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98764B1 - 배터리의 저항측정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터리의 저항측정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764B1
KR101498764B1 KR1020120049967A KR20120049967A KR101498764B1 KR 101498764 B1 KR101498764 B1 KR 101498764B1 KR 1020120049967 A KR1020120049967 A KR 1020120049967A KR 20120049967 A KR20120049967 A KR 20120049967A KR 101498764 B1 KR101498764 B1 KR 101498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resistance
current
time point
measu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6128A (ko
Inventor
박규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20049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764B1/ko
Publication of KR20130126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6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76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9Measuring internal impedance, internal conductance or related vari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9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to indicate that the value is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wind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08Measuring resistance by measuring both voltage and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4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combining voltage and current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Tests Of Electric Status Of Batteries (AREA)

Abstract

배터리의 저항측정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배터리의 저항측정방법은 제1 시점에 배터리의 제1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제2 시점에 상기 배터리의 제2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전류 및 상기 제2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저항 측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저항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의 저항측정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METHOD AND APPARATUS FOR BATTERY RESISTANCE ESTIMATION, AND BATTER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저항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노트북,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 제품의 사용이 활성화됨에 따라 그 구동 전원으로 주로 사용되는 이차 전지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 자동차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의 충방전 에너지를 이용하여 차량을 구동시키기 때문에, 엔진만을 이용하는 자동차에 비해 연비가 뛰어나고 공해 물질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소비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이에 따라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의 핵심 부품인 배터리에 보다 많은 관심과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이와 함께, 배터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관리하기 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기술도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배터리의 충전 또는 방전 출력 및 잔존 용량(State of Charging; SOC) 사용 전략을 적절하게 조정하기 위해서 배터리의 수명(State of Health; SOH)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배터리의 SOH 예측은 주로 배터리의 저항 값을 이용한다. 즉, 배터리의 저항 값은 배터리의 사용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배터리의 저항을 측정하여 배터리 출하 시의 초기 저항과 비교하면 배터리의 SOH를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배터리의 저항은 충방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는 직접적인 측정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배터리를 탈거하여 저항을 측정하거나, 또는 배터리에 일정 규격의 전류를 흘려 전압의 거동을 측정하는 등의 방식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배터리의 저항 측정 방법은 부하에 연결되어 충방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 배터리의 저항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47453호
본 발명은 배터리의 퇴화 정도를 예측하기 위한 배터리의 저항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배터리의 저항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1 시점에 배터리의 제1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제2 시점에 상기 배터리의 제2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전류 및 상기 제2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저항 측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저항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의 저항 측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류 및 상기 제2 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전류값 미만이고, 상기 제1 전류 및 상기 제2 전류의 차이가 기준 차이값을 초과하면 상기 배터리의 저항을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의 저항은, R = (V2 - V1)/(I2 - I1) (여기서, R은 상기 배터리의 저항, I1는 상기 제1 전류, I2는 상기 제2 전류, V1는 상기 제1 시점에 측정한 상기 배터리의 제1 전압, V2는 상기 제2 시점에 측정한 상기 배터리의 제2 전압)일 수 있다.
상기 배터리의 저항은 상기 제1 시점에 산출된 상기 배터리의 제1 무부하 전압(OCV) 및 상기 제2 시점에 산출된 상기 배터리의 제2 무부하 전압(OCV)으로부터 도출된 값일 수 있다.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시간 간격은 기설정된 일정시간이거나 임의의 시간이며, 상기 제1 시점 및 상기 제2 시점 각각은 소정의 지속시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배터리의 저항과 상기 배터리의 저항 측정 시점의 상기 배터리의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퇴화 정도를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배터리의 저항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의 전류, 전압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에 의해 제1 시점에 측정된 상기 배터리의 제1 전류 및 제2 시점에 측정된 상기 배터리의 제2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저항 측정 여부를 판단하는 저항측정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결과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저항을 측정하는 저항 측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저항측정 판단부는, 상기 제1 전류 및 상기 제2 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전류값 미만이고, 상기 제1 전류 및 상기 제2 전류의 차이가 기준 차이값을 초과하면 상기 배터리의 저항을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의 저항은, R = (V2 - V1)/(I2 - I1) (여기서, R은 상기 배터리의 저항, I1는 상기 제1 전류, I2는 상기 제2 전류, V1는 상기 제1 시점에 측정한 상기 배터리의 제1 전압, V2는 상기 제2 시점에 측정한 상기 배터리의 제2 전압)일 수 있다.
상기 배터리의 저항은 상기 제1 시점에 산출된 상기 배터리의 제1 무부하 전압(OCV) 및 상기 제2 시점에 산출된 상기 배터리의 제2 무부하 전압(OCV)으로부터 도출된 값일 수 있다.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시간 간격은 기설정된 일정시간이거나 임의의 시간이며, 상기 제1 시점 및 상기 제2 시점 각각은 소정의 지속시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배터리의 저항과 상기 배터리의 저항 측정 시점의 상기 배터리의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퇴화 정도를 예측하는 수명 예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배터리의 저항을 측정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의 전류, 전압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에 의해 제1 시점에 측정된 상기 배터리의 제1 전류 및 제2 시점에 측정된 상기 배터리의 제2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저항 측정 여부를 판단하는 저항측정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결과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저항을 측정하는 저항 측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저항측정 판단부는, 상기 제1 전류 및 상기 제2 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전류값 미만이고, 상기 제1 전류 및 상기 제2 전류의 차이가 기준 차이값을 초과하면 상기 배터리의 저항을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의 저항은, R = (V2 - V1)/(I2 - I1) (여기서, R은 상기 배터리의 저항, I1는 상기 제1 전류, I2는 상기 제2 전류, V1는 상기 제1 시점에 측정한 상기 배터리의 제1 전압, V2는 상기 제2 시점에 측정한 상기 배터리의 제2 전압)일 수 있다.
상기 배터리의 저항은 상기 제1 시점에 산출된 상기 배터리의 제1 무부하 전압(OCV) 및 상기 제2 시점에 산출된 상기 배터리의 제2 무부하 전압(OCV)으로부터 도출된 값일 수 있다.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시간 간격은 기설정된 일정시간이거나 임의의 시간이며, 상기 제1 시점 및 상기 제2 시점 각각은 소정의 지속시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배터리의 저항과 상기 배터리의 저항 측정 시점의 상기 배터리의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퇴화 정도를 예측하는 수명 예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가 부하에 연결되어 충방전이 이루어지는 동적 상태에서 배터리의 저항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정확한 배터리의 저항 측정으로 배터리 교체 시기 추정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나아가, 저항의 퇴화 정도를 정확하게 추정하여 배터리의 충방전 용량을 조절함으로써 과충전 및 과방전을 방지하여 배터리의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저항측정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저항측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는 필요에 따라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이외의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부분 또는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각 구성요소의 배치는 필요에 따라서 조정이 가능하며,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포함될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둘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화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서술하는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는 추진력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기 모터를 포함하는 차량을 말한다. 전기 자동차를 추진하는데 사용되는 에너지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및/또는 연료 전지와 같은 전기적 소스(electrical source)를 포함한다. 전기 자동차는 내연 기관(combustion engine)을 또 하나의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 자동차(1)는 배터리(10),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20), ECU(Electronic Control Unit, 30), 인버터(40) 및 모터(50)를 포함한다.
배터리(10)는 모터(50)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전기 자동차(1)를 구동시키는 전기 에너지원이다. 배터리(100)는 모터(50) 및/또는 내연 기관(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인버터(40)에 의해 충전되거나 방전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10)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0)는 복수의 전지 셀이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전지 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지 팩이 하나 이상 구비되어 배터리(10)를 형성할 수도 있다.
BMS(20)는 배터리(10)의 상태를 추정하고, 추정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배터리(10)를 관리한다. 예컨대, 배터리(10)의 잔존용량(State of Charging; SOC), 수명(State of Health; SOH), 최대 입출력 전력 허용량, 출력 전압 등 배터리(10) 상태 정보를 추정하고 관리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배터리(10)의 충전 또는 방전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BMS(20)는 후술하는 배터리의 저항측정장치(도 2의 20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의 저항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배터리의 퇴화 정도를 추정하는 SOH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ECU(30)는 전기 자동차(1)의 상태를 제어하는 전자적 제어 장치이다. 예컨대, 액셀러레이터(accelerator), 브레이크(break), 속도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토크 정도를 결정하고, 모터(50)의 출력이 토크 정보에 맞도록 제어한다.
또한, ECU(30)는 BMS(20)에 의해 전달받은 배터리(10)의 SOC, SOH 등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10)가 충전 또는 방전될 수 있도록 인버터(40)에 제어 신호를 보낸다.
인버터(40)는 ECU(3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배터리(10)가 충전 또는 방전되도록 한다.
모터(50)는 배터리(10)의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ECU(3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정보(예컨대, 토크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 자동차(1)를 구동한다.
상술한 전기 자동차(1)는 배터리(10)의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구동되므로, 배터리(10)의 상태, 즉 SOC 및 SOH를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배터리의 SOC 및 SOH 추정 시 이용되는 배터리의 저항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저항측정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의 저항측정장치(200)는 배터리(10)와 연결되어 배터리(10)의 저항을 측정한다. 여기서, 배터리(10)는 상술한 것처럼 복수의 전지 셀이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의 저항측정장치(200)는 이러한 복수의 전지 셀 각각에 대해 저항을 측정하고, 측정한 전지 셀 각각의 저항을 기초로 전지 셀 각각에 대한 퇴화 정도를 예측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의 저항측정장치(200)는 센싱부(210), 저항측정 판단부(220), 저항 측정부(230) 및 수명 예측부(240)를 포함한다.
센싱부(210)는 배터리(10)의 충방전 전류, 전압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한다. 예컨대, 홀(hall) 소자와 같은 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배터리(10)의 충방전 전류, 전압, 온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물론, 센서(미도시)는 배터리의 저항측정장치(200)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된 배터리(10)의 전류, 전압, 온도 등의 데이터는 센싱부(210)로 출력될 수 있다.
저항측정 판단부(220)는 센싱부(210)에 의해 측정된 배터리(10)의 전류를 이용하여 배터리(10)의 저항 측정 여부를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센싱부(210)에 의해 제1 시점에 측정된 배터리(10)의 제1 전류와 제2 시점에 측정된 배터리(10)의 제2 전류를 이용하여 배터리(10)의 저항 측정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1 시점은 소정의 지속시간을 가지며, 또한 제2 시점도 소정의 지속시간을 가진다. 제1 시점 및 제2 시점은 동일한 소정의 지속시간을 가질 수 있으며, 또는 서로 다른 지속시간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시간 간격은 기설정된 일정시간이거나 임의의 시간일 수 있다.
예컨대, 1초 동안(제1 시점) 배터리(10)의 제1 전류 입출력 값을 측정하고, 기설정된 일정시간이 경과된 다음 1초 동안(제2 시점) 배터리(10)의 제2 전류 입출력 값을 측정할 수 있다. 또는, 제1 시점에서 배터리(10)의 제1 전류를 측정하고, 이후 제어 신호를 수신하거나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등과 같이 임의의 시간이 경과된 제2 시점에서 배터리(10)의 제2 전류를 측정할 수도 있다.
즉, 저항측정 판단부(220)는 제1 시점에 측정된 배터리(10)의 제1 전류(I1)와 제2 시점에 측정된 배터리(10)의 제2 전류(I2)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전류값(REFi) 미만이고, 제1 시점에 측정된 배터리(10)의 제1 전류(I1)와 제2 시점에 측정된 배터리(10)의 제2 전류(I2)의 차이가 기준 차이값(REFdiff)을 초과하면 배터리(10)의 저항을 측정하도록 한다. 따라서, 저항측정 판단부(220)가 아래 수학식 1과 수학식 2를 모두 만족한다고 판단하면 저항 측정부(230)에서 배터리(10)의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2037611904-pat00001
Figure 112012037611904-pat00002
저항 측정부(230)는 저항측정 판단부(220)의 판단 결과에 따라 배터리(10)의 저항을 측정한다.
이때, 배터리(10)의 저항(R)은 무부하 전압(OCV; Open Circuit Voltage)을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무부하 전압이란 배터리의 출력 전압으로부터 배터리의 내부 저항에 기인하는 전압 강하(drop)를 감산하는 방법으로, 배터리 전류의 영향을 배제한 전압을 의미한다. 이를 이용하여 제1 시점에서 측정된 배터리(10)의 제1 전압(V1)과 제1 전류(I1)를 기초로 배터리(10)의 제1 무부하 전압(OCV1)을 산출하고, 제2 시점에서 측정된 배터리(10)의 제2 전압(V2)과 제2 전류(I2)를 기초로 배터리(10)의 제2 무부하 전압(OCV2)을 산출한다.
Figure 112012037611904-pat00003
Figure 112012037611904-pat00004
여기서, 제1 전류(I1) 및 제2 전류(I2) 중 적어도 하나는 기준 전류값(REFi) 미만인 경우이다. 이는 저항측정 판단부(220)가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로, 기준 전류값(REFi) 보다 작은 전류값을 가진다는 것은 배터리(10)의 전류 측정 시점(예를 들어, 제1 시점 또는 제2 시점)에서 전류의 입출력이 크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제1 전류(I1)가 기준 전류값(REFi) 미만이라면 제2 무부하 전압(OCV2)은 제1 무부하 전압(OCV1)과 거의 같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수학식 3으로부터 배터리(10)의 저항(R)을 아래 수학식 4와 같이 도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2037611904-pat00005
여기서, 수학식 4는 저항측정 판단부(220)에 의해 수학식 2를 만족한다. 제1 전류(I1)와 제2 전류(I2)의 차이가 작으면 측정오차가 발생할 확률이 커지지만, 제1 전류(I1)와 제2 전류(I2)의 차이가 충분히 크면 측정오차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류(I1)와 제2 전류(I2)의 차이가 기준 차이값(REFdiff)을 초과할 때 배터리(10)의 저항(R)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명 예측부(240)는 저항 측정부(230)에 의해 측정된 배터리(10)의 저항(R)과, 센싱부(210)로부터 이 배터리(10)의 저항(R)을 측정한 시점의 배터리(10)의 온도를 전달 받아 배터리(10)의 퇴화 정도를 예측한다.
이때, 저항 측정부(230)에 의해 측정된 배터리(10)의 저항(R)과 센싱부(210)에 의해 측정된 배터리(10)의 온도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과 같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시간에 따라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배터리(10)의 저항과 온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터리(10)의 내부 저항을 진단하고 퇴화 정도를 예측할 수 있다. 나아가, 배터리(10)의 SOC 및 SOH를 추정시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저항측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 방법은 도 2의 배터리의 저항측정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시점에 배터리의 제1 전류를 측정한다(S10). 또한, 제1 시점에 배터리의 제1 전압,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2 시점에 배터리의 제2 전류를 측정한다(S20). 또한, 제2 시점에 배터리의 제2 전압,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단계S10 및 단계S20은 센싱부(210)에 의해 배터리의 전류, 전압,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것처럼, 제1 시점 및 제2 시점 각각은 소정의 지속시간을 가진다. 이때, 제1 시점 및 제2 시점 각각은 서로 동일한 소정의 지속시간을 가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지속시간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시간 간격은 기설정된 일정시간이거나 임의의 시간일 수 있다.
단계S10에서 측정된 제1 전류 및 단계S20에서 측정된 제2 전류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저항 측정 여부를 판단한다(S30). 이 단계는 저항측정 판단부(2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류 및 제2 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전류값 미만이고, 제1 전류와 제2 전류의 차이가 기준 차이값을 초과하면 배터리의 저항을 측정하도록 한다. 즉, 상술한 수학식 1과 수학식 2를 모두 만족하는 경우 단계S40을 수행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S10으로 복귀하여 배터리의 전류, 전압,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단계S30의 판단 결과에 따라 배터리의 저항을 측정한다(S40). 이 단계는 저항 측정부(2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시점에 산출된 제1 무부하 전압과 제2 시점에 산출된 제2 무부하 전압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단계S30에 의해 제1 전류 및 제2 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전류값 미만이므로, 제1 시점 또는 제2 시점에서 측정된 배터리의 전류 입출력은 작은 값을 가진다. 따라서, 제1 무부하 전압과 제2 무부하 전압은 거의 동일한 값을 가진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수학식 3으로부터 수학식 4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단계S30에 의해 제1 전류와 제2 전류의 차이가 기준 차이값을 초과하므로, 배터리의 전류 측정 오차에 따른 저항 값이 왜곡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의 저항측정방법은 단계S30의 판단 조건에 의해 배터리 저항 측정값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단계S40에서 측정된 배터리의 저항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저항 측정 시점에 배터리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 온도 데이터를 배터리 저항 값과 함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간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배터리의 저항 및 온도 값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퇴화 정도를 예측할 수 있다. 나아가, 배터리의 SOC 및 SOH 추정 시 이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의 단계들은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흐름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흐름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전기 자동차
10 : 배터리
20 : BMS
30 : ECU
40 : 인버터
50 : 모터
200 : 배터리의 저항측정장치
210 : 센싱부
220 : 저항측정 판단부
230 : 저항 측정부
240 : 수명 예측부

Claims (18)

  1. 제1 시점에 배터리의 제1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제2 시점에 상기 배터리의 제2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전류 및 상기 제2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저항 측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저항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전류 및 상기 제2 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전류값 미만이고, 상기 제1 전류 및 상기 제2 전류의 차이가 기준 차이값을 초과하면,
    상기 배터리의 저항 측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저항을 측정하고,
    상기 배터리의 저항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점에 산출된 상기 배터리의 제1 무부하 전압(OCV) 및 상기 제2 시점에 산출된 상기 배터리의 제2 무부하 전압(OCV)이 같은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기반으로 상기 배터리의 저항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저항측정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저항은,
    R = (V2 - V1)/(I2 - I1) (여기서, R은 상기 배터리의 저항, I1는 상기 제1 전류, I2는 상기 제2 전류, V1는 상기 제1 시점에 측정한 상기 배터리의 제1 전압, V2는 상기 제2 시점에 측정한 상기 배터리의 제2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저항측정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저항은 상기 제1 시점에 산출된 상기 배터리의 제1 무부하 전압(OCV) 및 상기 제2 시점에 산출된 상기 배터리의 제2 무부하 전압(OCV)으로부터 도출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저항측정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시간 간격은 기설정된 일정시간이거나 임의의 시간이며, 상기 제1 시점 및 상기 제2 시점 각각은 소정의 지속시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저항측정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저항과 상기 배터리의 저항 측정 시점의 상기 배터리의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퇴화 정도를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저항측정방법.
  7. 배터리의 전류, 전압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에 의해 제1 시점에 측정된 상기 배터리의 제1 전류 및 제2 시점에 측정된 상기 배터리의 제2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저항 측정 여부를 판단하는 저항측정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결과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저항을 측정하는 저항 측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전류 및 상기 제2 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전류값 미만이고, 상기 제1 전류 및 상기 제2 전류의 차이가 기준 차이값을 초과하면,
    상기 저항측정 판단부는,
    상기 배터리의 저항을 측정하고,
    상기 저항 측정부는,
    상기 제1 시점에 산출된 상기 배터리의 제1 무부하 전압(OCV) 및 상기 제2 시점에 산출된 상기 배터리의 제2 무부하 전압(OCV)이 같은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기반으로 상기 배터리의 저항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저항측정장치.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저항은,
    R = (V2 - V1)/(I2 - I1) (여기서, R은 상기 배터리의 저항, I1는 상기 제1 전류, I2는 상기 제2 전류, V1는 상기 제1 시점에 측정한 상기 배터리의 제1 전압, V2는 상기 제2 시점에 측정한 상기 배터리의 제2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저항측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저항은 상기 제1 시점에 산출된 상기 배터리의 제1 무부하 전압(OCV) 및 상기 제2 시점에 산출된 상기 배터리의 제2 무부하 전압(OCV)으로부터 도출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저항측정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시간 간격은 기설정된 일정시간이거나 임의의 시간이며, 상기 제1 시점 및 상기 제2 시점 각각은 소정의 지속시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저항측정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저항과 상기 배터리의 저항 측정 시점의 상기 배터리의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퇴화 정도를 예측하는 수명 예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저항측정장치.
  13. 배터리의 저항을 측정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배터리의 전류, 전압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에 의해 제1 시점에 측정된 상기 배터리의 제1 전류 및 제2 시점에 측정된 상기 배터리의 제2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저항 측정 여부를 판단하는 저항측정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결과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저항을 측정하는 저항 측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전류 및 상기 제2 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전류값 미만이고, 상기 제1 전류 및 상기 제2 전류의 차이가 기준 차이값을 초과하면,
    상기 저항측정 판단부는,
    상기 배터리의 저항을 측정하고,
    상기 저항 측정부는,
    상기 제1 시점에 산출된 상기 배터리의 제1 무부하 전압(OCV) 및 상기 제2 시점에 산출된 상기 배터리의 제2 무부하 전압(OCV)이 같은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기반으로 상기 배터리의 저항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저항은,
    R = (V2 - V1)/(I2 - I1) (여기서, R은 상기 배터리의 저항, I1는 상기 제1 전류, I2는 상기 제2 전류, V1는 상기 제1 시점에 측정한 상기 배터리의 제1 전압, V2는 상기 제2 시점에 측정한 상기 배터리의 제2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저항은 상기 제1 시점에 산출된 상기 배터리의 제1 무부하 전압(OCV) 및 상기 제2 시점에 산출된 상기 배터리의 제2 무부하 전압(OCV)으로부터 도출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시간 간격은 기설정된 일정시간이거나 임의의 시간이며, 상기 제1 시점 및 상기 제2 시점 각각은 소정의 지속시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저항과 상기 배터리의 저항 측정 시점의 상기 배터리의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퇴화 정도를 예측하는 수명 예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1020120049967A 2012-05-10 2012-05-10 배터리의 저항측정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Active KR101498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967A KR101498764B1 (ko) 2012-05-10 2012-05-10 배터리의 저항측정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967A KR101498764B1 (ko) 2012-05-10 2012-05-10 배터리의 저항측정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128A KR20130126128A (ko) 2013-11-20
KR101498764B1 true KR101498764B1 (ko) 2015-03-04

Family

ID=49854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967A Active KR101498764B1 (ko) 2012-05-10 2012-05-10 배터리의 저항측정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7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80620B2 (en) 2017-12-21 2022-10-25 Lg Energy Solution, Ltd. Method for calibrating state of charge of battery and battery management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0802A (ko) 2014-12-30 2016-07-08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배터리 팩의 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US10948547B2 (en) * 2018-11-23 2021-03-16 Lg Chem, Ltd. Battery monitoring system
EP3998667A1 (en) 2021-02-19 2022-05-18 Lilium eAircraft GmbH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an electric air vehicle
CN114002605B (zh) * 2021-10-25 2024-10-01 智新控制系统有限公司 电池健康状态估算方法及系统
CN114113839B (zh) * 2021-11-16 2024-11-08 武汉昊诚锂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锂亚电池集流结构集流能力的测评方法
KR102817504B1 (ko) * 2022-12-08 2025-06-10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배터리의 SOH(State Of Health)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CN116718937B (zh) * 2023-06-30 2024-04-02 惠州亿纬锂能股份有限公司 内阻估算方法、电池管理系统及计算机可读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6707A (ja) * 2006-02-14 2007-08-30 Fujitsu Ten Ltd バッテリ劣化判定装置、およびバッテリ劣化判定方法
JP2009103471A (ja) * 2007-10-19 2009-05-14 Honda Motor Co Ltd 電池状態推定装置
JP2010019758A (ja) * 2008-07-11 2010-01-28 Mitsumi Electric Co Ltd 電池状態検知装置
JP2012037337A (ja) * 2010-08-05 2012-02-23 Mitsubishi Heavy Ind Ltd 電池劣化検知装置および電池劣化検知方法ならびにその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6707A (ja) * 2006-02-14 2007-08-30 Fujitsu Ten Ltd バッテリ劣化判定装置、およびバッテリ劣化判定方法
JP2009103471A (ja) * 2007-10-19 2009-05-14 Honda Motor Co Ltd 電池状態推定装置
JP2010019758A (ja) * 2008-07-11 2010-01-28 Mitsumi Electric Co Ltd 電池状態検知装置
JP2012037337A (ja) * 2010-08-05 2012-02-23 Mitsubishi Heavy Ind Ltd 電池劣化検知装置および電池劣化検知方法ならびにその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80620B2 (en) 2017-12-21 2022-10-25 Lg Energy Solution, Ltd. Method for calibrating state of charge of battery and battery manage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128A (ko) 201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8761B1 (ko) 배터리의 수명 예측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US12145468B2 (en) Model predictive battery power limit estimation systems and methods
KR101498760B1 (ko) 배터리 잔존 용량 추정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101498764B1 (ko) 배터리의 저항측정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EP270096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battery state
US7800345B2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9128159B2 (en) Plug-in charge capacity estimation method for lithium iron-phosphate batteries
JP4597501B2 (ja) 二次電池の残存容量推定方法および装置
KR101779941B1 (ko) 배터리 충전 상태 측정 장치 및 방법
EP3323184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balancing a battery pack
KR101847685B1 (ko) 배터리의 상태 추정 장치 및 방법
JP2008141846A (ja) 充電状態予測プログラム、架線レス交通システム及びその充電方法
EP1861891A1 (en) Method of estimating available power for hev battery pack
EP2869074A1 (en) Device and method for calculating pre-charge resistance of battery pack
KR101486629B1 (ko) 배터리 수명 추정 장치 및 배터리 수명 추정 방법
US20150197158A1 (en) Perturbative injection for battery parameter identification
EP37569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soc
CN114158276A (zh) 检测镀锂的方法和通过使用其来管理电池的方法和装置
CN112912745A (zh) 根据开路电压图形确定电化学电池的充电状态和老化状态的方法
US11180051B2 (en) Display apparatus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Minarcin et al. Considerations in estimating battery energy for hybrid and electric vehicles
WO2024201588A1 (ja) 制御装置及びバッテリの出力許容電力を決定する方法
CN112763914A (zh) 用于测定电的能量存储单元的荷电状态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1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8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5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