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대해 구체화한 일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다.
[개략 구성]
먼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의 개략 구성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X1-X1 화살표에 따른 전체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는 차량의 웨빙(3)을 권취하기 위한 장치이다.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는 하우징 유닛(5), 권취 드럼 유닛(6), 권취 스프링 유닛(7), 메커니즘 커버 유닛(8)을 구비한다. 권취 드럼 유닛(6)은 클러치 유닛(9)을 포함한다. 메커니즘 커버 유닛(8)은 일체로 형성된 나이론 래치(nylon latch)(8A)를 구비한다. 메커니즘 커버 유닛(8)은 클러치 유닛(9)을 덮은 상태에서 나이론 래치(8A)에 의해 하우징 유닛(5)의 외측에 고정된다. 메커니즘 커버 유닛(8)은 클러치 유닛(9)과 협동하여 웨빙(3)의 급격한 인출 또는 차량 속도의 급격한 가속에 반응해서 웨빙(3)의 인출을 정지하는 잠금 기구(10)(도 31 참조)를 구성한다.
또, 권취 스프링 유닛(7)은 나이론 래치(11A)와 일체로 형성된 스프링 케이스(11)(도 7 참조)를 구비한다. 권취 스프링 유닛(7)은 나이론 래치(11A)에 의해 하우징 유닛(5)의 외측에 고정된다. 빠짐 방지 핀(12)은 웨빙(3)의 단부에 마련된다. 웨빙(3)은 권취 드럼 유닛(6)의 둘레에 삽입되어 감긴다. 권취 드럼 유닛(6)은 하우징 유닛(5)에 고정 설치된 권취 스프링 유닛(7)과 메커니즘 커버 유닛(8)의 사이에서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다.
[하우징 유닛의 개략 구성]
다음에, 하우징 유닛(5)의 개략 구성에 대해 도 2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X2-X2 화살표에 따른 전체 단면도이다. 도 5는 하우징의 메커니즘 커버 유닛(8)측의 측면도이다. 도 6은 하우징의 권취 스프링 유닛(7) 측의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유닛(5)은 하우징(15)과 프로텍터(17)를 포함한다. 하우징(15)은 평면에서 보아 대략 U자 형상을 갖는다. 가로로 긴 프레임형상의 프로텍터(17)는 나일론 등의 합성 수지로 형성된다. 프로텍터(17)에는 웨빙(3)이 인출되는 평면에서 보아 가로로 긴 사각형의 관통 구멍(16)이 형성된다.
또, 하우징(15)은 차체에 고정되는 등판부(18), 그 등판부(18)의 양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서로 대향하는 측벽부(21, 22)를 구비한다. 하우징(15)은 평면에서 보아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측벽부(21, 22)는 연결 부재(23)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 등판부(18)의 중앙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경량화 및 웨빙(3)의 부착 작업의 효율화 등이 도모되고 있다.
또, 프로텍터(17)에는 등판부(18)측의 측가장자리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 벽부(25)가 형성되고, 이 벽부(25)의 하단 중앙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걸어 맞춤 돌기(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로텍터(17)의 벽부(25)를 등판부(18)에 맞닿게 하면서, 서로 대향하는 각 측벽부(21, 22)의 사이에 배치하도록 밀어넣는 것에 의해서, 프로텍터(17)의 걸어 맞춤 돌기(26)가 등판부(18)에 형성된 개구부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탄성적으로 걸려 고정된다.
상기 프로텍터(17)의 관통 구멍(16)의 긴쪽 방향의 폭 치수는 웨빙(3)의 폭 치수와 대략 동등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관통 구멍(16)의 짧은 쪽 방향의 폭 치수는 웨빙(3)의 최소 감기 직경에서 최대 감기 직경까지의 외주면에 대략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웨빙(3)의 인출 및 권취를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커니즘 커버 유닛(8)이 부착되는 측벽부(21)의 대략 중앙부에는 원형상의 관통 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관통 구멍(28)의 내주면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 V자 형상의 걸어 맞춤 톱니(28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 맞춤 톱니(28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권취 드럼 유닛(6)의 외주면으로부터 출몰 자유롭게 배치된 폴(29)이 걸어 맞춰지는 것에 의해서, 웨빙 인출 방향의 권취 드럼 유닛(6)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32 참조).
또, 측벽부(21)는 관통 구멍(28)의 등판부(18)측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보강 홈(31)을 포함한다. 이 보강 홈(31)은 내측 방향(도 4에서 좌측 방향)에 단면 대략 반원형상으로 패이는 홈이고, 관통 구멍(28)과 동심으로 되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측벽부(21)에는 외측(도 2에서 좌측 방향)으로 소정 높이(예를 들면, 높이 약 1.5㎜임) 돌출하도록 버링 가공된 장착 구멍(32)이 형성된다. 장착 구멍(32)은 상단 가장자리부의 양 코너와 관통 구멍(28)의 중심축(28B)의 대략 바로 아래의 하단 가장자리부의 3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카니즘 커버 유닛(8)의 각 나이론 래치(8A)가 각 장착 구멍(32)에 끼워 넣어져 부착된다. 또, 각 나이론 래치(8A)의 기단부의 주위는 버링 가공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소정 높이 돌출된 각 장착 구멍(32)의 선단부에 맞닿기 때문에, 각 장착 구멍(32)에 부착된 상기 각 나이론 래치(8A)의 선단부가 측벽부(2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예를 들면, 돌출 높이를 약 2㎜에서 약 0.5㎜로 낮게 할 수 있다.).
또, 측벽부(21)의 관통 구멍(28)의 아래쪽에는 관통 구멍(28)의 중심축(28B)의 대략 바로 아래로부터 등판부(18) 측의 부분에, 대략 사각형의 개구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33)에는 메커니즘 커버 유닛(8)의 센서 커버(35)(도 8 참조)가 닫힌 상태로 삽입된다.
도 2,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구멍(38)은 권취 스프링 유닛(7)이 부착되는 측벽부(22)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상기 관통 구멍(38)은 반원호 개구부(36)와 확대 개구부(37)로 구성된다. 반원호 개구부(36)는 웨빙 인출 방향 측이 관통 구멍(28)의 중심축(28B)을 중심으로 하는 대략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확대 개구부(37)는 반원호 개구부(36)에 연속해서 측벽부(22)의 하단 가장자리부를 향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22)에 형성된 반원호 개구부(36)의 내주 직경은 측벽부(21)에 형성된 관통 구멍(28)의 걸어 맞춤 톱니(28A)의 선단의 내주 직경 D1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반원호 개구부(36)의 상단 가장자리부의 내주면에는 복수 개(도 6에서 7개)의 작은 V자형 돌기(39)가 반경 R1의 내주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측벽부(22)에 형성된 대략 U자 형상의 확대 개구부(37)는 반원호 개구부(36)의 양 하단부로부터 좌우 방향 외측으로 조금 넓어지면서 아래쪽으로 연장하고, 하단 가장자리부가 측벽부(21)의 관통 구멍(28)보다 아래쪽에 형성된 개구부(33)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22)에는 반원호 개구부(36)와 확대 개구부(37)의 등판부(18)측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내측 방향(도 4에서 우측 방향)에 단면 대략 반원형상으로 패이는 보강 홈(4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보강 홈(41)은 반원호 개구부(36)의 둘레가장자리부를 따라, 상기 반원호 개구부(36)와 동심의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확대 개구부(37)의 둘레가장자리부를 따라 등판부(18) 측에 근접하도록 조금 경사지면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하단부가 관통 구멍(28)의 하단에 대략 대응하는 높이로 되어 있다.
또, 측벽부(22)에는 외측 방향(도 2에서, 우측 방향)으로 소정 높이(예를 들면, 높이 약 1.5㎜임) 돌출하도록 버링 가공에 의해 형성된 가장자리를 갖는 장착 구멍(42)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 구멍(42)은 상단 가장자리부의 양 코너와 보강 홈(41)의 아래쪽의 하단 가장자리부의 3개소에 관통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권취 스프링 유닛(7)의 커버 케이스(11)에 마련된 각 나이론 래치(11A)가 각 장착 구멍(42)에 끼워 넣어져 부착된다.
또, 각 나이론 래치(11A)의 기단부의 주위는 버링 가공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소정 높이 돌출된 각 장착 구멍(42)의 선단부에 맞닿기 때문에, 각 장착 구멍(42)에 부착된 상기 각 나이론 래치(11A)의 선단부가 측벽부(22)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예를 들면, 돌출 높이를 약 2㎜에서 약 0.5㎜로 할 수 있다.).
[권취 스프링 유닛의 개략 구성]
다음에, 권취 스프링 유닛(7)의 개략 구성에 대해 도 2 내지 도 4와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권취 스프링 유닛(7)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 스프링 유닛(7)은 나선형 스프링(45), 스프링 케이스(11), 스프링 샤프트(47)와 스프링 시트(48)를 포함한다. 스프링 케이스(11)는 상기 나선형 스프링(45)의 내측 둘레가장자리부의 저면으로부터 세워 마련된 리브(46)에 상기 나선형 스프링(45)의 외측단(45A)을 고정한다. 상기 나선형 스프링(45)의 내측단(45B)은 스프링 샤프트(47)이 탄성력에 의해힘을 부가하도록 스프링 샤프트(47)에 끼워진다. 스프링 시트(48)는 스프링 케이스(11)에 부착되어 나선형 스프링(45)을 덮는다.
상기 스프링 케이스(11)의 저면부의 대략 중심 위치에 세워 마련된 핀(49)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핀(49)은 스프링 샤프트(47)의 저면부의 관통 구멍(47A)에 삽입되어 바닥부 측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스프링 샤프트(47)의 스프링 시트(48) 측의 단부는 스프링 시트(48)의 중앙부에 마련된 대략 원통형상의 보스부(48A)의 기단부의 주위에 형성된 단면 원형상의 단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 시트(48)는 외주부의 3개소에 마련된 각 걸림 돌기(48B)를 스프링 케이스(11)의 개방측 둘레가장자리부에 마련된 각 걸림 구멍(11B)에 탄성적으로 잠그는 것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 권취 드럼 유닛(6)의 스프링측 샤프트(51)의 기단부는 스프링 시트(48)의 중앙부에 마련된 대략 원통 형상의 보스부(48A)에 끼워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동시에, 단면 H자 형상으로 형성된 선단부가 스프링 샤프트(47)의 단면 H자 형상으로 형성된 통 내에 끼워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 샤프트(47)에 대해 상대 회전 불능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스프링 샤프트(47)를 통해 웨빙(3)의 권취 방향으로 회전운동하도록 나선형 스프링(45)의 부세력이 권취 드럼 유닛(6)에 상시 힘을 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리브(52)는 측벽부(22) 측에서 스프링 시트(48)의 면에서 세워 마련된다. 상기 리브(52)는 권취 드럼 유닛(6)의 단 가장자리부의 외주부를 덮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리브(52)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복수의 보강 리브(53)가 외주부까지 세워 마련되어 있다. 또, 이 복수의 보강 리브(53) 중, 하우징(15)의 측벽부(22)에 형성된 확대 개구부(37)에 대향하는 각 보강 리브(53)의 상단부에는 리브(52)의 외주면에서 확대 개구부(37)의 내주면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측벽부(22)의 두께에 대략 동등한 높이로 돌출된 위치 결정부(53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스프링 시트(48)의 리브(52)의 외측에는 원통형상의 위치 결정 보스(54)가 세워 마련되어 있다. 위치 결정 보스(54)는 측벽부(22)의 반원호 개구부(36)의 연결 부재(23) 측의 둘레가장자리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위치 결정 보스(54)가 위치 결정 구멍(56)(도 6 참조)에 끼워 넣어지고, 권취 스프링 유닛(7)을 각 나이론 래치(11A)를 통해 측벽부(22)의 각 장착 구멍(42)에 고정시킨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보강 리브(53)의 위치 결정부(53A)는 측벽부(22)의 내측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되도록 확대 개구부(37)내에 끼워 넣어진다.
[메커니즘 커버 유닛의 개략 구성]
다음에, 메커니즘 커버 유닛(8)의 개략 구성에 대해 도 2 내지 도 4와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메커니즘 커버 유닛(8)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커니즘 커버 유닛(8)은 메커니즘 커버(58)와 가속도 센서(61)를 포함한다. 메커니즘 커버(58)는 하우징(15)의 측벽부(21)의 외측에 각 나이론 래치(8A)에 의해서 클러치 유닛(9)을 덮도록 장착된다. 가속도 센서(61)는 메커니즘 커버(58)의 센서 수용부(59)에 수용되는 긴급 잠금 기동 장치로서의 작동한다.
메커니즘 커버(58)는 측벽부(21)의 관통 구멍(28)의 중심축(28B)에 대해 동축으로 클러치 유닛(9)에 대향하는 내측면에 형성된 환형의 리브부(62)를 구비한다. 상기 리브부(62)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잠금 암(63)의 걸어 맞춤 발톱(65)이 걸어 맞춰지는 잠금 기어(66)가 형성되어 있다(도 31 참조). 이 잠금 기어(6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유닛(9)이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만, 잠금 암(63)의 걸어 맞춤 발톱(65)과 걸어 맞추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31 참조).
또, 환형의 리브부(62) 내의 중앙부에는 대략 원통 형상의 지지 보스(67)가 세워 마련되어 있다. 이 지지 보스(67)에는 권취 드럼 유닛(6)의 메커니즘 측 샤프트(68)의 선단부가 베어링 캡(71)을 통해 슬라이딩 회전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축 지지된다.
또한, 센서 수용부(59)는 단면이 대략 사각형인 오목형상으로 형성되고, 양 측벽부의 안쪽 측에 형성된 한 쌍의 걸림 구멍(72)을 구비한다.
그리고, 가속도 센서(61)의 좌우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걸림 발톱(73)이 각 걸림 구멍(72)에 끼워 넣어 걸어 고정된 후, 센서 커버(35)의 걸림 발톱(75)을 센서 수용부(59)의 상단부에 마련된 걸림 구멍(76)에 끼워 넣어 걸어 고정하는 것에 의해, 메커니즘 커버 유닛(8)이 구성된다. 또, 환형의 리브부(62)의 아래쪽에 센서 수용부(59)와 연통하는 개구부(77)가 형성된다.
[가속도 센서의 개략 구성]
여기서, 가속도 센서(61)의 개략 구성을 도 8 내지 도 1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차량 가속도 센서(6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센서 홀더(82)를 안쪽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센서 레버(85)의 센서 홀더(82)에의 부착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X3-X3 화살표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7은 관성 질량체(83)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요동하는 센서 레버(85)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가속도 센서(61)는 센서 홀더(82), 관성 질량체(83)와 센서 레버(85)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 홀더(82)는 수지제로 이루어지고, 상면에 개방되는 대략 상자형이고 저면부에 절구형상의 탑재부(81)가 형성된다. 상기 관성 질량체(83)는 스틸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구형체로 형성되어 탑재부(81) 상에 이동 가능하게 탑재된다. 상기 센서 레버(85)는 수지제로 이루어지고 관성 질량체(83)의 상측에 배치된다. 센서 홀더(82)는 센서 레버(85)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레버(85)에서 긴쪽 방향의 한쪽의 단부의 양 측면부로부터 각 축부(86, 87)가 각각 외측 방향으로 동일 축심 상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차량 가속도 센서(61)를 센서 수용부(59) 내에 수용한 경우, 센서 수용부(59)의 안쪽 측에 위치하는 축부(86)의 외경은 센서 커버(35)측에 위치하는 축부(87)보다 조금 두껍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축부(86)의 기단부에는 소정의 축 방향 두께(예를 들면, 두께 약 0.7㎜∼1.0㎜임)로 정면에서 보아 대략 축직경 폭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부(88)가 위쪽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홀더(82)는 각 축부(86, 87)에 대향하는 각 측벽부(82A, 82B)를 구비한다. 측벽부(82A, 82B)에는 한쪽의 단부에서 각각 위쪽으로 한 쌍의 지지 벽부(91, 92)가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 각 지지 벽부(91, 92)의 위쪽 측에는 각 지지 구멍(91A, 92A)이 각 축부(86, 87)의 직경에 대략 동등한 내경으로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지지 벽부(91)의 내측면에는 절결 홈(93)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 홈(93)은 지지 구멍(91A)의 중심에서 상단까지 지지 구멍(91A)의 내경과 동등한 폭이고, 돌출부(88)의 두께에 대략 동등한 깊이로 절결된다. 절결 홈(93)의 내벽은 탑재부(81)에 근접한 측에서 지지 구멍(91A)의 외주부에서 상단까지 비스듬히 외측 방향(도 10에서 우측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센서 홀더(82)의 탑재부(81)에 관성 질량체(83)를 탑재한 후, 센서 레버(85)의 각 축부(86, 87)를 각 지지 구멍(91A, 92A)에 위쪽으로부터 끼워 맞추는 것에 의해서, 센서 레버(85)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축부(86)의 기단부에 형성된 돌출부(88)가 지지 구멍(91A)으로부터 위쪽에 형성된 절결 홈(93)내에 헐겁게 끼워져, 센서 레버(85)의 위쪽으로의 최대 회전 각도가 규제된다(도 17 참조).
또,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레버(85)는 긴쪽 방향의 한쪽의 단 가장자리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폭 방향(도 11에서 좌우 방향) 전체 폭에 걸쳐 소정 두께(예를 들면, 두께 약 2㎜)로 각 축부(86, 87)보다 하측까지 연장된 연장부(95)를 구비한다. 또한, 이 연장부(95)의 하단부에는 축부(87) 측의 내측 코너부에서, 연장부(95)의 회전운동 축 방향의 전체 폭의 약 1/3의 폭이고, 또한 연장부(95)의 두께의 약 절반의 두께로 또한 아래쪽으로 연장된 단면 직사각형형상의 접촉 레버(9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접촉 레버(96)를 연장부(95)의 하단부의 축부(86) 측의 내측 코너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센서 홀더(82)의 각 지지 벽부(91, 92)의 탑재부(81)에 대해 폭 방향 외측의 측가장자리부의 기단측의 사이에는 센서 홀더(82)의 측벽부의 상단으로부터 또한 위쪽으로 연장된 규제 벽부(97)가 마련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규제 벽부(97)의 상단은 각 지지 벽부(91,92)에 축 지지된 센서 레버(85)의 연장부(95)의 하단부보다 조금 하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접촉 레버(96)의 하단부는 규제 벽부(97)의 내측면에 맞닿아, 센서 레버(85)의 아래쪽으로의 회전 범위가 규제된다. 이 연장부(95)와 접촉 레버(96)는 접촉부로서 기능한다.
또,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레버(85)는 관성 질량체(83)의 상측을 덮는 커버부(98)를 구비한다. 이 커버부(98)의 연장부(95)에 대해 반대측의 상면에는 비스듬히 위 방향을 향해 돌출된 잠금 발톱(99)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탑재부(81)에 탑재된 관성 질량체(83)와 그 주위를 둘러싸는 센서 홀더(82)의 내벽면은 둘레 방향 전체 둘레에 걸쳐 적절히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소정값을 넘는 가속도에 의해서 관성 질량체(83)는 탑재부(81) 상을 이동하여, 상기 간극의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커버부(98)의 하면측에는 정지하고 있는 관성 질량체(83)의 외측 표면부에 대향하도록 그릇 형상으로 오목한 접촉부(98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성 질량체(83)는 탑재부(81) 상을 이동하여, 커버부(98)의 하면측의 그릇 형상으로 오목한 접촉부(98A)에 접촉하여 위쪽으로 밀려 접촉하는 것에 의해 센서 레버(85)가 위쪽으로 회전된다. 또한, 탑재부(81)의 중심부에는 하면과 연통하는 연통 구멍(10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센서 레버(85)의 상하 방향의 회전 범위에 대해 도 13 내지 도 1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성 질량체(83)가 탑재부(81)의 저부에 정지하고 있는 정지 상태에 있어서는 센서 레버(85)가 자중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회전하고, 접촉 레버(96)의 하단부가 규제 벽부(97)의 내측면에 맞닿아, 상기 센서 레버(85)의 하측 방향으로의 회전 범위가 규제되어 있다. 또, 커버부(98)의 하면측의 그릇 형상으로 오목한 접촉부(98A)와 관성 질량체(83)의 상호 간에는 소정 거리의 간극(102)(예를 들면, 거리 약 0.5㎜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 축부(86)의 기단부에 형성된 돌출부(88)와 지지 벽부(91)의 절결 홈(93)의 탑재부(81) 측의 내측면 사이에는 좁은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의 가속도의 변동이 관성 질량체(83)가 센서 레버(85)의 접촉부(98A)에 접촉하지 않는 변동 범위 내인 경우, 센서 레버(85)가 상하 방향으로 요동해도 센서 레버(85)의 접촉부(98A)와 관성 질량체(83)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14, 도 15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값 이상(예를 들면, 0.4G이상이다. 또한, 1G≒9.8m/s2로 함)의 차량 가속도의 변화에 대응하여, 관성 질량체(83)가 탑재부(81) 상을 이동하여, 커버부(98)의 하면측의 접촉부(98A)에 밀려 접촉한다. 이 경우에, 센서 레버(85)가 상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위치는 잠금 발톱(99)이 후술하는 클러치 유닛(9)을 구성하는 록킹 클러치(106)의 클러치 기어(112)(도 31 참조)에 접촉하는 위치까지이다. 그러나, 차량 가속도 센서(61)만의 상태에서, 센서 레버(85)의 상측 방향으로의 최대 회전 위치는 잠금 발톱(99)이 클러치 기어(112)에 접촉하는 위치보다 위쪽으로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 레버(85)의 상측 방향으로의 최대 회전 위치는 축부(86)의 기단부에 형성된 돌출부(88)가 지지 벽부(91)의 절결 홈(93)의 탑재부(81)에 대해 반대측의 내측면에 맞닿아, 상기 센서 레버(85)의 상측 방향으로의 회전 범위가 규제되는 것에 의해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센서 레버(85)가 상측 방향의 최대 회전 위치에 도달했을 때에 있어서의 센서 레버(85)와 센서 홀더(82)의 둘레벽부의 상호간의 간극(103)은 관성 질량체(83)의 직경보다 작은 간극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센서 레버(85)의 접촉 레버(96)의 하단부는 규제 벽부(97)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간되어 탑재부(81)측으로 회전운동하고 있다. 또한, 접촉 레버(96)의 하단부와 센서 홀더(82)의 저면부는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센서 레버(85)는 상하 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권취 드럼 유닛의 개략 구성]
다음에, 권취 드럼 유닛(6)의 개략 구성에 대해 도 2 내지 도 4, 도 18 및 도 1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권취 드럼 유닛(6)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클러치 유닛(9)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 드럼 유닛(6)은 웨빙(3)이 권취되는 권취 드럼(105), 하우징(15)의 측벽부(21)에 형성된 관통 구멍(28)의 걸어 맞춤 톱니(28A)에 걸어 맞춰지는 폴(29), 클러치 유닛(9), 베어링 캡(71)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클러치 유닛(9)은 록킹 클러치(106), 잠금 암(63), 센서 스프링(107) 및 리턴 스프링(108)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록킹 클러치(106)는 메커니즘 커버(58)의 환형의 리브부(62)의 외경보다 큰 직경의 원판형상의 저면부(111)의 전체 둘레에서 메커니즘 커버(58) 측으로 환형으로 세워져 형성된다. 클러치 기어(112)는 외주부에 차량 가속도 센서(61)의 센서 레버(85)의 잠금 발톱(99)에 걸어 맞춰지도록 록킹 클러치(106)의 외주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이 클러치 기어(112)는 록킹 클러치(106)가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만, 센서 레버(85)의 잠금 발톱(99)과 걸어 맞춰지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31 참조).
또, 록킹 클러치(106)의 저면부(111)의 중심부에는 대략 원통형상의 보스(113)가 메커니즘 커버(58)측의 면에 세워 마련된다. 보스(113)는 권취 드럼(105) 측과 연통되어 있다. 또, 록킹 클러치(106)의 저면부(111)에는 보스(113)에 인접하여 피벗축(115)이 클러치 기어(112)와는 대략 동일한 높이로 세워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보스(113)를 둘러싸도록 대략 궁형으로 형성된 합성 수지제의 잠금 암(63)은 긴쪽 방향 대략 중앙부의 보스(113)측의 단가장자리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116)내에 피벗축(115)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된다.
또, 록킹 클러치(106)의 저면부(111)에는 보스(113)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리브부에 돌출 설치된 스프링 지지 핀(117)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지지 핀(117)에 센서 스프링(107)의 일단측을 끼워 넣는 동시에, 잠금 암(63)의 걸어 맞춤 발톱(65)과 반대 측의 단부에 형성된 오목부(118) 내에 센서 스프링(107)의 타단측을 끼워 넣는다.
이에 따라, 잠금 암(63)은 피벗축(115)의 축심에 대해 웨빙 인출 방향측으로 회전운동하도록 소정 하중으로 힘이 가해지고, 걸어 맞춤 발톱(65)과 반대측의 단가장자리부가 저면부(111)에 세워 마련된 스토퍼(119)에 맞닿아 있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잠금 암(63)이 센서 스프링(107)의 부가력에 대항해서 웨빙 권취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잠금 기어(66)에 걸어 맞춰진 경우에는 걸어 맞춤 발톱(65)의 외측 단가장자리가 록킹 클러치(106)의 저면부(111)에 세워 마련된 단면 대략 삼각형의 회전 방지 부재(121)에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도 31 참조).
또, 록킹 클러치(106)의 저면부(111)에는 스프링 지지 핀(117)의 반경 방향 외측에 폴(29)의 걸어 맞춤 발톱(29A) 측의 측면부에서 돌출 설치된 연동 핀(122)이 슬라이딩 자유롭게 끼워 맞춰지는 가늘고 긴 형상의 돌출 가이드 홈(1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 가이드 홈(123)은 웨빙 인출 방향측의 단가장자리부가 저면부(111)의 중심으로부터 서서히 멀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유닛(9)이 잠겨져 권취 드럼(105)만이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 돌출 가이드 홈(123)은 폴(29)을 반경 방향 외측으로 안내해서 관통 구멍(28)의 걸어 맞춤 톱니(28A)에 걸어 맞춘다(도 32 참조).
또, 록킹 클러치(106)의 저면부(111)의 권취 드럼(105)측에는 리턴 스프링(108)의 일단측이 끼워 넣어지는 오목부가 형성된 스프링 부착부(125)(도 3 참조)가 축 방향 권취 드럼(105)측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 유닛(9)은 스프링 부착부(125)에 리턴 스프링(108)의 일단측을 끼워 넣은 상태에서, 보스(113)를 메커니즘측 샤프트(68)의 기단부에 끼워 넣는 동시에, 폴(29)의 연동 핀(122)을 돌출 가이드 홈(123)에 끼워 넣는다.
또, 동시에, 클러치 유닛(9)에서 리턴 스프링(108)을 축소한 상태로 상기 리턴 스프링(108)과 스프링 부착부(125)는 권취 드럼(105)의 단면에 형성된 가로로 긴 끼워 맞춤 오목부(126) 내에 배치된다. 그리고, 베어링 캡(71)은 클러치 유닛(9)의 보스(113)로부터 돌출된 메커니즘측 샤프트(68)의 선단부에 형성된 스플라인에 끼워 넣어져 상대 회전 불능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통상시에 클러치 유닛(9)은 웨빙 인출 방향 측으로 리턴 스프링(108)에 의해서 밀려지고, 폴(29)을 권취 드럼(105) 내에 인입한 상태에서, 상기 권취 드럼(105)과 함께 회전된다.
[권취 드럼의 개략 구성]
계속해서, 권취 드럼(105)의 개략 구성에 대해 도 3, 도 20 내지 도 2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권취 드럼(105)에 폴(29)을 삽입한 정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좌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우측면도이다. 도 23은 도 20의 X5-X5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0의 X6-X6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20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 드럼(105)은 알루미늄재 등으로 형성되고 축 방향 중앙에 웨빙 권취부(131)가 마련된다. 이 웨빙 권취부(131)의 양단에는 웨빙(3)의 권취, 인출을 가이드하는 메커니즘 커버 유닛(8) 측의 메커니즘측 플랜지부(132)와 권취 스프링 유닛(7) 측의 권취 스프링 측 플랜지부(133)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메카니즘 측 플랜지부(132)의 축 방향 외측 단면의 중심 위치에 메카니즘 측 샤프트(68)가 세워 마련되고, 권취 스프링 측 플랜지부(133)의 축 방향 외측 단면의 중심 위치에 스프링 측 샤프트(51)가 세워 마련되어 있다.
도 20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빙(3)을 삽입 통과하는 슬릿(135)은 웨빙 권취부(131)에 형성되고 메커니즘측 플랜지부(132)와 권취 스프링측 플랜지부(133)의 사이의 전체 폭에 걸쳐, 회전축을 포함하는 직경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또, 슬릿(135)은 웨빙(3)을 삽입하는 삽입구(136)를 구비한다. 특히 삽입구(136)는 빠짐 방지 핀(12)을 탑재할 수 있도록 둘레 방향 대칭으로 확대되어 형성되고, 빠짐 방지 핀(12)에 권취된 웨빙(3)은 웨빙(3)이 감겨진 웨빙 권취부(131)의 외측 주변면보다 내측에 위치 결정된다.
도 22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커니즘측 플랜지부(132)와 권취 스프링측 플랜지부(133)는 웨빙 권취부(131)의 회전 중심과 동축이고 대략 동일한 크기의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커니즘측 플랜지부(132)와 권취 스프링측 플랜지부(133)의 각각의 외경 D2는 측벽부(21)의 관통 구멍(28)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어 맞춤 톱니(28)의 선단의 내주 직경 D1보다 약간 작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20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커니즘 측 플랜지부(132)는 리턴 스프링(108)이 수납되는 끼워 맞춤 오목부(126)와 메커니즘 측 플랜지부(132)에서 폴(29)을 외주부보다 내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수용하는 대략 굽혀진 형상의 폴 수용 오목부(137)를 포함한다. 끼워 맞춤 오목부(126)와 폴 수용 오목부(137)는 메커니즘 측 플랜지부(132)의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 결정된다. 또, 폴 수용 오목부(137)는 폴(29)의 두께와 대략 동일한 깊이가 되도록 형성되고, 폴(29)의 출구 측의 축 방향 외측에서 폴 안내용 플랜지(138)에 의해 덮여진다.
또, 폴 안내용 플랜지(138)의 웨빙 권취 방향 측의 단 가장자리부에는 폴(29)의 측면부에 세워 마련된 연동 핀(122)이 슬라이딩 자유롭게 삽입 통과되는 안내 홈(139)이 외주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절결되어 있다. 또, 안내 홈(139)으로부터 돌출된 연동 핀(122)이 슬라이딩 자유롭게 록킹 클러치(106)의 돌출 가이드 홈(123)에 끼워 맞춰진다.
또, 메커니즘측 플랜지부(132)의 축 방향 외측의 단 가장자리부에는 폴 수용 오목부(137)의 폴 출구 측의 개구부 부분을 제외한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칼라부의 일 예로서 기능하는 정면에서 보아 대략 C형의 빠짐 방지용 플랜지(141)가 마련되어 있다. 또,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빠짐 방지용 플랜지(141)의 외경 D3은 측벽부(21)의 관통 구멍(28)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어 맞춤 톱니(28)의 선단의 내주 직경 D1보다 크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권취 드럼(105)의 회전축과 측벽부(21)의 관통 구멍(28)의 중심축(28B)이 일치한 상태에서 빠짐 방지용 플랜지(141)는 축 방향 내측에 인접하는 걸어 맞춤 톱니(28A)의 선단의 내주 직경 D1보다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한다.
또, 메커니즘측 플랜지부(132)의 웨빙 권취부(131) 측의 단 가장자리부에는 폴 수용 오목부(137)의 폴 출구 측의 개구부 부분을 포함하는 둘레 가장자리 부분 즉, 폴(29)과 걸어 맞춤 톱니(28A)의 걸어 맞춤 부분에 대향하는 둘레 가장자리 부분에서 상기 폴(29)의 돌출 이동 방향으로 대략 원호형상으로 돌출하여 돌출부의 일 예로서 기능하는 돌출 플랜지(142)가 마련되어 있다. 또, 돌출 플랜지(142)의 폴(29) 측의 측면과 폴 수용 오목부(137)의 저면부는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폴(29)의 측면부가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 플랜지(142)와 메커니즘 측 플랜지부(132)가 이루는 최대 외형 치수 D4는 측벽부(21)의 관통 구멍(28)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어 맞춤 톱니(28)의 선단의 내주 직경 D1보다 크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권취 드럼(105)의 회전축과 측벽부(21)의 관통 구멍(28)의 중심축(28B)이 일치한 상태에서 돌출 플랜지(142)는 축 방향 외측에 인접하는 걸어 맞춤 톱니(28A)의 선단의 내주 직경 D1보다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 도 20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플랜지(142)의 축 방향 외측의 측면에는 폴 수용 오목부(137)의 폴 출구측의 개구 부분보다도 둘레 방향 외측의 부분에, 축 방향 외측으로 폴(29)의 두께보다 낮은 높이(예를 들면, 높이 약 1㎜)로 돌출되는 각 내측 단차부(143)가 마련되어 있다(도 18 참조). 각 내측 단차부(143)는 권취 드럼(105)의 회전축과 측벽부(21)의 관통 구멍(28)의 중심축(28B)이 일치한 상태에서, 축 방향 외측에 인접하는 걸어 맞춤 톱니(28A)의 선단의 내주 직경 D1보다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돌출 플랜지(142)의 둘레 방향 양 단가장자리부에 마련되어 있다.
또, 빠짐 방지용 플랜지(141)의 축 방향 내측의 측면에는 폴 수용 오목부(137)의 폴 출구 측의 개구 부분보다 둘레 방향 양 외측의 부분에서 각 내측 단차부(143)에 대향하는 부분에서, 축 방향 내측에 폴(29)의 두께보다 낮은 높이(예를 들면, 높이 약 1㎜)로 돌출하는 각 외측 단차부(145)가 마련되어 있다(도 18 참조). 따라서, 도 20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29)은 각 내측 단차부(143)의 사이와 각 외측 단차부(145)의 사이를 이동하여 관통 구멍(28)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어 맞춤 톱니(28A)에 걸어 맞춰지는 걸어 맞춤 위치로 이동한다(도 32 참조).
또, 도 3, 도 20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경 D2의 권취 스프링측 플랜지부(133)의 축 방향 외측 단면에는 대략 환형의 리브부(146)가 권취 드럼(105)의 회전축과 측벽부(21)의 관통 구멍(28)의 중심축(28B)이 일치한 상태에서, 측벽부(22)보다 축 방향 외측까지 도달하도록 동축으로 세워 마련되어 있다. 또, 대략 환형의 리브부(146)의 외경 D5는 측벽부(22)의 반원호 개구부(36)의 내주면에 형성된 V자형 돌기(39)의 선단의 반경 R1의 내주 직경보다 작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도 29 참조).
또, 환형의 리브부(146)의 축 방향 외측의 단가장자리부의 외주면에서 전체 둘레에 걸쳐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타측 칼라부의 일 예로서 기능하는 정면에서 보아 환형의 외측 플랜지(147)가 마련되어 있다. 또, 외측 플랜지(147)의 외경 D6은 측벽부(22)의 반원호 개구부(36)의 내주면에 형성된 V자형 돌기(39)의 선단의 반경 R1의 내주 직경보다 크고, 또한 반원호 개구부(36)의 내주 직경과 동일 정도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권취 드럼(105)의 회전축과 측벽부(21)의 관통 구멍(28)의 중심축(28B)이 일치한 상태에서 외측 플랜지(147)는 축 방향 내측에 인접하는 반원호 개구부(36)의 내주면에 형성된 V자형 돌기(39)의 선단의 반경 R1의 내주 직경보다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한다(도 29 참조).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측 플랜지(147)는 측벽부(22)의 확대 개구부(37)내에 진입 가능하다(도 27 참조).
여기서, 권취 드럼 유닛(6)을 하우징(15)의 각 측벽부(21, 22) 사이에 삽입하는 방법에 대해 도 25 내지 도 30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5 내지 도 30은 권취 드럼 유닛(6)의 하우징(15)내에의 삽입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우선,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 드럼(105)의 메커니즘 측 플랜지부(132)에 형성된 돌출 플랜지(142)의 둘레 방향 대략 중앙부가 연직 방향 상측에 위치하도록 권취 드럼 유닛(6)의 클러치 유닛(9)을 파지한다.
다음에, 권취 스프링 측 플랜지부(133)가 메커니즘 측 플랜지부(132)보다 하측이 되도록 권취 드럼 유닛(6)을 기울인 상태에서, 권취 스프링 측 플랜지부(133)를 하우징(15)의 측벽부(21)에 형성된 관통 구멍(28)에서 하우징(15) 내로 삽입 통과시키고, 또한 돌출 플랜지(142)를 관통 구멍(28)에서 하우징(15) 내로 삽입 통과시킨다. 또, 권취 드럼(105)의 스프링 측 샤프트(51)는 측벽부(22)에 형성된 관통 구멍(38)의 확대 개구부(37)에서 외측으로 조금 돌출된다.
계속해서,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 스프링측 플랜지부(133)가 메커니즘측 플랜지부(132)보다 하측이 되도록 권취 드럼 유닛(6)을 기울인 상태에서, 권취 드럼 유닛(6)을 조금 위로 들어 올리면서, 또한 측벽부(21)의 관통 구멍(28)에 삽입하여, 메커니즘 측 플랜지부(132)를 하우징(15) 내로 삽입 통과시킨다. 이 단계에서, 메커니즘 측 플랜지부(132)의 축 방향 외측의 단가장자리부에 마련된 빠짐 방지용 플랜지(141)의 상측 둘레가장자리부가 측벽부(21)의 외측면에 맞닿는다.
또, 하측 방향으로 기운 상태에서, 권취 드럼(105)의 외측 플랜지(147) 및 권취 스프링 측 플랜지부(133)는 측벽부(22)에 형성된 관통 구멍(38)의 반원호 개구부(36)와 확대 개구부(37)의 연속되는 부분에 삽입 통과된다. 이 때문에, 외측 플랜지(147)의 상측 둘레가장자리부가 측벽부(22)의 반원호 개구부(36)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게 된다.
그리고,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 드럼(105)의 외측 플랜지(147) 및 권취 스프링 측 플랜지부(133)를 위 방향으로 들어올려, 권취 드럼(105)을 대략 수평으로 해서, 상기 권취 드럼(105)의 회전축(105A)과 측벽부(21)의 관통 구멍(28)의 중심축(28B)이 일치한 상태로 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커니즘 커버 유닛(8)에 의해서 권취 드럼 유닛(6)의 메커니즘 측 샤프트(68)를 축 지지함과 동시에, 권취 스프링 유닛(7)에 의해서 권취 드럼 유닛(6)의 스프링측 샤프트(51)를 축 지지한다.
이에 따라, 메커니즘 측 플랜지부(132)에 마련된 돌출 플랜지(142)가 측벽부(21)의 관통 구멍(28)의 내주면에 마련된 걸어 맞춤 톱니(28A)의 선단의 내주 직경 D1보다 외측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메커니즘측 플랜지부(132)가 걸어 맞춤 톱니(28A)의 선단의 내주 직경 D1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또한, 메커니즘 측 플랜지부(132)의 빠짐 방지용 플랜지(141)의 반경 방향 외측의 둘레가장자리부가 관통 구멍(28)의 내주면에 마련된 걸어 맞춤 톱니(28A)의 선단의 내주 직경 D1보다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 돌출 플랜지(142)의 축 방향 외측의 측면에 마련된 각 내측 단차부(143)와 빠짐 방지용 플랜지(141)의 축 방향 내측의 측면에 마련된 각 외측 단차부(145)가 각각 인접하는 걸어 맞춤 톱니(28)의 선단의 내주 직경 D1보다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 권취 스프링 측 플랜지부(133)와 외측 플랜지(147)는 측벽부(22)의 관통 구멍(38)의 반원호 개구부(36)의 내주면에 마련된 V자형 돌기(39)의 선단의 반경 R1의 내주 직경보다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권취 스프링 측 플랜지부(133)의 축 방향 외측에 세워 마련된 리브부(146)의 외주면이 반원호 개구부(36)의 내주면에 마련된 V자형 돌기(39)의 선단의 반경 R1의 내주 직경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또, 단면 대략 반원형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보강 홈(41)은 측벽부(22)의 관통 구멍(38)의 둘레가장자리부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관통 구멍(38)은 반원호 개구부(36)와 확대 개구부(37)로 구성된다. 도 4,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보강 홈(41)의 돌출부는 측벽부(22)의 내측으로 권취 드럼(105)의 권취 스프링측 플랜지부(133)의 축 방향 내측면과 대략 동일 높이로 되도록, 측벽부(22)의 내측 방향(도 4에서 우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측벽부(22)에 마련된 보강 홈(41)은 권취 드럼(105)의 웨빙 권취부(131)에 권취된 웨빙(3)의 감기 직경이 권취 스프링측 플랜지부(133)의 외경 D2가 된 경우, 웨빙(3)의 측가장자리부가 상기 보강 홈(41)에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 측벽부(22)에 마련된 보강 홈(41)은 권취 드럼(105)의 웨빙 권취부(131)에 권취된 웨빙(3)의 감기 직경이 최대 감기 직경 D7이 된 경우에도, 웨빙(3)의 측가장자리부가 상기 보강 홈(41)에 대향하도록 확대 개구부(37)의 둘레가장자리부를 따라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웨빙(3)의 인출 및 권취될 때, 웨빙(3)의 측벽부(22)에 대향하는 측 가장자리부는 권취 스프링 측 플랜지부(133)의 축 방향 내측면 또는 보강 홈(41)에 접촉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웨빙(3)의 측 가장자리부가 권취 스프링측 플랜지부(133)에 올라타지 않도록 웨빙(3)이 웨빙 권취부(131)에 권취된다.
[잠금 기구의 동작]
다음에, 잠금 기구(10)의 동작에 대해 도 31 및 도 3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31은 잠금 기구(10)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32는 폴(29)이 걸어 맞춤 톱니(28A)에 걸어 맞춰진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잠금 기구(10)의 동작에 대해서는 웨빙(3)의 급격한 인출에 의해서 웨빙(3)의 인출을 정지하는 '웨빙 감응식 잠금 기구'와 차량의 급격한 가속도의 변화에 반응해서 웨빙(3)의 인출을 정지하는 '차체 감응식 잠금 기구'로 구분한다.
[웨빙 감응식 잠금 기구의 동작 설명]
우선, '웨빙 감응식 잠금 기구'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암(63)은 록킹 클러치(106)의 피벗축(115)에 의해서 회전운동 자유롭게 지지된다. 따라서, 웨빙(3)의 인출 가속도가 소정 가속도(예를 들면, 약 2.0G이다. 또한, 1G≒9.8m/s2로 한다)를 넘은 경우에는 록킹 클러치(106)의 웨빙 인출 방향(화살표 '151' 방향)의 회전에 대해 잠금 암(63)에 관성 지연이 생긴다.
이 결과, 스토퍼(119)가 맞닿아 있던 잠금 암(63)은 센서 스프링(107)의 부가력에 대항해서 초기 위치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록킹 클러치(106)에 대해 피벗축(115)을 중심으로, 웨빙 인출 방향과 반대 방향(도 31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고, 회전 방지 부재(121)에 맞닿을 때까지 회전 운동한다. 따라서, 잠금 암(63)의 걸어 맞춤 발톱(65)은 록킹 클러치(106)의 회전축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회전 운동하여, 메커니즘 커버(58)의 리브부(62)의 잠금 기어(66)에 걸어 맞춰진다. 이것에 의해, 록킹 클러치(106)와 권취 드럼(105)의 동행 회전이 정지된다.
그리고, 웨빙(3)의 인출이 소정 가속도를 넘어 계속된 경우, 권취 드럼(105)의 회전에 수반해서 폴(29)의 측면에 세워 마련된 연동 핀(122)은 돌출 가이드 홈(123) 내를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연동 핀(122)은 권취 드럼(105)의 폴 안내용 플랜지(138)에 형성된 안내 홈(139) 내를 슬라이딩 이동하고,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이동한다. 이어서, 측벽부(21)의 관통 구멍(28)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어 맞춤 톱니(28A)에 걸어 맞춤 발톱(29A)이 걸어 맞춰진다. 이에 따라, 권취 드럼(105)의 회전이 정지되고, 웨빙(3)의 인출이 정지된다.
또, 웨빙(3)의 급격한 인출이 해제되면, 잠금 암(63)은 센서 스프링(107)의 부세력에 의해서 스토퍼(119)에 맞닿아지는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그 때문에, 잠금 암(63)의 걸어 맞춤 발톱(65)과 메커니즘 커버(58)의 리브부(62)의 잠금 기어(66)의 걸어 맞춤이 해제된다. 그 후, 리턴 스프링(108)의 부가력에 의해서, 록킹 클러치(106)는 권취 드럼(105)에 대해 웨빙 인출 방향(화살표 '151'방향)으로 상대 회전한다. 록킹 클러치(106)의 상대 회전에 의해서 연동 핀(122)은 돌출 가이드 홈(123) 내를 슬라이딩 이동하여, 도 31에 나타내는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슬라이딩 이동에 수반해서, 연동 핀(122)은 권취 드럼(105)의 폴 안내용 플랜지(138)에 형성된 안내 홈(139) 내를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어서 폴(29)은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인입 이동되고, 폴 수용 오목부(137) 내에 수용 이동되어 메커니즘 측 플랜지부(132)에 매몰 수용된다. 이것에 의해, 록킹 클러치(106)의 권취 드럼(105)과의 동행 회전이 개시되고, 웨빙(3)의 인출이나 권취가 가능한 상태로 복귀한다.
[차체 감응식 잠금 기구의 동작 설명]
다음에, '차체 감응식 잠금 기구'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가속도 센서(61)의 구형상의 관성 질량체(83)는 센서 홀더(82)의 절구형상의 탑재부(81)상에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의 충돌이나 급제동 등에 의해서 차체의 흔들림이나 기울기 등에 의한 급격한 가속도가 소정 가속도(예를 들면, 약 0.4G)를 넘은 경우에는 탑재부(81) 상을 이동하여 센서 레버(85)의 접촉부(98A)에 접촉해서 위쪽으로 이동한다.
그 후, 센서 레버(85)가 질량 관성체(83)에 의해서 위쪽으로 밀려지고, 센서 레버(85)의 잠금 발톱(99)이 메커니즘 커버(58)의 개구부(77)로부터 돌출한다. 이어서, 잠금 발톱(99)은 록킹 클러치(106)의 외주부에 형성된 클러치 기어(112)에 걸어 맞춰진다. 이것에 의해, 록킹 클러치(106)의 권취 드럼(105)과의 동행 회전이 정지된다. 따라서, 웨빙(3)에 인출 방향의 부하가 작용한 경우에는 리턴 스프링(108)의 부가력에 대항해서 권취 드럼(105)이 웨빙 인출 방향(화살표 '151'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권취 드럼(105)의 회전에 수반해서 폴(29)의 측면부에 세워 마련된 연동 핀(122)은 돌출 가이드 홈(123)내를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 슬라이딩 이동에 수반해서, 연동 핀(122)은 권취 드럼(105)의 폴 안내용 플랜지(138)에 형성된 안내 홈(139)내를 슬라이딩 이동하여,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이동되고, 측벽부(21)의 관통 구멍(28)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어 맞춤 톱니(28A)에 걸어 맞춤 발톱(29A)이 걸어 맞춰진다. 이에 따라, 권취 드럼(105)의 회전이 정지되고, 웨빙(3)의 인출이 정지된다.
또, 차량의 급격한 가속도의 변화가 해제되면, 관성 질량체(83)는 중력 작용에 의해서 센서 홀더(82)의 탑재부(81) 상으로 이동하여, 탑재부(81)의 중앙 위치로 되돌려진다. 그리고, 웨빙(3)의 인출 방향의 부하가 해제되면, 리턴 스프링(108)의 부가력에 의해서, 록킹 클러치(106)는 권취 드럼(105)에 대해 웨빙 인출 방향(화살표 '151'방향)으로 상대 회전한다. 록킹 클러치(106)의 상대 회전에 의해서 연동 핀(122)은 돌출 가이드 홈(123) 내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도 31에 나타내는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또, 동시에 센서 레버(85)는 자중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회전운동되어, 센서 레버(85)의 일단측에 형성된 연장부(95)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 접촉 레버(96)가 센서 홀더(82)의 규제 벽부(97)의 내측면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관성 질량체(83)와 접촉부(98A)의 사이에 소정 간극(102)이 형성된다(도 13 참조). 또한, 센서 레버(85)의 잠금 발톱(99)은 아래쪽으로 회전운동하여 메커니즘 커버(58)의 개구부(77) 내에 수용된다.
또, 연동 핀(122)의 돌출 가이드 홈(123)내의 슬라이딩 이동에 수반해서, 연동 핀(122)은 권취 드럼(105)의 폴 안내용 플랜지(138)에 형성된 안내 홈(139)내를 슬라이딩 이동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인입 이동되고, 폴 수용 오목부(137)내에 수용 이동되어 메커니즘측 플랜지부(132)에 매몰 수용된다. 여기서, 록킹 클러치(106)의 권취 드럼(105)과의 동행 회전이 개시되고, 웨빙(3)의 인출이나 권취가 가능한 상태로 복귀한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에서는 웨빙(3)의 급격한 인출이나, 차량의 급격한 가속도의 변화에 반응해서 잠금 기구(10)가 작동하고, 권취 드럼(105)의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된다. 그리고, 권취 드럼(105)의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되었을 때에, 웨빙(3)에서 권취 드럼(105)에 축 방향 폴(29) 측으로 부하가 가해져도, 메커니즘 측 플랜지부(132)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 플랜지(142)가 축 방향 외측에 인접하는 걸어 맞춤 톱니(28A)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폴(29)이 걸어 맞춤 톱니(28A)와의 걸어 맞춤 위치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크게 어긋나는 것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또, 돌출 플랜지(142)와 메커니즘 측 플랜지부(132)가 이루는 최대 외형 치수 D4는 측벽부(21)의 관통 구멍(28)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어 맞춤 톱니(28)의 선단의 내주 직경 D1보다 크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폴(29)의 걸어 맞춤 발톱(29A)과 걸어 맞춤 톱니(28A)가 잠그는 반력에 의해서, 메커니즘 측 플랜지부(132)가 폴(29)에 대해 반대측으로 이동하여 걸어 맞춤 톱니(28A)와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도 상기 돌출 플랜지(142)를 인접하는 걸어 맞춤 톱니(28A)에 대향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폴(29)이 걸어 맞춤 톱니(28A)와의 걸어 맞춤 위치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크게 어긋나는 것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또, 권취 드럼(105)이나 하우징(15)의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 강성이 저하해도, 메커니즘측 플랜지부(132)로부터 돌출된 돌출 플랜지(142)의 돌출 높이를 용이하게 크게 하여, 폴(29)이 걸어 맞춤 톱니(28A)와의 걸어 맞춤 위치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크게 어긋나는 것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또한, 권취 드럼(105)에 축 방향 폴측에 부하가 가해져도 메커니즘측 플랜지부(132)로부터 돌출된 돌출 플랜지(142)가 걸어 맞춤 톱니(28A)에 맞닿아 부하를 받으므로, 폴(29)에 가해지는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 폴(29)을 권취 드럼(105)의 걸어 맞춤 톱니(28A)에 대향하는 메커니즘 측 플랜지부(132)에만 마련할 수 있으며, 부품 점수의 감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권취 드럼(105)의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되었을 때, 웨빙(3)으로부터 권취 드럼(105)에 축 방향 폴(29)측에 부하가 가해져, 권취 드럼(105)이 축 방향 폴(29)측으로 어긋나도, 돌출 플랜지(142)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각 단차부(143)을 걸어 맞춤 톱니(28A)에 맞닿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권취 드럼(105)이 축 방향 폴(29) 측으로 어긋나도, 돌출 플랜지(142)와 걸어 맞춤 톱니(28A)의 사이에 폴(29)이 이동하는 간극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폴(29)을 걸어 맞춤 톱니(28A)보다 돌출 플랜지(142) 측으로 돌출시킬 수 있고, 폴(29)과 걸어 맞춤 톱니(28A)의 걸어 맞춤을 확보할 수 있다.
또, 권취 드럼(105)의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되었을 때, 웨빙(3)에서 권취 드럼(105)에 축 방향 폴(29) 측과 반대 측으로 부하가 가해져도, 메커니즘 측 플랜지부(132)의 축 방향 외측의 단 가장자리부에 마련된 빠짐 방지용 플랜지(141)가 축 방향 내측에 인접하는 걸어 맞춤 톱니(28A)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빠짐 방지용 플랜지(141)는 폴(29)과 걸어 맞춤 톱니(28A)의 걸어 맞춤 위치로부터 축 방향 내측으로 폴(29)이 크게 어긋나는 것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또, 권취 드럼(105)의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되었을 때, 웨빙(3)에서 권취 드럼(105)에 축 방향 폴(29) 측과 반대 측으로 부하가 가해져, 권취 드럼(105)이 축 방향 폴(29) 측과 반대 측으로 어긋나도, 빠짐 방지용 플랜지(141)로부터 축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각 외측 단차부(145)를 걸어 맞춤 톱니(28A)에 맞닿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권취 드럼(105)이 축 방향 폴(29)측과 반대측으로 어긋나도, 빠짐 방지용 플랜지(141)의 폴(29)이 이동하는 부분과 걸어 맞춤 톱니(28A)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여, 폴(29)을 걸어 맞춤 톱니(28A)보다 빠짐 방지용 플랜지(141)측으로 돌출시킬 수 있어, 폴(29)과 걸어 맞춤 톱니(28A)의 걸어 맞춤을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커니즘 측 플랜지부(132)에 형성된 돌출 플랜지(142)와 빠짐 방지용 플랜지(141)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웨빙(3)에서 권취 드럼(105)에 축 방향의 어느 측으로 부하가 가해져도, 상기 메커니즘 측 플랜지부(132)만으로, 폴(29)이 걸어 맞춤 톱니(28A)와의 걸어 맞춤 위치로부터 축 방향으로 크게 어긋나는 것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메커니즘 측 플랜지부(132)에 돌출 플랜지(142)와 빠짐 방지용 플랜지(141)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하우징(15)의 강성의 저하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려워지고, 용이하게 하우징(15)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측벽부(22)에 반원호 개구부(36)와 확대 개구부(37)로 이루어진 관통 구멍(38)이 형성된다. 확대 개구부(37)는 반원호 개구부(36)의 양 하단부로부터 좌우 방향 외측으로 조금 넓어지면서 아래쪽으로 연장하여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권취 스프링측 플랜지부(133)가 메커니즘 측 플랜지부(132)보다 하측이 되도록 권취 드럼 유닛(6)을 기울여, 돌출 플랜지(142)를 관통 구멍(28)으로부터 하우징(15)내에 삽입 통과할 때에, 권취 드럼(105)의 외측 플랜지(147) 및 권취 스프링측 플랜지부(133)는 하측 방향으로 기운 상태에서, 측벽부(22)에 형성된 관통 구멍(38)의 반원호 개구부(36)와 확대 개구부(37)의 연속된 부분에 삽입 통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권취 드럼 유닛(6)을 하우징(15)의 각 측벽부(21, 22) 사이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고, 조립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권취 드럼(105)의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되었을 때, 웨빙(3)에서 권취 드럼(105)에 축 방향 폴(29) 측과 반대 측으로 부하가 가해져도, 권취 스프링측 플랜지부(133)가 축 방향 외측에 인접하는 반원호 개구부(36)의 내측면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폴(29)이 걸어 맞춤 톱니(28A)와의 걸어 맞춤 위치로부터 축 방향 내측으로 크게 어긋나는 것을 보조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또한, 권취 드럼(105)의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되었을 때, 웨빙(3)에서 권취 드럼(105)에 축 방향 폴(29) 측으로 부하가 가해져도, 권취 스프링측 플랜지부(133)의 축 방향 외측에 마련된 외측 플랜지(147)가 축 방향 내측에 인접하는 반원호 개구부(36)의 산형 돌기(39)의 외측면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폴(29)이 걸어 맞춤 톱니(28A)와 걸어 맞춤 위치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크게 어긋나는 것을 보조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각종 개량,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해도 좋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도 1 내지 도 32의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의 구성 등과 동일한 부호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1)의 구성 등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는 것이다.
(A) 예를 들면, 돌출 플랜지(142)의 축 방향 외측의 측면에 마련된 단차부(143)는 폴 수용 오목부(137)의 폴 출구측의 개구 부분보다도 둘레 방향 외측에 있어서, 양측이 아닌 어느 한쪽에만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또, 마찬가지로, 빠짐 방지용 플랜지(141)의 축 방향 내측의 측면에 마련된 외측 단차부(145)는 폴 수용 오목부(137)의 폴 출구측의 개구 부분보다도 둘레 방향 외측의 부분에 있어서, 양측이 아닌 어느 한쪽에만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단차부(143)와 외측 단차부(145)는 폴 수용 오목부(137)의 폴 출구 측의 개구 부분보다도 둘레 방향 외측의 부분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도록 동일한 측에 마련하도록 해도 좋고, 서로 대향하지 않도록 서로 다른 측에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권취 드럼(105)이 축 방향의 어느 측으로 어긋나도, 돌출 플랜지(142)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단차부(143) 또는 빠짐 방지용 플랜지(141)로부터 축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외측 단차부(145)를 걸어 맞춤 톱니(28A)에 접촉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권취 드럼(105)이 축 방향의 어느 측으로 어긋나도, 돌출 플랜지(142) 또는 빠짐 방지용 플랜지(141)의 폴(29)이 이동하는 부분과 걸어 맞춤 톱니(28A)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여, 폴(29)을 걸어 맞춤 톱니(28A)보다 돌출 플랜지(142) 측 또는 빠짐 방지용 플랜지(141) 측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폴(29)과 걸어 맞춤 톱니(28A)의 걸어 맞춤을 확보할 수 있다.
(B) 또, 예를 들면, 상기 권취 드럼(105) 대신에, 도 33 및 도 34에 나타내는 권취 드럼(155)을 권취 드럼 유닛(6)에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도 33은 권취 드럼(155)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폴(29)을 삽입한 상태의 도 33의 X7-X7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3 및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 드럼(155)은 상기 권취 드럼(105)과 대략 동일한 구성이다. 단, 돌출 플랜지(142) 대신에, 돌출 플랜지(156)가 마련되어 있는 점에서 다르다.
상기 돌출 플랜지(156)는 권취 드럼(155)의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 반경 방향 외측의 단 가장자리부가 각 단차부(143)의 근방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돌출 플랜지(156)와 메커니즘 측 플랜지부(132)가 이루는 최대 외형 치수 D8은 측벽부(21)의 관통 구멍(28)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어 맞춤 톱니(28)의 선단의 내주 직경 D1보다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권취 드럼(155)의 회전축과 측벽부(21)의 관통 구멍(28)의 중심축(28B)이 일치한 상태에서는 돌출 플랜지(156)의 반경 방향 외측의 단가장자리의 양단이 축 방향 외측에 인접하는 걸어 맞춤 톱니(28A)의 선단의 내주 직경 D1보다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돌출 플랜지(156)는 메커니즘 측 플랜지부(132)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돌출 플랜지(156)의 반경 방향 외측의 양단 가장자리부는 축방향 외측면이 걸어 맞춤 톱니(28A)와 대향하도록 위치결정된다. 이것에 의해 잠금 기구(10)가 작동하고, 권취 드럼(155)의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되었을 때, 웨빙(3)에서 권취 드럼(155)에 축 방향 폴(29) 측으로 부하가 가해져도, 돌출 플랜지(156)의 반경 방향 외측의 양단이 걸어 맞춤 톱니(28A)에 대향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돌출 플랜지(156)는 폴(29)이 걸어 맞춤 톱니(28A)와의 걸어 맞춤 위치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크게 어긋나는 것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또, 돌출 플랜지(156)와 메커니즘측 플랜지부(132)가 이루는 최대 외형 치수 D8은 측벽부(21)의 관통 구멍(28)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어 맞춤 톱니(28)의 선단의 내주 직경 D1보다 크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폴(29)의 걸어 맞춤 발톱(29A)과 걸어 맞춤 톱니(28A)가 잠그는 반력에 의해서, 메커니즘 측 플랜지부(132)가 폴(29)에 대해 반대측으로 이동하여 걸어 맞춤 톱니(28A)와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도, 상기 돌출 플랜지(156)의 반경 방향 외측의 단가장자리부의 양단을 인접하는 걸어 맞춤 톱니(28A)에 대향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폴(29)이 걸어 맞춤 톱니(28A)와의 걸어 맞춤 위치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크게 어긋나는 것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또, 권취 드럼(155)의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되었을 때, 웨빙(3)에서 권취 드럼(155)에 축 방향 폴(29) 측으로 부하가 가해져, 권취 드럼(155)이 축 방향 폴(29) 측으로 어긋나도, 돌출 플랜지(156)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각 단차부(143)를 걸어 맞춤 톱니(28A)에 맞닿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권취 드럼(155)이 축 방향 폴(29)측으로 어긋나도, 돌출 플랜지(156)의 폴(29)이 이동하는 부분과 걸어 맞춤 톱니(28A)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단차부(143)는 폴(29)을 축 방향에 대해 걸어 맞춤 톱니(28A)보다 돌출 플랜지(156) 측으로 돌출시킬 수 있고, 폴(29)과 걸어 맞춤 톱니(28A)의 걸어 맞춤을 확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