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88638B1 - 워머 - Google Patents

워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638B1
KR101488638B1 KR20140039304A KR20140039304A KR101488638B1 KR 101488638 B1 KR101488638 B1 KR 101488638B1 KR 20140039304 A KR20140039304 A KR 20140039304A KR 20140039304 A KR20140039304 A KR 20140039304A KR 101488638 B1 KR101488638 B1 KR 101488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let
heat
supply member
warmer
air outl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40039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용
Original Assignee
김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용 filed Critical 김진용
Priority to KR20140039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6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63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8Warming devices generating the heat by exothermic reactions, e.g. heat released by the contact of unslaked lime with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9/00Heat-insulated warming chambers; Cupboards with heating arrangements for warming kitchen utensils
    • A47J39/02Dish-warmers; Devices to keep food h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워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전원 및 전선을 사용하지 않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누구나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음식물이나 차를 안전하게 장시간 보온을 유지하여 따뜻하게 먹고 마실 수 있는 워머에 관한 것이다.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차와 음식물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보온될 수 있는 워머에 있어서, 바닥면이 밀폐되고 일측면에 공기유입구(11)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11)의 직교방향으로 타측면에 공기유출구(12)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구(11)와 공기유출구(12)가 교차되는 중심부에 열공급부재(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함몰된 삽입부(13)가 형성되는 사각형상의 몸체(1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워머{WARMER}
본 발명은 워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전원 및 전선을 사용하지 않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누구나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음식물이나 차를 안전하게 장시간 보온을 유지하여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따뜻하게 먹을 수 있는 워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나, 커피 그리고 음식물 등을 보온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보온 장치는 전기 보온기나 가스버너 형태의 것이다. 전기보온기는 별도의 전원 및 전선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전선 자체와 이의 전원과의 연결 때문에 그 이동이 불편하고 번거롭다.
또한 가스 버너 형태의 보온기는 그 자체가 크고 가스 특성상 위험하며, 실내에서 특히 서재등에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책상 또는 찻자리 착탁 등에 손쉽게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는 간편하고 안전한 보온기를 필요로 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이에 다양한 기능의 워머가 개발되고, 이중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20-1993-0005343호(차 보온기, 이하 '선행기술 1' 이라 함)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20-2003-0011308호(도자기재 신선로, 이하 '선행기술 2' 이라 함)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가 몸체로부터 사방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므로 공기의 유입은 용이할 수 있으나, 한꺼번에 많은양의 공기가 유입될 때에는 열원부재로 쓰이는 촛불이 꺼질 염려가 있고, 그을음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연소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열원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없어 열원의 위치가 흔들릴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화재사고가 발생될 수 있고, 흔들림으로 인해 열원이 한쪽으로 치중될 경우 특정부위만 빨리 데워져 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별도의 전원 및 전선을 사용하지 않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누구나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음식물이나 차를 안전하게 장시간 보온을 유지하여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따뜻하게 먹고 마실 수 있는 워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워머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차와 음식물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보온될 수 있는 워머에 있어서, 바닥면이 밀폐되고 일측면에 공기유입구(11)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구(11)의 직교방향으로 타측면에 공기유출구(12)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11)와 공기유출구(12)가 교차되는 중심부에 열공급부재(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함몰된 삽입부(13)가 형성되는 사각형상의 몸체(1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상부면에 삽입부(13)를 내포하는 형상의 열전도링(3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열전도링(30)의 크기와 두께만큼 원형으로 함몰된 받침결합부(14)가 더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10)의 중앙 상부면에 결합되어 열 전달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열전도링(30)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열전도링(30)은 링형상으로 재질은 금속, 세라믹, 석재와 같은 열 전도가 가능한 불연소재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몸체(10)의 상부면에 삽입부(13)를 내포하는 원형의 함몰된 받침결합부(14)에 위치하여 결합되고, 상기 열공급부재(20)에 의해 발생된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열공급부재(20)에서 공급되는 열이 중단된 후에도 상기 열전도링(30)은 열원이 서서히 식게되어 간접적인 보온효과를 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몸체(10)의 측면에는 사다리꼴 형상의 홈이 관통 형성된 공기유입구(11)와 타측면에는 공기유입구와(11)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공기유출구(12)가 형성되되, 상기 공기유출구(12)는 공기유입구(11)보다 홈의 깊이가 얕게 형성되며, 상기 열공급부재(20)가 용이하게 연소될 수 있도록 외부의 공기는 홈의깊이가 깊게 형성된 상기 공기유입구(11)로 유입되며, 연소 후 발생되는 열기는 홈의 깊이가 얕게 형성된 공기유출구(12)를 통해 서서히 유출되므로 연소효율이 극대화되는 워머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워머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전원 및 전선을 사용하지 않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누구나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연소효율을 높이고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이나 차를 안전하게 장시간 보온을 유지하여 따뜻하게 먹고 마실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워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 워머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 워머의 구성중 몸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 워머의 구성중 열전도링의 다양한 형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 워머의 실시예 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 워머의 실시예 2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 워머의 실시예 3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 워머의 실시예 4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당업자가 본 발명의 워머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 워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 워머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차와 음식물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보온될 수 있는 워머에 있어서, 바닥면이 밀폐되고 일측면에 공기유입구(11)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구(11)의 직교방향으로 타측면에 공기유출구(12)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11)와 공기유출구(12)가 교차되는 중심부에 열공급부재(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함몰된 삽입부(13)가 형성되는 사각형상의 몸체(1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나무 재질의 사각형상으로 구비되며, 바닥면이 밀폐되고 일측면에 공기유입구(11)가 관통 형성되고, 직교방향으로 타측면에 공기유출구(12)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11)와 공기유출구(12)가 교차되는 중심부에는 상기 열공급부재(20)가 삽입 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함몰된 삽입부(1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상부면에는 삽입부(13)를 내포하는 형상에 상기 열전도링(3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열전도링(30)의 크기와 두께만큼 원형으로 함몰된 받침결합부(14)가 형성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몸체(10)의 측면에는 사다리꼴 형상의 홈이 관통 형성된 공기유입구(11)와 타측면에는 공기유입구와(11)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공기유출구(12)가 형성되되, 상기 공기유출구(12)는 공기유입구(11)보다 홈의 깊이가 얕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열공급부재(20)가 용이하게 연소될 수 있도록 외부의 공기는 홈의 깊이가 깊게 형성된 상기 공기유입구(11)로 유입되며, 연소 후 발생되는 열기는 홈의 깊이가 얕게 형성된 공기유출구(12)를 통해 서서히 유출되므로 연소효율이 극대화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나무재질의 몸체(10)를 탄화시켜 화재 예방을 할 수 있으며, 실내 장식용으로서의 인테리어 효과를 누릴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세라믹, 금속, 석재 등 다양하게 적용되어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열공급부재(20)는 몸체(10)의 중심부에 원형으로 함몰된 삽입부(13)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13)의 둘레에 맞도록 구비된 원형의 지지용기(21)에 원형초(22)가 삽입되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용기(21)는 얇은 철판 또는 알루미늄판이나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되며, 이러한 지지용기(21)에 심지가 구비된 원형초(22)가 삽입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열공급부재(20)를 상기 몸체(10) 중심부에 원형으로 함몰된 삽입부(13)에 위치시키고, 원형초(22)의 심지에 불을 붙인 뒤, 상기 열전도링(30) 상부면에 차 주전자를 올려놓으면 가열되면서 차 주전자 내부의 차가 보온될 수 있는것이다.
상기 열전도링(30)은 링형상으로 몸체(10)의 상부면에 삽입부(13)를 내포하는 원형의 함몰된 받침결합부(14)에 위치하여 결합되며, 재질은 금속, 세라믹, 석재와 같은 열 전도가 가능한 불연소재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열전도링(30)의 내측에 형성되는 구멍은 원의 형상 및 하부면에서 상부면으로 올라갈수록 좁아지는 형상과, 상기 하부면에서 상부면으로 올라갈수록 좁아지되 하부면이 둥글게 처리되는 형상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하측에서 열기가 상측으로 올라갈수록 중앙으로 모아지므로 열전도링(3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차 주전자의 중앙에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참조)
또한, 상기 열전도링(30)은 상기 열공급부재(20)에 의해 발생된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열공급부재(20)에서 공급되는 열이 중단된 후에도 상기 열전도링(30)은 열원히 서서히 식게되어 간접적인 보온효과를 줄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 워머의 구성중 몸체(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바닥면이 밀폐되고 일측면에 공기유입구(11)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11)의 직교방향으로 타측면에 공기유출구(12)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구(11)와 공기유출구(12)가 교차되는 중심부에 열공급부재(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함몰된 삽입부(13)가 형성되는 사각형상의 몸체(1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의 일측면에는 사다리꼴 형상의 홈이 관통 형성된 공기유입구(11)와, 상기 공기유입구(11)의 타측면에는 공기유입구와(11)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공기유출구(12)가 형성되되, 상기 공기유출구(12)는 공기유입구(11)보다 홈의 깊이가 얕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중심부에는 상기 열공급부재(20)가 삽입 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함몰된 삽입부(13)가 더 형성되고, 몸체(10)의 상부면에는 상기 삽입부(13)를 내포하는 형상에 상기 열전도링(3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열전도링(30)의 크기와 두께만큼 원형으로 함몰된 받침결합부(1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열공급부재(20)가 용이하게 연소될 수 있도록 외부의 공기는 홈의 깊이가 깊게 형성된 상기 공기유입구(11)로 유입되며, 연소 후 발생되는 열기는 홈의 깊이가 얕게 형성된 공기유출구(12)를 통해 서서히 유출되므로 연소효율이 극대화되는 것이다.
또한, 바닥면에서부터 상측방향으로 올라갈수록 좁아지는 사다리꼴 홈 형상의 상기 공기유입구(11)와 공기유출구(12)는 열공급부재(20)에서 발생되는 열원이 사다리꼴 홈 형상을 따라 중앙으로 모여 촛불이 몸체(10)의 닿지않게 되어 화재예방이 될 수 있고, 열원이 중앙부로 용이하게 연소되어 상기 열전도링(30)에 열이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 워머의 실시예 1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는 본 발명 워머의 실시예 2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 워머의 실시예 3을 도시한 도면이고,도 8은 본 발명 워머의 실시예 4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바닥면이 밀폐되고 일측면에 공기유입구(11)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11)의 직교방향으로 타측면에 공기유출구(12)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구(11)와 공기유출구(12)가 교차되는 중심부에 열공급부재(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함몰된 삽입부(13)가 형성되는 사각형상의 몸체(1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나무 재질의 사각형상으로 구비되되, 모서리 부위를 깍거나 부드럽게 다듬어 여러가지의 형태로 더 구비될 수 있고, 몸체(10)를 탄화시켜 화재 예방을 할 수 있으며, 실내 장식용으로서의 인테리어 효과를 누릴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세라믹, 금속, 석재 등 다양하게 적용되어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바닥면이 밀폐되고 일측면에 공기유입구(11)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구(11)의 직교방향으로 타측면에 공기유출구(12)가 관통 형성되며, 몸체(10)의 중심부에는 상기 열공급부재(20)가 삽입 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함몰된 삽입부(13)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10)의 상부면에는 삽입부(13)를 내포하는 형상에 상기 열전도링(3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열전도링(30)의 크기와 두께만큼 원형으로 함몰된 받침결합부(14)가 형성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몸체(10)의 일측면에는 사다리꼴 형상의 홈이 관통 형성된 공기유입구(11)와, 상기 공기유입구(11)의 타측면에는 공기유입구와(11)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공기유출구(12)가 형성되되, 상기 공기유출구(12)는 공기유입구(11)보다 홈의 깊이가 얕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열공급부재(20)가 용이하게 연소될 수 있도록 외부의 공기는 홈의 깊이가 깊게 형성된 상기 공기유입구(11)로 유입되며, 연소 후 발생되는 열기는 홈의 깊이가 얕게 형성된 공기유출구(12)를 통해 서서히 유출되므로 연소효율이 극대화되는 것이다.
상기 열공급부재(20)는 몸체(10)의 중심부에 원형으로 함몰된 삽입부(13)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13)의 둘레에 맞도록 구비된 원형의 지지용기(21)에 원형초(22)가 삽입되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용기(21)는 얇은 철판 또는 알루미늄판이나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되며, 이러한 지지용기(21)에 심지가 구비된 원형초(22)가 삽입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열공급부재(20)를 상기 몸체(10) 중심부에 원형으로 함몰된 삽입부(13)에 위치시키고, 원형초(22)의 심지에 불을 붙인 뒤, 상기 열전도링(30) 상부면에 차 주전자를 올려놓으면 가열되면서 차 주전자 내부의 차가 보온될 수 있는것이다.
상기 열전도링(30)은 링형상으로 몸체(10)의 상부면에 삽입부(13)를 내포하는 원형의 함몰된 받침결합부(14)에 위치하여 결합되며, 재질은 금속, 세라믹, 석재와 같은 열 전도가 가능한 불연소재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열전도링(30)의 내측에 형성되는 구멍은 원의 형상 및 하부면에서 상부면으로 올라갈수록 좁아지는 형상과, 상기 하부면에서 상부면으로 올라갈수록 좁아지되 하부면이 둥글게 처리되는 형상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하측에서 열기가 상측으로 올라갈수록 중앙으로 모아지므로 열전도링(3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차 주전자의 중앙에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참조)
또한, 상기 열전도링(30)은 상기 열공급부재(20)에 의해 발생된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열공급부재(20)에서 공급되는 열이 중단된 후에도 상기 열전도링(30)은 열원히 서서히 식게되어 간접적인 보온효과를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워머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전원 및 전선을 사용하지 않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누구나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연소효율을 높이고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이나 차를 안전하게 장시간 보온을 유지하여 따뜻하게 먹고 마실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설명한 내용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8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 : 몸체
11 : 공기유입구 12 : 공기유출구
13 : 삽입부 14 : 받침결합부
20 : 열공급부재 21 : 지지용기 22 : 원형초
30 : 열전도링

Claims (5)

  1.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차와 음식물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보온될 수 있는 워머에 있어서,
    바닥면이 밀폐되고 일측면에 공기유입구(11)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11)의 직교방향으로 타측면에 공기유출구(12)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구(11)와 공기유출구(12)가 교차되는 중심부에 열공급부재(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함몰된 삽입부(13)가 형성되는 사각형상의 몸체(1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상부면에 삽입부(13)를 내포하는 형상의 열전도링(3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열전도링(30)의 크기와 두께만큼 원형으로 함몰된 받침결합부(14)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중앙 상부면에 결합되어 열 전달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열전도링(3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링(30)은 링형상으로 재질은 열 전도가 가능한 불연소재로 적용될 수 있으며, 몸체(10)의 상부면에 삽입부(13)를 내포하는 원형의 함몰된 받침결합부(14)에 위치하여 결합되고, 상기 열공급부재(20)에 의해 발생된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열공급부재(20)에서 공급되는 열이 중단된 후에도 상기 열전도링(30)은 열원이 서서히 식게되어 간접적인 보온효과를 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머.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측면에는 사다리꼴 형상의 홈이 관통 형성된 공기유입구(11)와 타측면에는 공기유입구와(11)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공기유출구(12)가 형성되되, 상기 공기유출구(12)는 공기유입구(11)보다 홈의 깊이가 얕게 형성되며, 상기 열공급부재(20)가 용이하게 연소될 수 있도록 외부의 공기는 홈의 깊이가 깊게 형성된 상기 공기유입구(11)로 유입되며, 연소 후 발생되는 열기는 홈의 깊이가 얕게 형성된 공기유출구(12)를 통해 서서히 유출되므로 연소효율이 극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머.
KR20140039304A 2014-04-02 2014-04-02 워머 Expired - Fee Related KR101488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9304A KR101488638B1 (ko) 2014-04-02 2014-04-02 워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9304A KR101488638B1 (ko) 2014-04-02 2014-04-02 워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8638B1 true KR101488638B1 (ko) 2015-02-04

Family

ID=52590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39304A Expired - Fee Related KR101488638B1 (ko) 2014-04-02 2014-04-02 워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86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3129559B3 (de) 2023-10-26 2025-01-23 Denk Keramische Werkstätten e.K. Stövchen und Räucheranordnung mit diesem
KR200499079Y1 (ko) * 2024-09-10 2025-04-22 씨제이프레시웨이 주식회사 음식물 온도 유지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239Y1 (ko) 2001-09-12 2001-12-24 박성효 보온용기
KR200400381Y1 (ko) 2005-08-19 2005-11-03 박주열 탁자일체형 음식물 보온기
KR20100005680U (ko) * 2008-11-26 2010-06-04 김동세 고기보온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239Y1 (ko) 2001-09-12 2001-12-24 박성효 보온용기
KR200400381Y1 (ko) 2005-08-19 2005-11-03 박주열 탁자일체형 음식물 보온기
KR20100005680U (ko) * 2008-11-26 2010-06-04 김동세 고기보온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3129559B3 (de) 2023-10-26 2025-01-23 Denk Keramische Werkstätten e.K. Stövchen und Räucheranordnung mit diesem
KR200499079Y1 (ko) * 2024-09-10 2025-04-22 씨제이프레시웨이 주식회사 음식물 온도 유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83069B (zh) 可控的以炭火为热源的多功能组合炉
JP3194089U (ja) 温灸具
KR101488638B1 (ko) 워머
KR102646745B1 (ko) 보온기능을 가지는 흡착식 식판
KR101269921B1 (ko) 전자렌지용 발열 플레이트
JP3128647U (ja) 多機能鍋
CN204192404U (zh) 一种便携式烧烤炉
CN100554790C (zh) 便携式烹饪装置
CN201468806U (zh) 加热杯
KR200482007Y1 (ko) 조리된 음식물 가열기구
KR101778880B1 (ko) 고효율 구조의 전기로스터
JP3234445U (ja) コーヒー豆等の焙煎用具
KR101472707B1 (ko) 황토 원적외선 방출 기능을 갖는 계란구이기
JP2007322115A (ja) 寝具用温風こたつ
KR20200001085U (ko) 음식물보온장치
KR200485371Y1 (ko) 발열 식탁매트
CN104887021B (zh) 内置式沸水保温托盘
CN202525951U (zh) 一种直火煮食调理器具
KR101478943B1 (ko) 다용도 휴대용 조리기
KR200316857Y1 (ko) 난로겸용 다기세트
JP3080175U (ja) 固形燃料用卓上コンロ
CN204232849U (zh) 一种防烫陶瓷锅
CN104720494B (zh) 餐具电热蓄热保温座装置
KR20180029327A (ko) 이동식 조리기구
CN208243185U (zh) 一种不锈钢蜡烛保温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2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