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242B1 - Cans for packaging containers - Google Patents
Cans for packaging containe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6242B1 KR101486242B1 KR1020130112920A KR20130112920A KR101486242B1 KR 101486242 B1 KR101486242 B1 KR 101486242B1 KR 1020130112920 A KR1020130112920 A KR 1020130112920A KR 20130112920 A KR20130112920 A KR 20130112920A KR 101486242 B1 KR101486242 B1 KR 1014862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pull tab
- upper plate
- hook
- container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24 preserv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of curved cross-section, e.g. cans of 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4—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ivot tab and push-down tear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본체의 형상을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편리하도록 개선하여 캔용기를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취급할 수 있도록 하고, 캔용기를 개방시키기 위한 풀탭(pull-tap)의 구성을 개선하여 캔용기를 보다 손쉽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 포장용 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용기본체의 상, 하부가 상판과 하판에 의해 마감되고, 상판의 상면에 상판을 개방시키기 위한 풀탭이 형성된 캔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길이방향 사이의 적어도 일 지점이 상부와 하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함몰된 형태로 함몰형상부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기본체를 손으로 잡기위한 공간이 형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hape of the container body to be handy by a user so that the container can be handled conveniently and stably and the pull-tap structure for opening the container can be improv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iner can for packaging.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n container in which upper and lower portions of a container body are closed by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and a pull tab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to open the upper plate, A recessed portion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is formed and a space for the user to hold the container body by hand is form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포장용 캔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can container.
상세하게 본 발명은, 용기본체의 형상을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편리하도록 개선하여 캔용기를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취급할 수 있도록 하고, 캔용기를 개방시키기 위한 풀탭(pull-tap)의 구성을 개선하여 캔용기를 보다 손쉽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 포장용 캔 용기에 관한 것이다.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hape of the container body by hand for the user to handle it conveniently and stably, and improves the pull-tap configuration for opening the can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iner can for packaging which can be opened more easily.
포장용 캔 용기는 주로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통조림, 음료수 등과 같이 음식물을 오랜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이와 다르게 식품류의 보관이외에도 펜시용품 등을 보관하기 위한 용기와 같이 다양한 포장용기로 사용됨은 주지된 것과 같다.
Cans for packaging are mainly used for the purpose of storing food for a long time, such as canned food and beverage for sales purpose. In addition to this, they are used as various packing containers such as containers for storing pensy goods in addition to storage of foods Same as well-known.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4-0035497호(포장용 캔 용기의 구조, 이하 기출원)에는 상기 포장용 캔 용기의 구성이 제시되고 있다.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04-0035497 (structure of a can container for packag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xporter) discloses the structure of the can container for packaging.
기출원의 포장용 캔 용기는「캔 용기의 상부에 구비된 상판의 구조를 개선하여 내용물 인출 출구 개방시 오프너탭을 보다 용이하게 잡은 상태에서 적은 힘으로 안전하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제품에 대한 안전성 및 상품성, 신뢰성 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제품의 판매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한 것이다.The packaging container for canned food in the outpatient container can be manufactured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top plate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can container so that the opener tab can be safely opened with less force while the opener tab is opened easily when the contents outlet opening is opened, And reliability, while at the same time satisfying customer's various needs and increasing the sales rate of products. "
이를 위해 상기 기출원의 캔 용기는「상단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일정량의 수용공간을 갖춘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용기몸체와;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쉽게 절개되도록 설정형상의 요홈 내에 절취라인을 갖춘 출구봉인판이 형성되고 중심부에 리벳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용기몸체의 대응 상부에 위치시켜 밀봉되게 상호 결합되는 원형의 상판과; 상기 상판의 상측면 중심에 리벳돌기에 의해 회동 및 절곡 가능하도록 중심에 결합홀이 관통된 힌지부가 형성되고 후단부에 파지가 용이하도록 관통된 손잡이부를 갖추어 상호 결합되어 상기 출구봉인판 오픈용 오프너탭으로 구성된 포장용 캔 용기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상부면 중심에 돌출 형성된 리벳돌기를 기준 하여 설정간격을 두고 요홈의 외측 라인을 따라 양끝단이 연계되어 점진적이고 자연스럽게 소정각도 경사진 가이드면을 이루며 상측으로 돌출 되되 적어도 손가락이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오프너탭의 중심부 하측면에 접촉되는 받침면이 돌출된 탭리프트돌기가 형성된」구성이 제시되고 있다.
To this end, the can reservoir of the outflow source includes a container body having a cylindrical shape with an upper end opened and having a certain amount of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circular upper plate having an outlet seal plate having cutout lines formed in the groove of the setting shape so as to be easily cut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hereto, and a rive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enter thereof, A hinge portion having a coupling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center thereof so as to be rotatable and bendable by a rivet projection at a center of an upper side of the upper plate is provided and a knob portion penetrating the rear end portion for easy grasping is provided,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upper can has a guide surface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so as to gradually and naturally slope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tab lift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opener tab, which is in contact with a lower surface of the center of the opener tab, is formed so that the finger protrudes at least easily.
이와 같은 기출원의 캔 용기는 용기몸체가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기몸체를 손으로 잡을 경우 쉽게 미끄러져 캔 용기를 놓치게 되며, 이로인해 용기몸체 내부의 내용물이 쏟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노출된다.The can container of the outflow source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when the user holds the container body by hand, the can container easily slips and misses the can container, thereby exposing the problem of pouring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body.
또한, 상기 기출원의 캔 용기는 오프너탭(풀탭)의 후방으로 손가락이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 제시되기는 하지만, 이를 위해 상기 오프너탭은 캔 용기가 제품으로 출시될 때 상판상에서 일정각도 회전된 상태로 되어야 하는데, 이는 오프너탭이 출시된 후 오프너탭을 회전시켜야 하는 작업공수가 증가되기 때문에 캔 용기를 제작할 때 번거롭고 작업공수의 증가에 따른 작업비용이 더 소모되는 문제점이 노출된다.
In addition, although the can reservoir of the outflow source has a structure for allowing a finger to be easily inserted rearward of the opener tab (pull tab), the opener tab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can container is released as a product, The number of workpieces to rotate the opener tab is increased after the opener tab is released, so that it is troublesome to manufacture the can container and the work cost is increased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workpieces.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이에 본 발명은, 용기본체의 형상을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편리하도록 개선하여 캔용기를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취급할 수 있도록 하고, 캔용기를 개방시키기 위한 풀탭(pull-tap)의 구성을 개선하여 캔용기를 보다 손쉽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 포장용 캔 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hape of the container body to be hand-held by a user so that the container can be handled conveniently and stably, and the pull-tap structure for opening the container can be improve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ainer can for packaging which can open the container more easi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의 구성을 갖는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은, 용기본체의 상, 하부가 상판과 하판에 의해 마감되고, 상판의 상면에 상판을 개방시키기 위한 풀탭이 형성된 캔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길이방향 사이의 적어도 일 지점이 상부와 하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함몰된 형태로 함몰형상부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기본체를 손으로 잡기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함몰형상부는 함몰되는 시작지점에서 좁아진 내측지점까지의 경사면이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1이상의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풀탭은 상판의 일측에 치우쳐 결합되는 것으로 일단을 손가락으로 들어올리면 타단이 상판을 가압하는 지렛대 작용으로 용기본체에서 상판의 절취라인을 따라 상판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풀탭은 손가락으로 들어올리기 위한 지점에 손가락을 걸기 위한 공간으로 걸이부가 형성되며, 상기 풀탭의 상기 걸이부의 타단에는 상판을 가압할 때 하중을 집중시키기 위한 가압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풀탭은 상기 걸이부의 내측인 상기 풀탭의 걸이부와 가압단부의 사이에 풀탭의 일단에 형성되는 걸이부를 상향시키도록 한 레버가 형성되며, 상기 레버는 양단부가 풀탭의 외주부에 결합되고 중앙지점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만곡된 봉의 형태로 형성되어 걸이부의 중앙에 손가락 삽입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n container in which upper and lower portions of a container body are closed by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and a pull tab for opening the upper plate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 recessed portion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lower portion is formed so that a space for the user to hold the container body is formed by the user, and the inclined surface from the starting point at which the recessed portion is recessed to the inner point, The pull tab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upper plate. When one end of the pull tab is lifted with a finger, the other end presses the upper plate. As a result, Wherein the pull tab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eparate the top plate along the cut line, Wherein a hook portion is formed as a space for hooking a finger at a point for hooking the hook portion, and a pressing end portion for concentrating a load when pressing the upper plate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hook portion of the pull tab, The lever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urved rod so that both ends of the lever are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pull tab and the center point of the lever is projected upward, And a finger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nger insertion ho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용기본체에 함몰형상부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캔 용기를 쉽게 잡아 편리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하고, 함몰형상부에 의해 포장된 내용물의 양에 대비하여 캔 용기가 커 보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cessed portion is formed in the container bod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hold the container and handle the container easily, and the container can be made large in size against the amount of the contents packed by the recessed portion. .
또한, 본 발명은 풀탭에 형성된 레버에 의해 손가락을 풀탭에 걸어 캔을 보다 손쉽게 개방시킬 수 있게 되며, 이러한 구성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풀탭을 새롭게 정렬하는 등의 작업과정이 배재되어 과도한 작업비용의 지출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ever formed on a pull tab allows a finger to be opened on a pull tab to open the can more easily, and a work process such as newly aligning the pull tab in the state of maintaining such a configuration is dispensed with,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prevent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캔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캔 용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캔 용기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캔 용기의 사용상태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of a ca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portion of a ca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us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캔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캔 용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캔 용기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a ca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a ca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캔 용기는 용기본체(10), 상판(20), 하판(30), 풀탭(4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캔 용기는 상, 하로 길이방향을 갖는 원통형태의 구성으로 예시하였지만 길이보다 직경이 넓은 형태의 캔 용기, 타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캔 용기 등의 구성에도 적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 ca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상기 용기본체(10)는 상, 하로 길이방향을 갖는 원통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본체(10)는 캔 용기의 외형을 결정짓는 구성으로 전술된 것과 같이 길이보다 직경이 넓은 형태, 평면상 타원형의 원통형태 등 여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용기본체(10)는 길이방향 사이의 적어도 일 지점이 상부와 하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함몰된 형태로 함몰형상부(1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함몰형상부(11)는 사용자가 용기본체(10)를 손으로 잡기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특히, 상기 함몰형상부(11)는 도면 상 일지점에 형성된 것으로 표현되었지만 2, 3지점에 형성될 수도 있다.Here, the
또한, 상기 함몰형상부(11)는 함몰되는 시작지점에서 좁아진 내측지점까지의 경사면(12)이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곡선형태는 내측으로 만곡되거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특히, 상기 함몰형상부(11)의 경사면(12)에는 사용자가 함몰형상부(11)를 손으로 잡은 후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부(13)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돌기부(13)는 함몰형상부(11)의 경사면(12) 내에서 1지점 이상의 지점에 적절히 형성된다.
Particularly, the
상기 상판(20)과 하판(30)은 용기본체(10)의 개방된 상, 하단부를 마감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상판(20)과 하판(30) 및 용기본체(10)는 각각의 외주면을 결합시키게 됨은 주지된 것과 같다.The
여기서, 상기 상판(20)과 하판(30)은 용기본체(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 용기본체(10)의 평면상 형상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됨은 당연하며, 특히, 상판(20)은 후술될 풀탭(40)에 의해 용기본체(10)에서 이탈되도록 하기 위해 절취라인(21)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The
상기 상판(20)에는 내용물이 투입된 캔 용기의 상부를 개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전술된 풀탭(40)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풀탭(40)은 상판(20)의 일측에 치우쳐 결합되는 것으로 일단을 손가락으로 들어올리면 타단이 상판(20)을 가압하는 지렛대 작용으로 용기본체(10)에서 상판(20)의 절취라인(21)을 따라 상판(20)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은 주지된 것과 같다.The above-described
상기와 같은 풀탭(40)은 손가락으로 들어올리기 위한 지점에 손가락을 걸기 위한 공간으로 걸이부(41)가 형성되며, 그 타단에는 상판(20)을 가압할 때 하중을 집중시키기 위한 가압단부(42)가 형성된다.The
특히, 상기 풀탭(40)은 걸이부(41)의 내측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눌러 풀탭(40)의 끝단을 상향시키도록 한 레버(43)가 형성된다. 즉, 상기 걸이부(41)의 내측은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41)로 부터 풀탭(40)의 안쪽인 내측을 말하는 것으로, 상기 걸이부(41)의 내측은 상기 풀탭(40)의 걸이부(41)와 가압단부(42)의 사이를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레버(43)는 상기 걸이부(41)의 내측인 상기 풀탭(40)의 걸이부(41)와 가압단부(42)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버(43)는 걸이부(41)의 내측에서 양단부가 풀탭(40)의 외주부에 결합된 형태이며, 대략 중앙지점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만곡된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레버(43)는 풀탭(4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풀탭(40)에 결합구성될 수 있다. 즉, 다시 말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43)는 양단부가 풀탭(40)의 외주부에 결합되고 중앙지점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만곡된 봉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레버(43)가 봉의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걸이부(41)의 중앙에 손가락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이다.
In particular, the
More specifically, the
삭제delete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캔 용기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4 is a sectional view of the ca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use;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캔 용기는 용기본체(10)에 형성된 함몰형상부(11)에 사용자가 캔 용기를 편리하게 잡을 수 있게 되며, 특히, 돌기부(13)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캔 용기를 취급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an container allows the user to conveniently hold the can container on the
또한, 상기 캔 용기의 상판(20)을 절취하기 위해 사용자가 풀탭(40)의 레버(43)의 돌출된 지점을 가압하게 되면 이에 대응되는 반작용으로 풀탭(40)의 끝단부가 상향되어 풀탭(40)과 상판(20)의 사이로 손가락을 손쉽게 넣을 수 있게 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protruding point of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풀탭(40)을 더 상향시키게 되면, 풀탭(40)의 가압단부(42)가 상판(20)을 가압하게 되어 상판(20)의 일부가 분리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풀탭(40)의 걸이부(41)에 손가락을 걸어 당기게 되면 상판(20)이 용기본체(10)에서 완전히 절취되어 캔 용기의 상부가 개방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user further raises the
10: 용기본체 11: 함몰형상부
13: 돌기부 20: 상판
21: 절취라인 30: 하판
40: 풀탭 43: 레버10: container body 11:
13: protrusion 20: top plate
21: cut line 30: bottom plate
40: pull-tab 43: lever
Claims (3)
상기 용기본체(10)는 길이방향 사이의 적어도 일 지점이 상부와 하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함몰된 형태로 함몰형상부(11)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기본체(10)를 손으로 잡기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함몰형상부(11)는 함몰되는 시작지점에서 좁아진 내측지점까지의 경사면(12)이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12)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1이상의 돌기부(13)가 형성되며,
상기 풀탭(40)은 상판(20)의 일측에 치우쳐 결합되는 것으로 일단을 손가락으로 들어올리면 타단이 상판(20)을 가압하는 지렛대 작용으로 용기본체(10)에서 상판(20)의 절취라인(21)을 따라 상판(20)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풀탭(40)은 손가락으로 들어올리기 위한 지점에 손가락을 걸기 위한 공간으로 걸이부(41)가 형성되며,
상기 풀탭(40)의 상기 걸이부(41)의 타단에는 상판(20)을 가압할 때 하중을 집중시키기 위한 가압단부(42)가 형성되고,
상기 풀탭(40)은 상기 걸이부(41)의 내측인 상기 풀탭(40)의 걸이부(41)와 가압단부(42)의 사이에 풀탭(40)의 일단에 형성되는 걸이부(41)를 상향시키도록 한 레버(43)가 형성되며,
상기 레버(43)는 양단부가 풀탭(40)의 외주부에 결합되고 중앙지점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만곡된 봉의 형태로 형성되어 걸이부(41)의 중앙에 손가락 삽입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캔 용기.A can container in which upper and lower portions of a container body 10 are closed by an upper plate 20 and a lower plate 30 and a pull tab 40 for opening the upper plate 2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0,
The container body 10 has a depression 11 formed in a recessed shape with at least one point between the longitudinal directions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upper and the lower portions to allow the user to hold the container body 10 by hand A space is formed,
The inclined surface 12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or a curved line from the depressed portion 11 to the narrowed inner side point. At least one protruding portion 13 is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12 to prevent slipping ,
The pull tab 40 is biased to one side of the upper plate 20 so that when one end is lifted with a finger, the other end pushes the upper plate 20, So as to separate the upper plate 20,
The pull tab 40 is formed with a hook 41 as a space for holding a finger at a point for lifting the finger,
A pressing end portion 42 for concentrating a load when the upper plate 20 is pressed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hook portion 41 of the pull tab 40,
The pull tab 40 has a hook 41 formed at one end of the pull tab 40 between the hook 41 and the pressing end 42 of the pull tab 40 which is the inside of the hook 41 A lever 43 for upward movement is formed,
Wherein the lever (43)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urved rod so that both ends thereof are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pull tab (40) and the center point thereof protrudes upward, and a finger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hook Can contain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2920A KR101486242B1 (en) | 2013-09-23 | 2013-09-23 | Cans for packaging containe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2920A KR101486242B1 (en) | 2013-09-23 | 2013-09-23 | Cans for packaging container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86242B1 true KR101486242B1 (en) | 2015-01-27 |
Family
ID=52592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12920A Active KR101486242B1 (en) | 2013-09-23 | 2013-09-23 | Cans for packaging container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6242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34824B1 (en) * | 2017-06-23 | 2019-01-07 | 임인선 | Storage container of agricultural chemicals |
KR20210061250A (en) * | 2019-11-19 | 2021-05-27 | 성훈 | Easily cooked noodle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32039U (en) * | 1979-08-20 | 1981-03-28 | ||
KR970020899A (en) * | 1995-10-27 | 1997-05-28 | 이윤환 | Metal beverage container |
KR19990073353A (en) * | 1999-07-05 | 1999-10-05 | 조성호 | Can lid with opening means providing enhanced opening function and sanitariness |
KR200300923Y1 (en) * | 2002-10-04 | 2003-01-15 | 옥윤채 | A cover to a can equipped with a safety cover |
-
2013
- 2013-09-23 KR KR1020130112920A patent/KR10148624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32039U (en) * | 1979-08-20 | 1981-03-28 | ||
KR970020899A (en) * | 1995-10-27 | 1997-05-28 | 이윤환 | Metal beverage container |
KR19990073353A (en) * | 1999-07-05 | 1999-10-05 | 조성호 | Can lid with opening means providing enhanced opening function and sanitariness |
KR200300923Y1 (en) * | 2002-10-04 | 2003-01-15 | 옥윤채 | A cover to a can equipped with a safety cover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34824B1 (en) * | 2017-06-23 | 2019-01-07 | 임인선 | Storage container of agricultural chemicals |
KR20210061250A (en) * | 2019-11-19 | 2021-05-27 | 성훈 | Easily cooked noodles |
KR102286237B1 (en) | 2019-11-19 | 2021-08-04 | 성훈 | Easily cooked noodl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14432B1 (en) | Handle for a plastic bottle | |
WO2008023983A1 (en) | Sealing element for a drinks can, and drinks can provided with such a sealing element | |
US7582350B2 (en) | Multi-opener device | |
US20140237952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opening of containers | |
US20150122817A1 (en) | Container with an insert and a lid | |
US20200407109A1 (en) | Reclosable can ends | |
KR101486242B1 (en) | Cans for packaging containers | |
US9416803B1 (en) | Clip with aperture opening means | |
US9938051B2 (en) | Cover for an opening in a container | |
JPS6119071Y2 (en) | ||
JP4957125B2 (en) | Container for liquid storage | |
US3056534A (en) | Bottle holder | |
US2702652A (en) | Implement for opening sealed containers | |
JP4949531B2 (en) | Bottle with handle | |
KR20150000711A (en) | Can open structure of can drink | |
KR200475342Y1 (en) | Handle for drinking vessel | |
KR20130009358A (en) | Easily openable cover structure of can | |
KR20200033786A (en) | easy open beverage can | |
JP2009173290A (en) | Liquid container | |
KR20080090894A (en) | Opener | |
US7918147B2 (en) | Removal device for pour top spouts | |
KR101461851B1 (en) | Can Opener | |
KR20160112916A (en) | Can Openner | |
JP3117927U (en) | Injection aid for liquid containers | |
FI125894B (en) | Screw cap ope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12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