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869B1 - A sporting apparatus for multi purpose - Google Patents
A sporting apparatus for multi purpos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97869B1 KR101497869B1 KR20140013023A KR20140013023A KR101497869B1 KR 101497869 B1 KR101497869 B1 KR 101497869B1 KR 20140013023 A KR20140013023 A KR 20140013023A KR 20140013023 A KR20140013023 A KR 20140013023A KR 101497869 B1 KR101497869 B1 KR 1014978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on
- force
- rope
- handle
- eff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20—Skipping-ropes or similar devices rotating in a vertical plan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00—Horizontal ba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having torsion or bending or flexion element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hands or fi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줄넘기, 완력기, 철봉 3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다기능 운동기구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양손 각각에 의해 파지되는 제1손잡이부와 제2손잡이부; 일단이 상기 제1손잡이부의 타단과 연결되며, 특정 휨응력을 갖고 휘어질 수 있는 제1연결완력부재; 일단이 상기 제2손잡이부의 타단과 연결되며, 특정 휨응력을 갖고 휘어질 수 있는 제2연결완력부재; 상기 제1연결완력부재의 타단과 상기 제2연결완력부재의 타단을 상호 탈부착시키는 탈부착 부재; 및 상기 제1연결완력부재와, 상기 탈부착 부재와, 상기 제2연결완력부재로 이어지는 내부공간 내에 내장되고, 일측 끝단은 상기 제1연결완력부재 내부공간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 끝단은 상기 제연결완력부재 내부공간 일측에 고정되는 줄넘기용 끈;을 포함하여, 상기 제1연결완력부재와 상기 제2연결완력부재가 상기 탈부착 부재에 의해 부착된 경우 완력기로 사용되고, 상기 제1연결완력부재와 상기 제2연결완력부재가 상기 탈부착 부재에 의해 탈착되어 소정길이로 상기 줄넘기용 끈이 인출된 경우 줄넘기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that performs three functions of rope skipping, a force machine, and a ba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 grip and a second handle which are gripped by respective hands; A first connection assisting force memb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handle and capable of being bent with a specific bending stress; A second connection effort member,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handle, and can be bent with a specific bending stress; A detachable member detachably attaching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effort member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effort member; And a second connection member that is embedded in an inner space that is continuous with the first connection effort member,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on force member,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one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connection force member, And a jumping rope fixed to one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force member,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and the first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s are used as a brace when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member is attached by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force member is detached by the attaching / detaching member and the rope-clasp string is pulled out to a predetermined length, the knot is used as jump rope.
Description
본 발명은 줄넘기, 완력기, 철봉 3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다기능 운동기구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that performs three functions of rope skipping, a force machine, and a bar.
최근 헬스장에 자주 가기 어려운 직장인이나 가정주부를 위해 집안에서도 간편하게 운동을 할 수 있는 가정용 운동기구가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Recently, there have been various proposals for home exercise equipment which can be easily exercised in the home for an office worker or a housewife who is hard to go to the gym.
이와 같은 가정용 운동기구는 시간 제약이 없이 원하는 시간에 언제든지 이용이 가능하고, 별도의 이용료를 지불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이기 때문에, 점차적으로 이용자의 숫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Such a home exercise machine can be used at any time without any time restriction, and there is no need to pay an additional fee, so that the number of users is gradually increasing.
그러나 종래 가정용 운동기구 대부분은 팔운동, 다리운동, 복근운동과 같이 단일 종류의 운동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신체 전신을 단련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종류의 것들을 각기 별도로 구입해서 이용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most conventional home exercise machines are provided to perform only a single type of exercise such as arm movement, leg exercise, and abdominal muscle exercis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various types of exercises must be separately purchased and used for training the whole body of the body .
또 개별적으로 마련된 여러 운동기구는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가정 내 생활공간이 줄어들도록 하는 문제도 발생시키게 된다.Also, since the various exercise apparatuses that are provided individually take up a lot of installation space, they also cause a problem of reducing the living space in the home relatively.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줄넘기, 완력기, 철봉 등 여러 종류의 다양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됨과 동시에 좁은 공간을 통해서도 설치가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를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various kinds of exercise such as rope skipping, Provides a multifunctional exercise machine that can be installed.
본 발명의 그 밖에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되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목적은, 다기능 운동기구에 있어서, 양손 각각에 의해 파지되는 제1손잡이부와 제2손잡이부; 일단이 상기 제1손잡이부의 타단과 연결되며, 특정 휨응력을 갖고 휘어질 수 있는 제1연결완력부재; 일단이 상기 제2손잡이부의 타단과 연결되며, 특정 휨응력을 갖고 휘어질 수 있는 제2연결완력부재; 상기 제1연결완력부재의 타단과 상기 제2연결완력부재의 타단을 상호 탈부착시키는 탈부착 부재; 및상기 제1연결완력부재와, 상기 탈부착부재와, 상기 제2연결완력부재로 이어지는 내부공간 내에 내장되고, 일측 끝단은 상기 제1연결완력부재 내부공간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 끝단은 상기 제연결완력부재 내부공간 일측에 고정되는 줄넘기용 끈;을 포함하여, 상기 제1연결완력부재와 상기 제2연결완력부재가 상기 탈부착부재에 의해 부착된 경우 완력기로 사용되고, 상기 제1연결완력부재와 상기 제2연결완력부재가 상기 탈부착부재에 의해 탈착되어 소정길이로 상기 줄넘기용 끈이 인출된 경우 줄넘기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로서 달성될 수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comprising: a first handle and a second handle gripped by respective hands; A first connection assisting force memb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handle and capable of being bent with a specific bending stress; A second connection effort member,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handle, and can be bent with a specific bending stress; A detachable member detachably attaching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effort member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effort member; And a second connection member that is embedded in an inner space that is continuous with the first connection effort member,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on force member,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one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connection force member, And a jumping rope fixed to one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force member,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and the first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s are used as a brace when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member is attached by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on effort member is detached by the attaching / detaching member and the rope-clasp string is pulled out to a predetermined length, the knot is used as rope skipping.
그리고, 상기 제1연결완력부재와 상기 제1손잡이부의 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완력부재와 상기 제2손잡이부의 연결부 각각에 구비되는 손잡이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 각각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와, 상기 걸고리와 연결되어 벽에 부착되는 벽부착수단;을 구비하는 철봉 벽걸이를 포함하여, 상기 제1연결완력부재와 상기 제2연결완력부재가 상기 탈부착부재에 의해 부착되고, 상기 철봉 벽걸이를 상기 연결부에 부착하고, 상기 철봉벽걸이를 벽에 고정하여 철봉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 knob connection part provided at each of a connection part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effort member and the first knob part and a connection part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force member and the second knob part; And a pair of hooks formed to be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each of the connecting portions, and a wall mounting means connected to the hooks to be attached to the wall, wherein the first connecting and hold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and holding member Is attached by the attaching / detaching member, the iron bar wall mount is attached to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iron bar wall is fixed to the wall and used as a bar.
또한, 상기 제1연결완력부재의 내부공간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중심축에 축지되며, 상기 줄넘기용 끈의 일단부가 권취되는 제1권취부재와, 상기 제1권취부재의 내측에 탄착되어 상기 제1권취부재를 탄성원복시키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2연결완력부재의 내부공간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중심축에 축지되며, 상기 줄넘기용 끈의 타단부가 권취되는 제2권취부재와, 상기 제2권취부재의 내측에 탄착되어 상기 제2권취부재를 탄성원복시키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member may include a first wrapping member that is pivotally mounted on a central axis so as to be rotatable in an inner space of the first connection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nd is wound around the one end of the rope-binding string, A first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unwinding the member; And a second winding member which is pivoted on a central axis so as to be rotatable in an inner space of the second connection and forcing member and on which the other end of the rope skipping strap is wound, And a second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unwinding the member.
그리고, 상기 제1손잡이부와 상기 제2손잡이부 각각의 외주면 일측에는 미끄럼 방지 고무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 non-slip rubber pad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grip portions.
또한, 상기 제1손잡이부와 상기 제2손잡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흔들림 횟수를 측정하는 흔들림량 감지센서; 충격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인가를 판별하여 운동량을 산출하는 운동량산출수단; 상기 운동량에 따라 소비된 칼로리량을 산출하는 칼로리량 산출수단; 상기 흔들림량과 상기 칼로리량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 및 상기 흔들림량 감지센서, 상기 운동량 산출수단, 상기 칼로리량 산출수단 및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lso, at least one of the first handle and the second handle may be provided with a shake amount sensor for measuring the number of shakes; A momentum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a momentum by discriminating a signal input from an impact sensor; Calorie-amount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a calorie consumption amount according to the exercise amount;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shaking amount and the calorie amount in real time; And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power to the shake amount detection sensor, the momentum calculation unit, the calorie consumption calculation unit, and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줄넘기, 완력기, 철봉 등 여러 종류의 다양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됨과 동시에 좁은 공간을 통해서도 설치가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various kinds of various movements such as rope skipping, a force machine, a bar, and the like, and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the robot through a narrow spa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으로 줄넘기 끈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어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수단에서 칼로리 소모량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pe-clasp rope can be conveniently adjusted automatically and can be used universally, and the calorie consumption amount can be displayed in real time on the display means.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other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완력부재와 상기 제2연결완력부재가 부착된 상태에서의 다기능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완력부재와 상기 제2연결완력부재가 탈착된 상태에서의 다기능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봉 벽걸이가 부착된 상태에서의 다기능 운동기구의 부분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1연결완력부재와 상기 제2연결완력부재가 탈착되는 상태에서의 다기능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줄넘기 끈이 소정 길이만큼 인출된 상태에서의 다기능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줄넘기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다기능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1연결완력부재와 상기 제2연결완력부재가 부착되는 상태에서의 다기능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1연결완력부재와 상기 제2연결완력부재가 부착된 상태에서의 다기능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완력기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다기능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1연결완력부재와 상기 제2연결완력부재가 부착되는 상태에서의 다기능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철봉벽걸이가 연결부에 부착되는 상태에서의 다기능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철봉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다기능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 다기능 운동기구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functional exercising apparatus in a state where the first connection effort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on force member are attac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functional exercising apparatus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effort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on and right member are detac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in a state in which a steel bar wall mount is attac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functional exercising apparatus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effort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on and right member are detac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functional exercising apparatus in a state in which the rope-binding strap is drawn out by a predetermined leng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c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showing a state of being used for jumping r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functional exercising apparatus in a state where the first connection effort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on force member are attac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functional exercising apparatus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effort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on force member are attac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c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showing a state in which it is used as a fitness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functional exercising apparatus in a state where the first connection effort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on force member are attac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B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in a state where a bar-shaped wall mount is attached to a connection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C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showing a state of being used as a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showing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a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a case where the other par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In addition, the inclusion of an elemen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but may in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100)의 기능 및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완력부재(31)와 상기 제2연결완력부재(32)가 부착된 상태에서의 다기능 운동기구(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완력부재(31)와 상기 제2연결완력부재(32)가 탈착된 상태에서의 다기능 운동기구(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봉 벽걸이(60)가 부착된 상태에서의 다기능 운동기구(100)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of the multifunctional exercisin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100)는 필요에 따라 완력기로서 사용될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넘기로서 사용될 수도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철봉으로서 사용되어질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multifunctiona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100)는 손잡이부, 연결완력부재, 탈부착부재(50), 손잡이 연결부(40), 철봉 벽걸이(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multifunctional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는 제1손잡이부(10)와 제2손잡이부(20)로 구성되며, 제1손잡이부(10)와 제2손잡이부(20)에 양손 각각이 의해 파지되게 된다. 이러한 손접이부의 형상은 도 1 및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손으로 편하게 파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그 구체적인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1손잡이부(10)와 제2손잡이부(20)의 외주면 내측에는 미끄럼 방지 고무패드(11)가 구비될 수 있다. 1 and 2, the handle portion includes a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완력부재는 제1연결완력부재(31)와 제2연결완력부재(32)로 구성되며, 제1연결완력부재(31)는, 일단이 제1손잡이부(10)의 타단과 연결되며, 특정 휨응력을 갖고 휘어질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된다. 또한, 제2연결완력부재(32) 역시, 일단이 상기 제2손잡이부(20)의 타단과 연결되며, 특정 휨응력을 갖고 휘어질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된다. The connecting forc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first connecting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부재(50)는, 제1연결완력부재(31)의 타단과 제2연결완력부재(32)의 타단을 상호 탈부착시키기 위한 구성에 해당한다. 구체적실시예에서는 제1연결완력부재(31)의 타단에 삽입돌출부가 형성되고, 제2연결완력부재(32)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삽입돌출부를 삽입홈에 억지끼움시켜 탈착시키게 되고, 락해제버튼을 누르게 되면, 삽입돌출부와 삽입홈 간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 도 2에 도시된 탈부착부재(50)는 하나의 실시예를 제시한 것일 뿐 제1연결완력부재(31)와 제2연결완력부재(32)를 탈부착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그 구체적인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The attaching / detaching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줄넘기용 끈(80)은, 제1연결완력부재(31)와, 탈부착부재(50)와, 제2연결완력부재(32)로 이어지는 내부공간 내에 내장되게 된다. 또한, 줄넘기용 끝의 일측 끝단은 제1연결완력부재(31) 내부공간 일측에 고정되고, 줄넘기용 끈(80)의 타측 끝단은 상기 제연결완력부재 내부공간 일측에 고정되게 된다. The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완력부재(31)와 제2연결완력부재(32)가 탈부착부재(50)에 의해 부착된 경우 완력기로 사용되게 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완력부재(31)와 상기 제2연결완력부재(32)가 상기 탈부착부재(50)에 의해 탈착되어 소정길이로 상기 줄넘기용 끈(80)이 인출된 경우 줄넘기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1, when the first
또한, 제1연결완력부재(31)의 내부공간에는, 제1연결완력부재(31)의 내부공간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중심축에 축지되며, 상기 줄넘기용 끈(80)의 일단부가 권취되는 제1권취부재와, 상기 제1권취부재의 내측에 탄착되어 상기 제1권취부재를 탄성원복시키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1스토퍼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소정 힘을 가하여 줄넘기용 끈(80)을 인출시킨 경우, 인출된 길이에서 줄넘기용 끈(80)을 고정시키고, 사용자가 제1스토퍼 해제 버튼을 누르게 되는 경우 되감기 탄력에 의해 줄넘기용 끈(80)이 제1권취부재에 감기게 된다. The first
역시, 제2연결완력부재(32) 내부공간에도, 상기 제2연결완력부재(32)의 내부공간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중심축에 축지되며, 상기 줄넘기용 끈(80)의 타단부가 권취되는 제2권취부재와, 상기 제2권취부재의 내측에 탄착되어 상기 제2권취부재를 탄성원복시키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또한, 제2스토퍼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소정 힘을 가하여 줄넘기용 끈(80)을 인출시킨 경우, 인출된 길이에서 줄넘기용 끈(80)을 고정시키고, 사용자가 제2스토퍼 해제 버튼을 누르게 되는 경우 되감기 탄력에 의해 줄넘기용 끈(80)이 제2권취부재에 감기게 된다. The second connecting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100)는 철봉 벽걸이(60)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철봉 벽걸이(60)는, 제1연결완력부재(31)와 상기 제1손잡이부(10)의 연결부 그리고, 제2연결완력부재(32)와 상기 제2손잡이부(20)의 연결부 각각에 구비되는 손잡이 연결부(40), 및 상기 연결부(40) 각각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61)와, 상기 걸고리(61)와 연결되어 벽에 부착되는 벽부착수단(6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따라서, 제1연결완력부재(31)와 제2연결완력부재(32)가 탈부착부재(50)에 의해 부착되고, 철봉 벽걸이(60)를 연결부(40)의 장착홈(41)에 부착하고, 철봉 벽걸이(60)를 벽에 부착하여, 다기능 운동기구(100)를 철봉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The first connecting
이하에서는 앞서 언급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100)의 사용태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1연결완력부재(31)와 상기 제2연결완력부재(32)가 탈착되는 상태에서의 다기능 운동기구(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줄넘기 끈(80)이 소정 길이만큼 인출된 상태에서의 다기능 운동기구(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줄넘기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다기능 운동기구(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the use of the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100)를 줄넘기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제1연결완력부재(31)와 제2연결완력부재(32)를 분리시키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넘기용 끈(80)을 자신의 신장에 맞도록 적절히 인출시킨 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넘기로 사용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4A, when the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1연결완력부재(31)와 상기 제2연결완력부재(32)가 부착되는 상태에서의 다기능 운동기구(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1연결완력부재(31)와 상기 제2연결완력부재(32)가 부착된 상태에서의 다기능 운동기구(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완력기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다기능 운동기구(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5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100)를 완력기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1연결완력부재(31)와 제2연결완력부재(32)를 탈부착부재(50)에 의해 상호 부착시키고,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양손으로 제1손잡이부(10)와 제2손잡이부(20)를 파지하고, 폈다 접었다는 반복하며 완력기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5A, when a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1연결완력부재(31)와 상기 제2연결완력부재(32)가 부착되는 상태에서의 다기능 운동기구(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철봉벽걸이(60)가 연결부(40)의 장착홈(41)에 부착되는 상태에서의 다기능 운동기구(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철봉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다기능 운동기구(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6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100)를 철봉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1연결완력부재(31)와 제2연결완력부재(32)를 탈부착부재(50)에 의해 상호 부착시키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봉 벽걸이(60)의 걸고리(61)를 다기능 운동기구(100)의 장착홈(41)에 장착시키고,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봉 벽걸이(60)를 벽에 고정시켜 철봉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6A, when a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 다기능 운동기구(100)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100)의 제1손잡이부(10) 또는 제2손잡이부(20)의 외면에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현재의 칼로리 소모량, 줄넘기 횟수를 표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FIG.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운동기구(100)는 흔들림량 감지센서, 운동량 산출수단, 칼로리량 산출수단, 디스플레이수단(70), 전력공급부(71)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흔들림량 감지센서는, 줄넘기로 사용하게 되는 경우, 흔들림 횟수를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운동량 산출수단은 충격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인가를 판별하여 운동량을 산출하게 되며, 칼로리량 산출수단은 상기 운동량에 따라 소비된 칼로리량을 산출하게 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수단(70)은 흔들림량과 상기 칼로리량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또한, 전력공급부(71)는 통상의 배터리로 구성되어, 흔들림량 감지센서, 상기 운동량 산출수단, 상기 칼로리량 산출수단 및 상기 디스플레이수단(70)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The shake amount sensor measures the number of shakes when used as jumping rope. The calorie-amount calculating means calculates the amount of calories consum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exercise, and the calorie-amount calculating means calculates the amount of calories consumed according to the exercise amount. Then, the display means 70 displays the amount of shaking and the amount of calories in real time.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한것으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ed embodiments are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제1손잡이부
11:미끄럼방지 고무패드
20:제2손잡이부
31:제1연결완력부재
32:제2연결완력부재
40:연결부
41:장착홈
50:탈부착부재
60:철봉 벽걸이
61:걸고리
62:벽부착수단
70:디스플레이수단
71:전력공급부
80:줄넘기용 끈
100:다기능 운동기구10: first handle portion
11: Anti-slip rubber pads
20: second handle portion
31: first connection force member
32: second connection-assisting force member
40:
41: mounting groove
50:
60: Steel bar wall
61: hooking ring
62: Wall attachment means
70: Display means
71: Power supply
80: Jumping rope
100: Multifunctional fitness equipment
Claims (2)
양손 각각에 의해 파지되는 제1손잡이부와 제2손잡이부;
일단이 상기 제1손잡이부의 타단과 연결되며, 특정 휨응력을 갖고 휘어질 수 있는 제1연결완력부재;
일단이 상기 제2손잡이부의 타단과 연결되며, 특정 휨응력을 갖고 휘어질 수 있는 제2연결완력부재;
상기 제1연결완력부재의 타단과 상기 제2연결완력부재의 타단을 상호 탈부착시키는 탈부착 부재; 및
상기 제1연결완력부재와, 상기 탈부착 부재와, 상기 제2연결완력부재로 이어지는 내부공간 내에 내장되고, 일측 끝단은 상기 제1연결완력부재 내부공간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 끝단은 상기 제2연결완력부재 내부공간 일측에 고정되는 줄넘기용 끈; 및
상기 제1연결완력부재와 상기 제1손잡이부의 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완력부재와 상기 제2손잡이부의 연결부 각각에 구비되는 손잡이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 각각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와, 상기 걸고리와 연결되어 벽에 부착되는 벽부착수단;을 구비하는 철봉 벽걸이를 포함하여,
상기 제1연결완력부재와 상기 제2연결완력부재가 상기 탈부착 부재에 의해 부착된 경우 완력기로 사용되고, 상기 제1연결완력부재와 상기 제2연결완력부재가 상기 탈부착 부재에 의해 탈착되어 소정길이로 상기 줄넘기용 끈이 인출된 경우 줄넘기로서 사용되고,
상기 제1연결완력부재와 상기 제2연결완력부재가 상기 탈부착 부재에 의해 부착되고, 상기 철봉 벽걸이를 상기 연결부에 부착하고, 상기 철봉 벽걸이를 벽에 고정하여 철봉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In a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A first handle and a second handle gripped by respective hands;
A first connection assisting force memb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handle and capable of being bent with a specific bending stress;
A second connection effort member,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handle, and can be bent with a specific bending stress;
A detachable member detachably attaching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effort member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effort member; And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is embedded in an inner space that is continuous with the first connection force member, the removable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on force member, one end fixed to one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connection force member, A skipping rope fixed to one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force member; And
A knob connection portion provided at each of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effort member and the first knob por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force member and the second knob portion; And a pair of hooks that are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nnecting portions, respectively, and a wall-mounting means connected to the hooks and attached to the wall,
The first connection effort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on force member are used as a force machine in the case where the first connec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and the force member are attached by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member, When the rope-binding strap is pulled out, it is used as jump rop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nnection-assisting-force-genera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on-assisting-force-applying member are attached by the attaching / detaching member, and the bar-walling bracket is attached to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bar- Instrument.
상기 제1연결완력부재의 내부공간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중심축에 축지되며, 상기 줄넘기용 끈의 일단부가 권취되는 제1권취부재와, 상기 제1권취부재의 내측에 탄착되어 상기 제1권취부재를 탄성원복시키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2연결완력부재의 내부공간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중심축에 축지되며, 상기 줄넘기용 끈의 타단부가 권취되는 제2권취부재와, 상기 제2권취부재의 내측에 탄착되어 상기 제2권취부재를 탄성원복시키는 제2탄성부재; 및
상기 제1손잡이부와 상기 제2손잡이부 각각의 외주면 일측에는 미끄럼 방지 고무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손잡이부와 상기 제2손잡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흔들림 횟수를 측정하는 흔들림량 감지센서;
충격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인가를 판별하여 운동량을 산출하는 운동량산출수단;
상기 운동량에 따라 소비된 칼로리량을 산출하는 칼로리량 산출수단;
상기 흔들림량과 상기 칼로리량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 및
상기 흔들림량 감지센서, 상기 운동량 산출수단, 상기 칼로리량 산출수단 및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wrapping member which is pivoted on a central axis so as to be rotatable in an internal space of the first connection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is wound around one end of the rope-binding string, A first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unwinding; And
A second wrapping member that is pivoted on a central axis so as to be rotatable in an inner space of the second connection and forcing member and on which the other end of the rope-binding string is wound, A second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unwinding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And a non-slip rubber pad on one side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grip portions,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handle portion and the second handle portion is provided with:
A shake amount detec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number of shakes;
A momentum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a momentum by discriminating a signal input from an impact sensor;
Calorie-amount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a calorie consumption amount according to the exercise amount;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shaking amount and the calorie amount in real time; And
And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power to the shake amount detection sensor, the exercise amount calculation unit, the calorie consumption calculation unit, and the display uni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13023A KR101497869B1 (en) | 2014-02-05 | 2014-02-05 | A sporting apparatus for multi purpos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13023A KR101497869B1 (en) | 2014-02-05 | 2014-02-05 | A sporting apparatus for multi purpos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97869B1 true KR101497869B1 (en) | 2015-03-11 |
Family
ID=53026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013023A Expired - Fee Related KR101497869B1 (en) | 2014-02-05 | 2014-02-05 | A sporting apparatus for multi purpos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97869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80349B1 (en) | 2020-04-17 | 2020-11-18 | 나진옥 | Multi-function exercise device by using seesaw action |
KR20210112636A (en) | 2020-03-05 | 2021-09-15 |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 Shoulder exercise kit |
KR20220001667A (en) * | 2020-06-30 | 2022-01-06 | 임동규 | Portable exercise dev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10795A (en) * | 2002-04-23 | 2003-11-05 | Dm Shokai:Kk | Rope skipping utensil |
KR20050106827A (en) * | 2004-05-06 | 2005-11-11 | 이해일 | Skipping rope with single body grips |
KR200451841Y1 (en) * | 2010-10-21 | 2011-01-14 | 김기홍 | Multifunction Rope Band Fitness Equipment |
KR200468939Y1 (en) * | 2013-03-29 | 2013-09-11 | 임철민 | Portable exercise equipment |
-
2014
- 2014-02-05 KR KR20140013023A patent/KR10149786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10795A (en) * | 2002-04-23 | 2003-11-05 | Dm Shokai:Kk | Rope skipping utensil |
KR20050106827A (en) * | 2004-05-06 | 2005-11-11 | 이해일 | Skipping rope with single body grips |
KR200451841Y1 (en) * | 2010-10-21 | 2011-01-14 | 김기홍 | Multifunction Rope Band Fitness Equipment |
KR200468939Y1 (en) * | 2013-03-29 | 2013-09-11 | 임철민 | Portable exercise equipment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12636A (en) | 2020-03-05 | 2021-09-15 |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 Shoulder exercise kit |
KR102180349B1 (en) | 2020-04-17 | 2020-11-18 | 나진옥 | Multi-function exercise device by using seesaw action |
KR20220001667A (en) * | 2020-06-30 | 2022-01-06 | 임동규 | Portable exercise device |
KR102382279B1 (en) | 2020-06-30 | 2022-04-05 | 임동규 | Portable exercise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338170B2 (en) | Exercise bar | |
US7785243B2 (en) | Resistance training exercise device, system and method | |
US6030321A (en) | Kicking exerciser for martial arts | |
US8870722B2 (en) | Resistance training exercise and fitness apparatus with attachment device | |
CA2932281C (en) | Convertible arm cord loop handle | |
EP2292302A1 (en) | Resistance training exercise device | |
KR101792216B1 (en) | Weight exercise apparatus | |
US6264584B1 (en) | Treadmill support belt | |
JP2010538768A5 (en) | ||
US9694224B1 (en) | Integrated step and jump exercise device | |
JP2013521975A5 (en) | ||
KR101497869B1 (en) | A sporting apparatus for multi purpose | |
US20140342883A1 (en) | Full body resistance strength and cardiovascular mobile exercise device | |
AU2015200126A1 (en) | Belt Pulling Exercise Apparatus | |
US20170203145A1 (en) | Conditioning Rope with Exchange Handle | |
EP4166204A1 (en) | Interactive resistance band training systems | |
JP5997436B2 (en) | Swing training equipment for athletics and how to use it | |
US20110028287A1 (en) | Resistance training exercise and fitness device | |
US20210086015A1 (en) | Exercise band | |
EP3714949A1 (en) | Smart exercise load apparatus for muscular exercise equipment | |
US20140155234A1 (en) | Wraps For Improving Grip On Exercise Equipment | |
US10589140B2 (en) | Exercise device | |
US20150045194A1 (en) | Floor-free plank exercise device | |
KR200451841Y1 (en) | Multifunction Rope Band Fitness Equipment | |
KR20200080960A (en) | Multi-babel for multipurpose exerci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