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92638B1 - Machining center with table automatic transfer - Google Patents

Machining center with table automatic transf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2638B1
KR101492638B1 KR20080123992A KR20080123992A KR101492638B1 KR 101492638 B1 KR101492638 B1 KR 101492638B1 KR 20080123992 A KR20080123992 A KR 20080123992A KR 20080123992 A KR20080123992 A KR 20080123992A KR 101492638 B1 KR101492638 B1 KR 101492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workpiece
machining center
signal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0801239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65595A (en
Inventor
박성준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123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2638B1/en
Publication of KR20100065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55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638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009Energy-transferring means or control lines for movable machine parts; Control panels or boxes; Control parts
    • B23Q1/0045Control panels or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54Arrangements or details not restricted to group B23Q5/02 or group B23Q5/22 respectively, e.g. control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using manual data input [MDI] or by using control panel, e.g. controlling functions with the panel; characterised by control panel details or by setting paramet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5Nc in input of data, input till input file format
    • G05B2219/35439Keys or butt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가 조그나 핸들 또는 프로그램으로 반복 행위를 하지 않아도 간단한 키 조작만으로 가공물을 원하는 공급 위치나 공작 위치로 이송이 가능한 테이블 자동 이송장치를 구비한 머시닝 센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chining center having a table automatic transfer device capable of transferring a workpiece to a desired supply position or a workpiece position with a simple key operation even if the operator does not repeatedly perform a jog or a handle or a program.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테이블 자동 이송장치를 구비한 머시닝 센터는, 가공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가공물을 가공 위치로 이송하는 테이블, 테이블을 동작시키는 서보 모터, 서보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서보 제어부, 가공물 공급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원터치 선택버튼을 구비한 제어창, 가공 위치와 각 가공물 공급부 사이의 이동을 위한 이동 시퀀스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 및 원터치 선택버튼에서 발생된 선택신호에 따라 메모리부에 저장된 이동 시퀀스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를 호출하고, 호출된 이동 시퀀스 프로그램에 따라 서보 제어부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 servomotor for operating the table; a servo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servomotor; a workpiece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workpiece to the workpiece supply unit; A memory unit in which a control window having a one-touch selection button for selection, a movement sequence program for movement between a processing position and each workpiece supply unit is stored, and a movement sequence program stored in a memory unit according to a selection signal generated from the one- And a mai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rvo control unit in accordance with the called movement sequence program.

머시닝 센터, 공작물, 테이블, 원터치 선택버튼, 이동 시퀀스 프로그램 Machining center, workpiece, table, one-touch selection button, movement sequence program

Description

테이블 자동 이송장치를 구비한 머시닝 센터{Machining center having automatic table transfer apparatus}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chining center having a table automatic transfer device,

본 발명은 공작기계의 일종인 머시닝 센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조그나 핸들 또는 프로그램으로 반복 행위를 하지 않아도 간단한 키 조작만으로 가공물을 원하는 공급 위치나 공작 위치로 이송이 가능한 테이블 자동 이송장치를 구비한 머시닝 센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chining center, which is a type of machine to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chining center which is a kind of machine to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chining center which is capable of automatically transferring a workpiece to a desired supply position or a workpiece position by a simple key operation even if a worker does not repeatedly perform a jo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chining center having an apparatus.

머시닝 센터는 가공물을 자동으로 가공할 수 있는 수치제어 복합 공작기계로서, 복수개의 공구를 수용하는 공구 매거진 장치를 이용해 가공면에 필요한 공구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절삭, 천공, 구멍 넓히기, 연마 등의 각종 작업공정이 한 대의 기계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한다.A machining center is a numerical control complex machine tool that can automatically process workpieces. It uses a tool magazine device that accommodates a plurality of tools to automatically supply the necessary tools to the machined surface to perform machining operations such as cutting, drilling, The work process is done by one machine.

또한, 가공물(즉, 가공 대상물)을 공급하는 가공물 공급부를 구비하여, 각 공정시마다 가공물 공급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가공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고, 이와 같이 공급된 가공물을 가공 위치로 이송함으로써 가공면에 필요한 공구에 의해 가공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workpiece supply unit for supplying a workpiece (that is, a workpiece) is provided so that the workpiece can be supplied from any one of the workpiece supply units at each step, and the supplied workpiece is transferred to the machining position, To be machined by a tool.

이때, 머시닝 센터는 가공물을 가공물 공급부로부터 가공 위치까지 이송할 수 있도록 테이블을 포함하는데, 이 테이블은 가공물 공급부로부터 투입된 가공물을 그 상부면에 적재한 다음, 가공이 이루어지는 가공 위치까지 이송한다. 물론, 가공 위치까지 이동한 다음에는 가공이 완료될 때까지 가공물을 고정하기도 한다.At this time, the machining center includes a table so that the workpiece can be transferred from the workpiece supply section to the machining position. The workpiece is loa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piece supply section, and then transferred to the machining position where machining is performed. Of course, after moving to the machining position, the workpiece is fixed until machining is completed.

한편, 종래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테이블의 이송을 위해서, 해당 테이블을 서보 모터 등과 같은 소정의 구동장치와 연결하고, 구동장치는 조작반 내에 설치된 조그(jog)나 핸들 혹은 조작 버튼 등과 연결함으로써, 작업자의 조작 순서에 따라 테이블이 이송되도록 하였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transfer the table as described above, the table is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drive device such as a servo motor, and the drive device is connected to a jog, a handle, or an operation button provided in the operation panel, The table was transferr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sequence.

그러나, 작업자가 조그나 핸들 혹은 조작 버튼을 조작하여 테이블을 이송시, 가공 위치와 그 주변에 위치한 가공물 공급부 사이에 존재하는 이동 경로에 맞추어 다단계의 조작이 필요하여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operator operates the jogs or the handle or the operation button to transfer the table, a multi-step operation is requir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path existing between the processing position and the workpiece supply part located around the processing position, .

또한, 가공물이 테이블 상의 정위치에 정확히 적재되거나, 그 적재된 가공물이 가공 위치에 정확히 위치되도록, 작업자는 머시닝 센터를 직접 확인하면서 조그나 핸들 혹은 조작 버튼 등을 조작해야 하므로, 정밀한 조작에 어려움이 있음은 물론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worker must accurately handle the jog, the handle, or the operation button while confirming the machining center directly so that the workpiece is accurately placed in the correct position on the table or the loaded workpiece is accurately positioned at the machining pos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work.

게다가, 머시닝 센터의 도어가 열려 있거나, 공구가 공작물의 가공을 위해 동작되고 있는 등 테이블을 이동시켜서는 안되는 상황 발생시, 작업자에게 이를 경고할 수 있는 수단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아 안전상 문제가 있음은 물론, 가공물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re is a situation where the door of the machining center is opened or the tool is not operated for machining the workpiece, there is no separate means to warn the operat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piece may be damaged.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간단한 버튼 조작만으로 가공물의 공급 위치나 공작 위치로 테이블이 자동 이송됨에 따라 작업시간이 단축됨은 물론, 프로그램화된 이동 시퀀스에 따라서 테이블이 이송됨에 따라 정확하면서도 안전한 작업이 가능한 테이블 자동 이송장치를 구비한 머시닝 센터를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oving a table to a supply position or work position of a workpiece by a simple button operation, And to provide a machining center equipped with a table automatic transfer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ccurate and safe work as it is transferred.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자동 이송장치를 구비한 머시닝 센터(100)는, 각각 가공물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공물 공급부; 상기 가공물 공급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가공물을 공급받아 가공 위치로 이송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을 동작시키는 서보 모터(120); 상기 서보 모터(1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서보 제어부(130); 상기 가공물 공급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원터치 선택버튼(111)을 구비한 제어창(control window, 110); 상기 가공 위치와 각 가공물 공급부 사이의 이동을 위한 이동 시퀀스(moving sequence) 프로그램이 각각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140); 상기 원터치 선택버튼(111)에서 발생된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이동 시퀀스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를 호출하고, 상기 호출된 이동 시퀀스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서보 제어부(130)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160); 및 상기 가공물을 가공하는데 사용되는 주변장치의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메인 제어부(160)에 제공하는 신호입력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주변장치의 상태 신호는, 머시닝 센터의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 또는 공구를 동작시키는 공구용 모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이며, 상기 메인 제어부(160)는 상기 주변장치의 상태 신호를 판독하여, 머시닝 센터의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 또는 공구를 동작시키는 공구용 모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테이블의 이송 제한을 위한 인터록(inter-lock)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인터록 신호를 상기 서보 제어부(130)에 제공하며, 상기 서보 제어부(130)는 상기 메인 제어부(160)로부터 상기 인터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보 모터(120)가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machining center 100 having the automatic tabl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one workpiece supply unit for supplying workpieces; A table for receiving a workpiece from one of the workpiece supply units and transferring the workpiece to a machining position; A servo motor (120) for operating the table; A servo control unit 13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servo motor 120; A control window 110 having a one-touch selection button 111 for selecting one of the workpiece supply units; A memory unit 140 in which a moving sequence program for moving between the machining position and each workpiece supply unit is stored;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servo control unit 130 according to the called sequence sequence program by calling any one of the mobile sequence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unit 140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one- A control unit 160; And a signal input unit 150 for receiving a status signal of a peripheral device used to process the workpiece and providing the signal to the main control unit 160. The status signal of the peripheral device includes a door opening / The main control unit 160 reads the status signal of the peripheral device and determines whether the door of the machining center is open or closed or the tool is operated Generates an interlock signal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tab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tor for the tool and provides the generated interlock signal to the servo control unit 130. The servo control unit 130 When the interlock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 unit 160, the servo motor 120 is controlled not to operate.

이때,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메인 제어부(160)는 도어가 열려 있거나 또는 공구용 모터가 동작 중인 경우, 상기 인터록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control unit 160 may generate the interlock signal when the door is open or a motor for a tool is in operation.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제어창(110)은, 상기 원터치 선택버튼(111); 상기 이동 시퀀스 프로그램의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원터치 선택버튼(111)을 통한 선택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목록 중 어느 하나가 하이라이트(high-light)되는 선택확인 표시창(112); 상기 원터치 선택버튼(111)을 통한 선택에 따라 상기 테이블이 이동될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테이블을 포함한 머시닝 센터의 가상 이미지를 제공하는 가상 머시닝 센터 표시창(113); 및 상기 신호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된 상기 주변장치의 상태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정보창(1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window 110 includes the one-touch selection button 111; A selection confirmation window 112 in which a list of the movement sequence programs is displayed and in which one of the displayed lists is highlighted according to a selection through the one-touch selection button 111; A virtual machining center display window 113 for providing a virtual image of a machining center including the table so as to display a state in which the table is to be moved according to selection through the one-touch selection button 111; And an information window 114 for displaying status signals of the peripheral devices input through the signal input unit 150. [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자동 이송장치를 구비한 머시닝 센터는 간단한 버튼 조작만으로 가공물의 공급 위치나 공작 위치로 테이블이 자동 이송됨에 따라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achining center equipped with the automatic tabl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hortening the working time as the table is automatically transferred to the supply position or the work position of the workpiece by a simple button operation.

또한, 프로그램화된 이동 시퀀스에 따라서 테이블이 이송됨에 따라 정확하면서도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게 한다.Also, as the table is transferred according to the programmed movement sequence, accurate and safe operation is possib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자 동 이송장치를 구비한 머시닝 센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machining center having a table automatic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자동 이송장치를 구비한 머시닝 센터의 제어창을 나타낸 제1상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자동 이송장치를 구비한 머시닝 센터의 제어창을 나타낸 제2상태도이며,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자동 이송장치를 구비한 머시닝 센터의 제어창을 나타낸 제3상태도이다. FIG. 1A is a first state view showing a control window of a machining center having a table automatic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second state view showing a control window of a machining center having a table automatic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C is a third state diagram showing a control window of a machining center having a table automatic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머시닝 센터(100)는 작업자가 테이블(미도시)의 이송을 조작하는데 사용되는 제어창(control window, 110)을 포함한다.1A to 1C, a machining cen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window 110 used by an operator to manipulate the transfer of a table (not shown).

제어창(110)은 조작반(미도시) 내에 설치된 것으로, 원터치 선택버튼(111)과, 선택확인 표시창(112)과, 가상 머시닝 센터 표시창(113) 및 정보창(114)을 포함한다.The control window 110 is installed in an operation panel (not shown) and includes a one-touch selection button 111, a selection confirmation window 112, a virtual machining center display window 113 and an information window 114.

여기서, 원터치 선택버튼(111)은 가공물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공물 공급부(미도시) 중 어느 하나를 작업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가공물 공급부와 일대일로 대응되는 복수 개의 버튼들로 이루어진다. 또한, 각 버튼들은 터치 센서를 내장하고 있어서 작업자가 버튼을 터치하는 단순한 동작에 의해 가공물 공급부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one-touch selection button 111 allows the operator to select any one of at least one or more workpiece supply units (not shown) for supplying workpieces, and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buttons corresponding one-to-one with the workpiece supply unit. In addition, each button has a built-in touch sensor, so that the workpiece supply unit can be selected by a simple operation that an operator touches a button.

선택확인 표시창(112)은 작업자가 상기 원터치 선택버튼(111)을 통해 선택한 가공물 공급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영역으로, 테이블이 가공물 공급부나 가공 위치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이동 시퀀스 프로그램 목록을 나열한다. 또한, 이동 시퀀스 프로그램 목록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하이라이트(highlight) 하고, 선 택된 테이블 위치명을 표시 및 하이라이트 한다.The selection confirmation display window 112 is an area for displaying the workpiece supply unit selected by the operator through the one-touch selection button 111, and lists the movement sequence program necessary for the table to move to the workpiece supply unit or the machining position. Also, any selected one of the moving sequence program list is highlighted, and the selected table position name is displayed and highlighted.

가상 머시닝 센터 표시창(113)은 테이블을 구비한 머시닝 센터의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실제 머시닝 센터와 동일 혹은 유사한 이미지로 이루어진 가상 머시닝 센터(113a)와, 실제 테이블과 동일 혹은 유사한 이미지로 이루어진 가상 테이블(113b)을 포함한다.The virtual machining center display window 113 displays a virtual image of a machining center having a table. The virtual machining center display window 113 includes a virtual machining center 113a having the same or similar image as the actual machining center, And a table 113b.

아울러, 작업자가 원터치 선택버튼(111)을 통해 선택한 테이블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가상 테이블(113b)이 해당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즉, 원터치 선택버튼(111)을 통해 선택된 테이블의 위치에 동기하여 가상 테이블(113b)의 화면 역시 변화한다.In addition, the virtual table 113b can be moved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so that the operator can confirm the position of the table selected through the one-touch selection button 111. [ That is, the screen of the virtual table 113b is also chang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position of the table selected through the one-touch selection button 111. [

정보창(114)은 공작물의 가공에 사용되는 각종 주변장치(미도시)의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도어(미도시)의 열림 혹은 닫힘 상태 및 공작물을 가공하는 공구(미도시)의 동작 상태 등과 같은 주변장치의 상태 정보를 작업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주변장치의 상태 정보 이외에 각종 경고 신호나 머시닝 센터의 작동에 필요한 도움말을 제공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window 114 displays status information of various peripheral devices (not shown) used in the machining of the workpiece. The information window 114 displays an open or closed state of a door (not shown), an operating state of a tool (not shown) And provides status information of the same peripheral device to the operator. In addition to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device, various warning signals and help for operating the machining center can be provided.

예를 들어, 도 1a는 실제 테이블이 공구가 설치된 가공 위치의 직하부에 위치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원터치 선택버튼(111) 중 'CENTER' 버튼이 선택됨에 따라, 선택확인 표시창(112)의 이동 시퀀스 프로그램 목록 중 'CENTER MOVING PROGRAM'이 하이라이트 됨과 동시에 'SELECTED TABLE POSITION'은 'CENTER'로 표시되고, 가상 머시닝 센터 표시창(113)의 가상 테이블(113b)은 가상 머시닝 센터(113a)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정보창(114)에는 그때의 주변장치 상태 정보 등이 표시된다.For example, FIG. 1A shows a case where the actual table is located directly below the processing position where the tool is installed. As the 'CENTER' button of the one-touch selection button 111 is selected, The 'SELECTED TABLE POSITION' is displayed as 'CENTER' while the virtual table 113b of the virtual machining center display window 113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virtual machining center 113a, while 'CENTER MOVING PROGRAM' And the peripheral device status information at that time is displayed in the information window 114. [

그리고, 도 1b는 실제 테이블이 좌측(도면 기준)에 위치한 가공물 공급부로 이동한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원터치 선택버튼(111) 중 'LEFT' 버튼이 선택됨에 따라, 선택확인 표시창(112)의 이동 시퀀스 프로그램 목록 중 'LEFT MOVING PROGRAM'이 하이라이트 됨과 동시에 'SELECTED TABLE POSITION'은 'LEFT'로 표시되고, 가상 머시닝 센터 표시창(113)의 가상 테이블(113b)은 가상 머시닝 센터(113a)의 좌측에 위치하며, 정보창(114)에는 그때의 주변장치 상태 정보 등이 표시된다.1B shows a case where the actual table is moved to a workpiece supply unit located on the left side (drawing reference). As the 'LEFT' button of the one-touch selection button 111 is selected, the movement sequence of the selection confirmation display window 112 LEFT MOVING PROGRAM 'is highlighted,' SELECTED TABLE POSITION 'is displayed as' LEFT', the virtual table 113b of the virtual machining center display window 113 is located on the left of the virtual machining center 113a , And the peripheral device status information at that time is displayed in the information window 114. [

또한, 도 1c는 실제 테이블이 우측(도면 기준)에 위치한 가공물 공급부로 이동한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원터치 선택버튼(111) 중 'RIGHT' 버튼이 선택됨에 따라, 선택확인 표시창(112)의 이동 시퀀스 프로그램 목록 중 'RIGHT MOVING PROGRAM'이 하이라이트 됨과 동시에 'SELECTED TABLE POSITION'은 'RIGHT'로 표시되고, 가상 머시닝 센터 표시창(113)의 가상 테이블(113b)은 가상 머시닝 센터(113a)의 우측에 위치하며, 정보창(114)에는 그때의 주변장치 상태 정보 등이 표시된다.1C shows a case where an actual table is moved to a workpiece supply unit located on the right side (drawing reference). As the 'RIGHT' button of the one-touch selection button 111 is selected, the movement sequence of the selection confirmation window 112 The 'SELECTED TABLE POSITION' is displayed as 'RIGHT' while the 'RIGHT MOVING PROGRAM' in the program list is highlighted, the virtual table 113b of the virtual machining center display window 113 is positioned to the right of the virtual machining center 113a , And the peripheral device status information at that time is displayed in the information window 114. [

즉, 본 발명은 일 예로 가공물 공급부가 좌우측에 각각 1개씩 구비된 경우, 원터치 선택버튼(111)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상기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가공물 공급부는 물론 그 중심측의 가공 위치로 실제 테이블을 이송시킬 수 있고, 이때 선택확인 표시창(112)이나, 가상 머시닝 센터 표시창(113) 혹은 정보창(114)을 확인하며 용이하게 테이블의 조작이 가능하게 한다.That is, for example, when one workpiece supply unit is provided on each of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workpiece supply unit, the workpiece supply unit installed at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workpiece supply unit,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easily operate the table by confirming the selection confirmation window 112, the virtual machining center display window 113 or the information window 114 at this time.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머시닝 센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A machining center for performing such an operation is configured as follow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자동 이송장치를 구비한 머시닝 센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2 is a view illustrating a machining center having a table automatic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머시닝 센터(100)는 제어창(110)을 통한 조작에 동기하여 실제 테이블이 자동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제어창(110)을 비롯하여 서보 모터(120)와, 서보 제어부(130)와, 메모리부(140)와, 신호입력부(150)와, PMC부(160a) 및 메인 제어부(160) 등을 포함한다. 2, the machining cen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ontrol window 110, the servo motor 120, and the control panel 110 such that the actual table is automatically transferr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operation through the control window 110, A servo control unit 130, a memory unit 140, a signal input unit 150, a PMC unit 160a, a main control unit 160, and the like.

또한, 각각 가공물을 공급하며 서로 이격 설치된(예컨대, 가공 위치를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이격 설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공물 공급부(미도시) 및 상기 가공물 공급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가공물을 공급받아 가공 위치로 이송하는 테이블(미도시)을 포함한다.Further, at least one or more workpiece supply portions (not shown) that supply workpieces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separate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around the machining position) and workpiece supply portions (Not shown).

여기서, 서보 모터(120)는 전방향 동작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모터들로 구성되고, 이 모터들의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테이블과 링크(link)되어 있어서, 테이블을 가공물 공급부나 가공 위치로 이송시킨다.Here, the servo motor 12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otors so as to be able to operate in all directions, and is linked to the table so that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s is transmitted, thereby transferring the table to the workpiece supply unit or the machining position.

서보 제어부(130)는, 서보 앰프 혹은 서보 드라이버라고도 불리우며, 메인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서보 모터(120)를 구동시킨다. 또한, 서보 모터(120)의 구동 상태(즉, 회전상태 등)를 감시하여 메인 제어부(160)에 제공함으로써 제어창(110)의 가상 테이블(도 1a, 1b, 1c의 113b)이 실제 테이블이 현재 위치한 상태에 동기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The servo control unit 130 is also called a servo amplifier or a servo driver and drives the servo motor 120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 unit 160. [ The virtual table (113b in FIGS. 1A, 1B, and 1C) of the control window 110 is displayed in a state in which the actual table is in the current state To be displayed in synchronism with the positioned state.

메모리부(140)는 가공 위치와 각 가공물 공급부 사이의 이동을 위한 이동 시퀀스 프로그램이 각각 저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좌측 가공물 공급부 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 시퀀스 프로그램(LEFT MOVING PROGRAM: 09502)과, 가공 위치인 중심측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 시퀀스 프로그램(CENTER MOVING PROGRAM: 09503) 및 우측 가공물 공급부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 시퀀스 프로그램(RIGHT MOVING PROGRAM: 09504)이 각각 저장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었다.The memory unit 140 stores a moving sequence program for moving between the machining position and each workpiece supply uni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ement sequence program (LEFT MOVING PROGRAM: 09502) for moving to the left workpiece supply unit, the movement sequence program (CENTER MOVING PROGRAM: 09503) (RIGHT MOVING PROGRAM: 09504)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따라서, 메인 제어부(160)를 통해 선택확인 표시창(도 1a, 1b, 1c의 112)에 이동 시퀀스 프로그램 목록을 제공함은 물론, 메인 제어부(160)가 이동 시퀀스 프로그램에 따라 서보 제어부(130)를 제어하여 서보 모터(120)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결국에는 테이블이 작업자가 희망하는 위치로 이송될 수 있게 한다.Accordingly, the main control unit 160 provides a list of movement sequence programs to the selection confirmation window (112 of FIGS. 1A, 1B, 1C) through the main control unit 160 and controls the servo control unit 130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sequence program. So that the servomotor 120 is driven so that the table can eventually be transferred to a position desired by the operator.

단, 메모리부(140)에는 가상 머시닝 센터(113a) 및 가상 테이블(113b)의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가상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어서, 메인 제어부(160)를 통해 가상 머시닝 센터 표시창(113)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하나, 이때의 가상 이미지 데이터는 별도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될 수도 있다.The memory unit 140 stores virtual image data used for displaying the virtual machining center 113a and the virtual table 113b and is provided to the virtual machining center display window 113 through the main control unit 160 However, the virtual image data at this time may be stored in a separate memory (not shown).

신호입력부(150)는 머시닝 센터의 도어 및 공구를 동작시키는 공구용 모터 등을 비롯하여 그 외 가공물의 가공에 필요한 각종의 주변장치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그 주변장치들로부터 상태 정보를 입력받아 메인 제어부(160)에 제공할 수 있게 한다.The signal input unit 150 is connected to a door of a machining center, a motor for a tool for operating a tool, and the like, as well as various peripheral devices required for processing other workpieces. Accordingly, status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peripheral devices and is provided to the main control unit 160.

메인 제어부(160)는 이상과 같은 제어창(110)과, 메모리부(140)와, 신호입력부(150) 및 서보 제어부(13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The main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control window 110, the memory unit 140, the signal input unit 150, the servo control unit 130, and the like as described above.

특히, 메인 제어부(160)는 제어창(110)의 원터치 선택버튼(111)에서 발생된 선택신호에 따라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이동 시퀀스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를 호 출하고, 상기 호출된 이동 시퀀스 프로그램에 따라 서보 제어부(130)를 제어함으로써, 서보 모터(120)를 구동시키고 작업작 선택한 위치로 테이블이 자동 이송될 수 있게 한다.In particular, the main control unit 160 calls one of the movement sequence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unit 140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one-touch selection button 111 of the control window 110, 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servo control unit 130 to drive the servomotor 120 so that the table can be automatically transferred to the selected position.

또한, 메인 제어부(160)는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가상 이미지 데이터를 제어창(110)의 가상 머시닝 센터 표시창(113)에 제공함과 동시에 서보 제어부(130)로부터 제공된 서보 모터(120)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실제 테이블의 상태에 해당하는 가상 테이블(113b)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The main control unit 160 provides the virtual image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140 to the virtual machining center display window 113 of the control window 110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rvo motor 120 provided from the servo control unit 130 The virtual table 113b screen corresponding to the state of the actual table is displayed.

나아가, 메인 제어부(160)는 신호입력부(150)로부터 입력된 주변장치의 상태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도어가 열려 있거나 혹은 공구용 모터가 동작 중인 경우 등, 필요시 테이블의 이송을 제한하는 인터록(inter-lock)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인터록 신호를 서보 제어부(130)에 제공함으로써 서보 모터(120)가 동작되지 않도록 한다.Further, the main control unit 160 reads out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device input from the signal input unit 150, thereby controlling the inter-lock operation of the table when necessary, such as when the door is open or when the motor for a tool is in operation lock signal, and provides the generated interlock signal to the servo control unit 130 so that the servo motor 120 is not operated.

한편, PMC(Programmable Machine/Motion Controller)부는 신호입력부(150)에서 제공된 주변장치의 상태 신호를 메인 제어부(160)로 전송하거나, 메인 제어부(160)에서 제공된 테이블 제어신호를 서보 제어부(130)에 전송하거나, 혹은 서보 제어부(130)에서 제공된 서보 모터(120)의 위치 정보를 메인 제어부(160)에 전송하는 등 메인 제어부(160)를 보조하여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Meanwhile, the PMC (Programmable Machine / Motion Controller) unit transmits the status signal of the peripheral device provided in the signal input unit 150 to the main control unit 160 or the table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main control unit 160 to the servo control unit 130 Or transmit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rvomotor 120 provided by the servo control unit 130 to the main control unit 160 to assist the main control unit 160 to perform various control operations.

단, 이러한 PMC부(160a)는 메인 제어부(160) 내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또한 생략도 가능한 것이라는 점은 당업자 수준에서 자명하다.However,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MC unit 160a is generally provided integrally in the main control unit 160, and that the PMC unit 160a can be omitted.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자동 이송장치를 구비한 머시닝 센터(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machining center 100 having the automatic tabl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가공물의 가공 공정이 시작되면, 작업자는 제어창(110)의 가상 머시닝 센터 표시창(113)이나 선택확인 표시창(112)을 통해서 머시닝 센터 테이블의 현재 위치를 확인한다(S110).First, when the machining process starts, the operator confirm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achining center table through the virtual machining center display window 113 or the selection confirmation display window 112 of the control window 110 (S110).

현재 위치를 확인한 작업자는 원터치 선택버튼(111) 중 어느 하나의 버튼을 눌러, 가공물 공급부 및 가공 위치로 중 테이블을 이송시키고자 하는 위치를 선택한다(S120).The worker who has confirmed the current position presses one of the one-touch selection buttons 111 to select a position to which the middle table is to be transferred to the workpiece supply unit and the machining position (S120).

그러면, 메인 제어부(160)는 작업자의 선택 입력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지를 확인하여(S130), 작업자의 선택 입력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고 있지 않다면 테이블 이송 위치 선택 단계로 되돌아가고(S120), 정보창(114)을 통해 선택신호 없음을 표시함으로써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한다.If the selection input signal of the operator is not normally received, the main control unit 160 returns to the table transfer position selection step (S120). If the selection input signal of the worker is not normally received (S120) ) So that the operator can confirm the absence of the selection signal.

반면, 선택 입력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된 경우에는 메모리부(140)로부터 해당 이송 시퀀스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등 테이블의 이송을 준비하고 그 상태로 대기한다(S140).On the other hand, if the selection input signal is normally received, the corresponding transfer sequence program is selected from the memory unit 140, and the preparation of the table is prepared and the process waits (S140).

계속하여, 메인 제어부(160)는 테이블의 이송을 실행하라는 명령이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한다(S150). 이송 실행은 작업자가 제어창(110)의 실행 버튼 즉 'EXEC'버튼을 누름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Subsequently, the main control unit 160 confirms whether an instruction to execute the table transfer is inputted (S150). The execution of the transfer can be performed by the operator pressing the execution button of the control window 110, that is, the 'EXEC' button.

이때, 대기 상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이송 실행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테이블 이송위치 선택 단계로 되돌아 갈 수 있다(S120). 물론, 필요에 따라서 는 테이블 이송위치 선택 단계(S120) 대신, 테이블 이송 대기 단계로 되돌아 갈 수도 있다(S140).At this time, if the transfer execution command is not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waiting state, the process may return to the table transfer position selection step (S120). Of course, if necessary, instead of the table transfer position selecting step S120, the table transfer waiting step may be returned (S140).

이와 반대로, 대기 상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이송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메인 제어부(160)는 신호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된 주변장치의 상태 정보를 판독하여 인터록이 필요한지 확인한다(S160).On the other hand, if the transfer execution command is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tandby state, the main control unit 160 read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peripheral device input through the signal input unit 150 and determines whether an interlock is required (S160).

확인 결과, 인터록이 필요한 경우에는 테이블 이송을 실행하지 아니하고 테이블 이송위치 선택 단계로 되돌아 간다(S120). 물론, 이때에도 테이블 이송위치 선택 단계(S120) 대신 테이블 이송 대기 단계(S140)로 되돌아 갈 수도 있다. 또한, 정보창(114)을 통해 인터록이 발생하였음을 표시함으로서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interlocking is required, the table transferring step is not performed and the table transferring position selecting step is returned (S120). Of course, 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return to the table transfer waiting step S140 instead of the table transfer position selection step S120. In addition, the operator can confirm that an interlock has occurred through the information window 114 so that the operator can confirm the interlock.

확인 결과, 인터록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메인 제어부(160)는 상기 테이블 이송대기 단계(S140)에서 선택한 메모리부(140)의 이동 시퀀스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그 호출된 이동 시퀀스 프로그램에 따라 서보 제어부(130)를 제어하며, 그에 따라 서보 제어부(130)가 서보 모터(120)를 구동시킴으로써 테이블이 자동으로 이송되고, 머시닝 센터의 테이블 셋업이 완료되도록 한다(S17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rlock is not required, the main control unit 160 calls the movement sequence program of the memory unit 140 selected in the table transfer waiting step S140, The servo control unit 130 drives the servo motor 120 so that the table is automatically transferred and the table setup of the machining center is completed in step S170.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자동 이송장치를 구비한 머시닝 센터의 제어창을 나타낸 제1상태도이다.1A is a first state view showing a control window of a machining center having a table automatic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자동 이송장치를 구비한 머시닝 센터의 제어창을 나타낸 제2상태도이다. 1B is a second state diagram showing a control window of a machining center having a table automatic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자동 이송장치를 구비한 머시닝 센터의 제어창을 나타낸 제3상태도이다. 1C is a third state diagram showing a control window of a machining center having a table automatic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자동 이송장치를 구비한 머시닝 센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2 is a view illustrating a machining center having a table automatic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자동 이송장치를 구비한 머시닝 센터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a machining center having a table automatic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10: 제어창 111: 원터치 선택버튼110: Control window 111: One-touch selection button

112: 선택확인창 113: 가상 머시닝 센터 표시창112: Selection confirmation window 113: Virtual machining center display window

113a: 가상 머시닝 센터 113b: 가상 테이블113a: Virtual machining center 113b: Virtual table

114: 정보창 120: 서보 모터114: Information window 120: Servo motor

130: 서보 제어부 140: 메모리부130: servo control unit 140: memory unit

150: 신호입력부 160: 메인 제어부150: signal input unit 160:

Claims (3)

각각 가공물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공물 공급부;At least one workpiece supply part for supplying a workpiece, respectively; 상기 가공물 공급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가공물을 공급받아 가공 위치로 이송하는 테이블;A table for receiving a workpiece from one of the workpiece supply units and transferring the workpiece to a machining position; 상기 테이블을 동작시키는 서보 모터(120);A servo motor (120) for operating the table; 상기 서보 모터(1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서보 제어부(130);A servo control unit 13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servo motor 120; 상기 가공물 공급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원터치 선택버튼(111)을 구비한 제어창(control window, 110);A control window 110 having a one-touch selection button 111 for selecting one of the workpiece supply units; 상기 가공 위치와 각 가공물 공급부 사이의 이동을 위한 이동 시퀀스(moving sequence) 프로그램이 각각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140); A memory unit 140 in which a moving sequence program for moving between the machining position and each workpiece supply unit is stored; 상기 원터치 선택버튼(111)에서 발생된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이동 시퀀스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를 호출하고, 상기 호출된 이동 시퀀스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서보 제어부(130)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160); 및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servo control unit 130 according to the called sequence sequence program by calling any one of the mobile sequence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unit 140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one- A control unit 160; And 상기 가공물을 가공하는데 사용되는 주변장치의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메인 제어부(160)에 제공하는 신호입력부(150)A signal input unit 150 receiving a status signal of a peripheral device used to process the workpiece and providing the status signal to the main control unit 160, 를 포함하며,/ RTI &gt; 상기 주변장치의 상태 신호는, 머시닝 센터의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 또는 공구를 동작시키는 공구용 모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이며,The status signal of the peripheral device is a signal indicating the open or closed state of the door of the machining center or the operating state of the motor for the tool for operating the tool, 상기 메인 제어부(160)는 상기 주변장치의 상태 신호를 판독하여, 머시닝 센터의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 또는 공구를 동작시키는 공구용 모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테이블의 이송 제한을 위한 인터록(inter-lock)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인터록 신호를 상기 서보 제어부(130)에 제공하며,The main control unit 160 reads out the status signal of the peripheral device and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of the machining center or the operation of the interlock for limiting the transfer of the table -lock signal, provides the generated interlock signal to the servo control unit 130, 상기 서보 제어부(130)는 상기 메인 제어부(160)로부터 상기 인터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보 모터(120)가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자동 이송장치를 구비한 머시닝 센터(100). Wherein the servo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servo motor 120 so that the servo motor 120 is not operated when the interlock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 unit 160. [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메인 제어부(160)는 도어가 열려 있거나 또는 공구용 모터가 동작 중인 경우, 상기 인터록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자동 이송장치를 구비한 머시닝 센터(100).Wherein the main control unit (160) generates the interlock signal when the door is open or a motor for a tool is in oper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어창(110)은,The control window (110) 상기 원터치 선택버튼(111);The one-touch selection button 111; 상기 이동 시퀀스 프로그램의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원터치 선택버튼(111)을 통한 선택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목록 중 어느 하나가 하이라이트(high-light)되는 선택확인 표시창(112);A selection confirmation window 112 in which a list of the movement sequence programs is displayed and in which one of the displayed lists is highlighted according to a selection through the one-touch selection button 111; 상기 원터치 선택버튼(111)을 통한 선택에 따라 상기 테이블이 이동될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테이블을 포함한 머시닝 센터의 가상 이미지를 제공하는 가상 머시닝 센터 표시창(113); 및A virtual machining center display window 113 for providing a virtual image of a machining center including the table so as to display a state in which the table is to be moved according to selection through the one-touch selection button 111; And 상기 신호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된 상기 주변장치의 상태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정보창(114)An information window 114 for displaying status signals of the peripheral devices input through the signal input unit 1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자동 이송장치를 구비한 머시닝 센터(100).(100) having a table automatic transferring device.
KR20080123992A 2008-12-08 2008-12-08 Machining center with table automatic transfer Expired - Fee Related KR1014926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23992A KR101492638B1 (en) 2008-12-08 2008-12-08 Machining center with table automatic transf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23992A KR101492638B1 (en) 2008-12-08 2008-12-08 Machining center with table automatic transf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595A KR20100065595A (en) 2010-06-17
KR101492638B1 true KR101492638B1 (en) 2015-02-12

Family

ID=42364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123992A Expired - Fee Related KR101492638B1 (en) 2008-12-08 2008-12-08 Machining center with table automatic transf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263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288B1 (en) * 2012-04-30 2018-06-28 주식회사 스맥 Remote control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7513A (en) 1998-10-30 2000-05-16 Tsudakoma Corp Controller for NC rotary table
KR20020075335A (en) * 2002-08-23 2002-10-04 정응규 Cnc milling machine having a distant control panel
JP2006293736A (en) 2005-04-12 2006-10-26 Okamoto Machine Tool Works Ltd Numerical value control unit for nc grinding apparatus and method of setting processing condi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7513A (en) 1998-10-30 2000-05-16 Tsudakoma Corp Controller for NC rotary table
KR20020075335A (en) * 2002-08-23 2002-10-04 정응규 Cnc milling machine having a distant control panel
JP2006293736A (en) 2005-04-12 2006-10-26 Okamoto Machine Tool Works Ltd Numerical value control unit for nc grinding apparatus and method of setting processing cond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595A (en)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9994B2 (en) Simulation apparatus for manual operation of machine tool
CN104440120B (en) The operation device of NC toolroom machines
US5465215A (en) Numerical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JP5766762B2 (en) Numerical control device with operation setting screen
CN101898318B (en) Robot control system provided in machining system including robot and machine tool
JP5863414B2 (en) Operating device and movable machine control system
US10055112B2 (en) Control panel
EP2843490B1 (en) Display apparatus
US20240053729A1 (en) Robot control device and numerical control system
JP4045845B2 (en) Machine tool operation training equipment
KR101492638B1 (en) Machining center with table automatic transfer
CN106155519B (en) Screen information generating device
JP5888643B2 (en) Operating device and movable machine control system
KR20130069932A (en) Method for automatic returning of automatic tool exchanger
JPH0596433A (en) Manual tool exchange method in machining center
KR20110019813A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AT motion information of CNC machine tool
JP4265423B2 (en) Machine control device
KR101764492B1 (en)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HMI program for maintaining machining center
US20240152117A1 (en) Cell controller
JP2004334710A (en) Robot teaching device
WO2022249304A1 (en) Control device for industrial machine
WO2024232056A1 (en) Numerical control device and numerical control system
WO2025046722A1 (en) Numerical control device and numerical control system
KR20060037103A (en) Alarm control method in automatic tool changer
JP2004252610A (en) NC machine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11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12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