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89687B1 - 커피 드립 머신 - Google Patents

커피 드립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687B1
KR101489687B1 KR20140002628A KR20140002628A KR101489687B1 KR 101489687 B1 KR101489687 B1 KR 101489687B1 KR 20140002628 A KR20140002628 A KR 20140002628A KR 20140002628 A KR20140002628 A KR 20140002628A KR 101489687 B1 KR101489687 B1 KR 101489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ctuator
cup
water
coffe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40002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진
Original Assignee
강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동진 filed Critical 강동진
Priority to KR20140002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96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68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57Water-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6Filter holding means; Attachment of filters to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75Hot water outlets for drip coffee ma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A47J31/5253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of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6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having water-level controls; having temperature contr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3/00Devices having filling level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 드립 머신에 관한 것으로, 컵 수용부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컵 수용부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컵 수용부를 개폐하는 투명 도어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상단부에 내장되어 있으며 가열수단이 제공된 중공 구조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 상단부에 제공된 입수 밸브와,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레듀샤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제공된 온도 센서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수위계를 갖는 수조와; 상기 레듀샤의 하부에 설치된 액츄레이터와; 상기 액츄레이터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하단부에 상기 본체부와 연통된 토출구가 제공된 열수 토출기와; 상기 컵 수용부의 바닥면에 위치되며 구동모터와 연동되는 회전 테이블과, 컵의 하부 외주연을 고정하도록 상기 회전 테이블의 상부면에 형성된 분할 고정편을 갖는 턴 테이블과; 상기 입수 밸브, 상기 온도 센서, 상기 액츄레이터, 상기 열수 토출기 및 상기 턴 테이블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됨으로써, 최적의 핸드 드립조건을 구현하여 풍미가 양호한 커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커피 드립 머신 {Coffee drip machine}
본 발명은 커피 드립 머신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81650호(등록일자: 2013. 6. 27., 발명의 명칭: 커피머신)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지유닛(100); 호퍼홀더(210)를 매개로 상기 지지유닛(100)에 설치되고 내측에 커피분말이 수용되는 분말호퍼(200); 상기 분말호퍼(200)에 대향되도록 상기 지지유닛(100)의 상측에 배치되는 드리퍼유닛(300); 및 상기 드리퍼유닛(300)이 틸팅되도록 상기 지지유닛(100)의 상단 가장자리부와 드리퍼유닛(300)의 가장자리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스핀들 액츄에이터(400)를 포함하되, 상기 드리퍼유닛(300)은 중앙에 디스크홀(311)이 형성되고 가장자리부에 상기 복수의 스핀들 액츄에이터(400)가 이격되게 연결되는 디스크(310)와, 상기 디스크(310)의 디스크홀(311)에 장착되는 물탱크(320)와, 상기 물탱크(320)의 하부에 설치되는 드리퍼(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드리퍼의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이 가능한 드리퍼를 통해 원하는 형상의 물 분사와 시럽 분사를 구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는 반면,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제조단가가 높은 근원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45137호(등록일자: 2012. 5. 4., 발명의 명칭: 커피머신)는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용용기(C)가 안착되는 지지플레이트(110)가 구비된 지지유닛(100)과, 호퍼홀더(210)를 매개로 상기 지지유닛(100)에 설치되고 내측에 커피분말이 수용되는 분말호퍼(20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10)에 설치되는 장착대(310)와, 선단부가 상기 분말호퍼(200)에 대향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장착대(31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아암(320)을 포함하는 아암유닛과, 상기 링크아암(320)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분말호퍼(200) 내에 물을 공급하는 드립퍼노즐(410)과, 상기 링크아암(320)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수용용기(C) 내에 시럽을 공급하는 시럽노즐(510)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아암(320)은 일단이 제1 회동모터(330a)를 매개로 상기 장착대(310)의 상부에 링크 연결되는 제1 링크아암(320a)과, 일단이 제2 회동모터(330b)를 매개로 상기 제1 링크아암(320a)의 타단에 링크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드립퍼노즐(410) 및 시럽노즐(510)이 장착되는 제2 링크아암(320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자유운동이 가능한 드립퍼노즐 및 시럽노즐을 통해 원하는 형상의 물 분사와 시럽 분사를 구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열수와 함께 시럽이 투입되기 때문에 사용 후 세척이 요구되며 커피 등의 내용물이 충전된 일반적인 커피 드립백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커피 드립백이나 사용자가 커피 내용물을 충전한 드립백을 드립백 장착 컵에 장착한 후 사용자의 기호에 적합하게 물의 양과 드립 시간을 조절할 수 있음을 물론, 열수 토출구가 직선 운동을 하며 컵 안착부가 선택적으로 회전하여 최적 드립 조건을 구현할 수 있는 커피 드립 머신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컵 수용부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컵 수용부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컵 수용부를 개폐하는 투명 도어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상단부에 내장되어 있으며 가열수단이 제공된 중공 구조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 상단부에 제공된 입수 밸브와,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레듀샤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제공된 온도 센서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수위계를 갖는 수조와; 상기 레듀샤의 하부에 설치된 액츄레이터와; 상기 액츄레이터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하단부에 상기 본체부와 연통된 토출구가 제공된 열수 토출기와; 상기 컵 수용부의 바닥면에 위치되며 구동모터와 연동되는 회전 테이블과, 컵의 하부 외주연을 고정하도록 상기 회전 테이블의 상부면에 형성된 분할 고정편을 갖는 턴 테이블과; 상기 입수 밸브, 상기 온도 센서, 상기 액츄레이터, 상기 열수 토출기 및 상기 턴 테이블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 커피 드립 머신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커피맛 조절버튼 및 수량 조절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액츄레이터는 2축 직선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본체부에 충전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케이싱의 상단 전면에 제공된 수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온계는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수위계의 상단 및 하단에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수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은 최적의 핸드 드립조건을 구현하여 풍미가 양호한 커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은 커피 이외에 녹차, 홍차 등의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피머신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피머신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커피 드립 머신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 커피 드립 머신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커피 드립 머신(100)은 케이싱(10), 수조(20), 액츄레이터(30), 열수 토출기(40), 턴 테이블(50), 수온계(60), 커피맛 조절버튼(71)(73), 수량 조절버튼(80) 및 제어수단(COM)으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10)은 정면에 컵 수용부(11)가 제공되어 있으며, 컵 수용부(11)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컵 수용부(11)를 개폐하는 투명 도어(13)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케이싱(10)은 합성수지 계열이나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조(20)는 케이싱(10)의 상단부에 내장되어 있으며 가열수단이 제공된 중공 구조의 본체부(21)와, 본체부(21)의 외주면 상단부에 제공된 입수 밸브(22)와, 본체부(2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레듀샤(23)와, 본체부(21)의 외주면에 제공된 온도 센서(24)와, 본체부(21)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수위계(2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21)의 상부면이 개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덮개를 이용하여 상부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그리고, 본체부(21)의 충전된 물을 가열하는 수단은 전열 코일이다.
입수 밸브(22)는 외부 물탱크 또는 수도꼭지(도시 안됨)와 연통되어 본체부(21)에 물을 충전하거나 충전해제하는 개폐 밸브이다.
수위계(25)는 본체부(21)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의 본체부(21)에 충전된 물의 수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단 및 하단에는 수위센서(도시 안됨)에 설치되어 있다.
액츄레이터(30)는 레듀샤(23)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열수 토출기(40)는 전후좌우 2축으로 직선운동 가능하도록 액츄레이터(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하단부에 본체부(21)와 연통된 토출구(41)가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토출구(41)은 후술되는 제어수단(COM)에 의해 제어되어 개폐되는 밸브 취부형 노즐이다.
턴 테이블(50)은 컵 수용부(11)의 바닥면에 위치되며 구동모터(도시 안됨)와 연동되는 회전 테이블(51)과, 컵(200)의 하부 외주연을 고정하도록 회전 테이블(51)의 상부면에 형성된 분할 고정편(53)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분할 고정편(53)은 우레탄과 같이 탄력성이 양호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피맛 조절버튼(71)(73)은 진한 맛과 순한 맛 2가지 커피를 드립할 수 있도록 케이싱(10)의 전면 중앙부에 제공되어 있다.
수량 조절버튼(80)은 턴 테이블(50)에 안착되는 컵(200)의 수위를 조절하는 버튼으로 케이싱(10)의 측면에 제공되어 있다.
제어수단(COM)은 탑재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본 발명의 커피 드립 머신(100)을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작동시킨다. 여기서, 제어수단(COM)은 본체부(21)의 가열수단, 입수 밸브(22), 온도 센서(24), 수위계(25)의 수위센서, 토출구(41), 턴 테이블(50)의 구동모터, 수온계(60), 커피맛 조절 버튼(71)(73) 및 수량 조절버튼(80)과 연결되어 각각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커피 드립 머신(100)을 작동 관계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커피 드립 머신(1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수단(COM)은 수조(20)의 수위계(25)의 수위센서로부터 감지된 수위에 따라 설정 수위보다 낮은 경우에는 입수 밸브(22)를 개방하여 물을 수조(20)의 본체부(21)로 충전하고, 설정 수위와 동일한 경우에는 입수 밸브(22)를 폐쇄한다.
그런 다음, 제어수단(COM)은 커피맛 조절버튼(71)(73) 조작시 수온계(60)로부터 본체부(21)에 충전된 물의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 온도 이하인 경우에는 본체부(21)의 가열수단을 작동시키고 설정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본체부(21)의 가열수단을 정지시켜 설정 온도를 동일하게 유지한다.
투명 도어(13)를 개방한 후, 커피 드립백(도시 안됨)을 컵(200)에 거치한 것을 턴 테이블(50)의 분할 고정편(53)에 안착한다.
그런 다음, 커피맛 조절버튼들(71)(73) 중 하나를 누르면 제어수단(COM)에 탑재된 프로그램에 따라 액츄레이터(30)가 가동되면서 열수 토출기(40)를 상하좌우 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토출구(41)로부터 열수가 컵(200)에 거치된 커피 드리백의 상부로 낙하된다. 이와 함께, 턴 테이블(50)은 제어수단(COM)에 의하여 구동모터가 작동되어 설정 회전로 회전 테이블(51)이 회전된다.
결과적으로, 열수는 회전되는 회전 테이블(51)에 안착된 컵(200)(커피 드립백이 거치된 상태의 컵) 위로 전후좌우 2축 직선을 운동하면서 낙하되어 드립 백 내부의 원두 커피를 불려 일반적인 핸드드립과 같이 풍미가 양호한 원두를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커피맛 조절버튼들(71)(73) 중에서 진한 맛과 부드러운 맛은 제어수단(COM)에 탑재된 프로그램에 따라 액츄레이터(30)의 가동 시간, 열수 토출기(40)의 열수 토출시간 및 지연시간/횟수, 회전 테이블(51)의 구동모터의 회전수 조절에 의해 결정된다. 이때, 열수 토출기(40)의 지연시간은 토출구(41)로부터 열수가 토출된 후 다음 토출까지의 시간을 의미하며, 5 ~ 10초 정도이며, 지연 횟수는 적어도 1회 이상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부드러운 맛인 경우에는 드립이 완료된 이후 불림시간이 5 ~ 7초이며, 진한 맛은 7 ~ 15초이고, 불림시간이 완료되면 제어수단(COM)은 소리(멜로디)를 내어 불림이 완료되었음을 알린다. 여기서, 열수 토출은 엑츄레이터(30)와 회전 테이블(51)이 회전되고 있는 경우에만 이루어진다.
또한, 수량 조절버튼(80)은 열수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버튼으로, 버튼을 누를수록 전체 열수 토출량을 증감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는 제어수단(COM)에 의해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컵(200)을 분할 고정편(53)으로부터 분리시켜 꺼낸 후 음용하면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분명하다. 여기서, 액츄레이터는 2축 직선운동하는 것으로 한정되어 설명 및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 운동도 가능함을 밝힌다.
10 : 케이싱
20 : 수조
21 : 본체부 22 : 입수 밸브
23 : 레듀샤 24 : 온도 센서
25 : 수위계
30 : 액츄레이터
40 : 열수 토출기
50 : 턴 테이블
51 : 회전 테이블 53 : 분할 고정편
60 : 수온계
71, 73 : 커피맛 조절버튼
80 : 수량 조절버튼
100 : 커피 드립 머신

Claims (3)

  1. 컵 수용부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컵 수용부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컵 수용부를 개폐하는 투명 도어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상단부에 내장되어 있으며 가열수단이 제공된 중공 구조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 상단부에 제공된 입수 밸브와,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레듀샤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제공된 온도 센서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수위계를 갖는 수조와;
    상기 레듀샤의 하부에 설치된 액츄레이터와;
    상기 액츄레이터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하단부에 상기 본체부와 연통된 토출구가 제공된 열수 토출기와;
    상기 컵 수용부의 바닥면에 위치되며 구동모터와 연동되는 회전 테이블과, 컵의 하부 외주연을 고정하도록 상기 회전 테이블의 상부면에 형성된 분할 고정편을 갖는 턴 테이블과;
    상기 입수 밸브, 상기 온도 센서, 상기 액츄레이터, 상기 열수 토출기 및 상기 턴 테이블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커피맛 조절버튼 및 수량 조절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액츄레이터는 2축 직선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드립 머신.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충전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케이싱의 상단 전면에 제공된 수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온계는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수위계의 상단 및 하단에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수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드립 머신.
KR20140002628A 2014-01-09 2014-01-09 커피 드립 머신 Expired - Fee Related KR101489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2628A KR101489687B1 (ko) 2014-01-09 2014-01-09 커피 드립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2628A KR101489687B1 (ko) 2014-01-09 2014-01-09 커피 드립 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9687B1 true KR101489687B1 (ko) 2015-02-04

Family

ID=52590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2628A Expired - Fee Related KR101489687B1 (ko) 2014-01-09 2014-01-09 커피 드립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96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8099A (ko) * 2015-02-04 2017-10-24 프리얼 푸즈 엘엘씨 착탈식 스핀들 및 모니터링된 저장조를 갖는 블렌더
CN109549484A (zh) * 2019-01-14 2019-04-02 洪流 一种旋转式咖啡机
CN110799069A (zh) * 2017-03-17 2020-02-14 汇创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手冲咖啡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090Y1 (ko) * 2005-05-04 2005-07-18 (주)에스피넷 커피머신
JP2011010937A (ja) 2009-07-03 2011-01-20 Panasonic Corp 電気湯沸かし器
JP2012503495A (ja) * 2008-09-24 2012-02-09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飲料のカップ内調製のための装置
KR20130022750A (ko) * 2011-08-26 2013-03-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커피머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090Y1 (ko) * 2005-05-04 2005-07-18 (주)에스피넷 커피머신
JP2012503495A (ja) * 2008-09-24 2012-02-09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飲料のカップ内調製のための装置
JP2011010937A (ja) 2009-07-03 2011-01-20 Panasonic Corp 電気湯沸かし器
KR20130022750A (ko) * 2011-08-26 2013-03-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커피머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8099A (ko) * 2015-02-04 2017-10-24 프리얼 푸즈 엘엘씨 착탈식 스핀들 및 모니터링된 저장조를 갖는 블렌더
KR102482174B1 (ko) 2015-02-04 2022-12-29 프리얼 푸즈 엘엘씨 착탈식 스핀들 및 모니터링된 저장조를 갖는 블렌더
CN110799069A (zh) * 2017-03-17 2020-02-14 汇创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手冲咖啡机
CN110799069B (zh) * 2017-03-17 2021-08-27 汇创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手冲咖啡机
CN109549484A (zh) * 2019-01-14 2019-04-02 洪流 一种旋转式咖啡机
CN109549484B (zh) * 2019-01-14 2024-05-24 深圳博氪智能制造有限公司 一种旋转式咖啡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759362U (zh) 咖啡机
US12114808B2 (en) Apparatus for metering coffee beans
KR101693261B1 (ko) 자동 드립커피 메이커
CN205392657U (zh) 冲泡材料磨碎机
CN105120720B (zh) 意式浓缩咖啡牛奶发泡器
KR101896838B1 (ko) 자동 드립 커피 머신
JP2013519490A5 (ko)
US20080148956A1 (en) Coffee maker
KR101489687B1 (ko) 커피 드립 머신
JP2013519487A5 (ko)
JP2014501164A (ja) 飲料を抽出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関連する方法
CN108348096A (zh) 研磨单元和咖啡机
US10004354B2 (en) Coffee making appliance for brewing coffee
JPH02189113A (ja) エスプレツソ・コーヒまたはジヤーマンコーヒ濾過液を作るための家庭型自動機械
US20110132199A1 (en) Cartridge-holder assembly, and cartridge for the preparation of a beverage, particularly coffee
JP2018033772A (ja) コーヒーメーカー
CN101601546A (zh) 改进的咖啡机
US10542839B2 (en) Coffee making appliance
US11019955B2 (en) Kitchen appliance for preparing a beverag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102218251B1 (ko) 자동 판매기용 커피 추출장치
US20040118294A1 (en) Semiautomated coffee maker
US20140041526A1 (en) Piston head for french press coffee maker
KR101689482B1 (ko) 커피 드립장치
KR20070117945A (ko) 라떼 아트용 자동 머신
KR20130037132A (ko) 죽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29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