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88936B1 -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middle layer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middle la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936B1
KR101488936B1 KR20130063067A KR20130063067A KR101488936B1 KR 101488936 B1 KR101488936 B1 KR 101488936B1 KR 20130063067 A KR20130063067 A KR 20130063067A KR 20130063067 A KR20130063067 A KR 20130063067A KR 101488936 B1 KR101488936 B1 KR 101488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peaker
middle layer
audio signal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300630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41370A (en
Inventor
박승민
김동준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은행 filed Critical 한국산업은행
Priority to KR20130063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936B1/en
Publication of KR20140141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13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936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5/00Details of stereophonic arrangements covered by H04R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5/026Single (sub)woofer with two or more satellite loudspeakers for mid- and high-frequency band reproduction driven via the (sub)woof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커에서 프론트 채널 사운드를 발생하는 미들 레이어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하는 스피커의 미들 레이어 위치 조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의 미들 레이어 위치 조정 방법은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에 상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받은 오디오 신호에서 프론트 채널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한 프론트 채널 오디오 신호에 해당하는 사운드가 발생되는 미들 레이어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ddle layer position adju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a position of a middle layer for generating a front channel sound in a speaker in a vertical direction. A middle layer position adjustment method of a speaker includes receiving an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an image displayed on a screen, extracting a front channel audio signal from the input audio signal, extracting a front channel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front channel audio signal,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layer in the vertical direction.

Description

프론트 채널 사운드가 발생되는 미들 레이어 위치 조정 장치 및 그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MIDDLE LAYER}[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MIDDLE LAYER [0002]

본 발명은 프론트 채널 사운드가 발생되는 미들 레이어 위치 조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론트 채널 사운드를 발생하는 미들 레이어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하는 스피커의 미들 레이어 위치 조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ddle layer position adju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front channel soun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ddle layer position adju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a position of a middle layer generating a front channel sound in a vertical direction .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가정에서 홈시어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영화 및 음악감상을 즐기는 경우가 많다. 홈시어터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대형 모니터와 함께 서라운드 사운드를 구현하기 위한 전면좌우스피커, 서브우퍼, 서라운드 백 스피커, 서라운드 좌우 스피커 및 센터스피커가 필요하다. 스피커중에서 센터스피커는 전면 좌우스피커의 사이에 위치하여 사운드의 이동을 두드러지게 하고 완전한 사운드 이미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주로 대사에 사용되는데, 전면 좌우스피커와 같은 위치에 하도록 하면서 사람 귀높이에 맞추어 TV에 가깝게 설치(일반적으로 TV의 위 또는 아래에 배치)한다. 이런 센터스피커는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의 핵심이 되는 스피커라고 할 수 있다.In recent years, with the improvement in living standards, home theater systems are often used to enjoy movies and music. To implement a home theater system, you need a front left and right speakers, a subwoofer, a surround back speaker, a surround left and right speaker, and a center speaker to create a surround sound with a large monitor. Among the speakers, the center speaker is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left and right speakers to prominently move the sound and to provide a complete sound image. It is used mainly for the dialogue. It is locat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front left and right speakers, (Generally placed above or below the TV). This center speaker is the core speaker of the surround sound system.

한편, DVD 및 HDTV 등 기기의 보급과 디지털방송 추세에 맞추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브라운관에서 LCD 및 PDP를 거쳐 OLED 방식으로 발전해 가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도 점점 더 대형화 되어 가고 있다. 이런 추세에 따라 서라운드 환경을 집의 거실이나 방에 설치하고 싶은 경우, 스피커의 배치가 문제가 될 수 있다. 특히, 센터 스피커의 경우는 이펙트 성분이 아닌 실질적인 영화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 대사가 포함되어 있는 유일한 채널이기 때문에 서라운드 감상에서 매우 중요하다.On the other hand, in accordance with the spread of devices such as DVD and HDTV and trend of digital broadcasting, display devices are being developed from CRTs through LCDs and PDPs to OLEDs, and the size of display devices is becoming larger and larger. If the surround environment is to be installed in a living room or a room of the house according to this tendency, the arrangement of the speakers may become a problem. Especially, the center speaker is very important for surround listening because it is the only channel that contains the metabolism that makes up most of the actual movie, not the effect component.

또한, 보다 고품질의 영상과 사운드로 영화 등을 즐기고자 하는 사람들의 수가 증가하면서, 보다 다이나믹하고 보다 실감나는 사운드의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프로젝션이나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다채널 스피커 장치 등을 구매하는데 비용을 아끼지 않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In addition, as the number of people who want to enjoy movies with higher quality video and sound increases, the importance of more dynamic and more realistic sound is increasing day by day. Accordingly,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 are spending money on purchasing projection, large-screen display devices, and multi-channel speaker devices.

보다 생동감, 현장감이 있는 사운드를 제공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 제2009-0100566호를 통하여 "오브젝트 중심의 입체음향 좌표표시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기술이 소개되었다. In order to provide more lively and realistic sound, Korean Patent Laid-Open No. 2009-0100566, entitled " Display device with object-oriented stereoscopic coordinate display "has been introduced.

한국공개특허 제2009-0100566호에는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뒤에 복수개의 소형 스피커들이 배열되어 있는 스피커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9-0100566 discloses a speaker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small speakers are arranged behind a display monitor.

그러나, 한국공개특허 제2009-0100566호는 화면에서 말을 하는 사람 또는 소리를 내는 물체 등의 오브젝트(object)의 대사나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의 위치를 화면의 오브젝트의 위치와 일치시키도록 하는 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을 뿐, 스피커가 출력하는 사운드 채널 중 프론트 채널의 사운드를 효과적으로 출력하기 위하여 스피커의 미들 레이어의 위치를 조정하는 구체적인 기법에 대해서는 기재하고 있지 않다.However,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9-0100566 discloses a method of matching a position of a speaker outputting a metabolism or a sound of an object such as a speaking person or a sounding object with the position of an object on the screen But does not disclose a specific techniqu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iddle layer of the speaker in order to effectively output the sound of the front channel among the sound channels output from the speaker.

이와 같이, 종래의 스피커는 예를 들어, 연동하고 있는 극장 화면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오브젝트의 대사나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의 위치를 화면의 오브젝트와 일치시키고 있을뿐, 스피커가 출력하는 사운드 채널 중 프론트 채널의 사운드를 효과적으로 발생하기 위하여 스피커의 미들 레이어의 위치를 조정하는 기술을 기재하고 있지 않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speaker, for example, the information provided on the linked theater screen is made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speaker for outputting the metabolism or sound of the object to the object of the screen, And does not describe a technique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a middle layer of a speaker in order to effectively generate a sound of a channel.

따라서, 2 차원 어레이 스피커를 이용하는 사운드 시스템을 갖춘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스크린에 적용되는 스피커의 미들 레이어의 위치를 조정하는 기술이 절실하게 대두된다.Accordingly, in a multimedia system equipped with a sound system using a two-dimensional array speaker, a techniqu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middle layer of a speaker applied to a screen is urgently required.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의 음원에 해당하는 사운드가 스크린의 후면에 X, Y 축상으로 어레이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스피커 채널들 중에서 프론트 채널 사운드를 발생하는 미들 레이어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하는 미들 레이어 위치 조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und reproducing apparatus and a sound reproducing method in which a sound corresponding to a sound source of an object displayed on a screen is positioned in an array on the X and Y axes on a rear surface of a screen, And a method thereof.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채널 사운드가 발생되는 미들 레이어 위치 조정 방법은,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에 상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받은 오디오 신호에서 프론트 채널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한 프론트 채널 오디오 신호에 해당하는 사운드가 발생되는 미들 레이어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iddle layer position adjusting method for generating a front channel sound,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n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an image displayed on a screen; Extracting a front channel audio signal from an input audio signal;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iddle layer in which the sound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front channel audio signal is gene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 때, 상기 미들 레이어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프론트 채널 오디오 신호가 고음 및 중음에 해당하는 경우에 미들 레이어의 사운드 발생 방향을 탑 레이어 쪽으로 상향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미들 레이어 스피커와 탑 레이어 스피커가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this case, the step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iddle layer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include adjusting the sound generation direction of the middle layer toward the top layer when the front channel audio signal corresponds to high and middle sounds. And controlling the middle layer speaker and the top layer speaker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이 때,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미들 레이어 스피커와 상기 탑 레이어 스피커를 상기 프론트 채널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설정 비율로 각각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is case, the controlling step controls the middle layer speaker and the top layer speaker to operate at a setting ratio corresponding to the front channel audio signal, respectively.

이 때, 상기 미들 레이어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프론트 채널 오디오 신호가 저음에 해당하는 경우에 미들 레이어의 사운드 발생 방향을 바텀 레이어 쪽으로 하향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미들 레이어 스피커와 바텀 레이어 스피커가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this case, the step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iddle layer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include: adjusting the sound generation direction of the middle layer toward the bottom layer when the front channel audio signal corresponds to bass; And controlling the middle layer speaker and the bottom layer speaker to operate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이 때,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미들 레이어 스피커와 상기 바텀 레이어 스피커를 상기 프론트 채널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설정 비율로 각각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is case, the controlling step controls the middle layer speaker and the bottom layer speaker to operate at a setting ratio corresponding to the front channel audio signal, respectively.

이 ?, 상기 설정 비율은 각각의 스피커가 출력하는 사운드가 중첩되는 영역을 토대로 설정한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tting ratio is a ratio set based on an area where sound output from each speaker is superimposed.

이 때, 상기 어레이 스피커를 구성하는 하나의 스피커는 저음을 출력하는 저음부와 고음 및 중음을 출력하는 중고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미들 레이어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프론트 채널 오디오 신호가 고음 및 중음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미들레이어 스피커에 해당하는 중고음부를 탑 레이어 쪽으로 회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is case, one speaker constituting the array speaker includes a bass part for outputting a low sound and a middle part for outputting a high sound and a middle sound. In the step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iddle layer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when the channel audio signal corresponds to the high and middle sounds, the middl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middle layer speaker is rotated toward the top layer.

이 때, 상기 프론트 채널 오디오 신호는 레프트(Left; L), 센터(Center; C), 라이트(Right; R) 채널 사운드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is case, the front channel audio signal corresponds to left (L), center (C), and right (R) channel sound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채널 사운드가 발생되는 미들 레이어 위치 조정 장치는,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에 상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받은 오디오 신호에서 프론트 채널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추출한 프론트 채널 오디오 신호에 해당하는 사운드가 발생되는 미들 레이어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하는 위치 조정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iddle layer position adjust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 front channel sound, comprising: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n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an image displayed on a screen; An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a front channel audio signal from an input audio signal; And a position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iddle layer in which the sound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front channel audio signal is gene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 때, 상기 위치 조정부는 상기 프론트 채널 오디오 신호가 고음 및 중음에 해당하는 경우에 미들 레이어의 사운드 발생 방향을 탑 레이어 쪽으로 상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when the front channel audio signal corresponds to the high and middle sounds, the position adjusting unit adjusts the sound generation direction of the middle layer upward toward the top layer.

이 때, 상기 위치 조정부는 상기 프론트 채널 오디오 신호가 저음에 해당하는 경우에 미들 레이어의 사운드 발생 방향을 바텀 레이어 쪽으로 하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is case, the position adjusting unit adjusts the sound generation direction of the middle layer toward the bottom layer when the front channel audio signal corresponds to the low sound.

이 때, 상기 위치 조정부에서 조정한 미들 레이어의 사운드 발생 방향에 대응하게 탑 레이어 스피커 또는 바텀 레이어 스피커와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operable to operate in cooperation with a top layer speaker or a bottom layer speaker in correspondence with a sound generation direction of the middle layer adjusted by the position adjustment unit.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조정부에서 상기 미들 레이어의 사운드 발생 방향을 탑 레이어 쪽으로 상향 조정한 경우, 미들레이어 스피커와 탑 레이어 스피커가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controls the middle layer speaker and the top layer speaker to operate in a coordinated manner when the position adjusting unit adjusts the sound generation direction of the middle layer upward toward the top layer.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조정부에서 상기 미들 레이어의 사운드 발생 방향을 바텀 레이어 쪽으로 하향 조정한 경우, 미들레이어 스피커와 바텀 레이어 스피커가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controls the middle layer speaker and the bottom layer speaker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when the position adjusting unit adjusts the sound generation direction of the middle layer toward the bottom layer.

이 때, 상기 미들 레이어에 위치하는 각각의 스피커는 저음을 출력하는 저음부와 고음 및 중음을 출력하는 중고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each of the speakers located in the middle layer includes a bass part for outputting a low sound and a middle part for outputting a high sound and a medium sound.

이 때, 상기 위치 조정부는 상기 프론트 채널 오디오 신호가 고음 및 중음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중고음부를 탑 레이어 쪽으로 회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position adjusting unit rotates the middle part of the sound to the top layer when the front channel audio signal corresponds to high and middle sounds.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의 음원에 해당하는 사운드가 스크린의 후면에 X, Y 축상으로 어레이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스피커 채널들 중에서 프론트 채널 사운드를 발생하는 미들 레이어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plurality of speaker channels arranged in the form of an array on the X axis and the Y axis on the rear surface of the screen, the sound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of the object displayed on the screen is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미들 레이어 위치 조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 및 그 뒤에 배치되는 2차원 어레이 스피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사운드에 대응하게 미들 레이어 스피커의 위치를 조정하는 기술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미들 레이어 위치 조정 장치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화면 뒤에 배치되어 있는 2차원 어레이 스피커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미들 레이어 위치 조정 장치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화면 뒤에 배치되어 있는 2차원 어레이 스피커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미들 레이어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apparatus for adjusting a middle layer position of a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display screen and a two-dimensional array speaker disposed behind the display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a technique for adjusting a position of a middle layer speaker in accordance with a front s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is a side view of a two-dimensional array speaker disposed behind a display screen applied to a middle layer position adjusting device of a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two-dimensional array speaker disposed behind a display screen applied to a middle layer position adjusting apparatus of a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djusting a middle layer position of a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a repeated description, a known function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can be exaggerated for clarity.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 따른 스피커의 미들 레이어 위치 조정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a middle layer position of a spea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미들 레이어 위치 조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apparatus for adjusting a middle layer position of a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먼저,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미들 레이어 위치 조정 장치에 적용하는 복수개의 스피커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음이 통과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화면과 연동하여 동작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화면은 예를 들어, LCD, OLED, 프로젝션, 및 스크린 등의 화면에 해당한다. First, a plurality of loudspeakers applied to a middle layer position adjusting apparatus of a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 display screen having holes formed therein for displaying images and allowing sound to pass therethrough. Here, the display screen corresponds to, for example, a screen such as an LCD, an OLED, a projection, and a screen.

복수개의 스피커는 디스플레이 화면 뒤에 전체 대비 X, Y축상으로 적절한 갯수가 매트릭스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A plurality of loudspeakers are arranged in matrix form on the X, Y axes, in total, after the display screen.

도 1을 참고하면, 스피커의 미들 레이어 위치 조정 장치(100)는 입력부(110), 추출부(120), 위치 조정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middle layer position adjusting apparatus 100 of a speaker includes an input unit 110, an extracting unit 120, a position adjusting unit 130, and a controller 140.

입력부(110)는 화면에서 상영될 예정인 영상에 해당하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입력부(110)에서 입력받는 오디오 신호는 5.1채널 기반의 사운드에 해당한다. The input unit 110 receives an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an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Here, the audio signal input from the input unit 110 corresponds to 5.1-channel based sound.

추출부(120)는 입력부(110)에서 입력받은 오디오 신호 중 프론트 채널 오디오 신호를 추출한다. 여기서, 프론트 채널 오디오 신호는 레프트(Left; L), 센터(Center; C), 라이트(Right; R) 채널 오디오 신호에 해당한다. The extraction unit 120 extracts a front channel audio signal among the audio signals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110. [ Here, the front channel audio signal corresponds to left (L), center (C), and right (R) channel audio signals.

위치 조정부(130)는 추출부(120)에서 추출한 프론트 채널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게 미들 레이어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한다.The position adjustment unit 130 adjusts the position of the middle layer in the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channel audio signal extracted by the extraction unit 12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는 도 2와 같은 구조로 배치되어 있다. The speak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as shown in FIG.

도 2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화면(200) 뒤에 2차원 어레이 스피커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2차원 어레이 스피커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상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며,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스피커(210, 220, 230)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스피커(210, 220, 230) 각각은 가로 축의 위치에 대응하는 X 좌표와, 세로 축의 위치에 대응하는 Y 좌표를 포함한다. 여기서, X축 Y축으로 배열된 스피커 어레이에 대해 상단 스피커 어레이를 탑 레이어(TOP LAYER), 하단 스피커 어레이를 바텀 레이어(BOTTOM LAYER), 탑 레이어와 바텀 레이어 사이의 스피커 어레이를 미들 레이어(MIDDLE LAYER)라고 한다. Referring to FIG. 2, a two-dimensional array speaker is disposed behind the display screen 200. The two-dimensional array speaker outputs a plurality of audio signals corresponding to image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peakers 210, 220, and 230 arrang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Each of the plurality of speakers 210, 220 and 230 includes an X coordinat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horizontal axis and a Y coordinat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vertical axis. Here, for the speaker array arranged in the X axis and Y axis, the upper speaker array is referred to as a top layer, the lower speaker array is referred to as a bottom layer (BOTTOM LAYER), a speaker array between a top layer and a bottom layer is referred to as a MIDDLE LAYER ).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과 같은 스피커에서 상단 5개의 스피커 어레이는 탑 레이어(TOP LAYER), 하단의 5개의 스피커 어레이는 바텀 레이어(BOTTOM LAYER), 상기 탑 레이어와 바텀 레이어 사이의 5개의 스피커 어레이는 미들 레이어(MIDDLE LAYER)라고 한다. 또한, 탑 레이어(TOP LAYER), 미들 레이어(MIDDLE LAYER) 및 바텀 레이어(BOTTOM LAYER)에 속하는 스피커의 개수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in the speakers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upper five speaker arrays are a top layer, the lower five speaker arrays are a bottom layer, and five The speaker array is called the middle layer (MIDDLE LAYER). The number of speakers belonging to the top layer, the middle layer and the bottom layer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us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구체적으로, 위치 조정부(130)는 프론트 채널 오디오 신호가 예를 들어, 고음 및 중음에 해당하는 경우에 미들 레이어 위치를 탑 레이어 쪽으로 상향 조정한다(도 3에서의 A경우). Specifically, when the front channel audio signal corresponds to, for example, a treble and a middle sound, the position adjustment unit 130 adjusts the middle layer position upward to the top layer side (A case in FIG. 3).

또한, 위치 조정부(130)는 프론트 사운드가 예를 들어, 저음에 해당하는 경우에 미들 레이어 위치를 바텀 레이어 쪽으로 하향 조정한다(도 3에서의 B경우). In addition, the position adjusting unit 130 adjusts the middle layer position toward the bottom layer when the front sound corresponds to, for example, bass (B case in Fig. 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음, 중음, 저음은 해당 파동의 진동수를 토대로 구별하는 것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high, middle, and low frequenci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tinguished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corresponding wav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제어부(140)는 위치 조정부(130)에서 조정한 미들 레이어의 위치에 대응하게 탑 레이어 스피커 또는 바텀 레이어 스피커와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position adjusting unit 130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top layer speaker or the bottom layer speaker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middle layer adjusted by the position adjusting unit 130.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위치 조정부(130)에서 조정한 미들 레이어의 위치가 탑 레이어 쪽으로 상향 조정된 경우(도 3에서의 A경우), 미들 레이어 스피커가 탑 레이어 스피커와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미들 레이어 스피커와 탑 레이어 스피커를 프론트 채널 사운드에 대응하는 설정 비율로 각각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설정 비율은 미들 레이어 스피커와 탑 레이어 스피커 각각이 출력하는 사운드가 중첩되는 영역을 토대로 설정한 비율이다. Specifically, when the position of the middle layer adjusted by the position adjusting unit 130 is upwardly adjusted to the top layer (A case in FIG. 3),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middle layer speaker to operate in cooperation with the top layer speaker do. For example,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middle layer speaker and the top layer speaker to operate at a setting ratio corresponding to the front channel sound, respectively. Here, the setting ratio is a ratio set based on the area where the sounds output from the middle layer speaker and the top layer speaker overlap each other.

또한, 제어부(140)는 위치 조정부(130)에서 조정한 미들 레이어의 위치가 바텀 레이어 쪽으로 하향 조정된 경우(도 3에서의 B경우),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미들 레이어 스피커와 바텀 레이어 스피커를 프론트 채널 사운드에 대응하는 설정 비율로 각각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설정 비율은 미들 레이어 스피커와 탑 레이어 스피커 각각이 출력하는 사운드가 중첩되는 영역을 토대로 설정한 비율이다.
3),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middle layer speaker and the bottom layer of the bottom layer,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 of the middle layer adjusted by the position adjusting unit 130 is adjusted downward toward the bottom layer And controls the layer speaker to operate at a setting ratio corresponding to the front channel sound, respectively. Here, the setting ratio is a ratio set based on the area where the sounds output from the middle layer speaker and the top layer speaker overlap each other.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채널 사운드가 발생되는 미들 레이어 위치 조정 장치(100)는 위치 조정부(130)에서 미들 레이어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하기 위하여 도 4 및 도 5와 같이 2차원 어레이 스피커를 구성할 수 있다. Next, in order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middle layer in the position adjusting unit 13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middle layer position adjusting apparatus 100, in which the front channel sound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ray speakers can be configur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채널 사운드가 발생되는 미들 레이어 위치 조정 장치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화면 뒤에 배치되어 있는 2차원 어레이 스피커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미들 레이어 위치 조정 장치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화면 뒤에 배치되어 있는 2차원 어레이 스피커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4 is a side view of a two-dimensional array speaker disposed behind a display screen applied to a middle layer position adjusting device in which a front channel sound is gene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Dimensional array speaker disposed behind a display screen applied to a middle layer position adjusting device.

먼저, 2차원 어레이 스피커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에 해당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며,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스피커를 포함한다. 이때, 2차원 어레이 스피커가 포함하는 복수개의 스피커 각각(도 4에서의 400)은 도 5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First, a two-dimensional array speaker outputs a sound corresponding to an image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peakers arrang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t this time, each of the plurality of speakers (400 in FIG. 4) included in the two-dimensional array speaker has a structure as shown in FIG.

도 5를 참고하면, 복수개의 스피커 각각(도 4에서의 400)은 고음 및 중음을 출력하는 중고음부(410)과 저음을 출력하는 저음부(4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중고음부(410)는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Referring to FIG. 5, each of the plurality of speakers (400 in FIG. 4) includes a middle note 410 for outputting high and middle sounds and a bass unit 420 for outputting low notes. Here, the middle part 41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즉, 위치 조정부(130)는 프론트 사운드가 예를 들어, 고음 및 중음에 해당하는 경우에 미들 레이어 스피커 각각에 해당하는 중고음부(410)를 탑 레이어 쪽으로 회전시킨다.
That is, when the front sound corresponds to the high and middle sounds, the position adjusting unit 130 rotates the middle note 410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middle layer speakers toward the top layer.

다음, 프론트 채널 사운드가 발생되는 미들 레이어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adjusting the middle layer position at which the front channel sound is generat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채널 사운드가 발생되는 미들 레이어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djusting a middle layer position where a front channel sound is gene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에서 프론트 채널 사운드를 발생하는 미들 레이어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하는 미들 레이어 위치를 조정하는 장치(이하, "프론트 채널 사운드가 발생되는 미들 레이어 위치 조정 장치"라고 함)(도 1에서의 100)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음이 통과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화면과 연동하여 동작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화면은 예를 들어, LCD, OLED, 프로젝션, 및 스크린 등의 화면에 해당한다. First, an apparatus for adjusting a middle layer position for adjusting a position of a middle layer for generating a front channel sound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iddle layer position adjusting apparatus in which a front channel sound is generated & (100 in FIG. 1)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 display screen in which a hole is formed so that an image is displayed and a sound can pass through. Here, the display screen corresponds to, for example, a screen such as an LCD, an OLED, a projection, and a screen.

복수개의 스피커는 디스플레이 화면 뒤에 전체 대비 X, Y축상으로 적절한 갯수가 매트릭스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A plurality of loudspeakers are arranged in matrix form on the X, Y axes, in total, after the display screen.

도 7을 참고하면, 프론트 채널 사운드가 발생되는 미들 레이어 위치 조정 장치(100)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상응하는 오디오 신호 예를 들어, 5.1채널 기반의 사운드를 입력받는다(S100). Referring to FIG. 7, the middle layer position adjustment apparatus 100 in which a front channel sound is generated receives an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an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for example, a 5.1 channel based sound (S100).

프론트 채널 사운드가 발생되는 미들 레이어 위치 조정 장치(100)는 S100 단계에서 입력받은 5오디오 신호에서 프론트 채널 오디오 신호를 추출한다(S200). 여기서, 프론트 채널 오디오 신호는 레프트(Left; L), 센터(Center; C), 라이트(Right; R) 채널 사운드에 해당한다. In step S200, the middle layer position adjustment apparatus 100, in which the front channel sound is generated, extracts the front channel audio signal from the five audio signals received in step S100. Here, the front channel audio signal corresponds to left (L), center (C), and right (R) channel sounds.

프론트 채널 사운드가 발생되는 미들 레이어 위치 조정 장치(100)는 S200 단계에서 추출한 프론트 채널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미들 레이어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한다(S300).In operation S300, the middle layer position adjusting apparatus 100, in which the front channel sound is generated, adjusts the position of the middle layer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front channel audio signal in step S200.

프론트 채널 사운드가 발생되는 미들 레이어 위치 조정 장치(100)는 S300 단계와 같이 미들 레이어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하는데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한다. The middle layer position adjusting apparatus 100 in which the front channel sound is generated uses two methods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middle lay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in step S300.

첫 번째 방법, 프론트 채널 사운드가 발생되는 미들 레이어 위치 조정 장치(100)는 프론트 채널 오디오 신호가 고음 및 중음에 해당하는 경우와 저음에 해당하는 경우에 따라 미들 레이어 위치를 조정하고, 조정한 결과에 따라 탑 레이어 스피커 또는 바텀 레이어 스피커와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In the first method, the middle layer position adjusting apparatus 100, in which the front channel sound is generated, adjusts the middle layer position according to the case where the front channel audio signal corresponds to the treble and the middle tone and corresponds to the bass, Accordingly, it controls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top layer speaker or the bottom layer speaker.

구체적으로, 스피커의 미들 레이어 위치 조정 장치(100)는 프론트 사운드가 예를 들어, 고음 및 중음에 해당하는 경우에 미들 레이어의 사운드 발생 방향을 탑 레이어 쪽으로 상향 조정하고, 발생 방향이 상향 조정된 미들 레이어 스피커와 탑 레이어 스피커가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Specifically, the middle layer position adjusting device 100 of the speaker adjusts the sound generation direction of the middle layer upward toward the top layer when the front sound corresponds to, for example, high and middle sounds, Layer speaker and the top layer speaker to operate in conjunction. At this time,

프론트 채널 사운드가 발생되는 미들 레이어 위치 조정 장치(100)는 프론트 채널 오디오 신호가 예를 들어, 저음에 해당하는 경우에 미들 레이어의 사운드 발생 방향을 바텀 레이어 쪽으로 하향 조정하고, 발생 방향이 하향 조정된 미들 레이어 스피커와 바텀 레이어 스피커가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The middle layer position adjustment device 100, in which the front channel sound is generated, adjusts the sound generation direction of the middle layer toward the bottom layer when the front channel audio signal corresponds to, for example, bass, Controls the middle layer speaker and the bottom layer speaker to work together.

두 번째 방법, 스피커의 미들 레이어 위치 조정 장치(100)는 S300 단계와 같이 미들 레이어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하기 위하여 2차원 어레이 스피커가 포함하는 복수개의 스피커 각각을 도 5와 같은 구조로 형성한다. In the second method, the middle layer position adjusting apparatus 100 of the speaker forms a plurality of speakers included in the two-dimensional array speaker as shown in FIG. 5 in order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middle lay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in step S300 .

여기서, 복수개의 스피커 각각(도 4에서의 400)은 고음 및 중음을 출력하는 중고음부(410)과 저음을 출력하는 저음부(4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중고음부(410)는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Here, each of the plurality of speakers (400 in FIG. 4) includes a middle tone portion 410 for outputting high and middle sounds, and a bass portion 420 for outputting a low tone. Here, the middle part 41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프론트 채널 사운드가 발생되는 미들 레이어 위치 조정 장치(100)는 프론트 사운드가 고음 및 중음에 해당하는 경우에 미들 레이어 스피커 각각에 해당하는 중고음부(410)를 탑 레이어 쪽으로 회전시킨다.When the front sound corresponds to a treble and a middle sound, the middle layer position adjustment device 100, in which a front channel sound is generated, rotates the middle part 410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middle layer speakers toward the top layer.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의 음원에 해당하는 사운드가 스크린의 후면에 X, Y 축상으로 어레이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스피커 채널들 중에서 프론트 채널 사운드를 발생하는 미들 레이어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 sound corresponding to a sound source of an object displayed on a screen is positioned in the form of an array on the X and Y axes on the rear surface of the screen, and the position of the middle layer, which generates the front channel sound, Direction can be provided.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n optimal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employed herein, they are u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스피커의 미들 레이어 위치 조정 장치
110; 입력부 120; 추출부
130; 위치 조정부 140; 제어부
200; 디스플레이 화면 210, 220, 230, 400; 스피커
410; 중고음부 420; 저음부
100; Middle layer position adjustment device of speaker
110; An input unit 120; The extraction unit
130; A position adjusting unit 140; The control unit
200; Display screens 210, 220, 230, 400; speaker
410; A middle part 420; Bass

Claims (16)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에 상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받은 오디오 신호에서 프론트 채널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한 프론트 채널 오디오 신호에 해당하는 사운드가 발생되는 미들 레이어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미들 레이어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미들 레이어의 사운드 발생 방향을 탑 레이어 쪽으로 상향 조정하는 경우에, 미들 레이어 스피커와 탑 레이어 스피커가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미들 레이어의 사운드 발생 방향을 바텀 레이어 쪽으로 하향 조정하는 경우에, 미들 레이어 스피커와 바텀 레이어 스피커가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채널 사운드가 발생되는 미들 레이어 위치 조정 방법.
Receiving an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an image displayed on a screen;
Extracting a front channel audio signal from an input audio signal;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iddle layer in which the sound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front channel audio signal is gene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Lt; / RTI >
The step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iddle layer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adjusting the sound generation direction of the middle layer toward the top layer, controlling the middle layer speaker and the top layer speaker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and adjusting the sound generation direction of the middle layer toward the bottom layer, And controlling the layer speaker and the bottom layer speaker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어레이 스피커를 구성하는 하나의 스피커는 저음을 출력하는 저음부와 고음 및 중음을 출력하는 중고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미들 레이어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프론트 채널 오디오 신호가 고음 및 중음에 해당하는 경우에 미들레이어 스피커에 해당하는 중고음부를 탑 레이어 쪽으로 회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채널 사운드가 발생되는 미들 레이어 위치 조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e speaker constituting the array speaker includes a bass part for outputting a low sound and a middle part for outputting a high sound and a medium sound,
The step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iddle layer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center channel is rotated toward the top layer when the front channel audio signal corresponds to a treble and a middle to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채널 오디오 신호는 레프트(Left; L), 센터(Center; C), 라이트(Right; R) 채널 사운드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채널 사운드가 발생되는 미들 레이어 위치 조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ont channel audio signal corresponds to left (L), center (C), and right (R) channel sounds.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에 상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받은 오디오 신호에서 프론트 채널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추출한 프론트 채널 오디오 신호에 해당하는 사운드가 발생되는 미들 레이어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하는 위치 조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조정부에서 조정한 미들 레이어의 사운드 발생 방향에 대응하게 탑 레이어 스피커 또는 바텀 레이어 스피커와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채널 사운드가 발생되는 미들 레이어 위치 조정 장치.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n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an image displayed on a screen;
An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a front channel audio signal from an input audio signal; And
A position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iddle layer in which the sound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front channel audio signal is generated,
Lt; / RTI >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ront channel soun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 top layer speaker or a bottom layer speaker in accordance with a sound generation direction of the middle layer adjusted by the position adjustment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조정부에서 상기 미들 레이어의 사운드 발생 방향을 탑 레이어 쪽으로 상향 조정한 경우, 미들레이어 스피커와 탑 레이어 스피커가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채널 사운드가 발생되는 미들 레이어 위치 조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middle layer speaker and the top layer speaker to operate in an interlocked manner when the position adjustment unit adjusts the sound generation direction of the middle layer upward toward the top layer.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조정부에서 상기 미들 레이어의 사운드 발생 방향을 바텀 레이어 쪽으로 하향 조정한 경우, 미들레이어 스피커와 바텀 레이어 스피커가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채널 사운드가 발생되는 미들 레이어 위치 조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middle layer speaker and the bottom layer speaker to operate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when the position adjusting unit downwardly adjusts the sound generation direction of the middle layer toward the bottom layer.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미들 레이어에 위치하는 각각의 스피커는
저음을 출력하는 저음부와 고음 및 중음을 출력하는 중고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채널 사운드가 발생되는 미들 레이어 위치 조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Each of the speakers located in the middle layer
Wherein the front channel sound is generated when the front channel sound is generated, and the middle channel position adjusting device generates a front channel sound by outputting a low sound outputting a low sound and a middle sound outputting a high sound and a middle sound.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부는
상기 프론트 채널 오디오 신호가 고음 및 중음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중고음부를 탑 레이어 쪽으로 회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채널 사운드가 발생되는 미들 레이어 위치 조정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position-
Wherein the middle channel is rotated toward the top layer when the front channel audio signal corresponds to high and middle sounds.
KR20130063067A 2013-05-31 2013-05-31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middle layer Expired - Fee Related KR1014889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3067A KR101488936B1 (en) 2013-05-31 2013-05-31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middle 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3067A KR101488936B1 (en) 2013-05-31 2013-05-31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middle lay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370A KR20140141370A (en) 2014-12-10
KR101488936B1 true KR101488936B1 (en) 2015-02-02

Family

ID=52458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3067A Expired - Fee Related KR101488936B1 (en) 2013-05-31 2013-05-31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middle lay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893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3375A1 (en) * 2019-04-16 2020-10-22 ソニー株式会社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11031419B (en) 2019-12-20 2021-06-01 歌尔股份有限公司 Sound box control method, sound box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389A (en) * 1992-06-19 1994-03-11 Victor Co Of Japan Ltd Sound field controller
KR20080071805A (en) * 2007-01-31 2008-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Front surround playback system using speaker array and its signal reproduction method
KR20090100566A (en) * 2008-03-20 2009-09-24 박승민 Display device having three-dimensional sound coordinate display of object center
KR101038101B1 (en) 2010-03-23 2011-06-01 박승민 Audio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for 2D array speaker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389A (en) * 1992-06-19 1994-03-11 Victor Co Of Japan Ltd Sound field controller
KR20080071805A (en) * 2007-01-31 2008-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Front surround playback system using speaker array and its signal reproduction method
KR20090100566A (en) * 2008-03-20 2009-09-24 박승민 Display device having three-dimensional sound coordinate display of object center
KR101038101B1 (en) 2010-03-23 2011-06-01 박승민 Audio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for 2D array speaker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370A (en)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7703B2 (en) Speaker for reflecting sound off viewing screen or display surface
US10959033B2 (en) System for rendering and playback of object based audio in various listening environments
KR101777639B1 (en) A method for sound reproduction
CN100496148C (en) Audio output adjustment device and method for home theater system
US9258665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able sound regions in a media room
US8855340B2 (en) Apparatus for reproducting wave field using loudspeaker array and the method thereof
US20060165247A1 (en) Ambient and direct surround sound system
KR20100049836A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virtual sound sources, methods for selecting loudspeaker set and methods for reproducing virtual sound sources
US12273695B2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audio reproduction
KR10148893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middle layer
KR10141097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of speaker
HK1177084B (en) Techniques for localized perceptual aud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308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10817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