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0813B1 - manufacturing method for polypropylene transparent vessel for sterilization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for polypropylene transparent vessel for sterilization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90813B1 KR101490813B1 KR20140077463A KR20140077463A KR101490813B1 KR 101490813 B1 KR101490813 B1 KR 101490813B1 KR 20140077463 A KR20140077463 A KR 20140077463A KR 20140077463 A KR20140077463 A KR 20140077463A KR 101490813 B1 KR101490813 B1 KR 1014908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ing
- preform
- driving voltage
- heating lamp
- drive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5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02667 nucle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11342 resin composi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672 polyolefin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YHQXBTXEYZIYOV-UHFFFAOYSA-N 3-methylbut-1-ene Chemical compound CC(C)C=C YHQXBTXEYZIYO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compound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25 crystall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5 crystal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61 lubr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QQONPFPTGQHPMA-UHFFFAOYSA-N propylene Natural products CC=C QQONPFPTGQHPM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805 propylene group Chemical group [H]C([H])([H])C([H])([*:1])C([H])([H])[*:2]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84—Injecting parison-like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4—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 B29C49/6409—Thermal conditioning of prefo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2049/023—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using inherent heat of the preform, i.e. 1 step blow moul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characterised by using particular environment or blow fluids other than air
- B29C2049/4602—Blowing fluids
- B29C2049/4635—Blowing fluids being steri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26—Transpa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멸균용 폴리프로필렌 투명 중공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멸균용 폴리프로필렌 투명 중공용기의 제조방법은 사출 성형기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용융하고, 금형에 성형 사출하여 프리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리폼을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냉각된 프리폼을 안정화시키는 단계; 상기 안정화된 프리폼을 제1 내지 제8 히팅램프가 설치된 히팅존을 통과시켜, 가열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가열시킨 프리폼을 블로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핵제를 첨가하지 않고도 고투명도 중공용기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무게가 경량화되고, 재활용하기 용이하며, 경제적으로도 저렴한 차세대 약물 보관 용기로 사용할 수 있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transparent hollow polypropylene container for sterilization and an apparatus for producing the sam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transparent hollow polypropylene container for steriliz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melting a polypropylene resin in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molding and injecting the polypropylene resin into a mold to form a preform; Cooling the preform; Stabilizing the cooled preform; Passing the stabilized preform through a heating zone provided with first to eighth heating lamps and heating the preform; And blowing the heated preform.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highly transparent hollow container without adding a nucleating agent, and thus it can be used as a next-generation drug storage container which is light in weight, easily recycled, and economically inexpensive.
Description
본 발명은 멸균용 폴리프로필렌 투명 중공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이용하여 핵제가 첨가되지 않은 고투명 용기를 제조하는 멸균용 폴리프로필렌 투명 중공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transparent hollow polypropylene container for sterilization and an apparatus for produc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sterile polypropylene hollow hollow container in which a high transparency container to which a nucleating agent is not added, using a polypropylene resin,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로 된 용기는 강성, 내열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한 반면, 투명성이 떨어지고 내충격성이 낮은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개선 방안이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어 직쇄상의 폴리에틸렌과 에라스토머 성분을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블렌딩하여 만든 수지 조성물, 에틸렌 중합 생성물을 폴리프로필렌과 블렌딩한 수지 조성물, 3-메틸부텐-1의 중합 생성물을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블렌딩한 수지 조성물(일본 특개평 제3-14852호) 등이 개발되었다.Generally, it is known that a container made of a polyolefin resin such as a polypropylene resin has excellent rigidity, heat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but has poor transparency and low impact resistance. Various improvements have been developed to solve these problems. For example, a resin composition prepared by blending straight-chain polyethylene and an elastomer component with a polypropylene resin, a resin composition obtained by blending an ethylene polymerization product with polypropylene, a blend of a polymerization product of 3-methylbutene-1 with a polypropylene resin And a resin compositio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3-14852).
그러나 상기의 제안된 폴리올레핀계열 수지로 된 용기는 충격 강도가 상승되지만, 투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투명성을 향상시키게 되면 악취가 나거나 충격 강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종래 기술을 통한 용기를 가열 멸균시키게 되면 투명성이 저하되어 의약품과 같은 용기 내에 함유된 내용물을 보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tainer made of the proposed polyolefin-based resin has the problem that the impact strength is increased but the transparency is lowered. If the transparency is improved, there is a problem of bad odor and reduced impact strength.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the container is heated and sterilized through the conventional technique, the transparency is lowered so that contents contained in containers such as medicines are difficult to see.
또는 용기의 투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용기의 수지에 핵제를 블렌딩하게 되면 빠른 결정화 속도로 인하여 용기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첨가제가 악취가 발생되거나 만일 의약품을 담는 중공용기인 경우에는 용기 수지로부터 내용물로 핵제 등이 용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Or when the nucleating agent is blended in the resin of the container in order to improve the transparency of the container, the productivity of the container may be deteriorated due to a rapid crystallization rate. If the additive is odorous or if the container is a hollow container for containing medicines, There may arise a problem that the nucleating agent or the like is eluted from the resin into the contents.
따라서 본 발명은 핵제를 첨가하지 않은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성형 및 블로잉 공정에 의해 높은 투명도를 가지는 중공 용기를 제조할 수 있는 멸균용 폴리프로필렌 투명 중공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hollow polypropylene hollow container for sterilization, which can produce a hollow container having high transparency by a molding and blowing process of a polypropylene resin to which no nucleating agent is added do.
상기 목적은, 사출 성형기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용융하고, 금형에 성형 사출하여 프리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리폼을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냉각된 프리폼을 안정화시키는 단계; 상기 안정화된 프리폼을 제1 내지 제8 히팅램프가 설치된 히팅존을 통과시켜, 가열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가열시킨 프리폼을 블로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멸균용 폴리프로필렌 투명 중공용기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a method for molding a polypropylene resin, which comprises melting a polypropylene resin in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molding and injecting the polypropylene resin into a mold to form a preform; Cooling the preform; Stabilizing the cooled preform; Passing the stabilized preform through a heating zone provided with first to eighth heating lamps and heating the preform; And blowing the heated preform.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hollow polypropylene hollow container for sterilization.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핵제가 첨가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The polypropylene preferably has no nucleating agent added thereto.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230 내지 240℃에서 용융시킬 수 있다.The polypropylene resin can be melted at 230 to 240 캜.
상기 냉각시키는 단계는 20℃에서 10 내지 20초간 냉각시킬 수 있다.The cooling may be performed at 20 ° C for 10-20 seconds.
상기 프리폼을 안정화시키는 단계에서, 안정화는 20 내지 25℃에서 12 내지 120시간 동안 안정화시킬 수 있다.In the step of stabilizing the preform, the stabilization can be stabilized at 20 to 25 캜 for 12 to 120 hours.
상기 히팅존은 6개의 히팅존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ing zone is six heating zones.
상기 히팅존은 그 길이가 75 내지 80 ㎝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heating zone preferably has a length of 75 to 80 cm.
상기 히팅존을 통과시켜, 가열시키는 시간은 210 내지 240초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heating time is preferably 210 to 240 seconds after passing through the heating zone.
상기 블로잉 공정 전에 예비 블로잉 공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reblowing process is performed before the blowing process.
한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용융, 프리폼을 형성하는 사출부; 상기 프리폼과 결합되는 프리폼 결합부; 상기 프리폼을 가열하는 제1 내지 제8 히팅램프가 설치된 히팅존을 포함하는 히팅부; 및 상기 가열시킨 프리폼을 블로잉하는 블로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용 폴리프로필렌 투명 중공용기의 제조장치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On the other hand, an injection part for melting a polypropylene resin to form a preform; A preform joining unit coupled to the preform; A heating unit including a heating zone in which first to eighth heating lamps for heating the preform are installed; And a blowing unit for blowing the heated preform. The above object is also achieved by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transparent hollow polypropylene container for sterilization.
상기 히팅존은 6 구간의 히팅존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heating zone is preferably a heating zone of six sections.
상기 히팅존은 그 길이가 75 내지 80 ㎝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heating zone preferably has a length of 75 to 80 cm.
상기 프리폼 결합부는 압축 공기 주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form joining portion may include a compressed air injection portion.
상기 프리폼 결합부는 중공용기를 프리폼 결합부와 이격시키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reform join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portion for separating the hollow container from the preform joining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멸균용 폴리프로필렌 투명 중공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의하면, 높은 투명도의 폴리프로필렌의 투명 중공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According to the process for producing a hollow polypropylene hollow container for steriliz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apparatus, a transparent hollow container of polypropylene with high transparency can be produce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멸균용 폴리프로필렌 투명 중공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의하면, 따로 핵제를 첨가하지 않고도 유리병과 거의 동일한 수준의 투명도를 나타내며, 무게가 경량화되고, 재활용하기 용이하며, 경제적으로도 저렴하여 차세대 약물 보관 용기로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parent hollow polypropylene container and the apparatus for producing the sterile polypropylene hollow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parency which is almost the same level as that of a glass bottle can be obtained without addition of a nucleating agent, light weight, easy recycling, Can be used as a next-generation drug storage contain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리폼이 히팅존을 통과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로잉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리폼 결합부의 세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히팅램프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히팅램프대 및 프리폼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passing a pre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heating zone.
2 is a top view of a blow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of a preform join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ing lamp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eating lamp stand and a preform are arrang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멸균용 폴리 프로필렌 투명 중공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rile polypropylene hollow hollow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apparatus for produc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서 구현될 수 있는 멸균용 폴리프로필렌 투명 중공용기의 제조 방법은 사출 성형기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용융하고, 금형에 성형 사출하여 프리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리폼을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냉각된 프리폼을 안정화시키는 단계; 상기 안정화된 프리폼을 제1 내지 제8 히팅램프가 설치된 히팅존을 통과시켜, 가열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가열시킨 프리폼을 블로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hollow hollow polypropylene container for steriliz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melting a polypropylene resin in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molding and injecting the polypropylene resin into a mold to form a preform; Cooling the preform; Stabilizing the cooled preform; Passing the stabilized preform through a heating zone provided with first to eighth heating lamps and heating the preform; And blowing the heated preform.
본 발명에서 구현될 수 있는 멸균용 폴리프로필렌 투명 중공용기의 제조 장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용융, 프리폼을 형성하는 사출부; 상기 프리폼과 결합되는 프리폼 결합부; 상기 프리폼을 가열하는 제1 내지 제8 히팅램프가 설치된 히팅존을 포함하는 히팅부; 및 상기 가열시킨 프리폼을 블로잉하는 블로잉부를 포함한다.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sterile polypropylene hollow hollow container which can be implem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njection part for melting a polypropylene resin to form a preform; A preform joining unit coupled to the preform; A heating unit including a heating zone in which first to eighth heating lamps for heating the preform are installed; And a blowing unit for blowing the heated preform.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리폼이 히팅존을 통과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로잉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멸균용 폴리프로필렌 투명 중공용기의 제조장치는 사출장치(미도시) 및 블로잉 장치(10)를 포함한다. 사출장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출 실린더(미도시)에서 용융하고, 금형(미도시)에 사출하여 프리폼(20)을 성형한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출시키는 온도는 약 230 내지 240℃일 수 있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cess of passing a pre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heating zone, and FIG. 2 is a plan view of a blow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d 2,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sterile polypropylene hollow hollow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jection apparatus (not shown) and a blowing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프리폼(20)으로 사출시킨 후에 프리폼(20)을 안정화시킨다. 상기 프리폼(20)을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20℃의 온도에서 10초 내지 20초간 냉각시킨다. 상기에서 냉각시킨 프리폼(20)은 다시 20 내지 24℃ 실내에서 최소 12시간 동안 안정화시킨다. 안정화시키는 시간은 최소 12시간이 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효기간은 6개월 전후까지 안정화시킬 수 있다. 상기의 안정화 공정을 통해, 프리폼(20)의 안정적인 결정 구조로 인하여 프리폼(20)을 사용하여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형물은 고투명성을 가질 수 있다.After the polypropylene resin is injected into the
도 1에서 상기 블로잉 장치(10)는 이송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부(40)는 상기 로딩된 프리폼(20)을 이송시키며, 상기 이송부(40)는 상기 프리폼(20)을 히팅존(100, 200, 300, 400, 500, 600)에 통과시킨다. 상기 이송부(40)는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송부(40)에는 프리폼(20)이 결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프리폼 결합부(30)를 포함한다.In FIG. 1, the blowing
상기 이송부(40)는 블로잉 장치(10) 내에 이송 루트를 따라 연결된다. 이송부(40)에 따른 복수 개의 프리폼 결합부(30)도 이송부(40)의 루트를 따라 배치된다. 또한 일정한 루트 상에 복수 개의 히팅존(100, 200, 300, 400, 500, 600)이 배치되어 있어 프리폼(20)이 히팅존(100, 200, 300, 400, 500, 600)을 지나감에 따라 가열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히팅존(100, 200, 300, 400, 500, 600)은 그 길이가 75 내지 80 ㎝일 수 있다.The
복수 개의 프리폼 결합부(30)에 결합되어 있는 복수 개의 프리폼(20)은 상기 히팅존(100, 200, 300, 400, 500, 600)에 설치되어 있는 히팅램프대(110, 120, 210, 220, 310, 320...)에 의해 가열된다. 상기 히팅램프대(110, 120, 210, 220, 310, 320...)는 히팅존(100, 200, 300, 400, 500, 600) 내에 구비되어 있으며, 이송부(40) 루트의 좌우측에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히팅존(100, 200, 300, 400, 500, 600)내 상기 히팅램프대(110, 120, 210, 220, 310, 320...)는 복수 개의 히팅램프(111, 121, 112, 122, 113, 123...)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히팅램프(111, 121, 112, 122, 113, 123...)는 제1 히팅램프(111, 121, 211, 221, 311, 321…) 내지 제8 히팅램프(118, 128, 218, 228, 318, 328…)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히팅램프(111, 121, 112, 122, 113, 123...)의 간격은 15 내지 20 mm의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반드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이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 히팅램프(111, 121, 112, 122, 113, 123...)에서는 전원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에 따라 다양한 열이 방출될 수 있으며 이는 이송 루트를 따라 이송되는 복수의 프리폼(20)을 가열시킨다. 또한 프리폼(20)은 프리폼 결합부(30)에 포함되는 공기주입부(미도시)에서 배출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블로잉된다.The plurality of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폼 결합부(30)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폼 결합부(30)는 프리폼(20)의 내측과 접촉되고, 프리폼(20)의 외측의 오목부에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31)를 포함한다. 또한 프리폼(20)의 내측으로는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부(32)를 포함한다. 또한 프리폼 결합부는 탄성부(33)를 포함하는데, 상기 탄성부(33)는 블로잉 된 중공용기를 밀어 내어 체결부(31)로부터 이격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격시키기 위해서 탄성체(33)에는 따로 전동 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있으며, 밀어 낸 후에는 다시 프리폼(20)과 결합될 수 있도록 제자리로 복귀된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상기 프리폼 결합부(30)는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부재(미도시)와 결합되어 있어 프리폼(20)이 히팅존(100, 200, 300, 400, 500, 600)에 통과되면서 임의의 일정 방향으로 계속적인 회전을 하여 히팅램프(111, 121, 112, 122, 113, 123...)에 의해 골고루 가열될 수 있다.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으며, 회전 방향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방향을 조절하는 장치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회전 없이 그대로 히팅존(100, 200, 300, 400, 500, 600)을 통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히팅램프(111, 121, 112, 122, 113, 123...)를 바라보는 면만 선택적으로 가열되므로 투명한 재질의 중공 용기가 성공적으로 제조될 수 없다.The
상기 프리폼(20)은 복수의 히팅존(100, 200, 300, 400, 500, 600)에 의해서 가열된다. 상기 프리폼(20)은 바닥에서 이격되어 있는 이송부(40)에 의해 이송되면서 히팅존(100, 200, 300, 400, 500, 600)을 통과하면서 가열된다. 보다 더 상세하게는 프리폼(20)은 6개의 히팅존(100, 200, 300, 400, 500, 600)을 통과하면서 가열된다. 각 히팅존(100, 200, 300, 400, 500, 600)은 상기 프리폼(20)을 단계적으로 가열시킬 수 있다. 히팅존(100, 200, 300, 400, 500, 600)에 구비되어 있는 2개의 히팅램프대(110, 120, 210, 220, 310, 320...)를 통과하면서 프리폼(20)이 가열된다. 히팅램프(111, 121, 112, 122, 113, 123...)는 폴리프로필렌 프리폼(20)의 연화점보다 높은 온도로 프리폼(20)을 가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히팅램프(111, 121, 112, 122, 113, 123...)는 상기 프리폼(20)을 135℃ 이상의 온도에서 온도를 달리하여 가열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히팅램프(111, 121, 112, 122, 113, 123...)는 상기 프리폼(20)을 약 135 내지 160℃까지 가열시킨다.The preform (20) is heated by a plurality of heating zones (100, 200, 300, 400, 500, 600).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히팅램프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히팅램프대 및 프리폼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프리폼(20)은 각 히팅존(100, 200, 300, 400, 500, 600)에서 일정 시간 동안 히팅된다. 예컨대, 제1 히팅존(100)에서 10초 내지 20초 동안 히팅된다. 또한 히팅램프대(110, 120, 210, 220, 310, 320...)를 구성하는 제1 내지 제8 히팅램프(111, 121, 112, 122, 113, 123...)는 그 각각의 출력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각 히팅램프(111, 121, 112, 122, 113, 123...)의 출력의 세기는 볼트(V)로 표현될 수 있으며, 구동 전압의 세기를 달리하는 경우 각 히팅램프(111, 121, 112, 122, 113, 123...)에서는 가해진 구동 전압의 세기에 따른 열을 방출하여 프리폼(20)을 부분적으로 상이하게 가열시킬 수 있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ing lamp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eating lamp stand and a preform are disposed. 4 and 5, the
또한 상기 프리폼(20)이 각 히팅존(100, 200, 300, 400, 500, 600)에 통과될 때 제1 내지 제8 히팅램프(111, 121, 112, 122, 113, 123...)를 포함하는 서로 대향되어 배치되어 있는 두 대의 히팅램프대(110, 120, 210, 220, 310, 320...) 사이를 통과한다. The first to
히팅램프(111, 121, 112, 122, 113, 123...)는 상기 프리폼(20)이 배치되는 공간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동 전압의 세기에 따라 공간의 온도는 차등화될 수 있으며, 보다 높은 구동 전압이 인가될 때 해당 공간의 온도는 더 높아지게 된다.The
서로 대향되는 히팅램프대(110, 120, 210, 220, 310, 320...)의 특정 히팅램프(111, 121, 112, 122, 113, 123...)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을 일정하게 조절함으로서, 해당 공간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히팅존(100) 내에 있는 두 히팅램프대(110, 120, 210, 220, 310, 320...)에서의 각 제2 히팅램프(112, 122)의 구동전압이 90V이면, 제2 히팅램프(112, 122)의 높이에 해당하는 부위를 지나는 프리폼(20) 부분은 해당 구동 전압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가장 큰 영향을 받게 된다. 마찬가지로 다른 히팅램프(111, 121, 112, 122, 113, 123...)의 구동 전압을 달리하여 해당 높이 구간을 지나가는 프리폼(20)을 차별적으로 가열시킬 수 있다. 히팅램프(111, 121, 112, 122, 113, 123...)의 구동 전압을 차등적으로 달리하는 경우에 결과적으로 중공 용기의 투명도에 차이를 일으킨다.The drive voltage applied to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전압으로 제1 히팅램프의 출력은 170 내지 180V, 제2 히팅램프의 출력은 85 내지 95V, 제3 히팅램프의 출력은 120 내지 130V, 제4 히팅램프의 출력은 140 내지 150V, 제5 히팅램프의 출력은 130 내지 140V, 제6 히팅램프의 출력은 130 내지 140V, 제7 히팅램프의 출력은 80 내지 90V, 제8 히팅램프의 출력은 30 내지 35V이다.The output of the first heating lamp is 170 to 180 V, the output of the second heating lamp is 85 to 95 V, the output of the third heating lamp is 120 to 130 V, and the output of the fourth heating lamp is a driving volt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of the fifth heating lamp is 130 to 140V, the output of the sixth heating lamp is 130 to 140V, the output of the seventh heating lamp is 80 to 90V, and the output of the eighth heating lamp is 30 to 35V.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전압으로 제1 히팅램프의 출력은 180 내지 190V, 제2 히팅램프의 출력은 100 내지 110V, 제3 히팅램프의 출력은 140 내지 150V, 제4 히팅램프의 출력은 150 내지 160V, 제5 히팅램프의 출력은 150 내지 160V, 제6 히팅램프의 출력은 140 내지 150V, 제7 히팅램프의 출력은 100 내지 110V, 제8 히팅램프의 출력은 45 내지 50V이다.The output of the first heating lamp is 180 to 190 V, the output of the second heating lamp is 100 to 110 V, the output of the third heating lamp is 140 to 150 V, the driving voltage of the fourth heating lamp The output of the fifth heating lamp is 150 to 160 V, the output of the sixth heating lamp is 140 to 150 V, the output of the seventh heating lamp is 100 to 110 V, and the output of the eighth heating lamp is 45 to 50 V .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전압으로 제1 히팅램프의 출력은 150 내지 160V, 제2 히팅램프의 출력은 180 내지 190V, 제3 히팅램프의 출력은 160 내지 170V, 제4 히팅램프의 출력은 160 내지 170V, 제5 히팅램프의 출력은 160 내지 170V, 제6 히팅램프의 출력은 150 내지 160V, 제7 히팅램프의 출력은 120 내지 130V, 제8 히팅램프의 출력은 60 내지 70V이다.The output of the first heating lamp is 150 to 160 V, the output of the second heating lamp is 180 to 190 V, the output of the third heating lamp is 160 to 170 V, the driving voltage of the fourth heating lamp The output of the fifth heating lamp is 160 to 170 V, the output of the sixth heating lamp is 150 to 160 V, the output of the seventh heating lamp is 120 to 130 V, the output of the eighth heating lamp is 60 to 70 V to b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전압으로 제1 히팅램프의 출력은 160 내지 170V, 제2 히팅램프의 출력은 210 내지 220V, 제3 히팅램프의 출력은 180 내지 190V, 제4 히팅램프의 출력은 180 내지 190V, 제5 히팅램프의 출력은 170 내지 180V, 제6 히팅램프의 출력은 170 내지 190V, 제7 히팅램프의 출력은 120 내지 130V, 제8 히팅램프의 출력은 100 내지 110V이다.The output of the first heating lamp may be 160 to 170 V, the output of the second heating lamp may be 210 to 220 V, the output of the third heating lamp may be 180 to 190 V, the fourth heating lamp may be used as the driving volt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of the fifth heating lamp is 170 to 180 V, the output of the sixth heating lamp is 170 to 190 V, the output of the seventh heating lamp is 120 to 130 V, the output of the eighth heating lamp is 100 to 110 V to be.
상기의 출력 조건은 제1 내지 제6 히팅존에서 동일한 조건의 출력으로 프리폼(20)을 이송시키며 가열시킬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output conditions can be transferred by heating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이송부(40)에 의해 이송된 프리폼(20)은 제1 히팅존 내지 제6 히팅존(100, 200, 300, 400, 500, 600)을 블로잉시킬 때 고투명한 폴리프로필렌 중공용기가 될 수 있도록 이송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히팅존 내지 제6 히팅존(100, 200, 300, 400, 500, 600)을 통과하여 가열시키는 시간은 210초 내지 240초이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가열된 프리폼(20)은 공기 주입에 의해 블로잉시킬 수 있다. 블로잉 시 금형 온도는 30도 내지 40도 일 수 있다. 제1 히팅존 내지 제6 히팅존(100, 200, 300, 400, 500, 600)을 통과한 프리폼(20)은 금형으로 이송되고 고압으로 블로잉된다. The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투명 폴리프로필렌 중공용기로 블로잉하기 위해서 블로잉 과정 전에 예비 블로잉 과정이 선행될 수 있다. 이 때의 예비 블로잉 과정에서의 압축 공기의 압력은 5 내지 7 kg/cm2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 kg/cm2의 압축공기를 0.3 내지 0.6초 동안 예비 블로잉 과정을 수행한다.More preferably, a pre-blowing process may precede the blowing process to blow into a highly transparent polypropylene hollow container. At this time, the pressure of the compressed air in the preliminary blowing process is 5 to 7 kg / cm 2 , and more preferably 6 kg / cm 2 of compressed air is preliminarily blown for 0.3 to 0.6 seconds.
예비 블로잉 과정을 거친 후에 고압의 압력으로 블로잉 과정을 수행한다. 블로잉 과정에서의 압축 공기의 압력은 13 내지 15 kg/cm2이고, 압축 공기의 주입 시간은 2 내지 4초 동안 주입시키되 1회 주입하여 높은 투명도의 제품을 형성하도록 한다.After the preliminary blowing process, the blowing process is performed at a high pressure. The pressure of the compressed air in the blowing process is 13 to 15 kg / cm 2 , the compressed air is injected for 2 to 4 seconds and injected once to form a high transparency produ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투명 중공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는 높은 투명도를 가지는 동시에 높은 내열성을 가질 수 있는 중공 용기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중공 용기는 의약용 용기로 적합하다.Th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hollow polypropylene hollow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as a hollow container having high transparency and high heat resistance. The hollow container is suitable as a medicament container.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의 투명 중공용기는 따로 핵제를 첨가하지 않고도 유리약병 수준의 높은 투명도를 나타낼 수 있어 약품에 이물질 등이 용출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용기는 재생이 가능하고, 자연 환경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질이 나타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용기는 높은 투명성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내강도성 및 표면 평활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진다.The transparent hollow container of polypropylen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hibit a high degree of transparency at a glass vial level without addition of a nucleating agent, thereby eliminating the problem of foreign matters being eluted into the drug. The propylene container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regenerated and does not show any substances that can adversely affect the natural environment. In addition, the polypropylene container produced by the above-described 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has an advantage of not only having high transparency but also improving lubrication resistance and surface smoothness.
이하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in accordance with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be obvious.
공통 제조예: 프리폼 성형 공정Common Manufacturing Example: Preform Molding Process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약 235℃의 온도의 사출 실린더에서 용융하여 금형에 사출하여 프리폼을 형성하였고, 따로 핵제를 첨가하지 않았다. 상기 프리폼을 20℃의 온도에서 15초 동안 냉각시켰다. 이렇게 형성된 프리폼을 22℃의 실내에서 12시간 동안 안정화시켰다.
The polypropylene resin was melted in an injection cylinder at a temperature of about 235 DEG C and injected into a mold to form a preform, and no nucleating agent was added. The preform was cooled at a temperature of 20 DEG C for 15 seconds. The thus formed preform was stabilized in a room at 22 캜 for 12 hours.
실시예 1: 블로잉 공정 1Example 1: Blowing Step 1
① 이후 형성된 프리폼을 정렬 이송장치에 투입하여 이송장치 캐리어로 옮겼다.(1) The preforms formed thereafter were put into the alignment conveying device and transferred to the conveying device carrier.
② 170 내지 175개의 캐리어로 이송된 프리폼을 8개의 히팅램프로 이루어진 히팅존을 통과시켰다.(2) The preform transferred from 170 to 175 carriers was passed through a heating zone consisting of eight heating lamps.
③ 히팅존은 6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히팅존을 통과하는 프리폼을 일정방향, 일정속도로 계속적인 회전시켜 골고루 가열시켰다. ③ There are 6 heating zones, and the preform passing through the heating zone is continuously heated in a constant direction at constant speed.
각각의 히팅존에는 제 1 히팅램프대 및 제 2 히팅램프대를 배치시켰다. 상기 제 1 히팅램프대 및 상기 제 2 히팅램프대는 서로 대향되고, 두 히팅램프대 사이를 상기 프리폼이 통과하였다. 각각의 히팅램프대는 8개의 히팅램프가 수직적으로 배열되어 있다.In each of the heating zones, a first heating lamp stand and a second heating lamp stand were arranged. The first heating lamp base and the second heating lamp base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the preform passes between the two heating lamp bases. Each heating lamp stand has eight heating lamps vertically arranged.
④ 프리폼을 가열하는 히팅램프의 간격은 15 mm이며, 구동 전압은④ The spacing of the heating lamp to heat the preform is 15 mm, and the driving voltage is
제1 고출력 히팅램프: 174 VFirst High Power Heating Lamp: 174 V
제2 고출력 히팅램프: 91 V2nd High Power Heating Lamp: 91 V
제3 고출력 히팅램프: 124 VThird High Power Heating Lamp: 124 V
제4 고출력 히팅램프: 145 VFourth High Power Heating Lamp: 145 V
제5 고출력 히팅램프: 136 V5th High Power Heating Lamp: 136 V
제6 고출력 히팅램프: 134 VNo. 6 High Power Heating Lamp: 134 V
제7 고출력 히팅램프: 82 V7th High Power Heating Lamp: 82 V
제8 고출력 히팅램프: 35 V이었다.The eighth high output heating lamp was 35 V.
⑤ 캐리어로 투입된 프리폼을 770mm의 히팅존 6 구간에 230초에 걸쳐 가열시킨 후 금형으로 이송하여 고압으로 블로잉시켰다.(5) The preform charged into the carrier was heated in a heating zone 6 of 770 mm over 230 seconds, transferred to a mold, and blown at a high pressure.
⑥ 1차로 6kg/cm2의 압력으로 0.5초 동안 예비 블로잉을 하였고, 이 후 15 kg/cm2의 압력으로 3초간 1회 주입하여 블로잉시켜 중공용기를 제조하였다. 이 때 블로잉 부의 금형 온도는 35℃의 온도로 유지하였다.
(6) The preliminary blowing was carried out at a pressure of 6 kg / cm 2 for 0.5 seconds, and then the mixture was injected once at a pressure of 15 kg / cm 2 for 3 seconds to prepare a hollow container. At this time, the mold temperature of the blowing section wa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35 캜.
실시예 2: 블로잉 공정 2Example 2: Blowing process 2
상기 실시예 1의 조건과 동일하게 하면서, 구동 전압을 다른 조건으로 진행하였다.The driving voltage was chang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while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were obtained.
제1 고출력 히팅램프: 181 VFirst High Power Heating Lamp: 181 V
제2 고출력 히팅램프: 108 V2nd High Power Heating Lamp: 108 V
제3 고출력 히팅램프: 147 VThird High Power Heating Lamp: 147 V
제4 고출력 히팅램프: 155 VFourth High Power Heating Lamp: 155 V
제5 고출력 히팅램프: 156 V5th High Power Heating Lamp: 156 V
제6 고출력 히팅램프: 147 V6th High Power Heating Lamp: 147 V
제7 고출력 히팅램프: 104 VSeventh High Power Heating Lamp: 104 V
제8 고출력 히팅램프: 45 V이었다.
The eighth high output heating lamp was 45 V.
실시예 3: 블로잉 공정 3Example 3: Blowing process 3
상기 실시예 1의 조건과 동일하게 하면서, 구동 전압을 다른 조건으로 진행하였다.The driving voltage was chang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while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were obtained.
제1 고출력 히팅램프: 155 VFirst High Power Heating Lamp: 155 V
제2 고출력 히팅램프: 180 VSecond High Power Heating Lamp: 180 V
제3 고출력 히팅램프: 170 VThird High Power Heating Lamp: 170 V
제4 고출력 히팅램프: 165 VFourth High Power Heating Lamp: 165 V
제5 고출력 히팅램프: 165 V5th High Power Heating Lamp: 165 V
제6 고출력 히팅램프: 155 V6th High Power Heating Lamp: 155 V
제7 고출력 히팅램프: 125 VSeventh High Power Heating Lamp: 125 V
제8 고출력 히팅램프: 65 V이었다.
The eighth high output heating lamp was 65 V.
실시예 4: 블로잉 공정 4Example 4: Blowing process 4
상기 실시예 1의 조건과 동일하게 하면서, 구동 전압을 다른 조건으로 진행하였다.The driving voltage was chang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while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were obtained.
제1 고출력 히팅램프: 165 VFirst High Power Heating Lamp: 165 V
제2 고출력 히팅램프: 210 VSecond High Power Heating Lamp: 210 V
제3 고출력 히팅램프: 185 VThird High Power Heating Lamp: 185 V
제4 고출력 히팅램프: 185 VFourth High Power Heating Lamp: 185 V
제5 고출력 히팅램프: 175 V5th High Power Heating Lamp: 175 V
제6 고출력 히팅램프: 180 V6th High Power Heating Lamp: 180 V
제7 고출력 히팅램프: 125 VSeventh High Power Heating Lamp: 125 V
제8 고출력 히팅램프: 105 V이었다.
The eighth high output heating lamp was 105 V.
실험 결과 : 실시예 1 내지 4Experimental results: Examples 1 to 4
상기의 제1 히팅램프 내지 제8 히팅램프의 구동전압을 달리하여 형성시킨 폴리프로필렌 중공 용기의 투명도를 측정하였고, 하기 표 1에 표시하였다.
The transparency of the polypropylene hollow container formed by varying the driving voltage of the first to eighth heating lamps was measured and shown in Table 1 below.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서 각각 투명도는 2.5 내지 7.8%까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실시예 1의 조건에서 가장 투명도가 높은 폴리프로필렌 중공 용기가 제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In Examples 1 to 4, the transparency varied from 2.5 to 7.8%,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olypropylene hollow container having the highest transparency was produced under the conditions of Example 1.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10 : 블로잉 장치 20 : 프리폼
30 : 프리폼 결합부 31 : 체결부
32 : 공급부 33 : 탄성부
40 : 이송부
100, 200, 300, 400, 500, 600 : 히팅존
110, 120, 210, 220, 310, 320 : 히팅램프대10: blowing device 20: preform
30: preform joining part 31:
32: supply part 33: elastic part
40:
100, 200, 300, 400, 500, 600: heating zone
110, 120, 210, 220, 310, 320:
Claims (14)
상기 프리폼을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냉각된 프리폼을 안정화시키는 단계;
상기 안정화된 프리폼을 제1 구동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제1 히팅램프와, 상기 제1 구동전압보다 낮은 제2 구동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제2 히팅램프와, 상기 제1 구동전압보다 낮고 상기 제2 구동전압보다 높은 제3 구동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제3 히팅램프와, 상기 제1 구동전압보다 낮고 상기 제3 구동전압보다 높은 제4 구동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제4 히팅램프와, 상기 제4 구동전압보다 낮고 상기 제3 구동전압보다 높은 제5 구동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제5 및 제6 히팅램프와, 상기 제2 구동전압보다 낮은 제6 구동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제7 및 제8히팅램프가 설치된 히팅존을 통과시켜 가열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가열시킨 프리폼을 블로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용 폴리 프로필렌 투명 중공용기의 제조방법.
Melting a polypropylene resin in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molding and injecting the polypropylene resin into a mold to form a preform;
Cooling the preform;
Stabilizing the cooled preform;
A first heating lamp driven by a first driving voltage, a second heating lamp driven by a second driving voltage lower than the first driving voltage, and a second driving lamp driven by the second driving voltage, A fourth heating lamp driven by a third driving voltage higher than the first driving voltage and driven by a fourth driving voltage lower than the first driving voltage and higher than the third driving voltage, Fifth and sixth heating lamps driven by a fifth driving voltage lower than the first driving voltage and higher than the third driving voltage and seventh and eighth heating lamps driven by a sixth driving voltage lower than the second driving voltage, Passing through the installed heating zone and heating; And
And blowing the heated preform. The method of producing a hollow polypropylene hollow container for sterilization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핵제가 첨가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용 폴리프로필렌 투명 중공용기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propylene is free of a nucleating agent.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230 내지 240℃에서 용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용 폴리프로필렌 투명 중공용기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propylene resin is melted at 230 to 240 占 폚.
상기 냉각시키는 단계는 20℃에서 10 내지 20초간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용 폴리프로필렌 투명 중공용기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oling step is performed at 20 캜 for 10 to 20 seconds.
상기 프리폼을 안정화시키는 단계에서, 안정화는 20 내지 25℃에서 12 내지 120시간 동안 안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용 폴리프로필렌 투명 중공용기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stabilizing the preform is stabilized at 20 to 25 DEG C for 12 to 120 hours.
상기 히팅존은 6개의 히팅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용 폴리프로필렌 투명 중공용기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ing zone is six heating zones. ≪ RTI ID = 0.0 > 15. < / RTI >
상기 히팅존은 그 길이가 75 내지 80 ㎝인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멸균용 폴리프로필렌 투명 중공용기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heating zone has a length of 75 to 80 cm. ≪ RTI ID = 0.0 > 11. < / RTI >
상기 히팅존을 통과시켜, 가열시키는 시간은 210 내지 240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용 폴리프로필렌 투명 중공용기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ing time is from 210 to 240 seconds after passing through the heating zone.
상기 블로잉 공정 전에 예비 블로잉 공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용 폴리프로필렌 투명 중공용기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liminary blowing step is preceded by the preliminary blowing step before the blowing step.
상기 프리폼과 결합되는 프리폼 결합부와;
상기 프리폼을 가열하는 제1 구동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제1 히팅램프와, 상기 제1 구동전압보다 낮은 제2 구동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제2 히팅램프와, 상기 제1 구동전압보다 낮고 상기 제2 구동전압보다 높은 제3 구동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제3 히팅램프와, 상기 제1 구동전압보다 낮고 상기 제3 구동전압보다 높은 제4 구동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제4 히팅램프와, 상기 제4 구동전압보다 낮고 상기 제3 구동전압보다 높은 제5 구동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제5 및 제6 히팅램프와, 상기 제2 구동전압보다 낮은 제6 구동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제7 및 제8히팅램프가 설치된 히팅존을 포함하는 히팅부와;
상기 가열시킨 프리폼을 블로잉하는 블로잉부를 포함하는 멸균용 폴리프로필렌 투명 중공용기의 제조장치.
An injection part for melting the polypropylene resin to form a preform;
A preform joining unit coupled to the preform;
A first heating lamp driven by a first driving voltage for heating the preform; a second heating lamp driven by a second driving voltage lower than the first driving voltage; A fourth heating lamp driven by a third driving voltage higher than the first driving voltage and driven by a fourth driving voltage lower than the first driving voltage and higher than the third driving voltage, Fifth and sixth heating lamps driven by a fifth driving voltage lower than the first driving voltage and higher than the third driving voltage and seventh and eighth heating lamps driven by a sixth driving voltage lower than the second driving voltage, A heating unit including an installed heating zone;
And a blowing unit for blowing the heated preform.
상기 히팅존은 6 구간의 히팅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용 폴리프로필렌 투명 중공용기의 제조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heating zone is a heating zone of six sections.
상기 히팅존은 그 길이가 75 내지 8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용 폴리프로필렌 투명 중공용기의 제조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heating zone has a length of 75 to 80 cm. ≪ RTI ID = 0.0 > 8. < / RTI >
상기 프리폼 결합부는 압축 공기 주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용 폴리프로필렌 투명 중공용기의 제조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preform joining portion comprises a compressed air injecting portion.
상기 프리폼 결합부는 중공용기를 프리폼 결합부와 이격시키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용 폴리프로필렌 투명 중공용기의 제조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preform joining portion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portion for separating the hollow container from the preform joining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77463A KR101490813B1 (en) | 2014-06-24 | 2014-06-24 | manufacturing method for polypropylene transparent vessel for sterilization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77463A KR101490813B1 (en) | 2014-06-24 | 2014-06-24 | manufacturing method for polypropylene transparent vessel for sterilization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90813B1 true KR101490813B1 (en) | 2015-02-09 |
Family
ID=52591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077463A Active KR101490813B1 (en) | 2014-06-24 | 2014-06-24 | manufacturing method for polypropylene transparent vessel for sterilization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90813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56574B1 (en) * | 1989-03-29 | 1998-12-01 | 에또오 다께또시 | Polypropylene Resin Blow Molding Container |
KR20030070402A (en) * | 2002-02-25 | 2003-08-30 | 우진기업(주) | Manufacturing method of polypropylene bottle for sterilize |
KR20120090351A (en) * | 2011-02-07 | 2012-08-17 | 우진기업(주) | Method of fabricating resin form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the same |
-
2014
- 2014-06-24 KR KR20140077463A patent/KR10149081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56574B1 (en) * | 1989-03-29 | 1998-12-01 | 에또오 다께또시 | Polypropylene Resin Blow Molding Container |
KR20030070402A (en) * | 2002-02-25 | 2003-08-30 | 우진기업(주) | Manufacturing method of polypropylene bottle for sterilize |
KR20120090351A (en) * | 2011-02-07 | 2012-08-17 | 우진기업(주) | Method of fabricating resin form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800248B2 (en) | System for aseptically filling a container with a beverage or food | |
AU1259400A (en) | Process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molding of a container | |
TW200502312A (en) | Compositions and a method for improving reheat rate of pet using activated carbon | |
MX2010013990A (en) | Overmolded container having a foam layer. | |
EP3342723B1 (en) | Synthetic resin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CN105237849A (en) | Liquid laundry detergent bottl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CN108136652A (en) | For reducing the method for the load of microorganisms of container products | |
KR100462276B1 (en) | Crystallized bottle head of Polyester beer bottle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 |
EP1827796B1 (en) | Process for preparing bottles from injection stretch blow moulding of compositions of polypropylene and non-sorbitol nucleating agents | |
KR101490813B1 (en) | manufacturing method for polypropylene transparent vessel for sterilization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 |
US10730224B2 (en) | Container manufacturing device | |
JP6746880B2 (en) | Packing body manufacturing method, plastic bottle, packing body, and packing body manufacturing apparatus | |
JP2018530460A (en) | Equipment for reducing microbial contamination of container products | |
ES2344064T3 (en) | POLYPROPYLENE PROCEDURE WITH REDUCED CYCLE TIME IN THE MOLDING BY INJECTION-STRETCH-BLOWING. | |
CN1556742A (en) |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ET preforms and containers such as food bottles, resulting containers and intermediate preforms | |
RU2009145640A (en) | MODIFIED SYSTEMS OF HOT GASTRONIC CHANNELS FOR INJECTION-BLOW FORMING | |
KR101210856B1 (en) | Method of fabricating resin form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the same | |
CN114919154A (en) | Processing and forming process of electric heating mosquito-repellent incense liquid bottle body | |
ITMI962159A1 (en) | PERFECTED PROCESS FOR THE DIMENSIONAL STABILIZATION OF POLYETHYLENTEREPHTHALATE PRODUCTS | |
WO2005000560A3 (en) | System for the thermal conditioning of preforms of plastic containers | |
ES2350458T3 (en) | LOW FUSION TEMPERATURE RESINS FOR MEDICAL APPLICATIONS IN AN INJECTION, BLOWING AND STRETCHING MOLDING. | |
US20210261283A1 (en) | Container preform | |
KR100436217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polypropylene bottle for sterilize | |
ATE538175T1 (en) | BEVERAGE CONTAINER AND THE PRODUCTION PROCESS THEREOF | |
KR102472731B1 (en) | Beverage containe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7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