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92183B1 - 랩 필름 수납 용기 - Google Patents

랩 필름 수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2183B1
KR101492183B1 KR20120144538A KR20120144538A KR101492183B1 KR 101492183 B1 KR101492183 B1 KR 101492183B1 KR 20120144538 A KR20120144538 A KR 20120144538A KR 20120144538 A KR20120144538 A KR 20120144538A KR 101492183 B1 KR101492183 B1 KR 101492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ap film
cutter
cover
container body
contai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120144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6219A (ko
Inventor
김정민
이종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랩
Priority to KR20120144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2183B1/ko
Publication of KR20140076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6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18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4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 B65D83/085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8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and for cutting interconnec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65H35/06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from or with blade, e.g. shear-blade,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1Cutting handled material transversally to feeding direction
    • B65H2301/51512Cutting handled material transversally to feeding direction using a cutting member moving linearly in a plane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web and along a direction crossing the hand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44Wrapping or pack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하고 안전한 랩 필름 수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랩 필름 수납 용기는 용기 본체, 용기 커버, 제1커터 및 제2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용기 본체에는 권취된 랩 필름(wrap film)이 내측에 수납된다. 용기 커버는 용기 본체로부터 절곡되어 회전하면서 용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한다. 제1커터는 용기 본체에 구비되어 용기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랩 필름을 자른다. 그리고, 제2커터는 제1커터를 덮도록 용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인출되는 랩 필름을 자른다.

Description

랩 필름 수납 용기{WRAP FILM CONTAINER}
본 발명은 랩 필름 수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이 편리하고 안전한 랩 필름 수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생용 랩 또는 포장용 랩으로 알려진 랩 필름(wrap film)은 수 내지 수십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얇은 두께를 가진 필름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랩 필름은 가요성과 함께, 다른 물품뿐만 아니라 자기 스스로에도 잘 부착되는 밀착성을 갖기 때문에, 음식류를 포함한 각종 물품을 간편히 보관하거나 포장하는 데에 널리 이용된다.
랩 필름은 보통 롤(roll) 형태로 권취한 뒤 이를 인출하여 사용하며, 랩 필름은 지류(紙類)나 수지 등으로 제조된 수납 용기에 수납되어 보관된다.
수납 용기에는 랩 필름을 인출한 뒤 절단하기 위한 커터가 장착되는데, 이러한 커터는 일반적으로 톱날 모양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권취된 랩을 인출하여 커터에 대고 눌러 당김으로써 랩을 자르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커터는 톱날 모양으로 형성되어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랩을 자르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랩에 힘을 가해 자르게 되기 때문에 자칫하면 커터에 손이 긁히거나 베일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안전하게 랩을 자를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이 편리하고 안전한 랩 필름 수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권취된 랩 필름(wrap film)이 내측에 수납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절곡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용기 커버; 상기 용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랩 필름을 자르는 제1커터; 그리고 상기 제1커터를 덮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인출되는 랩 필름을 자르는 제2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랩 필름 수납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커터는 상기 제1커터의 상부와 상기 용기 본체의 일부를 덮으면서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상부에 상기 결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부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활동부와, 상기 활동부에 구비되어 인출된 랩 필름을 자르는 칼날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는 상기 활동부의 이동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활동부의 상면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널(knurl)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의 양단부에는 상기 활동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커터가 제1커터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어 사용자가 그때 그때의 상황에 적절한 커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편리성이 더욱 좋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랩 필름 수납 용기의 용기 커버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랩 필름 수납 용기의 용기 커버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랩 필름 수납 용기의 랩 필름과 지지부의 결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랩 필름 수납 용기에 제1커터만 장착된 상태로 사용되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랩 필름 수납 용기에 제2커터가 작창되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랩 필름 수납 용기에 제2커터가 장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랩 필름 수납 용기의 제2커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랩 필름 수납 용기의 용기 커버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랩 필름 수납 용기의 용기 커버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랩 필름 수납 용기의 랩 필름과 지지부의 결합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랩 필름 수납 용기에 제1커터만 장착된 상태로 사용되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랩 필름 수납 용기는 용기 본체(10), 용기 커버(20), 제1커터(40) 그리고 제2커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용기 본체(10)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용기 본체(10)의 내측에는 랩 필름(wrap film)(100)이 수납된다.
랩 필름(100)은 코어(11)에 권취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코어(11)의 양단부는 지지부(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부(12)는 지지프레임(13)과 삽입구(14)를 가질 수 있으며, 지지프레임(13)은 용기 본체(10)의 측면부(16)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14)는 지지프레임(13)의 중앙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코어(1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권취된 랩 필름(100)은 지지부(12)에 지지되어 용기 본체(10)에 덜컹거리지 않도록 수납될 수 있으며 랩 필름(100)의 인출시에도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 커버(20)는 용기 본체(10)로부터 절곡되어 회전하면서 용기 본체(10)의 상부를 개폐한다.
구체적으로, 용기 커버(20)는 용기 본체(10)의 후면부(17)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면부(17)와 경계를 이루는 부분이 절곡되어 회전하면서 용기 본체(10)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 커버(20)는 용기 본체(10)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부(21)와, 용기 본체(10)의 전(前)면부(18)를 덮거나 용기 본체(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숨겨지는 연장부(22)를 가질 수 있다.
커버부(21)와 연장부(22)는 서로의 경계부분이 절곡됨에 따라 용이하게 접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부(21)가 용기 본체(10)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연장부(22)는 용기 본체(10)의 전면부(18)를 자연스럽게 덮을 수 있다.
커버부(21)에는 그립홈(24)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립홈(24)은 커버부(21)의 일부 절개된 부분(25)이 내부로 절곡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립홈(24)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그립홈(24)에 손가락을 넣음으로써 커버부(21)를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즉,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장부(22)가 용기 본체(10)에 삽입된 상태에서 필요에 의해 연장부(22)를 꺼내려 할 때, 사용자는 그립홈(24)에 손가락을 넣어 커버부(21)를 들어올릴 수 있게 됨으로써 연장부(22)를 쉽게 꺼낼 수 있게 된다.
그립홈(24)은 커버부(21)에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21)에는 랩 필름 인출홈(26)이 형성될 수 있다.
랩 필름 인출홈(26)은 커버부(21)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절개된 부분(27)은 외부로 절곡될 수 있다.
또한, 랩 필름 인출홈(26)은 권취된 랩 필름(100)의 폭 이상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용기 본체(10)에 권취되어 수납된 랩 필름(100)은 펴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랩 필름 인출홈(26)를 통해 자연스럽게 인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커버부(21)의 상면에는 필름 부착부(30)가 구비될 수 있다.
필름 부착부(30)는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부타디엔,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름 부착부(30)는 실크스크린인쇄 또는 스프레이코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실크스크린인쇄 또는 스프레이코팅은 랩 필름(100)과의 점착성이 높은 재료를 곧바로 용기 본체(10)에 부착시키는 방법으로, 필름 부착부(30)의 제조 공정이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필름 부착부(30)는 랩 필름 인출홈(26)에서 랩 필름(100)이 인출되는 방향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으며, 랩 필름 인출홈(26)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랩 필름 인출홈(26)을 통해 인출되어 커터(40,50)에 의해 절단되고 남은 랩 필름(100)은 펴진 상태로 필름 부착부(30)에 부착될 수 있게 되므로, 랩 필름이 서로 붙어 뭉쳐지거나, 랩 필름 인출홈(26)을 통해 다시 말려 들어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용기 본체(10)에는 용기 본체(10)로부터 인출되는 랩 필름(100)을 자르는 제1커터(4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커터(40)는 용기 본체(10)의 전면부(18)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용기 본체(10)의 전면부(18)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 중 어느 한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제1커터(40)는 용기 본체(10)의 전면부(18)에 부착되는 부착부(41)와, 부착부(41)의 상부에 형성되어 용기 본체(10)의 전면부(18)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칼날(42)를 가질 수 있다.
칼날(42)의 형상은 톱날의 형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특정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커터(40)는 강성이 높은 스텐인리스 스틸을 비롯한 금속으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용기 본체(10)의 측면부(16)에는 고정커버(19)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커버(19)는 용기 본체(10)의 측면부(16)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측면부(16)와 경계를 이루는 부분이 절곡되어 용기 본체(10)의 상부에 수평하게 위치됨으로써 지지부(12)의 지지프레임(13)의 상단부를 덮을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커버(19)에는 고정커버(19)와 경계를 이루는 부분이 절곡되어 용기 본체(10)의 내측에 수직하게 위치될 수 있는 수직커버(1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수직 커버(15)는 지지프레임(13)의 측면 상부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커버(19)와 수직커버(15)는 지지프레임(13)을 구속하여, 지지프레임(13)이 용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직커버(15)는 커버부(21)가 용기 본체(10)의 상부를 덮도록 회전할 때, 커버부(21)의 양측에 형성되는 삽입면(29)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용기 커버(20)가 닫힐 때, 삽입면(29)은 용기 본체(10)의 내측으로 자연스럽게 삽입될 수 있어 커버부(21)가 자연스럽게 용기 본체(1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한편, 제2커터(50)는 제1커터(40)를 덮도록 용기 본체(1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인출되는 랩 필름(100)을 자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랩 필름 수납 용기에 제2커터가 작창되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랩 필름 수납 용기에 제2커터가 장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랩 필름 수납 용기의 제2커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커터(50)는 결합부(51), 안내부(53), 활동부(55) 및 칼날부(58)를 가질 수 있다.
결합부(51)는 제1커터(40)의 상부와 용기 본체(10)의 전면부(18)의 일부를 덮으면서 용기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특히, 결합부(51)는 제1커터(40)의 칼날(42)을 모두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51)는 제1커터(40)의 두께 및 용기 본체(10)의 전면부(18)의 두께에 대응되는 결합슬릿(52)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결합된 결합부(51)의 헐거워짐이 없도록 하여 용기 본체(10)에 결합된 제2커터(50)가 쉽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결합슬릿(52)은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쉽게 용기 본체(10)에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을 정도의 결합력을 가질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안내부(53)는 결합부(51)의 상부에 결합부(5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활동부(55)는 안내부(53)에 결합되어 안내부(53)를 따라 왕복 이동하게 된다.
활동부(55)는 하부가 안내부(53)의 내측에 결합되어 안내부(53)의 내측에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안내부(53)의 양단부에는 활동부(55)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56)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56)는 안내부(53)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칼날부(58)는 활동부(55)에 구비되어 인출된 랩 필름(100)을 자를 수 있다.
칼날부(58)는 활동부(55)의 이동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칼날부(58)는 활동부(55)의 양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활동부(55)가 이동하는 방향에 구비된 칼날부(58)에 의해 랩 필름(100)이 잘릴 수 있게 된다.
칼날부(58)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랩 필름(100)이 더욱 효과적으로 잘릴 수 있다.
또한, 활동부(55)의 상면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널(knurl)(59)이 형성될 수 있다.
널(59)은 다수개의 돌기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랩 필름(100)을 자르기 위해 활동부(55)를 이동시킬 때 사용자 손가락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커터(50)가 제1커터(40)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는 사용에 편리한 커터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배달 음식점에서 음식을 포장하는 작업이나 진열대 등에 진열되는 상품에 랩을 씌우는 작업 등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두 손을 동시에 사용하여 쟁반과 같은 용기를 잡아야 하기기 때문에, 랩 필름을 자르기 위해 랩 필름 포장 용기에 손을 대지 않아도 용이하게 랩 필름을 자를 수 있는 제1커터(40)를 사용하는 것이 작업성이 좋을 수 있다.
반면, 한 손으로 그릇 등과 같이 작은 용기를 잡고 랩 필름을 씌우거나 랩 필름으로 덮을 물건을 손으로 잡고 있지 않아도 되는 경우에는 제2커터(50)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성이 높을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그때 그때의 상황에 적절한 커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편리성이 더욱 좋아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용기 본체
20: 용기 커버
40: 제1커터
50: 제2커터
51: 결합부
52: 결합 슬릿
53: 안내부
55: 활동부
56: 스토퍼
58: 칼날부

Claims (5)

  1. 권취된 랩 필름(wrap film)이 내측에 수납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절곡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용기 커버;
    상기 용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랩 필름을 자르는 제1커터; 그리고
    상기 제1커터를 덮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인출되는 랩 필름을 자르는 제2커터;
    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는 랩 필름이 권취되는 코어 및 상기 코어에 삽입되는 삽입구를 형성하여 상기 코어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용기 커버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부와, 상기 용기 본체의 전(前)면부를 덮거나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숨겨지는 연장부를 가지고,
    상기 커버부는, 랩 필름이 인출되도록 상기 커버부의 상면에 절개형성된 랩 필름 인출홈과, 상기 랩 필름 인출홈에서 랩 필름이 인출되는 방향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커터 또는 상기 제2커터에 의해 절단되고 남은 랩 필름이 펴진 상태로 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필름 부착부와, 상기 커버부를 들어올리도록 상기 커버부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그립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커터는 상기 용기 본체의 전면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칼날을 가지며, 상기 제2커터는 상기 제1커터의 상부와 상기 용기 본체의 일부를 덮으면서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커터의 칼날을 모두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커터가 상기 제1커터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수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터는,
    상기 결합부의 상부에 상기 결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부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활동부와,
    상기 활동부에 구비되어 인출된 랩 필름을 자르는 칼날부를 더 가지는 것인 랩 필름 수납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는 상기 활동부의 이동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것인 랩 필름 수납 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활동부의 상면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널(knurl)이 형성되는 것인 랩 필름 수납 용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의 양단부에는 상기 활동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인 랩 필름 수납 용기.
KR20120144538A 2012-12-12 2012-12-12 랩 필름 수납 용기 Active KR101492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44538A KR101492183B1 (ko) 2012-12-12 2012-12-12 랩 필름 수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44538A KR101492183B1 (ko) 2012-12-12 2012-12-12 랩 필름 수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219A KR20140076219A (ko) 2014-06-20
KR101492183B1 true KR101492183B1 (ko) 2015-02-11

Family

ID=51128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44538A Active KR101492183B1 (ko) 2012-12-12 2012-12-12 랩 필름 수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21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5440A (ja) * 1996-05-29 1997-12-09 Mitsui Petrochem Ind Ltd ラップフィルム収納箱
KR20100011622U (ko) * 2009-05-21 2010-12-01 이남훈 랩 지퍼 컷터
KR20110010991U (ko) * 2010-05-19 2011-11-25 주식회사희성화학 간편 커팅 랩 케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5440A (ja) * 1996-05-29 1997-12-09 Mitsui Petrochem Ind Ltd ラップフィルム収納箱
KR20100011622U (ko) * 2009-05-21 2010-12-01 이남훈 랩 지퍼 컷터
KR20110010991U (ko) * 2010-05-19 2011-11-25 주식회사희성화학 간편 커팅 랩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219A (ko) 2014-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41641B1 (en) Dispenser for web material
US9943176B2 (en) Cutlery dispenser and related methods
JP2017190247A (ja) 右手および左手使用の廃棄物貯蔵装置
US20060027468A1 (en) Sliding cover for moist wipes dispenser
JP5806055B2 (ja) ラップフィルムケース
KR101492183B1 (ko) 랩 필름 수납 용기
US12304763B2 (en) Sheet material dispense and cutting systems and methods of use
WO2017014240A1 (ja) 巻回ラップフィルム用内装部材および同部材を備えたラップフィルム製品
US20120132686A1 (en) Inside drawer mounted food wrap cutter
JP2014019483A (ja) 巻回体収容箱及び巻回体入り収容箱
JP2014534906A (ja) アルミ箔及び延伸フィルムの切断機
JP2005022746A (ja) ラップフィルム収納カートン
JP3207380U (ja) 食品包装体
ES2556136T3 (es) Envoltorio para hojas
KR20120096810A (ko) 랩 필름 수납 장치
KR101040210B1 (ko) 케익 포장용 상자
JPH0327947Y2 (ko)
US10538405B1 (en) Food wrapping station
KR20120004835A (ko) 음식물 용기
JPH0752687Y2 (ja) 切開用刃物具
JP3133798U (ja) ラップフィルム用収納箱
KR200472683Y1 (ko) 식품 포장 용기
JP3072798U (ja) 梱包紐用容器
JPS6025393Y2 (ja) ラツプフイルムケ−ス
KR20150121681A (ko) 포장 랩 포장 패키지 및 포장 랩 절단용 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6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