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96286B1 - 잠금장치가 구비되고 밀거나 당기는 문 개폐장치, 그 문 손잡이 및 문 - Google Patents

잠금장치가 구비되고 밀거나 당기는 문 개폐장치, 그 문 손잡이 및 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286B1
KR101496286B1 KR1020130051297A KR20130051297A KR101496286B1 KR 101496286 B1 KR101496286 B1 KR 101496286B1 KR 1020130051297 A KR1020130051297 A KR 1020130051297A KR 20130051297 A KR20130051297 A KR 20130051297A KR 101496286 B1 KR101496286 B1 KR 101496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drive shaft
door
house
latc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1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2159A (ko
Inventor
하영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밀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밀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밀다
Priority to KR1020130051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286B1/ko
Publication of KR20140132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28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8Sliding handles, e.g. push but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1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 E05B13/105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the handle being a pushbutt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 개폐장치와 그 문 손잡이 및 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문 손잡이를 잡거나 움켜쥐고 힘을 주어 돌리는 동시에 문을 밀거나 당겨야 하는 문을 열기 위한 기존의 4step 동작을 간소화하여, 실내측 또는 실외측에서 단순히 밀거나 당기는 1step 동작만으로 문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잠금장치까지 구비되는 문 개폐장치 및 그 문 손잡이, 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래치의 횡방향 운동의 구동을 제공하는 가이드레일(12)을 구비하고, 종방향으로 운동하도록 구성되는 구동축(10); 구동축(10)의 종방향 운동시 복귀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스스프링(20); 하우스스프링(20)의 복귀력을 구동축(10)에 전달하기 위한 스프링커버(22); 구동축(10)의 종방향 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일(12)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축(10)의 횡방향으로 운동하며 상기 래치를 작동시키는 래치구동부(30); 및 하우스스프링(20)의 직선운동은 불허하고 가압은 허용하도록 하는 고정판;을 제공한다.
이렇게 구성되는 문 개폐장치(1)는 문의 손잡이를 돌리지 않고, 밀거나 당기는 단순한 동작으로 문을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잠금장치가 구비되고 밀거나 당기는 문 개폐장치, 그 문 손잡이 및 문{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by push or pull on the handle, Door Handle and Door Thereof}
본 발명은 문 개폐장치, 그 문 손잡이 및 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사용자가 문 손잡이를 잡고 돌린 후 문을 밀거나 당겨야 문이 개방되던 방식에서 벗어나, 실내측 또는 실외측에서 사용자가 문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1step 동작만으로 문을 쉽게 개방할 수 있는 방식을 취하는 것은 물론, 잠금장치까지 구비되는 문 개폐장치 및 그 문 손잡이, 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문 개폐장치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한쪽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가 문의 양측에 설치되고,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되는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문 개폐장치를 작동시켜 문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문 개폐장치는 실내측 손잡이의 끝부분 중앙에 실외측 손잡이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문 잠금버튼이 설치되어 실외측에서 실내측으로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문잠금 버튼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실내측 손잡이를 일측으로 회전시키거나, 실외측 손잡이 부분에 설치된 열쇠뭉치에 열쇠를 삽입, 회전시켜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문 개폐장치는 대부분 일 방향으로 회전 조작에 의해서만 문을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손잡이를 잡고(1단계) 손잡이에 힘을 가한 후(2단계), 손잡이를 돌린 상태에서(3단계) 문을 여는(4단계) 4step의 동작으로 문을 열어야만 했다. 이 때문에 손의 사용이 불편한 사람과 손의 사용이 어려운 상황에서 문의 개폐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손의 사용이 불편한 사람은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는 사용자, 어린이, 환자 또는 장애인을 예로 들 수 있고, 손의 사용이 어려운 상황은 화재 발생 시 실내에 있던 사람이 철로 구성된 도어 록이 가열됨으로 인해 손으로 도어 록을 잡을 수 없어 문을 열지 못해 인명이 상실되는 것 같은 긴급한 상황을 예로 들 수 있다.
일본 특개 2010-159613에서는 푸쉬-풀 도어록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려 했으나, 체결기구의 이용이 너무 많고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고장의 위험이 있고 설치가 어려운 점, 잠금장치를 설치하지 못하는 점, 손잡이를 쥐어야 하는 점, 양 방향에서 사용치 못하고 일 방향으로만 작동하는 점, 문 작동의 정확성이 유지가 어려운 점 등의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이에 따라 실내측이나 실외측에서 문 손잡이를 잡거나 움켜쥔 후 문을 당기거나 밀어서 개폐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잠금장치를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단순히 밀거나 당기는 1step 동작만으로 문을 개폐할 수 있는 장치로서 단순하고 효율적으로 구성된 문 개폐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PJ 2010-159613 A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문 손잡이를 잡거나 움켜쥐어서 돌린 후 밀거나 당겨야만 문을 개폐할 수 있었던 것을, 실내 측이나 실외 측 가리지 않고 어느 곳에서나 단순히 밀거나 당기는 1step 동작만으로 문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으면서 잠금장치까지 설치할 수 있는 문 개폐장치 및 그 문 손잡이, 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문(3)의 전후면 일측이나 내부에 설치되고, 래치(7)의 왕복으로 문(3)의 개폐 가부가 결정되는 문 개폐장치(1)에 있어서, 중단 일측에 래치(7)의 횡방향 운동의 구동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12)을 구비하고, 종방향 양측 종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며, 종방향으로 운동하도록 구성되는 구동축(10); 구동축(10)의 내부에 구비된 공간에 배치되고, 구동축(10)의 종방향을 탄성방향으로 하여 구동축(10)의 종방향 운동시 구동축(10)에 복귀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스스프링(20); 하우스스프링(20)의 적어도 일단에 구비되고, 일측에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날개(220)를 구비하여 상기 구동축(10)의 종방향 운동시 하우스스프링(20)의 일단을 가압하고, 구동축(10)에 하우스스프링(20)의 복귀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커버(22); 일측이 가이드레일에 안착되고, 구동축(10)의 종방향 운동에 따라 가이드레일(12)에 대응하여 구동축(10)의 횡방향으로 운동하며 래치(7)를 작동시키는 래치구동부(30); 및 구동축(10)이 관통되도록 구동축(10)의 종단면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포함하고, 하우스스프링(20)의 적어도 일측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하우스스프링(20)의 직선운동은 불허하고 하우스스프링(20)의 압축은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문 개폐장치를 제공하여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하우스스프링(20)과 스프링커버(22)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커버날개(220)가 삽입되며, 스프링커버(22)가 구동축(10)의 종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경로를 부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홀(260)을 형성하는 스프링하우스(26); 및 구동축(10)의 중단 일측에 형성되고, 가이드레일(12)의 폭과 대응되도록 구동축(10)의 종방향으로 직선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커버날개(220)가 삽입되어 구동축(10)에 하우스스프링(20)의 복귀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제어부(14);를 더 포함하며 스프링하우스(26)는 구동축(10) 내에 위치고정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구동축(10)의 종방향 중심선을 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열쇠뭉치와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커버(22)를 관통하여 스프링커버(22)의 회전축이 되도록 구성되는 연결대; 연결대가 관통하고, 연결대와 스프링커버(22)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스프링커버(22)의 중심에 형성되는 연결대홀(24); 및 개폐제어부(14)의 적어도 일단에 구성되고, 구동축(10)의 횡방향으로 커버날개(220)가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구동축(10)의 종방향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록킹부(16);를 더 포함하고, 스프링하우스(26)는 구동축(10)의 종방향 중심선을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하우스(26)를 구동축(10) 내면과 소정거리를 이격시키면서 스프링하우스(26)가 회전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고정판의 일측에 스프링하우스 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스프링하우스(26)의 내곽 또는 외곽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래치구동부(30)는 구동축(10)의 중단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일단에 가이드레일(12)에 안착되는 베어링부(50)를 더 구비하고, 가이드레일(12)은 구동축(10)의 중단에 돌출되어 호선형으로 구성되며, 스프링하우스(26)의 중단 일측에 형성되는 크기조절홈(2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축(10)이 관통되도록 구동축(10)의 종단면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관통홀(46) 및 래치구동부(30)의 왕복운동을 허용하도록 래치구동홈(42)를 구비하며, 래치구동부(30), 가이드레일(12) 또는 스프링하우스(26)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하우징(40)의 일면이 개방되고, 타면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날개홀(44)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40); 및 하우징(40)의 개방된 일면에 결합되고, 밑면에 구동축(10)이 관통되는 베이스관통홀(62)이 형성되며, 일측면에 하우징(40) 내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고정판(64)을 구비하고, 가이드고정판(64)의 일단에 구비되어 고정날개홀(44)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날개(66)가 형성되는 베이스판(60);을 더 포함하고, 고정판은 밑면에 구동축(10)이 관통되는 외부관통홀(72)이 형성되고, 베이스관통홀(62)과 외부관통홀(72)이 대응되도록 베이스판(60)의 밑면과 밀착되며, 일측면에 하우징(40) 내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가이드(76)를 구비하고, 스프링하우스(26) 측으로 돌출되어 스프링하우스(26)의 내면 또는 외면에 밀착되는 외부돌기(74)가 형성되는 외부고정판(70); 및 밑면에 구동축(10)이 관통되는 내부관통홀(82)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하우징(40) 내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가이드(86)를 구비하며, 스프링하우스(26) 측으로 돌출되어 스프링하우스(26)의 내면 또는 외면에 밀착되는 내부돌기(84)가 형성되는 내부고정판(8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고정판(70) 또는 내부고정판(80)의 일측에 하우징(40)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래치스프링지지대(78); 래치구동부(30)의 일측에 구동축(10)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구성되며, 가이드레일(12)에 안착되고, 래치구동부(30)의 양측에 소정길이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베어링부(50); 및 일측이 베어링부(50)의 돌출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래치스프링지지대(78)에 연결되어 래치구동부(30)에 복귀력을 부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래치스프링(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고정판(64)의 일측 중단에 구비되고, 하우징(40) 내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판지지부(65); 및 내부고정판(80) 또는 외부고정판(70)의 일측에 고정판지지부(65)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지지홈(88);을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내부가이드(86)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가이드(76)가 서로 암수결합하여 내부고정판(80)과 외부고정판(70)이 서로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래치구동부(30)의 일측에 구동축(10)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구성되며, 가이드레일(12)에 안착되고, 래치구동부(30)의 양측에 소정길이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베어링부(50); 및 일측이 베어링부(50)의 돌출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고정판의 일측에 연결되어 래치구동부(30)에 복귀력을 부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래치스프링(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래치구동부(30)는 구동축(10)의 중단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일단에 가이드레일(12)에 안착되는 베어링부(50)를 더 구비하고, 가이드레일(12)은 구동축(10)의 중단에 돌출되어 호선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레일(12)의 중단에 형성되고, 베어링부(50)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정착홈(18);을 더 포함하고, 가이드레일(12)의 호선의 반지름은 가이드레일(12)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문 개폐장치(1)를 이용하는 문 손잡이를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문 개폐장치(1)를 이용한 문을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실내 측 또는 실외 측 어느 곳에서나 문의 손잡이를 잡거나 움켜쥐어 돌린 후 문을 밀거나 당기는 구분 동작이 필요없이, 밀거나 당기는 1step의 단순한 동작만으로 문을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화재로 인한 비상시 또는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는 사용자, 어린이, 환자 또는 장애자의 경우에도 손을 직접 사용하지 않고 신체의 일부만을 사용하여 문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그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가 용이하여 제조 단가를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손잡이를 회전시키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문 개폐장치 제품들처럼 원형 손잡이의 고정된 틀에서 벗어나 손잡이의 형상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문을 개폐할 때, 사용자의 손잡이 접촉면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국민 위생 증진에도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수개의 체결기구가 없이 구성되어 그 구조가 단순하므로 파손시 본 발명의 수리나 교체작업이 간단하고 신속한 효과가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문틀의 설치 여부와 상관없이 양방향에서 밀거나 당기는 단순 동작으로 문을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프링의 위치가 고정되므로 문 개폐장치의 반복된 작동에도 정확성이 유지가 되는 효과가 있다.
여덟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구성이 단순하여 잠금장치가 안정되는 효과가 있다.
아홉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푸쉬-풀(push-pull) 도어의 단점인 실외 측에서 밀면 실내 측에서는 당길 수만 있는 일방향 기능만 있어 양방향에서 사용할 수 없는 점을 극복하여 실내 측 및 실외 측에서 모두 밀거나 당기는 1step동작 만으로 문의 개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 개폐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하우스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판, 외부고정판 및 내부고정판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폐쇄모드의 투영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문개방모드의 투영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문개방모드의 투영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문 개폐 장치>
<문 개폐장치의 구성 및 연결관계>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 개폐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 개폐장치(1)는 구동축(10), 스프링하우스(26), 래치구동부(30), 하우징(40), 베이스판(60), 고정판으로 구성될 수 있고, 고정판은 외부고정판(70) 및 내부고정판(8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축(10)은 구동축(10)의 본체와 가이드레일(12), 개폐제어부(14), 록킹부(16) 및 정착홈(18)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축(10)의 본체는 상면과 길이방향 양측면이 개방된 형태의 알파벳 V자형 또는 U자형 횡단면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축(10)의 중단부 상면에는 가이드레일(12)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레일(12)은 구동축(10)의 상면에서 돌출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알파벳 V자형 또는 U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12)의 폭과 대응되도록 구동축(10)의 중단부 하면에는 개폐제어부(14)와 록킹부(16)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레일(12)의 중단부에는 정착홈(18)이 구성될 수 있다.
구동축(10)은 하우징(40), 베이스판(60), 외부고정판(70), 내부고정판(80)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며, 이로써 구동축(10)의 종방향 운동은 자유롭고 횡방향 운동은 고정되게 구성될 수 있다. 구동축(10)의 횡방향 운동이 고정되어 문 개폐장치(1)에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12)의 호선이 형성하는 각도는 중심축에서 가까울수록 둔각, 중심축에서 멀수록 예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문이 열릴때는 부드럽게 열리도록 하고, 문의 손잡이에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에는 구동축(10)이 신속하게 정위치로 돌아오게 하기 위함이다. 베어링부(50)는 베어링부(50)의 양단에 결합되는 래치스프링(36)에 의해 가이드레일(12)의 위에서 밀착하여 움직이게 된다. 이때 래치스프링(36)은 일단은 베어링부(50)와 결합되고 타단은 래치스프링지지대(78)와 결합하여 탄성지지 될 수 있다.
결국 가이드레일(12)은 구동축(10)의 종방향 운동을 래치구동부(30)의 횡방향 운동으로 자연스럽게 전환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정착홈(18)은 가이드레일(12)의 중심부에 구성될 수 있다. 베어링부(50)가 안착하게 되며 따라서 문의 폐쇄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가 문의 손잡이를 밀어서 개방하게 되면 구동축(10)이 일측으로 종방향 운동을 하게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구동축(10)은 하우스스프링(20)에 의해 종방향으로 단진동하게 되는데, 이때 정착홈(18)은 구동축(10)의 종방향 단진동 시, 진동횟수에 따라 진폭이 급격하게 감소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폐제어부(14)는 구동축(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스프링커버(22)의 커버날개(220) 중 긴날개(224)가 삽입될 수 있으며, 홈 또는 구멍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구동축(10)의 종방향으로 직선구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레일(12)의 폭 또는 커버홀의 너비만큼 구성될 수 있다. 결국 구동축(10)이 외력에 의해 밀리면 개폐제어부(14)의 일단에서 긴날개(224)를 가압하게 되고, 하우스스프링(20)에 외력을 전달하게 된다. 개폐제어부(14)는 양단부에 록킹부(16)를 구비할 수 있다.
록킹부(16)는 구동축(10)의 횡방향으로 직선구성되는 홈 또는 구멍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스프링커버(22)에 형성되는 연결대홀(24)이 열쇠뭉치에 의해 회동시 커버날개(220) 중 긴날개(224)가 록킹부(16)에 삽입되어 구동축(10)의 종방향으로 이동을 고정하게 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문의 손잡이에 외력을 가해도 구동축(10)이 밀리지 않는다. 이를 위하여 스프링하우스(26)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스프링하우스(26)의 회전 반경은 록킹부(16)에 의해 정해지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90도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하우스(26)는 구동축(10)에 복귀력을 부여하는 하우스스프링(20)의 하우징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하우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스스프링(20), 스프링커버(22)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고, 커버홀(260), 크기조절홈(262)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하우스(26)는 구동축(10)의 종방향 운동에도 불구하고 외부고정판(70) 및 내부고정판(80)에 의해 직선운동이 불허되는 반면 회전운동은 허용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직선운동이 불허되는 특징에 의하여 본 발명은 문(3)의 작동이 반복되어도 문 개폐장치(1)의 기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상기 회전운동이 허용되는 특징에 의하여 문 개폐장치(1)에 용이하게 잠금기능을 구비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하우스스프링(20)은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오일댐퍼와 같은 쇽옵쇼버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구동축(10)에 부여되는 복귀력의 구동이된다. 양측에 스프링커버(22)가 구비될 수 있다.
스프링커버(22)는 스프링하우스(26)의 횡단면에 대응되도록 구성되고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커버날개(220)를 구비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커버날개(220) 중 하나는 긴날개(224) 하나는 짧은날개(222)로 구성할 수 있다. 짧은날개(222)는 스프링커버(22)를 스프링하우스(26)의 내부에 밀착하게 하여 하우스스프링(2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긴날개(224)는 커버홀(260) 및 개폐제어부(14)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긴날개(224)는 구동축(10)에 가해지는 외력이 하우스스프링(20)에 전달되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스프링커버(22)는 하우스스프링(20)의 양측에 구비되어 하우스스프링(20)의 가압이 용이하도록 보조하고, 커버날개(220) 중 긴날개(224)가 스프링하우스(26)를 관통하여 구동축(10)까지 연결되어 있어서 구동축(10)에 작용하는 종방향 힘을 하우스스프링(20)까지 전달할 수 있게 해준다.
연결대홀(24)은 열쇠뭉치와 연결되는 연결대가 삽입되는 구멍으로서 하우스스프링(20)의 양단을 구성하는 스프링커버(22)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는 구멍이 아닌 홈으로 구성되어 연결대와 스프링커버(22)를 고정할 수 있다. 두개의 스프링커버(22)에 모두 연결대가 삽입되지 않으면 하우스스프링(20)에 회전토크가 전달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열쇠뭉치의 회전토크에 의해 연결대가 회전하고, 그 토크가 연결대홀(24)을 통해 스프링커버(22)에 전달되며, 스프링커버(22)의 긴날개(224)가 스프링하우스(26)의 커버홀(260)에 삽입되어 스프링하우스(26)와 일체로 횡방향 운동을 하게 되는 스프링커버(22)에 의해 스프링하우스(26) 전체가 열쇠뭉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결국 긴날개(224)가 개폐제어부(14)에서 벗어나 록킹부(16)에 안착하게 되어 구동축(10)의 종방향 직선운동이 고정되게 된다.
결국 문의 개방을 열쇠뭉치를 이용해 잠그기 위해서는 구동축(10)에 외력이 제거된 상태, 즉 구동축(10)의 횡방향 중심선이 문 개폐장치(1)의 횡방향 중심선과 일치하는 상태, 다시 말해 베어링부(50)가 정착홈(18)에 안착된 상태에 위치해야한다. 이처럼 직선운동이 고정되는 스프링하우스(26)에 의한 잠금장치는 그 위치가 고정되고 그 방식이 단순하여 반복사용에도 정확성과 안정성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커버홀(260)은 긴날개(224)가 스프링하우스(26)를 관통하여 구동축(10)까지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멍으로서 구동축(10)의 횡방향 직선구성되어 스프링커버(22)와 스프링하우스(26)가 일체로 횡방향 운동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버홀(260) 너비는 가이드레일(12)의 폭, 개폐제어부(14)의 너비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크기조절홈(262)은 문 개폐장치의 폐쇄모드에서 래치구동부(30)에 구비된 베어링부(50)가 하우스스프링(20)에 근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문 개폐장치(1)의 크기를 작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는 문 개폐장치(1)의 국제표준규격인 직경 52~60mm를 만족시키기 위해서이다.
스프링하우스(26)는 구동축(10) 내에서 직선 운동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외부고정판(70) 및 내부고정판(80)에 의해 종방향 운동이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축(10)의 종방향 운동에 따라 일측에 있는 스프링커버(22)의 커버날개(220) 중 긴날개(224)가 가압되고, 이에 따라 내부에 구비된 하우스스프링(20)이 압축되어 구동축(10)에 복귀력을 부여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 개폐장치(1)는 스프링하우스(26)의 직선 운동이 고정되어 있는 점에서 문 개폐장치(1)의 안정감이 부여된다. 스프링하우스(26)에 절개선을 형성하여 하우스스프링(20)과 스프링커버(22)의 조립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래치구동부(30)는 래치구동부(30)의 U자형 본체와 베어링부(50)를 삽입하는 베어링홀(34), 래치를 설치하는 래치거치홈(32) 및 래치구동부에 복귀력을 부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래치스프링(36)으로 구성된다. 베어링부(50)가 가이드레일(12) 위에 구성되고, 구동축(10)의 종방향 직선운동에 의해 래치구동부(30)가 횡방향 운동을 하게 된다. 결국 래치에 구동력을 부여하게 되어 문의 개폐가 결정된다.
래치스프링(36)은 래치구동부(30)의 양측에 2개가 같은 탄성계수를 가지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어링부(50)는 래치구동부(30)에서 소정길이 돌출되도록 삽입될 수 있는데, 래치스프링(36)의 일단은 베어링부(50)의 돌출부와 연결될 수 있다. 래치스프링(36)의 타단은 후에 언급할 외부고정판(70), 내부고정판(80), 베이스판(60) 또는 하우징(40)에 형성될 수 있는 래치스프링지지대(78)와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스프링 지지부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구성상의 장점이 있게된다.
래치구동부(30)는 외부고정판(70), 내부고정판(80) 또는 하우징(40)의 래치구동홈(42)에 의해 구동축(10)의 길이방향으로 래치구동부(30)가 운동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문에 구동축(10)의 종방향 운동이 래치구동부(30)의 횡방향 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이다.
하우징(40)은 구동축(10), 래치구동부(30), 스프링하우스(26), 외부고정판(70) 또는 내부고정판(80) 등의 문 개폐장치(1)의 내부구조를 감싸며 보호하는 역할과 동시에 문에 문 개폐장치(1)를 결합하기 위한 역할을 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40)은 하우징관통홀(46), 고정날개홀(44), 래치구동홈(42)으로 구성되고, 문 개폐장치(1)의 국제표준규격인 직경 52~60mm를 만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래치구동홈(42)은 래치구동부(30)의 용이한 횡방향 운동을 위하여 하우징(40)에 구성되는 홈이다. 또한, 래치구동부(30)와 래치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서 존재할 수 있다.
고정날개홀(44)은 베이스판(60)의 일구성인 고정날개(66)가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날개(66)가 고정날개홀(44)에 삽입되고 90도로 꺾어지거나 90도 회동하여서 베이스판(60)과 하우징(40)을 결합할 수 있다.
하우징관통홀(46)은 구동축(10)이 관통되어 구동축(10)의 종방향 운동을 허용하고 횡방향 운동을 불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구동축(10)의 횡단면과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판, 외부고정판 및 내부고정판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판(60), 외부고정판(70) 및 내부고정판(80)은 서로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판, 구동축(10)이 관통하기 위한 홀, 스프링하우스(20)를 지지하기 위한 돌기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판(60)은 밑면, 가이드고정판(64), 베이스관통홀(62), 고정판지지부(65), 고정날개(66), 외부날개홈(68), 내부날개홈(69)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밑면은 문 개폐장치(1)의 국제표준규격인 직경 52~60mm의 원 안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고정판(64)은 종방향으로 돌출되어 내부가이드(86), 외부가이드(76)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격벽이다. 베이스관통홀(62)은 구동축(10)의 횡단면과 대응되도록 구성된 구멍으로 구동축(10)이 관통되어 구동축(10)의 종방향 운동을 허용하고, 구동축(10)의 횡방향 운동을 불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판지지부(65)는 가이드고정판(64)의 중단에 미세하게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외부고정판(70) 또는 내부고정판(80)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고정날개(66)는 하우징(40)의 고정날개홀(44)에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 후 고정날개(66)를 꺾거나 회전시켜서 하우징(40)과 베이스판(60)을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부날개홈(68) 및 내부날개홈(69)은 각각 외부날개(79)와 내부날개(89)를 삽입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판은 외부고정판(70)과 내부고정판(8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판은 구동축(10)의 종방향 운동만을 허용하기 위하여 구동축(10)의 종단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고정판은 하우스스프링(20) 자체나 스프링하우스(26)의 직선운동을 불허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돌기는 하우스스프링(20)이나 스프링하우스(26)의 적어도 일단에 결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하우스스프링(20)이나 스프링하우스(26)의 종단부 외면이나 내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판은 외부고정판(70)과 내부고정판(80)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관통홀은 각각 외부관통홀(72)과 내부관통홀(82)에 대응될 수 있고, 돌기는 각각 외부돌기(74)와 내부돌기(84)에 대응될 수 있다.
외부고정판(70)은 밑면, 외부관통홀(72), 외부돌기(74), 외부가이드(76), 래치스프링지지대(78), 외부날개(79)를 구비할 수 있다. 밑면은 문 개폐장치(1)의 국제표준규격인 직경 52~60mm의 원 안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판(60)과 밀착구성될 수 있다. 외부관통홀(72)은 베이스관통홀(62)과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구동축(10)의 횡단면과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즉 U자형의 구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고정판(70)은 내부고정판(80)과 함께 래치구동부(30)의 구동축(10) 길이방향으로의 운동을 불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부돌기(74)는 내부돌기(84)와 함께 스프링하우스(26)를 고정시켜 구동축(10) 내에서 스프링하우스(26)의 종방향 운동을 고정하고, 스프링하우스(26)와 구동축(10) 사이를 소정거리 이격시키면서 스프링하우스(26)가 회전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하우스(26)의 내곽 또는 외곽과 밀착되도록 돌출되어 구성될 수 있다.
외부가이드(76)는 가이드고정판(64)에 지지되고, 내부가이드(86)와 서로 암수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외부고정판(70) 및 내부고정판(80)을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래치스프링지지대(78)를 일단에 형성할 수 있다. 래치스프링지지대(78)는 래치구동부(30)의 일측에 돌출되는 베어링부(50)와 함께 래치스프링(36)을 탄성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별도의 구성없이 외부고정판(70)에 래치스프링지지대(78)를 형성하여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외부날개(79)는 문과 체결되어 고정되는 체결홀을 별도로 구비할 수 있고, 베이스판(60)의 외부날개홈(68)에 결착되어 문와 베이스판(60) 및 외부고정판(70)을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부고정판(80)은 내부관통홀(82), 내부돌기(84), 내부가이드(86), 지지홈(88), 내부날개(89)를 구비할 수 있다. 내부관통홀(82)은 외부관통홀(72)과 대응되도록 구성되며, 구동축(10)의 횡단면과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즉 U자형의 구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내부돌기(84)는 외부돌기(74)와 함께 스프링하우스(26)를 고정시켜 구동축(10) 내에서 스프링하우스(26)의 직선 운동을 고정하고, 스프링하우스(26)와 구동축(10) 사이를 소정거리 이격시키면서 스프링하우스(26)가 회전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하우스(26)의 내곽 또는 외곽과 밀착되도록 돌출되어 구성될 수 있다.
내부가이드(86)는 가이드고정판(64)에 지지되고, 외부가이드(76)와 서로 암수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외부고정판(70) 및 내부고정판(80)을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일단에 지지홈(88)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홈(88)은 베이스판(60)의 가이드고정판(64)의 중단에 돌출형성되는 고정판지지부(65)와 아귀가 맞도록 결합될 수 있다. 내부날개(89)는 베이스판(60)의 내부날개홈(69)에 결착되어 베이스판(60)과 내부고정판(80)을 고정 또는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문 개폐장치의 작동관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폐쇄모드의 투영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문개방모드의 투영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문개방모드의 투영평면도이다. 도 6,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의 위치에 따라 문폐쇄모드, 제1문개방모드 및 제2문개방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문폐쇄모드는 래치(7)가 문(3)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서, 구동축(1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를 의미한다. 구동축(10)은 외력이 없으면 종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하우스스프링(20)에 의해 문 개폐장치(1)의 중심에 가이드레일(12)의 중심이 위치하게 된다. 결국 래치스프링(36)에 의해 래치구동부(30)가 당겨지면서 가이드레일(12) 위에 안착된 베어링부(50)는 정착홈(18)에 정착하게 되고, 래치구동부(30)는 래치(7)를 문(3)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위치하여 안정되게 된다.
제1문개방모드는 래치(7)가 문(3) 내측으로 당겨진 상태로서, 사용자가 문 손잡이(5)을 밀면서 문(3)을 개방할 때를 의미한다. 구동축(10)은 외력에 의해 종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가이드레일(12)의 중심이 문 개폐장치(1)의 중심에서 벗어나게 된다. 결국 가이드레일(12) 위에 안착된 베어링부(50)는 정착홈(18)을 벗어나 가이드레일(12)을 타고 이동하게 되며, 래치구동부(30)는 래치(7)가 문(3) 내측으로 당겨지도록 위치하게 된다.
제2문개방모드도 래치(7)가 문(3) 내측으로 당겨진 상태로서, 사용자가 문 손잡이(5)을 당기면서 문(3)을 개방할 때를 의미한다. 래치(7)가 문(3) 내측으로 당겨지는 원리는 제1문개방모드와 동일하다.
제1문개방모드 및 제2문개방모드에서 구동축(10)에 작용하던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구동축(10)은 하우스스프링(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결국 가이드레일(12)의 중심이 문 개폐장치(1)의 중심과 일치하게 되고, 가이드레일(12) 위에 안착된 베어링부(50)는 정착홈(18)에 정착하게 되며, 래치구동부(30)는 래치(7)를 문(3)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위차하여 안정되게 되는 문폐쇄모드가 되는 것이다. 다만, 하우스스프링(20)의 단진동에 의해 소정의 진폭과 소정의 주기로 구동축(10)이 종방향 진동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정착홈(18)의 존재 때문에 그 진폭은 진동횟수에 따라 급격하게 감소하게 구성될 수 있다.
<문 손잡이>
도 6,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 손잡이는 전술한 문 개폐장치(1)의 구동축(10)의 길이방향 양측 종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문 손잡이(5)의 형태는 용도에 따라 자유자재로 변경될 수 있으며 도면의 평면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사용자가 문(3)을 밀고 당기는 것이 용이하도록 소정 크기의 정사각형, 기존의 원형, 레버형, 원판형 또는 사각형 등 어떠한 형태라도 본 발명의 목적달성에 무방하나, 사용자가 문을 밀거나 당기는 것이 용이하도록 소정 크기의 평면 형태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문>
도 6,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3)은 전술한 문 개폐장치(1)가 문(3)의 일측에 구비된다.
이상에서 언급한 각 구성의 결합은 상세한 설명이나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볼트와 너트 또는 리벳 등의 체결기구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의 재질은 문 개폐장치(1)의 용도에 알맞게 플라스틱, 원목 및 금속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구동축(10)의 종방향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구동축(10)과 각 구성의 마찰에 의한 마모 및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화플라스틱 또는 연성의 금속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문 개폐장치
3: 문
5: 문 손잡이
7: 래치
10: 구동축
12: 가이드레일
14: 개폐제어부
16: 록킹부
18: 정착홈
20: 하우스스프링
22: 스프링커버
24: 연결대홀
26: 스프링하우스
30: 래치구동부
32: 래치거치홈
34: 베어링홀
36: 래치스프링
40: 하우징
42: 래치구동홈
44: 고정날개홀
46: 하우징관통홀
50: 베어링부
60: 베이스판
62: 베이스관통홀
64: 가이드고정판
65: 고정판지지부
66: 고정날개
68: 외부날개홈
69: 내부날개홈
70: 외부고정판
72: 외부관통홀
74: 외부돌기
76: 외부가이드
78: 래치스프링지지대
79: 외부날개
80: 내부고정판
82: 내부관통홀
84: 내부돌기
86: 내부가이드
88: 지지홈
89: 내부날개
220: 커버날개
222: 짧은날개
224: 긴날개
260: 커버홀
262: 크기조절홈

Claims (13)

  1. 문(3)의 전후면 일측이나 내부에 설치되고, 래치(7)의 왕복으로 문(3)의 개폐 가부가 결정되는 문 개폐장치(1)에 있어서,
    중단 일측에 상기 래치(7)의 횡방향 운동의 구동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12)을 구비하고, 종방향 양측 종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며, 종방향으로 운동하도록 구성되는 구동축(10);
    상기 구동축(10)의 내부에 구비된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10)의 종방향을 탄성방향으로 하여 상기 구동축(10)의 종방향 운동시 상기 구동축(10)에 복귀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스스프링(20);
    상기 하우스스프링(20)의 적어도 일단에 구비되고, 일측에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날개(220)를 구비하여 상기 구동축(10)의 종방향 운동시 상기 하우스스프링(20)의 일단을 가압하고, 상기 구동축(10)에 상기 하우스스프링(20)의 복귀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커버(22);
    일측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착되고, 상기 구동축(10)의 종방향 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일(12)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축(10)의 횡방향으로 운동하며 상기 래치(7)를 작동시키는 래치구동부(30);
    상기 구동축(10)이 관통되도록 상기 구동축(10)의 종단면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스스프링(20)의 적어도 일측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상기 하우스스프링(20)의 직선운동은 불허하고 상기 하우스스프링(20)의 압축은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고정판;
    상기 하우스스프링(20)과 상기 스프링커버(22)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커버날개(220)가 삽입되며, 상기 스프링커버(22)가 상기 구동축(10)의 종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경로를 부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홀(260)이 형성되는 스프링하우스(26); 및
    상기 구동축(10)의 중단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2)의 폭과 대응되도록 상기 구동축(10)의 종방향으로 직선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커버날개(220)가 삽입되어 상기 구동축(10)에 상기 하우스스프링(20)의 복귀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개폐제어부(14);
    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하우스(26)는 상기 구동축(10) 내에 위치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프링하우스(26)는 상기 구동축(10)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2)은 상기 구동축(10)의 중단에 돌출되거나 함몰되어 호선형으로 구성되는 문 개폐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구동축(10)의 종방향 중심선을 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열쇠뭉치와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스프링커버(22)를 관통하여 상기 스프링커버(22)의 회전축이 되도록 구성되는 연결대;
    상기 연결대가 관통하고, 상기 연결대와 상기 스프링커버(22)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커버(22)의 중심에 형성되는 연결대홀(24); 및
    상기 개폐제어부(14)의 적어도 일단에 구성되고, 상기 구동축(10)의 횡방향으로 상기 커버날개(220)가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10)의 종방향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록킹부(16);
    를 더 포함하는 문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하우스(26)를 상기 구동축(10) 내면과 소정거리 이격시키면서 상기 스프링하우스(26)가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 하도록, 상기 고정판의 일측에 상기 스프링하우스(26) 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스프링하우스(26)의 내곽 또는 외곽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
    를 더 포함하는 문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구동부(30)는, 상기 구동축(10)의 중단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일단에 상기 가이드레일(12)에 안착되는 베어링부(5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하우스(26)의 중단 일측에 형성되는 크기조절홈(262);
    을 더 포함하는 문 개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밑면에 상기 구동축(10)이 관통되는 외부관통홀(72)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가이드(76)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하우스(26)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프링하우스(26)의 내면 또는 외면에 밀착되는 외부돌기(74)가 형성되는 외부고정판(70); 및
    밑면에 상기 구동축(10)이 관통되는 내부관통홀(82)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가이드(86)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하우스(26)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프링하우스(26)의 내면 또는 외면에 밀착되는 내부돌기(84)가 형성되는 내부고정판(80);
    을 포함하는 문 개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고정판(70) 또는 상기 내부고정판(80)의 일측에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래치스프링지지대(78);
    상기 래치구동부(30)의 일측에 상기 구동축(10)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12)에 안착되고, 상기 래치구동부(30)의 양측에 소정길이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베어링부(50); 및
    일측이 상기 베어링부(50)의 돌출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래치스프링지지대(78)에 연결되어 상기 래치구동부(30)에 복귀력을 부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래치스프링(36);
    을 더 포함하는 문 개폐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내부가이드(86)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외부가이드(76)가 상호 암수결합하여 상기 내부고정판(80)과 상기 외부고정판(70)이 서로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문 개폐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구동부(30)는 상기 구동축(10)의 중단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일단에 상기 가이드레일(12)에 안착되는 베어링부(50)를 더 구비하는 문 개폐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12)의 중단에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부(50)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정착홈(18);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레일(12)의 호선의 반지름은 상기 가이드레일(12)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구성되는 문 개폐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구동부(30)의 일측에 상기 구동축(10)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12)에 안착되고, 상기 래치구동부(30)의 양측에 소정길이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베어링부(50); 및
    일측이 상기 베어링부(50)의 돌출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판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래치구동부(30)에 복귀력을 부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래치스프링(36);
    을 더 포함하는 문 개폐장치.
  12. 제1항에 따른 문 개폐장치(1)를 이용하는 문 손잡이.
  13. 제1항에 따른 문 개폐장치(1)를 이용한 문.
KR1020130051297A 2013-05-07 2013-05-07 잠금장치가 구비되고 밀거나 당기는 문 개폐장치, 그 문 손잡이 및 문 Expired - Fee Related KR101496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297A KR101496286B1 (ko) 2013-05-07 2013-05-07 잠금장치가 구비되고 밀거나 당기는 문 개폐장치, 그 문 손잡이 및 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297A KR101496286B1 (ko) 2013-05-07 2013-05-07 잠금장치가 구비되고 밀거나 당기는 문 개폐장치, 그 문 손잡이 및 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159A KR20140132159A (ko) 2014-11-17
KR101496286B1 true KR101496286B1 (ko) 2015-03-02

Family

ID=52453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1297A Expired - Fee Related KR101496286B1 (ko) 2013-05-07 2013-05-07 잠금장치가 구비되고 밀거나 당기는 문 개폐장치, 그 문 손잡이 및 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2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838B1 (ko) * 2014-07-31 2016-07-26 주식회사 밀다 잠금장치가 구비되고 밀거나 당기거나 돌리는 문 개폐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2482Y1 (ko) * 1985-07-05 1988-07-13 손춘구 도어정
KR101176797B1 (ko) * 2012-03-22 2012-08-24 주식회사 터치하우스코리아 도어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손잡이
KR101188995B1 (ko) * 2009-10-01 2012-10-08 안재옥 도어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2482Y1 (ko) * 1985-07-05 1988-07-13 손춘구 도어정
KR101188995B1 (ko) * 2009-10-01 2012-10-08 안재옥 도어락
KR101176797B1 (ko) * 2012-03-22 2012-08-24 주식회사 터치하우스코리아 도어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159A (ko) 2014-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12562B1 (en) Safety door lock using door handle
JP6520379B2 (ja) 抵抗発生装置
MY144933A (en) Electromechanical lock device
KR101176797B1 (ko) 도어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손잡이
KR100938132B1 (ko) 도어클로저 어셈블리
TW201311991A (zh) 鉸鏈
KR101496286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되고 밀거나 당기는 문 개폐장치, 그 문 손잡이 및 문
TWI708884B (zh) 按拉式閂鎖裝置
KR101570829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되고, 밀거나 당기는 문 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
KR101666764B1 (ko) 푸시풀형 도어락
US20120285093A1 (en) Self-closing device for sliding doors
KR101732674B1 (ko) 푸쉬풀 동작으로 개방되는 도어락 장치
KR100456819B1 (ko) 천정점검구
KR101989864B1 (ko) 안전경첩
CN104005609A (zh) 中门锁卡紧装置
KR101162695B1 (ko) 양방향회전 및 고정이 가능한 슬라이딩창문 잠금장치
KR101496018B1 (ko) 도어레버
KR200487213Y1 (ko) 문 급속 닫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기구
KR101012489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KR101929683B1 (ko) 창호잠금장치용 키퍼
KR101794956B1 (ko) 미닫이도어의 이동안내구 고정장치
EP3714123B1 (en) Lifting device including a sledge system axle and a roof window comprising such a lifting device
KR101563624B1 (ko) 래치 조립체
JP4591264B2 (ja) ストッパー付窓ステー
KR101512327B1 (ko) 패닉 기능과 평면형 손잡이를 가지는 도어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7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411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2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