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4792B1 - Circuit braker - Google Patents
Circuit brak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94792B1 KR101494792B1 KR20130124176A KR20130124176A KR101494792B1 KR 101494792 B1 KR101494792 B1 KR 101494792B1 KR 20130124176 A KR20130124176 A KR 20130124176A KR 20130124176 A KR20130124176 A KR 20130124176A KR 101494792 B1 KR101494792 B1 KR 1014947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contact
- insulating member
- pin
- insula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16507 interphas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05—Latching devices between operating and release mechanis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0—Bridging contacts
- H01H1/2041—Rotating bridge
- H01H1/205—Details concerning the elastic mounting of the rotating bridge in the rot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24—Electromagnetic mechanisms
- H01H71/2463—Electromagnetic mechanisms with plunger type arma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04—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2009/0094—Details of rotatable shafts which are subdivided; details of the coupling mean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배선용 차단기는, 고정 설치되는 고정접촉자와, 고정접촉자에 접촉 및 분리되는 가동접촉자와, 가동접촉자를 개폐하는 개폐기구를 포함하고, 개폐기구는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와, 샤프트로부터 가동접촉자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링크와, 샤프트와 전달링크를 힌지결합시키고 절연시키는 핀을 포함하고, 핀은 샤프트와 접촉하는 부위에 마모방지부재가 설치된다. 마모방지부재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절연재질로 형성되는 절연부재보다 내마모성이 큰 스테인리스스틸과 같은 재질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간 절연이 이루어지되, 샤프트에 의한 핀의 마모 및 파손이 억제되고, 핀의 마모 및 파손에 의한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간 접압력 감소 및 접점 저항 상승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배선용 차단기의 핀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절연부재와, 절연부재의 샤프트와 접촉하는 부위에 덧대어지도록 파이프로 형성되는 마모방지부재를 포함하고, 마모방지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절연부재에 파고들게 변형됨으로써, 절연부재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마모방지부재가 절연부재의 샤프트와 접촉하는 부위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억제된다.A wiring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tionary contactor fixedly installed, a movable contactor which contacts and separates from the stationary contactor,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that opens and closes the movable contactor,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includes a shaft rotatably installed, A transmission link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to the movable contact, and a pin for hinging and insulating the shaft and the transmission link, wherein the pin is provided with a wear preventing member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haft. The wear preventing member is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having a higher abrasion resistance than an insulating member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Accordingly, the inter-phase insulation is achieved, the wear and breakage of the pin by the shaft is suppressed, and the contact pressure drop between the movable contact and the fixed contact due to wear and tear of the pin and the contact resistance increase problem can be solved.
The fins of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n insulating member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wear preventing member formed by a pipe so as to be padded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haft of the insulating member, Is fixed to the insulating member by being deformed to be crushed into the insulating member. As a result, the abrasion preventing member is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portion of the insulating member in contact with the shaft.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선용 차단기의 가동접촉자를 개폐하는 개폐기구의 링크를 힌지결합시키고 절연시키는 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ing brea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n that hinges and insulates a link of an opening / closing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a movable contactor of a wiring breaker.
일반적으로, 배선용 차단기는 전기회로를 핸들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개폐하거나, 단락전류나 사고전류 등 이상전류 발생 시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회로를 차단하여 부하 기기 및 회로를 보호하는 전기기기의 일종이다.Generally, a circuit breaker for wiring is a kind of electric device that protects the load device and the circuit by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electric circuit by using the handle, detecting the abnormal current such as short-circuit current or fault current, and automatically shutting off the circuit.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배선용 차단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conventional wiring break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ttached hereto.
종래 배선용 차단기는 케이스(미도시) 내부에 고정접촉자(10)와, 고정접촉자(10)에 접촉 및 분리되도록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접촉자(20)와, 가동접촉자(20)를 회동시켜 회로를 개폐하는 개폐기구(30)를 포함한다.The conventional circuit breaker includes a
개폐기구(30)는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74)와, 샤프트(74)로부터 가동접촉자(20)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링크(90)와, 샤프트(74)와 전달링크(90)를 힌지결합시키는 핀(80)을 포함한다.The opening and
이 경우, 배선용 차단기는,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상으로 형성되고, 각 상별로 한 쌍의 고정접촉자(10)와 가동접촉자(20)가 구비된다. 따라서 개폐기구(30)는 복수의 가동접촉자(20)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가동접촉자(20)와 가동접촉자(20)에 힌지결합되는 전달링크(90)는 각 상별로 구비되고, 샤프트(74)는, 샤프트 회동축(74a)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샤프트 암(74b)이 각 상별로 형성되어, 각 상별로 샤프트 암(74b)이 전달링크(90)에 힌지결합된다. 이때, 핀(80)은 샤프트(74)와 전달링크(90)를 힌지결합시킬 뿐만 아니라 특정 상에서 다른 상으로의 절연파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재질로 형성된다.In this case, referring to Fig. 1, the wiring breaker is formed of a plurality of phases, and each pair of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개폐기구(30)의 핸들(40)이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투입되면 개폐기구(30)에 의해 가동접촉자(20)와 고정접촉자(10)가 접촉되어 회로가 연결되는 반면, 선로에 이상전류가 발생된 경우에는 트립기구(미도시)가 작동되어 개폐기구(30)의 래치(62)를 구속 해제시키고, 래치(62)의 구속이 해제되면 개폐기구(30)의 인장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접촉자(20)는 고정접촉자(10)로부터 신속하게 분리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한편, 이상전류가 해소되면 개폐기구(30) 조작을 통해 다시 가동접촉자(20)와 고정접촉자(10)가 접촉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bnormal current is canceled, the
이러한 과정에서, 핀(80)은 샤프트(74)로부터 받는 구동력을 전달링크(90)를 통해 가동접촉자(20)로 전달하도록 샤프트(74)와 전달링크(90)를 힌지결합시키고, 상간 절연을 위해 샤프트(74)와 전달링크(90) 사이를 절연시킨다.In this process,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는, 절연재질로 형성된 핀(80)이 샤프트(74)보다 내마모성이 떨어져, 즉 경도가 낮아, 개폐동작이 반복되면, 핀(80)의 샤프트(74)와의 접촉부위가 마모되고 파손된다. 이에 따라, 가동접촉자(20)와 고정접촉자(10) 간 접압력이 감소되고, 접점 저항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circuit breaker, when the
본 발명의 목적은, 배선용 차단기 개폐기구의 링크를 힌지결합시키고 절연시키는 핀이 절연성능을 확보함과 동시에 내마모성을 확보하여, 핀의 마모 및 파손을 억제하고,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간 접압력 감소 및 접점 저항 상승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nge-coupling and insulating pin of a wiring breake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that secures insulation performance and secures wear resistance, suppresses abrasion and breakage of the pin, reduces contact pressure between the movable contactor and the fixed contactor And to provide a wiring breaker capable of solving the problem of an increase in contact resistance.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정 설치되는 고정접촉자; 상기 고정접촉자에 접촉 및 분리되는 가동접촉자; 및 상기 가동접촉자를 개폐하는 개폐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기구는,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로부터 상기 가동접촉자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링크; 및 상기 샤프트와 전달링크를 힌지결합시키고 절연시키는 핀;을 포함하고, 상기 핀은 상기 샤프트와 접촉하는 부위에 마모방지부재가 설치되는 배선용 차단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vable contact that contacts and separates from the fixed contact; And an opening / closing mechanism for opening / closing the movable contact,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mechanism includes: a shaft rotatably installed; A transmission link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from the shaft to the movable contact; And a pin for hinging and insulating the shaft and the transmission link, wherein the pin is provided with a wear-resistant member provided with a wear-resistant member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haft.
여기서, 상기 핀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절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모방지부재는 파이프로 형성되어 상기 절연부재의 상기 샤프트와 접촉하는 부위에 덧대어지는 배선용 차단기가 제공될 수 있다.Here, the fin includes an insulating member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wear preventing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circuit breaker which is formed by a pipe and is padded at a portion where the insulating member contacts the shaft.
이 경우, 상기 마모방지부재는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절연부재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배선용 차단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ear-resistant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circuit breaker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insulating member so as not to be detached.
또한,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마모방지부재에 삽입되고, 상기 마모방지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상기 절연부재에 파고들게 변형되는 배선용 차단기가 제공될 수 있다.Further, the insulating member may be inserted into the wear-preventing member, and at least one end of the wear-preventing member may be crushed into the insulating member.
한편, 상기 마모방지부재는 상기 절연부재보다 내마모성이 큰 재질로 형성되는 배선용 차단기가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the wear preventing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wiring breaker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wear resistance than the insulating member.
이 경우, 상기 절연부재는 폴리에틸렌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마모방지부재는 스테인리스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배선용 차단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sulating member may be formed of a polyethylene material, and the wear-preventing member may be formed of a stainless steel material.
본 발명에 의한 배선용 차단기는, 고정 설치되는 고정접촉자와, 고정접촉자에 접촉 및 분리되는 가동접촉자와, 가동접촉자를 개폐하는 개폐기구를 포함하고, 개폐기구는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와, 샤프트로부터 가동접촉자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링크와, 샤프트와 전달링크를 힌지결합시키고 절연시키는 핀을 포함하고, 핀은 샤프트와 접촉하는 부위에 마모방지부재가 설치된다. 마모방지부재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절연재질로 형성되는 절연부재보다 내마모성이 큰 스테인리스스틸과 같은 재질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간 절연이 이루어지되, 샤프트에 의한 핀의 마모 및 파손이 억제되고, 핀의 마모 및 파손에 의한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간 접압력 감소 및 접점 저항 상승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A wiring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tionary contactor fixedly installed, a movable contactor which contacts and separates from the stationary contactor,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that opens and closes the movable contactor,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includes a shaft rotatably installed, A transmission link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to the movable contact, and a pin for hinging and insulating the shaft and the transmission link, wherein the pin is provided with a wear preventing member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haft. The wear preventing member is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having a higher abrasion resistance than an insulating member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Accordingly, the inter-phase insulation is achieved, the wear and breakage of the pin by the shaft is suppressed, and the contact pressure between the movable contact and the fixed contact due to wear and tear of the pin and the contact resistance increase can be solv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배선용 차단기의 핀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절연부재와, 절연부재의 샤프트와 접촉하는 부위에 덧대어지도록 파이프로 형성되는 마모방지부재를 포함하고, 마모방지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절연부재에 파고들게 변형됨으로써, 절연부재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마모방지부재가 절연부재의 샤프트와 접촉하는 부위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억제된다.The fins of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n insulating member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wear preventing member formed by a pipe so as to be padded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haft of the insulating member, Is fixed to the insulating member by being deformed to be crushed into the insulating member. As a result, the abrasion preventing member is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portion of the insulating member in contact with the shaft.
도 1은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에 의한 배선용 차단기를 보인 단면도,
도 3는 도 2의 개폐기구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절연핀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도 4의 절연부재와 마모방지부재의 압착가공 전 조립도,
도 7은 도 6의 조립 후 단면도,
도 8은 도 3의 절연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conventional wiring breaker,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wiring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FIG. 2,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ulated pin of Figure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Fig. 6 is an assembled view of the insulating member and the wear preventing member shown in Fig. 4 before crimping,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after assembly of Figure 6,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sulating pin of FIG.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배선용 차단기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wiring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배선용 차단기는, 케이스(C)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접촉자(10)와, 고정접촉자(10)에 접촉 및 분리되도록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접촉자(20)와, 가동접촉자(20)를 회동시켜 회로를 개폐하는 개폐기구(130)를 포함한다.2, a wiring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고정접촉자(10)와 가동접촉자(20)는 정상상태일 때 서로 접촉되어 전원 측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부하 측으로 전달하도록 통전 경로를 형성하고, 이상전류 발생 시 서로 분리되어 회로를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The
고정접촉자(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C)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전원측 또는 부하측에 연결된다.The
가동접촉자(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서 케이스(C)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에서 후술할 전달링크(90)와 힌지결합되며, 부하측 또는 전원측에 연결된다. 이때, 케이스(C)에 힌지결합된 부위가 가동접촉자 회동축(22)이다.The
개폐기구(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개폐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된 핸들(40)과, 핸들(40)의 위치에 따라 가동접촉자(20)가 고정접촉자(10)에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인장스프링(50)과, 구동력을 가동접촉자(20)로 전달하는 링크장치(160)를 포함한다.2, the opening and
핸들(40)은 일단에서 케이스(C) 내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에서 케이스(C)로부터 돌출되며 핸들 회동축(미도시)으로부터 이격한 일측에 제1스프링체결부(42)를 포함한다.The
이 경우, 제1스프링체결부(42)는, 투입동작(ON)에서 차단동작(OFF 또는 TRIP)으로 전환 시, 후술할 로커 회동축(64)과 제2스프링체결부(68a)가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일측에서 상기 일측의 반대측 방향으로 이동한다.In this case, when switching from the closing operation (ON) to the shutoff operation (OFF or TRIP), the first
인장스프링(50)은 일단에서 제1스프링체결부(42)에 지지되고 타단에서 후술할 제2스프링체결부(68a)에 지지된다.The
링크장치(160)는 트립동작을 수행하는 래치(62)와, 링크장치(160) 전체에 대한 주동절 역할을 수행하는 로커(66), 로커(66)와 후술할 샤프트(74)를 연결하는 연결링크(70), 로커(66)에 대한 종동절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가동접촉자(20)에 대한 주동절 역할을 수행하는 샤프트(74), 샤프트(74)와 가동접촉자(20)를 연결하는 전달링크(90)를 포함한다.The
래치(62)는 일측에서 케이스(C) 내부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에서 별도의 래치홀더(H)에 걸릴 수 있도록 설치된다.The
이 경우, 래치(62)는, 배선용 차단기가 투입동작(ON) 또는 인위적 차단동작(OFF)시, 래치홀더(H)에 걸려 링크장치(160)의 다른 구성요소들이 작동하는데 고정지지점 역할을 수행하는 반면, 배선용 차단기가 사고에 의한 차단동작(TRIP)시에는, 래치홀더(H)로부터 걸림해제되어 회동될 수 있음에 따라, 링크장치(160)의 다른 구성요소들과 연결된 하나의 링크부재 역할을 수행한다.In this case, the
로커(66)는 일측에서 래치(6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에서 연결링크(70)에 힌지결합된다.The
이 경우, 로커(66)와 연결링크(70)를 힌지결합시키는 핀(68)은 상기 인장스프링(50)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스프링체결부(68a)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인장스프링(50)에 의한 구동력이 상기 핀(68)에 작용되어 로커(66)가 링크장치(160) 전체에 대한 주동절 역할을 하게 되나, 제2스프링체결부(68a)는 로커(66) 등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샤프트(74)는 일측에서 케이스(C)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에서 연결링크(70)와 힌지결합되는 한편, 상기 일측 및 타측에 이격한 부위에서 후술할 절연핀(180)에 의해 전달링크(90)와 힌지결합된다.The
이 경우, 샤프트(74)는 연결링크(70)를 통해 로커(66)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을 전달링크(90)을 통해 가동접촉자(2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로커(66)에 대한 종동절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가동접촉자(20)에 대한 주동절 역할을 수행한다.In this case, the
연결링크(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측에서 상기 로커(66)의 타측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에서 상기 샤프트(74)의 타측에 힌지결합된다.The connecting
전달링크(9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측에서 후술할 절연핀(180)에 의해 상기 샤프트(74)의 일측 및 타측에 이격한 부위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에서 상기 가동접촉자(20)의 타측에 힌지결합된다.The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핀(180)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상기 샤프트(74)의 일측 및 타측에 이격한 부위와 상기 전달링크(90)의 일측을 각각 샤프트 접속구(74c) 및 전달링크 접속구(90c)로 지칭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s shown in Fig. 3, a portion of the
계속해서, 절연핀(18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샤프트(74)와 전달링크(90)를 힌지결합시키되 상호간에 절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The
이러한 절연핀(180)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태의 막대모양으로 형성되는 절연부재(182)와, 절연부재(182)의 샤프트 접속구(74c)와의 접촉부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파이프형 마모방지부재(184)를 포함한다.3 to 4, the
이 경우, 절연부재(182)는 폴리에틸렌으로 형성되나, 절연성능을 갖는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파이프형 마모방지부재(184)는 스테인리스스틸로 형성되나, 절연부재(182)보다 내마모성이 큰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sulating
또한, 절연핀(180)은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Further, the insulating
먼저, 절연부재(18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원기둥 형태의 막대모양으로 형성되는 한편, 파이프형 마모방지부재(184)는 절연부재(182)의 길이보다 짧되, 절연부재(182)의 샤프트 접속구(74c)와의 접촉부위 길이 이상의 길이를 갖는 원관 형태로 형성된다.The pipe type wear-
이렇게 형성된 절연부재(182)와 파이프형 마모방지부재(184)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형 마모방지부재(184)가 절연부재(182)의 샤프트 접속구(74c)와의 접촉부위에 덧대어지게 배치되도록, 절연부재(182)가 파이프형 마모방지부재(184)의 내측에 삽입된다.6 and 7, the pipe-shaped abrasion-
그 다음, 파이프형 마모방지부재(184)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킹(Caulking)가공 등 압착가공에 의해 절연부재(182)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 즉 중심부 측으로 파고들게 소성변형된다.At least one end of the pipe-type abrasion-
이에 따라, 파이프형 마모방지부재(184)는 절연부재(182)의 길이방향, 즉 절연부재(182)의 축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절연부재(182)의 샤프트 접속구(74c)와의 접촉부위에 고정 설치된다.The pipe type wear-
여기서, 파이프형 마모방지부재(184)의 단부 단면은 초기에, 즉 코킹가공 등 압착가공 되기 전에,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형 마모방지부재(184)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이것은 파이프형 마모방지부재(184)가 압착가공 되기 전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부재(182)와 간섭되지 않고, 압착가공 된 후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 저항 강도가 우수하게 상기 단부가 소성변형되기 위함이다. 하지만, 상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파이프형 마모방지부재(184)의 단부 단면의 압착가공 전 형상은 다른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6 and 7, the end face of the pipe-type abrasion-
또한, 파이프형 마모방지부재(184)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부가 변형되어 절연부재(182)에 고정되나,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ipe-type abrasion-
한편, 절연핀(180)은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방식으로,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sulating
즉, 다른 방식으로 형성된 절연핀(280)은 돌기부를 구비한 마모방지부재(284)와, 돌기부에 덧씌워지는 절연부재(282)를 포함한다.That is, the insulating
돌기부를 구비한 마모방지부재(284)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샤프트 접속구 접촉부(284a)와, 샤프트 접속구 접촉부(284a)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로부터 샤프트 접속구 접촉부(284a)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돌기부(284b)를 포함한다.The
이 경우, 돌기부(284b)는 상기 단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돌기부(284b)의 직경은 샤프트 접속구 접촉부(284a)의 직경보다 작다.In this case, the protruding
한편, 돌기부에 덧씌워지는 절연부재(282)는 샤프트 접속구 접촉부(284a)의 직경보다 작고 돌기부(284b)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되, 일단부의 중심에는 돌기부(284b)가 삽입되는 홈부(282a)가 형성된다.The insulating
이렇게 형성된 돌기부를 구비한 마모방지부재(284)와 돌기부에 덧씌워지는 절연부재(282)는 돌기부(284b)가 홈부(282a)에 삽입되게 체결된다.The wear
이 경우, 돌기부(284b)와 홈부(282a)는 면접촉에 의한 마찰력으로 돌기부를 구비한 마모방지부재(284)와 돌기부에 덧씌워지는 절연부재(282)를 상호간에 고정 체결하나, 돌기부(284b)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미도시)와 이에 대응하도록 홈부(282a)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이탈방지홈(미도시)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등 다른 방식으로 돌기부를 구비한 마모방지부재(284)와 돌기부에 덧씌워지는 절연부재(282)를 상호간에 고정 체결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protruding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배선용 차단기는 복수의 상으로 형성되고, 각 상별로 한 쌍의 고정접촉자(10)와 가동접촉자(20)가 구비된다. 따라서 개폐기구(130)는 복수의 가동접촉자(20)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개폐기구(130)는, 도 3을 참조하면, 전달링크(90)와 절연핀(180)이 각 상별로 구비되고, 개폐기구(130)의 그외 구성요소들은 하나씩 구비된다. 이때, 샤프트(74)는, 샤프트 회동축(74a)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샤프트 암(74b)이 각 상별로 형성되고, 각 상별로 샤프트 암(74b)이 절연핀(180)에 의해 전달링크(90)에 힌지결합된다.Here,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plurality of phases, and each of the phases includes a pair of fixed
한편, 하나의 상을 기준으로, 래치(62)와 로커(66)와 연결링크(70) 및 샤프트(74)는, 배선용 차단기가 사고에 의한 차단동작(TRIP)시, 래치 회동축(62a) 및 샤프트 회동축(74a)을 가상으로 연결한 링크가 고정절을 이루고, 래치(62)와 로커(66)와 연결링크(70) 및 샤프트(74)가 운동하는 5절 링크기구를 구성하는 한편, 배선용 차단기가 투입동작(ON) 또는 인위적 차단동작(OFF)시, 래치(62)가 래치홀더(H)에 의해 고정되어, 로커 회동축(64) 및 샤프트 회동축(74a)을 가상으로 연결한 링크가 고정절을 이루고, 로커(66)와 연결링크(70) 및 샤프트(74)가 운동하는 4절 링크기구를 구성한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샤프트(74)와 전달링크(90) 및 가동접촉자(20)는, 샤프트(74) 및 가동접촉자 회동축(22)을 가상으로 연결한 링크가 고정절을 이루고, 샤프트(74)와 전달링크(90) 및 가동접촉자(20)가 운동하는 4절 링크기구를 구성한다.The
이때, 샤프트(74)와 전달링크(90) 및 가동접촉자(20)로 구성되는 4절 링크기구는, 래치(62)와 로커(66)와 연결링크(70) 및 샤프트(74)로 구성되는 5절 링크기구(또는 로커(66)와 연결링크(70) 및 샤프트(74)로 구성되는 4절 링크기구)와 샤프트(74)를 공유하여, 래치(62)와 로커(66)와 연결링크(70) 및 샤프트(74)로 구성되는 5절 링크기구(또는 로커(66)와 연결링크(70) 및 샤프트(74)로 구성되는 4절 링크기구)에 종동되는 링크기구가 된다.At this time, the four-bar link mechanism composed of the
도면 중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portions as those in the prior art.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배선용 차단기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above-mentioned wiring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인위적 차단동작(OFF) 상태에서 투입동작(ON)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한다.First, the process of switching from the artificial shutoff operation (OFF) state to the closing operation (ON) state will be described.
도 2에 도시된 인위적 차단동작(OFF) 상태에서, 작업자가 핸들(40)을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인장스프링(50)이 제2스프링체결부(68a)를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제2스프링체결부(68a)에 도면상 좌측상방으로 스프링력이 작용하고, 스프링력은 로커(66)를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샤프트(74)를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결국 가동접촉자(20)를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구동력으로 작용한다.When the worker rotates the
따라서, 도 2를 참조하면, 로커(66)와 연결링크(70) 및 샤프트(74)로 구성되는 4절 링크기구에서, 로커(66)는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연결링크(70)가 제2스프링체결부(68a)가 포함된 핀(68)에 구속되어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동하고, 샤프트(74)는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샤프트(74)와 전달링크(90) 및 가동접촉자(20)로 구성되는 4절 링크기구에서, 전달링크(90)가 절연핀(180)에 구속되어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동하고, 가동접촉자(20)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고정접촉자(10)에 접촉되어, 결국 투입동작(ON) 상태가 된다.2, in the four-bar link mechanism composed of the
한편, 투입동작(ON) 상태에서 인위적 차단동작(OFF)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은 상기 인위적 차단동작(OFF) 상태에서 투입동작(ON)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의 반대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of switching from the closing operation (ON) state to the artificial shutoff operation (OFF) state is the reverse of the process of switching from the artificial shutoff operation (OFF) state to the closing operation (ON) state.
다음으로, 투입동작(ON) 상태에서 사고에 의한 차단동작(TRIP)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한다.Next, a process of switching from a closing operation (ON) state to an accidental closing operation (TRIP) state will be described.
설명에 앞서, 투입동작(ON) 상태에 대해 별도로 도시하지 않는 대신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the ON state of the closing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instead of being separately shown.
투입동작(ON) 상태에서, 회로에 이상전류가 발생하면, 래치홀더(H)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62)를 걸림해제시키고, 이에 따라, 래치(62)는 래치 회동축(62a)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2스프링체결부(68a)에 좌측상방으로 작용하고 있던 스프링력은 래치(6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샤프트(7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결국 가동접촉자(20)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구동력으로 작용한다.When an abnormal current is generated in the circuit in the closing operation (ON) state, the latch holder H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to release the
따라서, 래치(62)와 로커(66)와 연결링크(70) 및 샤프트(74)로 구성되는 5절 링크기구에서, 래치(6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로커(66)는 로커 회동축(64)에 구속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동하고, 연결링크(70)는 제2스프링체결부(68a)가 포함된 핀(68)에 구속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동하고, 샤프트(7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샤프트(74)와 전달링크(90) 및 가동접촉자(20)로 구성되는 4절 링크기구에서, 전달링크(90)가 절연핀(180)에 구속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동하고, 가동접촉자(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고정접촉자(10)로부터 분리되어, 결국 사고에 의한 차단동작(TRIP) 상태가 된다.Thus, in the five-bar link mechanism composed of the
이 경우, 사고에 의한 차단동작(TRIP) 상태는, 도 2 대비, 핸들(4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있고 래치(62)가 래치홀더(H)로부터 구속해제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는 상태이다.In this case, the tripping state (TRIP) by the accident is such that the
한편, 사고에 의한 차단동작(TRIP) 상태에서 투입동작(ON)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은, 래치(62)가 다시 래치홀더(H)에 걸리도록, 핸들(4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2에 도시된 인위적 차단동작(OFF)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가 선행된다는 점만 차이가 날 뿐, 그 이후 과정은 상기 인위적 차단동작(OFF) 상태에서 투입동작(ON)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과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of switching from the tripping operation (TRIP) to the closing operation (ON) state by the accident causes the
이 과정에서, 절연핀(180)은 샤프트(74)와 전달링크(90)를 힌지결합시키고 절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In this process, the insulating
즉, 절연핀(18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형 마모방지부재(184)에서 샤프트 접속구(74c)와 힌지결합되고, 절연부재(182)의 양단에서 전달링크 접속구(90c)와 힌지결합되어, 샤프트(74)로부터 전달링크(90)로 구동력을 전달하게 하는 한편, 절연부재(182)에 의해 가동접촉자(20)로부터 전달링크(90)로 인가된 전류가 샤프트(74)로 흐르지 않도록 절연시켜 결국 샤프트(74)를 통한 특정 상에서 다른 상으로의 절연파괴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간 절연을 수행한다.3, the
또한, 절연핀(180)의 파이프형 마모방지부재(184)는 샤프트 접속구(74c)와 절연부재(182)의 샤프트(74)와의 접촉부위 사이에 설치되어 샤프트(74)보다 경도가 낮은 절연부재(182)를 보호함으로써 절연부재(182)의 샤프트(74)에 의한 마모를 방지한다.The pipe type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배선용 차단기는, 고정 설치되는 고정접촉자(10)와, 고정접촉자(10)에 접촉 및 분리되는 가동접촉자(20)와, 가동접촉자(20)를 개폐하는 개폐기구(130)를 포함하고, 개폐기구(130)는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74)와, 샤프트(74)로부터 가동접촉자(20)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링크(90)와, 샤프트(74)와 전달링크(90)를 힌지결합시키고 절연시키는 절연핀(180)을 포함하고, 절연핀(180)은 샤프트(74)와 접촉하는 부위에 마모방지부재(184)가 설치된다. 마모방지부재(184)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절연재질로 형성되는 절연부재(182)보다 내마모성이 큰 스테인리스스틸과 같은 재질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간 절연이 이루어지되, 샤프트(74)에 의한 절연핀(180)의 마모 및 파손이 억제되고, 절연핀(180)의 마모 및 파손에 의한 가동접촉자(20)와 고정접촉자(10) 간 접압력 감소 및 접점 저항 상승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배선용 차단기의 절연핀(180)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절연부재(182)와, 절연부재(182)의 샤프트(74)와 접촉하는 부위에 덧대어지도록 파이프로 형성되는 마모방지부재(184)를 포함하고, 마모방지부재(184)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절연부재(182)에 파고들게 변형됨으로써, 절연부재(182)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마모방지부재(184)가 절연부재(182)의 샤프트(74)와 접촉하는 부위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억제된다.The insulating
10: 고정접촉자 20: 가동접촉자
22: 가동접촉자 회동축 30: 개폐기구
40: 핸들 42: 제1스프링체결부
50: 인장스프링 62: 래치
62a: 래치 회동축 64: 로커 회동축
66: 로커 68: 핀
68a: 제2스프링체결부 70: 연결링크
74: 샤프트 74a: 샤프트 회동축
74b: 샤프트 암 74c: 샤프트 접속구
80: 핀 90: 전달링크
90c: 전달링크 접속구 130: 개폐기구
160: 링크장치 180: 절연핀
182: 절연부재 184: 마모방지부재
280: 다른 방식으로 형성된 절연핀 282: 돌기부에 덧씌워지는 절연부재
282a: 홈부 284: 돌기부를 구비한 마모방지부재
284a: 샤프트 접속구 접촉부 284b: 돌기부
C: 케이스 H: 래치홀더10: stationary contactor 20: movable contactor
22: movable contact rotating shaft 30: opening / closing mechanism
40: handle 42: first spring engagement portion
50: tension spring 62: latch
62a: latch rotating shaft 64: rocker rotating shaft
66: locker 68: pin
68a: second spring fastening part 70: connecting link
74:
74b:
80: pin 90: transmission link
90c: transmission link connection port 130: opening / closing mechanism
160: Link device 180: Insulation pin
182: Insulation member 184: Wear prevention member
280: Insulation pin formed in a different manner 282: Insulation member overlaying the protrusion
282a: a groove portion 284: a wear prevention member having a projection portion
284a: Shaft connection
C: Case H: Latch holder
Claims (6)
상기 고정접촉자에 접촉 및 분리되는 가동접촉자; 및
상기 가동접촉자를 개폐하는 개폐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기구는,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로부터 상기 가동접촉자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링크; 및
상기 샤프트와 전달링크를 힌지결합시키고 절연시키는 핀;을 포함하고,
상기 핀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절연부재; 및
파이프로 형성되어 상기 절연부재의 상기 샤프트와 접촉하는 부위에 덧대어지는 마모방지부재;를 포함하는 배선용 차단기.A stationary contactor fixedly installed;
A movable contact that contacts and separates from the fixed contact; And
And an opening / closing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ovable contact,
The opening /
A shaft rotatably installed;
A transmission link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from the shaft to the movable contact; And
And a pin for hinging and insulating the shaft and the transmission link,
The pin
An insulating member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nd a wear-resistant member formed as a pipe and padded on a portion of the insulating member in contact with the shaft.
상기 마모방지부재는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절연부재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배선용 차단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abrasion preventing member is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insulating member so as not to be detached.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마모방지부재에 삽입되고,
상기 마모방지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상기 절연부재에 파고들게 변형되는 배선용 차단기.The method of claim 3,
The insulat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wear prevention member,
Wherein at least one end of the wear preventing member is deformed into the insulating member.
상기 마모방지부재는 상기 절연부재보다 내마모성이 큰 재질로 형성되는 배선용 차단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brasion preventing member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abrasion resistance than the insulating member.
상기 절연부재는 폴리에틸렌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마모방지부재는 스테인리스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배선용 차단기.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insulating member is formed of a polyethylene material,
Wherein the abrasion preventing member is made of stainless steel.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24176A KR101494792B1 (en) | 2013-10-17 | 2013-10-17 | Circuit braker |
EP14178960.2A EP2871653B1 (en) | 2013-10-17 | 2014-07-29 | Circuit breaker |
ES14178960.2T ES2632918T3 (en) | 2013-10-17 | 2014-07-29 | Circuit breaker |
US14/448,804 US9425004B2 (en) | 2013-10-17 | 2014-07-31 | Reinforced pin which hinge couples a rotatable shaft to the transfer link in a circuit breaker |
JP2014173751A JP6018144B2 (en) | 2013-10-17 | 2014-08-28 | Circuit breaker for wiring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in for opening / closing mechanism thereof |
BR102014021527-1A BR102014021527B1 (en) | 2013-10-17 | 2014-08-29 | circuit switch |
IN2810DE2014 IN2014DE02810A (en) | 2013-10-17 | 2014-10-01 | |
CN201410555581.5A CN104576234B (en) | 2013-10-17 | 2014-10-17 | Circuit breaker and production method of pin for circuit breaker's switching mechanis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24176A KR101494792B1 (en) | 2013-10-17 | 2013-10-17 | Circuit brak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94792B1 true KR101494792B1 (en) | 2015-02-23 |
Family
ID=52594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24176A Active KR101494792B1 (en) | 2013-10-17 | 2013-10-17 | Circuit brak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94792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35954A (en) * | 1995-02-28 | 1996-09-13 | Fuji Electric Co Ltd | Switch operating mechanism |
KR20040079137A (en) * | 2003-03-06 | 2004-09-14 | 엘지산전 주식회사 | Moled case circuit breaker |
KR20110044622A (en) * | 2009-10-23 | 2011-04-29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Circuit breaker with arc shield |
-
2013
- 2013-10-17 KR KR20130124176A patent/KR10149479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35954A (en) * | 1995-02-28 | 1996-09-13 | Fuji Electric Co Ltd | Switch operating mechanism |
KR20040079137A (en) * | 2003-03-06 | 2004-09-14 | 엘지산전 주식회사 | Moled case circuit breaker |
KR20110044622A (en) * | 2009-10-23 | 2011-04-29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Circuit breaker with arc shiel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71922B1 (en) | Air circuit breaker | |
US7956307B2 (en) | Circuit breaker having automatic release linkage | |
CA2714918C (en) |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linking assembly therefor | |
CA2714920C (en) |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charging assembly therefor | |
US8053695B2 (en) | Time delay output apparatus for circuit breaker | |
CN107887236B (en) | Operating mechanism of miniature circuit breaker | |
US20090128265A1 (en) | Secondary trip system for circuit breaker | |
KR101395151B1 (en) | Spring operation device for circuit breaker and circuit breaker | |
RU2357315C1 (en) | Automatic air circuit-breaker and link for this device | |
US9425004B2 (en) | Reinforced pin which hinge couples a rotatable shaft to the transfer link in a circuit breaker | |
CN102194617B (en) | Switching device | |
KR101494792B1 (en) | Circuit braker | |
EP2874172B1 (en) | Circuit breaker with input load increasing means | |
KR101513206B1 (en) | Production method for circuit braker's switching mechanism and press for the same | |
CN118765434A (en) | Load Break Assemblies | |
US9570262B1 (en) | Apparatus and methods for a circuit breaker positive-off stop feature | |
JP7358201B2 (en) | Vacuum circuit breaker operating mechanism | |
CN221427655U (en) | Circuit breaker assembly | |
CN104303252B (en) | Circuit-breaker | |
US9576761B2 (en) | Circuit breaker crossbar assembly | |
JP7331803B2 (en) | circuit breaker | |
KR200398419Y1 (en) | Multiple Link Operating Mechanism for Vacuum Circuit Breaker | |
JP2018181515A (en) | Vacuum circuit breaker | |
KR20200102272A (en) | Exterior Operation Device of Molded Case Circuit Breaker | |
AU2016200621B2 (en) | An electrical switchgear mechanis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