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90467B1 - 액정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0467B1
KR101490467B1 KR20120059550A KR20120059550A KR101490467B1 KR 101490467 B1 KR101490467 B1 KR 101490467B1 KR 20120059550 A KR20120059550 A KR 20120059550A KR 20120059550 A KR20120059550 A KR 20120059550A KR 101490467 B1 KR101490467 B1 KR 101490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green
blue
red
chann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120059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5851A (ko
Inventor
신종석
이종혁
신훈섭
우희성
김대현
장지윤
송효식
공준성
김호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3/626,569 priority Critical patent/US8913093B2/en
Priority to CN201210372158.2A priority patent/CN103033974B/zh
Priority to CN201510451009.9A priority patent/CN105158961B/zh
Publication of KR20130035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5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46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07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for displaying colours or for displaying grey scales with a specific pixel layout, e.g. using sub-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09G5/0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using circuits for interfacing with colour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22Colour filters incorporated in the active matrix substra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0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aperture ratio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2RGB geometrical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GB 픽셀들을 비대칭으로 설계하여 RGB 픽셀들 간의 휘도 균일도를 높임과 아울러, 화상의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레드 컬러의 빛을 투과시키는 레드 픽셀; 상기 레드 픽셀의 구동을 스위칭하는 레드 픽셀 채널; 그린 컬러의 빛을 투과시키는 그린 픽셀; 상기 그린 픽셀의 구동을 스위칭하는 그린 픽셀 채널; 블루 컬러의 빛을 투과시키는 블루 픽셀; 및 상기 블루 픽셀의 구동을 스위칭하는 블루 픽셀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레드 픽셀, 그린 픽셀 및 블루 픽셀 중에서 상대적 휘도가 낮은 적어도 하나의 픽셀의 채널이 상대적 휘도가 높은 채널 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RGB 픽셀들을 비대칭으로 설계하여 RGB 픽셀들 간의 휘도 균일도를 높이고,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장치는 양산 기술의 발전, 구동수단의 용이성, 저전력 소비, 고화질 구현 및 대화면 구현의 장점으로 대중화되고 있으며, 적용 분야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픽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게이트 라인(10)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20)이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게이트 라인(10)과 데이터 라인(20)에 의해 복수의 픽셀이 정의된다.
복수의 픽셀은 레드(red) 픽셀, 그린(green) 픽셀, 블루(blue) 픽셀들로 구성된다. 3색(레드, 그린, 블루)의 픽셀들로 하나의 단위 픽셀을 구성한다.
픽셀(30)에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은 채널(40)을 통해 스위칭 되고,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컬러 화상을 표시한다. 여기서, 채널(40)은 TFT(thin film transistor)로 형성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레드(red) 픽셀, 그린(green) 픽셀, 블루(blue) 픽셀의 설계를 동일하게 한다. 모든 픽셀들의 가로 폭(X)과 세로 폭(Y)을 모두 동일하게 형성하였다. 또한, 레드(red) 픽셀, 그린(green) 픽셀, 블루(blue) 픽셀의 채널(40) 위치도 동일하게 형성하였다.
액정 표시장치의 표시품질은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데, 대표적인 것이 화상의 휘도이다. 여기서, 화상의 휘도는 백라이트의 밝기, 컬러 자체의 휘도 특성 및 액정을 포함한 픽셀의 광 투과율 즉, 픽셀의 개구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픽셀(30)들의 개구율이 동일한 경우, 레드(red) 픽셀, 그린(green) 픽셀, 블루(blue) 픽셀의 컬러 특성에 의해 화이트 컬러의 휘도가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화이트 컬러는 레드(red) 픽셀, 그린(green) 픽셀, 블루(blue) 픽셀의 색 좌표 및 휘도 조합을 통해 구현된다.
액정 표시장치의 제조회사들은 레드 컬러, 그린 컬러 및 블루 컬러의 요구사항은 동일하지만, 화이트 컬러에 대한 요구사항은 다를 수 있다.
여기서, 컬러 별 휘도 특성은 그린 컬러가 가장 밝고, 다음으로 레드 컬러가 밝고, 블루 컬러의 휘도가 가장 떨어진다. 일반적으로, 픽셀들이 동일한 개구율을 가지는 경우에, 그린 픽셀의 휘도를 100% 기준으로 할 때, 레드 픽셀의 휘도는 90%, 블루 픽셀의 휘도는 78%가 된다.
따라서, 레드(red) 픽셀, 그린(green) 픽셀, 블루(blue) 픽셀의 개구율이 동일한 경우 컬러 자체의 휘도 특성이 상이함으로 인해 화이트 컬러의 왜곡이 발생될 수 있다.
레드(red) 픽셀, 그린(green) 픽셀, 블루(blue) 픽셀의 색 좌표를 유지하면서, 화이트 컬러의 색 좌표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레드(red) 픽셀, 그린(green) 픽셀, 블루(blue) 픽셀의 휘도 비율을 조정해야 한다.
레드(red) 픽셀, 그린(green) 픽셀, 블루(blue) 픽셀의 휘도를 조정하는 방법으로써, 감마(Gamma)를 조정하거나, 픽셀들의 투과율을 조정할 수 있다.
도 2는 컬러 별 휘도 편차를 줄이기 위해 픽셀 설계를 변경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컬러 별 휘도 편차를 줄이기 위해, 레드(red) 픽셀, 그린(green) 픽셀, 블루(blue) 픽셀의 개구율을 조정하였다.
예로서, 휘도가 가장 낮은 블루 픽셀이 개구율을 100% 기준으로, 레드(red) 픽셀의 개구율을 90%로 줄이고, 그린(green) 픽셀의 개구율을 78%로 줄였다. 이와 같이, 픽셀들의 개구율을 조정하여 화이트 컬러의 색 좌표를 조정하였다.
레드(red) 픽셀, 그린(green) 픽셀, 블루(blue) 픽셀의 휘도 값은 최대치(max)로 설정되므로, 레드(red) 픽셀, 그린(green) 픽셀, 블루(blue) 픽셀의 개구율을 조정하여 화이트 컬러의 색 좌표를 조정할 경우에는 패널 전체적으로 투과율을 손실이 발생된다. 이로 인해, 화상의 휘도가 저하되고 표시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RGB 픽셀들의 투과율 높임과 아울러, 화이트 컬러의 색 좌표를 조정할 수 있는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이트 컬러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는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RGB 픽셀들의 투과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화이트 컬러의 색 좌표를 조정할 수 있는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이트 컬러의 휘도를 높일 수 있는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레드 컬러의 빛을 투과시키는 레드 픽셀; 상기 레드 픽셀의 구동을 스위칭하는 레드 픽셀 채널; 그린 컬러의 빛을 투과시키는 그린 픽셀; 상기 그린 픽셀의 구동을 스위칭하는 그린 픽셀 채널; 블루 컬러의 빛을 투과시키는 블루 픽셀; 및 상기 블루 픽셀의 구동을 스위칭하는 블루 픽셀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레드 픽셀, 그린 픽셀 및 블루 픽셀 중에서 상대적 휘도가 낮은 적어도 하나의 픽셀의 채널이 상대적 휘도가 높은 채널 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상호 교차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 레드 픽셀의 구동을 스위칭하는 레드 픽셀 채널; 그린 픽셀의 구동을 스위칭하는 그린 픽셀 채널; 및 블루 픽셀의 구동을 스위칭하는 블루 픽셀 채널;을 포함하고, 레드 픽셀, 그린 픽셀 및 블루 픽셀 중에서 상대적 휘도가 낮은 픽셀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데이터 라인이 상대적 휘도가 높은 픽셀 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RGB 픽셀들의 투과율 높임과 아울러, 화이트 컬러의 색 좌표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화이트 컬러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RGB 픽셀들의 투과율의 저하시키지 않고, 화이트 컬러의 색 좌표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화이트 컬러의 휘도를 높일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효과들이 새롭게 파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픽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컬러 별 휘도 편차를 줄이기 위해 픽셀 설계를 변경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픽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1-A2 선에 따른 단면도로써, 채널 위치 변경에 따른 채널과 픽셀 전극의 컨택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픽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픽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픽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픽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픽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써, 채널 위치 변경에 따른 채널과 픽셀 전극의 컨택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픽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픽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픽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픽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어떤 구조물(전극, 라인, 레이어, 컨택)이 다른 구조물 '상부에 또는 상에' 및 '하부에 또는 아래에' 형성된다고 기재된 경우, 이러한 기재는 이 구조물들이 서로 접촉되어 있는 경우는 물론이고 이들 구조물들 사이에 제3의 구조물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면을 참조한 상세한 설명에 앞서, 액정 표시장치는 액정층의 배열을 조절하는 방식에 따라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등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그 중에서, IPS 모드와 FFS 모드는, 하부 기판(TFT 어레이 기판) 상에 픽셀 전극과 공통 전극을 형성하고, 픽셀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전계에 의해 액정층의 배열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특히, IPS 모드는, 픽셀 전극과 공통 전극을 평행하게 교대로 배열함으로써 양 전극 사이에서 횡전계를 일으켜 액정층의 배열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FFS 모드는 픽셀 전극과 공통 전극이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하나의 전극은 판(plate) 형상 또는 패턴으로 구성하고, 다른 하나의 전극은 핑거(finger)형상으로 형성한다. 픽셀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에 발생되는 프린지 필드(Fringe Field)를 통해 액정층의 배열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TN 모드, VA 모드, IPS 모드 및 FFS 모드가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에서는 FFS 모드를 적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및 구동 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 회로부는 타이밍 컨트롤러(T-con), 데이터 드라이버(D-IC), 게이트 드라이버(G-IC), 백라이트 구동부 및 구동 회로들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한다. 또한, 터치 패널이 적용된 경우 터치 센싱 드라이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 패널에 공급되는 광을 생성하는 광원과 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복수의 광학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광원은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EEFL(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가 이용될 수 있다.
복수의 광학 부재는 라이트 가이드 패널(LGP: Light Guide Panel), 확산 필름(diffusion film), 프리즘 시트, DBEF(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픽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는 픽셀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픽셀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회로부의 도시는 생략 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110)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120)이 교차하도록 형성되고, 게이트 라인(110)과 데이터 라인(120)에 의해 복수의 픽셀이 정의된다.
복수의 픽셀은 레드 픽셀(130R) 그린 픽셀(130G), 블루 픽셀(130B)들로 구성되며, 3색의 픽셀들(130R, 130G, 130B)로 하나의 단위 픽셀을 구성한다.
레드 픽셀(130R), 그린 픽셀(130G), 블루 픽셀(130B)에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은 채널(140R, 140G, 140B)을 통해 스위칭 되고,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컬러 화상을 표시한다. 여기서, 채널(140R, 140G, 140B)은 TFT(thin film transistor)로 형성된다.
화이트 컬러의 색 좌표는 레드 픽셀(130R), 그린 픽셀(130G), 블루 픽셀(130B)의 절대적인 면적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픽셀들의 상대적인 면적 비율에 의해 결정된다.
액정 표시장치의 제조업체마다 화이트 컬러의 색 좌표에 대한 요구 사항이 상이할 수 있다. 화이트 컬러의 색 좌표를 조정하기 위해 레드 픽셀, 그린 픽셀 및 블루 픽셀의 개구 면적을 비대칭으로 설계할 수 있다. 즉, 레드 픽셀, 그린 픽셀 및 블루 픽셀의 개구율을 비대칭으로 설계할 수 있다.
3컬러 픽셀들 중에서 휘도가 가장 낮은 블루 픽셀의 개구율을 100%으로 설계하고, 레드(red) 픽셀의 개구율을 90%로 줄이고, 블루(blue) 픽셀의 개구율을 78%로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블루 픽셀을 기준으로 그린 픽셀과 블루 픽셀의 개구율을 줄여 화이트 컬러의 색 좌표를 조정하면 단위 픽셀의 전체적인 개구율이 감소하여 화상의 휘도가 낮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레드 픽셀(130R), 그린 픽셀(130G), 블루 픽셀(130B)의 개구율 감소를 최소화 하면서도 화이트 컬러의 색 좌표를 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픽셀들에 형성되는 채널의 위치를 변경하였다.
일 예로서, 레드 픽셀(130R), 그린 픽셀(130G) 및 블루 픽셀(130B) 중에서 상대적 휘도가 낮은 픽셀의 채널을 상대적 휘도가 높은 픽셀로 이동시킨다. 즉, 상대적 휘도가 높은 픽셀 영역에 상대적 휘도가 낮은 픽셀의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컬러의 고유 특성에 의해, 그린 픽셀(130G)의 휘도를 100% 기준으로 할 때, 레드 픽셀(130R)의 휘도는 90%, 블루 픽셀(130B)의 휘도는 78% 이다. 따라서, 상대적 휘도가 가장 낮은 블루 픽셀(130B)의 채널(140B)을 상대적으로 휘도가 높은 그린 픽셀(130G) 영역으로 이동시킨다.
즉, 화이트 컬러의 색 좌표를 조정하기 위해, 픽셀을 비대칭으로 설계할 때, 개구 면적을 증가시켜야 하는 블루 픽셀(130B)의 채널(140B)을 그린 픽셀(130G)의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블루 픽셀(130B)의 채널(140B)을 그린 픽셀(130G) 영역으로 이동시킬 때, 그린 픽셀(130G)의 채널(140G)과 동일 수평 선상에 블루 픽셀(130B)의 채널(140B)을 형성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 픽셀(130B)의 채널(140B)을 그린 픽셀(130G)로 이동시키면 레드 픽셀(130R)의 개구율을 100% 기준으로, 그린 픽셀(130G)의 개구율은 87%가 되고, 블루 픽셀(130B)의 개구율은 113%가 된다.
상대적 휘도가 낮은 블루 픽셀(130B)의 채널(140B)을 상대적으로 휘도가 높은 그린 픽셀(130G)로 이동시키면, 블루 픽셀(130B)의 개구율이 증가되어 투과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단위 픽셀에서 개구율의 감소 없이 화이트 컬러의 색 좌표를 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2044301841-pat00001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서는 단위 픽셀을 구성하는 RGB 픽셀들의 개구율을 감소시켜 화이트 컬러의 색 좌표를 조정하였다. 이로 인해, 단위 픽셀의 투과율이 82%로 감소 하였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그린 픽셀(130G) 대비 상대적 휘도가 낮은 블루 픽셀(130B)의 채널(140B)을 상대적으로 휘도가 높은 그린 픽셀(130G)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블루 픽셀(130B)의 개구율을 증가시킴으로써, 단위 픽셀의 투과율을 종래 기술 대비 11.6%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1-A2 선에 따른 단면도로써, 채널 위치 변경에 따른 채널과 픽셀 전극의 컨택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블루 픽셀(130B)의 채널(140B)을 그린 픽셀(130G)의 영역으로 이동시키면, 블루 픽셀(130B)의 채널(140B)과 픽셀 전극을 연결시키기 위한 컨택 구조가 변경되어야 한다.
일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셀 구조를 형성하여 그린 픽셀(130G) 영역으로 이동시킨 블루 픽셀(130B)의 채널(140B)을 블루 픽셀(130B)의 픽셀 전극(180B)과 연결시킬 수 있다.
도 4에서는 액정 패널 중에서 TFT 어레이가 형성된 하부 기판(TFT 어레이 기판)을 도시하고 있으며, 전체 픽셀 중에서 일부 픽셀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액정 패널의 하부 기판은 글래스 기판(150), 차광층(152, light shield layer), 버퍼층(154, buffer layer), 게이트 절연층(156, GI: gate insulator), 층간 절연층(158, ILD: Inter Layer Dielectric), TFT, 제1 컨택(160), 브리지 패턴(162), 제1 보호층(164, PAS1), 공통 전극(170, Vcom electrode) 및 픽셀 전극(180G, 180B, Pixel electrode)을 포함한다.
글래스 기판(150) 상부 중에서 TFT가 형성되는 영역에는 차광층(152)이 형성되고, 차광층(152)을 덮도록 버퍼층(15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차광층(152)은 TFT에 빛이 입사되는 것을 차단하여 광 누설 전류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차광층(152)은 몰리브덴(Mo) 또는 알루미늄(Al)으로 형성될 수 있고, 500Å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버퍼층(154)은 무기물, 일 예로서 SiO2, 또는 SiNx로 형성될 수 있으며, 2,000Å ~ 3,000Å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버퍼층(154) 상부에 데이터 라인(120)이 형성된다. 도 4에서는 데이터 라인(120)을 기준으로 일측에 그린 픽셀(130G)이 형성되고, 타측에 블루 픽셀(130B)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버퍼층(154) 상부 중에서 차광층(152)과 중첩되는 영역에 TFT의 액티브(A), 소스(S) 및 드레인(D)이 형성된다. 소스(S) 및 드레인(D)은 데이터 라인(120)이 형성될 때 함께 형성된다.
여기서, 액티브(A)는 저온 폴리실리콘(P-Si)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500Å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소스(S) 및 드레인(D)은 액티브(A)의 반도체 레이어에 P 타입 또는 N 타입의 불순물이 도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154)의 상부 전면에는 액티브(A), 소스(S) 및 드레인(D)을 덮도록 게이트 절연층(156)이 형성된다. 이때, 게이트 절연층(156)은 SiO2로 형성될 수 있으며, 1,300Å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게이트 절연층(156)은 TEOS(Tetra Ethyl Ortho Silicate) 또는 MTO(Middle Temperature Oxide)를 CVD(Chemical Vapor Deposition)로 증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게이트 절연층(156)의 상부 중에서 액티브(A)와 중첩되는 영역에는 게이트(G)가 형성된다. 이때, 게이트(G)는 알루미늄(Al) 또는 몰리브덴(Mo)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3,000Å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게이트 절연층(156)을 사이에 두고, 액티브(A), 소스(S), 드레인(D) 및 게이트(G)가 형성되어 TFT가 구성된다.
이러한, TFT를 통해 픽셀을 구동시키기 위한 채널이 형성되며, 도 4에서는 TFT가 탑 게이트(top gate) 구조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TFT는 바텀 게이트(bottom gate)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화이트 컬러의 색 좌표를 조정하기 위해 픽셀의 비대칭 설계가 필요한 경우에, 레드 픽셀(130R), 그린 픽셀(130G), 블루 픽셀(130B) 중에서 상대적 휘도가 낮은 블루 픽셀(130R)의 채널(140B)을 상대적으로 휘도가 높은 그린 픽셀(130G)의 영역에 형성한다. 즉, 개구 면적을 증가시켜야 하는 블루 픽셀(130B)의 채널(140B)을 개구 면적을 줄일 수 있는 그린 픽셀(130G)의 영역에 형성한다.
게이트 절연층(156) 상부에는 게이트(G)를 덮도록 층간 절연층(158)이 형성된다. 이때, 층간 절연층(158)은 SiO2 또는 SiNx로 형성될 수 있으며, 6,000Å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층간 절연층(158)은 SiO2(3,000Å)/SiNx(3,000Å)의 구조로도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린 픽셀 영역에서, 블루 픽셀(130B) 채널(140B)의 드레인(D)과 접속되는 제1 컨택(16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 컨택(160)은 6,000Å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제1 컨택(160)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층(158)의 상부에는 브리지 패턴(162)이 형성된다. 브리지 패턴(162)은 그린 픽셀(130G)과 블루 픽셀(130B)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 브리지 패턴(162)의 일측은 그린 픽셀(130G)의 제1 컨택(160)과 접속되고, 브리지 패턴(162)의 타측은 블루 픽셀(130B) 영역에 형성되는 블루 픽셀 전극(180B)과 접속된다.
층간 절연층(158) 상부에는 제1 컨택(160)을 덮도록 제1 보호층(164, PAS1)이 형성된다. 이때, 제1 보호층(164, PAS1)은 포토 아크릴(photo acryl) 물질로, 3um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층간 절연층(158)의 상부 중에서 개구 영역에 공통 전극(170, Vcom electrode)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통 전극(170)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또는 ITZO(indium tin zinc oxide)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500Å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제1 보호층(164) 상부에 픽셀 전극이 핑거(finger)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그린 픽셀 영역에는 그린 픽셀 전극(180G)이 형성되고, 블루 픽셀 영역에는 블루 픽셀 전극(180B)이 형성된다. 이러한, 픽셀 전극(180G, 180B)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또는 ITZO(indium tin zinc oxide)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500Å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그린 픽셀(130G)에 형성된 블루 픽셀(130B)의 채널(140B)은 제1 컨택(160)과 브리지 패턴(162)을 경유하여 블루 픽셀 전극(180B)과 컨택되게 된다.
여기서, 제1 보호층(164, PAS1)과 픽셀 전극(180G, 180B)은 하나의 하프 톤 마스크(HTM: half tone mask)를 이용한 단일 마스크 공정을 통해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하부 기판의 구조를 통해, 그린 픽셀(130G) 영역에 형성된 블루 픽셀(130B)의 채널(140B)을 블루 픽셀 전극(180B)과 컨택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상대적 휘도가 낮은 블루 픽셀(130B)의 채널(140B)을 상대적으로 휘도가 높은 그린 픽셀(130G)로 이동시킨다. 이때, 레드 픽셀(130R)의 개구율을 100% 기준으로, 그린 픽셀(130G)의 개구율은 87%가 되고, 블루 픽셀(130B)의 개구율을 113%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단위 픽셀의 개구율을 증가시키고, 화이트 컬러의 색 좌표를 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픽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레드 픽셀(130R), 그린 픽셀(130G), 블루 픽셀(130B) 중에서 상대적 휘도가 낮은 픽셀의 채널을 상대적 휘도가 높은 픽셀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그린 픽셀(130G) 대비 상대적 휘도가 가장 낮은 블루 픽셀(130B)의 채널(140B)을 상대적으로 휘도가 높은 그린 픽셀(130G) 영역으로 이동시킨다.
즉, 화이트 컬러의 색 좌표를 조정하기 위해 픽셀의 비대칭 설계가 필요한 경우에, 개구 면적을 증가시켜야 하는 블루 픽셀(130B)의 채널(140B)을 그린 픽셀(130G)의 영역에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블루 픽셀(130B)의 채널(140B)을 그린 픽셀(130G) 영역으로 이동시켜 형성할 때, 그린 픽셀(130G)의 채널(140G)과 대각선 방향에 블루 픽셀(130B)의 채널(140B)을 형성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픽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레드 픽셀(130R), 그린 픽셀(130G), 블루 픽셀(130B) 중에서 상대적 휘도가 낮은 픽셀의 채널을 상대적 휘도가 높은 픽셀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그린 픽셀(130G) 대비 상대적 휘도가 가장 낮은 블루 픽셀(130B)의 채널(140B)을 상대적으로 휘도가 높은 그린 픽셀(130G) 영역으로 이동시킨다.
즉, 화이트 컬러의 색 좌표를 조정하기 위해 픽셀의 비대칭 설계가 필요한 경우에, 개구 면적을 증가시켜야 하는 블루 픽셀(130B)의 채널(140B)을 그린 픽셀(130G)의 영역에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블루 픽셀(130B)의 채널(140B)을 그린 픽셀(130G) 영역으로 이동시켜 형성할 때, 그린 픽셀(130G)의 채널(140G)과 동일 수직 선상에 블루 픽셀(130B)의 채널(140B)을 형성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픽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레드 픽셀(130R), 그린 픽셀(130G), 블루 픽셀(130B) 중에서 상대적 휘도가 낮은 픽셀의 채널 일부를 상대적 휘도가 높은 픽셀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그린 픽셀(130G) 대비 상대적 휘도가 가장 낮은 블루 픽셀(130B)의 채널(140B) 일부를 상대적으로 휘도가 높은 그린 픽셀(130G) 영역으로 이동시킨다.
즉, 화이트 컬러의 색 좌표를 조정하기 위해 픽셀의 비대칭 설계가 필요한 경우에, 개구 면적을 증가시켜야 하는 블루 픽셀(130B)의 채널(140B) 일부를 그린 픽셀(130G)의 영역에 형성할 수 있다. 예로서, 블루 픽셀(130B)의 채널(140B) 중에서 1/2은 블루 픽셀 영역에 형성하고, 나머지 1/2을 그린 픽셀(130G)의 영역에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그린 픽셀(130G) 영역에 형성되는 블루 픽셀(130B)의 채널(140B) 일부는 그린 픽셀(130G)의 채널(140G)과 동일 수평 선상에 형성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픽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레드 픽셀(130R), 그린 픽셀(130G), 블루 픽셀(130B) 중에서 상대적 휘도가 낮은 픽셀들의 채널을 상대적 휘도가 높은 픽셀 영역에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린 픽셀(130G) 대비 상대적 휘도가 가장 낮은 레드 픽셀(130R)의 채널(140R) 및 블루 픽셀(130B)의 채널(140B)을 상대적으로 휘도가 높은 그린 픽셀(130G) 영역으로 이동시켜 형성할 수 있다.
즉, 화이트 컬러의 색 좌표를 조정하기 위해 픽셀의 비대칭 설계가 필요한 경우에, 개구 면적을 증가시켜야 하는 레드 픽셀(130R)의 채널(140R) 및 블루 픽셀(130B)의 채널(140B)을 그린 픽셀(130G)의 영역에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블루 픽셀(130B)의 채널(140B)을 그린 픽셀(130G) 영역으로 이동시킬 때, 그린 픽셀(130G)의 채널(140G)과 동일 수평 선상에 블루 픽셀(130R)의 채널(140B)을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레드 픽셀(130R)의 채널(140R)을 그린 픽셀(130G) 영역으로 이동시킬 때, 그린 픽셀(130G)의 채널(140G)과 동일 수직 선상에 레드 픽셀(130R)의 채널(140R)을 형성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픽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레드 픽셀(130R), 그린 픽셀(130G), 블루 픽셀(130B) 중에서 상대적 휘도가 낮은 픽셀들의 채널들을 상대적 휘도가 높은 픽셀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그린 픽셀(130G) 대비 상대적 휘도가 가장 낮은 블루 픽셀(130B)의 채널(140B)을 상대적으로 휘도가 높은 그린 픽셀(130G) 영역으로 이동시켜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그린 픽셀(130G) 대비 상대적 휘도가 가장 낮은 레드 픽셀(130G)의 채널(140R) 일부를 상대적으로 휘도가 높은 그린 픽셀(130G) 영역으로 이동시켜 형성할 수 있다.
즉, 화이트 컬러의 색 좌표를 조정하기 위해 픽셀의 비대칭 설계가 필요한 경우에, 개구 면적을 증가시켜야 하는 블루 픽셀(130B)의 채널(140B) 전체와 레드 픽셀(130R)의 채널(140R) 일부를 그린 픽셀(130G)의 영역에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그린 픽셀(130G)의 채널(140G)과 대각선 방향에 블루 픽셀(130B)의 채널(140B)을 형성시키고, 그린 픽셀(130G)의 채널(140G)과 동일 수직 선상에 레드 픽셀(130R)의 채널(140R) 일부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에서, 레드 픽셀(130R), 그린 픽셀(130G) 및 블루 픽셀(130B)의 가로 폭(X)과 세로 폭(Y)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레드 픽셀(130R), 그린 픽셀(130G) 및 블루 픽셀(130B)의 가로 폭(X)과 세로 폭(Y)은 상이할 수도 있다.
RGB 픽셀들 중에서 상대적 휘도가 낮은 적어도 하나의 픽셀의 채널을 상대적 휘도가 높은 채널 영역에 형성함과 아울러, 레드 픽셀(130R), 그린 픽셀(130G) 및 블루 픽셀(130B)의 가로 폭(X)과 세로 폭(Y)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위 픽셀을 기준으로 개구율의 감소 없이 화이트 컬러의 색 좌표를 조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그린 픽셀(130G) 대비 상대적 휘도가 낮은 블루 픽셀(130B)과 레드 픽셀(130G)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140B, 140R)의 일부 또는 전체를 상대적으로 휘도가 높은 그린 픽셀(130G)로 이동시켜 단위 픽셀의 개구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RGB 픽셀들의 투과율 높임과 아울러, 단위 픽셀을 기준으로 개구율의 감소 없이 화이트 컬러의 색 좌표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그린 픽셀(130G) 대비 상대적 휘도가 낮은 블루 픽셀(130B)과 레드 픽셀(130G)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140B, 140R)의 일부 또는 전체를 상대적으로 휘도가 높은 그린 픽셀(130G)로 이동시켜 화이트 컬러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써, 채널 위치 변경에 따른 채널과 픽셀 전극의 컨택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픽셀 구조를 형성하여 그린 픽셀 영역으로 이동시킨 블루 픽셀의 채널(240B)을 블루 픽셀의 픽셀 전극(280B)과 연결시킬 수 있다.
글래스 기판(150) 상부 중에서 TFT가 형성되는 영역에는 차광층(252)이 형성되고, 차광층(252)을 덮도록 버퍼층(254)이 형성되어 있다.
버퍼층(254) 상부에 데이터 라인(220)이 형성된다. 도 10에서는 데이터 라인(220)을 기준으로 일측에 그린 픽셀이 형성되고, 타측에 블루 픽셀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버퍼층(254) 상부 중에서 차광층(252)과 중첩되는 영역에 TFT의 액티브(A), 소스(S) 및 드레인(D)이 형성된다.
버퍼층(254)의 상부 전면에는 액티브(A), 소스(S) 및 드레인(D)을 덮도록 게이트 절연층(256)이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층(256)의 상부 중에서 액티브(A)와 중첩되는 영역에는 게이트(G)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게이트 절연층(156)을 사이에 두고, 액티브(A), 소스(S), 드레인(D) 및 게이트(G)가 형성되어 TFT가 구성된다.
게이트 절연층(256) 상부에는 게이트(G)를 덮도록 층간 절연층(258)이 형성된다.
그린 픽셀 영역에서, 블루 픽셀 채널(240B)의 드레인(D)과 접속되는 제1 컨택(260)이 형성되어 있다.
층간 절연층(258)의 상부에는 브리지 패턴(262) 및 픽셀 전극이 형성된다. 브리지 패턴(262)은 그린 픽셀과 블루 픽셀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 브리지 패턴(262)의 일측은 그린 픽셀에 형성된 제1 컨택(260)과 접속되고, 브리지 패턴(262)의 타측은 블루 픽셀 영역에 형성되는 블루 픽셀 전극(280B)과 접속된다. 즉, 그린 픽셀에 형성된 블루 픽셀의 채널(240B)은 제1 컨택(260)과 브리지 패턴(262)을 경유하여 블루 픽셀 전극(280B)과 컨택되게 된다.
여기서, 브리지 패턴(262)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또는 ITZO(indium tin zinc oxide)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픽셀 전극과 함께 형성된다.
층간 절연층(258) 상부에는 제1 컨택(260)을 덮도록 제1 보호층(264, PAS1)이 형성된다.
제1 보호층(264) 절연층(158)의 상부에 공통 전극(270, Vcom electrode)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하부 기판의 구조를 통해, 그린 픽셀 영역에 형성된 블루 픽셀의 채널(240B)을 블루 픽셀 전극(280B)과 컨택시킬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레드 픽셀의 채널과 블루 픽셀의 채널 중 적어도 하나가 그린 픽셀 영역으로 이동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 중에서 일부를 설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그린 픽셀의 채널의 전부 또는 일부가 레드 픽셀 영역 또는 블루 픽셀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픽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레드 픽셀(130R), 그린 픽셀(130G), 블루 픽셀(130B)의 면적을 비 대칭으로 형성한다. 이때, 휘도가 높은 픽셀보다 휘도가 낮은 픽셀의 면적이 넓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레드 픽셀(130R), 그린 픽셀(130G), 블루 픽셀(130B) 중에서 상대적으로 휘도가 낮은 픽셀의 면적을 증가시킨다. 이때, 채널에 해당하는 면적만큼 휘도가 낮은 픽셀의 면적을 증가시킨다.
데이터 라인들(120) 중에서 블루 픽셀(130B)의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는 블루 데이터 라인(120B)의 일부분을 그린 픽셀(130G) 쪽으로 절곡시킨다. 이때, 블루 데이터 라인(120B)이 절곡되어 마련된 공간에 블루 픽셀(130B)의 채널(140B)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블루 데이터 라인(120B)을 절곡시켜 상대적으로 휘도가 높은 그린 픽셀(130G)의 면적은 감소시키고, 상대적으로 휘도고 낮은 블루 픽셀(130B)의 면적을 증가시킨다.
도 11과 같이, 블루 픽셀(130B)의 채널(140B)에 해당하는 면적만큼 블루 픽셀(130B)의 면적을 증가시키면 블루 픽셀(130B)의 개구율이 증가되어 투과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단위 픽셀에서 개구율의 감소 없이 화이트 컬러의 색 좌표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레드 픽셀(130R), 그린 픽셀(130G), 블루 픽셀(130B) 중에서 상대적으로 휘도가 낮은 레드 픽셀(130R)의 면적을 증가시킨다. 이때, 채널(140R)에 해당하는 면적만큼 휘도가 낮은 레드 픽셀(130R)의 면적을 증가시킨다.
데이터 라인들(120) 중에서 레드 픽셀(130R)의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는 레드 데이터 라인(120R)의 일부분을 그린 픽셀(130G) 쪽으로 절곡시킨다. 이때, 레드 데이터 라인(120R)이 절곡되어 마련된 공간에 레드 픽셀(130R)의 채널(140R)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레드 데이터 라인(120R)을 절곡시켜 상대적으로 휘도가 높은 그린 픽셀(130G)의 면적은 감소시키고, 상대적으로 휘도고 낮은 레드 픽셀(130R)의 면적을 증가시킨다.
도 12와 같이, 레드 픽셀(130R)의 채널(140R)에 해당하는 면적만큼 레드 픽셀(130R)의 면적을 증가시키면 레드 픽셀(130R)의 개구율이 증가되어 투과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단위 픽셀에서 개구율의 감소 없이 화이트 컬러의 색 좌표를 조정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데이터 라인들(120) 중에서 블루 픽셀(130B)의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는 블루 데이터 라인(120B)의 일부분을 그린 픽셀(130G) 쪽으로 절곡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레드 픽셀(130R)의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는 레드 데이터 라인(120R)의 일부분을 그린 픽셀(130G) 쪽으로 절곡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휘도가 높은 그린 픽셀(130G)의 면적은 감소시키고, 상대적으로 휘도고 낮은 레드 픽셀(130R) 및 블루 픽셀(130B)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픽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데이터 라인들(120) 중에서 그린 픽셀(130G)의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는 그린 데이터 라인(120G)의 일부분을 레드 픽셀(130R) 쪽으로 절곡 시킬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그린 픽셀(130G)의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는 그린 데이터 라인(120G)의 일부분을 블루 픽셀(130B) 쪽으로 절곡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그린 픽셀(130G)의 채널(140G)에 해당하는 면적만큼 그린 픽셀(130G)의 면적을 증가시킨다. 그린 데이터 라인(120G)이 절곡되어 마련된 공간에 그린 픽셀(130G)의 채널(140G)이 형성된다.
도 13과 같이, 그린 픽셀(130G)의 채널(140G)에 해당하는 면적만큼 그린 픽셀(130G)의 면적을 증가시키면 그린 픽셀(130G)의 개구율이 증가되어 투과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단위 픽셀에서 개구율의 감소 없이 화이트 컬러의 색 좌표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데이터 라인들(120) 중에서 그린 픽셀(130G)의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는 그린 데이터 라인(120G)의 일부분을 레드 픽셀(130R) 쪽으로 절곡시킬 수 있다. 이때, 그린 데이터 라인(120G)이 절곡됨으로써 확보되는 공간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린 데이터 라인(120G)이 절곡되어 확보된 공간에 그린 픽셀(130G)의 채널(140G)의 일부분이 형성되고, 그린 픽셀(130G)의 채널(140G)의 나머지 부분은 그린 픽셀(130G)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그린 픽셀(130G)의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는 그린 데이터 라인(120G)의 일부분을 블루 픽셀(130B) 쪽으로 절곡시킬 수도 있다.
도 14와 같이, 그린 픽셀(130G)의 면적을 증가시키면 그린 픽셀(130G)의 개구율이 증가되어 투과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단위 픽셀에서 개구율의 감소 없이 화이트 컬러의 색 좌표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 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게이트 라인 120, 220: 데이터 라인
130R: 레드 픽셀 130G: 그린 픽셀
130B: 블루 픽셀 140R: 레드 픽셀의 채널
140G: 그린 픽셀의 채널 140B, 240B: 블루 픽셀의 채널
150, 250: 글래스 기판 152, 252: 차광층
154, 254: 버퍼층 156, 256: 게이트 절연층
158, 258: 층간 절연층 160, 260: 제1 컨택
162: 브리지 패턴 164: 제1 보호층
170, 270: 공통 전극 180G, 280G: 그린 픽셀 전극
180B, 280B: 블루 픽셀 전극 A: 액티브
S: 소스 D: 드레인
G: 게이트 120R: 레드 데이터 라인
120G: 그린 데이터 라인 120B: 블루 데이터 라인

Claims (18)

  1. 레드 컬러의 빛을 투과시키는 레드 픽셀;
    상기 레드 픽셀의 구동을 스위칭하는 레드 픽셀 채널;
    그린 컬러의 빛을 투과시키는 그린 픽셀;
    상기 그린 픽셀의 구동을 스위칭하는 그린 픽셀 채널;
    블루 컬러의 빛을 투과시키는 블루 픽셀; 및
    상기 블루 픽셀의 구동을 스위칭하는 블루 픽셀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레드 픽셀, 상기 그린 픽셀 및 상기 블루 픽셀 중에서 상대적 휘도가 낮은 적어도 하나의 픽셀 영역의 채널이 상대적 휘도가 높은 픽셀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휘도가 높은 픽셀 영역에 형성된 채널과 상기 휘도가 낮은 픽셀 영역에 형성된 픽셀 전극을 연결하는 브리지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드 픽셀, 그린 픽셀 및 블루 픽셀 중에서 그린 픽셀 대비 휘도가 낮은 블루 픽셀의 채널 전체가 그린 픽셀 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그린 픽셀 대비 휘도가 낮은 블루 픽셀의 채널 일부가 그린 픽셀 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그린 픽셀 대비 휘도가 낮은 레드 픽셀의 채널 전체가 그린 픽셀 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그린 픽셀 대비 휘도가 낮은 레드 픽셀의 채널 일부가 그린 픽셀 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그린 픽셀 대비 휘도가 낮은 블루 픽셀 및 레드 픽셀의 채널 전체가 그린 픽셀 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그린 픽셀 대비 휘도가 낮은 블루 픽셀 및 레드 픽셀의 채널 일부가 그린 픽셀 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그린 픽셀 대비 휘도가 낮은 블루 픽셀의 채널 전체 및 레드 픽셀의 채널 일부가 그린 픽셀 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드 픽셀, 그린 픽셀 및 블루 픽셀의 가로 폭과 세로 폭은 모두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드 픽셀, 그린 픽셀 및 블루 픽셀 중에서 상대적 휘도가 낮은 적어도 하나의 픽셀의 채널을 상대적 휘도가 높은 채널 영역에 형성하여 화이트 컬러의 색 좌표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11. 상호 교차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
    레드 픽셀의 구동을 스위칭하는 레드 픽셀 채널;
    그린 픽셀의 구동을 스위칭하는 그린 픽셀 채널; 및
    블루 픽셀의 구동을 스위칭하는 블루 픽셀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레드 픽셀, 상기 그린 픽셀 및 상기 블루 픽셀 중에서 상대적 휘도가 낮은 픽셀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데이터 라인이 상대적 휘도가 높은 픽셀 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레드 픽셀, 상기 그린 픽셀 및 상기 블루 픽셀 중에서 상대적으로 휘도가 낮은 적어도 하나의 픽셀 영역의 채널이 상대적으로 휘도가 높은 픽셀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휘도가 높은 픽셀 영역에 형성된 채널과 상기 휘도가 낮은 픽셀 영역에 형성된 픽셀 전극을 연결하는 브리지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드 픽셀, 그린 픽셀 및 블루 픽셀 중에서 블루 픽셀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데이터 라인이 상기 그린 픽셀 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드 픽셀, 그린 픽셀 및 블루 픽셀 중에서 레드 픽셀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데이터 라인이 상기 그린 픽셀 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드 픽셀, 그린 픽셀 및 블루 픽셀 중에서 그린 픽셀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데이터 라인이 상기 레드 픽셀 또는 블루 픽셀 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에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라인이 절곡되어 마련된 공간에 채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16.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에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린 픽셀보다 상기 레드 픽셀 또는 블루 픽셀의 면적이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17.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에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린 픽셀보다 상기 레드 픽셀 및 블루 픽셀의 면적이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18.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에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드 픽셀 또는 블루 픽셀보다 상기 그린 픽셀의 면적이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KR20120059550A 2011-09-30 2012-06-04 액정 표시장치 Active KR101490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626,569 US8913093B2 (en) 2011-09-30 2012-09-25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201210372158.2A CN103033974B (zh) 2011-09-30 2012-09-29 液晶显示装置
CN201510451009.9A CN105158961B (zh) 2011-09-30 2012-09-29 液晶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127 2011-09-30
KR20110100127 2011-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851A KR20130035851A (ko) 2013-04-09
KR101490467B1 true KR101490467B1 (ko) 2015-02-06

Family

ID=48437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59550A Active KR101490467B1 (ko) 2011-09-30 2012-06-04 액정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90467B1 (ko)
CN (1) CN1051589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971B1 (ko) * 2016-06-16 2023-04-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13166B1 (ko) * 2019-10-14 2020-05-20 (주)큐엘 이미지 글래스의 제조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7059A (ja) * 1995-12-28 1997-09-09 Canon Inc 解像度変換可能な表示パネル及び表示装置
JP2006313350A (ja) 2005-05-02 2006-1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有機発光表示装置
JP2010066642A (ja) 2008-09-12 2010-03-25 Epson Imaging Devices Corp 液晶表示装置
KR20100046439A (ko) * 2008-10-27 2010-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4121A (en) * 1995-12-28 2000-01-11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panel and apparatus capable of resolution conversion
JP4398602B2 (ja) * 2001-05-18 2010-01-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JP4404072B2 (ja) * 2006-06-21 2010-01-27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液晶パネル
KR101589974B1 (ko) * 2009-05-06 2016-0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7059A (ja) * 1995-12-28 1997-09-09 Canon Inc 解像度変換可能な表示パネル及び表示装置
JP2006313350A (ja) 2005-05-02 2006-1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有機発光表示装置
JP2010066642A (ja) 2008-09-12 2010-03-25 Epson Imaging Devices Corp 液晶表示装置
KR20100046439A (ko) * 2008-10-27 2010-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851A (ko) 2013-04-09
CN105158961A (zh) 2015-12-16
CN105158961B (zh) 2018-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309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4749839B (zh) 弯曲液晶显示器
US20090309821A1 (en) Display Device
US1143563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first and second photoresists
US8779430B2 (en) Semiconductor device, active matrix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CN101510030B (zh) 液晶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KR20050003262A (ko) 4화소구조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US20170139293A1 (en) Liquid crystal panel and array substrate
US876713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red, green and blue subpixels having different aperture ratios
WO2019015025A1 (zh)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11415849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1307394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CN101349848A (zh) 液晶显示面板及其像素结构
KR101490467B1 (ko) 액정 표시장치
WO2019084981A1 (zh)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130007746A (ko) 화소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US2015008523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243947B1 (ko) 액정표시장치
WO2018045614A1 (zh) 彩色滤光片基板、液晶面板及液晶显示器
KR20130003660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090081135A (ko) 액정표시장치
US9941412B2 (en) Display device
WO2015096257A1 (zh) 彩色滤光基板及液晶显示面板
CN111221162A (zh) 电子装置
US2025013046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3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