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88171B1 - 안경용 다리 교환장치 - Google Patents

안경용 다리 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171B1
KR101488171B1 KR20120093710A KR20120093710A KR101488171B1 KR 101488171 B1 KR101488171 B1 KR 101488171B1 KR 20120093710 A KR20120093710 A KR 20120093710A KR 20120093710 A KR20120093710 A KR 20120093710A KR 101488171 B1 KR101488171 B1 KR 101488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lens frame
hinge
patient
leg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120093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7745A (ko
Inventor
전명희
Original Assignee
전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명희 filed Critical 전명희
Priority to KR20120093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171B1/ko
Publication of KR20140027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7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17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6Side-members resilient or with resilient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1Assembling; Repai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02C5/2236Resilient hinges comprising a sliding hinge member and a coil spring
    • G02C5/2245Resilient hinges comprising a sliding hinge member and a coil spring comprising a sliding box containing a sp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프레임에 대하여 다리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어 하나의 안경으로 다양한 디자인을 가지는 안경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한 안경용 다리 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안경의 렌즈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힌지기능을 수행하면서 다리를 착탈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수교환자와, 상기 다리에 형성하여 수교환자와 결합 및 이탈할 수 있게 하는 암교환자로 구성하고;
상기 수교환자는, 렌즈프레임에 형성되는 암힌지와 힌지핀으로 결합되어 렌즈프레임에 대하여 접철될 수 있게 수힌지를 선단에 가지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와 결합되어 다리를 연결하고 다리가 렌즈프레임에 대하여 최대한 외측으로 벌어졌을 때 탄성을 부여하여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가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암교환자는, 다리의 선측 바깥쪽에 암힌지와 연접되어 다리가 렌즈프레임의 외측으로 벌어질 때 지지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버팀편과, 상기 버팀편의 후방으로 수교환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교환자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수교환자홈과, 상기 수교환자홈의 안쪽에 다리를 분리할 때 수교환자의 걸림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걸림홀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안경용 다리 교환장치{TEMPLE EXCHANGE DEVICE FOR GLASSES}
본 발명은 안경용 다리 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을 구성하는 렌즈프레임에 대하여 다리를 교환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다른 질감 또는 색감을 가지는 다리를 교환하여 안경의 미감을 고조시킬 수 있도록 한 다리 교환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안경은 저하된 시력을 보완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것으로서 시력에 적합한 도수로 가공된 렌즈와 상기 렌즈를 장착하기 위한 프레임 및 프레임을 안면부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리로 크게 구성된다.
일반적인 안경의 경우 다리는 프레임에 대하여 내측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안경을 착용하지 않을 때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과 휴대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안경의 대략적인 구성은 렌즈를 장착하는 렌즈프레임의 양측과 중앙에 각각 다리를 연결하기 위한 힌지와 코받침을 결합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안경을 구성하는 렌즈프레임과 힌지, 노즈프레임이 금속 또는 비철금속재질로 구성되는 경우와, 렌즈프레임을 플라스틱(폴리아메이드)재질로 구성되는 것으로 구분된다.
상기와 같이 플라스틱재질로 구성되는 안경의 경우에는 프레임과 노즈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러한 노즈프레임에 코받침을 결합하여 안경착용시 안경을 안정되게 받쳐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프레임타입 안경의 구성을 도 6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렌즈(1)를 장착하기 위한 렌즈프레임(2)이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로 구비되고, 렌즈프레임(2)의 내측부에 노즈프레임(3)이 일체로 또는 용접고정을 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렌즈프레임(2)의 외측부에는 힌지(4)를 이용하여 다리(5)를 접철 가능하게 연결하여 안경(6)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안경은, 프레임타입 안경의 경우에 합성수지재질로 구성할 경우에는 렌즈프레임과 노즈프레임 및 힌지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게 되고, 금속재질로 구성할 경우에는 렌즈프레임에 금속재질의 노즈프레임과 힌지를 용접을 통하여 고정하여 일체형과 같은 형태로 구성하게 된다.
또한, 무테안경의 경우에는 렌즈의 내측과 양측에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노즈프레임과 힌지를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렌즈를 관통시키는 형태로 고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 프레임타입 안경의 경우, 금속, 비철금속 또는 합성수지(플라스틱) 재질에 관계없이 렌즈프레임과 다리를 연결하는 힌지가 항상 일체형을 가지는 형태로 구성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렌즈프레임과 다리를 연결하는 힌지가 렌즈프레임과 다리에 일체로 형성되는 자웅(雌雄)체의 힌지를 결합하여 다리가 렌즈프레임에 대하여 접철되도록 함으로서 안경을 착용할 때에는 다리를 벌려서 펼친상태를 유지하고, 안경을 착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리를 접어서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렌즈프레임과 다리를 힌지를 이용하여 한 번 결합한 후에는 렌즈프레임 또는 다리의 손상이 있을 경우에는 동일한 렌즈프레임과 다리로 교환할 뿐 안경의 디자인적인 변화를 주고자 할 경에는 안경 전체를 새롭게 디자인하여 만들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예를 들어, 렌즈프레임에 대하여 다리를 쉽게 교환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이용자가 필요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다리를 교환하여 렌즈프레임과 다리의 색상을 다르게 매치시켜 구성하거나, 렌즈프레임과 다른 디자인의 다리를 결합하여 매치시킴으로써 자신의 취향에 맞게 안경의 디자인을 가변시키면서 착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렌즈프레임에 대하여 다리의 교환을 자유롭게 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안경의 디자인을 가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안경 전체를 기존에 착용하고 있던 안경과 다른 디자인의 것으로 새로이 구매하여 착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용자들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고 안경의 활용성과 효용성이 크게 높지 못하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안경의 렌즈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힌지기능을 수행하면서 다리를 착탈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수교환자와, 상기 다리에 형성하여 수교환자와 결합 및 이탈할 수 있게 하는 암교환자로 구성하고;
상기 수교환자는, 렌즈프레임에 형성되는 암힌지와 힌지핀으로 결합되어 렌즈프레임에 대하여 접철될 수 있게 수힌지를 선단에 가지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와 결합되어 다리를 연결하고 다리가 렌즈프레임에 대하여 최대한 외측으로 벌어졌을 때 탄성을 부여하여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가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암교환자는, 다리의 선측 바깥쪽에 암힌지와 연접되어 다리가 렌즈프레임의 외측으로 벌어질 때 지지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버팀편과, 상기 버팀편의 후방으로 수교환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교환자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수교환자홈과, 상기 수교환자홈의 안쪽에 다리를 분리할 때 수교환자의 걸림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걸림홀을 포함하여;
렌즈프레임에 대하여 다리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어 하나의 안경으로 다양한 디자인을 가지는 안경을 연출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안경을 구성하는 렌즈프레임에 대하여 다리를 자유롭게 교환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하나의 안경을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다리를 교환하여 여러 종류의 안경을 구비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고, 안경의 디자인적인 가변성을 높여 이용자들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면서도 새로운 형태의 안경을 제공하여 안경의 품질을 높이면서 대외적인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경용 다리 교환장치를 도시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경용 다리 교환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경용 다리 교환장치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경용 다리 교환장치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경용 다리 교환장치의 다리 벌어짐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일반적인 안경을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경용 다리 교환장치를 도시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경용 다리 교환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경용 다리 교환장치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경용 다리 교환장치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경용 다리 교환장치의 다리 벌어짐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안경용 다리 교환장치(100)는, 안경(101)을 구성하는 렌즈프레임(10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힌지기능을 수행하면서 다리(103)를 교환가능하게 착탈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수교환자(105)와, 상기 다리(103)에 형성하여 수교환자(105)와 결합 및 이탈할 수 있도록 하는 암교환자(106)로 구성한다.
상기 수교환자(105)는, 렌즈프레임(102)에 형성되는 암힌지(107)와 힌지핀(108)으로 결합되어 렌즈프레임(102)에 대하여 접철될 수 있도록 수힌지(109)를 선단에 가지는 고정자(110)와, 상기 고정자(110)와 결합되어 다리(103)를 연결하고 다리(103)가 렌즈프레임(102)에 대하여 최대한 외측으로 벌어졌을 때 탄성을 부여하여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가동자(111)로 구성한다.
상기 고정자(110)는, 폭(B)에 비하여 높이(H)가 높고, 높이(H)에 비하여 길이(L)가 긴 직사각 형상의 고정자바디(112)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자바디(112)의 중앙에는 직사각형상의 작동홀(113)을 형성하여 가동자(111)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바바디(112)의 후미 중심에는 슬로트 형상의 작동가이드(114)를 형성하여 결합되는 가동자(111)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동자(111)는, 작동가이드(114) 만큼의 작동면(115)을 후미에 가지고 상기 작동면(115)의 내측부가 작동가이드(114)와 직교 되는 형태로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작동면(115)의 양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한 쌍의 아웃브리지(117)와 인너브리지(118)를 형성하고, 상기 아웃브라지(117)의 선측 에는 인너브리지(118) 방향으로 돌출되게 스프링가이드(119)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스프링가이드(119)와 작동홀(113)의 후미 사이에는 헤드(120)에 유지핀(121)을 돌출시킨 스프링유지구(122)에 스프링(123)을 결합한 복귀자(125)를 개재하여 다리(103)가 렌즈프레임(102)의 외측으로 벌어질 때 스프링(123)이 압축되었다가 벌어짐이 해제되면 원래의 상태로 복귀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인너브리지(118)는 내측 방향(마주보는 다리의 내측 방향)으로 휘어지게 한 탄성부(126)를 형성하고, 상기 탄성부(126)의 선측에는 걸림턱(127)을 형성하여 다리(103)에 형성되는 암교환자(106)와 결합된 상태에서 걸림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암교환자(106)는, 다리(103)의 선측에 바깥쪽에는 렌즈프레임(102)의 암힌지(107)와 연접되어 다리(103)가 렌즈프레임(102)의 외측으로 벌어질 때 지지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버팀편(130)을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버팀편(130)의 후방으로는 수교환자(105)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교환자(105)와 동일한 형상의 수교환자홈(131)을 형성한다.
상기 수교환자홈(131)의 안쪽에는 걸림턱(127)이 걸림 되면서 탄성부(126)가 노출되어 다리(103)를 분리할 때 탄성부(126)를 눌러 걸림턱(127)의 걸림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걸림홀(132)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경용 다리 교환장치(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수교환자(105)에 형성되는 수힌지(109)를 렌즈프레임(102)에 형성되는 암힌지(107)와 힌지핀(108)으로 결합하고, 고정자(110)에 대하여 가동자(111)를 결합하는 데, 이때 고정자바디(112)의 후미 중심에 형성되는 작동가이드(114)에 작동면(115)에 결합되어 서로 직교되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가동자(111)를 구성하는 아웃브리지(117)와 인너브리지(118)는 고정자바디(112)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상태가 되고, 아웃브리지(117)의 선측에 형성되는 스프링가이드(119)는 고정자바디(112)에 형성되는 작동홀(113)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물론, 상기 스프링가이드(119)와 작동홀(113)의 후미 사이에는 복귀자(125)가 결합되어 가동자(111)를 항상 고정자(110)의 전방으로 향하도록 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다리(103)에 형성되는 수교환자홈(131)에 수교환자(105)를 진입시키면, 인너브라지(118)에 일체로 형성되는 탄성부(126)가 걸림홀(132)로 노출되고, 걸림턱(127)은 설림홀(132)의 선측에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렌즈프레임(102)에 대하여 다리(103)가 결합되므로 일반적인 안경(101)을 사용하듯이 착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리(103)를 펼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리(103)를 접어서 부피를 축소시킨 상태에서 보관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렌즈프레임(102)에 대하여 다리(103)를 교환하고자 할 경우에는 수교환자홈(131)의 안쪽에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홈(132)으로 노출된 탄성부(126)를 눌러 걸림턱(127)이 걸림홈(132)과 해제되도록 한 상태에서 다리(103)를 당기면 다리(103)만 렌즈프레임(102)에 고정된 수교환자(105)에 대하여 이탈되므로 새로운 디자인을 가지는 다리(103)로 교환장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안경(101)을 구성하는 렌즈프레임(102)에 대하여 다양한 디자인과 색상을 가지는 다리(103)로 자유롭게 교환할 수 있으므로 안경(101) 전체의 디자인이 자유자재로 가변 되어 하나의 안경(101)을 이용하여 다양한 외관과 미감을 가지는 안경(101)으로 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안경(101)을 착용할 때에는 복귀자(125)에 의하여 렌즈프레임(102)에 대하여 벌어진 다리(103)를 항상 접혀지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게 되므로 다리(103)에 탄성을 부여하여 안정된 상태의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살펴보면, 다리(103)를 일상적으로 접철할 때에는 암힌지(107)와 수힌지(109)의 접철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고, 다리(103)가 암힌지(107)와 이루는 일직선에서 외측으로 더 벌어지게 되면 복귀자(125)의 스프링(123)이 압축되면서 다리(103)를 항상 내측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기 때문에 안경(101)을 착용시 다리(103)가 신체(103)를 가압하게 되므로 착용상태가 흘러내리는 등의 현상이 없게 되는 것이다.
다리(103)가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면, 암교환자(106)의 걸림홀(132)에 걸림된 걸림턱(127)이 다리(103)를 따라 후퇴하게 되는 데, 걸림턱(127)을 형성한 인너브리지(118)가 후퇴하면서 작동면(115)으로 연결된 아웃브리지(117)로 함께 후퇴하게 된다.
그러면, 아웃브리지(117)의 선측에 형성된 스프링가이드(119)와 고정자바디(112)에 형성되는 작동홀(113)의 후미 사이에 개재된 복귀자(125)의 스프링(123)이 압축되어지게 되고, 다리(103)의 선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버팀편(130)은 암힌지(107)의 외측편에 연접되어 스프링(123)이 압축될 수 있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123)이 압축되므로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려는 힘이 다리(103)로 전달되므로 다리(103)는 이용자의 신체를 가압하여 착용상태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스프링(123)이 압축될 때에는, 고정자바디(112)의 후미 중심에 형성한 작동가이드(114)에 가동자(111)의 작동면(115)이 직교하는 형태로 결합 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자(110)에 대하여 가동자(111)가 자연스럽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렌즈프레임에 대하여 다리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어 하나의 안경으로 다양한 디자인을 가지는 안경을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안경용 다리 교환장치(100)의 재질은 금속, 비철금속 또는 합성수지(플라스틱), 목재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기술적인 내용을 토대로 설계변경 또는 치환을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과 목적을 달성할 경우에는 본원의 기술적인 범주를 벗어날 수 없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100; 안경용 다리 교환장치 105; 수교환자
106; 암교환자 110; 고정자
111; 가동자 113; 작동홀
114; 작동가이드 115; 작동면
119; 스프링가이드 123; 스프링
125; 복귀자 127; 걸림턱
130; 버팀편 131; 수교환자홈
132; 걸림홀

Claims (4)

  1. 안경의 렌즈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힌지기능을 수행하면서 다리를 착탈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수교환자와;
    상기 다리에 형성하여 수교환자와 결합 및 이탈할 수 있게 하는 암교환자로 구성하고;
    상기 수교환자는, 렌즈프레임에 형성되는 암힌지와 힌지핀으로 결합되어 렌즈프레임에 대하여 접철될 수 있게 수힌지를 선단에 가지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와 결합되어 다리를 연결하고 다리가 렌즈프레임에 대하여 최대한 외측으로 벌어졌을 때 탄성을 부여하여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가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암교환자는, 다리의 선측 바깥쪽에 암힌지와 연접되어 다리가 렌즈프레임의 외측으로 벌어질 때 지지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버팀편과;
    상기 버팀편의 후방으로 수교환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교환자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수교환자홈과;
    상기 수교환자홈의 안쪽에 다리를 분리할 때 수교환자의 걸림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걸림홀을 포함하여 안경용 다리 교환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고정자는, 직사각 형상으로 구비하는 고정자바디와;
    상기 고정자바디의 중앙에 가동자가 움직일 수 있도록 사각형상으로 형성하는 작동홀과;
    상기 고정자바디의 후미 중심에 슬로트 형상으로 형성하여 가동자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다리 교환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자는, 작동가이드와 직교형태로 결합되도록 후미에 형성하는 작동면과;
    상기 작동면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아웃브리지와 인너브리지;
    상기 아웃브리지의 선측에 인너브리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스프링가이드와;
    상기 스프링가이드와 작동홀의 후미 사이에 다리가 렌즈프레임의 외측으로 벌어질 때 압축되었다가 벌어짐이 해제되면 원래의 상태로 복귀킬 수 있도록 개재하는 복귀자와;
    상기 인너브리지는 내측 방향으로 휘어지게 한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선측에 형성하여 암교환자의 걸림홀과 걸림 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다리 교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자는 헤드에 유지핀을 돌출시킨 스프링유지구에 결합되는 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다리 교환장치.
KR20120093710A 2012-08-27 2012-08-27 안경용 다리 교환장치 Active KR101488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93710A KR101488171B1 (ko) 2012-08-27 2012-08-27 안경용 다리 교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93710A KR101488171B1 (ko) 2012-08-27 2012-08-27 안경용 다리 교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7745A KR20140027745A (ko) 2014-03-07
KR101488171B1 true KR101488171B1 (ko) 2015-02-04

Family

ID=50641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93710A Active KR101488171B1 (ko) 2012-08-27 2012-08-27 안경용 다리 교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817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521Y1 (ko) 2018-05-23 2019-11-25 권수황 무용접 경첩을 갖는 안경다리
KR20200116614A (ko) 2019-04-02 2020-10-13 손진균 합성수지소재와 금속소재 겸용 조립식 안경테
KR20220138239A (ko) 2021-04-05 2022-10-12 주식회사 에이치투씨디자인 유,무테 변환 안경
KR20230091348A (ko) 2021-12-16 2023-06-23 주식회사 에이치투씨디자인 금속안경용 반테장식구
KR20230091292A (ko) 2021-12-16 2023-06-23 주식회사 에이치투씨디자인 금속안경용 온테장식구
KR20230127043A (ko) 2022-02-24 2023-08-31 손진균 금속안경테와 장식안경테의 결합구조
KR20230151604A (ko) 2022-04-26 2023-11-02 손진균 브릿지 조립식 안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63117B2 (en) 2012-08-31 2016-10-11 Oakley, Inc. Eyewear having multiple ventilation states
CN207867173U (zh) * 2014-03-27 2018-09-14 奥克利有限公司 一种护目镜
US10687981B2 (en) 2015-10-09 2020-06-23 Oakley, Inc. Headworn supports with passive venting and removable lens
US9709817B2 (en) 2015-12-07 2017-07-18 Oakley, Inc. Eyewear retention devices and methods
CN209433137U (zh) 2015-12-08 2019-09-24 奥克利有限公司 眼镜牵引装置
US10359642B2 (en) 2016-04-22 2019-07-23 Oakley, Inc. Mounting mechanism for eyewear
KR102510624B1 (ko) * 2022-09-20 2023-03-15 이미진 탈부착 가능한 모듈형 안경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0924U (ja) * 1991-02-08 1992-10-29 手賀精工株式会社 めがね蝶番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0924U (ja) * 1991-02-08 1992-10-29 手賀精工株式会社 めがね蝶番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521Y1 (ko) 2018-05-23 2019-11-25 권수황 무용접 경첩을 갖는 안경다리
KR20200116614A (ko) 2019-04-02 2020-10-13 손진균 합성수지소재와 금속소재 겸용 조립식 안경테
KR20220138239A (ko) 2021-04-05 2022-10-12 주식회사 에이치투씨디자인 유,무테 변환 안경
KR20230091348A (ko) 2021-12-16 2023-06-23 주식회사 에이치투씨디자인 금속안경용 반테장식구
KR20230091292A (ko) 2021-12-16 2023-06-23 주식회사 에이치투씨디자인 금속안경용 온테장식구
KR20230127043A (ko) 2022-02-24 2023-08-31 손진균 금속안경테와 장식안경테의 결합구조
KR20230151604A (ko) 2022-04-26 2023-11-02 손진균 브릿지 조립식 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7745A (ko) 201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8171B1 (ko) 안경용 다리 교환장치
KR101154691B1 (ko) 안경테용 안경다리 결합 구조
KR101468321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JP3202327U (ja) メガネ脚を取り替え可能なブルートゥース(登録商標)メガネ
KR200474716Y1 (ko) 교환이 가능한 안경다리
CN204143083U (zh) 可更换镜片与镜脚的眼镜
CN204314552U (zh) 可便利更换镜片的眼镜
KR20110095622A (ko) 분리형 안경다리
KR200472592Y1 (ko) 안경용 다리 교환장치
KR20110009662U (ko) 안경다리 교환기능을 가진 안경
CN201110915Y (zh) 一种可更换眼镜脚的眼镜
CN205826982U (zh) 快拆式眼镜改良结构
CN203882025U (zh) 一种眼镜换片结构
TWI596397B (zh) Eyeglasses that change lenses
CN205229594U (zh) 可更换镜脚的蓝牙眼镜结构
KR102570372B1 (ko) 안경의 교환식 안경다리
KR101234949B1 (ko) 착탈 가능한 다리프레임을 지니는 안경
KR20140049377A (ko) 안경용 힌지
CN216286045U (zh) 插接式眼镜功能配件
KR101983911B1 (ko) 렌즈교환형 안경
KR20120131957A (ko) 안경다리의 장식부재 결합구조
CN201166744Y (zh) 可更换眼镜脚的眼镜
KR20120004634A (ko) 렌즈테의 교체탈착이 가능한 안경
TWM544019U (zh) 眼鏡
KR101324337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탄성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5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