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97699B1 - 프로젝션 장치 및 그의 전원공급유닛 - Google Patents

프로젝션 장치 및 그의 전원공급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699B1
KR101497699B1 KR1020080048386A KR20080048386A KR101497699B1 KR 101497699 B1 KR101497699 B1 KR 101497699B1 KR 1020080048386 A KR1020080048386 A KR 1020080048386A KR 20080048386 A KR20080048386 A KR 20080048386A KR 101497699 B1 KR101497699 B1 KR 101497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supply
board
supply unit
install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8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2524A (ko
Inventor
전재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8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699B1/ko
Publication of KR20090122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2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69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6Cooling; Preventing overhe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29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scanning a light beam on the display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7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light modulating optical val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프로젝션 장치 및 그의 전원공급유닛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의 전원공급유닛에는, 설치부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설치부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제 1 전원부; 및 상기 설치부의 타측면에 설치되는 제 2 전원부가 포함된다.
프로젝션, 전원

Description

프로젝션 장치 및 그의 전원공급유닛{Projection apparatus and power supply unit thereof}
본 실시예는 프로젝션 장치 및 그의 전원공급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젝션 장치는 컴퓨터, 캠코더, 등을 직접 연결하여 스크린에 투사시켜, 각종 프레이젠테이션이나 멀티미디어 교육을 할 수 있게 하는 시청각용 영상기기로 사용된다.
상기 프로젝션 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유닛와, 광원을 제공하는 램프부와, 램프부의 빛을 스크린으로 투사시키기 위한 엔진부가 포함된다.
상기 전원 공급 유닛 및 엔진부의 작동 중에는 열이 발생하며, 상기 프로젝션 장치의 내부에는 냉각을 위한 팬이 제공된다.
상기 전원 공급 유닛 및 엔진부는 상기 팬에 의해서 송풍되는 공기에 의해서 냉각되며, 냉각 효율은 상기 전원 공급 유닛 또는 엔진부를 이루는 구성의 배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전원 공급 유닛의 냉각 효율이 향상되는 프로젝션 장치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전원공급유닛을 구성하는 밸러스트 보드와 PFC 보드의 설치 구조가 간단해지는 프로젝션 장치 및 그의 전원공급유닛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의 전원공급유닛은 설치부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설치부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제 1 전원부; 및 상기 설치부의 타측면에 설치되는 제 2 전원부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원공급유닛; 상기 전원공급유닛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램프부; 상기 램프부의 광을 스크린으로 투사시키기 위한 엔진부; 및 상기 전원공급유닛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팬이 포함되며, 상기 전원공급유닛에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제 1 전원부와, 상기 케이스의 타측면에 설치되는 제 2 전원부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설치부의 양측면에 각각 PFC 보드와 밸러스트 보드가 설치되므로, 상기 PFC 보드의 열과 상기 밸러스트 보드의 열이 집중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PFC 보드와 밸러스트 보드가 상기 냉각팬에 의해서 각각 냉각될 수 있게 되어, 냉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FC 보드가 상기 설치부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밸러스트 보드가 상기 설치부의 타측면에 설치됨에 따라 공기의 유로가 확보되어 냉각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PFC 보드와 상기 밸러스트 보드가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므로, 상기 밸러스트 보드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케이스가 불필요하게 되어 구조가 간단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설치부의 타측면에 AC 입력부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AC 입력부의 냉각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프로젝션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프로젝션 장치(1)에는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0)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유닛(100)과, 상기 전원 공급 유닛(10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램프부(20)와, 상기 램프부(20)의 빛을 스크린에 투사하기 위한 엔진부(30)와, 상기 전원 공급 유닛(100) 및 램프부(20) 등을 냉각을 위한 냉각팬(50)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10)에는 공기의 흡입을 위한 다수 개의 흡입구(11)와 다수 개의 토출구(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팬(40)의 동작에 의해서 흡입 된 공기는 상기 전원 공급 유닛(100), 램프부(20) 및 엔진부(30)를 냉각시킨 후에 상기 토출구(12)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엔진부(30)는 투사 렌즈(31)와 도시되지 않은 다수 개의 미러가 포함된다. 상기 램프부(20)에서 발생된 광이 상기 엔진부(30)에 의해서 스크린으로 투사되는 내용은 공지의 내용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전원 공급 유닛(1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유닛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유닛(100)에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에 설치되며, AC전원이 입력되기 위한 AC 입력부(150)와, 상용 교류를 정류하여 원하는 출력 전압을 얻는 과정을 통해서 전압과 전류의 위상 차이로 발생하는 역률(Power Factor)로 인한 전력의 손실을 보정하기 위한 역률 보정(Power Factor Compensation : PFC) 보드(140: 이하에서는 "PFC 보드"라 함)와, 상기 PFC 보드(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램프부(20)를 작동시키는 밸러스트 보드(Ballast board : 140)가 포함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PFC 보드(130)를 제 1 전원부라 하고, 밸러스트 보드(140)를 제 2 전원부라 이름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110)는, 상면부(111)와, 상기 상면부(111)의 양단에서 하방으로 대략 수직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부(112, 113)가 포함된다. 상기 한 쌍의 측면부는 좌측부(112)와 우측부(113)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부(112)와 우측부(113) 사이에는 상기 PFC 보드(130)가 위치하기 위한 공간부(115)가 형성된다.
상기 PFC 보드(130)는 상기 공간부(115)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10)에 설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PFC 보드(130)를 둘러싸게 된다.
상기 PFC 보드(130)는 상기 우측부(113)의 일측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우측부(113)를 상기 PFC 보드(130)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부라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우측부(113)를 설치부인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설치부(113)의 일측면은 상기 설치부(113)의 상기 좌측부(112)와 마주보는 면을 의미하고, 상기 설치부(113)의 타측면은 상기 일측면의 반대면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부(113)에는 체결 부재(161)가 체결되기 위한 다수 개의 체결홀(116)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 부재(161)는 상기 설치부(113)의 타측면에서 상기 체결홀(116)을 관통하여 상기 공간부(115)에 위치한 상기 PFC 보드(130)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PFC 보드(130)에도 상기 체결 부재(116)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 부재(161)에 의해서 상기 PFC 보드(130)가 상기 설치부(113)의 일측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PFC 보드(130)는 상기 설치부(113)의 일측면과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PFC 보드(130)와 상기 설치부(113)의 일측면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기 위한 제 1 냉각 유로(164)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PFC 보드(130)가 상기 설치부(113)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PFC 보드(130)는 상기 좌측부(112)와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냉각팬(40)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PFC 보드(130)와 상기 좌측부(112) 사이의 공간 및 상기 제 1 냉각 유로(164)를 유동하므로, 상기 PFC 보드(130)가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밸러스트 보드(140)는 상기 설치부(113)의 타측면에 설치된다. 상기 설치부(113)에는 체결 부재(162)가 체결되기 위한 다수 개의 체결홀(117)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 부재(162)는 상기 설치부(113)의 일측면에서 상기 체결홀(117)을 관통하여 상기 밸러스트 보드(140)에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밸러스트 보드(140)에도 상기 체결 부재(162)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 부재(162)에 의해서 상기 밸러스트 보드(140)가 상기 설치부(113)의 타측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밸러스트 보드(140)는 상기 설치부(113)의 타측면과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밸러스트 보드(140)와 상기 설치부(113)의 타측면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기 위한 제 2 냉각 유로(165)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설치부(113)의 양측면에 각각 상기 PFC 보드(130)와 상기 밸러스트 보드(140)가 설치되므로, 상기 PFC 보드(130)의 열과 상기 밸러스트 보드(140)의 열이 집중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PFC 보드(130)와 밸러스트 보 드(140)가 상기 냉각팬(40)에 의해서 각각 냉각될 수 있게 되어, 냉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FC 보드(130)가 상기 설치부(113)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밸러스트 보드(140)가 상기 설치부(113)의 타측면에 설치됨에 따라 공기의 유로가 확보되어 냉각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PFC 보드(130)와 상기 밸러스트 보드(140)가 상기 설치부(113)에 설치되므로, 상기 밸러스트 보드(140)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케이스가 불필요하게 되어 구조가 간단해지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설치부(113)에는 상기 AC 입력부(150)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20)는 상기 설치부(113)의 타측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밸러스트 보드(140)와 상기 AC 입력부(150)는 상기 설치부(113)의 동일 면에 설치된다.
상기 결합부(120)에는, 상기 설치부(113)의 타측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21)와, 상기 연장부(121)의 양측단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AC 입력부(150)가 체결되는 한 쌍의 결합판(122, 12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결합판(122, 123) 사이에는 상기 AC 입력부(150)가 관통하기 위한 공간부(125)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 결합판(123, 123)에는 체결 부재(미도시)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12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AC 입력부(150)를 상기 공간부(125)에 위치시키면, 상기 각 결 합판(122, 123)이 상기 AC 입력부(150)와 밀착되며, 체결 부재를 상기 AC 입력부(150) 및 상기 각 결합판(122, 123)에 체결하면, 상기 AC 입력부(150)의 설치는 완료된다.
이와 같이 상기 설치부(113)의 타측면에 상기 AC 입력부(150)가 결합되는 결합부(120)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AC 입력부(150)의 냉각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결합부(120)가 상기 설치부(113)의 타측면에 설치되는 경우 공기가 상기 결합부(120)에 설치된 상기 AC 입력부(150)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므로, 상기 AC 입력부(150)의 냉각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프로젝션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유닛 케이스의 사시도.

Claims (9)

  1. 설치부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설치부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제 1 전원부; 및
    상기 설치부의 타측면에 설치되는 제 2 전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원부 및 제2 전원부는 상기 설치부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프로젝션 장치의 전원공급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원부는 체결 부재에 의해서 상기 설치부의 일측면에 체결되는 프로젝션 장치의 전원공급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원부는 체결 부재에 의해서 상기 설치부의 타측면에 체결되는 프로젝션 장치의 전원공급유닛.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원부는 PFC 보드(Power Factor Compensation Board)이고,
    상기 제 2 전원부는 밸러스트 보드(ballast board)인 프로젝션 장치의 전원 공급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의 타측면에는 AC 입력부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는 프로젝션 장치의 전원공급유닛.
  6.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원공급유닛;
    상기 전원공급유닛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램프부;
    상기 램프부의 광을 스크린으로 투사시키기 위한 엔진부; 및
    상기 전원공급유닛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팬이 포함되며,
    상기 전원공급유닛에는,
    설치부가 구비되는 케이스와, 상기 설치부의 일측면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 1 전원부와, 상기 설치부의 타측면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 2 전원부가 포함되는 프로젝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원부와 상기 설치부의 일측면 사이에는 제 1 냉각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원부와 상기 설치부의 타측면 사이에는 제 2 냉각 유로가 형성되는 프로젝션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원부는 PFC 보드(Power Factor Compensation Board)이고,
    상기 제 2 전원부는 밸러스트 보드(ballast board)인 프로젝션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타측면에는 AC 입력부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는 프로젝션 장치.
KR1020080048386A 2008-05-26 2008-05-26 프로젝션 장치 및 그의 전원공급유닛 Active KR101497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386A KR101497699B1 (ko) 2008-05-26 2008-05-26 프로젝션 장치 및 그의 전원공급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386A KR101497699B1 (ko) 2008-05-26 2008-05-26 프로젝션 장치 및 그의 전원공급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2524A KR20090122524A (ko) 2009-12-01
KR101497699B1 true KR101497699B1 (ko) 2015-03-04

Family

ID=41684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8386A Active KR101497699B1 (ko) 2008-05-26 2008-05-26 프로젝션 장치 및 그의 전원공급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6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497A (ko) * 2002-03-13 2003-09-19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리어 프로젝터
JP2007078924A (ja) * 2005-09-13 2007-03-29 Canon Inc 画像投射装置
KR20070121391A (ko) * 2006-06-22 2007-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션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497A (ko) * 2002-03-13 2003-09-19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리어 프로젝터
JP2007078924A (ja) * 2005-09-13 2007-03-29 Canon Inc 画像投射装置
KR20070121391A (ko) * 2006-06-22 2007-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2524A (ko) 200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275096A (ja) 投写型表示装置
CN203250103U (zh) 投影装置
US7766484B2 (en) Structure for cooling a lamp for a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having an integrated exhaust duct
US10462436B2 (en) Projector
JP3613010B2 (ja) 投写型表示装置
KR100577425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전
JP6507560B2 (ja) プロジェクター
KR20130033736A (ko) 프로젝터 및 그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US8388143B2 (en) Projection display device
US9158186B2 (en) Projection display device
US11770508B2 (en) Projector
US9599880B2 (en)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EP2613078B1 (en) Light source apparatus and cooling thereof
KR101497699B1 (ko) 프로젝션 장치 및 그의 전원공급유닛
JP2012008179A (ja) プロジェクター
JP2012048050A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5685692B2 (ja) 投射型液晶映像装置
JP4204500B2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2001092012A (ja) プロジェクタ装置
JP2013145259A (ja) プロジェクター
JP3743416B2 (ja) 投射型表示装置
US20100141900A1 (en) Light source device and projector
JP3772908B2 (ja) 投射型表示装置
JP5589442B2 (ja) プロジェクタ装置
JP3567743B2 (ja) 投写型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5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5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