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86384B1 -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384B1
KR101486384B1 KR1020127017739A KR20127017739A KR101486384B1 KR 101486384 B1 KR101486384 B1 KR 101486384B1 KR 1020127017739 A KR1020127017739 A KR 1020127017739A KR 20127017739 A KR20127017739 A KR 20127017739A KR 101486384 B1 KR101486384 B1 KR 101486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si
type
cqi
pmi
repor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7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9546A (ko
Inventor
양석철
김민규
안준기
서동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109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9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38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7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11/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 H04J2211/003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within particular systems or standards
    • H04J2211/005Long term evolution [L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11/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 H04J2211/003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within particular systems or standards
    • H04J2211/006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 F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리어 결합 환경에서 하나 이상의 서빙셀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다양한 방법들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들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캐리어 결합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CSI)를 보고하는 방법은,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서빙 셀에 대한 CSI 보고 모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단말이 CSI 보고 모드를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서빙 셀에 대한 채널상태정보(CSI)를 기지국으로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서빙셀에 대한 제 1 타입 CSI와 제 2 서빙셀에 대한 제 2 타입 CSI가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경우에는, 단말은 CSI 보고 모드와 관련된 CSI 보고 타입의 우선순위에 따라 하나의 서빙셀에 대한 CSI만을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 전송 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본 발명은 무선 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캐리어 결합 환경에서 하나 이상의 서빙셀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다양한 방법들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PHICH 할당방법들에 대해서 개시한다.
일반적인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간의 대역폭은 서로 다르게 설정되더라도 주로 하나의 반송파(carrier)만을 고려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단일 반송파를 기반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는 반송파의 수가 각각 1개이고, 상향링크의 대역폭과 하향링크의 대역폭이 일반적으로 서로 대칭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에서는 IMT-Advanced의 후보기술이 기존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비하여 확장된 대역폭을 지원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전세계적으로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큰 대역폭의 주파수 할당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조각난 작은 대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술로 주파수 영역에서 물리적으로 다수 개의 밴드를 묶어 논리적으로 큰 대역의 밴드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도록 하기 위한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대역폭 집성(Bandwidth Aggregation) 또는 스펙트럼 집성(Spectrum Aggregation)이라고도 함)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반송파 집성은 증가되는 수율(throughput)을 지원하고, 광대역 RF 소자의 도입으로 인한 비용 증가를 방지하고,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도입되는 것이다. 반송파 집성이란 기존의 무선 접속 시스템(LTE-A 시스템의 경우에는 LTE 시스템, 또는 IEEE 802.16m 시스템의 경우에는 IEEE 802.16e 시스템)에서 정의되는 대역폭 단위의 반송파들의 복수 개의 묶음을 통하여 단말과 기지국 간에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여기서, 기존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정의되는 대역폭 단위의 반송파를 컴포넌트 캐리어(CC: Component Carrier)라고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송파 집성 기술은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가 5MHz, 10MHz 또는 20MHz의 대역폭을 지원하더라도 최대 5 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묶어 최대 100MHz까지의 시스템 대역폭을 지원하는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반송파 집성 기술을 이용하는 경우에, 여러 개의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모든 컴포넌트 캐리어를 모니터링하고 측정할 수 있다.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시,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의 왜곡을 줄이기 위해 상향링크 전송 신호에 대하여 단일 캐리어(single-carrier) 특성을 유지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복수의 PUCCH가 동일한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되어야 할 경우, 상향링크 전송 신호의 단일 캐리어 특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단말의 동작(UE behavior)을 정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단말은 하나의 서빙 셀에 대한 제어 정보를 전송해야한다. 이때, 동일한 서브프레임을 통해 하나 이상의 서빙 셀에 대한 채널상태정보(CSI)가 전송되는 경우에, 단말의 CSI 보고 동작을 정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캐리어 결합 환경에서 복수의 서빙 셀에 대한 CSI 전송을 위한 단말의 상향링크 동작을 정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복수의 PUCCH를 통한 복수의 서빙 셀에 대한 CSI 전송이 동시에 요구될 경우, 하나의 PUCCH를 통해 하나의 제어정보(즉, CSI)를 전송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CSI들 중에서 특정 CSI만을 전송할 수 있도록 우선순위에 따른 CSI 드롭(Dropping)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단말이 셀 타입, CSI 전송 주기 및/또는 CSI 타입에 따라 특정 CSI를 드롭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캐리어 결합 환경에서 하나 이상의 서빙셀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다양한 방법들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들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캐리어 결합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CSI)를 보고하는 방법은,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서빙 셀에 대한 CSI 보고 모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단말이 CSI 보고 모드를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서빙 셀에 대한 채널상태정보(CSI)를 기지국으로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서빙셀에 대한 제 1 타입 CSI와 제 2 서빙셀에 대한 제 2 타입 CSI가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경우에는, 단말은 CSI 보고 모드와 관련된 CSI 보고 타입의 우선순위에 따라 하나의 서빙셀에 대한 CSI만을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캐리어 결합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CSI)를 수신하는 방법은, 기지국에서 단말로 하나 이상의 서빙 셀에 대한 CSI 보고 모드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단말로부터 CSI 보고 모드가 고려된 하나 이상의 서빙 셀에 대한 채널상태정보(CSI)를 보고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서빙셀에 대한 제 1 타입 CSI와 제 2 서빙셀에 대한 제 2 타입 CSI가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경우에는, CSI 보고 모드와 관련된 CSI 보고 타입의 우선순위에 따라 하나의 서빙셀에 대한 CSI만이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캐리어 결합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CSI)를 보고하는 단말은, 채널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모듈, 채널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모듈 및 CSI 보고를 지원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서빙 셀에 대한 CSI 보고 모드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수신모듈을 통해 수신하고, CSI 보고 모드를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서빙 셀에 대한 채널상태 정보(CSI)를 상기 기지국으로 보고할 수 있다. 제 1 서빙셀에 대한 제 1 타입 CSI와 제 2 서빙셀에 대한 제 2 타입 CSI가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경우에는, 단말은 CSI 보고 모드와 관련된 CSI 보고 타입의 우선순위에 따라 하나의 서빙셀에 대한 CSI만을 상기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에 있어서, 제 1 타입 CSI의 우선순위가 제 2 타입 CSI의 우선순위보다 높으면, 단말은 제 1 타입 CSI만을 기지국에 전송하고 제 2 타입 CSI는 드롭할 수 있다.
제 1 타입 CSI는 단말이 RI 및 제 1 PMI 또는 RI 만을 보고하는 것을 나타내고, 제 2 타입 CSI는 단말이 WB-CQI 및 제 2 PMI, WB-CQI 및 제 1 PMI, 또는 WB-CQI만을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또는, 제 1 타입 CSI는 단말이 WB-CQI 및 제 2 PMI, WB-CQI 및 제 1 PMI, 또는 WB-CQI만을 기지국에 보고하는 것을 나타내고, 제 2 타입 CSI는 SB-CQI 및 제 2 PMI 또는 SB-CQI만을 기지국에 보고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제 1 타입 CSI는 단말이 RI 및 제 1 PMI 또는 RI 만을 보고하는 것을 나타내고, 제 2 타입 CSI는 SB-CQI 및 제 2 PMI 또는 SB-CQI만을 기지국에 보고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에서 제 1 타입 CSI 및 제 2 타입 CSI는 CSI 보고모드를 지원하기 위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에서 CSI를 보고하는 단계는 CSI의 각 컨텐츠에 따라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에서 제 1 타입 CSI는 CSI 보고 타입 3 또는 CSI 보고 타입 5이고, 제 2 타입 CSI는 CSI 보고 타입 2b, CSI 보고 타입 2c, CSI 보고 타입 4, CSI 보고 타입 1 또는 CSI 보고 타입 1a일 수 있다.
또는, 제 1 타입 CSI는 CSI 보고 타입 2b, CSI 보고 타입 2c 또는 CSI 보고 타입 4일 수 있고, 제 2 타입 CSI는 CSI 보고 타입 1 또는 CSI 보고 타입 1a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에서, 제 1 타입 CSI는 물리상향링크제어채널(PUCCH) 또는 물리상향링크공유채널(PUSCH)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제 1 타입 CSI가 PUSCH를 통해 전송될 때는, 제 1 타입 CSI는 상향링크 데이터에 피기백 또는 멀티플렉싱되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PUSCH 및 PUCCH 신호 동시 전송모드인 경우에는 PUCCH 영역을 통해 제 1 타입 CSI가 전송되고, 단말이 PUSCH 또는 PUCCH 신호의 개별 전송모드인 경우에는 제 1 타입 CSI는 PUSCH 영역에서 상향링크 데이터와 피기백되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함으로써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시 상향링크 전송 신호에 대하여 단일 캐리어(single-carrier)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둘째, 동일한 서브프레임을 통해 하나 이상의 서빙 셀에 대한 채널상태정보(CSI)가 전송되는 경우에, 정의된 단말의 CSI 보고 동작대로 CSI를 보고함으로써 CSI간 충돌을 막을 수 있다. 즉, 복수의 CSI들 중에서 특정 CSI만을 전송할 수 있도록 우선순위에 따라 CSI를 드롭함으로써, CSI의 충돌을 막을 수 있다.
셋째,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복수의 PUCCH를 통한 복수의 서빙 셀에 대한 CSI 전송이 동시에 요구될 경우, 하나의 PUCCH를 통해 하나의 제어정보(즉, CSI)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을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않은 효과들 역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상향링크 CQI 전송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주파수 대역을 선택적으로 선택하여 CQI를 생성하는 방법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LTE 시스템의 컴포넌트 캐리어(CC) 및 LTE_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멀티 캐리어 결합(반송파 집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크로스 컴포넌트 캐리어 스케줄링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채널상태정보(CSI)의 우선순위에 따른 CSI 보고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셀 타입에 따른 CSI 드롭핑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CSI 보고 주기에 따른 CSI 드롭핑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CSI 타입에 따른 CSI 드롭핑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CSI 타입에 따른 CSI 드롭핑 방법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참조될 수 있는 100개의 UL RB와 100개의 DL PHICH 자원들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서, PHICH 자원 할당 방법의 바람직한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채널상태정보 전송 방법을 지원하는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캐리어 결합 환경에서 하나 이상의 서빙셀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다양한 방법들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들을 개시한다. 또한, PHICH 할당방법들에 대해서 개시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절차 또는 단계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업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절차 또는 단계는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지국과 이동국 간의 데이터 송수신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기지국은 이동국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가 있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이동국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발전된 기지국(ABS: Advanced Base Station) 또는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이동국(MS: Mobile Station)'은 UE(User Equipment), SS(Subscriber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발전된 이동단말(AMS: Advanced Mobile Station) 또는 단말(Terminal)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송신단은 데이터 서비스 또는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정 및/또는 이동 노드를 말하고, 수신단은 데이터 서비스 또는 음성 서비스를 수신하는 고정 및/또는 이동 노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향링크에서는 이동국이 송신단이 되고, 기지국이 수신단이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향링크에서는 이동국이 수신단이 되고, 기지국이 송신단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xx 시스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시스템, 3GPP LTE 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3GPP TS 36.211, 3GPP TS 36.212, 3GPP TS 36.213 및 3GPP TS 36.321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설명하지 않은 자명한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 시스템은 3GPP LTE 시스템의 진화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대한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3GPP LTE/LTE-A를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1. 3 GPP LTE / LTE _A 시스템의 기본 구조
도 1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 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 한다. 이때,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이다.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다수의 자원블록(RB: Resource Block)을 포함한다. OFDM 심볼은 하향링크에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3GPP LTE 시스템에서 하나의 심볼 구간(symbol period)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다. 즉, OFDM 심볼은 다중접속방식에 따라 SC-FDMA 심볼 또는 심볼 구간이라고 할 수 있다. RB는 자원 할당 단위로 하나의 슬롯에서 복수의 연속하는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도 1의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며,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및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향링크 슬롯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도 2에서는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이 7 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하나의 자원블록(RB: Resource Block)은 주파수 영역에서 12 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기술한다.
자원 그리드 상의 각 요소(element)를 자원요소(RE: Resource Element)라 하며, 하나의 자원블록(RB)은 12×7개의 자원요소(RE)를 포함한다. 하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자원블록의 수 NDL은 셀에서 설정되는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bandwidth)에 종속한다.
도 3은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서브 프레임은 시간 영역에서 2개의 슬롯을 포함한다. 서브 프레임 내의 첫번째 슬롯의 앞선 최대 3개의 OFDM 심볼들이 제어채널들이 할당되는 제어영역(control region)이고, 나머지 OFDM 심볼들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가 할당되는 데이터 영역이 된다.
3GPP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제어채널들은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등이 있다. 서브프레임의 첫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되는 PCFICH 신호는 서브프레임 내에서 제어채널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수(즉, 제어영역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나른다. PHICH는 상향링크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에 대한 ACK (Acknowledgement)/NACK (None-Acknowledgement) 신호를 나른다. 즉, 단말이 전송한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는 PHICH 상으로 전송된다.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라고 한다. DCI는 단말(UE: User Equipment) 또는 단말 그룹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 및 다른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 하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 및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PDCCH는 하향링크 공유채널(DL-SCH: Downlink Shared Channel)의 전송포맷 및 자원할당정보, 상향링크 공유채널(UL-SCH: Uplink Shared Channel)의 전송포맷 및 자원할당정보, 페이징 채널(PCH: Paging Channel) 상의 페이징 정보, DL-SCH 상의 시스템 정보, PDSCH 상에서 전송되는 임의접속응답과 같은 상위계층 제어 메시지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 임의의 UE 그룹 내에서 개별 UE들에 대한 전송 전력 제어 명령 집합, 전송 전력 제어 명령, VoIP(Voice of Internet Protocol)의 활성화 등에 대한 정보를 나를 수 있다.
다수의 PDCCH는 하나의 제어 영역에서 전송될 수 있다. UE는 다수의 PDCCH를 모니터할 수 있다. PDCCH는 하나 이상의 연속된 제어채널요소(CCE: Control Channel Element)들 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CCE는 무선 채널의 상태에 기반하여 PDCCH를 하나의 코딩율로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논리적 할당 자원이다. CCE는 다수의 자원요소그룹(REG)에 대응된다. PDCCH의 포맷 및 상기 PDCCH의 가용한 비트의 개수는 CCE에서 제공되는 코딩율 및 CCE의 개수 간 상관관계에 따라 결정된다. 기지국은 UE에 전송될 DCI에 따라 PDCCH 포맷을 결정하고, 제어 정보에 CRC를 붙인다.
CRC는 PDCCH의 사용방법 또는 소유자에 따라 고유의 식별자(RNTI: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와 함께 마스크된다. PDCCH가 특정 UE를 위한 것이면, UE의 고유 식별자(예를 들어, C-RNTI: Cell-RNTI)는 CRC에 마스킹된다. PDCCH가 페이징 메시지를 위한 것이면, 페이징 지시자 식별자(예를 들어, P-RNTI: Paging-RNTI)가 CRC에 마스킹된다. 또한, PDCCH가 시스템 정보(특히, 시스템 정보 블록)를 위한 것이면, 시스템 정보 식별자 및 시스템 정보 RNTI(S-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UE의 임의접속 프리엠블의 수신에 대한 응답인 임의접속 응답을 지시하기 위해, 임의접속 RNTI(RA-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반송파 집성 환경에서는 PDCCH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자원할당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DCCH는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통해 전송되지만, 하나 이상의 PDSCH 및 PUSCH에 대한 자원할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복수(예, 2개)의 슬롯을 포함한다. 슬롯은 CP 길이에 따라 서로 다른 수의 SC-FDMA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주파수 영역에서 데이터 영역과 제어 영역으로 구분된다. 데이터 영역은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를 포함하고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제어 영역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를 포함하고 상향링크 제어 정보(UCI: Uplink Control Information)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PUCCH는 주파수 축에서 데이터 영역의 양끝 부분에 위치한 RB 쌍(RB pair)을 포함하며 슬롯을 경계로 호핑한다. LTE 시스템에서 단말은 단일 반송파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PUCCH 신호와 PUSCH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다.
하나의 단말에 대한 PUCCH는 서브프레임에서 RB 쌍(pair)으로 할당되고, RB 쌍에 속하는 RB들은 2개의 슬롯들의 각각에서 서로 다른 부반송파를 차지한다. 이를 PUCCH에 할당되는 RB 쌍이 슬롯 경계(slot boundary)에서 주파수 도약(frequency hopping)된다고 한다.
PUCCH는 다음의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 SR(Scheduling Request): 상향링크 UL-SCH 자원을 요청하는데 사용되는 정보이다. OOK(On-Off Keying)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 HARQ ACK/NACK: PDSCH 상의 하향링크 데이터 패킷에 대한 응답 신호이다. 하향링크 데이터 패킷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단일 하향링크 코드워드에 대한 응답으로 ACK/NACK 1비트가 전송되고, 두 개의 하향링크 코드워드에 대한 응답으로 ACK/NACK 2비트가 전송된다.
-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하향링크 채널에 대한 피드백 정보이다.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관련 피드백 정보는 RI(Rank Indicator) 및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를 포함한다. 서브프레임 당 20비트가 사용된다.
단말이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할 수 있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UCI)의 양은 제어 정보 전송에 가용한 SC-FDMA의 개수에 의존한다. 제어 정보 전송에 가용한 SC-FDMA는 서브프레임에서 참조 신호 전송을 위한 SC-FDMA 심볼을 제외하고 남은 SC-FDMA 심볼을 의미하고, SRS(Sounding Reference Signal)가 설정된 서브프레임의 경우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SC-FDMA 심볼도 제외된다. 참조 신호는 PUCCH의 코히어런트 검출에 사용된다. PUCCH는 전송되는 정보에 따라 7개의 포맷을 지원한다.
표 1은 LTE에서 PUCCH 포맷과 UCI의 맵핑 관계를 나타낸다.
Figure 112012054496881-pct00001
2. 채널 품질 지시자( CQI : Channel Quality Indicator )
(1) CQI 개론( Overview )
효율적인 통신을 위해서 네트워크 개체들은 채널 정보를 서로 피드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하향링크의 채널정보는 상향링크로 피드백되며, 상향링크의 채널정보는 하향링크로 피드백된다. 이러한 채널정보를 채널 품질 지시자(CQI)라 부른다.
CQI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QI는 채널상태를 그대로 양자화한 정보로 생성되거나, SINR(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을 계산한 정보로 생성되거나, MCS(Modulation Coding Scheme)와 같이 채널이 실제 적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로 생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MCS 정보를 기반으로 CQI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어, 3GPP에서 HSDPA등의 전송 방식을 위한 CQI 생성을 들 수 있다. MCS 정보는 변조 방식, 부호화 방식 및 이에 따른 부호화율(coding rate)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CQI가 MCS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하는 경우, CQI는 변조방식 및/또는 부호화 방식이 변하게 되면 이에 따라 변경되어야 한다. 즉, CQI는 부호어(codeword) 단위당 최소 한 개는 필요하다.
또한, 네트워크에 MIMO(Multi-Input Multi-Output) 시스템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필요한 CQI의 개수도 변하게 된다. MIMO 시스템은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여 다중채널을 생성하므로 여러 개의 부호어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부호어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CQI의 개수 또한 증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CQI의 개수가 증가하는 경우, 네트워크 개체들이 전송해야하는 제어정보의 양은 비례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도 5는 상향링크 CQI 전송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은 하향링크 채널을 모니터링 하면서 하향링크 채널 품질을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선택된 CQI 값을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기지국은 보고된 CQI 값에 따라서 하향링크 스케쥴링(e.g. 단말선택, 자원할당 등)을 수행한다.
CQI 값은 채널의 SINR, CINR(Carrier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BER(Bit Error Rate) 및/또는 FER(Frame Error Rate) 등과 이를 전송 가능한 데이터로 환산한 값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MIMO 시스템에서는 피드백 정보에 랭크 정보(RI: Rank Information), 프리코딩 행령 정보(PMI: Precoding Matrix Information)등이 채널 상태를 반영하는 정보로 CQI 값에 추가될 수 있다.
(2) CQI 의 주파수 대역 특성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의 채널 용량(Channel Capacity)을 최대한 사용하기 위해 링크 적용(Link Adaptation)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링크 적용 기법은 주어진 채널에 따라 MCS 및 전송 전력을 조절하는 기법이다. 기지국에서 링크 적용 기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단말로부터 CQI 정보를 피드백 받는 것이 필요하다.
만약,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상관 대역폭(Coherence Bandwidth)을 넘어서면, 하나의 대역폭 내에서 채널이 급격한 변화를 보이게 된다. 직교주파수분할다중화(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시스템과 같은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는 주어진 대역폭 안에 부반송파(sub-carrier)가 여러 개가 존재한다. 이때, 각각의 부반송파를 통하여 변조된(modulated) 심볼이 전송되므로, 채널 신호를 최적으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각 부반송파 마다 채널 신호를 전송하면된다. 그러나, 부반송파의 개수가 다수 개인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는 부반송파마다 채널 정보를 피드백해야 하므로, 피드백되는 채널 정보(e.g. 제어 신호)가 급격하게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신호의 낭비(control overhead)를 줄이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여러 가지 CQI 생성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3) 채널 품질 지시자 생성 방법
채널 신호의 전송량이 증가함에 따라 함께 증가하는 CQI의 정보량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CQI 생성 방법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1) 첫 번째로 채널 정보 전송의 단위를 변경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부반송파 여러 개를 하나의 부반송파 그룹으로 묶고, 그룹 단위로 CQI를 전송할 수 있다. 즉, 2048 개의 부반송파를 사용하는 OFDM 시스템에서 12개의 부반송파를 하나의 부반송파 그룹으로 형성하면, 총 171 개의 부반송파 그룹이 형성된다. 따라서, 실제 전송되는 채널 정보의 양은 2048개에서 171개로 줄어 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하나 개 이상의 부반송파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고, 부반송파 그룹 단위로 CQI를 보고하는 방법의 기본단위를 CQI 부반송파그룹 또는 CQI 서브밴드(subband: SB CQI)라고 정의한다. 또한, 주파수 대역이 부반송파 별로 구분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전체 주파수 대역을 일부 주파수 대역으로 나누고, 나누어진 주파수 대역을 기준으로 CQI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CQI 생성을 위해 나뉘어진 주파수 대역을 CQI 서브밴드라 정의할 수 있다.
2) 두 번째로 채널 정보를 압축하여 채널품질지시자(CQI)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FDM 방식에서 매 부반송파 마다의 채널 정보를 압축방식을 사용하여 압축하여서 전송하는 방식이다. 상기 압축방식으로는 DCT(Discrete Cosine Transform)과 같은 방법들을 고려할 수 있다.
3) 세 번째로 채널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특정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특정 주파수 대역에 대한 CQI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FDM 시스템과 같이 모든 부반송파마다 채널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부반송파 또는 부반송파 그룹 중에서 제일 좋은 임의 개수(e.g. M)의 부반송파를 골라서 전송하는 최적 M(Best-M) 방식 등이 있다.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여 CQI를 생성 및 전송할 때, 실제 전송되는 채널 정보는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CQI 값 부분이고 다른 하나는 CQI 인덱스 부분이다.
(4) 주파수 대역 선택적 채널 품질 지시자 생성 방법
이하에서는 주파수 대역 선택적 CQI 생성 및 전송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주파수 대역을 선택적으로 선택하여 CQI를 생성하는 방법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주파수 대역 선택적 CQI 생성 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방법이 있다. 첫째는 CQI를 생성할 주파수 대역(즉, CQI 서브밴드)을 선택하는 방법이다. 둘째는 선택된 주파수 대역들의 CQI 값들을 조작(manipulation)하여 제어 정보를 생성 및 전송하는 방법이다. 셋째는 선택된 주파수 대역(즉, CQI 서브밴드)들의 인덱스를 전송하는 방법이다.
도 6에서는 CQI 서브밴드를 선택하는 방법들로서 i)최적 M 방법과 ii)임계값 기반 선택 방법이 있다. 최적 M기법은 네트워크 개체들이 채널 상태가 좋은 M 개의 CQI 서브밴드를 선택하는 것이다. 도 6에서는 서브밴드들 중 채널상태(즉, CQI 값이 높은)가 좋은 3개의 CQI 서브밴드를 선택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CQI 값이 높은 3 개의 서브밴드는 CQI 인덱스 5, 6, 9번 서브밴드로서, 해당 서브밴드들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임계값 기반(threshold-based) 방식은 정해진 임계값보다 높은 채널 상태를 갖는 CQI 서브밴드를 선택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소정의 임계값보다 높은 CQI 서브밴드는 5번 및 6번 CQI 인덱스이므로, 사용자는 5번 및 6번의 CQI 서브밴드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둘째로 CQI 값들을 조작하여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으로는 iii) 개별(Individual) 전송 방법 및 iv) 평균(Average) 전송 방법이 있다. 개별 전송 방법은 i) 방법에서 선택된 CQI 서브밴드의 모든 CQI 값들을 개별적으로 전송하는 방법이다. 개별 전송 방법은 선택된 CQI 서브밴드의 개수가 많아지면 이에 따라 전송해야할 CQI 값들도 증가한다.
평균 전송 방법은 선택된 CQI 서브밴드의 CQI 값들의 평균값을 전송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평균 전송 방법은 선택된 CQI 서브밴드의 개수에 상관없이 전송할 CQI 값은 하나인 장점이 있다. 그러나, 여러 CQI 서브밴드의 평균을 전송함으로써, 각 서브밴드별 CQI 값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여기서, 평균 방법은 단순 산술 평균(Arithmetic average)일수도 있고, 채널 용량(channel capacity)를 고려한 평균일 수도 있다.
또한, CQI 서브밴드의 인덱스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v) 비트맵 인덱스 방법 및 vi)조합 인덱스(Combinatorial Index) 방법이 있다. 비트맵 인덱스 방법은 모든 CQI 서브밴드마다 하나씩의 비트를 할당하고, 해당 CQI 서브밴드가 선택되면 해당 비트를 '1'로 설정하고 아니면 '0'으로 설정하는 방법이다. 비트맵 인덱스 방법은 어느 CQI 서브밴드가 사용되는지를 쉽게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비트맵 인덱스 방법은 몇개의 CQI 서브밴드가 사용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수의 비트수를 사용해야 한다.
조합 인덱스 방법은 몇개의 CQI 서브밴드가 사용될지 여부를 미리 결정하고, 총 CQI 서브밴드 중에서 사용되는 CQI 서브밴드의 개수 만큼의 조합을 각각의 인덱스에 매핑시키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총 N개의 CQI 서브밴드가 존재하고, N 개 중 M개의 CQI 서브밴드 인덱스가 사용되는 경우에 가능한 조합의 총수는 다음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12054496881-pct00002
수학식 1에서 도출되는 경우의 수를 나타내기 위한 비트 수는 다음 수학식 2를 통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2054496881-pct00003
도 6을 참조하면, CQI 서브밴드의 총 개수는 11개이고, 3개의 CQI를 선택하기 위해 수학식 1 및 2를 이용하면, 11C3=165이고, 165개를 나타내기 위한 비트수는 8 비트이다(2711C3 ≤28).
(5) CQI 전송량 증대 방법
네트워크 개체들이 전송하는 CQI의 개수는 다양한 차원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먼저 공간 차원에서의 CQI 증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MIMO 시스템에서는 여러 개의 레이어(Layer)를 통해서 여러 개의 코드워드를 전송하는 경우에, 코드워드에 따라 여러 개의 CQI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3GPP LTE 시스템에서는 MIMO에서 최대 2 개의 코드워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는 2개의 CQI가 필요하게 된다. 만약, 하나의 CQI가 4비트로 구성되고, 코드워드가 2개라면 CQI는 총 8개의 비트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CQI는 채널상태를 알려주는 모든 사용자가 전송하게 되므로, 전체 무선 자원의 관점에서 보면 CQI로 인한 오버헤드가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CQI의 정보비트의 크기를 줄이는 것이 네트워크의 전체 채널 용량 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주파수 차원에서의 CQI 증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만약, 수신측에서는 채널 상태가 가장 좋은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주파수만을 전송하며, 송신측에서도 선택한 주파수 대역만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CQI는 오직 한 개의 대역에서만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단일 사용자 환경에서는 적합하지만,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는 채널 상태가 가장 좋은 주파수를 모든 사용자에게 할당할 수 없으므로 적합하지 않다.
CQI가 오직 한 개의 선호 대역에서만 전송되는 경우의 스케줄링 과정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보다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중 사용자가 선호하는 주파수 대역이 서로 겹치지 않는다면 문제가 없지만 특정 주파수 대역을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가장 좋은 채널환경으로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사용자 이외의 사용자들은 해당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여기서, 만일 각 사용자가 한 개의 선호 주파수 대역만을 전송한다면, 앞서 선택되지 않은 사용자들은 서비스를 받을 기회가 원천적으로 봉쇄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다중 사용자 다이버시티 이득을 효과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여러 주파수 대역에 대한 CQI전송이 필요하게 된다.
여러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CQI를 전송하는 경우, 선택된 주파수 대역만큼 CQI 전송 정보량이 증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이 채널상태가 좋은 순서대로 세 개의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고 각각의 CQI와 주파수 대역 지시자를 전송하면, CQI의 전송량은 3배가 된다. 또한, 사용자들이 선택한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기 위한 추가적인 지시자의 전송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공간 및 주파수 모두를 고려한 차원에서 CQI를 고려할 수 있다. 공간차원에서 CQI가 여러 개 필요하며, 주파수 차원에서도 CQI가 여러 개가 필요할 수 있다.
또한, 기타 차원에서의 CQI의 증가가 고려 가능하다. 예를 들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이 사용되면, 각 확산 부호별로 신호세기 및 간섭량 등의 변화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각 확산부호에 따라 CQI가 송수신될 수 있다. 따라서, 확산 부호 차원에서 CQI 개수가 증가될 수 있다.
이렇게 각 차원별로 증가되는 CQI의 전송량을 줄이기 위해서, 차분 CQI(Differential CQI)라는 개념을 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하나의 CQI는 정상적으로 전송하고, 나머지 CQI들은 처음의 CQI와의 차이만을 전송할 수 있다. 즉, 하나의 기준 CQI 값을 기반으로 차이값만을 전송하므로 전체 CQI 정보의 양은 줄일 수 있다. 차분 CQI는 변복조 방식에서의 차분변조(Differential Modulation)과 비슷한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러 개의 CQI를 차분 방식으로 나타내는 경우에, CQI 기준값에는 많은 비트수를 할당하고, 차분값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비트수를 할당함으로써 전체 전송되는 CQI의 전송량을 줄일 수 있다.
(6) CQI 전송모드
3GPP LTE 시스템에서 CQI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상향링크 채널은 다음 표 2와 같다.
Figure 112012054496881-pct00004
표 2를 참조하면, CQI는 상위 계층에서 정한 주기로 물리상향링크 제어채널(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고, 스케줄러의 필요에 따라 비주기적으로 물리상향링크 공유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CQI가 PUSCH로 전송되는 경우는 주파수 선택적인 스케줄링 방식 및 비주기적 CQI 전송인 경우에만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스케줄링 방식 및 주기성에 따른 CQI 전송 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1) CQI 전송 요청 제어 신호( CQI request ) 수신 후 PUSCH 를 통한 CQI / PMI / RI 전송
PDCCH 신호로 전송되는 PUSCH 스케줄링 제어신호(UL Grant)에 CQI를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제어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 표 3은 PUSCH를 통해 CQI,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PMI: Precoding Matrix Index), 랭크 지시자(RI: Rank Indicator)를 전송할 때의 단말의 모드를 나타낸다.
Figure 112012054496881-pct00005
표 3의 전송 모드는 상위 레이어에서 선택되며, CQI/PMI/RI는 모두 같은 PUSCH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다. 이하에서는, 각 모드에 따른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모드 1-2(Mode 1-2)는 각각의 서브밴드에 대해서 데이터가 서브밴드만을 통해서 전송된다는 가정하에 프리코딩 행렬을 선택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단말은 시스템 대역 또는 상위 레이어에서 지정한 대역(set S) 전체에 대해서 선택한 프리코딩 행렬을 가정하여 CQI를 생성한다. 모드 1-2에서 단말은 CQI와 각 서브밴드의 PMI 값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각 서브밴드의 크기는 시스템 대역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모드 2-0(Mode 2-0)인 단말은 시스템 대역 또는 상위 레이어에서 지정한 지정 대역(set S)에 대해서 선호하는 M개의 서브밴드를 선택할 수 있다. 단말은 선택한 M개의 서브밴드에 대해서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가정하에 하나의 CQI 값을 생성할 수 있다. 단말은 추가로 시스템 대역 또는 set S에 대해서 하나의 CQI (wideband CQI) 값을 보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말은 선택한 M개의 서브밴드들에 대해서 다수 개의 코드워드가 있을 경우, 각 코드워드에 대한 CQI 값을 차분 형식으로 정의한다.
이때, 차분 CQI 값은 선택한 M개의 서브밴드에 대한 CQI 값에 해당하는 인덱스와 광대역 CQI(WB-CQI: Wideband CQI) 인덱스의 차이값으로 결정된다.
모드 2-0인 단말은 선택한 M개의 서브밴드의 위치에 대한 정보, 선택한 M개의 서브밴드들에 대한 하나의 CQI 값 및 전 대역 또는 지정 대역(set S)에 대해서 생성한 CQI 값을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브밴드의 크기 및 M값은 시스템 대역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모드 2-2(Mode 2-2)인 단말은 M개의 선호하는 서브밴드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가정하에, M개의 선호 서브밴드의 위치와 M개의 선호 서브밴드에 대한 단일 프리코딩 행렬을 동시에 선택할 수 있다. 이때, M개의 선호 서브밴드에 대한CQI 값은 코드워드마다 정의된다. 또한, 단말은 추가로 시스템 대역 또는 지정 대역(set S)에 대해서 광대역 CQI(wideband CQI) 값을 생성한다.
모드 2-2인 단말은 M개의 선호하는 서브밴드의 위치에 대한 정보, 선택된 M개의 서브밴드들에 대한 하나의 CQI 값, M개의 선호하는 서브밴드에 대한 단일 PMI, 광대역 PMI, 광대역 CQI 값을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브밴드의 크기 및 M 값은 시스템 대역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모드 3-0(Mode 3-0)인 단말은 광대역 CQI 값을 생성한다. 단말은 각 서브밴드를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가정하에 각 서브밴드에 대한 CQI 값을 생성한다. 이때, RI > 1이더라도 CQI 값은 첫 번째 코드워드에 대한 CQI 값만을 나타낸다.
모드 3-1(Mode 3-1)인 단말은 시스템 대역 또는 지정대역(set S)에 대해서 단일 프리코딩 행렬(precoding matrix)을 생성한다. 단말은 각 서브밴드에 대해서 앞서 생성한 단일 프리코딩 행렬을 가정하고, 코드워드 별로 서브밴드 CQI를 생성한다. 또한, 단말은 단일 프리코딩 행렬을 가정하고 광대역 CQI를 생성할 수 있다. 각 서브밴드의 CQI 값은 차분 형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서브밴드 CQI 값은 서브밴드 CQI 인덱스와 광대역 CQI 인덱스의 차이값으로 계산된다. 이때, 서브밴드의 크기는 시스템 대역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2) PUCCH 를 통한 주기적인 CQI / PMI / RI 전송
단말은 제어신호(e.g. CQI/PMI/RI 정보)를 PUCCH를 통하여 기지국에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만약, 단말이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라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에는, 단말은 PUSCH를 통하여 CQI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신호가 PUSCH를 통하여 전송되더라도 CQI/PMI/RI는 다음 표 4에서 정의된 모드들 중 하나의 방식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Figure 112012054496881-pct00006
단말은 표 4와 같은 전송 모드를 가질 수 있다. 표 4를 참조하면, 모드 2-0(Mode 2-0) 및 모드 2-1(Mode 2-1)의 경우, 대역폭 파트(BP: Bandwidth Part)는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적으로 위치한 서브밴드들의 집합이며 시스템 대역 또는 지정대역(set S)를 모두 커버할 수 있다. 표 3에서 각 서브밴드의 크기, BP의 크기 및 BP의 개수는 시스템 대역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시스템 대역 또는 지정대역(set S)을 커버할 수 있도록 BP 별로 CQI를 주파수 영역에서 오름차순으로 전송한다.
CQI/PMI/RI의 전송 조합에 따라, 단말은 다음과 같은 4개의 전송 타입을 가질 수 있다.
i) 제 1 타입(Type 1): 모드 2-0(Mode 2-0), 모드 2-1(Mode 2-1)의 서브밴드 CQI(SB-CQI)를 전송한다.
ii) 제 2 타입(Type 2): 광대역 CQI 및 PMI(WB-CQI/PMI)를 전송한다.
iii) 제 3 타입(Type 3): RI를 전송한다.
iv) 제 4 타입(Type 4): 광대역 CQI를 전송한다.
단말이 RI와 광대역 CQI/PMI를 전송하는 경우, CQI/PMI는 서로 다른 주기와 오프셋을 가지는 서브프레임에 전송된다. 또한, RI와 광대역 CQI/PMI가 같은 서브프레임에 전송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CQI/PMI는 전송되지 않는다.
표 4에서 광대역 CQI/PMI 및 서브밴드 CQI의 전송 주기는 P이고, 다음의 특징을 갖는다.
- 광대역 CQI/PMI는 H*P의 주기를 갖는다. 이 때, H=J*K+1이고, J는 BP의 개수, K는 BP의 전체 주기의 횟수이다. 즉, 단말은 {0, H, 2H, …}에 전송한다.
- 광대역 CQI/PMI를 전송하는 시점이외의 J*K 시점에서는 CQI를 전송한다.
표 4에서 RI의 전송 주기는 광대역 CQI/PMI 주기의 M 배이며, 다음의 특징을 갖는다.
- RI와 광대역 CQI/PMI의 오프셋은 O이고, RI와 광대역 CQI/PMI가 동일한 서브프레임에 전송되는 경우 광대역 CQI/PMI는 전송되지 않는다.
표 4에서 개시된 파라미터 P, H, K 및 O는 모두 단말의 상위 레이어에서 결정하여 단말의 물리계층으로 시그널링된다.
이하에서는 표 4를 참고하여, 단말의 모드에 다른 피드백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말이 모드 1-0(Mode 1-0)이고 RI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경우, 단말은 시스템 대역 또는 지정 대역(set S)에 대하여 RI를 생성하고, RI를 전송하기 위한 제 3 타입 리포트를 기지국에 전송한다. 단말이 CQI를 전송하는 경우, 광대역 CQI를 전송한다.
단말이 모드 1-1(Mode 1-1)이고 RI를 전송하는 경우, 시스템 대역 또는 지정 대역(set S)에 대하여 RI를 생성하고, RI를 전송하기 위한 제 3 타입 리포트를 기지국에 전송한다. 단말이 CQI/PMI를 전송하는 경우, 가장 최근에 전송한 RI를 고려하여 단일 프리코딩 행렬을 선정한다. 즉, 단말은 광대역 CQI, 단일 프리코딩 행렬, 차분 광대역 CQI로 구성된 제 2 타입 리포트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단말이 모드 2-0(Mode 2-0)이고 RI를 전송하는 경우, 시스템 대역 또는 지정 대역(set S)에 대하여 RI를 생성하고, RI를 전송하기 위한 제 3 타입 리포트를 기지국에 전송한다. 단말이 광대역 CQI를 전송하는 경우, 가장 최근에 전송한 RI를 가정하여 광대역 CQI를 생성하고 제 4 타입 리포트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단말은 선택한 서브밴드에 대한 CQI를 전송하는 경우, 단말은 N개의 서브밴드로 구성된 J개의 BP에 대해서 가장 선호하는 서브밴드를 선택하여, 제 1 타입 리포트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제 1 타입 리포트는 BP에 따라서 1개 이상의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이 모드 2-1(Mode 2-1)이고 RI를 전송하는 경우, 시스템 대역 또는 지정대역(set S)에 대하여 RI를 생성하고, RI를 전송하기 위한 제 3 타입 리포트를 기지국에 전송한다. 단말이 광대역 CQI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경우, 가장 최근에 전송한 RI를 고려하여 광대역 CQI를 생성하고 제 4 타입 리포트를 기지국에 전송한다. 선택된 서브밴드들에 대한 CQI가 전송되는 경우, 단말은 Nj개로 구성된 J개의 BP에 대해서, 가장 최근에 전송한 PMI/RI를 고려하여 BP 내에 선택된 서브밴드들에 대한 단일 CQI 값과, RI가 1보다 큰 경우에는 가장 최근에 전송한 RI와 선택된 서브밴드에 단일 프리코딩 행렬을 사용한 것을 가정하여 코드워드의 CQI 차이를 생성하여 제 1 타입 리포트를 기지국에 전송한다.
3. 멀티캐리어 환경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고려하는 통신 환경은 멀티캐리어(Multi-carrier) 지원 환경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멀티캐리어 시스템 또는 반송파 집성 시스템(carrier aggregation system)이라 함은 광대역을 지원하기 위해서 목표로 하는 광대역을 구성할 때, 목표 대역보다 작은 대역폭(bandwidth)을 가지는 1개 이상의 캐리어(carrier)를 결합(aggregation)하여 사용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멀티 캐리어는 반송파의 집성(또는, 캐리어 결합)을 의미하며, 이때 반송파 집성은 인접한 캐리어 간의 결합뿐 아니라 비 인접한 캐리어 간의 결합을 모두 의미한다. 또한, 캐리어 결합은 반송파 집성, 대역폭 결합 등과 같은 용어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컴포넌트 캐리어(CC: Component Carrier)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멀티캐리어(즉, 반송파 집성)는 LTE-A 시스템에서는 100MHz 대역폭까지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목표 대역보다 작은 대역폭을 가지는 1개 이상의 캐리어를 결합할 때, 결합하는 캐리어의 대역폭은 기존 IMT 시스템과의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 유지를 위해서 기존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대역폭으로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3GPP LTE 시스템(LTE R-8 시스템)에서는 {1.4, 3, 5, 10, 15, 20}MHz 대역폭을 지원하며, 3GPP LTE_advanced 시스템(즉, LTE_A)에서는 LTE에서 지원하는 상기의 대역폭들을 이용하여 20MHz보다 큰 대역폭을 지원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멀티캐리어 시스템은 기존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대역폭과 상관없이 새로운 대역폭을 정의하여 캐리어 결합(즉, 반송파 집성 등)을 지원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은 LTE 시스템의 컴포넌트 캐리어(CC) 및 LTE_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멀티 캐리어 결합(반송파 집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단일 캐리어 구조를 나타낸다. 컴포넌트 캐리어에는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DL CC)와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UL CC)가 있다.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는 20MHz의 주파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도 7(b)는 LTE_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멀티 캐리어 구조를 나타낸다. 도 7(b)의 경우에 20MHz의 주파수 크기를 갖는 3 개의 컴포넌트 캐리어가 결합된 경우를 나타낸다. 멀티 캐리어 집성의 경우 단말은 3 개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고, 하향링크 신호/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상향링크 신호/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만약, 특정 기지국(eNB: e-NodeB) 영역에서 N개의 DL CC가 관리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는 단말에 M (M≤N)개의 DL CC를 할당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M 개의 제한된 DL CC 만을 모니터링하고, DL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L (L≤M≤N)개의 DL CC에 우선순위를 주어 주된 DL CC로 단말에 할당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UE는 L 개의 DL CC는 반드시 모니터링해야한다. 이러한 방식은 상향링크 전송에도 적용될 수 있다.
LTE-A 시스템은 무선 자원을 관리하기 위해 셀(cell)의 개념을 사용한다. 셀은 하향링크 자원과 상향링크 자원의 조합으로 정의되며, 상향링크 자원은 선택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은 하향링크 자원 단독, 또는 하향링크 자원과 상향링크 자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멀티캐리어(즉, 캐리어 병합)가 지원되는 경우, 하향링크 자원의 캐리어 주파수(또는, DL CC)와 상향링크 자원의 캐리어 주파수(또는, UL CC) 사이의 링키지(linkage)는 시스템 정보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셀은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들로 구성되며,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셀은 프라이머리 셀(PCell: Primary Cell) 및 세컨더리 셀(SCell: Secondary Cell)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P셀은 프라이머리 주파수(또는, primary CC) 상에서 동작하는 셀을 의미하고, S셀은 세컨더리 주파수(또는, Secondary CC) 상에서 동작하는 셀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특정 단말에는 P셀은 하나만 할당되며, S셀은 하나 이상 할당될 수 있다.
P셀은 단말이 초기 연결 설정(initial connection establishment) 과정을 수행하거나 연결 재-설정 과정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P셀은 핸드오버 과정에서 지시된 셀을 지칭할 수도 있다. S셀은 RRC 연결이 설정이 이루어진 이후에 구성이 가능하며 추가적인 무선 자원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P셀과 S셀은 서빙 셀로 사용될 수 있다. RRC_CONNECTED 상태에 있지만 캐리어 병합이 설정되지 않았거나 캐리어 병합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의 경우, P셀로만 구성된 서빙 셀이 단 하나 존재한다. 반면, RRC_CONNECTED 상태에 있고 캐리어 병합이 설정된 단말의 경우 하나 이상의 서빙 셀이 존재할 수 있으며, 전체 서빙 셀에는 P셀과 하나 이상의 S셀이 포함된다.
초기 보안 활성화 과정이 시작된 이후에, E-UTRAN은 연결 설정 과정에서 초기에 구성되는 P셀에 부가하여 하나 이상의 S셀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멀티캐리어 환경에서 P셀 및 S셀은 각각의 컴포넌트 캐리어로서 동작할 수 있다. 즉, 반송파 정합은 P셀과 하나 이상의 S셀의 결합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PCC)는 P셀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세컨더리 컴포넌트 캐리어(SCC)는 S셀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크로스 컴포넌트 캐리어 스케줄링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LTE Rel-8 규격에서 정의하는 PDCCH 구조 및 DCI 포맷에서는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지원하지 않는다. 즉, LTE Rel-8의 DCI 포맷과 PDCCH 전송 구조(동일 코딩 방법 및 동일 CCE 기반의 자원 맵핑)를 그대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 캐리어 상의 PDCCH는 PDSCH 자원들을 동일한 컴포넌트 캐리어에 할당하고, PUSCH 자원들을 연계된 UL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 할당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캐리어 지시자 필드(CIF: Carrier Indicator Field)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관련된 PDSCH 전송과 UL A/N, PUSCH 전송 및 PHICH 전송 방법도 LTE Rel-8 규격의 내용을 그대로 따르게 된다.
LTE-A 규격에서 정의하는 PDCCH 구조 및 DCI 포맷에서는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지원할 수 있다. 즉, PDCCH(DL Grant)와 PDSCH가 각각 다른 DL CC로 전송될 수 있거나, DL CC에서 전송된 PDCCH(UL Grant)에 따라서 전송되는 PUSCH가 UL 그랜트를 수신한 DL CC와 연계되어 있는 UL CC가 아닌 다른 UL CC를 통해 전송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PDCCH에 해당 PDCCH가 지시하는 PDSCH/PUSCH가 어느 DL/UL CC를 통해서 전송되는지를 알려주는 캐리어 지시자 필드(CIF)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PDCCH는 PDSCH 자원 또는 PUSCH 자원을 캐리어 지시자 필드를 이용하여 다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들 중 하나에 할당할 수 있다. 이를 위해 LTE-A 시스템의 DCI 포맷은 1 내지 3 비트의 CFI에 따라 확장될 수 있으며, LTE Rel-8의 PDCCH 구조를 재사용할 수 있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의 허용 여부는 단말 특정(UE-specific), 단말 그룹 특정(UE group-specific) 또는 셀 특정(Cell-specific)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크로스 케리어 스케줄링의 동작을 반정적(semi-static)으로 변경(toggling)함으로써 시그널링 오버헤드(signaling overhead)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의 허용, 즉 활성화/비활성화(activation/de-activation)에 따른 CIF의 크기는 반정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는, LTE Rel-8에서 단말 특정 전송 모드가 반 정적으로 결정되는 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통신 환경에 따라 CIF의 크기는 3비트로서 고정될 수 있으며, 이때 CIF의 위치는 DCI 포맷의 크기에 불문하고 고정될 수 있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이 비활성화된 경우에는 PDCCH 모티터링 집합이 항상 UE DL CC 집합과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PDCCH 모니터링 셋에 대한 별도의 시그널링과 같은 지시가 필요하지 않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이 활성화된 경우에는 PDCCH 모니터링 집합이 UE DL CC 집합 내에서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PDCCH 모니터링 셋에 대한 별도의 시그널링과 같은 지시가 필요하다.
CIF가 존재하는 경우에, 기지국은 단말의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를 줄이기 위해 PDCCH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DL CC 집합을 할당할 수 있다. 이러한 DL CC 집합은 전체 결합된 DL CC들의 일부일 수 있으며, 단말은 할당 받은 DL CC 집합 내에서만 PDCCH를 검출 및 디코딩할 수 있다. 즉, 단말에 PDSCH 및 PUSCH를 스케줄하기 위해 기지국은 DL CC 모니터링 집합을 통해서만 PDCCH들을 전송할 수 있다. PDCCH DL CC 모니터링 집합은 단말 특정, 단말 그룹 특정 또는 셀 특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LTE-A 단말에 대해 3개의 DL CC가 결합된 DL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이때, DL CC A는 PDCCH 모니터링 DL CC로서 구성될 수 있다. 만약, CIF가 활성화되지 않으면, PDCCH 및 PDSCH는 LTE Rel-8 규칙에 따라 스케줄링된 동일 DL CC를 통해 전송된다. 만약, CIF가 활성화되면, PDCCH는 모니터링 DL CC A를 통해 전송되고, PDSCH는 DL CC A 뿐 아니라 DL CC B 및 DL CC C를 통해서도 전송될 수 있다. 다만, PDCCH는 DL CC 모니터링 셋이 아닌 DL CC B 및 C를 통해서는 전송될 수 없다.
4. 복수의 서빙 셀에 대한 CSI 전송 방법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복수의 서빙 셀에 대한 채널상태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 전송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단말은 둘 이상의 서빙 셀이 할당된 경우 PUCCH 상에서 채널상태정보(CSI)를 기지국에 주기적으로 피드백하도록 상위 계층에 의해 반 정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CSI는 CQI, PMI, RI 및/또는 프리코딩 타입 지시자(PTI: Precoding Type Indicator)를 포함할 수 있다.
LTE Rel-8 시스템에서는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CSI 타입을 다음 표 5와 같이 RI, WB-CQI(광대역 CQI)/PMI, SB-CQI(서브밴드 CQI)로 분류하고 있다. 또한, 표 5는 LTE-A 시스템에서 단말이 전송하는 CSI 타입을 각 각 케이스(Case) 별로 나타내고 있다. 각 타입에 따른 CQI 전송 주기를 큰 순서부터 나열하면 RI > WB-CQI/PMI > SB-CQI이다.
Figure 112012054496881-pct00007
표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LTE Rel-8 보다 정교한 채널 적응(channel adaptation) 및 셀 간 간섭을 고려한 셀간 협력 전송(CoMP: Cooperative Multi-Point) 등을 통한 성능 개선을 위해 L-PMI(Long-term PMI)와 S-PMI(Short-term PMI)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L-PMI의 전송 주기는 S-PMI의 전송 주기보다 긴 것을 가정한다. 이때, L-PMI는 제 1 PMI(1st PMI)로, S-PMI는 제 2 PMI(2nd PMI)로 불릴 수 있다.
L-PMI 및 S-PMI를 감안한 LTE-A를 위한 CSI 타입은 표 5에 제시된 가능한 케이스(case)들 중에서 특정 케이스를 기반으로 적용될 수 있다. 표 5에서 제 N 타입 CSI는 제 N+1 타입 CSI에 비해 큰 CSI 전송 주기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 N 타입 CSI가 제 N+1 타입 CSI에 비해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것을 가정한다. 즉, CSI 전송 주기가 긴 순서대로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특정 케이스를 기반으로 각 DL CC의 CSI 전송을 위한 CSI 타입 및 개수는 DL CC별로 독립적으로 설정됨을 가정하였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 5의 Case #1의 경우가 적용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LTE-A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CC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이를 위해 단말로부터 기지국으로 복수의 DL CC에 대한 CSI 전송이 요구된다. 즉 단말은 하나 이상의 서빙 셀에 대한 CSI를 기지국에 전송해야한다. 단말이 제어 채널(e.g. PUCCH)을 통한 주기적인 CSI 전송을 고려할 경우, 복수 DL CC의 CSI 전송을 위한 구성(configuration) 정보(e.g. CSI 전송 주기, CSI 전송 모드 및/또는 CSI 타입 등)는 모든 서빙 셀(e.g. DL CC)에 대하여 또는 서빙셀 그룹별로 동일하거나 혹은 서빙 셀 별로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서빙 셀에 대한 CSI 전송을 위한 PUCCH 인덱스 역시 모든 서빙 셀에 대하여 또는 서빙셀 그룹별로 동일하거나 혹은 서빙셀 별로 다르게 할당될 수 있다.
또한, Rel-8 및 LTE-A 시스템을 비롯한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시,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의 왜곡을 줄이기 위해, 상향링크 전송 신호에 대하여 단일 캐리어(single-carrier) 특성을 유지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복수의 PUCCH가 동일한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되어야 할 경우, 상향링크 전송 신호의 단일 캐리어 특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단말의 동작(UE behavior)을 정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멀티캐리어 결합 환경에서 복수의 서빙 셀(DL CC)에 대한 CSI 전송을 위한 단말의 상향링크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어, 단말이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복수의 PUCCH 또는 PUSCH를 통해 복수의 DL CC에 대한 CSI 전송이 동시에 요구될 경우, 하나의 PUCCH를 통해 하나의 제어정보(즉, CSI)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서 개시한다. 또한, 복수의 CSI들 중에서 특정 CSI만을 전송할 수 있도록 CSI 우선순위에 따른 CSI 드롭(Dropping) 방법을 개시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서빙 셀 타입, CSI 전송 주기 및/또는 CSI 타입에 따라 각 서빙 셀에 대한 CQI를 드롭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컴포넌트 캐리어(CC: Component Carrier)는 셀(Cell) 개념과 혼용될 수 있음을 앞서 설명하였다. 즉, 소정의 서빙 셀은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DL CC)를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UL C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서빙 셀은 하나의 DL CC 및/또는 UL CC로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채널상태정보(CSI)의 우선순위에 따른 CSI 보고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각 서빙 셀(e.g. DL CC) 별로 CSI 정보 전송 및 피드백 모드를 독립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서빙 셀별로 CSI의 내용을 서로 다르게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CSI의 내용이 하나 또는 복수의 CSI 보고 타입(CSI reporting typ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CSI 보고 타입은 PUCCH 포맷과 관련되어 생성될 수 있다.
기지국은 CSI를 보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CSI는 CQI, PMI(제 1 PMI, 제 2 PMI), PTI 및 RI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말이 하나 이상의 서빙 셀을 할당 받은 경우, 단말은 활성화된 모든 서빙 셀에 대해서 주기적으로 CSI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상위계층 시그널을 통해 하나 이상의 서빙 셀에 대한 CSI 보고모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상위계층 시그널을 통해 CQI, PMI, PTI 및 RI 중 하나 이상의 전송주기 및 오프셋 값을 획득할 수 있다(S910).
또한, 단말은 기지국과 하나 이상의 서빙 셀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단말은 하향링크 채널들의 상태를 검색 및 측정할 수 있다(S920).
단말은 활성화된 하나 이상의 서빙 셀들에 대한 채널상태정보(CSI)를 각각의 내용에 따른 전송주기에서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제 1 서빙셀의 CSI 및 제 2 서빙셀의 CSI를 각 CSI 전송 주기에 따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930, S940).
S930, S940 단계에서, 만약 단말이 PUSCH 및 PUCCH 신호 동시 전송모드로 구성된 경우, 단말은 PUCCH 영역을 통해 각 CSI를 기지국에 주기적으로 보고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이 PUSCH 및 PUSCH 신호 동시 전송 모드로 구성되지 않은 경우, 단말은 CSI를 PUSCH 신호에 피기백하여 PUSCH 영역을 통해 CSI를 주기적으로 보고할 수 있다.
다만, 단말이 각 서빙 셀에 대한 CSI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하는 도중에, 각 CSI 정보의 전송주기가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겹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단말이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해야할 CSI가 충돌할 수 있다(S950).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둘 이상의 서빙 셀에 대한 CSI 보고가 겹치는 경우 오직 하나의 서빙 셀에 대한 CSI 만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PUCCH 포맷과 관련된 CSI 보고 타입의 우선순위를 비교하고(S960), 우선순위가 높은 CSI를 선택하여 기지국에 보고하고 나머지 셀들에 대한 CSI는 드롭할 수 있다(S970).
CSI 보고 타입의 우선순위는 셀 타입, CSI 보고 주기, CSI 보고 타입, 단말의 전송모드, CSI 보고 모드 및/또는 PUCCH 포맷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때, CSI 보고 타입은 PUCCH CSI 보고 모드에 따라 전송 주기 및 오프셋들이 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CSI 보고 타입의 우선순위에 따라 단말이 CSI를 드롭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CSI 보고 타입은 CSI 보고 모드에 따른 CSI를 나타내고, CSI 보고 모드를 지원하기 위해 사용된다. 표 5에서 CSI 보고 타입의 우선순위는 CSI 타입 1이 가장 높고 CSI 타입 4가 가장 낮음을 가정하고 있다.
표 5를 참조하면, 케이스 #3의 경우에, CSI 타입 1은 단말이 RL 및 제 1 PMI(L-PMI)를 기지국에 보고하는 경우(즉, CSI 보고 타입 5)를 나타내고, CSI 타입 2는 단말이 WB-CQI 및 제 2 PMI(S-PMI)를 기지국에 보고하는 경우(즉, CSI 보고 타입 2b)를 나타내며, CSI 타입 3은 단말이 SB-CQI를 기지국에 보고하는 경우(즉, CSI 보고 타입 1)를 나타낸다.
또한, 케이스 #6의 경우에, CSI 타입 1은 단말이 RI 및 제 1 PMI(L-PMI)를 기지국에 보고하는 경우(즉, CSI 보고 타입 5)를 나타내고, CSI 타입 2는 단말이 WB-CQI를 기지국에 보고하는 경우(즉, CSI 보고 타입 4)를 나타내며, CSI 타입 3은 단말이 SB-CQI 및 제 2 PMI(S-PMI)를 기지국에 보고하는 경우(즉, CSI 보고 타입 1a)를 나타낸다.
또한, 케이스 #7의 경우에, CSI 타입 1은 단말이 RI를 기지국에 보고하는 경우(즉, CSI 보고 타입 3)를 나타내고, CSI 타입 2는 단말이 WB-CQI 및 제 1 PMI(L-PMI)를 기지국에 보고하는 경우(즉, CSI 보고 타입 2c)를 나타내며, CSI 타입 3은 단말이 SB-CQI 및 제 2 PMI를 기지국에 보고하는 경우(즉, CSI 보고 타입 1a)를 나타낸다. 나머지 케이스들에 따른 CSI 보고 내용은 표 5를 참조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소정 서브프레임(i)에서 제 1 서빙 셀에 대한 CSI 타입 1 및 제 2 서빙 셀에 대한 CSI 타입 2를 동시에 전송해야하는 경우, 단말은 CSI 타입 1의 우선순위가 CSI 타입 2보다 높으므로, 우선순위가 낮은 CSI 타입 2는 드롭(drop)하고, CSI 타입 1만을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S950~S970).
또한, S950 단계에서 CSI 타입 2와 CSI 타입 3의 CSI들이 충돌하는 경우, 단말은 우선순위가 낮은 CSI 타입 3을 드롭하고, CSI 타입 2만을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물론, CSI 타입 1과 CSI 타입 3의 CSI들이 충돌하는 경우에는, 단말은 CSI 타입 1에 대한 CSI를 기지국에 보고하고, CSI 타입 3의 CSI들은 드롭할 수 있다(S950~S970).
표 5에서 CSI 보고 타입에 따른 우선순위를 정리하면, CSI 보고 타입 3 또는 5의 우선순위가 CSI 보고 타입 2b, 2c 또는 4보다 높으며, CSI 보고 타입 2b, 2c 또는 4의 우선순위는 CSI 보고 타입 1 또는 1a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특정 서빙셀의 CSI 보고 타입 3 또는 5에 대한 CSI와 CSI 보고 타입 2b, 2c 또는 4에 대한 CSI가 충돌하면, 낮은 우선순위를 갖는 CSI 보고 타입 2b, 2c 또는 4에 대한 CSI를 드롭하고 CSI 보고 타입 3 또는 5에 대한 CSI만을 기지국에 전송한다. 또한,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CSI 보고 타입 2b, 2c 또는 4의 CSI와 CSI 보고 타입 1 또는 1a의 CSI가 충돌하는 경우, 단말은 우선순위가 낮은 CSI 보고 타입 1 또는 1a에 대한 CSI는 드롭하고 CSI 보고 타입 2b, 2c 또는 4의 CSI는 기지국에 전송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셀 타입에 따른 CSI 드롭핑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에 복수의 서빙 셀(즉, 복수의 DL CC)에 대한 CSI의 전송이 동일 시점에서 요구되는 경우, 단말은 셀 타입(즉, CC 타입)에 따라 P셀(Primary Cell)에 대한 CQI만을 전송하고 나머지 S셀(Secondary Cell)에 대한 CQI는 드롭핑할 수 있다.
안정적인 시스템 정보 전송, 제어 정보 전송 및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위하여 복수의 서빙 셀 중 채널 상태가 좋은 서빙 셀이 앵커(anchor) 셀(즉, anchor DL CC) 또는 PDCCH 모니터링 셀로 설정될 가능성이 높다. 이때, 앵커 셀 또는 PDCCH 모니터링 셀은 P셀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역시 P셀을 통해 우선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감안하여 P셀(즉, 앵커 DL CC 또는 PDCCH 모니터링 DL CC)에 대한 CSI 보고를 우선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도 9에서 DL CC #1은 P셀(Primary Cell)을 나타내고, DL CC #2는 S셀(Secondary Cell)을 나타낸다. P셀에서의 RI, L-PMI, WB-CQI/S-PMI, SB-CQI와 같은 CQI 정보들의 전송 주기는 각각 40, 20, 10, 5ms로 가정하고 S셀의 경우 RI, L-PMI, WB-CQI/S-PMI, SB-CQI의 전송 주기는 각각 48, 24, 12, 6 ms로 가정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각 셀에서의 CQI 정보들의 전송주기가 겹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은 P셀에 대한 CQI 정보만을 기지국에 전송하고, S셀에 대한 CQI 정보는 드롭함으로써 단말의 단일 케리어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CSI 보고 주기에 따른 CSI 드롭핑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에 복수의 서빙 셀(즉, 복수의 DL CC)에 대한 채널상태정보(CSI)의 전송이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요구되는 경우, 단말은 각 CSI의 전송 주기에 따라 CSI를 드롭핑할 수 있다. 즉, 단말은 기지국에 보고되는 CSI 정보들 중에서 가장 빈도가 낮은 CSI 정보를 우선적으로 기지국에 보고하고,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다른 셀에 대한 CSI 정보는 드롭할 수 있다.
CSI 정보의 전송 시점 간격이 너무 커지게 되면 단말의 이동성(UE mobility) 변화에 따라 채널 적응 결과를 신뢰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따라서, CSI 정보의 전송 주기를 감안하여 CSI 전송 주기가 큰 CSI의 전송을 우선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서빙 셀에 대한 CSI의 전송이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동시에 요구되는 경우, 단말은 CSI 보고 모드의 전송 주기가 가장 긴 셀에 대한 CSI만을 전송하고, 상대적으로 전송 주기가 짧은 CSI는 드롭핑할 수 있다. 이때, CQI 타입에 따른 전송 주기의 상대적인 크기는 표 5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복수의 서빙 셀에 대한 CSI 정보의 전송이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동시에 요구되는 경우,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어야할 CSI 보고 모드에 따라 전송 주기가 가장 큰 서빙 셀에 대한 CSI만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1에서 제 1 서빙셀(DL CC#1)은 P셀이고, 제 2 서빙셀(DL CC#2)는 S셀인 것을 가정한다. 또한, P셀 및 S셀에서 전송되는 CSI들의 전송 주기는 도 1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단말은 CSI 타입에 따른 전송 주기가 가장 긴 CSI 정보에 대해서만 CSI 정보를 전송하고, 나머지 CSI 정보는 드롭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표 5에서 케이스 #1에서 CSI 타입에 따른 전송주기가 가장 긴 CSI만을 전송한다. 표 5를 참조하면, RI > L-PMI > WB-CQI/S-PMI > SB-CQI 순으로 전송주기가 길다. 이때, P셀의 CQI 정보라도 S셀의 CQI 정보의 전송 주기가 긴 경우 (예를 들어, SB<LP, LP<SP, SP<SB)에는, 단말은 S셀의 CSI를 전송하고 P셀의 CSI 정보를 드롭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제 1 서빙셀이 P셀이고 제 2 서빙셀이 S셀인 경우를 가정하였으나, 그 이외에 제 1 서빙셀이 S셀일 수 있으며, 제 2 서빙셀이 P셀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CSI 타입에 따른 CSI 드롭핑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에 복수의 서빙 셀에 대한 둘 이상의 CSI 정보의 동시 전송이 요구되는 경우, 단말은 CSI 타입에 따라 CSI를 드롭할 수 있다. CSI 정보의 구성은 서빙 셀(e.g. DL CC)에 따라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셀에서 설정되는 CSI 타입의 개수 M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5의 Case #1이 적용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P셀(DL CC #1)에 대해서는 RI, L-PMI, WB-CQI/S-PMI, SB-CQI의 4가지 모든 CQI 타입이 설정될 수 있고, S셀(DL CC #2)에 대해서는 RI, L-PMI, WB-CQI/S-PMI의 3가지 CSI 타입이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CSI 타입의 개수 M이 동일한 경우에 단말의 CSI 전송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우선 순위가 낮은(즉, 짧은 주기를 갖는) CSI 타입은 우선 순위가 높은(즉, 긴 주기를 갖는) CSI 타입에 의존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CSI 전송의 우선 순위는 CSI 타입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표 5에서 Case #1의 경우가 적용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먼저 랭크(즉, RI)가 결정되고 난 후, 해당 랭크(Rank)에 대응되는 긴 주기 프리코딩(long-term precoding) 코드북 내에서만 L-PMI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결정된 L-PMI에 의해 규정(예를 들어, 프리코더 변환(precoder transform), 서브셋 제한(subset restriction) 등)되는 짧은 주기 프리코딩(short-term precoding) 코드북 내에서만 S-PMI가 결정되고, 이 S-PMI에 의존하여 WB-CQI 및 SB-CQI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우선 순위가 낮은 CSI 타입의 결정은 우선 순위가 높은 CSI 타입이 사전에 결정되어 있어야 의미를 갖게 된다.
도 12에서는 상술한 내용을 감안하여 CSI 타입의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DL CC에 대한 CSI 전송을 우선적으로 보장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에서는 P셀(DL CC #1)과 S셀(DL CC #2)에 대하여 동일한 수의 CSI 타입(즉, M = 4)이 설정되는 경우를 가정하였다. 또한, 각 CSI 타입에 대한 전송 주기는 도 10의 설명과 동일한 경우를 가정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두 서빙셀(DL CC #1, DL CC #2)에 대한 CSI 보고 시점이 동일한 경우, 단말은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어야 할 CSI 타입의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셀에 대한 CSI 정보만을 전송하게 된다. 즉, 단말에 하나 이상의 서빙 셀이 할당되고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둘 이상의 서빙 셀에 대한 CSI 정보를 전송해야 하는 경우, 단말은 CSI 타입의 우선 순위가 높은 서빙 셀에 대한 CSI 정보만을 전송하고 나머지 셀에 대한 CSI 정보는 드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타입 CSI의 우선순위가 다른 타입의 CSI 보다 높으므로, 제 1 타입의 CSI 정보만을 전송하고 나머지 CSI 정보는 드롭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P셀에서 SB가 전송되고 S셀에서는 LP가 전송되는 경우, Case #1에서 LP의 CSI 타입(# 2)이 SB의 CSI 타입(#4)보다 작으므로, 단말은 LP만을 전송하고 SB는 드롭할 수 있다. 또한, SP의 CSI 타입이 SB의 CSI 타입보다 작으므로, 단말은 SP만을 전송하고 SB는 드롭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CSI 타입에 따른 CSI 드롭핑 방법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에 복수의 서빙 셀에 대한 CSI 정보의 동시 전송이 요구되는 경우, 단말은 CSI 타입에 따라 CSI를 드롭할 수 있다. CSI 정보의 구성은 서빙 셀(e.g. DL CC)에 따라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셀에서 설정되는 CSI 타입의 개수 M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이하에서는, CSI 타입의 개수 M이 서로 다른 경우에, 단말의 CSI 전송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에서 P셀(DL CC #1)을 위한 CSI 타입의 개수 M은 4이고, 각 CSI 타입에 대한 전송 주기는 도 10과 동일하다. 다만, S셀(DL CC #2)의 경우 CSI 타입의 개수 M은 3이고, 각 CSI 정보는 RI, L-PMI, WB-CQI/S-PMI이다. 이때, S셀에서 RI, L-PMI, WB-CQI/S-PMI의 전송 주기는 각각 48, 24, 12 ms로 가정한다. 도 13에서, 단말은 CSI 타입의 개수가 가장 작은 셀에 대한 CSI 정보만을 전송할 수 있다. 즉, P셀의 CSI 타입의 개수는 4이고 S셀의 CSI 타입의 개수는 3이므로 단말은 S셀의 CQI 정보와 P셀의 CQI 정보가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경우 S셀의 CQI 정보만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3에서는 케이스별로 CQI 타입의 개수가 가장 적은 서빙 셀에 대한 CSI만을 단말이 기지국에 전송하는 경우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단말은 M 값이 서로 다른 경우에도 도 12에서 설명한 경우와 같이 CSI 타입의 우선 순위에 따라 특정 CSI 정보만을 전송하고, 나머지 CSI 정보는 드롭할 수 있다.
또는, 동일 서브프레임에 전송되어야할 CSI 타입에 RI 또는 L-PMI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단말은 도 12와 같이 동작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도 13과 같이 M값이 가장 작은 서빙셀에 대한 CSI 만을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도 13의 방법과 반대로 M 값이 가장 큰 서빙 셀에 대한 CSI 정보만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단말은 도 13에서 P셀의 CSI 정보만을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동일 서브프레임에 전송되어야할 CSI 타입에 RI 또는 L-PMI가 포함된 경우에는 단말은 도 12와 같이 동작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말은 M 값이 가장 큰 서빙 셀에 대한 CSI만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M 값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서빙 셀에 대한 주파수 선택적(frequency-selective) 스케줄링 여부 및 의존도에 따라 CSI 드롭핑 방법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RI 또는 L-PMI와 같이 우선 순위가 높은 CSI 타입에 대한 전송을 M값에 관계없이 우선적으로 보장해줄 수 있다.
5. 물리 HARQ 지시자 채널( PHICH : 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 할당 방법
(1) LTE Rel -8 시스템에서의 PHICH 할당 방법
LTE Rel-8 시스템에서, PUSCH를 통한 UL 데이터 전송을 위한 ACK/NACK 피드백은 하향링크 PHICH 자원을 통해 전송된다. 이때, 다중 PHICH 자원들은 시간, 주파수, 다른 순환전치를 포함하는 직교 코드 및/또는 I/Q 위상 도메인의 조합에 의해 구별된다. 각 PUSCH 신호 전송을 위해, PUSCH 신호에 대응되는 ACK/NACK 피드백을 위해 사용되는 PHICH 자원은 PUSCH 신호가 전송되는 첫번째 슬롯의 UL RB(Uplink Resource Block)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즉, UL RB의 모든 인덱스들은 모든 PHICH 자원들과 연계되어 있다. 도 14는 100개의 UL RB와 100개의 DL PHICH 자원들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PUCCH 전송에 대한 ACK/NACK 전송을 위해, PUSCH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UL RB들 중에서 가장 작은 주파수를 갖는 UL RB의 인덱스에 연계된 PHICH 자원이 사용된다. 즉, PUSCH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최하위 RB 인덱스에 연계된 PHICH 자원이 ACK/NACK 피드백을 위해 선택된다. 그러나, LTE Rel-8 시스템에서는 PHICH 자원들과 캐리어 정합 기술이 적용됨에 따라 추가되는 UL RB들 간의 연관 관계에 대해서 정의된 바가 없다. 게다가, PHICH 자원들과 UL RB들 간의 기 정의된 연관관계에서, PUSCH 전송에 사용되는 PHICH 자원은 상위계층에서 시그널링된 오프셋 값 및 추가적인 구성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2) LTE -A 시스템에서의 PHICH 할당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주파수 자원 사용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향링크에서도 하나의 단말에 연속된 주파수 자원만을 할당(즉, UL 연속 자원할당(UL contiguous RA))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단말에도 복수 (e.g. 2개)의 불연속적인 주파수 자원 (e.g. RB 혹은 RB 그룹)을 할당(i.e. UL non-contiguous RA)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말(UE)은 상향링크를 통한 고속의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상향링크 다중 안테나 전송(i.e. UL MIMO)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이러한 UL MIMO 전송 시에도 UL 비연속(non-contiguous) RA가 적용될 수 있다.
UL MIMO를 통해 2개의 코드워드(CW: CodeWord)가 전송되는 경우, 단말은 각 CW에 대한 ACK/NACK 전송하기 위해 2개의 PHICH 자원(인덱스)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단말이 UL MIMO 전송 시 UL 비연속 RA 적용을 고려한 두 가지의 PHICH 자원 할당 방법들을 개시한다.
도 1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서, PHICH 자원 할당 방법의 바람직한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단말이 PUSCH 전송을 위해 1개의 RB를 할당받은 경우, 할당된 RB 인덱스(nRB)와 이에 인접한 RB 인덱스(nRB +1)에 링크된 2개의 PHICH 자원을 2 CW 전송에 대한 ACK/NACK 전송 자원으로 할당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은 단말이 PUSCH 전송을 위해 2개 이상의 RB를 할당받은 경우를 나타낸다. 이때, 단말이 할당받은 RB 인덱스 중에서, 최하위(lowest) 인덱스와 차하위(second lowest) 인덱스에 링크된 2개의 PHICH 자원이 2 CW 전송에 대한 ACK/NACK 전송 자원으로 할당될 수 있다.
도 16은 UL 연속 자원할당 방법이 적용된 경우이다. 따라서, UL RB 중 제일 작은 RB 인덱스에 매핑되는 PHICH 인덱스와 연속되는 PHICH 인덱스가 PHICH 자원으로 할당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비연속 자원할당 방법이 적용된 경우로,도 17은 비연속된 UL RB 자원중 최하위 RB 인덱스가 지시하는 PHICH 인덱스 및 연속되는 PHICH 인덱스가 PHICH 자원으로 할당될 수 있다. 반면에, 도 18은 비연속된 RB 그룹들 각각에서 최하위 RB 인덱스가 지시하는 PHICH 인덱스가 PHICH 자원으로 할당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PUSCH 전송을 위해 UL 연속 RA 방법이 적용된 경우, 단말은 할당받은 RB 인덱스 중에서 최하위 인덱스(nRB)와 이에 인접한 RB 인덱스(nRB +1)에 링크된 2개의 PHICH 자원을 2 CW 전송에 대한 ACK/NACK 전송 자원으로 할당받을 수 있다(도 15 및 도 16 참조).
또한, 단말의 PUSCH 전송을 위해 UL 비연속 RA가 적용된 경우(즉, 2 개의 불연속적인 RB 그룹 할당), 단말은 할당받은 각 RB 그룹내 RB 인덱스 중 최하위 인덱스에 링크된 2개의 PHICH 자원을 2 CW 전송에 대한 ACK/NACK 전송 자원으로 할당받을 수 있다(도 17 및 도 18).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채널상태정보 전송 방법을 지원하는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UE: User Equipment)은 상향링크에서는 송신기로 동작하고, 하향링크에서는 수신기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eNB:e-Node B)은 상향링크에서는 수신기로 동작하고, 하향링크에서는 송신기로 동작할 수 있다.
즉, 단말 및 기지국은 정보, 데이터 및/또는 메시지의 전송 및 수신을 제어하기 위해 각각 송신모듈(Tx module: 2040, 2050) 및 수신모듈(Rx module: 2050, 207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정보, 데이터 및/또는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2000, 20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 및 기지국은 각각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Processor: 2020, 2030)와 프로세서의 처리 과정을 임시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2080, 2090)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2020, 203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개시한 반송파 정합 환경에서 활성화된 각 서빙 셀에 대한 하향링크 채널의 상태를 측정 및 보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CSI 보고 타입에 따른 CSI 우선순위(또는 PUCCH 포맷에 따른 우선순위)에 따라서 CSI를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CSI 전송 주기에 따라 하나 이상의 서빙 셀에 대한 CSI가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어야 하는 경우, 단말의 프로세서는 각 CSI에 대한 우선순위를 비교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CSI만을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동단말 및 기지국에 포함된 전송 모듈 및 수신 모듈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패킷 변복조 기능, 고속 패킷 채널 코딩 기능,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패킷 스케줄링, 시분할듀플렉스(TDD: Time Division Duplex) 패킷 스케줄링 및/또는 채널 다중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0의 단말 및 기지국은 저전력 RF(Radio Frequency)/IF(Intermediate Frequency)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0에서 설명한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개시한 다양한 CSI 보고 방법들이 구현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술한 단말 및 기지국 장치의 구성성분 및 기능들을 이용하여 본원 발명의 실시예들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단말로 개인휴대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개인통신서비스(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폰, WCDMA(Wideband CDMA) 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 폰, 핸드헬드 PC(Hand-Held PC), 노트북 PC, 스마트(Smart) 폰 또는 멀티모드 멀티밴드(MM-MB: Multi Mode-Multi Band) 단말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폰이란 이동통신 단말기와 개인 휴대 단말기의 장점을 혼합한 단말기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개인 휴대 단말기의 기능인 일정 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통합한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멀티모드 멀티밴드 단말기란 멀티 모뎀칩을 내장하여 휴대 인터넷시스템 및 다른 이동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시스템, WCDMA(Wideband CDMA) 시스템 등)에서 모두 작동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2080, 2090)에 저장되어 프로세서(2020, 203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무선접속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무선접속 시스템들의 일례로서, 3GPP LTE 시스템, 3GPP LTE-A 시스템, 3GPP2 및/또는 IEEE 802.16m 시스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 다양한 무선접속 시스템뿐 아니라, 상기 다양한 무선접속 시스템을 응용한 모든 기술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30)

  1. 캐리어 결합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CSI)를 보고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DL CC: Downlink Component Carrier)에 대한 CSI 보고 모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CSI 보고 모드를 고려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DL CC에 대한 채널상태정보(CSI)를 상기 기지국으로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제 1 DL CC에 대한 제 1 타입 CSI와 제 2 DL CC에 대한 제 2 타입 CSI가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은 상기 CSI 보고 모드와 관련된 CSI 보고 타입의 우선순위에 따라 하나의 DL CC에 대한 CSI만을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CSI 보고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 CSI의 우선순위가 상기 제 2 타입 CSI의 우선순위보다 높으면, 상기 단말은 상기 제 1 타입 CSI만을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고 상기 제 2 타입 CSI는 드롭하는, CSI 보고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 CSI는 상기 단말이 (1) RI (Rank Indicator) 및 제 1 PMI (Precoding Matrix Index) 또는 (2) RI 만을 보고하는 것을 나타내고,
    상기 제 2 타입 CSI는 상기 단말이 (1) WB-CQI (WideBand-Channel Quality Information) 및 제 2 PMI, (2) WB-CQI 및 제 1 PMI, 또는 (3) WB-CQI만을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것을 나타내는, CSI 보고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 CSI는 상기 단말이 (1) WB-CQI (WideBand-Channel Quality Information) 및 제 2 PMI (Precoding Matrix Index), (2) WB-CQI 및 제 1 PMI, 또는 (3) WB-CQI만을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것을 나타내고,
    상기 제 2 타입 CSI는 (1) SB-CQI (SubBand-Channel Quality Information) 및 제 2 PMI 또는 (2) SB-CQI만을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것을 나타내는, CSI 보고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 CSI는 상기 단말이 (1) RI (Rank Indicator) 및 제 1 PMI (Precoding Matrix Index) 또는 (2) RI 만을 보고하는 것을 나타내고,
    상기 제 2 타입 CSI는 (1) SB-CQI (SubBand-Channel Quality Information) 및 제 2 PMI 또는 (2) SB-CQI만을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것을 나타내는, CSI 보고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CSI를 보고하는 단계는 상기 CSI의 각 컨텐츠에 따라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CSI 보고방법.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 CSI는 CSI 보고 타입 3 또는 CSI 보고 타입 5이고,
    상기 제 2 타입 CSI는 CSI 보고 타입 2b, CSI 보고 타입 2c, CSI 보고 타입 4, CSI 보고 타입 1 또는 CSI 보고 타입 1a인, CSI 보고방법.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 CSI는 물리상향링크제어채널(PUCCH) 또는 물리상향링크공유채널(PUSCH)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CSI 보고 방법.
  9. 캐리어 결합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CSI)를 보고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채널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모듈;
    채널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모듈; 및
    상기 CSI 보고를 지원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기지국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DL CC: DownLink Component Carrier)에 대한 CSI 보고 모드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수신모듈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CSI 보고 모드를 고려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DL CC에 대한 채널상태정보(CSI)를 상기 기지국으로 보고하되,
    제 1 DL CC에 대한 제 1 타입 CSI와 제 2 DL CC에 대한 제 2 타입 CSI가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은 상기 CSI 보고 모드와 관련된 CSI 보고 타입의 우선순위에 따라 하나의 DL CC에 대한 CSI만을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단말.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 CSI의 우선순위가 상기 제 2 타입 CSI의 우선순위보다 높으면, 상기 단말은 상기 제 1 타입 CSI만을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고 상기 제 2 타입 CSI는 드롭하는, 단말.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 CSI는 상기 단말이 (1) RI (Rank Indicator) 및 제 1 PMI (Precoding Matrix Index) 또는 (2) RI 만을 보고하는 것을 나타내고,
    상기 제 2 타입 CSI는 상기 단말이 (1) WB-CQI (WideBand-Channel Quality Information) 및 제 2 PMI, (2) WB-CQI 및 제 1 PMI, 또는 (3) WB-CQI만을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말.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 CSI는 상기 단말이 (1) WB-CQI (WideBand-Channel Quality Information) 및 제 2 PMI (Precoding Matrix Index), (2) WB-CQI 및 제 1 PMI, 또는 (3) WB-CQI만을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것을 나타내고,
    상기 제 2 타입 CSI는 (1) SB-CQI (SubBand-Channel Quality Information) 및 제 2 PMI 또는 (2) SB-CQI만을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말.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 CSI는 상기 단말이 (1) RI (Rank Indicator) 및 제 1 PMI (Precoding Matrix Index) 또는 (2) RI 만을 보고하는 것을 나타내고,
    상기 제 2 타입 CSI는 (1) SB-CQI (SubBand-Channel Quality Information) 및 제 2 PMI 또는 (2) SB-CQI만을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말.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 CSI는 CSI 보고타입 포맷 3 또는 CSI 보고타입 5이고,
    상기 제 2 타입 CSI는 CSI 보고타입 2b, CSI 보고타입 2c, CSI 보고타입 4, CSI 보고타입 1 또는 CSI 보고타입 1a인, 단말.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 CSI는 물리상향링크제어채널(PUCCH) 또는 물리상향링크공유채널(PUSCH)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단말.
  16. 캐리어 결합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CSI)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이 단말에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DL CC: Downlink Component Carrier)에 대한 CSI 보고 모드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CSI 보고 모드를 고려하여 설정된 상기 하나 이상의 DL CC에 대한 채널상태정보(CSI)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제 1 DL CC에 대한 제 1 타입 CSI와 제 2 DL CC에 대한 제 2 타입 CSI가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경우에는, 상기 CSI 보고 모드와 관련된 CSI 보고 타입의 우선순위에 따라 하나의 DL CC에 대한 CSI만이 수신되는, CSI 수신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 CSI의 우선순위가 상기 제 2 타입 CSI의 우선순위보다 높으면, 상기 제 1 타입 CSI만이 수신되고 상기 제 2 타입 CSI는 드롭되는, CSI 수신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 CSI는 (1) RI (Rank Indicator) 및 제 1 PMI (Precoding Matrix Index) 또는 (2) RI 만을 지원하고,
    상기 제 2 타입 CSI는 (1) WB-CQI (WideBand-Channel Quality Information) 및 제 2 PMI, (2) WB-CQI 및 제 1 PMI, 또는 (3) WB-CQI만을 지원하는, CSI 수신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 CSI는 (1) WB-CQI (WideBand-Channel Quality Information) 및 제 2 PMI (Precoding Matrix Index), (2) WB-CQI 및 제 1 PMI, 또는 (3) WB-CQI만을 지원하고,
    상기 제 2 타입 CSI는 (1) SB-CQI (SubBand-Channel Quality Information) 및 제 2 PMI 또는 (2) SB-CQI만을 지원하는, CSI 수신방법.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 CSI는 (1) RI (Rank Indicator) 및 제 1 PMI (Precoding Matrix Index) 또는 (2) RI 만을 지원하고,
    상기 제 2 타입 CSI는 (1) SB-CQI (SubBand-Channel Quality Information) 및 제 2 PMI 또는 (2) SB-CQI만을 지원하는, CSI 수신방법.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CSI는 각 컨텐츠에 따라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CSI 수신방법.
  2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 CSI는 CSI 보고 타입 3 또는 CSI 보고 타입 5이고,
    상기 제 2 타입 CSI는 CSI 보고 타입 2b, CSI 보고 타입 2c, CSI 보고 타입 4, CSI 보고 타입 1 또는 CSI 보고 타입 1a인, CSI 수신방법.
  23.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 CSI는 물리상향링크제어채널(PUCCH) 또는 물리상향링크공유채널(PUSCH)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CSI 수신 방법.
  24. 캐리어 결합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CSI)를 수신하는 기지국은,
    채널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모듈;
    채널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모듈; 및
    상기 CSI 수신을 지원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에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DL CC: Downlink Component Carrier)에 대한 CSI 보고 모드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송신모듈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CSI 보고 모드를 고려하여 설정된 상기 하나 이상의 DL CC에 대한 채널상태정보(CSI)를 상기 수신모듈을 통해 수신하도록 구성되되,
    제 1 DL CC에 대한 제 1 타입 CSI와 제 2 DL CC에 대한 제 2 타입 CSI가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경우에는, 상기 CSI 보고 모드와 관련된 CSI 보고 타입의 우선순위에 따라 하나의 DL CC에 대한 CSI만이 수신되는, 기지국.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 CSI의 우선순위가 상기 제 2 타입 CSI의 우선순위보다 높으면, 상기 제 1 타입 CSI만이 수신되고 상기 제 2 타입 CSI는 드롭되는, 기지국.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 CSI는 (1) RI (Rank Indicator) 및 제 1 PMI (Precoding Matrix Index) 또는 (2) RI 만을 지원하고,
    상기 제 2 타입 CSI는 (1) WB-CQI (WideBand-Channel Quality Information) 및 제 2 PMI, (2) WB-CQI 및 제 1 PMI, 또는 (3) WB-CQI만을 지원하는, 기지국.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 CSI는 (1) WB-CQI (WideBand-Channel Quality Information) 및 제 2 PMI (Precoding Matrix Index), (2) WB-CQI 및 제 1 PMI, 또는 (3) WB-CQI만을 지원하고,
    상기 제 2 타입 CSI는 (1) SB-CQI (SubBand-Channel Quality Information) 및 제 2 PMI 또는 (2) SB-CQI만을 지원하는, 기지국.
  28.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 CSI는 (1) RI (Rank Indicator) 및 제 1 PMI (Precoding Matrix Index) 또는 (2) RI 만을 지원하고,
    상기 제 2 타입 CSI는 (1) SB-CQI (SubBand-Channel Quality Information) 및 제 2 PMI 또는 (2) SB-CQI만을 지원하는, 기지국.
  29.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 CSI는 CSI 보고 타입 3 또는 CSI 보고 타입 5이고,
    상기 제 2 타입 CSI는 CSI 보고 타입 2b, CSI 보고 타입 2c, CSI 보고 타입 4, CSI 보고 타입 1 또는 CSI 보고 타입 1a인, 기지국.
  30.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 CSI는 물리상향링크제어채널(PUCCH) 또는 물리상향링크공유채널(PUSCH)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기지국.
KR1020127017739A 2010-04-01 2011-04-01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 전송 방법 Active KR1014863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2030710P 2010-04-01 2010-04-01
US61/320,307 2010-04-01
US38969810P 2010-10-04 2010-10-04
US61/389,698 2010-10-04
PCT/KR2011/002289 WO2011122911A2 (ko) 2010-04-01 2011-04-01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 전송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6374A Division KR101486387B1 (ko) 2010-04-01 2011-04-01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 전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546A KR20120109546A (ko) 2012-10-08
KR101486384B1 true KR101486384B1 (ko) 2015-01-26

Family

ID=4471280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7739A Active KR101486384B1 (ko) 2010-04-01 2011-04-01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 전송 방법
KR1020147006374A Active KR101486387B1 (ko) 2010-04-01 2011-04-01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 전송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6374A Active KR101486387B1 (ko) 2010-04-01 2011-04-01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5) US8995373B2 (ko)
EP (3) EP3136618B1 (ko)
KR (2) KR101486384B1 (ko)
CN (5) CN102845097B (ko)
ES (1) ES2616629T3 (ko)
WO (1) WO201112291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1471A1 (ko) * 2018-05-16 2019-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보고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91172B1 (en) 2009-10-01 2023-12-0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Uplink control data transmission
WO2011085230A2 (en) * 2010-01-08 2011-07-1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Channel state information transmission for multiple carriers
US8917790B2 (en) * 2010-04-12 2014-12-2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efficient feedbac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antennas
CN102291218B (zh) * 2010-06-21 2016-06-15 夏普株式会社 信道状态信息反馈资源分配方法和信道状态信息反馈方法
CN105721032B (zh) * 2010-06-22 2019-02-05 Lg电子株式会社 报告信道状态信息的方法和装置
CN102013954B (zh) * 2010-07-08 2011-12-07 华为技术有限公司 信道状态信息上报方法和用户设备
US8681651B2 (en) * 2010-11-05 2014-03-25 Qualcomm Incorporated Reference signal reception and channel state information determination for multiple nod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958388B2 (en) * 2010-11-15 2015-02-17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9930677B2 (en) * 2010-12-07 2018-03-27 Sharp Kabushiki Kaisha Prioritizing multiple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reporting with carrier aggregation
US8681627B2 (en) * 2010-12-07 2014-03-25 Sharp Kabushiki Kaisha Prioritizing multiple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reporting with carrier aggregation
US8817647B2 (en) 2011-02-15 2014-08-26 Mediatek Inc. Priority rules of periodic CSI reporting in carrier aggregation
US9019850B2 (en) 2011-04-11 2015-04-28 Qualcomm Incorporated CSI reporting for multiple carriers with different system configurations
US10085164B2 (en) * 2011-04-28 2018-09-2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valid reference subframes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US8619612B2 (en) * 2011-05-02 2013-12-31 Intel Corporation Measurement and feedback calcul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792924B2 (en) * 2011-05-06 2014-07-29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cell access
US8395985B2 (en) 2011-07-25 2013-03-12 Ofinno Technologies, Llc Time alignment in multicarrier OFDM network
US9986444B2 (en) * 2011-10-27 2018-05-2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back aggregated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cooperative multipoint communication system
US9509389B2 (en) 2011-11-01 2016-11-2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91492B2 (en) * 2011-11-08 2017-03-07 Qualcomm Incorporated User equipment, base stations, and methods allowing for handling of collid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s
CN103107866B (zh) * 2011-11-11 2017-08-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道状态信息的上报方法及装置
JP5793067B2 (ja) 2011-11-24 2015-10-14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8995405B2 (en) 2012-01-25 2015-03-31 Ofinno Technologies, Llc Pathloss reference configuration in a wireless device and base station
US8897248B2 (en) 2012-01-25 2014-11-25 Ofinno Technologies, Llc Multicarrier signal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9237537B2 (en) 2012-01-25 2016-01-12 Ofinno Technologies, Llc Random access process in a multicarrier base station and wireless device
CN103326815B (zh) * 2012-03-23 2016-08-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道质量指示cqi处理方法、装置及系统
US11943813B2 (en) 2012-04-01 2024-03-2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ell group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9215678B2 (en) 2012-04-01 2015-12-15 Ofinno Technologies, Llc Timing advance timer configuration in a wireless device and a base station
US9084270B2 (en) 2012-04-01 2015-07-14 Ofinno Technologies, Llc Radio access for a wireless device and base station
US11825419B2 (en) 2012-04-16 2023-11-2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ell timing in a wireless device and base station
US8971280B2 (en) 2012-04-20 2015-03-03 Ofinno Technologies, Llc Uplink transmissions in a wireless device
US9210664B2 (en) 2012-04-17 2015-12-08 Ofinno Technologies. LLC Preamble transmission in a wireless device
US11252679B2 (en) 2012-04-16 2022-02-1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ignal transmission power adjustment in a wireless device
US8995381B2 (en) 2012-04-16 2015-03-31 Ofinno Technologies, Llc Power control in a wireless device
US11582704B2 (en) 2012-04-16 2023-02-1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ignal transmission power adjustment in a wireless device
US8964593B2 (en) 2012-04-16 2015-02-24 Ofinno Technologies, Llc Wireless device transmission power
US9179425B2 (en) 2012-04-17 2015-11-03 Ofinno Technologies, Llc Transmit power control in multicarrier communications
WO2013168969A1 (ko) * 2012-05-07 2013-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JP6203828B2 (ja) 2012-05-17 2017-09-27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セルラ移動通信システムで協力通信のためのチャンネル推定方法及び装置
EP2849508B1 (en) * 2012-06-12 2020-12-30 Huawei Technologies Co., Ltd. Carrier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uplink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US9107206B2 (en) 2012-06-18 2015-08-11 Ofinne Technologies, LLC Carrier grouping in multicarrier wireless networks
US9113387B2 (en) 2012-06-20 2015-08-18 Ofinno Technologies, Llc Handover signalling in wireless networks
US9210619B2 (en) 2012-06-20 2015-12-08 Ofinno Technologies, Llc Signalling mechanisms for wireless device handover
US11882560B2 (en) 2012-06-18 2024-01-2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arrier grouping in multicarrier wireless networks
US11622372B2 (en) 2012-06-18 2023-04-0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ommunication device
US9179457B2 (en) 2012-06-20 2015-11-03 Ofinno Technologies, Llc Carrier configuration in wireless networks
US8971298B2 (en) 2012-06-18 2015-03-03 Ofinno Technologies, Llc Wireless device connection to an application server
US9084228B2 (en) 2012-06-20 2015-07-14 Ofinno Technologies, Llc Automobile communication device
EP3252963B1 (en) 2012-06-18 2021-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eriodic and periodic csi feedback modes for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JP5743965B2 (ja) 2012-06-26 2015-07-01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基地局
EP2874338A4 (en) * 2012-08-01 2015-11-25 Huawei Tech Co Ltd METHOD AND TERMINAL OF UPLINK CONTROL INFORMATION REPORT, AND BASE STATION
US9137812B2 (en) 2012-08-03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improving performance in multi-flow communication
CN104604173B (zh) * 2012-08-28 2018-04-20 Lg电子株式会社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提供信道状态信息的反馈的方法及其设备
US9161254B2 (en) 2012-09-28 2015-10-13 Intel Corporation Periodic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ing for time division duplex (TDD) carrier aggregation systems
JP6419084B2 (ja) 2012-12-27 2018-11-0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接続時ステムにおいてチャネル品質指示情報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それを支援する装置
US9825747B2 (en) 2013-01-23 2017-11-21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uplink resource indication for CSI feedback
KR102232420B1 (ko) 2013-03-27 2021-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셀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참조 신호를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906286B2 (en) 2013-05-23 2018-02-2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by terminal, CSI feedback in heterogeneous cellular environment
KR102160008B1 (ko) * 2013-06-17 2020-09-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채널 상태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EP3042520B1 (en) 2013-09-03 2020-1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method for the measurement and reporting of channel quality, modulation and channel coding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apparatus
US9722761B2 (en) * 2013-10-09 2017-08-0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econdary cells in overlapping bands
US9603113B2 (en) * 2013-10-29 2017-03-21 Qualcomm Incorporated Distributed algorithm for constructing and maintaining a hierarchical structure for device-to-device synchronization
EP3063894B1 (en) 2013-10-31 2020-04-15 Sony Corporation Transmission of measurement repor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5074262A1 (zh) * 2013-11-22 2015-05-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道状态信息的反馈方法及装置
KR101763602B1 (ko) 2013-12-03 2017-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계타입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US20150195819A1 (en) * 2014-01-06 2015-07-09 Intel IP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selection and configuration
JP2015142349A (ja) * 2014-01-30 2015-08-03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送信制御方法
US9571251B2 (en) 2014-01-30 2017-02-14 Intel Corporation Periodic channel status information (CSI) reporting for enhanced interference management and traffic adaptation (EIMTA) systems with CSI subframe sets
JP6224852B2 (ja) 2014-03-28 2017-11-08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機械タイプ通信を支援する無線接続システムにおいてチャネル状態情報送信方法及び装置
US20150327106A1 (en) * 2014-05-06 2015-11-12 Acer Incorporated Method of Handling Channel Status Information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WO2016122012A1 (ko) * 2015-01-27 2016-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셀 간 간섭 제거를 위한 셀 간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US9860029B2 (en) * 2015-03-09 2018-01-02 Ofinno Technologies, Llc Modification of secondary cells in carrier aggregation
US10425921B2 (en) * 2015-04-01 2019-09-24 Acer Incorporated Method of up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KR102090505B1 (ko) 2015-04-10 2020-03-18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무선 디바이스를 오프로딩하는 시스템, 방법 및 장치
US10652921B2 (en) 2015-05-27 2020-05-12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handling feedback for downlink transmissions in a shar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US10164747B2 (en) * 2015-05-29 2018-1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IMO measurement reference signals and feedback
CN106302269B (zh) * 2015-06-04 2020-06-2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信道状态信息的反馈及其控制方法及装置
US10104568B2 (en) * 2015-06-30 2018-10-16 Qualcomm Incorporated Periodic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ing for enhanced carrier aggregation
CN106998239B (zh) * 2016-01-26 2019-12-06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接收csi、上报csi的方法及装置
CN107027181B (zh) * 2016-02-02 2020-02-0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上行控制信息的传输方法及装置
CN107241760A (zh) * 2016-03-28 2017-10-10 北京信威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信道状态信息上报处理方法及装置
CN107294671B (zh) * 2016-03-30 2021-07-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随机接入的子帧的发送方法及装置
KR102748333B1 (ko) * 2016-07-13 2024-12-3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서비스간 공존 방법 및 장치
WO2018056877A1 (en) * 2016-09-23 2018-03-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status by a transceiver
US10334533B2 (en) 2016-11-02 2019-06-2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Non-orthogonal design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s for a 5G air interface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interfaces
CN108075810B (zh) * 2016-11-11 2021-05-07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用于发送和接收数据的方法和设备
US10873439B2 (en) * 2016-12-16 2020-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x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US10237032B2 (en) 2017-01-06 2019-03-1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daptive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s for a 5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US10320512B2 (en) 2017-01-08 2019-06-1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Interference cancelation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US11431394B2 (en) * 2017-02-01 2022-08-30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quality indicator design for enhanced machine-type-communications
RU2729769C1 (ru) * 2017-03-24 2020-08-12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Обратная связь в виде полупостоянной информации csi по каналу pusch
CN109150471B (zh) * 2017-06-16 2020-02-14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190059013A1 (en) 2017-08-21 2019-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xing higher-resolution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KR102445245B1 (ko) * 2017-08-21 2022-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고분해능 채널 상태 정보(csi)를 다중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3922855B (zh) * 2017-09-29 2023-10-3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道状态信息的反馈方法、信息传输方法及装置
US10742293B2 (en) * 2017-11-02 2020-08-11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tate feedback with network down selection alternatives
PL3723321T3 (pl) * 2017-11-16 2023-12-27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Raport informacji o stanie kanału dotyczący części szerokości pasma
CN109803408B (zh) * 2017-11-17 2023-11-28 华为技术有限公司 信道状态信息报告的传输方法及通信设备
EP3562056A4 (en) * 2017-11-27 2020-08-05 LG Electronics Inc. -1- METHOD OF PERFORMING A CSI REPOR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DOING IT
KR102435369B1 (ko) 2018-01-12 2022-08-23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채널 상태 정보 보고들을 우선순위화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19216720A1 (ko) * 2018-05-10 2019-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10475350B (zh) * 2018-05-11 2022-09-23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信道状态信息反馈的去激活方法、装置及设备
US20200036473A1 (en) * 2018-07-24 2020-01-30 Mediatek Singapore Pte. Ltd. Uplink Control Information And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Transmission Enhancement In Mobile Communications
US11539417B2 (en) 2018-07-30 2022-12-2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CN118678478A (zh) * 2018-08-01 2024-09-20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通信装置、通信方法及集成电路
WO2020031387A1 (ja) * 2018-08-10 2020-02-13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10833742B2 (en) 2018-08-10 2020-11-1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etermin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advanced networks
CN110233654B (zh) * 2018-09-28 2020-07-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道状态信息反馈的方法、设备及系统
WO2020159189A1 (ko) 2019-02-01 2020-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태 정보 보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 및 기지국
CN113508631B (zh) * 2019-02-04 2024-09-06 苹果公司 用于频率内测量的调度限制方法
KR102714569B1 (ko) * 2019-02-24 2024-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이드 링크 단말이 채널 상태보고에 관련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11614435B (zh) * 2019-05-13 2023-12-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道状态信息csi报告的传输方法、终端及网络设备
US11510085B2 (en) * 2019-10-18 2022-11-22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tate information configuration and reporting for ultra 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
CN114642065A (zh) * 2019-11-06 2022-06-17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信号的方法和设备
WO2021168608A1 (en) * 2020-02-24 2021-09-02 Qualcomm Incorporated A-csi transmission with slot aggregation
US20230126986A1 (en) * 2020-04-20 2023-04-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for csi report transmitted on multi-slot pusch
US12052596B2 (en) * 2020-10-20 2024-07-30 Mediatek Singapore Pte. Ltd. Reporting of best wideband CQI in mobile communications
US12003337B2 (en) * 2020-10-23 2024-06-0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wireless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6980093A (zh) * 2022-04-20 2023-10-31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用于无线通信的方法和装置
WO2025035253A1 (en) * 2023-08-11 2025-02-20 Googl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riority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0295A (ko) * 2007-03-16 2009-12-22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고속 다운링크 패킷 엑세스 링크 적응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00019315A (ko) * 2008-08-08 2010-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 보고 방법 및 상기 채널 품질 정보에 따라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KR20100032884A (ko) * 2007-07-06 2010-03-26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의 통신을 위한 방법 및 구성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65290A1 (en) * 2004-05-28 2005-12-01 Hochwald Bertrand M Feedback method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of a wireless link
JP4827652B2 (ja) * 2006-08-10 2011-11-30 富士通株式会社 中継装置、中継方法および中継プログラム
CN101257367B (zh) 2007-02-28 2013-03-27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选择预编码的方法和装置
KR101481166B1 (ko) 2007-06-25 2015-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안테나 시스템에서의 귀환데이터 전송 방법
US8457235B2 (en) * 2007-06-25 2013-06-04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feedback data in multiple antenna system
EP2012475B1 (en) 2007-07-06 2011-03-16 Alcatel Lucent Method for routing a traffic flow in a radio access network and node for implementing such a method
CN101374254A (zh) * 2007-08-24 2009-02-25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系统中传送报告的方法及设备
KR101008776B1 (ko) * 2007-08-31 2011-01-14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ES2398263T3 (es) 2007-10-30 2013-03-14 Nokia Siemens Networks Oy Provisión de señalización de petición de planificación mejorada con ACK/NACK o CQI0
CA2729412A1 (en) 2008-07-04 2010-01-07 Banyu Pharmaceutical Co., Ltd. Novel spirochromanone carboxylic acids
CN101630981B (zh) 2008-07-14 2013-04-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调度的方法、装置及系统
KR101638900B1 (ko) * 2008-08-05 2016-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멀티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CN101615984B (zh) * 2009-08-07 2013-03-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载波聚合下周期性cqi反馈的方法和装置
CN101635950B (zh) 2009-08-14 2015-06-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确定小区参考信号位置的方法及装置
US8687555B2 (en) * 2010-09-29 2014-04-0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effective feedbac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antennas
US9930677B2 (en) * 2010-12-07 2018-03-27 Sharp Kabushiki Kaisha Prioritizing multiple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reporting with carrier aggregation
US9591492B2 (en) * 2011-11-08 2017-03-07 Qualcomm Incorporated User equipment, base stations, and methods allowing for handling of collid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0295A (ko) * 2007-03-16 2009-12-22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고속 다운링크 패킷 엑세스 링크 적응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00032884A (ko) * 2007-07-06 2010-03-26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의 통신을 위한 방법 및 구성
KR20100019315A (ko) * 2008-08-08 2010-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 보고 방법 및 상기 채널 품질 정보에 따라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1471A1 (ko) * 2018-05-16 2019-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보고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020A (ko) 2014-05-02
WO2011122911A2 (ko) 2011-10-06
US20130128813A1 (en) 2013-05-23
CN105207707B (zh) 2019-01-15
EP3136618A1 (en) 2017-03-01
CN102845097B (zh) 2015-09-23
EP2555555A4 (en) 2015-09-02
ES2616629T3 (es) 2017-06-13
CN105187106A (zh) 2015-12-23
US20150296506A1 (en) 2015-10-15
US9848412B2 (en) 2017-12-19
CN105162509B (zh) 2018-06-01
CN105162508A (zh) 2015-12-16
EP3737000B1 (en) 2023-10-25
US9100870B2 (en) 2015-08-04
CN105162508B (zh) 2018-05-29
KR20120109546A (ko) 2012-10-08
US9456439B2 (en) 2016-09-27
CN105162509A (zh) 2015-12-16
KR101486387B1 (ko) 2015-01-26
EP3737000A1 (en) 2020-11-11
CN105187106B (zh) 2018-06-01
WO2011122911A3 (ko) 2012-01-12
US20160374076A1 (en) 2016-12-22
US8995373B2 (en) 2015-03-31
CN102845097A (zh) 2012-12-26
CN105207707A (zh) 2015-12-30
US20130021980A1 (en) 2013-01-24
EP2555555B1 (en) 2016-12-21
EP2555555A2 (en) 2013-02-06
EP3136618B1 (en) 2020-11-18
US20180035425A1 (en) 2018-02-01
US10051613B2 (en) 2018-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6384B1 (ko)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 전송 방법
US10243716B2 (en) Method for aperiodic feedback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a wireless access system supporting multi-carrier aggregation
KR101857665B1 (ko) 기계타입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842204B1 (ko)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256qam 지원을 위한 채널상태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US9060283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receiv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carriers
KR101853668B1 (ko)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256qam 지원을 위한 채널상태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1162522A9 (ko) 채널 상태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60138393A (ko) 기계타입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0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14031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