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88085B1 - 무선 충전 시 자동으로 동작 모드를 변환하는 이동 단말 및 상기 이동 단말을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기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 시 자동으로 동작 모드를 변환하는 이동 단말 및 상기 이동 단말을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085B1
KR101488085B1 KR20130059228A KR20130059228A KR101488085B1 KR 101488085 B1 KR101488085 B1 KR 101488085B1 KR 20130059228 A KR20130059228 A KR 20130059228A KR 20130059228 A KR20130059228 A KR 20130059228A KR 101488085 B1 KR101488085 B1 KR 101488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mode
wireless charger
unit
mobile terminal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9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7940A (ko
Inventor
박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20130059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085B1/ko
Publication of KR20140137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08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무선 충전 시 자동으로 동작 모드를 변환하는 이동 단말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는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충전기를 인식하고, 무선 충전기를 인식함에 반응하여 미리 정해진 설정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의 동작 모드를 무선 충전 중 동작 모드로 자동 변환한다.

Description

무선 충전 시 자동으로 동작 모드를 변환하는 이동 단말 및 상기 이동 단말을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기{MOBILE TERMINAL OF TRANSFORMING OPERATION MODE WHILE WIRELESSLY CHARGED AND WIRELESS CHARGER THEREOF}
아래 실시예들은 이동 단말의 자동 모드 변환을 지원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충전 시 자동으로 동작 모드를 변환하는 이동 단말 및 해당 이동 단말을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 PDA,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이동 단말은 휴대를 위해 일반적으로 배터리를 사용한다. 배터리 충전 방법은 유선 충전과 무선 충전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그 중 유선 충전이 보편화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무선 충전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까지 무선 방식에 의한 에너지 전달 방식은 자기 유도, 자기 공진 및 단파장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원거리 송신 기술 등이 있다.
한편, 이러한 이동 단말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이동 단말은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용자는 현재 자신이 속한 주변 환경에 따라 이동 단말을 상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무소에서 업무를 볼 때 자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차량을 운전할 때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 혹은 집에서 휴식을 취할 때 자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상이할 수 있다.
또는, 이용자는 현재 자신이 속한 주변 환경에 따라 이동 단말의 각종 설정이 적절하게 변경되기를 기대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이동 단말은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충전기를 인식하는 인식부; 무선 충전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충전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충전기를 식별하는 식별부; 및 상기 식별된 무선 충전기에 따라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전용 설정 값을 적용하는 설정 적용부; 및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이동 단말에 설치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식별된 무선 충전기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부는 상기 신호로부터 상기 무선 충전기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추출하는 추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은 복수의 무선 충전기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동작 모드들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복수의 동작 모드들 중 상기 식별된 무선 충전기에 대응되는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저장부에 상기 식별된 무선 충전기에 대응되는 동작 모드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저장부에 상기 식별된 무선 충전기에 대응되는 동작 모드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식별된 무선 충전기에 대응되는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동작 모드를 상기 식별된 무선 충전기에 대응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는 상기 이동 단말에 설치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선택 인터페이스; 및 상기 식별된 무선 충전기에 대응되는 동작 모드에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될 위치를 입력하는 표시 위치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부는 상기 신호로부터 동작 모드와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동작 모드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충전기는 상기 무선 충전기가 설치된 장소에 따른 복수의 대상 단말들의 동작 모드들을 저장하고, 상기 동작 모드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복수의 대상 단말들의 동작 모드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측에 따른 무선 충전기는 무선 충전을 위한 대상 단말을 인식하는 인식부; 및 상기 대상 단말을 충전하기 위한 무선 충전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 단말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대상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정보는 상기 무선 충전기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부는 상기 대상 단말을 충전하기 위한 무선 충전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정보를 상기 무선 충전 신호에 부가하는 부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정보가 부가된 무선 충전 신호를 상기 대상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부는 미리 정해진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설정은 상기 무선 충전기가 설치된 장소에 따른 상기 대상 단말의 상기 동작 모드와 관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정해진 설정은 복수의 대상 단말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단말 설정들을 포함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단말 설정들 중 상기 대상 단말에 대응되는 단말 설정을 추출하는 추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부는 상기 추출된 단말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충전기는 상기 대상 단말에 대응되는 단말 설정이 미리 정해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대상 단말에 대응되는 단말 설정이 미리 정해져 있지 않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무선 충전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 단말에 대응되는 단말 설정을 생성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대상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에 따른 이동 단말은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충전기를 인식하는 인식부; 무선 충전 중 동작 모드와 관련된 미리 정해진 설정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무선 충전기를 인식함에 반응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설정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의 동작 모드를 상기 무선 충전 중 동작 모드로 자동 변환하는 동작 모드 변환부를 포함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자동 모드 변환을 지원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 및 무선 충전기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의 식별자에 따라 자동으로 모드를 변환하는 이동 단말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에 대응되는 단말 설정에 기초하여 생성된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모드를 변환하는 이동 단말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이 자동으로 모드 변환 시 이동 단말에 의해 제공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자동 모드 변환을 지원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은 이동 단말과 무선 충전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동 단말은 무선 충전기와 연동됨으로써 무선 충전 기능을 지원하는 장치로,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 폰, 타블릿 피씨(tablet PC), PD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은 무선 충전기를 통해 무선 충전되는 동안, 통상적인 동작 모드와 구별되는 별도의 동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은 차량에 설치된 크레들에 부착되어 무선 충전이 되는 동안, 미리 설정된 차량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은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충전기를 인식하고, 자동으로 동작 모드를 변환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은 단계(110)에서 통상적인 동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이동 단말은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은 통상적인 동작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의 일반 기능들을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동 단말은 단계(120)에서 무선 충전기를 인식할 수 있다. 이 때, 이동 단말은 무선 충전기를 인식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은 무선 충전기에 의하여 발생되는 무선 충전을 위한 자기장을 감지함으로써 무선 충전기를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은 자기장 자체를 감지하는 대신, 자기장에 의하여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명 방식으로 이동 단말 내부에서 발생된 전류를 감지함으로써 무선 충전기를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은 무선 충전기에 의하여 송신되는 미리 정해진 신호에 기초하여 무선 충전기를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은 무선 충전기에 포함된 이동 단말 지지 수단과의 결합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해당 무선 충전기를 인식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방식들은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할 뿐, 무선 충전기를 인식하는 이동 단말의 구성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차량에 설치된 무선 충전 크레들에 이동 단말이 부착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이동 단말은 무선 충전 크레들에 부착됨에 따라 전술한 다양한 방식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무선 충전 크레들을 인식할 수 있다.
이동 단말은 단계(130)에서, 무선 충전 크레들을 인식함에 반응하여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이동 단말의 동작 모드를 무선 충전 중 동작 모드로 자동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설정은 무선 충전 중 동작 모드와 관련되는 설정으로서, 이동 단말에 포함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은 무선 충전 크레들을 인식하는 경우, 이동 단말의 동작 모드를 차량 모드로 자동 변환할 수 있다. 이동 단말은 차량 모드로 변환되는 경우, 차량 모드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차량 모드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는 이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이러한 설정은 이동 단말에 포함된 메모리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 및 무선 충전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210)은 인식부(211), 수신부(212), 식별부(213), 및 결정부(214)를 포함한다.
인식부(211)는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충전기를 인식할 수 있다. 인식부(211)는 무선 충전기(220)에 의하여 발생되는 무선 충전을 위한 자기장을 감지함으로써 무선 충전기를 인식하거나, 자기장에 의하여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명 방식으로 이동 단말(210) 내부에서 발생된 전류를 감지함으로써 무선 충전기(220)를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인식부(211)는 무선 충전기(220)에 의하여 송신되는 미리 정해진 신호에 기초하여 무선 충전기를 인식하거나, 무선 충전기(220)에 포함된 이동 단말 지지 수단과의 결합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무선 충전기(220)를 인식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방식들은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할 뿐, 인식부(211)의 구성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수신부(212)는 무선 충전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기(220)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 프로토콜은 이동 단말(210)과 무선 충전기(220) 사이에서 무선 충전과 관련된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한 통신 규약으로, 이동 단말(210)과 무선 충전기(220) 사이에서 미리 공유될 수 있다.
식별부(213)는 수신부(212)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무선 충전기(220)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212)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무선 충전기(220)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식별부(213)는 수신부(212)에 의해 수신된 신호로부터 식별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식별자를 이용하여 무선 충전기(220)를 식별할 수 있다.
결정부(214)는 식별된 무선 충전기에 따라 이동 단말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부(214)는 식별된 무선 충전기가 차량 내부에 설치된 무선 충전 크레들인 경우, 이동 단말의 동작 모드를 차량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 결정부(214)는 식별된 무선 충전기가 사무실에 설치된 무선 충전 거치대인 경우, 이동 단말의 동작 모드를 업무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식별된 무선 충전기에 따른 이동 단말의 동작 모드는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이 때, 이동 단말(210)은 복수의 무선 충전기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동작 모드들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결정부(214)는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동작 모드들 중 식별부(213)에 의해 식별된 무선 충전기에 대응되는 동작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이동 단말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동 단말(210)은 결정된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설정을 자동으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210)은 차량 모드로 변환되는 경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기능의 on/off 여부에 관한 설정을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동 단말(210)은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결정부(214)에 의해 결정된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유저 인터페이스는 이동 단말(210)에 설치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식별된 무선 충전기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500)는 네비게이션 앱(510), 지도 앱(520), 전화 앱(530), 메시지 앱(540), 음성 인식 앱(550), 음악 앱(560), 보안 앱(57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500)는 변환된 동작 모드에서 벗어나기 위한 입력 아이콘(580)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물론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500)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이 이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되는 경우 다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500)가 표시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210)은 식별된 무선 충전기에 대응되는 동작 모드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식별된 무선 충전기에 대응되는 동작 모드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이동 단말(210)은 식별된 무선 충전기에 대응되는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설정 인터페이스를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 인터페이스는 식별된 무선 충전기에 대응되는 동작 모드에서 표시될 어플리케이션들을 선택 받고, 선택된 어플리케이션들이 표시될 위치를 입력 받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210)은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네비게이션 앱(510), 지도 앱(520), 전화 앱(530), 메시지 앱(540), 음성 인식 앱(550), 음악 앱(560), 보안 앱(570)을 선택 받고, 해당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이 표시될 위치나 표시될 방식 등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저장부는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동작 모드를 식별된 무선 충전기에 대응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220)는 인식부(221) 및 전송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인식부(221)는 무선 충전을 위한 대상 단말을 인식할 수 있다. 인식부(221)는 무선 충전기(220)에 의하여 발생되는 무선 충전을 위한 자기장이 이동 단말(210)에 의하여 변하는 자기장의 변화를 인식함으로써 이동 단말(210)을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인식부(221)는 RFID 태그 또는 적외선 센서 등 일반적인 근거리 인식 기법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210)을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인식부(221)는 이동 단말(210)에 의하여 송신되는 미리 정해진 신호에 기초하여 무선 충전기를 인식하거나, 무선 충전기(220)에 포함된 이동 단말 지지 수단에 이동 단말(210)이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이동 단말(210)을 인식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방식들은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할 뿐, 인식부(221)의 구성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전송부(222)는 인식부(221)에 의해 인식된 이동 단말(이하, "대상 단말"이라 함)을 충전하기 위한 무선 충전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대상 단말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정보를 대상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 프로토콜은 이동 단말(210)과 무선 충전기(220) 사이에서 무선 충전과 관련된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한 통신 규약으로, 이동 단말(210)과 무선 충전기(220) 사이에서 미리 공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부(222)는 대상 단말을 충전하기 위한 무선 충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 신호는 디지털 신호 또는 아날로그 신호를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신호로서, 예를 들어 무선 충전을 위해 공유되어야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 또는 무선 충전 자체를 위한 자기장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전송부(222)는 대상 단말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 단말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정보는 무선 충전기(220)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전송부(222)는 대상 단말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정보를 무선 충전 신호에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부(222)는 대상 단말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정보를 무선 충전 프로토콜에 기초한 헤더 프레임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는, 전송부(222)는 대상 단말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정보를 자기장을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변조할 수 있다.
전송부(222)는 해당 정보가 부가된 무선 충전 신호를 대상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의 식별자에 따라 자동으로 모드를 변환하는 이동 단말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은 복수의 무선 충전기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동작 모드들을 저장하고, 식별된 무선 충전기에 따라 적합한 동작 모드로 자동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이 차량에 설치된 무선 충전 크레들에 대응되는 제1 동작 모드, 사무실에 설치된 무선 충전 플레이트에 대응되는 제2 동작 모드, 및 집에 설치된 무선 충전 거치대에 대응되는 제3 동작 모드를 저장한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이동 단말은 단계(310)에서 무선 충전이 가능한 거리 내 위치하는 무선 충전기를 인식할 수 있다. 이동 단말은 단계(320)에서 인식된 무선 충전기로부터 전송된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무선 충전기는 고유의 식별자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 설치된 무선 충전 크레들은 제1 식별자를 전송하고, 사무실에 설치된 무선 충전 플레이트는 제2 식별자를 전송하며, 집에 설치된 무선 충전 거치대는 제3 식별자를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은 단계(330)에서 수신된 식별자를 이용하여 무선 충전기를 식별하고, 단계(340)에서 식별된 무선 충전기에 따라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은 식별된 무선 충전기가 집에 설치된 무선 충전 거치대라는 판단에 따라, 이동 단말의 동작 모드를 제3 동작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은 식별된 무선 충전기가 차량에 설치된 무선 충전 크레들이라는 판단에 따라, 이동 단말의 동작 모드를 제1 동작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이동 단말은 결정된 동작 모드로 이동 단말의 동작 모드를 자동 변환할 수 있다. 이 때, 이동 단말은 각각의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은 단계(350)에서 결정된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각 단계들에는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기술된 사항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에 대응되는 단말 설정에 기초하여 생성된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모드를 변환하는 이동 단말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기는 복수의 이동 단말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단말 설정들을 저장하고, 식별된 이동 단말에 적합한 단말 설정을 이용하여 해당 이동 단말의 동작 모드 변경을 위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단말 설정들은 해당 무선 충전기가 설치된 장소에 따른 대상 단말들 각각의 동작 모드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기가 이용자 A의 스마트폰에 대응되는 제1 단말 설정, 이용자 A의 타블릿 피씨에 대응되는 제2 단말 설정, 및 이용자 B의 노트북에 대응되는 제3 단말 설정을 저장한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무선 충전기는 단계(410)에서 무선 충전이 가능한 거리 내 위치하는 이동 단말을 인식할 수 있다. 이 때, 이동 단말은 무선 충전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을 식별하는 정보를 무선 충전기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충전기는 단계(420)에서 인식된 이동 단말에 대응되는 단말 설정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기는 인식된 이동 단말이 이용자 A의 스마트폰이라는 판단에 따라, 미리 저장된 복수의 단말 설정들 중 제1 단말 설정을 추출할 수 있다. 또는, 무선 충전기는 인식된 이동 단말이 이용자 B의 노트북이라는 판단에 따라, 미리 저장된 복수의 단말 설정들 중 제3 단말 설정을 추출할 수 있다.
무선 충전기는 단계(430)에서 추출된 단말 설정에 기초하여 인식된 이동 단말의 동작 모드 변경을 위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무선 충전기는 단계(440)에서 해당 정보를 이동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무선 충전기는 무선 충전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이동 단말은 단계(450)에서 무선 충전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로부터 이동 단말의 동작 모드와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이동 단말은 단계(460)에서 결정된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이동 단말은 결정된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무선 충전 프로토콜을 통해 무선 충전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6)

  1.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충전기를 인식하는 인식부;
    무선 충전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충전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충전기를 식별하는 식별부;
    적어도 하나의 무선 충전기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 모드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상기 식별된 무선 충전기에 대응되는 동작 모드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저장부에 상기 식별된 무선 충전기에 대응되는 동작 모드가 저장되어 있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 모드 중 상기 식별된 무선 충전기에 대응되는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결정부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전용 설정 값을 적용하는 설정 적용부; 및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이동 단말에 설치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식별된 무선 충전기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상기 신호로부터 상기 무선 충전기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추출하는 추출부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상기 식별된 무선 충전기에 대응되는 동작 모드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식별된 무선 충전기에 대응되는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설정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동작 모드를 상기 식별된 무선 충전기에 대응되도록 저장하는 이동 단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는
    상기 이동 단말에 설치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선택 인터페이스; 및
    상기 식별된 무선 충전기에 대응되는 동작 모드에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될 위치를 입력하는 표시 위치 입력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상기 신호로부터 동작 모드와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동작 모드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이동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기는 상기 무선 충전기가 설치된 장소에 따른 복수의 대상 단말들의 동작 모드들을 저장하고, 상기 동작 모드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복수의 대상 단말들의 동작 모드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10. 무선 충전기에 있어서,
    무선 충전을 위한 대상 단말을 인식하고, 무선 충전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 단말로부터 상기 대상 단말을 식별하는 제1 정보를 수신하는 인식부; 및
    상기 무선 충전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 단말의 동작 모드와 관련된 제2 정보를 상기 대상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 단말의 동작 모드와 관련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무선 충전기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복수의 단말 설정들 중 상기 대상 단말에 대응하는 단말 설정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무선 충전기.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대상 단말을 충전하기 위한 무선 충전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대상 단말의 동작 모드와 관련된 제2 정보를 상기 무선 충전 신호에 부가하는 부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제2 정보가 부가된 무선 충전 신호를 상기 대상 단말로 전송하는 무선 충전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대상 단말을 식별하는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충전기에 대응하여 상기 미리 저장된 복수의 단말 설정들 중 상기 대상 단말에 대응하는 단말 설정을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단말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단말의 동작 모드와 관련된 제2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기.
  14. 삭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단말에 대응되는 단말 설정이 미리 정해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대상 단말에 대응되는 단말 설정이 미리 정해져 있지 않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무선 충전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 단말에 대응되는 단말 설정을 생성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대상 단말로 전송하는 무선 충전기.
  16. 삭제
KR20130059228A 2013-05-24 2013-05-24 무선 충전 시 자동으로 동작 모드를 변환하는 이동 단말 및 상기 이동 단말을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기 Active KR101488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9228A KR101488085B1 (ko) 2013-05-24 2013-05-24 무선 충전 시 자동으로 동작 모드를 변환하는 이동 단말 및 상기 이동 단말을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9228A KR101488085B1 (ko) 2013-05-24 2013-05-24 무선 충전 시 자동으로 동작 모드를 변환하는 이동 단말 및 상기 이동 단말을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940A KR20140137940A (ko) 2014-12-03
KR101488085B1 true KR101488085B1 (ko) 2015-01-29

Family

ID=52457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9228A Active KR101488085B1 (ko) 2013-05-24 2013-05-24 무선 충전 시 자동으로 동작 모드를 변환하는 이동 단말 및 상기 이동 단말을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80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656B1 (ko) * 2016-11-01 2024-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663717B1 (ko) 2019-09-03 2024-05-07 상라오 신위안 웨동 테크놀러지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태양 전지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0084A (ko) * 2011-04-22 2012-11-01 아이볼타(주)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상기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120128315A (ko) * 2011-05-17 2012-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0084A (ko) * 2011-04-22 2012-11-01 아이볼타(주)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상기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120128315A (ko) * 2011-05-17 2012-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940A (ko) 201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6781B1 (ko) 요청 정보에 따른 장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102128751B1 (ko) 무선 충전 운영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전자 장치
US9699602B2 (en) Peripheral apparatus, server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location of portable apparatus
EP2804429A1 (en)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unit via magnetic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method
KR102049075B1 (ko) 전자장치에서 무선충전 패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186547B1 (ko) 선택 가능한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EP2706726A2 (en)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application
KR20150139170A (ko) 위치 관련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80035243A (ko) 가상 현실 어플리케이션
JP2014187857A (ja) 位置検証機能付き無線充電システム
EP28336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a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a user device
US11088742B2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beamfor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971697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connections with plurality of user terminals in system
CN111784335A (zh) 模拟卡管理方法、模拟卡管理装置、存储介质与电子设备
CN105320616B (zh) 外部设备控制方法及装置
US20140172561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esent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US10455492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4681025A (zh) 利用语音识别的命令执行系统及其工作方法
CN108432160B (zh) 在无线通信系统中基于声音信号发送和接收数据的设备和方法
CN105721670A (zh) 一种nfc操作功能的自动启动方法及装置
CN108575103A (zh) 无线电力传输设备和无线充电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488085B1 (ko) 무선 충전 시 자동으로 동작 모드를 변환하는 이동 단말 및 상기 이동 단말을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기
KR20120097007A (ko) 전자기기에서 다양한 무선 연결의 페어링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20940A (ko) 외부 전자 장치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54462A (ko)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