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86412B1 - 컨넥터 - Google Patents

컨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412B1
KR101486412B1 KR1020130088897A KR20130088897A KR101486412B1 KR 101486412 B1 KR101486412 B1 KR 101486412B1 KR 1020130088897 A KR1020130088897 A KR 1020130088897A KR 20130088897 A KR20130088897 A KR 20130088897A KR 101486412 B1 KR101486412 B1 KR 101486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receptacle
housing
space
w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8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운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Priority to KR1020130088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4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41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면 또는 상부면을 가압하여 리셉터클과 하우징의 록킹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컨넥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부 공간에 다수의 핀이 배치된 리셉터클 및 와이어가 연결되는 다수의 터미널이 내부에 배치된 하우징을 포함하여, 하우징이 리셉터클의 내부 공간에 삽입될 때 터미널과 핀이 연결되는 컨넥터는 리셉터클의 측벽 부재와 상부 부재 사이의 영역에는 내부 공간에서 연장된 록킹 공간이 형성되되, 록킹 공간은 상부 부재 및 측면 부재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된다.여기서, 하우징은 본체 및 본체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록킹 부재를 포함하여, 하우징이 리셉터클의 내부 공간에 삽입될 때, 하우징의 록킹 부재는 리셉터클의 록킹 공간 내에 수용되며, 록킹 부재는 수평, 수직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가압될 때 록킹 공간 내에서 이동하여 하우징과 리셉터클의 록킹 상태를 해제시킨다.

Description

컨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컨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셉터클에 대한 하우징의 언록킹을 다양한 방향/각도에서 진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컨넥터에 관한 것이다.
컨넥터의 한 종류인 와이어 투 보드 컨넥터(wire-to-board)는 기판에 형성된 전기적 회로와 외부 장치에 연결된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컨넥터로서, 기판에 실장된 컨넥터의 터미널과 와이어가 서로 연결된다.
장비의 점검 및 수리를 위해서는 컨넥터의 하우징 내에서의 터미널과 와이어의 연결을 해제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작업자는 컨넥터를 조작해야 한다.
한정된 면적을 갖는 기판 상에 다수의 컨넥터를 효율적으로 실장하기 위해서는 컨넥터를 서로 인접한 상태로 배치되어야 하며, 따라서 작업자가 어느 한 컨넥터에서의 와이어와 터미널을 분리할 때, 이웃하는 컨넥터(또는 다른 실장 부품)로 인하여 조작의 제약을 받게 된다.
예를 들어, 측면에서의 조작을 통하여 하우징 내에서의 터미널과 와이어의 연결을 해제하는 구조를 갖는 컨넥터는 이웃하는 컨넥터(또는 다른 실장 부품)에 의하여 조작이 방해를 받게 된다.
또한, 기판이 2개층 이상으로 배치된 장치에는 상부에서의 조작을 통하여 터미널과 와이어의 연결을 해제하는 구조를 갖는 컨넥터를 기판에 실장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컨넥터에서 발생하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측면 그리고 상부면을 통하여 터미널과 와이어의 분리, 즉 리셉터클과 하우징간의 록킹 상태 해제를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컨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공간에 다수의 핀이 배치된 리셉터클 및 와이어가 연결되는 다수의 터미널이 내부에 배치된 하우징을 포함하여, 하우징이 리셉터클의 내부 공간에 삽입될 때 터미널과 핀이 연결되는 컨넥터는 리셉터클의 측벽 부재와 상부 부재 사이의 영역에는 내부 공간에서 연장된 록킹 공간이 형성되되, 록킹 공간은 상부 부재 및 측면 부재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된다.
여기서, 하우징은 본체 및 본체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록킹 부재를 포함하여, 하우징이 리셉터클의 내부 공간에 삽입될 때, 하우징의 록킹 부재는 리셉터클의 록킹 공간 내에 수용되며, 록킹 부재는 수평 방향, 수직 방향 그리고 대각선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가압될 때 록킹 공간 내에서 이동하여 하우징과 리셉터클의 록킹 상태를 해제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컨넥터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록킹 부재는 본체의 측부와 상부의 경계부에 배치되며, 한 종단이 본체에 연결된 연결편 및 연결편의 다른 한 종단에 형성된 헤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하우징과 리셉터클의 결합시 연결편은 리셉터클의 록킹 공간 내에 위치하고 헤드는 노출되고 본체와 이격된 상태로 리셉터클 외부로 노출되어 헤드에 외력이 작용할 때 연결편은 록킹 공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록킹 부재의 연결편의 표면과 리셉터클의 록킹 공간을 한정하는 측면 부재 또는 상부 부재의 내부면에는 록킹편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하우징과 리셉터클의 결합시 양 록킹편이 맞물려져 록킹되며, 헤드의 가압시 이동하는 연결편에 의하여 록킹이 해제된다.
여기서, 록킹 공간을 형성하는 리셉터클의 측벽 부재의 내벽과 상부 부재의 내벽은 록킹 부재의 연결편의 외부 표면과 접촉함으로써 록킹 부재의 연결편의 이동은 대각선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안내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넥터는 주변에 다른 컨넥터 또는 실장 부품이 존재하는 경우 또는 적층된 다른 컨넥터 또는 와이어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록킹 부재의 헤드를 측면을 수평으로, 상부면을 수직으로, 또는 측면과 상부면의 경계부를 대각선 방향으로 가압하여 리셉터클와 하우징의 록킹 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어떠한 조건 하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넥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방향에서 본 하우징의 부분 측면도로서, 편의상 리셉터클을 함께 도시함..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선 B-B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컨넥터를 기판에 실장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넥터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세한 설명에서의 용어 "상부(상단)", "하부(하단)" 그리고 "측부"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하며, 컨넥터가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는 그 방향이 다른 용어를 사용하여 정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넥터의 분리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넥터는 기판(도시되지 않음)에 실장되는 리셉터클(100), 리셉터클(100) 내에 배치된 다수의 핀(200), 리셉터클(100) 내에 장착되는 하우징(400) 및 하우징(400) 내에 배치된 다수의 터미널(500)을 포함한다.
각 구성 부재의 세부 구성 및 기능을 구분하여 설명한다.
리셉터클 (100)
리셉터클(100)은 회로 패턴이 형성된 기판 표면에 실장되는 부재로서, 내부에 소정 체적의 공간(101)을 갖고 있다.
각 측벽 부재(120)와 상부 부재(110) 사이의 영역에는 내부 공간(101)에서 연장된 록킹 공간(10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록킹 공간(102)은 수평 또는 수직 상태로 연장되지 않고, 상부 부재(110)와 측벽 부재(12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고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록킹 공간(102)을 형성하는 측벽 부재(120)의 내벽(121)과 상부 부재(110)의 내벽(111)은 서로 평행한 상태에서 상부 부재(110)에 대하여 소정 각도(도 1에서는 약 45도) 경사진 상태로 형성된다.
한편,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록킹 공간(102)을 형성하는 측벽 부재(120)의 내벽(121) 또는 상부 부재(110)의 내벽(111)에는 소정 높이의 록킹 편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200"는 리셉터클(100) 내부 공간에 고정적으로 배치되어 기판의 회로 패턴과 접촉하는 "핀"이며, 미설명 부호 "300"은 리셉터클(100)의 하단에 고정되어 리셉터클(100)을 기판에 고정시키는 피팅 네일(fitting nail)이다.
하우징 (400)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400)의 사시도로서, 하우징(400)에 다수의 와이어(1)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다. 하우징(400)은 크게 본체(410)와 본체(410)에 연결된 록킹 부재(430)를 포함한다.
하우징(400)의 본체(410)에는 다수의 와이어(1)가 각각 고정적으로 수용되는 다수의 격실(420)이 형성되어 있다. 각 격실(420)에 수용되는 와이어(1)의 종단에는 터미널(500)이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터미널(500)과 와이어(1)는, 예를 들어 압접 방식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압접 방식은 본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이며, 따라서 압적 방식에 적용되는 터미널(500)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록킹 부재(430)는 본체(410)의 상단부의 코너부, 즉 측부와 상부의 경계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록킹 부재(430)는 하우징(400)의 본체(410)에 연결된 연결편(431) 및 연결편(431)의 제 1 종단에 형성된 헤드(432)를 포함한다.
소정 길이를 갖는 연결편(431)은 리셉터클(100)의 록킹 공간(102)에 수용되는 부분으로서, 연결편(431)의 제 2 종단은 본체(410)에 연결되며, 그 이외의 부분은 본체(410)와 소정 간격을 유지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컨넥터의 한 부재인) 연결편(431)은 외력이 작용할 경우 제 2 종단을 중심으로 외력의 작용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된다. 한편, 연결편(431)의 표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록킹편(431-1)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편(431)의 제 1 종단에 형성된 헤드(432)는 그 하부면과 측면이 본체(410)와 소정 간격을 유지한다.
여기서, 도 2에서의 좌측의 록킹 부재(430)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 즉 록킹 부재(430)의 헤드(432)와 본체(410) 사이에 소정의 간격(G1 및 G2)이 유지된 상태를 도시하며, 우측의 록킹 부재(430)는 가해진 외력에 의하여 눌려진 상태, 즉 록킹 부재(430)의 헤드(432)가 본체(410)의 표면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A" 방향에서 본 하우징(400)의 부분 측면도로서, 편의상 리셉터클(100)의 내부 공간(101)에 삽입된 상태의 하우징(400)을 리셉터클(100)과 함께 도시하였다. 도 3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100)에서 록킹 공간(102)을 형성하는 상부 부재(110)의 내벽(111)에 형성된 록킹편(112)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00)에 와이어(1)를 장착(하우징(400) 내에서 터미널(500)과 와이어(1)의 연결)한 상태에서, 하우징(400)을 리셉터클(100)의 내부 공간(101)에 삽입하면, 리셉터클(100)의 록킹편(112)은 하우징(400)의 록킹 부재(430)의 연결편(431) 표면에 형성된 록킹편(431-1)과 접촉한다. 따라서 리셉터클(100)과 하우징(400)의 록킹이 이루어져 리셉터클(100)에서 하우징(400)은 분리되지 않는다.
리셉터클(100)과 하우징(400)의 체결 상태에서는, 하우징(400)의 록킹 부재(430)의 헤드(432) 및 본체(410)의 선단부는 리셉터클(100)의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후, 리셉터클(100)은 피팅 네일(300)을 통하여 기판(도시되지 않음)에 실장된다.
도 4a는 도 3의 선 B-B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로서, 리셉터클(100)의 록킹 공간(102) 내에 위치하는 하우징(400)의 록킹 부재(430)의 연결편(431)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100)의 양 측부의 상단에 형성된 록킹 공간(102)은 측벽 부재(120)의 내벽(121)과 상부 부재(110)의 내벽(111)에 의하여 형성되며, 서로 평행한 상태에서 상부 부재(110)에 대하여 소정 각도(도 4a에서는 약 45도) 경사진 상태이다.
이러한 구조의 록킹 공간(102) 내에 위치하는 록킹 부재(430)의 연결편(431)은 측벽 부재(120)의 내벽(121)과 상부 부재(110)의 내벽(111)에 접촉하며,따라서 연결편(431)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연결편(431)은 측벽 부재(120)의 내벽(121)과 상부 부재(110)의 내벽(111)을 따라서 경사지게 공간부(101)를 향하여 이동한다.
한편, 도 4b는 도 4a의 대응 도면으로서, 도 4a에 도시된 구조와 비교하여 전체적인 구조는 서로 동일하나, 연결편(431')의 단면 형상만 상이할 뿐이다.
즉, 도 4a에 도시된 연결편(431)은 그 단면이 원형으로서, 그 양측의 곡면이 리셉터클(100)의 측벽 부재(120)의 내벽(121)과 상부 부재(110)의 내벽(111)과 접촉한다. 또 다른 예에서, 도 4b에 도시된 연결편(431')은 그 단면이 다각형으로서, 양측의 평면이 리셉터클(100)의 측벽 부재(120)의 내벽(121)과 상부 부재(110)의 내벽(111)과 안정적으로 접촉한다.
리셉터클(100)이 기판에 실장된 후, 리셉터클(100)에서 하우징(400)을 분리하는 과정을 각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컨넥터를 기판에 실장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a는 리셉터클(100)이 수직 상태로 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도 5b는 리셉터클(100)과 하우징(400)이 수평 상태로 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장비의 점검 및 수리를 위해서 컨넥터의 리셉터클(100) 내에서의 터미널과 와이어의 연결을 해제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작업자는 리셉터클(100)에서 하우징(400)을 분리, 제거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작업자는 하우징(400)의 양측 상단 코너부에 배치된 록킹 부재(430)의 헤드(432; 리셉터클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임)를 누르게 되며, 이에 의하여 연결편(431)은 본체(410)를 향하여 눌려진다. 따라서 연결편(431)은 측벽 부재(120)의 내벽(121)과 상부 부재(110)의 내벽(111)을 따라서 경사지게 공간부(101)를 향하여 이동한다.
따라서, 록킹 부재(430)의 연결편(431)의 표면에 형성된 록킹편(431-1)과 리셉터클(100)의 (록킹 공간(102)에 대응하는) 상부 부재(110)의 내벽(111)에 형성된 록킹편(112)의 접촉이 해제되어, 결과적으로 하우징(400)과 리셉터클(100)의 록킹 상태가 해제된다.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하우징(400)을 잡아당겨 리셉터클(100)로부터 하우징(400)을 분리, 인출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400)과 리셉터클(100)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부재(430)의 헤드(432)의 전면(도면 기준이며, 실제로는 헤드(432)의 상부면)을 수평 방향으로 또는 측면을 수평 방향으로 가압하면, 연결편(431, 431')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100)의 상부 부재(110)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록킹 공간(102)을 따라 이동하며, 따라서 연결편(431)의 표면에 형성된 록킹편(431-1)과 리셉터클(100)의 (록킹 공간(102)에 대응하는) 상부 부재(110)의 내벽(111)에 형성된 록킹편(112)의 접촉이 해제된다.
이와 달리, 하우징(400)과 리셉터클(100)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부재(430)의 헤드(432)의 측면을 수평 방향으로 그리고 헤드(432)의 상부를 수직 방향으로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연결편(431, 431')은 리셉터클(100)의 상부 부재(110)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록킹 공간(102)을 따라 이동한다.
즉, 작업자가 록킹 부재(430)의 헤드(432)의 측면(즉, 수평 방향), 상부면(즉, 수직 방향) 그리고 측면과 상부면의 경계부(즉, 대각선 방향) 어디를 가압할지라도 헤드(432)가 본체(410)를 향하여 이동하고 그로 인하여 연결편(431, 431')은 리셉터클(100)의 상부 부재(110)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록킹 공간(102)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연결편(431)의 록킹편(431-1)과 리셉터클(100)의 록킹편(112)의 접촉, 즉 록킹 상태가 해제된다.
결과적으로, 기판 상에 다른 컨넥터 또는 전자 부품이 옆에 인접하게 실장된 상태일지라도 작업자는 방해를 받지 않고 하우징(400)의 헤드(432)를 수직 방향으로 가압(예를 들어, 헤드를 위에서 가압)하여 하우징(400)과 리셉터클(100)의 록킹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컨넥터와 적층된 상태 또는 와이어 등으로 인하여 위에 공간이 없는 조건에서는 작업자는 방해를 받지 않고 하우징(400)의 헤드(432)를 측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가압하여 하우징(400)과 리셉터클(100)의 록킹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이 하우징(400)과 리셉터클(100)의 록킹 상태 해제 후, 즉 하우징(400)을 리셉터클(100)에서 분리한 후, 록킹 부재(430)의 헤드(432)에 가해지는 외력을 제거하면, 연결편(431)의 복원력에 의하여 가압전 형상으로 복귀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들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들에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하다.

Claims (6)

  1. 내부 공간에 다수의 핀이 배치된 리셉터클 및 와이어가 연결되는 다수의 터미널이 내부에 배치된 하우징을 포함하여, 하우징이 리셉터클의 내부 공간에 삽입될 때 터미널과 핀이 연결되는 컨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의 측벽 부재와 상부 부재 사이의 영역에는 내부 공간에서 연장된 록킹 공간이 형성되되, 록킹 공간은 상부 부재 및 측면 부재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고,
    하우징은 본체 및 본체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록킹 부재를 포함하되,
    록킹 부재는 본체의 측부와 상부의 경계부에 배치되며, 한 종단이 본체에 연결된 연결편 및 연결편의 다른 한 종단에 형성된 헤드를 포함하되, 하우징과 리셉터클의 결합시 연결편은 리셉터클의 록킹 공간 내에 위치하고 헤드는 본체와 이격된 상태로 리셉터클 외부로 노출되어 헤드에 외력이 작용할 때 연결편은 록킹 공간 내에서 이동하며,
    하우징이 리셉터클의 내부 공간에 삽입될 때, 하우징의 록킹 부재는 리셉터클의 록킹 공간 내에 수용되며, 록킹 부재는 수평 방향, 수직 방향 그리고 대각선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가압될 때 록킹 공간 내에서 이동하여 하우징과 리셉터클의 록킹 상태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록킹 부재의 연결편의 표면과 리셉터클의 록킹 공간을 한정하는 측면 부재 또는 상부 부재의 내부면에는 록킹편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하우징과 리셉터클의 결합시 양 록킹편이 맞물려져 록킹되며, 헤드의 가압시 이동하는 연결편에 의하여 록킹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록킹 공간을 형성하는 리셉터클의 측벽 부재의 내벽과 상부 부재의 내벽은 록킹 부재의 연결편의 외부 표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록킹 부재의 연결편은 단면이 원형으로서, 양측의 곡면이 리셉터클의 측벽 부재의 내벽 및 상부 부재의 내벽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
  6. 제4항에 있어서, 록킹 부재의 연결편은 단면이 다각형으로서, 양측의 평면이 리셉터클의 측벽 부재의 내벽 및 상부 부재의 내벽과 안정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
KR1020130088897A 2013-07-26 2013-07-26 컨넥터 Expired - Fee Related KR101486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897A KR101486412B1 (ko) 2013-07-26 2013-07-26 컨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897A KR101486412B1 (ko) 2013-07-26 2013-07-26 컨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6412B1 true KR101486412B1 (ko) 2015-01-26

Family

ID=52592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897A Expired - Fee Related KR101486412B1 (ko) 2013-07-26 2013-07-26 컨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41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9552A (ja) * 2003-02-25 2004-09-16 Jst Mfg Co Ltd プラグのロック機構
KR20070044372A (ko) * 2005-10-24 2007-04-27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로크 기구 장착 전기 커넥터
JP2007157503A (ja) * 2005-12-05 2007-06-21 Toyota Motor Corp コネクタ構造
JP2009093892A (ja) * 2007-10-05 2009-04-30 Yamaichi Electronics Co Ltd ケーブル・コネクタ用アダプ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9552A (ja) * 2003-02-25 2004-09-16 Jst Mfg Co Ltd プラグのロック機構
KR20070044372A (ko) * 2005-10-24 2007-04-27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로크 기구 장착 전기 커넥터
JP2007157503A (ja) * 2005-12-05 2007-06-21 Toyota Motor Corp コネクタ構造
JP2009093892A (ja) * 2007-10-05 2009-04-30 Yamaichi Electronics Co Ltd ケーブル・コネクタ用アダプ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7432B2 (en) Connector
US9287643B2 (en) Electric connector
US9039428B2 (en) Board-to-board connector
US9240654B2 (en) Circuit-terminal connecting device
KR101886959B1 (ko) 커넥터
US9337564B2 (en) Casing having guide path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9859638B2 (en) Connector
US20140370749A1 (en) Electric Connector
US20150079818A1 (en) Board-connecting electrical connector device
KR19990044718A (ko) 케넥터 플러그의 로크 수단
CN100566027C (zh) 板连接体
CN104183953B (zh) 电连接器
US20170110828A1 (en) Connector
US8986020B2 (en) Inter-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US9331428B2 (en) Connector mateable with mating connector and having lock structure including lock member and operation member which is operable to move lock member
US20180294586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9184528B2 (en) Electronic component socket
KR101486412B1 (ko) 컨넥터
JP6701526B2 (ja) 基板用コネクタのハウジング、基板用コネクタ及びケース付き基板用コネクタ
US20180068809A1 (en) Switch device
CN100588035C (zh) 电缆连接器
CN103579854B (zh) 电插塞式连接器
US20170098902A1 (en) Memory card connector
JP5332988B2 (ja) 電気接続箱
KR20090006783U (ko) 커넥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