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965B1 -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내외부망 격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내외부망 격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98965B1 KR101498965B1 KR20140079811A KR20140079811A KR101498965B1 KR 101498965 B1 KR101498965 B1 KR 101498965B1 KR 20140079811 A KR20140079811 A KR 20140079811A KR 20140079811 A KR20140079811 A KR 20140079811A KR 101498965 B1 KR101498965 B1 KR 1014989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rtual
- virtual machine
- network
- usb
- kv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1152 differential interference contrast microscop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8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4000035744 Hura crepita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05 input fun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20—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62—Virtualisation aspec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61—Partitioning or combining of resources
- G06F9/5077—Logical partitioning of resources; Management or configuration of virtualized resour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제2 종래기술의 망분리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제3 종래기술에 대한 가상환경을 이용한 호스트 기반의 망분리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내외부망 격리 시스템의 전체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내외부망 격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외부망 격리 시스템의 가상 KVM 터미널의 구조와 가상 KVM 전환동작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내외부망 격리 방법 중 부팅시의 동작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내외부망 격리 방법 중 내외부망 절환시의 동작흐름도.
100,100' : 가상 PC 110,110' : 가상 머신 OS
111,111' :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드라이버 112,112' : VM 윈도우 에이전트
120,120' : 가상 머신
121,121' : 에뮬레이트된 하드웨어 122,122' : 직접 액세스 하드웨어
130 : 가상화부 131 : 가상 KVM 제어부
140,140' : 호스트 자원
141,141' : 공유가능 호스트 자원
141a,141a' : 가상 CPU 141b,141b' : 가상 메모리
141c,141c' : 가상 디스크 공간
142,142' : 직접 할당 가능 호스트 인터페이스 142a,142a' : VGA 카드
142b : USB 호스트 컨트롤러 142c,142c' : NIC 카드
400 : 입출력장치 410 : 모니터
420 : 키보드 430 : 마우스
440 : 헤드셋 450 : USB 저장장치
700 : 호스트 OS 710 : VM 리눅스 에이전트
740b,740b' : 공유 연결 모드 750,750' : 장치 접근 스위치부
750a,750a' : 직접 할당 연결 모드 제1 패스
750b,750b' : 직접 할당 연결 모드 제2 패스
800 : 호스트 드라이버 810 : 가상 머신 장치 제어 구동부
1000: 가상 KVM 터미널 1001: 제1 상태표시 LED
1002: 제2 상태표시 LED 1003: 제1 KVM 전환버튼
1004: 제2 KVM 전환버튼 1005: 프로세서
1006: USB 인터페이스
제2 종래기술
11: 제1 접속 수단 12: 제2 접속 수단
V11, V12, V21, V22: 가상 머신
KVM1, KVM2: 연결 선택 장치
Claims (15)
-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내외부망 격리 시스템으로서,
입출력을 지원하는 가상 데스크탑 시스템(10')과,
상기 가상 데스크탑 시스템(10')과 연결된 한 벌의 입출력장치 세트(400)를 포함하되,
상기 가상 데스크탑 시스템(10')은, 제1 가상 PC(100), 제2 가상 PC(100'), 호스트 드라이버(800) 및 가상화부(130)를 포함하여, 상기 한 벌의 입출력장치 세트(400)에게 제1 가상 PC(100)의 제1 가상 머신(120)과 제2 가상 PC(100')의 가상 머신(120') 중의 어느 하나를 배타적으로 할당하여 주고,
상기 한 벌의 입출력장치 세트(400)는, 상기 제1 가상 머신(120) 및 제2 가상 머신(120') 중의 어느 하나와 접속을 위한 접속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상 PC(100) 및 상기 제2 가상 PC(100') 중의 어느 하나는 내부망에 접속되어 있고, 다른 하나는 외부망에 접속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 NIC(142c,142c') 그리고 USB 호스트 컨트롤러(142b)를 포함한 장치의 전용 프로세서 능력이 요구되는 호스트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및 제2 가상 머신(120,120')의 제1 및 제2 직접 할당 가능 접근 하드웨어(122,122')에게 직접 할당 가능 호스트 인터페이스 집합(142,142')을 직접 연결 모드(750b,750b')로 할당하여 주며, 상기 제1 및 제2 가상화부(120,120')는 호스트 OS(700)의 장치 접근 스위치부(750)에 의한 직접 할당 연결 모드(750b,750b')를 사용하여, 직접 액세스 하드웨어(122,122')로부터의 직접 할당 가능 호스트 인터페이스 집합(142,142')의 입출력 신호를 상기 한 벌의 입출력장치 세트(400)와 연결하며,
상기 가상화부(130)는, 제1 및 제2 공유 가능 호스트 자원 집합(141,141')을 에뮬레이션하여 두 대의 가상 머신(120,120')이 공유할 수 있는 가상 호스트 자원 집합을 생성하고, 이를 각 가상 머신(120,120')의 에뮬레이트된 하드웨어(121,121')로 제공해 주며, 에뮬레이션 모드에서 활용 가능한 제1 및 제2 공유 가능 호스트 자원 집합(141,141')은 제1 및 제2 가상 프로세서(141a,141a')를 포함하며,
제1 가상머신에서 제2 가상머신으로의 스위칭을 행하는 경우, 기존 활성화된 제1 가상머신(120)에서 새로 활성화할 제2 가상머신(120')에게로 USB 호스트컨트롤러 직접연결 스위칭을 요청하게 됨으로써 달성되며,
역으로 제2 가상머신에서 제1 가상머신으로의 스위칭을 행하는 경우, 기존 활성화된 제2 가상머신(120')에서 새로 활성화할 제1 가상머신(120)에게로 USB 호스트컨트롤러 직접연결 스위칭을 요청하게 됨으로써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내외부망 격리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가상 KVM 터미널(1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내외부망 격리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일반적인 USB 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내외부망 격리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제1 가상머신에서 제2 가상머신으로의 스위칭을 행하는 경우, 제1 윈도우 에이전트(112)에서 가상화부를 통하여 제1 가상 머신(120)의 직접 연결 하드워에(122)에 연결되어 있는 USB 호스트컨트롤러를 논리적으로 디어태치(Deattach)하고, 제2 윈도우 에이전트(112')에서 가상화부를 통하여 제2 가상 머신(120')의 직접 연결 하드워에(122')에 연결되어 있는 USB 호스트컨트롤러를 논리적으로 어태치(Attach)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내외부망 격리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머신 간의 스위칭은 USB 컨트롤 박스(90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내외부망 격리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전용 프로세서 능력이 요구되는 호스트 인터페이스는, 제1 및 제2 VGA(142a, 142a')를 더 포함하며,
제1 및 제2 VGA(142a, 142a')는 각각 상이한 디스플레이 연결 모드로 디스플레이 장치(41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내외부망 격리 시스템.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VGA(142a, 142a') 중의 어느 일측은 RGB 연결 모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410)에 연결되며, 다른 일측은 DVI 연결 모드나 HDMI 연결 모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41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내외부망 격리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OS(700)는 가상머신 리눅스 에이전트(710)에 의해 마스터 서버를 활성화하며, 상기 제1 및 제2 PC(100,100')의 각각의 제1 및 제2 가상 머신 OS(110,110')는 제1 및 제2 가상머신 윈도우 에이전트(112,112')에 의해 각각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내외부망 격리 시스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머신에서 제2 가상머신으로의 스위칭을 행하는 경우, KVM 선택 표시로서 제2 상태표시 LED(1002)를 점등하고, 상기 제1 가상머신에서 제2 가상머신으로의 절환이 이루어지며,
역으로 제2 가상머신에서 제1 가상머신으로의 스위칭을 행하는 경우, KVM 선택 표시로서 제1 상태표시 LED(1001)를 점등하고, 제2 가상머신에서 제1 가상머신으로의 절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내외부망 격리 시스템.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USB 호스트 컨트롤러(142b)를 별도의 장치로 하여 구현되며,
상기 USB 컨트롤 박스(900)의 기능은 상기 USB 호스트 컨트롤러(142b)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내외부망 격리 시스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USB 컨트롤 박스(900)의 기능은 상기 제1 및 제2 PC(100,100') 각각의 제 및 제2 가상머신 OS(110,110')에 있는 원도우 에이전트(112,112')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내외부망 격리 시스템. - 제 1 항의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내외부망 격리 시스템을 이용한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내외부망 격리 방법으로서,
(a) 호스트 PC의 전원을 '온'하면(S71), 호스트 OS(700)와 가상화부(130)가 차례로 부팅하게 되고 가상화부가 동작하기 시작하는 단계(S72);
(b) 가장 높은 우선순위의 제1 가상머신(120)부터 부팅이 이루어지되, 제1 VM 윈도우 OS(110)에 의해 제1 가상 PC(100)가 동작하며, USB 호스트 컨트롤러(142b)를 먼저 직접 할당(750b)하는 단계(S73);
(c) 이후 다음 우선순위의 제2 가상머신(120') 부팅이 이루어지되, 제2 VM 윈도우 OS(110')에 의해 제2 가상 PC(100')가 동작하며, USB 호스트 컨트롤러(142b)는 제2 호스트 자원 집합(140')에 연결되지 않고 대기하는 단계(S74); 및
(e) 이후, 제2 가상머신으로의 스위칭을 할 경우, VM 리눅스 에이전트(710)에서 USB 인터페이스기반 가상 KVM 제어부(131)로 KVM 전환 버튼 신호를 발생시키고(S81), USB 인터페이스기반 가상 KVM 제어부(131)에서 기존 활성화된 제1 가상머신(120)에게 전원 '슬립'(sleep)을 요청하고(S82), USB 인터페이스기반 가상 KVM 제어부(131)에서 새로 활성화할 제2 가상머신(120')에게 전원 '웨이크'(wake)를 요청하며(S83), 이후, USB 인터페이스기반 가상 KVM 제어부(131)에서 기존 활성화된 제1 가상머신(120)에서 새로 활성화할 제2 가상머신(120')에게로 USB 호스트컨트롤러(142b) 직접연결 스위칭을 요청하는 단계(S8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내외부망 격리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제1 VGA 카드(142a)와 RGB 포트가 연결되는 상태로 제1 VGA 카드(142a) 직접 할당(750b)을 개시하며,
상기 (c) 단계에서, 제2 VGA 카드(142a')와 DVI 포트나 HDMI 포트가 연결되는 상태로 제2 VGA 카드(142a') 직접 할당(750b')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내외부망 격리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d) 상기 (c) 단계 이후, 가상 KVM 터미널(1000)에서는 KVM 선택 표시로서, 제1 가상머신 상태 표시 LED(1001)를 점등하는 단계(S75); 를 더 포함하며,
상기 (e) 단계에서, 제2 가상머신으로의 스위칭을 행하면, KVM 선택 표시로서 제2 상태표시 LED(1002)를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내외부망 격리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제2 가상머신에서 제1 가상머신으로의 스위칭을 행하는 경우, USB 인터페이스기반 가상 KVM 제어부(131)에서 기존 활성화된 제2 가상머신(120')에게 전원 '슬립'(sleep)을 요청하고 새로 활성화할 제1 가상머신(120)에게 전원 '웨이크'(wake)를 요청하며, 기존 활성화된 제2 가상머신(120')에서 새로 활성화할 제1 가상머신(120)에게로 USB 호스트컨트롤러(142b) 직접연결 스위칭을 요청하게 됨으로써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내외부망 격리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79811A KR101498965B1 (ko) | 2014-06-27 | 2014-06-27 |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내외부망 격리 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79811A KR101498965B1 (ko) | 2014-06-27 | 2014-06-27 |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내외부망 격리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98965B1 true KR101498965B1 (ko) | 2015-03-04 |
Family
ID=53026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079811A Expired - Fee Related KR101498965B1 (ko) | 2014-06-27 | 2014-06-27 |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내외부망 격리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98965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31800A (ko) * | 2015-05-08 | 2016-11-16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망 분리 환경에서 메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KR101841174B1 (ko) * | 2016-09-29 | 2018-05-04 | 주식회사 삼보컴퓨터 | Kvm 스위치 및 kvm 스위칭 방법 |
KR101982164B1 (ko) * | 2018-03-13 | 2019-08-28 | 주식회사 안랩 | 네트워크 관리 장치 및 방법 |
CN113282527A (zh) * | 2021-05-08 | 2021-08-20 | 珠海金智维信息科技有限公司 | 一种实现usb设备切换管理的方法、装置和主机 |
CN113473572A (zh) * | 2020-03-31 | 2021-10-01 |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 主机连网系统及主机连网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00839A (ko) * | 2010-03-05 | 2011-09-15 | 주식회사 안철수연구소 | 클라이언트 가상화를 이용한 서버의 논리적 망분리 시스템 및 방법 |
KR20120129740A (ko) * | 2011-05-18 | 2012-11-28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제로 클라이언트를 지원하는 가상화 서버 및 가상 머신 관리 방법 |
KR101239290B1 (ko) * | 2012-07-23 | 2013-03-06 | (주)엔텍 | 제로 클라이언트를 지원하는 가상화 서버의 가상 머신 설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KR20130119290A (ko) * | 2012-04-23 | 2013-10-31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망 분리 장치 및 방법 |
-
2014
- 2014-06-27 KR KR20140079811A patent/KR101498965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00839A (ko) * | 2010-03-05 | 2011-09-15 | 주식회사 안철수연구소 | 클라이언트 가상화를 이용한 서버의 논리적 망분리 시스템 및 방법 |
KR20120129740A (ko) * | 2011-05-18 | 2012-11-28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제로 클라이언트를 지원하는 가상화 서버 및 가상 머신 관리 방법 |
KR20130119290A (ko) * | 2012-04-23 | 2013-10-31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망 분리 장치 및 방법 |
KR101239290B1 (ko) * | 2012-07-23 | 2013-03-06 | (주)엔텍 | 제로 클라이언트를 지원하는 가상화 서버의 가상 머신 설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31800A (ko) * | 2015-05-08 | 2016-11-16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망 분리 환경에서 메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KR102419104B1 (ko) * | 2015-05-08 | 2022-07-11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망 분리 환경에서 메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KR101841174B1 (ko) * | 2016-09-29 | 2018-05-04 | 주식회사 삼보컴퓨터 | Kvm 스위치 및 kvm 스위칭 방법 |
KR101982164B1 (ko) * | 2018-03-13 | 2019-08-28 | 주식회사 안랩 | 네트워크 관리 장치 및 방법 |
CN113473572A (zh) * | 2020-03-31 | 2021-10-01 |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 主机连网系统及主机连网方法 |
CN113473572B (zh) * | 2020-03-31 | 2024-04-19 |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 主机连网系统及主机连网方法 |
CN113282527A (zh) * | 2021-05-08 | 2021-08-20 | 珠海金智维信息科技有限公司 | 一种实现usb设备切换管理的方法、装置和主机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347530B2 (en) |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transparent unification of virtual machines | |
TWI526931B (zh) | 用於虛擬機器之繼承產品啟動 | |
KR100893541B1 (ko) | 다수의 클라이언트 간의 물리 장치 공유 | |
US9578034B2 (en) | Trusted peripheral device for a host in a shared electronic environment | |
US8996864B2 (en) | System for enabling multiple execution environments to share a device | |
RU2436149C2 (ru) | Мигрирование виртуальной машины, которая владеет ресурсом, таким, как аппара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 |
US11113046B1 (en) | Integration and remote control of a pre-assembled computer system into a server for a virtualization service | |
US10146940B2 (en) | Multiple hardware-separated computer operating systems within a single processor computer system to prevent cross-contamination between systems | |
US9189609B1 (en) | Securing virtual machines with virtual volumes | |
US20100306763A1 (en) | Virtual Serial Concentrator for Virtual Machine Out-of-Band Management | |
CN111988230B (zh) | 虚拟机通信方法、装置、系统及电子设备 | |
US20150370582A1 (en) | At least one user space resident interface between at least one user space resident virtual appliance and at least one virtual data plane | |
KR101498965B1 (ko) |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내외부망 격리 시스템 및 방법 | |
US11243589B1 (en) | Remote power button actuation device for a pre-assembled computer system integrated into a server for a virtualization service | |
US10353727B2 (en) | Extending trusted hypervisor functions with existing device drivers | |
US10289853B2 (en) | Secure driver platform | |
KR101239290B1 (ko) | 제로 클라이언트를 지원하는 가상화 서버의 가상 머신 설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
EP3516841B1 (en) | Remote computing system providing malicious file detection and mitigation features for virtual machines | |
KR101173911B1 (ko) | 가상 머신 사이에 스위칭 방식의 선택을 이용한 망 분리 시스템 | |
US9411980B2 (en) | Preventing modifications to code or data based on the states of a master latch and one or more hardware latches in a hosting architecture | |
CN119536976A (zh) | 一种资源分配方法及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7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7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6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7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0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412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