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87562B1 -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중계 방법 - Google Patents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중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562B1
KR101487562B1 KR20090010020A KR20090010020A KR101487562B1 KR 101487562 B1 KR101487562 B1 KR 101487562B1 KR 20090010020 A KR20090010020 A KR 20090010020A KR 20090010020 A KR20090010020 A KR 20090010020A KR 101487562 B1 KR101487562 B1 KR 101487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plink
subframe
base st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090010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3405A (ko
Inventor
서한별
권영현
정재훈
김병훈
윤영우
이대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3/128,539 priority Critical patent/US9271277B2/en
Priority to PCT/KR2009/006383 priority patent/WO2010056006A2/en
Publication of KR20100053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3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562B1/ko
Priority to US14/615,236 priority patent/US9414369B2/en
Priority to US15/203,560 priority patent/US10313092B2/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204Multiple access
    • H04B7/212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TDD(Time Division Duplex)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중계 방법을 제공한다. 중계국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중계한다. 중계국을 위한 자원 할당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Figure R1020090010020
무선통신, 중계, 중계국, TDD

Description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중계 방법{METHOD FOR RELAY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TDD}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TDD(Time Division Duplex)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이 데이터를 중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크게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과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FDD 방식에 의하면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차지하면서 이루어진다. TDD 방식에 의하면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같은 주파수 대역을 차지하면서 서로 다른 시간에 이루어진다. TDD 방식의 채널 응답은 실질적으로 상호적(reciprocal)이다. 이는 주어진 주파수 영역에서 하향링크 채널 응답과 상향링크 채널 응답이 거의 동일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채널 응답은 상향링크 채널 응답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DD 방식은 전체 주파수 대역을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시분할되므로 기지국(Base Station, BS)에 의한 하향링크 전송과 단말(Mobile Station, MS) 에 의한 상향링크 전송이 동시에 수행될 수 없다.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구분되는 TDD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에서 수행된다.
최근에 중계국(Relay Station, RS)을 포함한 무선통신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중계국은 셀 커버리지를 확장시키고 전송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기지국이 기지국의 커버리지 경계에 위치한 단말을 중계국을 통해 서비스함으로써 셀 커버리지를 확장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중계국이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서 신호의 전송 신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전송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단말이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있되, 음영 지역에 위치한 경우에 중계국을 이용할 수도 있다.
중계국은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과 동시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어렵고, 반대로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과 동시에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가 어렵다. 이는 자기 간섭(self-interference)의 영향으로, 중계국의 송신단에서 나온 신호가 중계국이 원래 수신받아야 할 신호에 간섭으로 작용하여 신호를 왜곡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은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F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보다 시간 영역에서의 자원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 더구나,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 중계국이 도입될 경우 중계국에도 무선자원의 할당이 필요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계국은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의 수신과 단말로 데이터의 전송(또는 기지국으로 데이터의 전송과 단말로부터 데이터의 수신)을 동시에 수행하지 못하므로 TDD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의 효율성이 더욱 떨어질 수 있다.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이 효율적으로 데이터 중계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중계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을 이용하되,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중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에 사용하는 자원과 상기 단말이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에 사용하는 자원이 서로 중복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을 이용하되,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는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을 제공한다. 상기 중계국은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송수신기(transceiver), 및 상기 송수신기에 연결되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단말로 중계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서브프레임 단위로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이루어지는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을 위한 추가적인 자원 할당 없이 데이터 중계가 가능하다. 따라서, 자원 할당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의 동작을 위한 자원 할당이 제안된다.
WCDMA(Wideband CDMA)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화 기구에 의한 UTRAN(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CDMA2000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 기반한 무선 기술이다. 3GPP2(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 표준화 기구에 의한 HRPD(High Rate Packet Data)는 CDMA2000 기반 시스템에서 높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eHRPD(evolved HRPD)는 HRPD의 진화이다.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N(Evolved-UTRAN)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N를 사 용하는 E-UMTS(Evolved-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LTE의 진화이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3GPP LTE/LTE-A를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1;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11)은 특정한 지리적 영역(일반적으로 셀이라고 함)(15a, 15b, 15c)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은 다시 다수의 영역(섹터라고 함)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하나의 기지국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할 수 있다.
단말(12; Mobile Station, MS)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UE(User Equipment),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AT(Access Terminal)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11)은 일반적으로 단말(12)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N(Access Network)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 DL)는 기지국에서 단말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 UL)는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전송기는 기지국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 에서 전송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의 일부분일 수 있다.
도 2는 중계국을 이용한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상향링크 전송에서 소스국(source station)은 단말이고, 목적국(destination station)은 기지국일 수 있다. 하향링크 전송에서 소스국은 기지국이고, 목적국은 단말일 수 있다. 중계국(relay station)은 단말일 수도 있고, 별도의 중계기가 배치될 수 있다. 기지국은 중계국과 단말 간의 연결성(connectivity), 관리(management), 제어 및 자원 할당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목적국(20)은 중계국(25)을 통해 소스국(30)과 통신한다. 상향링크 전송에서, 소스국(30)은 상향링크 데이터를 목적국(20)과 중계국(25)으로 보내고, 중계국(25)은 수신한 데이터를 재전송한다. 목적국(20)은 또한 중계국(26, 27)을 통해 소스국(31)과 통신한다. 상향링크 전송에서, 소스국(31)은 상향링크 데이터를 목적국(20)과 중계국(26, 27)으로 보내고, 중계국(26, 27)은 수신한 데이터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재전송한다.
하나의 목적국(20), 3개의 중계국(25, 26, 27) 및 2개의 소스국(30, 31)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는 제한이 아니다. 무선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목적국, 중계국 및 소스국의 수는 제한이 없다.
중계국에서 사용하는 중계 방식으로 AF(amplify and forward) 및 DF(decode and forward) 등 어떠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3GPP LTE 시스템에서 TDD 무선 프레임(radio frame) 구조를 나타낸 다. 이는 3GPP TS 36.211 V8.2.0 (2008-03)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Release 8)"의 4.2절을 참조할 수 있다.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10 ms의 길이를 가지며 5 ms의 길이를 가지는 두 개의 반프레임(half-frame)으로 구성된다. 또한 하나의 반프레임은 1 ms의 길이를 가지는 5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UL subframe), 하향링크 서브프레임(DL subframe), 특수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 중 어느 하나로 지정된다.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적어도 하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특수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에서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를 분리시키는 특정 주기(period)이다. 하나의 무선 프레임에는 적어도 하나의 특수 서브프레임이 존재하며, 특수 서브프레임은 DwPTS(Downlink Pilot Time Slot), GP(Guard Period), UpPTS(Uplink Pilot Time Slot)를 포함한다. DwPTS는 초기 셀 탐색, 동기화 또는 채널 추정에 사용된다. UpPTS는 기지국에서의 채널 추정과 단말의 상향 전송 동기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 GP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에 하향링크 신호의 다중경로 지연으로 인해 상향링크에서 생기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보호구간이다.
표 1은 3GPP LTE TDD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배치에 따른 설정 가능한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D'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U'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S'는 특수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07672847-pat00001
구성 0~2는 5 ms의 스위칭 포인트 주기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바뀌는 구성이고, 구성 3~6은 10 ms의 스위칭 포인트 주기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바뀌는 구성이다.
도 4는 상기 표 1의 구성(Uplink-downlink Configuration) 1에서 기지국-중계국-단말 사이의 데이터 중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단계 S110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2에서 중계국은 단말이 전송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S120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3에서 중계국은 기지국으로 상기 데이터를 중계한다. 이때 중계국은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고, 따라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3은 단말의 입장에서 공백 서브프레임(blank subframe)이 된다. 공백 서브프레임이란 어떠한 데이터의 수신 및 송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서브프레임을 말한다. 기지국(또는 중계국)은 단말에게 어떠한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하지 않는 방법으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를 공백 서브프레임을 지정할 수 있다. 또는 중계국이 단말에게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아무런 전송을 하지 않을 것임을 미리 알리는 방법으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를 공백 서브프레임을 지정할 수 있다. 단말이 공백 서브프레임을 가진 때, 중계국은 단말의 간섭 없이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단계 S130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4에서 중계국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중계국은 중계국에 연결된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고,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4은 단말의 입장에서 공백 서브프레임이 된다.
구성 1은 스위칭 포인트 주기가 5 ms이므로 서브프레임 #5~#9는 서브프레임 #0~#4가 반복된 형태이다. 따라서 단계 S140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7에서 중계국은 단말이 전송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S150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8에서 중계국은 기지국으로 상기 데이터를 중계하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8은 단말의 입장에서 공백 서브프레임이 된다. 단계 S160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9에서 중계국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9는 단말의 입장에서 공백 서브프레임이 된다.
공백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중계국과 기지국이 데이터를 전송 또는 수신할 경우 효율성의 측면에서 문제점을 가진다. 공백 서브프레임에서 어떠한 데이터의 송신이나 수신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단말이 공백 서브프레임을 가질 때 단말은 어떠한 데이터의 송신이나 수신을 하지 않는 대기 상태가 된다. 이는 전송 지연을 초래하거나 전송 용량을 떨어뜨릴 수 있다. 또한, 공백 서브프레임의 구성은 자주 바뀌기 어려우므로 기지국-중계국 사이의 트래픽 변화에 민첩하게 대처하지 못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중계 방법을 나타낸다. 자원 할당을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제안된 구조에서는 교환(swapped) 서브프레임을 도입한다. 교환 서브프레임은 원래의 TDD 구성에서 기지국이 단말에게 상향링크 전송에 사용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지정되고 있으나, 동적 할당 또는 정적 할당을 통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를 지정하여 기지국이 중계국으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데 사용하는 서브프레임을 말한다. 교환 서브프레임은 그 일부 또는 전부가 기지국이 중계국으로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 교환 서브프레임은 원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용도가 교환되는 점에서 교환 서브프레임이라고 하며, 훔친(stolen) 서브프레임이라고도 할 수 있다.
단계 S210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2에서 중계국은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중계국은 단말들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으며, 이는 중계국이 단말들에게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하지 않음으로써 구현이 가능하다.
단계 S220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3에서 중계국은 원래의 구성대로 단말들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와 동시에 중계국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도 수신한다. 이때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교환 서브프레임이 된다. 교환 서브프레임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3에서 중계국은 단말 및 기지국으로부터 동시에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수신되는 단말의 데이터와 기지국의 데이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는 서로 다른 자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4에서 중계국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단말에게 중계한다.
마찬가지로, 단계 S240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7에서 중계국은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단계 S250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8은 교환 서브프레임이 되고, 중계국은 단말들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S260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9에서 중계국은 단말에게 하향링크 데이터를 중계한다.
상기와 같이 교환 서브프레임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중계국은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 하향링크 데이터는 다음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단말로 중계된다. 따라서, 공백 서브프레임을 특별히 지정할 필요가 없고 자원 할당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공백 서브프레임으로 인한 전송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3과 #8을 교환 서브프레임으로 사용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제한이 아니다. 교환 서브프레임으로 사용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위치나 개수는 고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교환 서브프레임으로 교환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위치나 개수는 기지국과 중계국 간에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또는, 교환 서브프레임으로 교환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관한 정보는 기지국이 중계국에게 알려줄 수 있다. 기지국은 RRC 메시지, L1/L2 시그널링, 시스템 정보의 일부로써 상기 교환 서브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중계국에게 알려줄 수 있다.
도 6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의 전송을 나타낸다. 기지국(50)은 제1 단말(52)에 제1 데이터를 전송하고, 중계국(51)은 제2단말(53)에 제2 데이터를 중계한다.
도 7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의 전송의 일 예를 나타낸다. 기지국(60)은 제1단말(62)로부터 전송된 제1 데이터를 수신한다. 중계국(61)은 기지국(60)으로 제2 데이터를 중계한다. 이때 제2 단말(63)이 중계국(61)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금지된다. 이는 기지국(60)(또는 중계국(61))이 해당하는 서브프레임에서 제2 단말(63)에게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하지 않는 방법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한편, 중계국(61)이 전송하는 데이터와 제1 단말(62)이 전송하는 데이터는 서로 다른 자원,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주파수, 서로 다른 코드 및 서로 다른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의 전송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기지국(70)은 제1 단말(72)로부터 제1 데이터를 수신한다. 중계국(71)은 제2 단말(73)로부터 전송된 제2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9는 교환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의 전송을 나타낸다. 중계국(81)은 제2 단말(83)로부터 전송된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시에, 기지국(80)으로부터 전송되는 제2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제2 단말(83)은 기지국(80)이 중계국(81)으로 제2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된 자원과 중복되지 않는 자원(예를 들어, 시분할, 코드분할, 주파수분할 등)을 이용하여 제1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80)은 제1 단말(82)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 이는 기지국(80)이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제1 단말(82)에게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하지 않는 방법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교환 서브프레임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기지국은 교환 서브프레임에서 중계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자신의 전송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지국의 전송 전력이 단말의 전송전력보다 매우 크기 때문에 전송 전력 조절이 없는 경우에는 기지국의 전송 전력으로 인하여 중계국으로 전송되는 단말의 데이터가 심한 간섭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0은 구성 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중계 방법을 나타낸다. 단계 S310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2에서 중계국은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중계국은 단말들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으며, 이는 중계국이 단말들에게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하지 않음으로써 구현이 가능하다.
단계 S320에서, 교환 서브프레임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3에서 중계국은 단말들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와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는 서로 다른 자원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4에서 중계국은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S340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7에서 중계국은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단계 S350에서, 교환 서브프레임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8에서 중계국은 단말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시에,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도 수신한다. 단계 S360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9에서 중계국은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11은 구성 2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중계 방법을 나타낸다. 단계 S410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2에서 중계국은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중계국은 단말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으며, 이는 중계국이 단말에게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하지 않음으로써 구현이 가능하다.
단계 S420에서, 교환 서브프레임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7에서 중계국은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와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는 서로 다른 자원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도 12는 구성 3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중계 방법을 나타낸다. 단계 S510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2에서 중계국은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중계국은 단말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으며, 이는 중계국이 단말들에게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하지 않음으로써 구현이 가능하다.
단계 S520에서, 교환 서브프레임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3에서 중계국은 단말들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와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는 서로 다른 자원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단계 S530에서, 교환 서브프레임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4에서 중계국은 단말들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는 하나의 무선 프레임에 2개의 교환 서브프레임들이 연속하여 존재할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도 13은 구성 4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중계 방법을 나타낸다. 단계 S610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2에서 중계국은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중계국은 단말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으며, 이는 중계국이 단말들에게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하지 않음으로써 구현이 가능하다.
단계 S620에서, 교환 서브프레임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3에서 중계국은 단말들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와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는 서로 다른 자원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도 14는 구성 5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중계 방법을 나타낸다. 단계 S710에서, 교환 서브프레임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2에서 중계국은 단말들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와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는 서로 다른 자원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구성 5는 상향링크 전송 기회가 다른 구성보다 적기 때문에, 이전 또는 다음 무선 프레임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교환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하는 것을 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5는 구성 6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중계 방법을 나타낸다. 단계 S810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2에서 중계국은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S820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4에서 중계국은 기지국으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중계한다. 단계 S830에서, 교환 서브프레임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4에서 중계국은 단말들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국의 블록도이다. 중계국(900)은 송수신기(910; transceiver)와 프로세서(920; processor)로 구성된다. 송수신기(910)는 기지국(또는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또한 단말(또는 기지국)로 상기 데이터를 중계한다. 프로세서(920)는 송수신기(9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데이터 중계 방법은 프로세서(9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디자인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다른 전자 유닛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메모리 유닛이나 프로세서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중계국을 이용한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3은 3GPP LTE 시스템에서 TDD 무선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상기 표 1의 구성 1에서 기지국-중계국-단말 사이의 데이터 중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중계 방법을 나타낸다.
도 6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의 전송을 나타낸다.
도 7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의 전송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의 전송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교환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의 전송을 나타낸다.
도 10은 구성 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중계 방법을 나타낸다.
도 11은 구성 2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중계 방법을 나타낸다.
도 12는 구성 3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중계 방법을 나타낸다.
도 13은 구성 4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중계 방법을 나타낸다.
도 14는 구성 5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중계 방법을 나타낸 다.
도 15는 구성 6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중계 방법을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국의 블록도이다.

Claims (9)

  1.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을 이용하되,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 대한 제1 기지국의 데이터 중계 방법에 있어서,
    제1 기지국에서 제2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기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특정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제2 기지국이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에 사용하는 자원과 상기 단말이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에 사용하는 자원이 서로 중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이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가 수신되는 상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가 수신되는 상기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복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프레임은 10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프레임은 다음 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성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중계 방법. 여기서 'D'는 하향링크 서브프 레임, 'U'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S'는 특수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07672847-pat00002
  9.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을 이용하되,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는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 대한 중계국에 있어서,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송수신기(transceiver); 및
    상기 송수신기에 연결되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단말로 중계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제1 기지국에서 제2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기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특정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국.
KR20090010020A 2008-11-11 2009-02-09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중계 방법 Active KR101487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128,539 US9271277B2 (en) 2008-11-11 2009-11-02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TDD
PCT/KR2009/006383 WO2010056006A2 (en) 2008-11-11 2009-11-02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tdd
US14/615,236 US9414369B2 (en) 2008-11-11 2015-02-05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TDD
US15/203,560 US10313092B2 (en) 2008-11-11 2016-07-06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TD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322908P 2008-11-11 2008-11-11
US61/113,229 2008-1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405A KR20100053405A (ko) 2010-05-20
KR101487562B1 true KR101487562B1 (ko) 2015-01-30

Family

ID=42278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10020A Active KR101487562B1 (ko) 2008-11-11 2009-02-09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중계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9271277B2 (ko)
KR (1) KR101487562B1 (ko)
WO (1) WO201005600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562B1 (ko) * 2008-11-11 2015-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중계 방법
WO2010129295A1 (en) * 2009-04-28 2010-11-11 Zte U.S.A., Inc.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adjustment of downlink/uplink allocation ratio in lte/tdd systems
WO2012020990A2 (ko) * 2010-08-10 2012-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7104767B (zh) * 2011-03-11 2020-06-26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设置动态子帧的方法及其设备
JP5931171B2 (ja) * 2011-03-24 2016-06-08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信号送受信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WO2012144822A2 (en) * 2011-04-19 2012-10-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supports a relay node
KR101851240B1 (ko) 2011-05-23 2018-04-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동적 시분할 복식 데이터 채널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143984B2 (en) * 2012-04-13 2015-09-22 Intel Corporation Mapping of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2013251860A (ja) 2012-06-04 2013-12-12 Ntt Docomo Inc 通信制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及びユーザ端末
KR101925912B1 (ko) * 2016-12-19 2018-12-0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패킷 처리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43745A1 (en) * 1999-05-21 2005-11-03 Stanwood Kenneth L Adaptive time division duplex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70031173A (ko) * 2005-09-14 2007-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홉 릴레이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다중 링크를 지원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47363C (en) * 1996-12-27 2003-01-28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Call admission control method and mobile station device for cdma mobil e communication system
FR2834421B1 (fr) * 2001-12-28 2004-03-19 Wavecom Sa Procede de transmission de donnees dans un reseau de communication cellulaire, systeme, terminal et station de base
US8014264B2 (en) 2004-05-01 2011-09-06 Neocific,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with time-division duplexing
SE0402321D0 (sv) * 2004-09-23 2004-09-23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031583B2 (en) * 2005-03-30 2011-10-04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round trip latency and overhead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070058595A1 (en) * 2005-03-30 2007-03-1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round trip latency and overhead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070104223A1 (en) * 2005-11-04 2007-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ultiple links by grouping multiple hops in a multi-hop relay cellular network
US8014338B2 (en) * 2006-04-19 2011-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y servic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8923267B2 (en) 2006-06-30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high speed peer-to-peer connectivity between wireless devices
WO2008008013A1 (en) * 2006-07-12 2008-01-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reduction
US8160006B2 (en) * 2006-08-14 2012-04-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lay servic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JP4805751B2 (ja) * 2006-08-18 2011-11-02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100961746B1 (ko) * 2006-10-02 2010-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자원할당 장치 및 방법
WO2008049028A1 (en) * 2006-10-17 2008-04-24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artition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signals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networks
JP4671982B2 (ja) * 2007-01-09 2011-04-2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送信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KR20080092222A (ko) * 2007-04-11 2008-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Tdd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US8503375B2 (en) * 2007-08-13 2013-08-06 Qualcomm Incorporated Coding and multiplexing of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72465B2 (en) 2007-11-02 2013-06-25 China Academy Of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Method and an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radio frame structure of time division duplex system
JP5721443B2 (ja) * 2008-03-16 2015-05-20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harq実行方法
KR100905385B1 (ko) * 2008-03-16 2009-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의 효율적인 전송방법
CN101978636B (zh) * 2008-03-17 2013-10-16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harq的方法
US8724636B2 (en) * 2008-03-31 2014-05-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of reliably sending control signal
US8494572B2 (en) * 2008-06-24 2013-07-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of first data transmission in random access procedure of FDMA communication system
US8730853B2 (en) * 2008-09-05 2014-05-20 Mediatek Inc. Methods for responding to co-located coexistence (CLC) request from a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s apparatuses capable of controlling multi-radio coexistence
US8971241B2 (en) * 2008-09-30 2015-03-03 Qualcol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upporting relay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10062050A2 (ko) * 2008-11-01 2010-06-03 (주)엘지전자 다중 홉 중계 시스템에서의 무선 자원 할당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
US8606289B2 (en) * 2008-11-10 2013-12-10 Qualcomm Incorporated Power headroom-sensitive scheduling
KR101487562B1 (ko) * 2008-11-11 2015-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중계 방법
KR100956828B1 (ko) * 2008-11-13 2010-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半)-지속적 스케줄링의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US8341481B2 (en) * 2009-02-19 2012-1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erform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operation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1071329A2 (ko) * 2009-12-10 2011-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간 간섭을 저감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43745A1 (en) * 1999-05-21 2005-11-03 Stanwood Kenneth L Adaptive time division duplex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70031173A (ko) * 2005-09-14 2007-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홉 릴레이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다중 링크를 지원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15753A1 (en) 2016-10-27
KR20100053405A (ko) 2010-05-20
US9414369B2 (en) 2016-08-09
US9271277B2 (en) 2016-02-23
US20150156765A1 (en) 2015-06-04
WO2010056006A3 (en) 2010-07-29
US20110228709A1 (en) 2011-09-22
WO2010056006A2 (en) 2010-05-20
US10313092B2 (en) 201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7562B1 (ko)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중계 방법
KR101539777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백홀 신호 전송 방법
KR101527977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의 동작 방법
KR101719995B1 (ko) 릴레이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서 백홀 링크의 기준신호 할당 방법 및 이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470654B1 (ko)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중계 방법
KR101527975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중계 방법
US8681723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backhaul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relay station
US89237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cheduling reques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00082291A (ko)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중계 방법
US88734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a relay communication system
KR10197346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백홀 링크 서브프레임 구조 및 그 정보 전송 방법
WO2010061053A1 (en) Relay node backhauling
JP5634585B2 (ja) 中継局装置、受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KR20170072158A (ko) 반송파 중합 시분할 통신 시스템에서의 구성 반송파 운용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12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2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