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96858B1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858B1
KR101496858B1 KR20130113344A KR20130113344A KR101496858B1 KR 101496858 B1 KR101496858 B1 KR 101496858B1 KR 20130113344 A KR20130113344 A KR 20130113344A KR 20130113344 A KR20130113344 A KR 20130113344A KR 101496858 B1 KR101496858 B1 KR 101496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amp
laser
laser light
vehic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3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호성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3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8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85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6Laser light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30Semiconductor la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이저 광을 광원으로 사용하는 차량용 램프에서 레이저 광이 외부로 새어나가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주는 것이 방지되도록 레이저 광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 상기 발생된 레이저 광을 통해 소정의 광 조사 패턴을 가지는 광을 조사하는 램프 모듈, 상기 램프 모듈로 향하는 레이저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광 차단부, 상기 광 차단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차량 상태를 검출하는 차량 상태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차랑 상태를 기초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램프 모듈로 향하는 레이저 광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Automotive lamp}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이저 광을 광원으로 사용하는 차량용 램프에서 레이저 광이 외부로 새어나가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주는 것이 방지되도록 레이저 광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고,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최근에는 차량용 램프의 광원으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나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를 이용하고,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광을 형광체에 조사함으로써, 형광체의 여기로 인해 발생하는 광을 이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때, 레이저 다이오드는 높은 휘도와 강한 지향성으로 인해 광의 손실 없이 집광이 용이하기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에 비하여 고휘도이면서도 선명한 광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레이저 광은 그 강도가 일정 이상이 되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차량 사고 등이 발생한 경우 정해진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조사가 되는 경우 주변 보행자의 눈에 직접 조사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레이저 광을 광원으로 사용하는 차량용 램프에서 레이저 광이 외부로 새어나가 주변 보행자 등의 눈에 조사되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11-086432 (2011. 04. 2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레이저 광을 광원으로 사용하는 차량용 램프에서 레이저 광이 차량 사고 등과 같은 상황에서 차량 외부로 새어나가 주변 보행자 등의 눈에 직접 조사되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주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용이하게 레이저 광을 차단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 상기 발생된 레이저 광을 통해 소정의 광 조사 패턴을 가지는 광을 조사하는 램프 모듈, 상기 램프 모듈로 향하는 레이저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광 차단부, 상기 광 차단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차량 상태를 검출하는 차량 상태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차랑 상태를 기초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램프 모듈로 향하는 레이저 광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광의 진행 경로 상에 위치하여 차량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레이저 광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 사고 등과 같은 상황에서 차량 외부로 레이저 광이 새어나가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 상태에 따라 레이저 광을 차단하는 광 차단부를 레이저 광을 하나 이상의 반사시켜 램프 모듈로 안내하는 미러로 구성하여 별도의 구성 요소를 추가하지 않고도 레이저 광의 차단이 가능하기 때문에 차량용 램프의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개략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광 차단부의 동작이 도시된 개략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광 차단부가 도시된 개략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모듈의 구성이 도시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광 차단부의 동작이 도시된 개략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광원(100), 광 차단부(200), 램프 모듈(300), 구동부(400), 차량 상태 검출부(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100)은 여기 광원으로 사용되는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다이오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광원(100)은 다양한 색상 영역, 예를 들어 자외선 영역부터 청색 영역의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질화물 반도체가 주로 사용될 수 있다.
광원(100)은 다양한 색상 영역의 레이저 광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일 예로 광원(100)은 440nm~490nm의 파장 범위에 피크 파장을 가지는 청색 영역의 레이저 광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파장에 따라 다양한 색상 영역의 레이저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광원(100)으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 광의 색상 영역은 차량용 램프(1)에서 요구되는 광의 색상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램프(1)는 헤드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백업 램프, 턴 시그널 램프, 포그 램프, 주간 주행 램프 및 포지션 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램프에 요구되는 색상에 따라 발생되는 레이저 광의 색상 영역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램프(1)에서 요구되는 광의 색상에 따라 광원(100)으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 광이 색상 영역이 변경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용 램프(1)가 레이저 광에 의해 여기되어 원하는 색상 영역의 광을 발생시키는 형광체를 포함하는 경우 광원(100)으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 광의 색상 영역과 차량용 램프(1)에서 요구되는 광의 색상 영역은 서로 다를 수도 있으며, 형광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광 차단부(200)는 전술한 구동부(400)에 의해 구동되어 광원(100)으로부터 램프 모듈(300)로 향하는 레이저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구동부(4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도 1에서는 광 차단부(200)가 광원(100)으로부터 램프 모듈(300)로 향하는 레이저 광을 차단하고 있는 상태이나, 광 차단부(200)는 도 2와 같이 일방향으로 회동되거나 도 3과 같이 일방향으로 직선 이동되어 광원(100)으로부터의 레이저 광이 램프 모듈(300)을 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광 차단부(200)가 광원(100)으로부터 램프 모듈(300)로 향하는 레이저 광을 차단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도 2 및 도 3과 반대로 구동되어 레이저 광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전술한 도 1에서는 광 차단부(200)의 차단면(200a)이 레이저 광의 진행 방향과 수직하게 위치하여 레이저 광을 차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4와 같이 광 차단부(200)에 의해 차단된 광이 반사되어 광원(100)으로 직접 진행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광 차단부(200)의 차단면(200a)의 레이저 광의 진행 방향에 수직한 방향(도 4의 점선)과 소정 각도를 가지며 비스듬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광 차단부(200)의 차단면(200a)은 도 5와 같이, 광 차단부(200)에 의해 차단된 광이 산란될 수 있도록 산란 패턴, 예를 들어 요철 패턴 등과 같은 다양한 산란 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광 차단부(200)에 의해 차단된 광이 반사되어 직접 광원(100)으로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반사된 레이저 광으로 인하여 광원(100)의 온도가 증가되어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와 같은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 램프 모듈(300)은 도 6과 같이 형광체(301), 리플렉터(302) 및 렌즈(303)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6은 형광체(301)로서 레이저 광에 의해 여기되어 발생된 광을 일측에 형성된 반사층 등을 통해 반사시키는 반사형 형광체가 사용된 경우의 일 예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형광체(301)는 여기되어 발생된 광을 투과시키는 투과형 형광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도 6에서는 형광체(301)가 여기되어 발생된 광이 리플렉터(302)에 의해 반사되어 렌즈(303)로 입사되어 외부로 조사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형광체(301)가 여기되어 발생된 광은 직접 렌즈(303)로 입사될 수도 있다.
형광체(301)는 레이저 광에 의해 여기되어 원하는 색의 광을 발생시킬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램프(1)로 사용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백색광을 발생시키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용 램프(1)의 용도에 따라 형광체(301)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색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100)으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 광이 440nm~490nm의 파장 범위의 피크 파장을 가지는 청색 영역의 레이저 광인 경우 형광체(301)는 백색광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560nm~590nm의 파장 범위의 피크 파장을 가지는 황색 형광체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는 광원(100)으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 광이 청색 영역의 레이저 광이고, 형광체(301)로서 황색 형광체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형광체(301)는 전술한 차량용 램프(1)를 통해 조사하려는 광의 색상에 따라 청색, 녹색 및 적색 형광체 등과 같은 다양한 형광체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램프 모듈(300)은 도 7과 같이 입사면(300a)으로 입사된 광이 내부를 따라 진행하여 출사면(300b)으로 출사되는 라이트 가이드나 광학 섬유 등의 도광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는 램프 모듈(300)의 예로서, 전술한 도 6 및 7을 각각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전술한 도 6 및 7은 필요에 따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도 6에서는 광원(100)으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광이 램프 모듈(300)에 직접 도달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도 7의 도광체에 의해 안내되어 램프 모듈(300)에 도달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램프 모듈(300)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제약이 감소하여 설치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원(100)이 복수로 이루어진 경우 각 광원(100)으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광을 집광하여 램프 모듈(300)로 안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램프 모듈(300)의 구성은 전술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도 및 필요에 따라 램프 모듈(300)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구동부(400)는 광 차단부(200)를 일방향으로 회동시키거나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일 예로 구동부(400)는 모터나 솔레노이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400)가 모터로 이루어진 경우, 모터의 회전축은 광 차단부(200)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전술한 도 2와 같이 광 차단부(200)가 일정한 회동 범위 내에서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400)가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진 경우, 솔레노이드에 구비되어 직선 이동되는 로드가 광 차단부(200)의 일측과 연결되어 전술한 도 3과 같이 광 차단부(200)가 일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차량 상태 검출부(500)는 운전자의 조작, 차량 상태 또는 차량의 주변 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차량 상태 검출부(500)는 충돌 감지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및 조도 센서 등과 같은 센서들과 운전자의 조작(예를 들어, 변속이나 핸들 조작 등)을 감지하는 각종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차량 상태 검출부(500)의 검출 결과에 따라 구동부(400)를 제어하여 광 차단부(200)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광원(100)으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광이 램프 모듈(300)로 향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충돌 감지 센서에 의해 차량의 충돌이 검출된 경우와 같이 레이저 광이 정해진 방향이 아닌 주변 보행자의 눈에 조사되어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광원(100)으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광이 차량 외부로 조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광원(100)으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광이 램프 모듈(300)에 도달하는 것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제어부(600)는 광 차단부(200)가 전술한 도 2 및 3과 같은 상태에서 차량 충돌이 검출되어 광원(100)으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광의 차단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동부(400)를 제어하여 광 차단부(200)가 전술한 도 1과 같이 위치되도록 하여 광원(100)으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광이 램프 모듈(300)로 향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는 제어부(600)가 광 차단부(200)를 통해서만 광원(100)으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광을 차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어부(600)는 광원(100)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차단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 1실시예에서는 광 차단부(200)가 구동부(400)에 의해 구동되어 광원(100)으로부터 램프 모듈(300)로 향하는 레이저 광을 차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 차단부(200)는 광원(100)으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광을 하나 이상의 반사시켜 램프 모듈(300)로 안내하는 미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개략도로서, 도 8은 광 차단부(200)가 미러로 구성된 경우의 일 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광 차단부(200)가 미러로 구성되어 광원(100)으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광을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반사시켜 램프 모듈(300)로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는 램프 모듈(300)이 광 차단부(200)의 반사 방향에 따라 소정의 광 조사 패턴의 광을 조사하는 제 1램프 모듈(310) 및 제 2램프 모듈(320)을 포함하고, 제 1램프 모듈(310) 및 제 2램프 모듈(320)이 서로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제 1램프 모듈(310) 및 제 2램프 모듈(320)이 서로 다른 용도로 사용된다는 것은 전술한 차량용 램프(1)의 종류별로 서로 다른 광 조사 패턴을 가지는 광을 조사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제 1램프 모듈(310)은 주간 주행 램프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제 2램프 모듈(320)는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도 광 차단부(200)는 전술한 제 1실시예와 유사하게 광원(100)으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광을 차단하는 경우 전술한 도 1과 유사하게 위치할 수 있으며, 차단된 광이 반사되어 광원(100)을 직접 향하지 않도록 도 4와 같이 레이저 광의 진행 방향과 수직한 방향이 아닌 비스듬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도 전술한 제 1실시예와 유사하게 광 차단부(200)는 차량 상태 검출부(500)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제어부(600)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부(400)에 의해 구동되어 레이저 광을 반사시키거나 차단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광 차단부(200)에 의해 광원(100)으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광이 선택적으로 차단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원(100) 주변에 일정 범위를 벗어나 진행하는 레이저 광을 차단하는 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개략도로서, 전술한 도 1에 격벽 부재(700)가 추가된 경우의 일 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광원(100), 광 차단부(200), 램프 모듈(300), 구동부(400), 차량 상태 검출부(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광원(100) 주변에 구비되는 격벽 부재(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서 광원(100), 광 차단부(200), 램프 모듈(300), 구동부(400), 차량 상태 검출부(500) 및 제어부(600)의 역할은 전술한 제 1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격벽 부재(700)는 광원(100)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어 광원(100)으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광이 일정한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며 그 일단에는 광원(100)으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광이 출사되는 출사구(7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격벽 부재(700)의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격벽 부재(700)의 형상은 차량용 램프(1)의 레이 아웃이나 설계 상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광 차단부(200)는 출사구(710)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전술한 램프 모듈(300)로 향하는 레이저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어부(600)는 구동부(400)를 제어하여 광원(100)으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광이 램프 모듈(300)로 향하도록 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이때, 도 9에서 격벽 부재(700)는 내부에 광원(100)이 위치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내부 공간이 출사구(710)와 연결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광 차단부(200)는 출사구(710)의 단면적보다 크거나 같은 면적을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차량 상태 검출부(500)의 검출 결과, 광원(100)으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광이 차단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600)는 구동부(400)를 제어하여 광 차단부(200)를 회동시킴으로써 도 10과 같이 광 차단부(200)가 출사구(710)를 차폐시키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광 차단부(200)가 단일로 구성되어 광원(100)으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광을 반사시키거나 차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 차단부(200)는 복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광원(100), 광차단부(200), 램프 모듈(300), 구동부(400), 차량 상태 검출부(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구성 요소들의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서 광 차단부(200)는 제 1광차단부(210) 및 제 2광 차단부(220)와 같이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 1광 차단부(210)는 전술한 제 2실시예와 같이 미러로 구성되어 광원(100)으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광을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반사시켜 램프 모듈(300)을 향하도록 할 수 있고, 제 2광 차단부(220)는 광원(100)으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광의 차단이 필요한 경우 이를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구동부(400)는 제 1 및 제 2광차단부(210, 220)를 각각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서는 제 1광 차단부(210)를 통해 전술한 도 8과 유사하게 구동부(400)에 의해 구동되어 제 1 및 제 2램프 모듈(310, 320) 중 어느 하나로 레이저 광을 반사시키게 되며, 제 2광 차단부(220)는 전술한 도 11과 같이 광원(100)으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광이 제 1광 차단부(210)에 도달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차량 상태 검출부(500)의 검출 결과 레이저 광의 차단이 필요한 경우 구동되어 도 12와 같이 위치하여 레이저 광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서는 제 1광 차단부(210)가 레이저 광을 반사시키고, 제 2광 차단부(220)가 레이저 광을 차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레이저 광의 차단이 필요한 경우 제 2광 차단부(220) 뿐만 아니라, 제 1광 차단부(210)도 제 2광 차단부(220)와 함께 레이저 광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11 및 도 12에도 전술한 도 9 및 도 10과 같은 격벽 부재(7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레이저 광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제 2광 차단부(220)는 격벽 부재(700)의 출사구(710)의 단면적보다 크거나 같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광 차단부(200)를 통해 광원(100)으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광을 진행 경로 상에 위치하여 램프 모듈(300)로 향하는 레이저 광을 차단함으로써 레이저 광이 외부로 누광되어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 등에게 피해를 주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광 차단부(200)를 미러로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용도의 광 조사 패턴을 가지는 램프 모듈(300)에 광원(100)의 공용이 가능하여 구성이 간소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광원
200: 광 차단부
300: 램프 모듈
400: 구동부
500: 차량 상태 검출부
600: 제어부
700: 격벽 부재

Claims (12)

  1.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
    상기 발생된 레이저 광을 통해 소정의 광 조사 패턴을 가지는 광을 조사하는 램프 모듈;
    상기 램프 모듈로 향하는 레이저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광 차단부;
    상기 광 차단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차량 상태를 검출하는 차량 상태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차랑 상태를 기초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램프 모듈로 향하는 레이저 광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광 차단부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광 차단부를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차량용 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광 차단부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광 차단부를 일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차량용 램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상태 검출부는,
    충돌 감지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및 조도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차단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광을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미러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차단부는,
    상기 발생된 레이저 광을 차단하는 면이 상기 레이저 광의 진행 방향에 수직한 방향과 소정 각도로 가지며 비스듬하게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차단부는,
    상기 발생된 레이저 광을 차단하는 면에 상기 레이저 광을 산란시키는 패턴이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8.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광원이 배치되는 격벽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격벽 부재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광이 출사되는 출사구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차단부는,
    상기 출사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차단부는,
    상기 출사구의 단면적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차단부는,
    상기 발생된 레이저 광을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 1광 차단부; 및
    상기 제 1광 차단부로 향하는 레이저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 2광 차단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광 차단부는,
    상기 램프 모듈로 향하는 레이저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량용 램프.
KR20130113344A 2013-09-24 2013-09-24 차량용 램프 Active KR101496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3344A KR101496858B1 (ko) 2013-09-24 2013-09-24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3344A KR101496858B1 (ko) 2013-09-24 2013-09-24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6858B1 true KR101496858B1 (ko) 2015-02-27

Family

ID=52594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3344A Active KR101496858B1 (ko) 2013-09-24 2013-09-24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8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9343A (ko) * 2010-08-24 2012-03-06 손미숙 자동차 재난 비상등
JP2012204072A (ja) 2011-03-24 2012-10-22 Sharp Corp 発光装置、照明装置および車両用前照灯
KR20120136961A (ko) * 2011-06-10 2012-12-20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 및 광원제어방법
JP2013016277A (ja) 2011-06-30 2013-01-24 Sharp Corp レーザ光利用装置および車両用前照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9343A (ko) * 2010-08-24 2012-03-06 손미숙 자동차 재난 비상등
JP2012204072A (ja) 2011-03-24 2012-10-22 Sharp Corp 発光装置、照明装置および車両用前照灯
KR20120136961A (ko) * 2011-06-10 2012-12-20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 및 광원제어방법
JP2013016277A (ja) 2011-06-30 2013-01-24 Sharp Corp レーザ光利用装置および車両用前照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833B1 (ko) 차량용 램프의 전류 제어 장치
JP6857490B2 (ja) 車両用前照灯
KR20180043038A (ko) 매트릭스 sbl 광학계를 갖는 헤드램프
KR20150131787A (ko) 차량용 램프
KR102389134B1 (ko) 차량용 램프 장치
KR20200072808A (ko) 차량용 램프
KR20170112268A (ko) 차량용 램프
KR102036747B1 (ko) 차량용 램프
KR20180061928A (ko) 차량용 램프
KR101937977B1 (ko) 차량용 램프
KR20160112429A (ko) 차량용 램프
KR20190081726A (ko) 차량용 램프
JP5513915B2 (ja) 車輌用前照灯
KR101496858B1 (ko) 차량용 램프
KR101461565B1 (ko) 차량용 램프
KR101489208B1 (ko) 차량용 램프
KR101744624B1 (ko) 차량용 램프
KR101707983B1 (ko) 차량용 램프
KR20160065558A (ko) 차량용 램프
KR20230095228A (ko) 차량용 램프
KR20160009377A (ko) 차량용 램프
KR101987295B1 (ko) 차량용 램프
KR102446512B1 (ko) 차량용 램프
KR20190006311A (ko) 차량용 램프 장치
KR20180034140A (ko) 차량용 시그널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