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93875B1 - 좌변기 - Google Patents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875B1
KR101493875B1 KR20120132893A KR20120132893A KR101493875B1 KR 101493875 B1 KR101493875 B1 KR 101493875B1 KR 20120132893 A KR20120132893 A KR 20120132893A KR 20120132893 A KR20120132893 A KR 20120132893A KR 101493875 B1 KR101493875 B1 KR 101493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user
present
seated
toil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20132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5885A (ko
Inventor
김영주
김신희
Original Assignee
김영주
김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주, 김신희 filed Critical 김영주
Priority to KR20120132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3875B1/ko
Publication of KR20140065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87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2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of plast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4Buffers for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변기에 앉을 때, 무릎을 많이 구부리지 않고 다리를 많이 벌리지 않으며 또한 허리에 많은 힘을 주지 않고도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좌변기 특히, 근력 특히 하체 또는 허리의 힘이 약한 노약자가 용변을 보기 용이한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좌변기에 있어서, 좌변기의 본체(10')의 상부면 중간 부분을 중심으로 사용자의 둔부(臀部)가 안착되는 좌변기의 본체(10')의 후방 부분으로 가면서 높이가 높아져서, 사용자가 착석하였을 때 무릎의 각도가 둔각 상태로 구부려지는 높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10)이다.
본 발명은 근력 특히 하체 또는 허리의 힘이 약한 노약자가 용변을 보기 위해 좌변기에 앉을 때, 무릎을 많이 구부리지 않고 다리를 많이 벌리지 않아 무릎과 허리에 많은 힘을 주지 않고도 앉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약자가 좌변기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이를 통해 노약자가 용변 보는 것을 기피함으로 인해 변비가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좌변기{TOILET BOWL}
본 발명은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변기에 앉을 때, 무릎을 많이 구부리지 않고 다리를 많이 벌리지 않으며 또한 허리에 많은 힘을 주지 않고도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좌변기 특히, 근력 특히 하체 또는 허리의 힘이 약한 노약자가 용변을 보기 용이한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는 걸터앉아서 대소변을 보게 되어 있는 수세식(水洗式) 변기이며, 이러한 좌변기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된 좌대가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은, 종래 좌변기의 구조를 살펴보면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1) 상부면 후방에 힌지 결합된 좌대(2)가 힌지를 중심으로 들어 올려지거나 내려져서 좌변기 상방에 안치된다.
이와 같은 종래 좌변기(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해 앉을 경우, 무릎이 심하게 구부려지게 되며, 그 과정에서 허리 역시 힘이 심하게 가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무릎이 심하게 구부려지거나 허리에 힘이 심하게 가해지는 동작은 노약자에게 있어서는 여간 어렵고 힘든 동작이 아닐 수 없다. 이처럼 노약자에게 있어서 좌변기에 앉는 일은 어렵고 힘든 동작일 뿐 아니라, 무척이나 두려운 동작이므로 용변 보기를 기피하게 되며, 이에 따라 변비를 유발시키는 2차적인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노약자가 좌변기에 앉는 동작을 돕기 위해 좌변기 양쪽에 난간을 설치하여, 좌변기에 앉거나 일어설 때 팔로 지탱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소개되었으나, 이러한 경우 소정의 영역을 확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일반인들은 상기 난간이 간섭으로 작용하여 사용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청소년의 평균 신장이 증대됨에 따라 변기의 높이도 증대되는 것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고자 창출된 것으로, 좌변기에 앉을 때, 무릎을 많이 구부리지 않고 다리를 많이 벌리지 않으며 또한 허리에 많은 힘을 주지 않고도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좌변기 특히, 근력 특히 하체 또는 허리의 힘이 약한 노약자가 용변을 보기 용이한 좌변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좌변기에 있어서, 좌변기의 본체(10')의 상부면 중간 부분을 중심으로 사용자의 둔부(臀部)가 안착되는 좌변기의 본체(10')의 후방 부분으로 가면서 높이가 높아져서, 사용자가 착석하였을 때 무릎의 각도가 둔각 상태로 구부려지는 높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10)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근력 특히 하체 또는 허리의 힘이 약한 노약자가 용변을 보기 위해 좌변기에 앉을 때, 무릎을 많이 구부리지 않고 다리를 많이 벌리지 않아 무릎과 허리에 많은 힘을 주지 않고도 앉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약자가 좌변기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이를 통해 노약자가 용변 보는 것을 기피함으로 인해 변비가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좌변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실시예의 개폐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인 좌변기(10)는 첨부 도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에 있어서, 상부면 중간 부분을 중심으로 사용자의 둔부(臀部)가 안착되는 후방 부분으로 가면서 높이가 높아져서, 사용자가 착석하였을 때 무릎의 각도가 둔각 상태로 구부려지는 높이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인 좌변기(10)는 기본적으로 통상의 좌변기의 높이보다 5~10cm 높은 높이를 가진 것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인 좌변기(10)는 착석시 무릎의 구부러진 각도가 둔각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으로, 그 한정되는 예는 90도를 초과하고 150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높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한정된 높이는 규격화된 좌변기에 150cm ~ 185cm의 신장을 가진 자가 착석하였을 때로 한정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좌변기(10)는 상부면 중간 부분에서 전방과 후방으로 갈수록 경사지면서 높아질 수도 있다.
상기 좌변기(10)가 후방으로 가면서 상향 경사진 것은 착석의 용이함을 유도하는 한편, 착석시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후방이 눌려지는 것을 고려하고, 후방이 눌려졌을 때 착석자가 뒤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안정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좌변기(10)가 전방으로 가면서 상향 경사진 것은 착석 후 전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일 수 있다.
상기에서, 전방과 후방으로 경사지는 중간 부분의 경계는 실시예적으로 전체 길이의 1/3 또는 1/4 전방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방부분과 전방부분의 높이 비율은 중간 부분을 1로 보았을 3:2일 수 있다. 예컨대, 후방부분의 최대 높이에 위치하는 후방 선단부가 6cm일 경우 전방 선단부 부분은 4cm이다. 또한, 후방부분의 최대 높이에 위치하는 후방 선단부가 18cm일 경우 전방 선단부 부분은 12cm이다.
또한, 상기 후방부분과 전방부분의 높이 비율은 중간 부분을 1로 보았을 3:2.5일 수 있다. 예컨대, 후방부분의 최대 높이에 위치하는 후방 선단부가 6cm일 경우 전방 선단부 부분은 5cm이다. 또한, 후방부분의 최대 높이에 위치하는 후방선 단부가 18cm일 경우 전방 선단부 부분은 15cm이다.
이때, 상기 좌변기(10)는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후방 부분은 중간 부분에서부터 상향 경사진 각도 보다는 완만한 경사각 또는 수평상태로 이루어진 구간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중간 부분에서부터 상향 경사지는 각도가 10~20도일 경우,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후방 부분은 2~5도이거나, 0도 즉 수평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좌변기(10)의 전방 부분은 소변이 튀거나 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향 돌출부(10a)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인 좌변기(10)의 상부면 경사진 부분은 좌변기 본체(10')의 상부 테두리 부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인 좌변기(10)는 후방 상부면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는 좌대(11)와 덮개(15)가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좌대(11)는 좌변기(10) 상부면 테두리가 가진 형상과 경사진 상태를 그대로 가지며 좌변기(10) 상부면에 안착되는 착석체로서, 경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고, 경질의 합성수지 패드 상부면에 쿠션체가 마련된 것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쿠션체는 예시적으로 스펀지 또는 발포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되, 외피는 합성수지 또는 가죽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대(11)를 본 발명인 좌변기의 본체(10')에 내려 안치시킨다.
상기와 같이, 좌변기의 본체(10')에 좌대(11)가 안치된 상태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석하게 되면, 좌변기(10)의 후방이 높기 때문에 착석하였을 때, 무릎의 각도가 90도를 초과하고 150도 이내의 범위로 굽혀지게 된다.
따라서, 근력 특히 하체 또는 허리의 힘이 약한 노약자가 용변을 보기 위해 좌변기에 앉을 때, 무릎을 많이 구부리지 않게 되므로, 무릎과 허리에 많은 힘을 주지 않고도 좌변기(10)에 앉을 수 있는바, 노약자가 좌변기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좌대(11)가 쿠션체로 이루어지게 되면, 사용자의 상체가 위치하게 되는 후방 부분에 체중이 집중되므로, 후방이 상대적으로 많이 눌려지게 되는데, 이때 균형감각이 떨어지는 노약자는 뒤로 넘어갈 우려가 있으나, 본 발명인 좌변기(10)는 후방으로 가면서 경사지게 높아져서, 노약자에 대한 착석의 용이함을 유도하는 한편, 착석시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후방이 눌려지는 것을 고려하여, 후방이 눌려졌을 때 착석자가 뒤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인 좌변기(10)는 전방으로 가면서 상향 경사져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착석 후 전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후방 부분이 중간 부분에서부터 상향 경사진 각도 보다는 완만한 경사각 또는 수평상태로 이루어진 구간을 갖는다. 예컨대, 중간 부분에서부터 상향 경사지는 각도가 10~20도일 경우,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후방 부분은 2~5도이거나 0도 즉 수평 상태이다.
이와 같이 되면, 사용자가 착석하였을 때, 경사진 부분을 따라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좌변기(10)에 사용자가 착석 시 양쪽 허벅지가 위치하는 전방 측면의 좌변기 본체(10') 부분에 내측으로 만곡진 홈(13)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되면, 사용자가 다리를 넓게 벌리지 않고도 착석 가능하여 높이 상승에 따른 착석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노약자 특히, 하체에 힘이 없는 노인 또는 신장이 작은 사용자가 사용함에 있어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10) 본체의 상부면에 마련되는 좌대(11)의 전방 부분이 절결되어 배뇨 시 본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10)의 상부면 중간 부분을 중심으로 사용자의 둔부(臀部)가 안착되는 후방 부분으로 가면서 경사지면서 높이가 높아지거나, 중간 부분을 중심으로 전방과 후방으로 가면서 경사지면서 높이가 높아지는 부분은 좌대(11) 그 자체일 수도 있다.
즉, 좌변기 본체(10')는 통상의 좌변기이며, 그 상부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를 통해 안치되는 좌대(11)가 상기와 같은 경사면을 가지며 후방으로 가면서 경사지면서 높아지거나 후방과 전방으로 가면서 경사지면서 높아지는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또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대(11)가 힌지를 중심으로 뒤로 회전하여 세울 수도 있고, 내려서 좌변기 본체(10') 상부면에 안치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좌대(11)의 후방 상부면에 덮개(15)가 힌지 결합되어, 개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통상의 좌변기에 본 발명의 좌대(11)를 적용하여 사용 가능 즉, 기존의 좌변기를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 확보가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노약자용 좌변기 좌대로 한정하였으나, 이를 일반 청소년이나 성인이 사용하여도 무방하므로, 꼭 노약자가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노약자용 좌변기 좌대 10' : 좌변기 본체
10a : 돌출부(전방) 11 : 좌대
13 : 홈 15 : 덮개

Claims (5)

  1. 좌변기(10)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10)는 상부면 중간 부분을 중심으로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후방 부분으로 가면서 높이가 높아지거나 중간 부분을 중심으로 전방과 후방 부분으로 가면서 높이가 높아져서, 사용자가 착석하였을 때 무릎의 각도가 둔각 상태로 구부려지는 높이를 제공하되, 상기 좌변기(10)에 사용자가 착석 시 양쪽 허벅지가 위치하는 전방 측면의 좌변기 본체(10') 부분에 내측으로 만곡지되, 하방으로 가면서 경사진 홈(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10)는 착석시 무릎의 구부러진 각도가 둔각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으로, 그 한정되는 예는 무릎의 굽혀진 정도가 90도를 초과하고 150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높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10)는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후방 부분은 중간 부분에서부터 상향 경사진 각도 보다는 완만한 경사각 또는 수평상태로 이루어진 구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10)의 상부면 중간 부분을 중심으로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후방 부분으로 가면서 경사지면서 높이가 높아지거나, 중간 부분을 중심으로 전방과 후방으로 가면서 경사지면서 높이가 높아지는 부분은 좌대(11) 그 자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KR20120132893A 2012-11-22 2012-11-22 좌변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493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2893A KR101493875B1 (ko) 2012-11-22 2012-11-22 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2893A KR101493875B1 (ko) 2012-11-22 2012-11-22 좌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885A KR20140065885A (ko) 2014-05-30
KR101493875B1 true KR101493875B1 (ko) 2015-02-17

Family

ID=50892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32893A Expired - Fee Related KR101493875B1 (ko) 2012-11-22 2012-11-22 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38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49168A (zh) * 2016-01-22 2016-06-08 唐永明 一种斜蹲式马桶
JP6952553B2 (ja) * 2017-09-28 2021-10-20 株式会社Lixil 便器
GB2586776A (en) * 2019-06-28 2021-03-10 Standard Prod Ltd Toilet with an inclined seating surfa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2166U (ko) * 1989-09-29 1991-05-21
JP2005028074A (ja) * 2003-07-10 2005-02-03 Hiroki Yasuda 排便排尿を容易にし、姿勢をよくするための便座
KR200414375Y1 (ko) 2005-12-12 2006-04-20 전철균 좌변기 좌대
JP2011156279A (ja) * 2010-02-03 2011-08-18 Toto Ltd 腰掛便座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2166U (ko) * 1989-09-29 1991-05-21
JP2005028074A (ja) * 2003-07-10 2005-02-03 Hiroki Yasuda 排便排尿を容易にし、姿勢をよくするための便座
KR200414375Y1 (ko) 2005-12-12 2006-04-20 전철균 좌변기 좌대
JP2011156279A (ja) * 2010-02-03 2011-08-18 Toto Ltd 腰掛便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885A (ko)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3846A (en) Foot rest for toilet
KR101352684B1 (ko) 거동 불편자용 목욕의자
KR101493875B1 (ko) 좌변기
KR200487119Y1 (ko) 양변기용 발받침대
CN101153499A (zh) 一种多功能马桶
KR101494666B1 (ko) 노약자용 좌변기 좌대
KR102514112B1 (ko) 반신욕조
JP7253843B2 (ja) オストメイト対応型便座
JP2013236907A (ja) 男性の座り小便用の尻載せ台及び便座
CN204319207U (zh) 助行坐便椅
KR20190004543A (ko) 배변 자세 교정용 변기 조립체
JP6161976B2 (ja) 便座及びその便座を備えたポータブルトイレ
CN210887490U (zh) 理疗蹲坐一体式马桶
JP7004287B2 (ja) オストメイト及び健常者共用の便座
KR101252293B1 (ko) 듀얼 지지형의 변기용 시트
JP6923398B2 (ja) クッションおよび車椅子
KR101016723B1 (ko) 자세 교정을 위한 기능성 매트
KR100493738B1 (ko) 좌변기
JP2021037101A (ja) 洋式便器用の排便支援装置
TWM514292U (zh) 馬桶墊
AU2010358605A1 (en) Anococcygeal support
TWM547359U (zh) 傾斜式馬桶蓋
CN207244764U (zh) 一种蹲坐两用水冲便器
CN210471603U (zh) 一种老人用沙发
CN212788374U (zh) 一种坐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305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2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81025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