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152B1 - Anti-splash device - Google Patents
Anti-splash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96152B1 KR101496152B1 KR20140020739A KR20140020739A KR101496152B1 KR 101496152 B1 KR101496152 B1 KR 101496152B1 KR 20140020739 A KR20140020739 A KR 20140020739A KR 20140020739 A KR20140020739 A KR 20140020739A KR 101496152 B1 KR101496152 B1 KR 1014961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fluid
- case
- angle
- buff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3528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05 oil spil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08—Ventilation; Air-conditioning of hol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2—Anti-slosh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ure containers
- F16K1/304—Shut-off valves with additional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플래시(Splash) 방지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유체가 유입되는 제2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에서 유입된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제1 개구부를 구비하는 케이스부 및 상기 케이스부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개구부를 통과한 상기 유체의 유동 방향을 변경하는 제1 버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퍼부는 상기 제1 개구부를 향하여 돌출 되도록 형성된 제1 절곡부를 구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apparatus for preventing splash.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id container comprising a case portion having a second opening portion through which a fluid flows and a first open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fluid introduced from the second opening portion is discharged, And the first buffer portion has a first bent portion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first opening por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유조선의 오일 탱크의 요동을 방지하는 스플래시(Splash)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lash preventing apparatus for preventing oscillation of an oil tank of an oil tanker.
유조선의 카고 탱크(Cargo Tank)는 폭발 위험성을 가진 화물(액체)를 운반하는바, 필요이상의 압력이나 진공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고, 탱크 내부의 압력을 안전범위의 상태로 유지해야 한다. The cargo tank of the tanker carries the cargo (liquid) which is dangerous to the explosion, and it should prevent the pressure or the vacuum from occurring more than necessary and keep the pressure inside the tank in the safe range.
따라서 탱크는 압력 조절 밸브(High Velocity Pressure/Vacuum Valves)를 카고 오일 탱크의 상부에 설치한다. 즉, 탱크 내부의 압력이 필요이상으로 높을 경우에는 압력 조절 밸브의 압력조절부에 의해 밸브가 개방되어 탱크 내부의 압력을 낮춘다. 또한, 탱크 내부에 진공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압력조절 밸브의 진공조절부에 의해 밸브가 개방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오일 탱크를 보호한다.Therefore, the tank is equipped with High Velocity Pressure / Vacuum Valves at the top of the cargo oil tank. That is,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tank is higher than necessary, the valve is opened by the pressure regulating part of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to lower the pressure inside the tank. In addition, when a vacuum is generated inside the tank, the valve is opened by the vacuum control unit of the pressure control valve to suck outside air to protect the oil tank.
카고 탱크는 오일(Oil)의 로딩(Loading) 또는 (Unloading) 과정이나 유조선의 항해 중에 탱크 내부의 오일 슬로싱(Slosh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하여 탱크 내부에 유체의 유동으로 인한 슬로싱 힘(Sloshing Force)이 형성되어 일부의 영역에서 압력 조절 밸브의 작동압력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절 밸브는 탱크 내부의 전체 압력은 작동압력 이하이나 밸브가 개방될 수 있다. 밸브가 개방되면 탱크 내부의 유체는 요동으로 인해 외부로 배출 될수 있어서 오일 유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Cargo tanks may experience oil sloshing during loading or unloading of oil or during voyage of tanker. Thus, a sloshing force due to the flow of the fluid in the tank may be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operating pressure of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in some areas. At this time, the total pressure inside the tank is less than the operating pressure but the valve can be opened. When the valve is opened, the fluid inside the tank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due to rocking, which may cause an oil spill.
최근 친환경 선박, 에코(Eco) 선박 또는 그린(Green) 선박에 대한 수요자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또한 국제 해사 기구(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의 기름 유출 금지 및 휘발성 유기물 감소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탱크 내부의 오일의 요동을 해석하여 오일의 유출을 저감하기 위한 기술이 대두되고 있다.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demand from consumers for eco-friendly vessels, eco-friendly vessels or green vessels. In order to respond to the demand of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for oil spillage and the reduction of volatile organics, a technique for analyzing the fluctuation of the oil in the tank has been developed to reduce oil spillag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오일 탱크 내부의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고 오일 탱크 내부의 압력을 제어할수 있는 스플래시(Splash)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splash prevent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the leakage of fluid in the oil tank and controlling the pressure inside the oil tank.
본 발명의 일측면은 유체가 유입되는 제2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에서 유입된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제1 개구부를 구비하는 케이스부 및 상기 케이스부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개구부를 통과한 상기 유체의 유동 방향을 변경하는 제1 버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퍼부는 상기 제1 개구부를 향하여 돌출 되도록 형성된 제1 절곡부를 구비하는, 스플래시(Splash)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case portion having a second opening portion through which fluid is introduced and a first open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fluid introduced from the second opening portion is discharged; And a first buffer portion for changing a flow direction of the fluid, wherein the first buffer portion has a first bent portion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first opening portion.
또한, 상기 제1 버퍼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버퍼부를 통과한 상기 유체의 유동 방향을 변경하는 제2 버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uffer unit installed on the first buffer unit to change a flow direction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buffer unit.
또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제1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2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케이스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케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The case may include a first case formed with the first opening and a second case formed with the second opening, the second cas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ase.
또한, 상기 제1 절곡부는, 상기 제2 개구부를 향하여 제1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개구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각도는 둔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bent portion may include a first bent portion formed at a first angle toward the second opening and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opening, and the first angle may be formed at an obtuse angle.
또한, 상기 제1 버퍼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내벽과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고, 제2 개구부에서 유입된 유체가 통과하는 제1 벤트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buffer portion may include a first vent portion formed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inner wall of the case portion and through which the fluid introduced from the second opening passes.
또한, 상기 제2 버퍼부는, 상기 제1 버퍼부를 통과한 유체가 제1 개구부로 이동하는 제2 벤트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buffer unit may include a second vent unit in which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buffer unit moves to the first opening.
또한, 상기 제2 버퍼부는 상기 제2 개구부에서 상기 제1 개구부까지 높이의 2/3 이상 내지 4/5 이하의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buffer portion may be installed at a height of 2/3 to 4/5 of the height from the second opening to the first opening.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유체가 유입되는 제2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에서 유입된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제1 개구부를 구비하는 케이스부 및 상기 케이스부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개구부를 통과한 상기 유체의 유동 방향을 변경하는 제1 버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퍼부는, 상기 제2 개구부를 향하여 제1 각도를 가지도록 절곡된 제1 절곡부 및 상기 제1 개구부를 향하여 제2 각도를 가지도록 절곡된 제2 절곡부를 구비하는, 스플래시(Splash) 방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case portion having a second opening portion through which a fluid flows and a first open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fluid introduced from the second opening portion is discharged; Wherein the first buffer portion includes a first bent portion bent to have a first angle toward the second opening portion and a second bent portion bent toward the first opening portion toward a second angle, And a second bent portion bent so as to have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또한, 상기 제1 버퍼부는,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가 형성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와 대향하며, 제3 플레이트와 제4플레이트가 형성하는 제2 연결부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3 플레이트가 형성하는 제3 연결부 및 상기 제3 연결부와 대향하며,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4플레이트가 형성하는 제4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각도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의 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제 3 연결부와 상기 제4 연결부 사이의 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buffer portion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ortion formed by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 second connection portion formed by the third plate and the fourth plate,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being oppos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a fourth connecting portion formed by the second plate and the fourth plate, the fourth connecting portion being opposed to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and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formed by the third plate, And the second angle may be an angle between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and the fourth connection portion.
또한, 상기 제1 버퍼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버퍼부를 통과한 상기 유체의 유동 방향을 변경하는 제2 버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uffer unit installed on the first buffer unit to change a flow direction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buffer unit.
또한, 상기 제2 버퍼부는 상기 제2 개구부에서 상기 제1 개구부까지 높이의 2/3 이상 내지 4/5 이하의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buffer portion may be installed at a height of 2/3 to 4/5 of the height from the second opening to the first opening.
또한, 상기 제1 각도 및 상기 제2 각도는 둔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gle and the second angle may be formed at an obtuse ang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탱크 내부의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고 탱크 내부의 압력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탱크 내부의 유체의 유동 형태의 예측가능성을 높여서 오일 탱크의 저장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leakage of fluid inside the tank and control the pressure inside the tank.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redictability of the flow pattern of the fluid inside the tank, thereby facilitating the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the oil tank.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ffe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플래시(Splash) 방지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플래시(Splash) 방지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Ⅵ-Ⅵ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Ⅶ-Ⅶ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lash prev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i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i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lash prev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i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i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of FIG.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noted that the term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be inclusive in a manner similar to the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additions.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erms.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플래시(Splash) 방지 장치(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스플래시 방지 장치(100)는 케이스부(130), 제1 버퍼부(140) 및 제2 버퍼부(150)를 포함 할 수 있다. 케이스부(130)는 유체가 유입되는 제2 개구부(122)와 제2 개구부(122)에서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제1 개구부(112)를 구비한다. 제1 버퍼부(140)는 케이스부(13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제2 개구부(122)를 통과한 유체의 유동 방향을 변경한다. 제2 버퍼부(150)는 제1 버퍼부(1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1 버퍼부(140)를 통과한 유체의 유동 방향을 변경한다. 이하 상세하게 각 구성의 형상 및 동작을 설명한다.1 to 3, the splash
케이스부(130)는 오일탱크(미도시)의 파이프(미도시)와 연결되어 오일 탱크 내부의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의 일부를 형성한다. 케이스부(130)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에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케이스부(130)는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설치 및 수리가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케이스부(130)가 분리 및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케이스부(130)는 제1 케이스(110)와 제2 케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10)는 제1 바디부(111), 제1 개구부(112), 상부 커버(113), 제1 덕트(114), 상부 플렌지(115) 및 제1 플렌지(116)를 구비할 수 있다. The
제1 바디부(111) 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부(13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제1 바디부(111)의 내부 공간에 제1 버퍼부(140) 및 제2 버퍼부(150)를 설치 할 수 있다. The
상부 커버(113)는 제1 바디부(111)의 상부에 설치되고, 제1 개구부(112)를 포함한다. 상부 커버(113)는 케이스부(130)의 누설을 방지하고, 케이스부(130)를 통과한 유체가 제1 개구부(112)를 통과하도록 가이드한다.The
제1 덕트(114)는 제1 개구부(112)에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부 파이프(미도시)와 연결된다. 이때 상부 플렌지(115)의 홀(115a)을 통해서 상기 상부 파이프와 연결된다. 제1 덕트(114)는 상기 오일 탱크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면 일부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 하는 유로 역할을 할 수 있다.The
제2 케이스(120)는 제2 바디부(121), 제2 개구부(122), 하부 커버(123), 제2 덕트(124), 하부 플렌지(125) 및 제2 플렌지(126)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2 바디부(121), 하부커버(), 제2 덕트(124), 하부 플렌지(125) 및 제2 플렌지(126)는 구조 및 형상은 제1 케이스(110)의 각 부분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 또는 약술 하기로 한다.The
제2 개구부(122)는 상기 오일 탱크의 유체가 유입되는 역할을 한다. 제2 개구부(122)의 직경은 제1 개구부(112)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스플래시 방지 장치(10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제2 케이스(120)의 제2 플렌지(126)와 제1 케이스(110)의 제1 플렌지(116)가 결합하여 케이스부(130)를 형성한다. 상세하게 제1 플렌지(116)의 홀(116a)과 제2 플렌지의 홀(126a)을 일치하도록 정렬하고 결합부재(170)를 통해서 고정한다. 결합부재(170)는 특정한 소재 및 결합방법에 한정되지는 아니하고, 예로써 볼트와 너트, 리벳, 용접, 스크류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볼트와 너트로 제1 플렌지(116)와 제2 플렌지(126)를 결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제1 버퍼부(140)는 절곡된 플레이트 형상이나 복수개의 플레이트가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면서 결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버퍼부(140)는 제2 개구부(122)를 통과한 유체가 상부로 이동하지 않도록 유체의 유동 방향을 변경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버퍼부(140)는 제1 플레이트(141), 제2 플레이트(142), 제1 절곡부(143) 및 제1 벤트부(144)를 구비할 수 있다. The
제1 버퍼부는 제1 개구부(112)를 향하여 돌출 되도록 형성된 제1 절곡부(143)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제1 버퍼부(140)는 제2 개구부(122)를 향하여 제1 각도(α)를 가지는 제1 절곡부(14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절곡부(143)은 제2 개구부(122)의 중심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2 개구부(122)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이동방향을 효과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The first buffer portion may include a
상세하게 제1 플레이트(141)와 제2 플레이트(142)는 각 단이 연결되며, 제1 플레이트(141)와 제2 플레이트 사이의 각인 제1 각도(α)를 형성한다. 이때 제1 각도(α)는 90도 이상 내지 180도 이하의 각도를 가지는 둔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각도(α)는 100도 내지 150도 이하의 각도를 가지어 케이스부(130) 내부의 압력 강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제1 버퍼부(140)는 제1 각도(α) 사이의 영역에서 제1 절곡부(143)를 형성한다. 제1 절곡부(143)는 제2 개구부(122)를 통해서 제2 케이스(120) 내부로 유입된 유체와 부딪혀서 유체의 이동 방향을 변경한다. 즉 유입된 액체 유체의 유동을 제2 개구부(122)로 향하도록 가이드 하여 상기 오일탱크 외부로의 액체 유체의 누설을 방지한다.The
제1 버퍼부(140)는 제1 버퍼부(140)의 단부가 케이스부(130)의 내벽과 연결되어 고정된다. 이때, 제1 벤트부(144)가 케이스부(130)의 내벽과 제1 버퍼부(140) 사이에 형성된다. 제2 개구부(122)에서 유입된 고압의 기체는 제1 벤트부(144)를 통과하여 이동한다. 또한, 제1 절곡부(143)를 통해서 회송되지 않은 일부의 액체 유체가 제1 벤트부(144)를 통과하여 상부로 이동한다.In the
제1 벤트부(144)는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제1 벤트(144a)와 제2 벤트(144b)를 구비할 수 있다. The
제1 벤트(144a)는 제1 플레이트(141)의 단부 또는 제2 플레이트(142)의 단부에 장공 형태의 만곡부(145)가 형성된다. 만곡부(145)는 제1 벤트부(144)를 통과하는 유로 단면적의 크기를 크게 하여 유체를 상부로 쉽게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벤트(144a)는 제2 개구부(122)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바, 오일 탱크 내부의 압력 상승으로 인하여 탱크 내부 가스가 배출 될 경우 빠르게 탱크 내부의 가스가 제1 버퍼부(140)를 통과 할 수 있다.The
제2 벤트(144b)는 제1 플레이트(141)의 단부와 제2 플레이트(142)의 단부가 결합된 측면과 제2 케이스(120)의 내벽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벤트(144b)는 제1 플레이트(141)의 경사면과 제2 플레이트(142)의 경사면에 의해서 제1 개구부(112)를 향햐게 상부로 올라와 있다. 따라서 오일 탱크 내부의 압력 상승으로 인하여 탱크 내부 고압의 기체가 배출 될 경우 압력 강하의 최소화를 하여 기체 유체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제2 버퍼부(150)는 제1 버퍼부(140)의 상부에 케이스부(130)의 내벽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 버퍼부(150)는 제1 버퍼부(140)를 통과한 유체의 진행방향을 변경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세하게, 제2 버퍼부(150)는 제1 케이스(110)의 내벽을 따라 일주하도록 설치되고, 제1 버퍼부(140)의 상부에 위치하여 제1 벤트부(144)를 통과한 유체의 유동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The
제2 버퍼부(150)의 중심에는 제1 벤트부(144)를 통과한 고압의 가스가 제1 개구부(112)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하기 위해서 제2 벤트부(151)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벤트부(151)의 형상은 특정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각 또는 원형의 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스플래시 방지 장치(100)와 연결된 파이프(미도시)의 형상과 유사한 원형의 홀 형상을 지닌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
제2 버퍼부(150)의 설치 위치는 제2 개구부(122)에서 제1 개구부(112)까지 높이의 2/3 내지 4/5의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버퍼부(150)의 설치 위치는 제1 벤트부(144)를 통과한 액체 유체가 제2 버퍼부(150)에 의해서 유동이 변경되고, 제1 벤트부(144)를 통과한 기체 유체는 제2 벤트부(151)를 통과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유출될 수 있다.The
제2 벤트부(151)의 직경은 제1 개구부(112)의 직경 또는 제2 개구부(122)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2 개구부(122)를 통과하여 유입된 고압의 기체 유체를 빠르게 제1 개구부(112)를 통해 배출하도록 하여 케이스부(130) 내부 공간의 압력을 낮게 유지하기 위함이다. 즉, 제1 개구부(112)의 직경 또는 제2 개구부(12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용이하게 케이스부(130)의 내부공간에서 외부로 고압의 가스가 배출 될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스플래시 방지 장치(100)에 의해 오일 탱크 내부의 액체 유체 및 기체 유체의 유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flow of the liquid fluid and the gas fluid inside the oil tank by the
오일 탱크(미도시)에 저장된 액체 유체와 고압의 기체 유체는 파이프(미도시)에 연결된 제2 덕트(124)를 통해서 유입된다. 제2 덕트(124)를 통과 후, 제2 개구부(122)를 통과하여 액체 유체 및 고압의 기체 유체는 케이스부(13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다. The liquid fluid and the high-pressure gas fluid stored in the oil tank (not shown) flows through the
액체 유체는 점성을 가지고 기체보다 중량을 가지고 있어 유동속도는 기체 유체보다 느리다. 상기 액체 유체는 제1 버퍼부(140)의 제1 절곡부(143)에 부딪히고 경사진 제1 플레이트(141) 및 제2 플레이트(142)의 하부 경사면을 따라 제2 개구부(122)로 이동한다. 제2 개구부(122)로 이동한 상기 액체유체는 다시 제2 덕트(124)를 통해서 상기 오일탱크에 이동 후 저장 및 운반될 수 있다.Liquid fluids are viscous and have a weight greater than the gas, so the flow rate is slower than the gas fluid. The liquid fluid hits the
액체 유체의 일부는 제1 벤트부(144)를 통과하여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부로 이동하는 상기 유체의 일부는 제2 버퍼부(150)에 부딪힌 후 유동 방향을 변경하여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1 벤트부(144)를 통과하여 상부로 이동하는 유체는 유체의 진행방향에 제2 버퍼부(150)가 형성되어 있어 제2 버퍼부(150)에 부딪히고 방향이 변경된다. 이때, 제1 버퍼부(140)의 제1 플레이트(141) 또는 제2 플레이트(142)의 상부 경사면을 따라 쉽게 제1 벤트부(144) 이동할 수 있다. 제1 벤트부(144)로 이동한 액체유체는 제2 개구부(122)로 이동후, 제2 덕트(124)를 통해서 상기 오일탱크에 이동 후 저장 및 운반될 수 있다.A portion of the liquid fluid may pass upward through the
기체 유체는 고압을 형성하고, 중량이 작으므로 확산 및 유동 속도가 빠르다. 기체 유체는 고압에서 저압으로 이동하는바, 케이스부(130)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이동한다. 상세하게, 기체 유체는 제1 버퍼부(140)의 제1 절곡부(143)에 부딪히고, 제1 플레이트(141) 및 제2 플레이트(142)의 하부 경사면을 따라 이동한다. 기체 유체는 점성을 가지지 않고 고압으로 형성되는바, 제1 버퍼부(140)의 하부 경사면을 따라 이동한 후 제1 벤트부(144)를 통과하여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Gaseous fluids form high pressures and are low in weight and therefore have fast diffusion and flow rates. The gas fluid moves from the high pressure to the low pressure, and moves from the lower part of the
제1 벤트부(144)를 통과한 기체 유체는 제1 버퍼부(140)의 상부 경사면과 제2 버퍼부(150)의 사이의 공간을 이동한 후, 제2 벤트부(151)를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다. 제2 벤트부(151)를 통과한 기체 유체는 제1 개구부(112)를 통과하여 제1 덕트(114)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 될 수 있다. The gas fluid having passed through the
액체 유체는 제1 버퍼부(140) 및 제2 버퍼부(150)에 의해서 액체 유체의 유동 방향을 변경하여 외부로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유체의 유동 형태의 예측가능성을 높여서 액체 유체를 오일 탱크에 저장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기체 유체는 제1 버퍼부(140)의 경사면을 따라서 이동하여 기체 유체의 유동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버퍼부(150)의 제2 벤트부를 통해서 고압의 기체유체가 외부로 배출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하여 오일 탱크 내부(미도시) 및 스플래시 방지 장치(100)의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 할 수 있다.The gas fluid mov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플래시(Splash) 방지 장치(2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Ⅵ-Ⅵ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Ⅶ-Ⅶ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도 4 내지 도 7을 검토하면, 스플래시 방지 장치(200)는 케이스부(230), 제1 버퍼부(240) 및 제2 버퍼부(250)를 포함 할 수 있다. 다만, 스플래시 방지 장치(200)는 다른 부분은 원 실시예의 스플래시 방지 장치(100)와 동일하고, 다만 제1 버퍼부(240)의 구성요소가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그 설명이 없는 부분은 원 실시예의 스플래시 방지 장치(100)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4 to 7, the splash
제1 버퍼부(240)는 절곡된 플레이트 형상이나 복수개의 플레이트가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면서 결합한 형상을 가질수 있다. 제1 버퍼부(240)은 제2 개구부(222)를 통과한 유체가 상부로 이동하지 않도록 유체의 유동 방향을 변경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버퍼부(240)는 제1 플레이트(241), 제2 플레이트(242), 제3 플레이트(243), 제4 플레이트(244), 제1 절곡부(245), 제2 절곡부(246) 및 제1 벤트부(247)를 구비할 수 있다. The
제1 버퍼부(240)는 제2 개구부(222)를 향하여 제1 각도(α)를 가지는 제1 절곡부(245)를 구비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 플레이트(241)와 제2 플레이트(243)는 각 단이 연결되어 제1 연결부(a)를 형성하고, 제3 플레이트(243)와 제4 플레이트(244)는 각 단이 연결되어 제2 연결부(b)를 형성한다. 제1 버퍼부(140)는 제1 연결부(a)와 제2 연결부(b) 사이의 각인 제1 각도(α)를 형성한다. 또한, 이때 제1 각도(α)는 90도 이상 내지 180도 이하의 각도를 가지는 둔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각도(α)는 100도 내지 150도 이하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The
또한, 제1 버퍼부(140)는 제1 개구부(112)를 향하여 제2 각도(β) 가지는 제2 절곡부(246)를 구비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 플레이트(241)와 제3 플레이트(243)는 각 단이 연결되어 제3 연결부(c)를 형성하고, 제2 플레이트(242)와 제4 플레이트(244)는 각 단이 연결되어 제4 연결부(d)를 형성한다. 제1 버퍼부(140)는 제3 연결부(c)와 제4 연결부(d) 사이의 각인 제2 각도(β)를 형성한다. 또한, 이때 제2 각도(β)는 90도 이상 내지 180도 이하의 각도를 가지는 둔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2 각도(β)는 120도 내지 170도 이하의 각도를 가지어 케이스부(230) 내부의 압력 강하를 최소화 할 수 있다.The
제1 버퍼부(240)는 제1 버퍼부(240)의 단부가 케이스부(230)의 내벽과 연결되어 고정된다. 이때, 제1 벤트부(247)가 케이스부(230)의 내벽과 제1 버퍼부(240) 사이에 형성된다. 제2 개구부(222)에서 유입된 고압의 기체는 제1 벤트부(247)를 통과하여 이동한다. 또한, 제1 절곡부(245)를 통해서 회송하지 않은 일부의 액체 유체가 제1 벤트부(247)를 통과하여 이동한다.In the
제1 벤트부(247)는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제1 벤트(247a)와 제2 벤트(277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벤트(247a)는 제1 각도(α)를 형성하는 제1 연결부(a)의 단부 및 제2 연결부(b)의 단부에 장공 형태의 만곡부(248)를 가진다. 만곡부(248)는 제1 벤트(247a)를 통과하는 유로 단면적의 크기를 확장하여 유체를 상부로 쉽게 이동하게 할 수 있다. The
또한, 제2 벤트(247b)는 제2 각도(β)를 형성하는 제3 연결부(c)의 단부 및 제4 연결부(d)의 단부에 형성된다. 제2 벤트(247b)는 상부로 올라와 있으며 오일 탱크 내부의 압력 상승으로 인하여 탱크 내부 가스가 배출될 경우 압력 강하의 최소화를 위하여 상부로 경사를 주어 가스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제2 벤트(247b)는 오일탱크 내부의 압력 상승으로 인하여 가스가 배출되어야 할 경우 기체의 배출에 필요한 면적을 확보한다. 따라서 기체 유체는 제1 버퍼부(240)의 하부 경사부를 따라 이동하여 제2 벤트(247b)를 통해서 상승 기류를 형성하여 제1 개구부(212)를 통해서 기체 유체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The
스플래시 방지 장치(200)에 의해 오일 탱크 내부의 액체 유체 및 기체 유체의 유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flow of the liquid fluid and the gas fluid inside the oil tank by the
오일 탱크(미도시)에 저장된 액체 유체와 고압의 기체 유체는 파이프(미도시)에 연결된 제2 덕트(224)를 통해서 유입된다. 제2 덕트(224)를 통과 후, 제2 개구부(222)를 통과하여 액체 유체 및 고압의 기체 유체는 케이스부(23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다. The liquid fluid and the high-pressure gas fluid stored in the oil tank (not shown) flows through the
액체 유체는 점성을 가지고 기체보다 중량을 가지고 있어 유동속도는 기체 유체보다 느리다. 상기 액체 유체는 제1 버퍼부(240)의 제1 절곡부(245)에 부딪히고 경사진 제1 플레이트(241) 내지 제4 플레이트(244)의 경사면을 따라 제2 개구부(222)로 이동한다. 제2 개구부(222)로 이동한 상기 액체유체는 다시 제2 덕트(224)를 통해서 상기 오일탱크에 이동 후 저장 및 운반될 수 있다.Liquid fluids are viscous and have a weight greater than the gas, so the flow rate is slower than the gas fluid. The liquid fluid hits the first
액체 유체의 일부는 제1 벤트부(247)를 통과하여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부로 이동하는 상기 유체의 일부는 제2 버퍼부(250)에 부딪힌 후 유동 방향을 변경하여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1 벤트부(247)를 통과하여 상부로 이동하는 유체는 유체의 진행방향에 제2 버퍼부(250)가 형성되어 있어 제2 버퍼부(250)에 부딪히고 방향이 변경된다. 이때, 제1 버퍼부(240)의 제1 플레이트(241) 내지 제4 플레이트(244)의 경사면을 따라 쉽게 제1 벤트(247a)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2 절곡부(246)에 의해 액체 유체를 제1 벤트(247a)로 모아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벤트(247a)로 이동한 액체 유체는 제2 개구부(222)로 이동 후, 제2 덕트(224)를 통해서 상기 오일 탱크에 이동 후 저장 및 운반될 수 있다.A portion of the liquid fluid may pass upward through the
기체 유체는 고압을 형성하고, 중량이 작으므로 확산 및 유동 속도가 빠르다. 기체 유체는 고압에서 저압으로 이동하는바, 케이스부(230)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이동한다. 상세하게, 기체 유체는 제1 버퍼부(240)의 제1 절곡부(245)에 부딪히고 경사진 제1 플레이트(241) 내지 제4 플레이트(244)의 하부 경사면을 따라 이동한다. 기체 유체는 점성을 가지지 않고 고압으로 형성되는바, 제1 버퍼부(240)의 하부 경사면을 따라 이동한 후 제1 벤트부(247)를 통과하여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Gaseous fluids form high pressures and are low in weight and therefore have fast diffusion and flow rates. The gas fluid moves from the high pressure to the low pressure and moves from the lower part of the
제1 벤트부(247)를 통과한 기체 유체는 제1 버퍼부(240)의 상부 경사면과 제2 버퍼부(250)의 사이의 공간을 이동한 후, 제2 벤트부(251)를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다. 제2 벤트부(251)를 통과한 기체 유체는 제1 개구부(212)를 통과하여 제1 덕트(214)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 될 수 있다. The gas flui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액체 유체는 제1 버퍼부(240) 및 제2 버퍼부(250)에 의해서 액체 유체의 유동 방향을 변경하여 외부로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유체의 유동 형태의 예측가능성을 높여서 액체 유체를 오일 탱크에 저장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액체 유체는 제1 버퍼부(240)의 제1 각도(α) 및 제2 각도(β)를 따르는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오일 탱크 내부(미도시)로 회송되는 액체 유체를 쉽게 회수 할 수 있다.The liquid fluid moves along the inclined plane along the first angle alpha and the second angle beta of the
기체 유체는 제1 버퍼부(240)의 제1 각도(α) 및 제2 각도(β)를 따르는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기체 유체의 유동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버퍼부(250)의 제2 벤트부(251)를 통해서 고압의 기체 유체가 외부로 배출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하여 오일 탱크 내부(미도시) 및 스플래시 방지 장치(200)의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 할 수 있다.The gaseous fluid mov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along the first angle alpha and the second angle beta of the
다음은 스플래시 방지 장치(100, 200)가 탱크 내부의 유체의 속도를 저감하여 유체의 유동 안정성을 확보하는 실험데이터에 관하여 검토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experimental data that the
하기의 표 1을 통해서 스플래시 방지 장치(200)를 설치하여 액체유체의 안정성에 대해서 검토 할 수 있다. The stability of the liquid fluid can be examined by providing the
실험은 제1 개구부(212)의 중심에서의 액체 유체의 상승하는 방향의 유속 측정하였다. 실험의 단위는 각도는 도(DEG)이고, 높이는 mm이다. 속도는 제1 개구부(212)에서 유체의 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속도는 제2 개구부(222)에서 제1 개구부(212)를 향하는 방향을 가지고 단위는 m/s이다.The experiment measured the flow rate in the ascending direction of the liquid fluid at the center of the
스플래시 방지 장치(200)의 제1 각도(α)는 120도를 가지도록 설정하고, 파이프의 크기는 150A를 가진다. 제2 개구부(222)에서 제1 개구부(212) 사이의 거리는 300mm로 형성하고, 케이스부(230)의 직경은 355.6mm로 형성된다. 제1 버퍼부(240) 및 제2 버퍼부(250)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변수로는 각도와 높이가 있다. 각도는 제2 각도(β)이고, 높이는 제2 버퍼부(250)가 설치된 높이로서, 제2 개구부(222)에서 이격되어 설치된 거리이다.The first angle alpha of the splash
스플래시 방지 장치(200)가 설치되지 않은 대조군은 요동(Sloshing)이 발생하는 초기에 급격하게 유속이 형성된다. 이후 빠른 속도로 유속이 줄어들어서, 요동이 발생에 따른 액체 유체의 유동 형태를 예측할 수 없고, 초기에 발생하는 급격한 유속에 의해서 액체 유체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In the control group in which the
케이스 1 내지 케이스 10에서의 각 시간에서의 유동 속도는 거의 일정하게 형성된다. 즉, 각 케이스의 경우에 요동이 형성되더라도 급격하게 형성되지 아니하고 요동이 천천히 진행하여 액체 유체의 유동 형태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초기에 급격한 요동이 발생하지 않아 외부로 유출되는 액체 유체의 양을 최소화 할 수 있다.The flow rates at each time in the cases 1 to 10 are formed almost constant. That is, even if the swinging motion is formed in each case, the swinging motion does not occur suddenly and the swinging motion proceeds slowly, so that the flow mode of the liquid fluid can be predicted. Also, the amount of the liquid fluid that flows out to the outside can be minimized because no rapid fluctuation occurs at the initial stage.
하기의 표2는 스플래시 방지 장치(100, 200)를 인공신경망 기법(Artificial Neural Network, ANN)을 이용하여 각 경우의 유속을 측정한 것으로, 탱크 내부 유체의 유동안정성 여부를 검토 할 수 있다.Table 2 below shows the flow rate of each case measured by using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in the
인공신경망 기법을 이용한 최적 설계 프로그램은 제1 개구부(212)의 중심에서의 액체 유체의 상승하는 방향의 유속 측정하여 비교한다. 실험의 단위는 각도는 도(DEG)이고, 높이는 mm이다. 속도는 제1 개구부(212)에서 유체의 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속도는 제2 개구부(222)에서 제1 개구부(212)를 향하는 방향을 가지고 단위는 m/s이다. 실험에서 사용한 인공신경망 프로그램은 'K-Metal ANN'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The optimal design program using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technique compares the flow rate measured in the ascending direction of the liquid fluid at the center of the
스플래시 방지 장치(200)의 제1 각도는 120도를 가지도록 형성하였고, 파이프의 크기는 150A를 가진다. 제2 개구부(222)에서 제1 개구부(212) 사이의 거리는 300mm로 형성하고, 케이스부(230)의 직경은 355.6mm로 형성된다.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변수로는 각도와 높이가 있다. 각도는 제2 각도(β)이고, 높이는 제2 버퍼부(250)가 설치된 높이로서, 제2 개구부(222)에서 이격되어 설치된 거리이다. The first angle of the splash
최적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물레이션을 예측하면, 스플래시 방지 장치(200)를 설치한 경우 제1 개구부(212)의 중심에서의 상승하는 유체의 유속은 2.8 m/s 내지 2.4m/s로 형성된다. 따라서 유체의 표 1의 스플래시 방지 장치(200)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며, 유체의 유동 안정성을 확보하수 있으며, 유동의 형태를 예측할 수 있다.When the simulation is predicted using the optimization program, the flow rate of the ascending fluid at the center of the
상기 케이스 6은 제2 각도(β)가 180도로 형성되는바,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플래시 방지 장치(100)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스플래시 방지 장치(100)를 설치한 경우와 표 1의 스플래시 방지 장치(200)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를 비교하여 검토하면, 스플래시 방지 장치(100)는 유체의 유동 안정성을 확보하수 있으며, 유동의 형태를 예측할 수 있다.The case 6 is formed at a second angle? Of 180 degrees, which is similar to the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appended claims cover all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fall within the true spirit of the invention.
α: 제1 각도
β: 제2 각도
100, 200: 스플래시 방지 장치
110, 210: 제1 케이스
112, 212: 제1 개구부
120, 220: 제2 케이스
122, 222: 제2 개구부
130, 230: 케이스부
140, 240: 제1 버퍼부
143, 245: 제1 절곡부
144, 247: 제1 벤트부
150, 250: 제2 버퍼부
151, 251: 제2 벤트부
246: 제2 절곡부alpha: first angle
β: second angle
100, 200: Splash prevention device
110, 210: a first case
112, 212: a first opening
120, 220: the second case
122, 222: a second opening
130, and 230:
140, 240: first buffer unit
143, 245: a first bent portion
144, 247: first vent portion
150, 250: a second buffer unit
151, 251:
246:
Claims (12)
상기 케이스부의 내벽에 고정되어 상기 제2 개구부를 통과한 상기 유체의 유동 방향을 변경하는 제1 버퍼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퍼부는 상기 제1 개구부를 향하여 돌출 되도록 형성된 제1 절곡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절곡부에 부딪치는 상기 유체의 유동방향으로 상기 제2 개구부로 전환시키는, 스플래시(Splash) 방지 장치.A case having a second opening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and a first opening through which the fluid introduced from the second opening is discharged; And
A first buffer part fixed to an inner wall of the case part to change a flow direction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second opening part; Lt; / RTI >
Wherein the first buffer portion includes a first bent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first opening portion so as to switch to the second opening portion in a flow direction of the fluid hit by the first bent portion.
상기 케이스부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개구부를 통과한 상기 유체의 유동 방향을 변경하는 제1 버퍼부; 및
상기 제1 버퍼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버퍼부를 통과한 상기 유체의 유동방향을 변경하는 제2 버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퍼부는 상기 제1 개구부를 향하여 돌출 되도록 형성된 제1 절곡부를 구비하는, 스플래시(Splash) 방지 장치.A case having a second opening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and a first opening through which the fluid introduced from the second opening is discharged; And
A first buffer unit installed in the case space to change a flow direction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second opening; And
And a second buffer unit installed on the first buffer unit and chang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buffer unit,
Wherein the first buffer portion has a first bent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first opening portion.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제1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2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케이스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케이스;를 구비하는, 스플래시(Splash) 방지 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n the case,
A first case in which the first opening is formed; And
And a second case formed with the second opening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ase.
상기 제1 절곡부는,
상기 제2 개구부를 향하여 제1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개구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각도는 둔각인, 스플래시(Splash) 방지 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irst bent portion includes:
And a first bent portion formed to have a first angle toward the second opening and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opening
Wherein the first angle is an obtuse angle.
상기 제1 버퍼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내벽과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고, 제2 개구부에서 유입된 유체가 통과하는 제1 벤트부를 구비하는, 스플래시(Splash) 방지 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irst buffer unit comprises:
And a first vent portion formed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inner wall of the case portion and through which the fluid introduced from the second opening passes.
상기 제2 버퍼부는,
상기 제1 버퍼부를 통과한 유체가 제1 개구부로 이동하는 제2 벤트부;를 구비하는, 스플래시(Splash) 방지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cond buffer unit comprises:
And a second vent portion through which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buffer portion moves to the first opening portion.
상기 제2 버퍼부는 상기 제2 개구부에서 상기 제1 개구부까지 높이의 2/3 이상 내지 4/5 이하의 높이에 설치되는, 스플래시(Splash) 방지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cond buffer portion is installed at a height of 2/3 to 4/5 of the height from the second opening to the first opening.
상기 케이스부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개구부를 통과한 상기 유체의 유동 방향을 변경하는 제1 버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퍼부는,
상기 제2 개구부를 향하여 제1 각도를 가지도록 절곡된 제1 절곡부; 및
상기 제1 개구부를 향하여 제2 각도를 가지도록 절곡된 제2 절곡부;를 구비하는, 스플래시(Splash) 방지 장치.A case having a second opening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and a first opening through which the fluid introduced from the second opening is discharged; And
And a first buffer unit installed in the case space to change a flow direction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second opening,
Wherein the first buffer unit comprises:
A first bent portion bent to have a first angle toward the second opening; And
And a second bent portion bent to have a second angle toward the first opening.
상기 제1 버퍼부는,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가 형성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와 대향하며, 제3 플레이트와 제4플레이트가 형성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3 플레이트가 형성하는 제3 연결부; 및
상기 제3 연결부와 대향하며,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4플레이트가 형성하는 제4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각도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의 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제 3 연결부와 상기 제4 연결부 사이의 각으로 형성되는, 스플래시(Splash) 방지 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buffer unit comprises:
A first connection part formed by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 second connection portion facing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formed by the third plate and the fourth plate;
A third connection part formed by the first plate and the third plate; And
And a fourth connection portion facing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and formed by the second plate and the fourth plate,
Wherein the first angle is formed by an angle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angle is formed by an angle between the third connection part and the fourth connection part.
상기 제1 버퍼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버퍼부를 통과한 상기 유체의 유동 방향을 변경하는 제2 버퍼부;를 더 포함하는, 스플래시(Splash) 방지 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And a second buffer unit installed on the first buffer unit and changing a flow direction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buffer unit.
상기 제2 버퍼부는 상기 제2 개구부에서 상기 제1 개구부까지 높이의 2/3 이상 내지 4/5 이하의 높이에 설치되는, 스플래시(Splash) 방지 장치.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econd buffer portion is installed at a height of 2/3 to 4/5 of the height from the second opening to the first opening.
상기 제1 각도 및 상기 제2 각도는 둔각인, 스플래시(Splash) 방지 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angle and the second angle are obtuse angl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20739A KR101496152B1 (en) | 2014-02-21 | 2014-02-21 | Anti-splash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20739A KR101496152B1 (en) | 2014-02-21 | 2014-02-21 | Anti-splash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96152B1 true KR101496152B1 (en) | 2015-02-27 |
Family
ID=52594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020739A Active KR101496152B1 (en) | 2014-02-21 | 2014-02-21 | Anti-splash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9615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20117301A (en) * | 2025-05-13 | 2025-06-10 | 首都医科大学 | Storage container for preventing hazardous chemical volatile gas from overflowing risk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37929A (en) * | 1999-10-20 | 2001-05-15 | 김진옥 | Drain manhole for preventing a bad smell and backward flow |
US7520977B2 (en) * | 2003-01-15 | 2009-04-21 | Paul Arthur Clukies | Water pollution prevention and remediation apparatus |
-
2014
- 2014-02-21 KR KR20140020739A patent/KR10149615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37929A (en) * | 1999-10-20 | 2001-05-15 | 김진옥 | Drain manhole for preventing a bad smell and backward flow |
US7520977B2 (en) * | 2003-01-15 | 2009-04-21 | Paul Arthur Clukies | Water pollution prevention and remediation apparatu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20117301A (en) * | 2025-05-13 | 2025-06-10 | 首都医科大学 | Storage container for preventing hazardous chemical volatile gas from overflowing risk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982106B1 (en) | Device and method for reintroducing vapour or gas in the liquid from which the vapour or gas originates | |
US8464764B1 (en) | Fuel system ullage float assembly | |
US9809282B2 (en) | Liquefied gas transfer device for reducing boil-off gas | |
US10060661B2 (en) | Accumulator and refriger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KR101496152B1 (en) | Anti-splash device | |
KR101228065B1 (en) | VOC reducing apparatus for liquid cargo storage tank | |
KR102327405B1 (en) | Vent mast | |
KR101246908B1 (en) | VOC reducing apparatus for liquid cargo storage tank | |
CN106583356A (en) | Gas blocking pressure stabilizer | |
US9249897B2 (en) | Double action float valve | |
WO2011112095A9 (en) | A system for reduction of emissions from volatile liquid cargo | |
US10041606B2 (en) | Specific gravity valve | |
CA2755406A1 (en) | Specific gravity valve for a production tank | |
KR200444898Y1 (en) |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self-closing device of air pipe | |
KR101688190B1 (en) | Device for preventing leakage of oil | |
JP6340737B2 (en) | Parts feeder | |
WO2013049937A1 (en) | Specific gravity valve | |
KR101873459B1 (en) | Tray for flange | |
KR20160003327U (en) | Ship fuel oil tank | |
KR20180070428A (en) | A transfer device of fuel oil | |
US20140261786A1 (en) | Drain systems | |
JP2020193040A (en) | Automatic air bleeding for floating roof tanks | |
EP3604116A1 (en) | Drainage system of marine desulfurization device | |
KR20170066871A (en) | Device and method of discharging BOG | |
JP7529832B2 (en) | Liquid foreign matter removal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6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2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1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