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99034B1 - 사이클론 필터링을 이용한 이물질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사이클론 필터링을 이용한 이물질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034B1
KR101499034B1 KR1020130072879A KR20130072879A KR101499034B1 KR 101499034 B1 KR101499034 B1 KR 101499034B1 KR 1020130072879 A KR1020130072879 A KR 1020130072879A KR 20130072879 A KR20130072879 A KR 20130072879A KR 101499034 B1 KR101499034 B1 KR 101499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suction
hose
mixture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9780A (ko
Inventor
문명선
Original Assignee
문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명선 filed Critical 문명선
Publication of KR20140109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9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03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11/00Accessories, e.g. safety or control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gulators, valves in inlet or overflow ducting

Landscapes

  • Cycl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클론 필터링을 이용한 이물질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석션에서 공기가 분리된 이물질과 물의 혼합물이 사이클론 집진기에 유입되면, 원심력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침전시키되, 사이클론 집진기에 유입되는 혼합물을 다시 석션으로 피드백 시켜 사이클론 집진기 내의 혼합물 유입량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시켜 이물질이 포함된 혼합물이 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이클론 필터링을 이용한 이물질 분리장치{Alien substance separating device using cyclone filtering}
본 발명은 사이클론 필터링을 이용한 이물질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석션에서 진공압을 형성시켜 혼합물이 유입되면, 사이클론 집진기를 통해 원심력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침전시키되, 사이클론 집진기 내에서는 혼합물이 항상 적정량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이물질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사이클론 필터링을 이용한 이물질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손상된 치아를 치료하기 위해 치과병원에서는 보통 치아 외면에 금, 세라믹, 아말감, 레진과 같은 보철물을 새로 씌우거나, 이미 시술된 보철물을 절삭하는 시술이 행해진다. 이러한 치과 시술 과정에서는 치아 절삭물과 함께 보철물 가루가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환자의 입안에서 발생된 보철물 가루와 치아 절삭물은 타액과 혼합된 상태로 유니트 체어에 설치된 핸드피스를 통해 흡입되거나, 타구대에 뱉어내는 과정에서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된 혼합물은 석션 장치에서 발생되는 진공압에 의해 석션라인을 따라 이동하여 하수 배출된다.
그러나 혼합물에 포함된 보철물 가루와 치아 절삭물 등의 이물질은 그대로 하수관을 통해 배출될 경우 심각한 수질오염을 불러올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분리되어 별도 처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한편 치과 시술 과정에서 발생한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38231호(치과의 아말감용 여과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7841호(치과용 석션 핸드피스, 치과용 유니트 체어 및 치과 환자로부터 금속을 수거하는 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치과 시술 과정에서 발생하는 혼합물에서 이물질을 원심력을 이용하여 분리 배출할 수 있도록 하되, 혼합물의 유입량이 많더라도 이물질의 역류를 방지하여 원활한 분리가 가능토록 하는 사이클론 필터링을 이용한 이물질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론 필터링을 이용한 이물질 분리장치는, 진공압을 발생시켜 흡입경로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 이물질 및 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유입시키고, 상기 유입된 혼합물을 분리하여 상기 공기는 공기배출경로를 통해 배출시키며, 상기 이물질 및 물은 이물질배출경로를 통해 배출시키는 석션; 원심력을 이용하여 상기 석션의 이물질배출경로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과 물의 혼합물에서 이물질을 침전시키는 사이클론 집진기; 상기 사이클론 집진기에서 침전된 이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이 유입되면 상기 이물질을 걸러내는 포집부; 및 상기 포집부에서 상기 이물질이 걸러진 후의 물을 상기 흡입경로 측으로 피드백 시키는 피드백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클론 집진기로 유입되는 이물질과 물의 혼합물은 상기 포집부와 상기 피드백호스를 따라 상기 석션의 흡입경로 측으로 피드백 됨으로써, 상기 사이클론 집진기 내에서 혼합물이 포화되는 것이 방지되어 사이클론 현상이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석션의 하부에는 상기 석션 내에 잔류하는 혼합물이 배출되는 드레인경로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석션의 드레인경로와 상기 흡입경로를 연결하는 드레인호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피드백호스의 일측은 상기 포집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드레인호스의 일 지점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피드백호스가 상기 포집부와 상기 흡입경로를 연통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드백호스 또는 상기 드레인호스의 일 지점에서 잔류 혼합물을 배출시키는 드레인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론 필터링을 이용한 이물질 분리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석션에서 진공압을 발생시켜 이물질 및 물이 포함된 혼합물이 흡입된 후 사이클론 집진기에 전달되면, 사이클론 집진기에서 사이클론 현상이 발생하여 원심력에 의해 무거운 이물질은 침전되어 포집부로 빠져나가고, 상대적으로 가벼운 물은 상부의 물배출호스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유입되는 혼합물의 양이 많아 사이클론 집진기 내부가 포화되면, 사이클론 현상이 원활하게 발생하지 않아 이물질이 물과 함께 물배출호스로 역류할 가능성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사이클론 집진기의 하부를 피드백호스를 통해 석션과 연결시켜 놓음으로써, 사이클론 집진기 내부의 혼합물을 즉각적으로 배출시켜, 사이클론 집진기 내부의 혼합물 양을 항상 적정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가 있다. 즉 사이클론 집진기 내부에서는 항상 적정량의 혼합물이 사이클론 현상을 일으켜서, 원심력 작용에 의해 이물질 분리 과정이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이클론 집진기에서 침전된 이물질과 물의 일부는 포집부를 거치면서 이물질만 포집되고 물은 다시 석션으로 진입되는데, 이때 포집부에서 걸러지지 않은 이물질이 있더라도, 피드백 과정을 거쳐 다시 한번 포집부를 통과시킴으로써 걸러낼 수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필터링을 이용한 이물질 분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이물질 분리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이물질 분리장치를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4는 도1에 도시된 이물질 분리장치의 작동 과정에서 혼합물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5는 피드백 구현이 되지 않을 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필터링을 이용한 이물질 분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이물질 분리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3은 도1에 도시된 이물질 분리장치를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필터링을 이용한 이물질 분리장치는 크게 석션(10), 사이클론 집진기(20) 및 포집부(30)로 구성되며, 이들 구성은 이물질배출호스(41), 물배출호스(42), 포집호스(43), 피드백호스(44) 및 드레인호스(45)로를 통해 적정한 위치에서 서로 연결된다. 또한 피드백호스(44)의 일 지점에는 드레인밸브(46)가 마련되어 있다.
먼저 석션(10)은 진공압을 발생시켜 외부로부터 혼합물을 흡입하는 장치이며, 세퍼레이터(11)와 모터(17)로 이루어진다.
세퍼레이터(11)의 일측에는 흡입경로(12)가 마련되어 있으며, 흡입경로(12)의 석션라인연결부(13)를 통해 석션라인이 연결됨으로써 유니트 체어의 핸드피스(미도시)나 타구대(미도시)에 배출된 혼합물이 세퍼레이터(11) 내부로 유입된다.
여기서 세퍼레이터(11)에 유입되는 혼합물이란 핸드피스나 타구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이물질 및 물 등의 물질을 말한다. 이 중 이물질은 환자의 입안에서 절삭된 금, 세라믹, 아말감, 레진 등의 보철물 가루와 치아 절삭물일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언급되는 혼합물에 포함된 '물'이란 환자가 입안을 헹구기 위해 머금었던 '물'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시술 과정에서 발생하는 침이나 피 등의 타액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한편 석션(10)의 세퍼레이터(11) 내부에는 모터(17)의 회전축(18)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분리임펠러(미도시) 및 낙하유도임펠러(미도시) 등이 위치하고 있으며, 흡입경로(12)를 통해 혼합물이 유입되면 자중(自重)에 의해 공기와 이물질 및 물이 분리되고, 분리된 공기는 낙하유도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여 세퍼레이터(11)의 다른 위치에 마련된 공기배출경로(15)로 배출된다. 시술 과정에서 발생하여 흡입된 혼합물 내의 공기는 악취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분리된 공기는 시술실 외부, 즉 건물 밖으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기가 분리된 혼합물의 이물질과 물은 분리임펠러 상에 떨어져 비산 와류되면서 세퍼레이터(11)의 또 다른 위치에 마련된 이물질배출경로(14)를 통해 세퍼레이터(11) 외부로 배출된다. 이물질과 물은 낙하유도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공기배출경로(15) 측으로 전달될 수가 없다.
이러한 석션(10)의 동작 원리는 이미 공지된 사항이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사이클론 집진기(20)는 내부에 사이클론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상부 일측이 이물질배출호스(41)를 통해 석션(10)의 이물질배출경로(14)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사이클론 집진기(20)의 상부는 물배출호스(42)로 연결되어 있어서 분리된 물이 하수 배출될 수 있다. 또 사이클론 집진기(20)의 하부는 포집호스(43)를 통해 포집부(30)와 연결되어 있어서 사이클론 현상에 의해 침전된 이물질과 물의 일부가 포집부(30)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사이클론 집진기(20)의 상부에서 이물질배출호스(41)를 통해 이물질과 물이 혼합된 혼합물이 유입되면, 혼합물은 사이클론 집진기(20)의 내부 공간에서 회전하며 사이클론을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비중이 높은 이물질은 벽면에 붙어서 아래로 침전되고, 사이클론의 영향에 의해 중앙 부분은 음압이 유지되면서 비중이 낮은 물이 위쪽으로 상승하여 물배출호스(42)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포집부(30)는 사이클론 집진기(20)에서 침전된 이물질을 수거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포집부(30)는 상부의 호스연결부(31)와 하부의 분리배출부(32)로 구분되며, 내측에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포집부(30)의 호스연결부(31)와 사이클론 집진기(20)의 하부가 포집호스(43)로 연결 있어서, 사이클론 집진기(20)에서 침전된 이물질과 물의 일부는 포집호스(43)를 따라 포집부(30)로 진입될 수 있다.
또한 포집부(30)의 호스연결부(31)의 타측에는 피드백호스(44)가 연결되어 있으며, 포집부(30)에서 이물질이 걸러진 후의 물은 피드백호스(44)를 통해 다시 석션(10) 측으로 피드백 된다.
즉 석션(10)의 하부에는 세퍼레이터(11) 내부에서 잔류하는 혼합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경로(16)가 마련되어 있고, 드레인경로(16)는 드레인호스(45)를 통해 다시 흡입경로(12)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드레인경로(16)의 일지점과 포집부(30)가 피드백호스(44)에 의해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포집부(30)로부터 피드백 물이 다시 흡입경로(12)로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필터링을 이용한 이물질 분리장치의 작동 과정에 대해서 도4의 개념도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토록 한다.
먼저 석션(10)의 모터(17)가 회전하면 회전축(18)에 연결된 분리임펠러(미도시) 및 낙하유도임펠러(미도시)가 회전하면서 세퍼레이터(11) 내부에 진공압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압력차이에 의해 석션라인연결부(13)와 연결된 핸드피스 또는 타구대를 통해 혼합물이 유입되고, 혼합물은 흡입경로(12)를 통해 세퍼레이터(11) 내부로 유입된다.
세퍼레이터(11)에 유입된 혼합물에서 공기는 낙하유도임펠러를 따라 이동하여 공기배출경로(15)로 배출되고, 이물질과 물은 분리임펠러를 통해 이물질배출경로(14)로 배출된다. 이물질배출경로(14)로 배출된 이물질과 물의 혼합물은 이물질배출호스(41)를 따라 사이클론 집진기(20)의 상부 일측으로 진입된다.
사이클론 집진기(20)의 내부 공간에 혼합물이 강한 힘으로 진입하면 사이클론이 발생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비중이 큰 이물질은 아래로 침전되고, 비중이 가벼운 물의 일부는 상부의 물배출호스(42)를 따라 배출된다.
또한 사이클론 집진기(20) 내에서 사이클론 현상에 의해 침전된 이물질과 물의 일부는, 사이클론 집진기(20) 하부에서 연결된 포집호스(43)를 통해 포집부(30)로 유입된다.
포집부(30)의 상부에 마련된 호스연결부(31)를 통해 사이클론 집진기(20)에서 침전된 이물질과 물의 일부가 섞인 혼합물이 유입되면, 내측의 필터에서 이물질은 걸러져 분리배출부(32)에 모아지고 물은 통과된다.
한편 피드백호스(44)의 일측은 포집부(30)의 호스연결부(31)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석션(10)의 흡입경로(12)와 연통되는 드레인호스(45)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석션(10)의 모터(17)가 작동하여 세퍼레이터(11) 내부의 압력이 낮아진 상태라면 흡입경로(12) 역시 압력이 낮은 상태이다. 즉 흡입경로(12)의 압력이 낮은 상태이기 때문에 흡입경로(12)와 연통된 드레인호스(45) 및 피드백호스(44)의 내부에 채워진 피드백 물은 압력의 차이로 흡입경로(12)로 자연스럽게 빨려들어간다.
즉 석션(10)의 흡입경로(12)에서 드레인호스(45) 및 피드백호스(44) 내부의 피드백 물을 끌어들인다는 것은 포집부(30), 포집호스(43) 및 사이클론 집진기(20)의 하부의 물까지 빨아들이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이클론 집진기(20) 내에서 사이클론 현상에 의해 이물질이 침전되면, 침전된 이물질과 물의 일부는 흡입경로(12)에서 피드백 물을 빨아들이는 힘에 의해 즉시 포집부(30) 측으로 배출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사이클론 집진기(20) 내부에는 혼합물이 항상 적정량만 유지될 수가 있다.
만약 피드백 과정을 구현시키지 않는다면 이물질이 제대로 분리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즉 피드백이 구현되지 않은 도5의 예시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석션(10)에서 배출된 이물질과 물의 혼합물이 사이클론 집진기(20)에 진입하면 사이클론 발생에 의해 대부분의 물은 물배출호스(42)로 배출되고, 이물질과 일부의 물은 포집부(30)로 배출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석션(10)에 유입되는 물의 양이 항상 적정 수준을 유지한다는 전제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만약 석션(10)에 유입되는 혼합물의 양이 많을 경우, 이물질배출경로(14)로 배출되는 이물질과 물의 혼합물 양 역시 많아지게 되고, 이러한 대량의 혼합물이 사이클론 집진기(20)에 진입한다면, 사이클론 현상이 발생하기도 전에 사이클론 집진기(20) 내부가 혼합물로 꽉 차게 된다. 따라서 침전 현상이 발생할 겨를도 없이 이물질이 물에 섞여 물배출호스(42)로 역류되는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의 과정을 설명한 도4의 개념도를 참조하면, 사이클론 집진기(20)에 유입되는 혼합물의 양이 많더라도, 사이클론 집진기(20)의 하부가 포집호스(43), 포집부(30), 피드백호스(44) 및 드레인호스(45)를 통해 흡입경로(12)로 연결되어 있어서, 흡입경로(12) 상의 음압에 의해 피드백 물이 다시 석션(10)로 유입되면서 사이클론 집진기(20) 하부의 이물질과 일부의 물 역시 즉시 배출되어, 사이클론 집진기(20) 내부에는 항상 적정량의 혼합물만 유지된다. 따라서 대량의 혼합물이 유입되더라도 사이클론 집진기(20) 내부에서는 원활하게 사이클론 현상이 발생하여 이물질이 역류되는 우려 없이 침전 현상이 일어난다.
또한 포집부(30)에 설치된 필터에서 혼합물의 이물질이 걸러지지 않고 통과되더라도, 통과된 이물질은 피드백 물에 섞인 채로 다시 석션(10)와 사이클론 집진기(20)를 거쳐 포집부(30)로 진입되기 때문에, 여과 효과를 높일 수가 있다.
한편 소정의 시술 과정을 마치고 석션(10)의 모터(17) 가동을 중단시키면, 포집부(30)의 분리배출부(32)를 분리하여, 걸러진 이물질을 수거할 수 있다. 이때 분리배출부(32)를 바로 분리시키면 포집호스(43), 포집부(30), 피드백호스(44) 및 드레인호스(45)에 잔류하고 있던 물이 쏟아질 수가 있다.
이를 위해 분리배출부(32)를 분리시키기 전에 드레인밸브(46)를 열어 포집호스(43), 포집부(30), 피드백호스(44) 및 드레인호스(45)에 잔류하고 있는 물을 빼낼 수 있으며, 이후 분리배출부(32)를 분리시키면 물이 쏟아지는 일 없이 이물질만 수거할 수 있다.
한편 석션(10)의 세퍼레이터(11) 하부에 마련된 드레인경로(16)에는 개폐댐퍼(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는데, 개폐댐퍼는 모터(17)가 작동 중인 상태에서는 드레인경로(16)를 밀폐시켜 피드백 물이 드레인경로(16)를 통해 세퍼레이터(1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모터(17)의 작동이 중단되면 드레인경로(16)를 개방시킴으로써 세퍼레이터(11) 내에 잔류하고 있던 이물질과 물이 드레인경로(16)를 따라 배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모터(17)의 작동이 중단되고 드레인밸브(46)를 개방시키면, 드레인밸브(46)를 통해 포집호스(43), 포집부(30), 피드백호스(44) 및 드레인호스(45)에 잔류하는 물 뿐만 아니라, 세퍼레이터(11) 내에 잔류하던 물도 드레인경로(16)와 드레인호스(45)를 통해 함께 배출될 수가 있다.
또한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호스(45)와 피드백호스(44)는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위치시켰는데, 이 경우 드레인밸브(46)를 피드백호스(44)가 아닌 드레인호스(45)의 일 지점에 설치하더라도 잔류하는 물을 빼내는 데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한편 실시하기에 따라 석션(10) 하부의 드레인경로(16) 상에 개폐댐퍼를 설치하지 않고, 드레인경로(16)를 통해 피드백 물이 유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피드백호스(44)가 드레인호스(45) 중간의 일 지점에 연결되어 있는데,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혼합물의 양이 많을 경우, 포집부(30)를 통과하는 피드백 물의 양 역시 많아지게 되며, 많은 양의 피드백 물은 드레인호스(45)의 양단으로 분산되어 석션(10)의 흡입경로(12) 및 드레인경로(16)를 통해 원활하게 세퍼레이터(1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론 필터링을 이용한 이물질 분리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석션(10)에서 진공압을 발생시켜 이물질 및 물이 포함된 혼합물이 흡입된 후 사이클론 집진기(20)에 전달되면, 사이클론 집진기(20)에서 사이클론 현상이 발생하여 원심력에 의해 무거운 이물질은 침전되어 포집부(30)로 빠져나가고, 상대적으로 가벼운 물은 상부의 물배출호스(4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유입되는 혼합물의 양이 많아 사이클론 집진기(20) 내부가 포화되면, 사이클론 현상이 원활하게 발생하지 않아 이물질이 물과 함께 물배출호스(42)로 역류할 가능성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사이클론 집진기(20)의 하부를 피드백호스(44)를 통해 석션(10)와 연결시켜 놓음으로써, 사이클론 집진기(20) 내부의 혼합물을 즉각적으로 배출시켜, 사이클론 집진기(20) 내부의 혼합물 양을 항상 적정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가 있다. 즉 사이클론 집진기(20) 내부에서는 항상 적정량의 혼합물이 사이클론 현상을 일으켜서, 원심력 작용에 의해 이물질 분리 과정이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이클론 집진기(20)에서 침전된 이물질과 물의 일부는 포집부(30)를 거치면서 이물질만 포집되고 물은 다시 석션(10)로 진입되는데, 이때 포집부(30)에서 걸러지지 않은 이물질이 있더라도, 피드백 과정을 거쳐 다시 한번 포집부(30)를 통과시킴으로써 걸러낼 수가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석션
11 : 세퍼레이터
12 : 흡입경로
13 : 석션라인연결부
14 : 이물질배출경로
15 : 공기배출경로
16 : 드레인경로
17 : 모터
18 : 회전축
20 : 사이클론 집진기
30 : 포집부
31 : 호스연결부
32 : 분리배출부
41 : 이물질배출호스
42 : 물배출호스
43 : 포집호스
44 : 피드백호스
45 : 드레인호스
46 : 드레인밸브

Claims (3)

  1. 진공압을 발생시켜 흡입경로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 이물질 및 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유입시키고, 상기 유입된 혼합물을 분리하여 상기 공기는 공기배출경로를 통해 배출시키며, 상기 이물질 및 물은 이물질배출경로를 통해 배출시키는 석션;
    원심력을 이용하여 상기 석션의 이물질배출경로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과 물의 혼합물에서 이물질을 침전시키는 사이클론 집진기;
    상기 사이클론 집진기에서 침전된 이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이 유입되면 상기 이물질을 걸러내는 포집부; 및
    상기 포집부에서 상기 이물질이 걸러진 후의 물을 상기 흡입경로 측으로 피드백 시키는 피드백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클론 집진기로 유입되는 이물질과 물의 혼합물은 상기 포집부와 상기 피드백호스를 따라 상기 석션의 흡입경로 측으로 피드백 됨으로써, 상기 사이클론 집진기 내에서 혼합물이 포화되는 것이 방지되어 사이클론 현상이 유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필터링을 이용한 이물질 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의 하부에는 상기 석션 내에 잔류하는 혼합물이 배출되는 드레인경로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석션의 드레인경로와 상기 흡입경로를 연결하는 드레인호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피드백호스의 일측은 상기 포집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드레인호스의 일 지점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피드백호스가 상기 포집부와 상기 흡입경로를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필터링을 이용한 이물질 분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호스 또는 상기 드레인호스의 일 지점에서 잔류 혼합물을 배출시키는 드레인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필터링을 이용한 이물질 분리장치.
KR1020130072879A 2013-03-06 2013-06-25 사이클론 필터링을 이용한 이물질 분리장치 Active KR1014990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964 2013-03-06
KR20130023964 2013-03-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780A KR20140109780A (ko) 2014-09-16
KR101499034B1 true KR101499034B1 (ko) 2015-03-05

Family

ID=51756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879A Active KR101499034B1 (ko) 2013-03-06 2013-06-25 사이클론 필터링을 이용한 이물질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0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151A1 (ko) * 2021-12-31 2023-07-06 엘에스일렉트릭 주식회사 유체 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775A (ko) * 2000-10-18 2001-01-05 윤장식 자동차 배출 가스 습식 정화 장치
JP2012011290A (ja) * 2010-06-30 2012-01-19 Fujisaki Denki Kk サイクロン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775A (ko) * 2000-10-18 2001-01-05 윤장식 자동차 배출 가스 습식 정화 장치
JP2012011290A (ja) * 2010-06-30 2012-01-19 Fujisaki Denki Kk サイクロン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151A1 (ko) * 2021-12-31 2023-07-06 엘에스일렉트릭 주식회사 유체 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780A (ko) 201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5891A (en) Dental apparatus for preventing loss of precious metal particles
SE442829B (sv) Apparat for att separera luft och fasta partiklar fran en vetska
AU2008362231B2 (en) Water separator
US3012322A (en) Dental and surgical evacuative suction apparatus
CN107890376A (zh) 牙科综合治疗椅用自动干式抽吸装置
KR101499034B1 (ko) 사이클론 필터링을 이용한 이물질 분리장치
US3012323A (en) Method of dentistry and apparatus therefor
JP5553424B1 (ja) 歯科治療排水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金属回収方法
KR101304618B1 (ko) 치과용 금속수거용기 및 치과 환자로부터 금속을 수거하는 방법
JPS5955247A (ja) 歯科用吸引装置
JPS59101144A (ja) 歯科医用吸込み装置
KR102357516B1 (ko) 치과용 석션배관의 클린장치
KR101171729B1 (ko)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 및 치과 환자로부터 금속을 수거하는 방법
EP1819294B1 (en) Water separator for continuous separation of water, air and particl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id separator
KR101225368B1 (ko) 부산물 필터링이 가능한 트랩장치를 가지는 석션시스템
KR200466513Y1 (ko) 배수관 악취배출기능을 구비한 치과병원의 금속가루 수거장치
KR100971490B1 (ko) 치과병원에서 발생하는 금가루 수거장치
KR20110138795A (ko) 치과의료 폐기물 수거용 분리장치
CN214944428U (zh) 一种新型隧道内降水用负压罐
JP7055308B1 (ja) 歯科治療廃水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廃水処理方法
KR101300050B1 (ko) 치과 의료기 흡입장치용 여과기
IT9040130A1 (it) Dispositivo separatore e scaricatore di liquidi e particelle solide, in particolare per impianti di aspirazione odontoiatrici
JP2004242860A (ja) 歯科切削屑の回収装置
KR102830059B1 (ko) 치과기공소용 석고 폐수 처리장치
JP2006015057A (ja) 歯治療汚物処理システムおよびヘドロ溜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