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593B1 - Microwave oven having hood - Google Patents
Microwave oven having ho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6593B1 KR101486593B1 KR20090014514A KR20090014514A KR101486593B1 KR 101486593 B1 KR101486593 B1 KR 101486593B1 KR 20090014514 A KR20090014514 A KR 20090014514A KR 20090014514 A KR20090014514 A KR 20090014514A KR 101486593 B1 KR101486593 B1 KR 1014865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od
- casing
- hood casing
- filter
- microwave ove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41 respir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F24C15/2092—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extendable or pivotable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H05B6/6423—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wherein the microwave oven air circulation system is also used as air extracting h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후드가 후드케이싱의 내외부로 출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후드케이싱의 주흡기구 및 후드에 구비되는 보조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다수개의 필터에 의하여 제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후드케이싱의 흡기구 및 상기 후드케이싱의 내외부로 출납되는 후드의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제거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후드기능이 수행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od-use microwav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od is installed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hood casing, and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main air inlet port of the hood casing and the auxiliary air inlet port provided in the hood are removed by the plurality of filters.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take port of the hood casing and the intake port of the hood inserted into and out of the hood casing are removed, thereby performing a more efficient hood function.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후드케이싱, 후드, 흡기구, 필터 Hood combined microwave oven, hood casing, hood, inlet, filt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후드의 출납을 위한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조리물을 가열하는 조리기기이다. 이와 같은 전자레인지 중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에는, 주방에서의 조리물의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의 배출을 위한 후드기능이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후드겸용 전자레인지는, 그 하방에 설치되는 조리기기에서 조리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그 내부로 흡입한다. 그리고 상기 후드겸용 전자레인지는, 그 내부로 흡입된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거나 정화하여 실내로 배출한다.A microwave oven is a cooking appliance that uses a microwave to heat a food. The microwave oven combined with the hood of the microwave oven is provided with a hood function for discharging air containing contaminants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of the food in the kitchen. More specifically, the hood-use microwave oven sucks air containing contaminants generated in the course of cooking food in a cooking device installed below the hood. In addition, the hood-use microwave oven exhausts or purifies air containing contaminants sucked into the hood to the outside, and discharges the air to the room.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효율적으로 후드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후드겸용 전자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od-use microwave oven configured to perform a hood function more efficiently.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후드겸용 전자레인지는, 하방에 설치되는 조리기기에서의 조리물의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의 배출을 위한 후드기능이 구비되는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조리실이 구비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에서의 조리물의 조리를 위한 적어도 1개의 가열원; 상기 캐비티의 하부에 장착되고,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구가 구비되는 후드케이싱; 상기 후드케이싱의 내외부로 출납가능하게 설치되고,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구가 구비되는 후드; 상기 후드케이싱의 흡기구 및 상기 후드의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후드케이싱의 흡기구 및 상기 후드의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필터; 및 상기 후드가 상기 후드케이싱의 외부로 인출 또는 상기 후드케이싱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후드케이싱의 흡기구 및 상기 후드의 흡기구 또는 상기 후드케이싱의 흡기구를 통하여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팬; 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ood for discharging air containing contaminants generated during cooking of food in a cooking device provided below the hood, A hood-use microwave oven comprising: a cavity provided with a cooking cavity; At least one heating source for cooking the food in the cooking chamber; A hood casing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cavity and having an inlet port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contaminants is sucked; A hood which is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hood casing so as to be able to receive the air, and has an air inlet for sucking air containing pollutants; A filter installed on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of the hood casing and the suction port of the hood flows to remov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of the hood casing and the suction port of the hood; And a driving force for sucking air containing contaminants through the inlet port of the hood casing and the inlet port of the hood or the inlet port of the hood casing in a state in which the hood is drawn out of the hood casing or housed inside the hood casing, ;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후드겸용 전자레인지는, 하방에 설치되는 조리기기에서의 조리물의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의 배출을 위한 후드기능이 구비되는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조리실이 구비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에서의 조리물의 조리를 위한 적어도 1개의 가열원; 상기 캐비티의 하부에 장착되고,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는 주흡기구가 구비되는 후드케이싱; 상기 주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주필터; 상기 후드케이싱의 내외부로 출납가능하게 설치되고,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는 보조흡기구가 구비되는 후드; 상기 보조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후드가 상기 후드케이싱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만 상기 보조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 상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보조필터; 및 상기 후드가 상기 후드케이싱의 외부로 인출 또는 상기 후드케이싱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주흡기구 및 보조흡기구 또는 상기 주흡기구를 통하여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팬; 을 포함한다.A microwave oven combined with a ho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crowave oven having a hood for discharging air containing contaminants generated during cooking of food in a cooking device provided below, A cavity provided with a cooking chamber; At least one heating source for cooking the food in the cooking chamber; A hood casing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cavity and having a main intake port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contaminants is sucked; A main filter for removing foreign matter contained in air sucked through the main intake port; A hood provided in the hood casing so as to be able to be inserted into and out of the hood casing and provided with an auxiliary intake port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contaminants is sucked; Wherein the auxiliary air inlet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od casing so that the air containing the contaminants sucked through the auxiliary air inlets can be selectively The auxiliary filter being located at a first position; And a fan for supplying a driving force for sucking air containing contaminants through the main intake port and the auxiliary intake port or the main intake port while the hood is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hood casing or housed inside the hood casing. .
본 발명에 의하면, 후드케이싱의 흡기구 및 상기 후드케이싱의 내외부로 출납되는 후드의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제거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후드기능이 수행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more efficient hood function can be performed by removing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take port of the hood casing and the intake port of the hood inserted into and out of the hood casing.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제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a microwave oven combined with a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제1실시예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설치브라켓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프론트패널을 보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블럭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embodiment of a hood-use microwav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a front panel constitut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주방의 일측에는 조리기기(1)가 설치된다. 도 1에는, 상기 조리기기(1)가 주방에 구비되는 가구의 상면에 설치되어 가스를 사용하여 조리물을 가열하는 가스레인지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조리기기(1)는, 전기를 사용하여 조리물을 가열하는 전기홉이나, 가스오븐레인지가 될 수도 있다.Referring first to Fig. 1, a
그리고 상기 조리기기(1)의 상방에는 후드겸용 전자레인지(10)(이하에서는 '전자레인지'라 칭함)가 설치된다. 상기 전자레인지(10)에는 마이크로웨이브 또는/및 히터열을 사용하여 조리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조리기능 이외에 상기 조리기기(1)에서 조리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실외 또는 정화하여 실내로 배출하는 후드기능이 구비된다. 상기 전자레인지(10)의 조리기능 및 조리기능을 위한 각종 부품은 이미 널리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 hood-use microwave oven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icrowave oven) is provided above the
상기 전자레인지(10)에는 조리물이 조리되는 조리실(미도시)을 형성하는 캐비티(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전자레인지(10)에는,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도어(11) 및 상기 전자레인지(10)의 동작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고 동작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컨트롤패널(13)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레 인지(10)에는 상기 조리실에서의 조리물의 조리를 위한 가열원, 예를 들면, 고주파가열원 또는/및 복사가열원 또는/및 대류가열원이 구비된다.The
또한 상기 전자레인지(10)의 내부에는 후드기능을 위한 유로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자레인지(10)의 내부에는 후술할 주흡기구(113) 또는 주흡기구(113) 및 후술할 보조흡기구(211)를 통하여 흡입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실외배출유로(미도시) 및 이를 정화하여 실내로 배출하기 위한 실내배출유로(미도시)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실내배출유로 상에는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미도시)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상기 실외배출유로, 실내배출유로 및 필터는, 일반적인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a flow path for a hood function is provided in the
그리고 상기 전자레인지(10)의 전면 상단에는 토출그릴(15)이 구비된다. 상기 토출그릴(15)은 상기 실내배출유로를 유동하고 상기 필터에 의하여 정화된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실내로 배출되는 출구역할을 한다.A
그리고 상기 전자레인지(10)의 내부에는 밴트팬(300)(도 5참조)이 구비된다. 상기 밴트팬(300)은 주흡기구(113) 또는 주흡기구(113) 및 보조흡기구(211)를 통하여 흡입되어 상기 실외배출유로 또는 실내배출유로를 유동하여 실외 또는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한다. A vent fan 300 (see FIG. 5) is provided inside the
한편 상기 전자레인지(10)의 하부에는 후드 기능을 위한 후드케이싱(100) 및 후드(200)가 구비된다.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상기 전자레인지(10)의 저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후드(200)는 상기 전자레인지(10)의 전후방으로 슬라이딩하 여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내외부로 출납가능하게 설치된다.Meanwhile, a
보다 상세하게는,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후드케이싱(100)은 대략 상면이 개구되는 납작한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드케이싱(100)이 상기 전자레인지(10)과 동일한 횡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후드케이싱(100)은 상기 전자레인지(10)와 별개로 형성되어 상기 전자레인지(10)의 하부에 장착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후드케이싱(100)은 상기 전자레인지(10)의 양측면 일부 및 저면 외관을 형성한다.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2, the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전면에는 출납개구(111)가 형성된다. 상기 출납개구(111)는 상기 후드(200)가 출납되는 입구역할을 한다. 상기 출납개구(111)는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전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In the front face of the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바닥면에는 주흡기구(113)가 구비된다. 상기 주흡기구(113)는 상기 조리기기(1)에서 조리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역할을 한다. 상기 주흡기구(113)는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바닥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드케이싱(100)이 상기 전자레인지(10)의 하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주흡기구(113)는 상기 실외배출유로 및 실내배출유로와 연통된다.A
상기 주흡기구(113)의 양측에 해당하는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바닥면에는 각각 조명개구(115)가 구비된다. 상기 조명개구(115)는 조명을 위하여 램프(400)(도 5참조)의 빛을 하방, 즉 상기 조리기기(1)를 향하여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An illumination opening 115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주흡기구(113) 상에는 주필터(117)가 설치된다. 상기 주필터(117)는 상기 주흡기구(113)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A
한편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바닥면에 2개의 설치브라켓(120)이 설치된다. 상기 설치브라켓(120)은 후술할 구동모터(130), 주동기어 및 제1 내지 제3종동기어(140)(150)(160)의 설치를 위한 것이다. 상기 설치브라켓(120)은,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양측면과 상기 주흡기구(113)의 양측단부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바닥면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설치브라켓(120)은 브라켓본체(121), 모터설치리브(123), 구획리브(125), 축지지리브(127) 및 제1 및 제2스위치설치리브(128)(129)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wo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브라켓본체(121)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플레이트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본체(121)는, 그 저면이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바닥면에 밀착된다. More specifically, the
상기 모터설치리브(123)는 상대적으로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측면에 인접하는 상기 브라켓본체(121)의 일측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모터설치리브(123)에는 구동모터(13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설치브라켓(120) 중 도 2에서 도면상 우측의 설치브라켓(120)에만 상기 모터설치리브(123)가 구비된다. 이는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모터(130)가 1개로 구성되기 때문이다.The motor mounting rib 123 extends upward from one end of the
그리고 상기 구획리브(125)는 상기 모터설치리브(123)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브라켓본체(121)의 타측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구획리브(125)는 상기 주흡기구(113) 및 보조흡기구(211)를 통하여 흡입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과 구동모터(130) 등이 설치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구획리브(125)는, 그 후단이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획리브(125)의 상단은,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상기 전자레인지(10)의 하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의 저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획리브(125)가 상기 설치브라켓(120)에 일체로 성형되지만, 상기 구획리브(125)가 반드시 상기 설치브라켓(120)과 일체로 성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구획리브(125)는 상기 설치브라켓(120)과 별개로 성형되어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구획리브(125)가 상기 설치브라켓(120)과 별개로 성형되는 경우에는, 상기 구획리브(125)는 상기 주흡기구(113) 및 설치브라켓(120)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바닥면에 전후방으로 길게 설치될 것이다.The
상기 구획리브(125)에는 가이드슬롯(123A) 및 축관통개구(123B)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롯(123A)은 상기 구획리브(125)의 일부가 전후방으로 소정의 길이 및 높이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롯(123A)은 상기 전자레인지(10)의 전후방으로 슬라이딩하는 상기 후드(20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이드슬롯(123A)에는,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내부로 수납된 상기 후드(200)의 바닥면이 삽입된다. 상기 축관통개구(123B)는 후술할 축(170)이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축관통개구(123B)는 상기 가이드슬롯(123A)의 후단으로부터 소 정의 거리만큼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구획리브(125)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The
상기 축지지리브(127)는 상기 구획리브(125)의 반대편, 즉 상기 모터설치리브(123)가 구비되는 상기 브라켓본체(121)의 일측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축지지리브(127)는 상기 축관통개구(123B)와 좌우로 중첩되게 위치된다. 상기 축지지리브(127)에는 축(170)의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The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설치리브(128)(129)는 후술할 제1 및 제2스위치(180)(190)가 각각 설치되는 곳이다. 상기 제1스위치설치리브(128)는, 각각 상기 축지지리브(127)에 인접하는 상기 구획리브(125)의 상단에서 상기 축지지리브(127)를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2스위치설치리브(129)는 상기 구획리브(125)의 후단부 상단에서 상기 제1스위치설치리브(128)와 동일한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된다.The first and second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설치브라켓(12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모터설치리브(123)에는 구동모터(130)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130)는 상기 후드(200)의 슬라이딩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구동모터(130)로는 양방향으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그 어떠한 모터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설치브라켓(120) 중 도 2에서 도면상 우측의 설치브라켓(120)에만 상기 구동모터(130)가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구동모터(130)가 상기 설치브라켓(120) 모두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130)가 상기 설치브라켓(120)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설치브라켓(120)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모터설치리브(123)가 삭제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2 again, a driving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후드(200)가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전자레인지(10)의 전방으로 슬라이딩하는 경우의 상기 구동모터(130)의 구동방향을 정방향, 그 반대의 경우의 상기 구동모터(130)의 구동방향을 역방향이라 칭한다. Hereinafter,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driving
한편 상기 구동모터(130)의 구동력은 적어도 1개의 주동기어(미도시) 및 제1 내지 제3종동기어(140)(150)(160)에 의하여 상기 후드(200)에 전달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주동기어는 상기 구동모터(130)의 구동축(미도시)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종동기어(140)는, 도 2에서 도면상 우측의 상기 설치브라켓(120)에 구비되는 상기 모터설치리브(12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주동기어에 기어결합된다. 상기 제2 및 제3종동기어(150)(160)는 상기 축관통개구(123B)를 관통하는 상기 축(170)의 양단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종동기어(150)는 상기 제1종동기어(140)와 기어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2종동기어(150)는, 도 2에서 도면상 우측의 상기 설치브라켓(120)에 구비되는 상기 축지지리브(127)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축(170)의 일단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3종동기어(160)(도 6 및 도 7 참조)는, 도 2에서 도면상 좌측의 상기 설치브라켓(120)에 구비되는 상기 축지지리브(127)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축(170)의 일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주동기어 및 제1종동기어(140)는 상기 구동모터(13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130)가 1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주동기어 및 제1종동기어(140)도 1개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구동모 터(130)가 2개로 구성되어 상기 설치브라켓(120)에 각각 설치되는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여 상기 주동기어 및 제1종동기어(140)도 2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130)가 1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및 제3종동기어(150)(160)가 각각 1개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구동모터(130)가 2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종동기어(150)는 2개로 구성되고, 실질적으로 상기 제3종동기어(160)는 삭제된다.Meanwhile,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또한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설치리브(128)(129)에는 제1 및 제2스위치(180)(19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스위치(180)는,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내부에 수납된 상기 후드(200)가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외부로 완전하게 인출되면, 온동작되어 상기 구동모터(130)를 정지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스위치(190)는,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외부로 인출된 상기 후드(200)가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내부로 완전하게 수납되면, 온동작되어 상기 구동모터(130)를 정지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킨다.Also, first and
한편 상기 후드(200)는, 대략 상기 출납개구(111)에 대응하는 종단면을 가지고 후면이 개구되는 납작한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후드(200)는 상기 전자레인지(10)의 전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출납개구(111)를 통하여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내외부로 출납된다. 또한 상기 후드(200)는, 그 상하면이 상기 후드(200)가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주흡기구(113)와 상하로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후드(200)가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후드(200)의 상하면의 후단은 상기 주흡 기구(113)의 전방에 위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후드(200)의 바닥면은, 상기 후드(200)의 출납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슬롯(123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슬롯(123A)을 따라서 이동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후드(200)의 바닥면에는 보조흡기구(211)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흡기구(211)는 상기 후드(200)가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조리기기(1)에서 조리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역할을 한다. 상기 보조흡기구(211)는, 상기 후드(200)의 바닥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An
또한 상기 보조흡기구(211) 상에는 보조필터(213)가 설치된다. 상기 보조필터(213)는, 상기 주필터(117)와 동일하게, 상기 보조흡기구(211)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An
그리고 상기 후드(200)에는 2개의 구획바아(220)가 구비된다. 상기 구획바아(220)는, 상기 후드(200)가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흡기구(211)를 통하여 흡입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상기 구동모터(130) 등이 설치되는 공간으로 유동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획바아(220)는, 상기 후드(200)의 내부공간의 종단면에 대응하는 종단면 및 전후방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바아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구획바아(220)의 길이는, 상기 후드(200)가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구획리브(125)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고,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내부로의 상기 후드(200)의 수납을 간섭하지 않는 범위에서 결정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구획바 아(220)의 길이는, 적어도 상기 후드(200)의 길이 초과 및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길이 이하의 범위에서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바아(220)는, 상기 설치브라켓(120)의 내부, 즉 상기 모터설치리브(123) 및 축지지리브(127)와 상기 구획리브(125) 사이에 위치된다.In the
또한 상기 구획바아(220)의 후단에는 구동돌기(221)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돌기(221)는 상기 후드(200)의 출납에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180)(190)를 온동작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구동돌기(221)는,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내부에 수납된 상기 후드(200)가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외부로 완전하게 인출되면, 상기 제1스위치(180)를 온동작시킨다. 그리고 상기 구동돌기(221)는,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외부로 인출된 상기 후드(200)가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내부로 완전하게 수납되면, 상기 제2스위치(190)를 온동작시킨다.A
상기 구획바아(220)에는 각각 랙(230)이 설치된다. 상기 랙(230)은 상기 제2종동기어(150)와 각각 기어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130)가 구동하면, 상기 구동모터(130)의 구동력이 상기 주동기어, 제1 내지 제3종동기어(140)(150)(160) 및 랙(230)에 의하여 상기 후드(200)에 전달된다.Each of the partitioning bars 220 is provided with a
한편 상기 후드(200)의 전면에는 프론트패널(240)이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패널(240)은 실질적으로 상기 후드(200)의 전면을 형성한다. 상기 프론트패널(240)은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전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후드(200)가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패널(240)의 이면은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전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240)의 하단에는 라운딩부(241)가 구비된다. 상기 라운딩부(241)는 상기 프론트패널(240)의 하단 일부가 소정의 곡률로 만곡짐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라운딩부(241)는, 상기 후드(200)가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프론트패널(240)의 모서리에 부딪히는 현상의 방지 및 상기 조리기기(1)의 동작을 확인하기 위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front surface of th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프론트패널(240)에는 4개의 조작버튼(233)(235)(237)(239)이 구비된다. 상기 조작버튼(233)(235)(237)(239)은, 후드인출버튼(233), 후드수납버튼(235), 밴트팬구동/정지버튼(237) 및 조명버튼(239)을 포함한다. 4 and 5, the
상기 후드인출버튼(233)은,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외부로의 상기 후드(200)의 인출을 개시하는 조작신호 및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외부로의 상기 후드(200)의 인출을 정지시키는 조작신호를 입력받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후드(200)가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 즉 상기 구동모터(13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후드인출버튼(233)이 조작되면, 상기 구동모터(13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후드(200)가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외부로 인출된다. 그리고 상기 후드(200)가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외부로 인출되는 과정, 즉 상기 구동모터(130)가 정방향으로 구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후드인출버튼(233)이 조작되면, 상기 구동모터(130)가 정지되어 상기 후드(200)가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외부로 소정의 거리만틈 인출된 상태에서 정지된다.The hood extraction button 233 is used to output an operation signal for starting the extraction of the
그리고 상기 후드수납버튼(235)은,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내부로의 상기 후드(200)의 수납을 개시하는 조작신호 및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내부로의 상기 후드(200)의 수납을 정지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후드(200)가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 즉 상기 구동모터(13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후드수납버튼(235)이 조작되면, 상기 구동모터(13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후드(200)가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내부로 수납된다. 그리고 상기 후드(200)가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내부로 수납되는 과정, 즉 상기 구동모터(130)가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후드수납버튼(235)이 조작되면, 상기 구동모터(130)가 정지되어 상기 후드(200)가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내부로 소정의 거리만틈 수납된 상태에서 정지된다.The hood storing button 235 is operated by an operation signal for starting the storage of the
상기 밴트팬구동/정지버튼(237)은, 상기 밴트팬(300)의 구동 및 정지를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는다. 따라서 상기 밴트팬(300)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밴트팬구동/정지버튼(237)이 조작되면, 상기 밴트팬(300)이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밴트팬(300)이 구동하는 상태에서 상기 밴트팬구동/정지버튼(237)이 조작되면, 상기 밴트팬(300)이 정지된다.The vent fan drive / stop button 237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for driving and stopping the
또한 상기 조명버튼(239)은 상기 램프(400)의 온동작 및 오프동작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는다. 다시 말하면, 상기 램프(400)가 오프동작된 상태에서 상기 조명버튼(239)이 조작되면, 상기 램프(400)가 온동작된다. 그리고 상기 램프(400)가 온동작된 상태에서 상기 조명버튼(239)이 조작되면, 상기 램프(400)가 오프동작된다.Also, the illumination button 239 receives operation signals for the on and off operations of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후드인출버튼(233), 후드수납버튼(235), 밴트팬구동/ 정지버튼(237) 및 조명버튼(239)이 모두 상기 프론트패널(240)에 구비되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론트패널(240)에는 상기 후드인출버튼(233) 및 후드수납버튼(235)만 구비되거나, 상기 후드인출버튼(233), 후드수납버튼(235) 및 밴트팬구동/정지버튼(237)만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후드인출버튼(233), 후드수납버튼(235), 밴트팬구동/정지버튼(237) 및 조명버튼(239)이 모두 상기 전자레인지(10)의 컨트롤부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In this embodiment, both the hood extraction button 233, the hood storage button 235, the bant fan driving / stop button 237, and the illumination button 239 are provided on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제1실시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microwave oven combined with th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제1실시예에서 후드의 출납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이다.6 and 7 are operational state diagrams showing the process of inserting and removing the hoo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microwave oven combined with th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후드인출버튼(233)을 조작하면, 구동모터(130)가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130)에 결합된 주종기어, 제1 내지 제3종동기어(140)(150)(16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및 제3종동기어(150)(160)에 결합된 랙(230)이 전자레인지(10)의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랙(230)이 상기 전자레인지(10)의 전방으로 이동하면, 후드(200)가 후드케이싱(100)에 대하여 상기 전자레인지(10)의 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외부로 인출되기 시작한다. 6, when the user operates the hood release button 233, the driving
상기 구동모터(130)의 정방향으로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후드(200)가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외부로 완전하게 인출되면, 구동돌기(221)가 제1스위치(180)를 온동작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1스위치(180)가 상기 구동모터(130)의 정방향으로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발생시켜서 상기 구동모터(130)가 정지된다.When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밴트팬구동/정지버튼(237)을 조작하면, 밴트팬(300)이 구동하여 주흡기구(113) 및 보조흡기구(211)를 통하여 조리기기(1)에서 조리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상기 전자레인지(10)의 내부로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레인지(1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는 실외배출유로를 유동하여 실외로 배출되거나 실내배출유로를 유동하면서 필터에 의하여 오염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토출그릴(15)을 통하여 실내로 배출된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ventilation fan driving / stop button 237 in this state, the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조리기기(1)에서 조리물의 조리가 완료되거나, 상기 조리기기(1)에서 조리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의 배출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사용자는 상기 밴트팬구동/정지버튼(237)을 조작한다. 따라서 상기 밴트팬(300)의 구동이 정지된다.Next, referring to FIG. 7,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charge of the air containing the pollutant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ooking of the food in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후드수납버튼(235)을 조작하면, 상기 구동모터(130)가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후드(200)가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내부로 수납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상기 후드(200)가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내부로 완전하게 수납되면, 상기 구동돌기(221)가 제2스위치(190)를 온동작시킨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130)의 역방향으로의 구동이 정지된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operates the hood storing button 235, the driving
한편 사용자는, 상기 후드(200)의 인출과정에서 상기 후드(200)가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외부로 완전하게 인출되기 전 또는 상기 후드(200)의 수납과정에서 상기 후드(200)가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내부로 완전하게 수납되기 전이라도, 상기 후드(200)가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외부로 충분하게 인출 또는 수납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후드인출버튼(233) 또는 후드수납버튼(235)을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후드(200)가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외부로 인출 또는 수납되는 과정에서 상기 후드인출버튼(233) 또는 상기 후드수납버튼(235)을 조작하면, 상기 구동모터(13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의 구동이 정지된다. 따라서 상기 후드(200)는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외부로 소정의 거리만큼만 인출된 상태 또는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내부로 소정의 거리만큼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밴트팬구동/정지버튼(237)을 조작하여 상기 밴트팬(300)을 구동시킴으로써 후드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The user may be aware that the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기 후드(200)가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도, 후드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후드(200)가 상기 후드케이싱(10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밴트팬구동/정지버튼(237)을 조작하면, 상기 밴트팬(30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주흡기구(213)를 통해서만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된다.Also,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hood function can be performed even when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a microwave oven combined with a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plan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elem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전자레인지(10)(도 1참조)의 하부에는 후드 기능을 위한 후드케이싱(500) 및 후드(600)가 구비된다.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상기 전자레인지(10)의 저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후드(600)는 상기 전자레인지(10)의 전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내외부로 출납가능하게 설치된다.Referring to FIGS. 8 and 9, a hood casing 500 and a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후드케이싱(500)은 대략 상면이 개구되는 납작한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후드케이싱(500)은 상기 전자레인지(10)와 별개로 형성되어 상기 전자레인지(10)의 하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전면에는, 상기 후드(600)가 출납되는 입구역할을 하는 출납개구(511)가 형성된다. More specifically, the hood casing 5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flat hexahedron having an open top surface. The hood casing 500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바닥면에는 주흡기구(51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주흡기구(513)의 일측에 해당하는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바닥면에는, 조명을 위한 램프(미도시)의 빛이 조리기기(1)(도 1 참조)로 조사되는 조명개구(51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주흡기구(513) 상에는 상기 주흡기구(513)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주필터(517)가 설치된다. A main air inlet 513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od casing 500. A light of a lamp (not shown) for lighting is incident on a bottom surface of the hood casing 500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main air inlet 513 through an illumination opening (not shown) irradiated with the
그리고 상기 조명개구(515)의 전방에 해당하는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바닥면에는 에어베리어(519)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베리어(519)는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내부를 유동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상기 램프와 접촉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An air barrier 519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od casing 500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the illumination opening 515. The air barrier 519 serves to prevent air containing contaminants flowing inside the hood casing 500 from contacting the lamp.
한편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내부에는 2개의 제1가이드바아(520)가 구비된다. 상기 제1가이드바아(520)는 후술할 제1레일(711)의 고정을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바아(520)는 상기 주흡기구(513) 및 보조흡기구(611)를 통하여 흡입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상기 실외배출유로 또는 실내배출유로로 유동되도록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후방을 향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two first guide bars 520 are provided in the hood casing 500. The first guide bar 520 is for fixing the first rail 711 to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guide bar 520 is disposed in the hood casing 500 so that air containing contaminants sucked through the main inlet port 513 and the auxiliary inlet port 611 flows into the outdoor discharge passage or the indoor discharge passage. As shown in Fig.
상기 제1가이드바아(520)의 전단은 상기 후드(600)가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후드(600)의 후단에 인접되고, 상기 제1가이드바아(520)의 후단은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후면에 밀착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바아(520)의 상단은,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상기 전자레인지(10)의 하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의 저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ront end of the first guide bar 520 is adjacent to the rear end of the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내부에는 설치브라켓(530)이 구비된다. 상기 설치브라켓(530)은 후술할 래치모듈(720)의 설치를 위한 것이다. 상기 설치브라켓(530)은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좌우를 이등분하는 선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설치브라켓(530)은 상기 주흡기구(513)를 가로지르게 된다. 다만, 상기 설치브라켓(530)은, 상기 후드(600)의 출납을 간섭하지 않도록 위치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설치브라켓(530)이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내부에 수납된 상기 후드(600)의 하방에 위치된다. 그러나 상기 설치브라켓(530)의 전단이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내부에 수납된 상기 후드(600)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A mounting bracket 530 is provided inside the hood casing 500. The mounting bracket 530 is for installing a latch module 720 to be described later. The mounting bracket 530 is positioned on a line bisect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od casing 500. Therefore, the mounting bracket 530 substantially crosses the main air inlet 513. However, the mounting bracket 530 is position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eceipt and payment of the
그리고 상기 후드(600)는, 대략 상기 출납개구(511)에 대응하는 종단면을 가지고 후면이 개구되는 납작한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후드(600)는 상기 전자레인지(10)의 전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출납개구(511)를 통하여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내외부로 출납된다. 또한 상기 후드(600)는, 그 상하면이 상기 후드(600)가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주흡기구(513)와 상하로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후드(600)가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후드(600)의 상하면의 후단은 상기 주흡기구(513)의 전방에 위치되는 것이다. The
상기 후드(600)의 바닥면에는 보조흡기구(611)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흡기구(611)는 상기 후드(600)가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조리기기(1)에서 조리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역할을 한다. 상기 보조흡기구(611)는, 상기 후드(600)의 바닥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후드(600)가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내부에 완전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흡기구(611)가 상기 주흡기구(513)와 상하로 완전하게 중첩되도록 위치된다. 실질적으로는, 상기 보조흡기구(611)는, 상기 주흡기구(513)의 영역 내에 위치된다.An auxiliary intake port 611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보조흡기구(611) 상에는 보조필터(613)가 설치된다. 상기 보조필터(613)는, 상기 주필터(517)와 동일하게, 상기 보조흡기구(611)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An auxiliary filter 613 is provided on the auxiliary intake port 611. Like the main filter 517, the auxiliary filter 613 serves to remov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auxiliary suction port 611.
그리고 상기 후드(600)에는 2개의 제2가이드바아(620)가 구비된다. 상기 제2가이드바아(620)는, 상기 후드(600)가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흡기구(611)를 통하여 흡입되는 오염물질을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내부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바아(620)에는 후술할 제2레일(712)이 고정된다. 상기 제2가이드바아(620)는, 상기 후드(600)의 내부공간의 종단면에 대응하는 종단면 및 전후방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바아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바아(620)의 일면은 상기 제1가이드바아(520)의 일면과 각각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가이드바아(620)는 각각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측면과 상기 제1가이드바아(520)의 사이에 각각 위치된다. 상기 제2가이드바아(620)의 길이는,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내부로의 상기 후드(600)의 수납을 간섭하지 않는 범위에서 결정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가이드바아(620)의 길이는, 적어도 상기 후드(600)의 길이 초과 및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길이 이하의 범위에서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The hood (600) is provided with two second guide bars (620). The
또한 상기 후드(600)의 후면에는 설치리브(630)가 구비된다. 상기 설치리브(630)는 상기 후드(600)의 후면을 좌우로 이등분하는 선상에 위치된다. 상기 설치리브(630)에는 후술할 래치돌기(730)가 고정된다.Further, a mounting rib 630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한편 상기 후드(600)의 전면에는 프론트패널(640)이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패널(640)은 실질적으로 상기 후드(600)의 전면을 형성한다. 상기 프론트패널(640)은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전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후드(600)가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패널(640)의 이면은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전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패널(640)의 하단에는 경사부(631)가 구비된다. 상기 경사부(631)는 상기 프론트패널(640)의 하단 일부가 후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하향경사지게 연장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631)는, 상기 후드(600)가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프론트패널(640)의 모서리에 부 딪히는 현상의 방지 및 상기 조리기기(1)의 동작을 확인하기 위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front surface of the
그리고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내외부로의 상기 후드(600)의 출납을 안내하기 위하여 2개의 레일어셈블리(710)가 구비된다. 상기 레일어셈블리(710)는 제1 내지 제3레일(711)(712)(71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레일(711)(712)은,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바아(520)(620)의 일면에 각각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3레일(713)은 상기 제1 및 제2레일(711)(712)에 대하여 각각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다.Two
한편 상기 후드(600)가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후드(600)가 임의로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외부로 인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잠금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잠금장치는, 래치모듈(720) 및 래치돌기(730)를 포함한다.A locking device is provided to prevent the
상기 래치모듈(720)은, 상기 설치브라켓(530)의 상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모듈(720)에는, 상기 래치돌기(730)가 삽입되는 래치슬롯(811) 및 상기 래치슬롯(811)을 통하여 삽입되는 상기 래치돌기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래치후크(미도시)가 구비된다. The latch module 72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bracket 530. The latch module 720 is provided with a
그리고 상기 래치돌기(730)는 상기 설치리브(630)의 후면에 설치된다. 상기 래치돌기(730)는, 상기 후드(600)가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내부에 수납되면, 상기 래치슬롯(811)을 통하여 상기 래치모듈(7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래치후크와 맞물린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후드(600)가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후드(600)가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내부로 수납되는 방향으로의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래치돌기(730)가 상기 래치슬롯(811)을 관통하여 상기 래치모듈(7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래치후크와 맞물린다. 그리고 상기 래치돌기(730)가 상기 래치후크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후드(600)가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내부로 수납되는 방향으로의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래치돌기(730)가 상기 래치후크로부터 탈거되어 상기 래치슬롯(811)을 통하여 상기 래치모듈(720)의 외부로 인출된다.The latch protrusion 730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unting rib 630. The latch protrusion 730 is inserted into the latch module 720 through the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래치돌기(730)가 상기 래치후크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 상기 후드(600)가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판스프링(740)이 구비된다. 상기 판스프링(740)의 전단부는 상기 후드(60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740)은 상기 후드케이싱(500)에 구비되는 스프링홀더(75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751)에 소정의 길이만큼 감겨진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740)이 상기 롤러(751)에 감겨지는 길이는, 상기 후드(600)가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외부로 인출되는 거리 이상의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래치돌기(730)가 상기 래치후크로부터 탈거되면, 상기 판스프링(740)이 상기 롤러(751)로부터 풀어짐으로써 상기 후드(600)가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외부로 인출된다.9, in order that the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바닥면에는 2개의 댐퍼(760)가 설치된다. 상기 댐퍼(760)는, 상기 판스프링(74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후드(600)가 상기 후드케이싱(500)의 외부로 고속으로 인출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댐퍼(760)의 구성은, 종래에 널리 공기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wo dampers (760) ar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od casing (500). The damper 760 prevents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제3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third embodiment of a hood-use microwav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제3실시예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Fig. 1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portion of a third embodiment of a hood-use microwav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elements as those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described in detail.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후드케이싱(810)에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는 주흡기구(81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후드케이싱(810)의 내외부로 후드(910)가 출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후드케이싱(810)의 내외부로 상기 후드(910)를 출납시키기 위한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후드(910)에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보조흡기구(911)가 구비된다. Referring to FIG.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그리고 상기 주흡기구(811) 및 보조흡기구(911) 상에는 각각 주필터(813) 및 제1보조필터(913)가 구비된다. 상기 주필터(813) 및 제1보조필터(913)는, 각각 상기 주흡기구(811) 또는 보조흡기구(911)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A
또한 상기 후드케이싱(810)의 내부에는 제2보조필터(915)가 구비된다. 상기 제2보조필터(915)는, 상기 주필터(813) 및 제1보조필터(913)를 통과하여 유로(미도시)를 유동하는 공기 중에 잔존하는 오염물질을 다시 한번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보조필터(915)는, 상기 후드(910)가 상기 후드케이싱(81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후드(910)에 의하여 간섭받지 않는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후드케이싱(810)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제2보조필터(915)는, 적어도 상기 주흡기구(811) 및 보조흡기구(911)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 전부를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second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주흡기구(811) 및 보조흡기구(911)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주필터(813), 제1 및 제2보조필터(915)에 의하여 상기 주흡기구(811) 및 보조흡기구(911)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게 된다.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제4 및 제5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ourth and fifth embodiments of the hood-use microwav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제4실시예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제5실시예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이다. FIG. 1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part of a fourth embodiment of a hood-use microwav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part of a fifth embodiment of the hood-
먼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후드케이싱(820)에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는 주흡기구(82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후드케이싱(820)의 내외부로 후드(920)가 출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후드케이싱(820)의 내외부로 상기 후드(920)를 출납시키기 위한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후드(920)에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보조흡기구(921)가 구비된다. Referring to FIG. 11,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상기 주흡기구(821)에 주필터(823)가 설치된다. 상기 주필터(823)는 상기 주흡기구(821)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후드케이싱(820)의 내부에는,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주흡기구(821)의 전방에 해당하는 상기 후드케이싱(820)의 내부 전단부에는 보조필터(923)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필터(923)는 상기 보조흡기구(921)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보조필터(923)는 그 상단의 힌지(923H)를 중심으로 하단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필터(923)는, 상기 후드(920)가 상기 후드케이싱(82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그 상하단이 각각 캐비티(미도시)의 저면 및 상기 후드케이싱(820)의 바닥면에 인접되게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후드(920)가 상기 후드케이싱(82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보조흡기구(921)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보조필터()에 의하여 제거되는 동시에 상기 후드케이싱(820)의 외부로의 상기 후드(920)의 출납이 상기 보조필터(923)에 의하여 간섭받지 않게 된다.A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는, 후드케이싱(830), 주흡기구(831), 후드(930), 보조흡기구(931) 및 주필터(833)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필터(933)가 그 하단의 힌지(933H)를 중심으로 상단이 전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12, in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리고 상기 후드(930)가 상기 후드케이싱(83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외부로 인출되면, 상기 보조필터(933)의 상하단이 각각 캐비티(미도시)의 저면 및 상기 후드케이싱(830)의 바닥면에 인접되게 위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탄성부재(940) 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940)는, 상기 보조필터(933)가 상기 힌지(933H)를 중심으로 도 12에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상기 보조필터(933)에 부여한다.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또한 상기 보조필터(933)의 상하단이 각각 상기 캐비티의 저면 및 상기 후드케이싱(830)의 바닥면에 인접되게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94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보조필터(933)가 도 12에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동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토퍼(933S)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933S)는 상기 캐비티의 저면 또는 상기 후드케이싱(830)의 양측면 내측에 구비된다.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above teachings. will be.
상술한 본 발명의 제4 및 제5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조흡기구 상에 필터가 구비되지 않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상기 보조흡기구 상에 별도의 필터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및 제5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조필터가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그 하단 또는 상단이 전후방으로 회동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보조필터가 상기 후드케이싱의 내부에 각각 힌지를 중심으로 하단 또는 상단이 전후방으로 회동하는 2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the fourth and fif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filter is not provided on the auxiliary intake port, but a separate filter may be provided on the auxiliary intake port. In the fourth and fif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or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filter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hinge,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auxiliary filter may be constituted by two pieces, each of which has a lower end or an upper end turning around the hinge in the inside of the hood casin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microwave oven combined with th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먼저 본 발명에서는, 후드가 전자레인지의 전후방으로 출납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영역이 실질적으로 증가되거나,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의 확산이 방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다 청결한 환경에서 조리물을 조리할 수 있게 된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od is disposed in front of and behind the microwave oven, thereby substantially increasing the area capable of sucking air containing contaminants, or preventing the diffusion of air containing contaminants. Therefore, the user can cook the food in a cleaner environment.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주흡기구 및 보조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필터에 의하여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주흡기구 및 보조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오염물질이 제거된 상태에서 실내 또는 실외로 배출됨으로써, 보다 청결한 환경이 유지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lutants contained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main air inlet and the auxiliary air inlet are removed by the filter. Therefore, the air sucked through the main intake port and the auxiliary intake port is discharged into the room or the outside in a state where the pollutants are removed, so that a cleaner environment can be maintain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필터가 실질적으로 후드케이싱의 내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전자레인지가 빌트인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도, 전자레인지를 탈거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필터를 착탈할 수 있게 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is substantially located inside the hood casing. Therefore, even when the microwave oven is installed as a built-in microwave oven, it is possible to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filter without detaching the microwave ove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제1실시예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embodiment of a hood-use microwav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설치브라켓을 보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bracket constitut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프론트패널을 보인 정면도.4 is a front view showing a front panel constitut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블럭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제1실시예에서 후드의 출납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FIG. 6 and FIG. 7 are operational states showing the process of inserting and removing the hoo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microwave oven combined with a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평면도.9 is a plan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제3실시예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Fig. 1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part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hood-and-serve microwav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제4실시예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FIG. 1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portion of a fourth embodiment of a microwave oven combined with a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제5실시예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FIG. 1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part of a fifth embodiment of a microwave oven combined with a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Claims (1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90014514A KR101486593B1 (en) | 2009-02-20 | 2009-02-20 | Microwave oven having ho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90014514A KR101486593B1 (en) | 2009-02-20 | 2009-02-20 | Microwave oven having ho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95307A KR20100095307A (en) | 2010-08-30 |
KR101486593B1 true KR101486593B1 (en) | 2015-01-26 |
Family
ID=42759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90014514A Active KR101486593B1 (en) | 2009-02-20 | 2009-02-20 | Microwave oven having ho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659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8083B1 (en) * | 2016-10-25 | 2016-11-21 | 주식회사 엘루 | Aluminum handle bar for range hoods |
KR102360629B1 (en) * | 2018-02-19 | 2022-02-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Entrance cleaning apparatus |
KR102663290B1 (en) * | 2019-02-20 | 2024-05-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Ventilation equipment |
KR102286965B1 (en) * | 2020-02-10 | 2021-08-09 | (주)쿠첸 | Kitchen hood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41218Y2 (en) * | 1992-10-26 | 1997-07-16 | 松下電工株式会社 | Range hood |
KR200303019Y1 (en) * | 2002-11-18 | 2003-02-06 | 박윤식 | appartus for semi-automatically drawing out hood df electric cookstove |
JP2004191030A (en) * | 2002-12-06 | 2004-07-0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all-mounted microwave oven |
KR20050048455A (en) * | 2003-11-18 | 2005-05-24 | 주식회사 엔텍 | Range-hood |
-
2009
- 2009-02-20 KR KR20090014514A patent/KR10148659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41218Y2 (en) * | 1992-10-26 | 1997-07-16 | 松下電工株式会社 | Range hood |
KR200303019Y1 (en) * | 2002-11-18 | 2003-02-06 | 박윤식 | appartus for semi-automatically drawing out hood df electric cookstove |
JP2004191030A (en) * | 2002-12-06 | 2004-07-0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all-mounted microwave oven |
KR20050048455A (en) * | 2003-11-18 | 2005-05-24 | 주식회사 엔텍 | Range-ho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95307A (en) | 2010-08-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09767B1 (en) | Microwave oven combined with hood | |
KR101535304B1 (en) | Microwave oven combined with hood | |
KR100851640B1 (en) | A door ventilation hooded microwave oven | |
CN101294720B (en) | Wall Mounted Microwaves and Hoods | |
KR101486593B1 (en) | Microwave oven having hood | |
KR100807384B1 (en) | Microwave hood airflow system | |
US20160381741A1 (en) | Microwave oven | |
EP1424527A2 (en) | Cooker having air cleaning unit | |
US8471185B2 (en) | Microwave oven | |
KR101064766B1 (en) | Steam Cooker | |
US20100089910A1 (en) | Ventilation hooded microwave oven and cooling system for the same | |
KR100938205B1 (en) | Oven | |
KR100789736B1 (en) | Microwave Oven Door Support | |
KR20080082848A (en) | Hooded microwave oven | |
US20100170895A1 (en) | Ventilation hooded microwave oven | |
KR100811304B1 (en) | Hood cooling system with hood | |
KR101627378B1 (en) | Microwave oven having hood | |
US20220390120A1 (en) | Cooking apparatus | |
KR100785425B1 (en) | Leadwire protection structure for hooded microwave oven | |
KR20080070409A (en) | Hooded microwave oven | |
JP4746073B2 (en) | Cooker | |
KR100826022B1 (en) | Hood and Hood Circulator | |
KR200143553Y1 (en) | Fixing device for mini manual for microwave oven | |
KR101554657B1 (en) | air conditioner | |
KR20060104278A (en) | Oven range with sliding backguar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9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2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