 및 접촉 안정성을 높여 스위칭 신뢰도를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it is bent at one bar to form two contact portions, the uniformity of the contact pressure, the rigidity of the contact switch, and the contact stability can be increased and the switching reliability can be greatly increased.
도 1a 와 도 1b 는 종래의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스트라이커 조립체에 있어서, 트렁크리드가 개폐되는 상태에 따라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트렁크 개폐 램프의 2개의 다리 구조를 갖는 접촉스위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래치의 접촉스위치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차량의 트렁크 래치의 접촉스위치 모듈에서 접촉스위치의 또 다른 구조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S. 1A and 1B are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ng state of a trunk lid lamp switch according to a state in which a trunk lid is opened and closed in a trunk lid striker assembly of a conventional automobile.
2 is a view showing a contact switch structure having two leg structures of a conventional trunk opening and closing lamp,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ontact switch module of a trunk latch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other structural example of the contact switch in the contact switch module of the trunk latch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In the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and are exaggerated for clarity. Also,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소자 및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The expression "and / or" is used herein to mea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elements listed before and after. Also, singular forms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elements referred to in the specification as " comprises "or" comprising " refer to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elements, and / or devices.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래치의 접촉스위치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래치의 접촉스위치 모듈(100)은, 트렁크 래치 모듈의 모터 및/또는 트렁크 개폐 램프와 연결되는 양극의 도선과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2개의 라운드형 트랙으로 형성된 2트랙 터미널(150); 및 걸림 구조를 형성하고 회동에 따라 트렁크의 개폐를 결정하는 클로 일부에 연장되는 막대형으로, 상기 클로의 회동으로 상기 터미널(150)의 양 트랙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모터 및/또는 트렁크 개폐 램프의 on/off를 결정하는 접촉스위치(13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접촉스위치(130)의 끝단부에 복수개의 절곡부를 형성하여, 상기 터미널(150)의 양 트랙에 접촉시 두개의 접촉부분을 갖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ontact switch module of a trunk latch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he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래의 2개의 다리 구조를 갖는 접촉스위치(130)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접촉압력 불균형에 따른 변형과 스위치 동작의 오류 등의 문제를 상당부분 개선하기 위해서, 하나의 막대형상의 접촉스위치(130)를 사용하고, 2개의 라운드 트랙(153,155)을 갖는 터미널(150)에 두 지점의 접촉 부분을 형성하고, 회동을 통해 모터나 트렁크 개폐 램프의 스위칭 on/off를 결정하는 구조를 제안한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substantially alleviate problems such as deformation due to contact pressure imbalance and error in switching operation, which may occur in the
하나의 막대형으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2개의 다리 구조보다 넓은 폭으로 설계가 가능하여 강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넓은 폭에 따른 내구성 향상 및 탄성력을 줄여 접촉점에 균일하고 높은 압력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스위칭 안정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It is possible to design a wider width than the two leg structures, which not only increases the rigidity but also improves the durability according to the wide width and reduces the elastic force so that the pressure can be uniform and high at the contact point The switching stability is improved.
2트랙(153,155) 터미널(150)은 트렁크 래치 모듈의 모터 및/또는 트렁크 개폐 램프와 연결되는 양극의 도선과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라운드형 트랙(153,155)으로 형성된다. 이는 모터의 동작과 트렁크 개폐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램프와 연결된 양극을 배선으로 연결하기 위함이고, 양 트랙(153,155)을 동시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면, 모터가 동작을 정지하고, 램프 등이 켜(on)지게 되는 동작을 유도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two
그리고, 2트랙(153,155) 터미널(150)에서 어느 하나의 트랙(153,155)의 일부에 절연부가 형성되어 전기적으로 도통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접촉스위치(130)가 상기 트랙(153,155)을 따라 회동하면서 램프 또는 모터의 동작을 on/off 하게 되는 구조이고, 상기 터미널(150)의 트랙(153,155)에 접촉스위치(130)가 이탈되는 경우가 없으므로, 스위칭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기적으로 단선 되는 구조를 형성해야 하기 때문이다.It is preferable that an insulating portion is formed on a part of one of the
이와 같은 2트랙(153,155)을 이용한 접촉스위치(130)의 회동에 따른 스위칭 on/off 구조는 종래의 버튼 누름 방식보다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버튼을 자주 사용함에 따른 스프링 부재의 내구성 약화와 예기치 못한 외부 환경에 의한 버튼의 고장이 자주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구조이고, 간단한 구조라는 점에서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The switching on / off structur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접촉스위치(130)는 걸림 구조를 형성하고 회동에 따라 트렁크의 개폐를 결정하는 클로(claw) 일부에 연장되는 막대형으로, 상기 클로의 회동으로 상기 터미널(150)의 양 트랙(153,155)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모터 및/또는 트렁크 개폐 램프의 on/off를 결정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접촉스위치(130)의 끝단부에 복수개의 절곡부를 형성하여, 상기 터미널(150)의 양 트랙(153,155)에 접촉시 두개의 접촉부분을 갖도록 하여 회동에 따라, 트렁크 및 모터의 양극과 연결된 2트랙(153,155)의 전기적 연결 및 차단을 통해 on/off를 결정하는 구조를 제안한다.The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넓은 폭을 갖는 막대형 구조를 형성하여, 내구성을 높이고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접촉압력을 높이고 양 트랙(153,155)의 접촉압력의 균일성을 높여 스위칭 동장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a rod-like structure having a wide width, the durability is improved, the structure is simple, the contact pressure is increased, and the uniformity of the contact pressure of both
그리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스위치(130)의 구조는 다수개의 절곡부를 형성하여, 상기 터미널(150)의 각각 트랙(153,155)에 동시 접촉할 수 있는 2개의 접촉 부분을 갖는 구조를 제안한다. 3, the structure of the
즉, 터미널(150) 상단에 위치한 접촉스위치(130)는 막대형 접촉스위치(130)의 일부분에서 상기 하방에 위치한 터미널(150) 방향으로 제1 절곡부(133)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절곡부(133)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클로 방향으로 제2 절곡부(135)를 형성하고, 다시 일정간격을 두고 나머지 부분을 상기 하방에 위치한 터미널(150) 방향으로 제3 절곡부(137)를 형성하여, 상기 제2 절곡부(135)와 상기 접촉스위치(130)의 끝단부 모서리가 각각의 트랙(153,155)에 접촉되는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수개의 막대형 접촉스위치(130)를 다수개의 절곡부를 형성하여 터미널(150)의 2개의 트랙(153,155)에 각각 접촉할 수 있는 접촉부를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막대에서 절곡되어 2개의 접촉부를 형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접촉압력의 균일성, 접촉스위치(130)의 강성 및 접촉 안정성을 높여 스위칭 신뢰도를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rod contact switches 130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bends to form contact portions capable of contacting the two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절곡부(135)가 터미널(150) 외측 트랙(155)에 접촉되고, 제3 절곡부(137)가 터미널(150) 상방으로 절곡되어 접촉스위치(130) 끝단 모서리(139)가 내측 트랙(153)에 접촉되는 구조를 제안하여, 종래의 2개의 다리 구조를 갖는 스위칭 구조처럼 어느 하나의 접촉에 따른 변형과 접촉압력의 불균형을 상당부분 개선할 수 있게 되고, 충분한 막대의 폭으로 강성이 높아져 탄성력이 줄어들어 양 접촉압력이 균일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단순히 절곡부를 형성하는 구조여서 내구성이 높아지고 고장 빈도를 상당히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3, the second
상기 접촉스위치(130)는 상기 터미널(150) 양 트랙(153,155)에 상시 접촉되어 있고, 상기 접촉스위치(130)가 클로(claw)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면서 상기 트랙(153,155)을 슬라이딩 회동하게 되는데, 터미널(150)의 어느 하나의 트랙(153,155) 일부에 절연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접촉스위치(130)의 회동에 따라 모터 및 트렁크 개폐 램프의 동작을 on/off 하게 된다.The
즉, 접촉스위치(130)가 절연부에 위치하게 되면, 모터 및 트렁크 개폐 램프와 전기적으로 단선되어 동작 스위치가 off 하게 되고, 그 위치에서 회동하여 상기 절연부를 벗어난 위치에 있게 되면, 모터 및 트렁크 개폐 램프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위치가 on 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차량의 트렁크 래치의 접촉스위치(130) 모듈(100)에서 접촉스위치(130)의 또 다른 구조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접촉스위치(140)는 상기 접촉스위치(140)의 끝단부는 상기 터미널(15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 절곡부(143)와, 상기 제1 절곡부(143)부터 일정간격 두고 상기 제1 절곡부(143)와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 절곡부(145)와, 상기 제2 절곡부(145)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2 절곡부(145)와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3 절곡부(147)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2 절곡부(145)와 상기 접촉스위치(130)의 끝단 모서리(149)가 상기 터미널(150)의 각 트랙(153,155)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4 is a view showing another structural example of the
도 3의 실시예와 달리, 제2 절곡부(145)가 터미널(150)의 상방향 즉, 제1 절곡부(143)와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고, 제3 절곡부(147)가 다시 터미널(150)의 하방향 즉, 제2 절곡부(145)와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구조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접촉스위치(130) 끝단 모서리(149)가 외측 터미널(150) 트랙(153,155)에 접촉하고, 제2 절곡부(145)가 내측 터미널(150) 트랙(153,155)에 접촉한다는 점에서 도 3의 실시예에와 반대이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터미널(150) 트랙(153,155)에 접촉되는 부분이 서로 반대라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그 효과는 동일하다.3, the second
그 외에도,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터미널(150)의 양 트랙(153,155) 중심에 상기 트랙(153,155)을 따라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접촉스위치(130)가 상기 가이드홈에 접촉되어 회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시하지 않음) 이는 평평한 트랙(153,155)보다 트랙(153,155) 라인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위가 안정적으로 접촉되어 회동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외부 환경에 의한 터미널(150) 트랙(153,155) 또는 접촉스위치(130)의 변형에도 상기 접촉을 유지할 수 있어서 스윙칭 동작 안정성을 꾀할 수 있기 때문이다.
In another embodiment, guide grooves are formed along the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래치 모듈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모터;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회동하는 웜기어; 상기 웜기어에 고정 장착되어 동시에 회동되는 릴리즈 레버와; 상기 릴리즈 레버의 회동으로 다른 축을 따라 회동하는 파울(pawl); 상기 파울의 회동에 따라 걸림 구조를 형성하여 회동하며 트렁크의 개폐를 결정하는 클로(claw); 및 상기 모터 및/또는 트렁크 개폐 램프와 연결되는 양극의 도선과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도시하지 않음),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2개의 라운드형 트랙(153,155)으로 형성된 2트랙(153,155) 터미널(150), 상기 클로 일부에 연장되는 막대형으로 끝단부에 복수개의 절곡부를 형성하여, 상기 터미널(150)의 양 트랙(153,155)에 접촉시 두개의 접촉부분을 갖는 구조로서, 상기 클로(600)의 회동으로 상기 터미널0)의 양 트랙(153,155)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모터 및/또는 트렁크 개폐 램프의 on/off를 결정하는 접촉스위치(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접촉스위치 모듈(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접촉스위치 모듈(100)은 상기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모듈과 동일하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unk latch modul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tor mounted on a base plate; A worm gear connected to the motor and rotating; A release lever fixedly mounted on the worm gear and rotated at the same time; A pawl which rotates along the other axis by the rotation of the release lever; A claw which forms a 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oul so as to rotate and determines opening and closing of the trunk; And two track (153, 155)
이와 같이, 모터 및 트렁크 개폐 램프의 동작 on/off를 결정하는 접촉스위치 모듈(100)을 사용함으로써, 접촉스위치 모듈(100)의 내구성을 높이고, 고장 발생율을 낮출 뿐만 아니라, 스윙칭 동작 안정성 및 신뢰도를 높여 차량의 트렁크 개폐 및 모니터에 대한 사용자 신뢰도 및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By using the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 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yone with it will know easily.
100: 접촉스위치 모듈, 130: 접촉스위치, 150: 터미널,
200: 모터, 210; 베이스 플레이트, 300: 웜기어,
400: 릴리즈 레버, 500: 파울(pawl), 600: 클로(claw)100: contact switch module, 130: contact switch, 150: terminal,
200: motor, 210; Base plate, 300: worm gear,
400: release lever, 500: pawl, 600: claw,
Claims (10)
걸림 구조를 형성하고 회동에 따라 트렁크의 개폐를 결정하는 클로 일부에 연장되는 막대형으로, 상기 클로의 회동으로 상기 터미널의 양 트랙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모터 및/또는 트렁크 개폐 램프의 on/off를 결정하는 접촉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접촉스위치의 끝단부에 복수개의 절곡부를 형성하여, 상기 터미널의 양 트랙에 접촉시 두개의 접촉부분을 갖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래치의 접촉스위치 모듈.
A two-track terminal 0 formed of two round-shaped track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connected to a lead of an anode connected to a motor and / or a trunk opening / closing lamp of the trunk latch module; And
And the trunk opening / closing lamp is turned on / off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two tracks of the terminal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due to the rotation of the claw, And a contact switch for determining a contact state,
Wherein the contact switch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ent portions are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contact switch and two contact portions are formed when the contact switch is in contact with both tracks of the terminal.
상기 접촉스위치의 끝단부는 상기 터미널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 절곡부와,
상기 제1 절곡부로부터 일정간격 두고 상기 클로의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 절곡부와,
상기 제2 절곡부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2 절곡부와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3 절곡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2 절곡부와 상기 접촉스위치의 끝단 모서리가 상기 터미널의 각 트랙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래치의 접촉스위치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end of the contact switch has a first bent portion bent toward the terminal,
A second bent portion ben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bent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claw,
And a third bending portion ben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cond bending por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bending portion,
And the end edge of the second bent portion and the contact switch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spective tracks of the terminal.
상기 접촉스위치의 끝단부는 상기 터미널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 절곡부와,
상기 제1 절곡부부터 일정간격 두고 상기 제1 절곡부와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 절곡부와,
상기 제2 절곡부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2 절곡부와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3 절곡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2 절곡부와 상기 접촉스위치의 끝단 모서리가 상기 터미널의 각 트랙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래치의 접촉스위치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end of the contact switch has a first bent portion bent toward the terminal,
A second bent portion ben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bent por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bent portion,
And a third bending portion ben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cond bending por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bending portion,
And the end edge of the second bent portion and the contact switch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spective tracks of the terminal.
상기 터미널의 양 트랙 중 어느 하나의 일부에 절연부가 형성되어, 상기 접촉스위치의 회동에 따라 상기 모터 및/또는 트렁크 개폐 램프의 on/off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래치의 접촉스위치 모듈.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n insulating portion is formed on a part of one of both tracks of the terminal so that on / off of the motor and / or the trunk opening / closing lamp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ontact switch. .
상기 터미널의 양 트랙 중심에 상기 트랙을 따라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접촉스위치가 상기 가이드홈에 접촉되어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래치의 접촉스위치 모듈.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center of both tracks of the terminal along the track so that the contact switch is rotated in contact with the guide groove.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회동하는 웜기어;
상기 웜기어에 고정 장착되어 동시에 회동되는 릴리즈 레버;
상기 릴리즈 레버의 회동으로 다른 축을 따라 회동하는 파울(pawl);
상기 파울의 회동에 따라 걸림 구조를 형성하여 회동하며 트렁크의 개폐를 결정하는 클로(claw); 및
상기 모터 및/또는 트렁크 개폐 램프와 연결되는 양극의 도선과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2개의 라운드형 트랙으로 형성된 2트랙 터미널, 상기 클로 일부에 연장되는 막대형으로 끝단부에 복수개의 절곡부를 형성하여, 상기 터미널의 양 트랙에 접촉시 두개의 접촉부분을 갖는 구조로서, 상기 클로의 회동으로 상기 터미널의 양 트랙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모터 및/또는 트렁크 개폐 램프의 on/off를 결정하는 접촉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접촉스위치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래치 모듈.
A motor mounted on the base plate;
A worm gear connected to the motor and rotating;
A release lever fixedly mounted on the worm gear and simultaneously rotated;
A pawl which rotates along the other axis by the rotation of the release lever;
A claw which forms a 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oul so as to rotate and determines opening and closing of the trunk; And
A two-track terminal connected to a lead of an anode connected to the motor and / or the trunk opening / closing lamp, the two-track terminal being formed of two round-shaped track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 off of the motor and / or the trunk opening / closing lamp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tact of both tracks of the terminal by the rotation of the claw, Wherein the contact switch module comprises a contact switch module including a contact switch for connecting the contact switch module to the vehicle body.
상기 접촉스위치의 끝단부는 상기 터미널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 절곡부와,
상기 제1 절곡부로부터 일정간격 두고 상기 클로의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 절곡부와,
상기 제2 절곡부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2 절곡부와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3 절곡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2 절곡부와 상기 접촉스위치의 끝단 모서리가 상기 터미널의 각 트랙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래치의 접촉스위치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n end of the contact switch has a first bent portion bent toward the terminal,
A second bent portion ben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bent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claw,
And a third bending portion ben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cond bending por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bending portion,
And the end edge of the second bent portion and the contact switch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spective tracks of the terminal.
상기 접촉스위치의 끝단부는 상기 터미널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 절곡부와,
상기 제1 절곡부부터 일정간격 두고 상기 제1 절곡부와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 절곡부와,
상기 제2 절곡부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2 절곡부와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3 절곡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2 절곡부와 상기 접촉스위치의 끝단 모서리가 상기 터미널의 각 트랙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래치의 접촉스위치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n end of the contact switch has a first bent portion bent toward the terminal,
A second bent portion ben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bent por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bent portion,
And a third bending portion ben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cond bending por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bending portion,
And the end edge of the second bent portion and the contact switch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spective tracks of the terminal.
상기 터미널의 양 트랙 중 어느 하나의 일부에 절연부가 형성되어, 상기 접촉스위치의 회동에 따라 상기 모터 및/또는 트렁크 개폐 램프의 on/off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래치의 접촉스위치 모듈.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8,
Wherein an insulating portion is formed on a part of one of both tracks of the terminal so that on / off of the motor and / or the trunk opening / closing lamp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ontact switch. .
상기 터미널의 양 트랙 중심에 상기 트랙을 따라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접촉스위치가 상기 가이드홈에 접촉되어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래치의 접촉스위치 모듈.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center of both tracks of the terminal along the track so that the contact switch is rotated in contact with the guide groov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08390A KR101499178B1 (en) | 2014-01-23 | 2014-01-23 | contact switch module of trunk latch for vehicle, and trunk latch module using 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08390A KR101499178B1 (en) | 2014-01-23 | 2014-01-23 | contact switch module of trunk latch for vehicle, and trunk latch module using i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99178B1 true KR101499178B1 (en) | 2015-03-09 |
Family
ID=53026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008390A Active KR101499178B1 (en) | 2014-01-23 | 2014-01-23 | contact switch module of trunk latch for vehicle, and trunk latch module using 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99178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50174A (en) * | 1996-07-29 | 1998-02-20 | Mic Electron Co | U-shaped contact spring piece of switch |
JP2001504627A (en) * | 1996-07-17 | 2001-04-03 | ユーティー オートモウティヴ ディアボー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Multi-stage detent membrane switch |
KR100623386B1 (en) * | 2005-06-07 | 2006-09-13 | 평화정공 주식회사 | Lamp Switch Structure of Vehicle Latch Assembly |
KR20110049147A (en) * | 2009-11-04 | 2011-05-12 |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 Leaf spring switch and door switch for elevator with same |
-
2014
- 2014-01-23 KR KR20140008390A patent/KR10149917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504627A (en) * | 1996-07-17 | 2001-04-03 | ユーティー オートモウティヴ ディアボー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Multi-stage detent membrane switch |
JPH1050174A (en) * | 1996-07-29 | 1998-02-20 | Mic Electron Co | U-shaped contact spring piece of switch |
KR100623386B1 (en) * | 2005-06-07 | 2006-09-13 | 평화정공 주식회사 | Lamp Switch Structure of Vehicle Latch Assembly |
KR20110049147A (en) * | 2009-11-04 | 2011-05-12 |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 Leaf spring switch and door switch for elevator with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982393B2 (en) | Lever fitting-type power supply circuit breaker | |
US7943870B2 (en) | Switch device | |
CN104024553B (en) | The drive unit of open-close body | |
TWI389398B (en) | Connector assembly | |
KR20030092811A (en) | A fuel filler door assembly for a vehicle | |
US8129639B2 (en) | Emblem-unified tru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 |
CN105247736B (en) | Automatically closing electric connection system | |
JP2013109897A (en) | Connector | |
US20120193196A1 (en) | Enhanced returning elasticity micro switch | |
CN213602018U (en) | Electric connector convenient to operate | |
CN104662243A (en) | Remote control for vehicles | |
CN104348033B (en) | Electric coupler component | |
CN201868679U (en) | Connecting device of power supply circuit | |
KR101499178B1 (en) | contact switch module of trunk latch for vehicle, and trunk latch module using it | |
KR200450668Y1 (en) | Automotive Sunroof Actuated Switches | |
JP2001126593A (en) | Breaker device | |
JP2015060633A5 (en) | ||
US20060119113A1 (en) | Latch release operating apparatus | |
CN211929353U (en) | Waterproof microswitch | |
KR101524767B1 (en) | A sensor apparatus | |
JP6364226B2 (en) | Contact structure in circuit breaker or switch | |
JP2014051239A (en) | Circuit conduction breaking device | |
KR101286942B1 (en) | Switch structure with sliding contact | |
JPH11154444A (en) | Limit switch | |
JP3403603B2 (en) | Combination switc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