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500B1 - Device and method by the membrane separator activated advanced oxidation process - Google Patents
Device and method by the membrane separator activated advanced oxidation proces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5500B1 KR101485500B1 KR20140152336A KR20140152336A KR101485500B1 KR 101485500 B1 KR101485500 B1 KR 101485500B1 KR 20140152336 A KR20140152336 A KR 20140152336A KR 20140152336 A KR20140152336 A KR 20140152336A KR 101485500 B1 KR101485500 B1 KR 1014855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nk
- separation
- membrane
- batch
- wastew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8000009303 advanced oxidation process reaction Methods 0.000 title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9629 microbiological cultur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5484 reaction tim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5374 membrane filtr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YUWBVKYVJWNVLE-UHFFFAOYSA-N [N].[P] Chemical compound [N].[P] YUWBVKYVJWNVLE-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06010001497 Agit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019 ag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ZSJDYOACSA-N Heavy water Chemical compound [2H]O[2H] XLYOFNOQVPJJNP-ZSJDYOACSA-N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618 particulate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JVMRPSJZNHXORP-UHFFFAOYSA-N ON=O.ON=O.ON=O.N Chemical compound ON=O.ON=O.ON=O.N JVMRPSJZNHXO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INIDFKCEFEMDL-UHFFFAOYSA-N Sulfur Chemical compound [S] NINIDFKCEFEM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MDJDBSEMBIJBB-UHFFFAOYSA-N [O-][N+]([O-])=O.[O-][N+]([O-])=O.[O-][N+]([O-])=O.[NH6+3] Chemical compound [O-][N+]([O-])=O.[O-][N+]([O-])=O.[O-][N+]([O-])=O.[NH6+3] MMDJDBSEMBIJB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87 bubb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73 di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21 disti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88 gravitational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10 hollow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BHEPBYXIRTUNPN-UHFFFAOYSA-N hydridophosphorus(.) (triplet) Chemical compound [PH] BHEPBYXIRTUNP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46 nitrify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464 nitrogen compou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30 nitrogen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4 recirc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58 re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3—Sequencing batch reactors [SB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02F3/1273—Submerged membrane bioreacto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02F3/305—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denitrific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8—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회분식과 막분리를 결합한 하폐수처리의 재이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압식 전량 여과 방식으로 여과하는 분리막 방식과 내부 반송에 따른 재순환으로 분리막 유니트 오염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연속회분식과 막분리를 결합한 하폐수처리의 재이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량 조정조와, 회분식 반응조, 및 막분리조를 포함하는 연속회분식과 막분리를 결합한 하폐수처리의 재이용 장치에 있어서,
오수가 유입되는 유량 조정조; 유입된 오수에 대한 반응, 교반이 수행되는 회분식 반응조; 상기 유량 조정조에 유입된 오수의 량을 소정 레벨로 구분하여 측정한 레벨 측정 정보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수위계; 유입된 오수량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회분식 반응조로 이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수중 교반 장치와 연장된 선상의 일정 위치에 또는 상기 회분식 반응조 벽면 중 어느 두면에 설치되는 와류 발생 장치; 상기 회분식 반응조 내에 미생물 서식을 용이하게 하는 접촉여재; 상기 회분식 반응조의 유입배관 전단에 설치되는 분배관; 상기 회분식 반응조와 연결되어 고액 분리하여 처리수를 생산하거나 내부 반송하는 막분리조; 상기 막분리조에 침지되고, 막분리조 외부에 존재하는 흡인펌프의 가동으로 발생하는 흡인압에 의해 분리막 유니트 외부의 혼합물이 분리막 유니트 공극을 통해 분리막 유니트 내부로 유입되면서 고액분리되는 복수개 분리막유니트; 상기 막분리조 외부에 설치되어 흡인력을 생성하는 흡인펌프; 상기 흡인펌프 사이에 설치되며, 분리막유니트의 투과압력을 감지하는 차압계와 처리수의 유입을 단속하는 흡입밸브가 설치된 복수 개의 분리막 흡인라인; 상기 흡인펌프에 의해 흡입된 처리수를 공급받아 외부로 방류시키는 방류조; 상기 막분리조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분리막 유니트 표면에 발생하는 폐색 지연, 가동 시간 연장을 위해, 상기 회분식 반응조에 각각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와 에어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송풍기로 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막분리 호기조 내부에 공급하는 산기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유기물 및 영양염류를 제거하기 위한 생물학적 질소-인 제거공정과 활성슬러지의 최종처리수 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막여과 공정과 내부 유입 방법을 조합하여, MBR공정에서 대두될 수 있는 분리막 유니트 오염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cycling wastewater treatment combined with continuous batch and membrane separ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paration membrane system for filtration by an external pressure type filtration system and a method for minimizing contamination of a separation membrane uni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use of wastewater treatment combined with a continuous batch method and a membrane separation method.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cycling apparatus for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hich comprises a batch regulator, a batch reactor, and a membrane separator,
A flow regulating tank into which sewage is introduced; Reaction to the incoming wastewater, and a stirred tank; A water level meter for transmitting level measurement information measured by dividing the amount of wastewater flowing into the flow rate adjusting tank to a predetermined level, to the controller;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ransfer to the batch type reaction tank at a constant rate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introduced sewage; A vortex generating device installed at either a predetermined position on an extended line with the underwater stirring device or on either of two surfaces of the batch reaction tank wall; A contact material for facilitating microbial culture in the batch reactor; A distribution pipe install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inflow pipe of the batch type reaction tank; A membrane separation tank connected to the batch type reaction tank and subjected to solid-liquid separation to produce or return the treated water to the inside; A plurality of separation membrane units immersed in the membrane separation vessel and being solid-liquid separated while the mixture outside the separation membrane unit flows into the separation membrane unit through the separation membrane unit gap by the suction pressure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pump existing outside the membrane separation vessel; A suction pump provided outside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to generate a suction force; A plurality of separation membrane suction lines installed between the suction pumps and provided with a differential pressure meter for sensing the permeation pressure of the separation membrane unit and a suction valve for interrupting the inflow of the process water; A discharge tank which receives the treated water sucked by the suction pump and discharges the treated water to the outside; A blower installed outside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to supply air to the batch type reaction tank for delaying occlusion and prolongation of operation time occurring on the surfa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unit; A biological nitrogen-phosphorus removal process for removing organic matter and nutrients, and a biological nitrogen-phosphorus removal process for removing organic matter and nutrients, comprising a ventilator connected to the blower through an air line, Combination of the membrane filtration process and the internal inflow method to prevent the effluent of the activated sludge in the final treated water can minimize the contamination phenomenon of the separation membrane unit which can be formed in the MBR process.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속회분식과 막분리를 결합한 하폐수처리의 재이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압식 전량 여과 방식으로 여과하는 분리막 방식과 내부 반송에 따른 재순환으로 분리막 유니트 오염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연속회분식과 막분리를 결합한 하폐수처리의 재이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cycling wastewater treatment combined with continuous batch and membrane separ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paration membrane system for filtration by an external pressure type filtration system and a method for minimizing contamination of a separation membrane uni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use of wastewater treatment combined with a continuous batch method and a membrane separation method.
종래의 하폐수의 고도처리 공정으로서 생물학적 처리 공정으로는, 반응조의 구성과 운영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 방식으로 구분 할 수 있는데; A/O(anaerobic/Oxic), A2/O(anaerobic/anoxic/oxic), UCT(University of Capetown), Bardenpho와 같이 혐기, 무산소, 호기조등이 직렬로 연결되는 메인 스트림(main stream) 공정과 Phostrip, PL- 등과 같이 혐기성 탈인조가 병렬로 연결되는 사이드 스트림(side stream)공정으로 분류된다. As a conventional process for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the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methods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reaction tank; A mainstream process in which anaerobic, anaerobic and aerobic basins are connected in series such as anaerobic / oxic, anaerobic / anoxic / oxic, UCT and Bardenpho, and Phostrip , PL-, and the like, and side stream processes in which anaerobic degumming is connected in parallel.
또한 반응조의 Phase가 고정되어 있는 공간배치형과 반응조의 상(phase)이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시간 배치형 공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Also, it can be classified into a spatial arrangement type in which the phase of the reaction vessel is fixed and a time arrangement type process in which the phase of the reaction vessel changes with time.
상기 다양한 공정들은, 기온이나 운전조건 등의 변화로 후속 중력침전조에서 슬러지 팽화, 미세플록, 슬러지부상 등의 문제가 종종 발생하여 생물학적처리 공정을 최적화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처리수질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드러나곤 한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공정에서 사용하는 중력침전방식은 반응조내 미생물의 농도를 일정수준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고부하에 대한 대처능력이 떨어지며,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유지해야하는 한계가 있다. 이에 기존 중력침전에 의한 고액분리(solid/liquid separation)를 대신하여 분리막 유니트를 이용해 안정적으로 고액분리를 달성할 수 있는 막여과 방식을 접목한 막결합형 생물처리공법이 등장하게 되었다.Although the various processes described above have frequently caused problems such as sludge expansion, micro flocs and sludge floatation in the subsequent gravitational settling tank due to changes in temperature or operating conditions, the problem of deteriorating the treated water quality has been revealed do. In addition, since the gravitational sedimentation method used in the conventional process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concentration of the microorganisms in the reaction tank at a certain level or higher, the ability to cope with high load is inferior and the hydraulic retention time has to be kept relatively long . Thus, a membrane-bound biological treatment method combining a membrane filtration method capable of achieving stable solid-liquid separation using a separation membrane unit instead of solid / liquid separation by gravity sedimentation has emerged.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22403호 고도처리용 막분리장치의 폐색 방지장치는 미생물에 의해 탈질화가 일어나 원수와 반응조내의 기존 액체와의 혼합액내 질산성 질소를 질소가스로 전환하여 제거하는 무산소조, 상기 무산조로부터 유입된 혼합액내의 질소와 아질산성 질소를 질산화하고, 인과 인성분은 제거하는 호기조, 상기 호기조내에 설치되어 하수와 폐수를 입자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여과시키는 분리막유니트로 구성되는 데, 호기조내에 설치되는 분리막유니트로 인해 분리막 유니트 오염현상이 심각해지고, 유량조정조와 무산소조와 호기조와 같은 기존 조들의 연속적인 연결에 따른 소유부지 면적의 증대 문제가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No. 1022403 discloses an apparatus for preventing clogging of a membrane separation apparatus for advanced treatment, which is an anoxic tank in which denitrification is caused by microorganisms and is converted into nitrogen gas by converting nitrate nitrogen into mixed gas of raw water and existing liquid in the reaction tank, An aerobic tank for nitrifying nitrogen and nitrite nitrogen in the mixed liquor introduced from the tank and removing phosphorus and phosphorous components and a separation membrane unit installed in the aerobic tank for selectively filtering sewage and wastewater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The problem of contamination of the separation membrane unit becomes serious due to the separation membrane unit, and there arises a problem of an increase in the area of the ownership site due to the continuous connection of the existing vessels such as the flow rate control tank, the anoxic tank and the oxic tank.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등록특허 제1395188호는 분리막모듈이 구비된 오폐수 처리장치는 일측에 구비된 유입관(10')을 통해 유입된 오폐수 중의 협잡물 또는 부유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조(100'), 상기 스크린조(100')에 연결되어 스크린조(100')에서 처리되어 이송된 처리수의 인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수중교반기(900')가 구비된 혐기조(200'), 상기 혐기조(200')에 연결되어 혐기조(200')에서 이송된 처리수의 탈질화를 위한 것으로 수중교반기(900')가 구비된 무산소조(300'), 상기 무산소조(300')에 연결되어 무산소조(300')에서 유입된 처리수의 잔류 유기물을 제거하고 물과 슬러지를 고액분리시키는 분리막모듈(700')이 구비된 MBR조(400'), 상기 MBR조(400')에 연결되어 MBR조(400')에서 유입된 처리수의 황탈질반응을 하기 위한 SDR조(500'), 및 상기 SDR조(500')에서 여과된 처리수를 배출하는 배출관(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1, Korean Patent No. 1395188 discloses a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provided with a separation membrane module, which includes a
즉, 스크린조(100'), 혐기조(200'), 무산소조(300'), MBR조(400'), SDR조(500') 등 다수개의 처리조들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많은 부지를 차지하여 효용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a plurality of treatment tanks such as the screen tank 100 ', the anaerobic tank 200', the anoxic tank 300 ', the MBR tank 400' and the SDR tank 500 '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tility is very poor.
따라서 분리막 유니트 오염현상을 최소화하고, 기존 조들의 연속적인 연결에 따른 소유부지 면적의 증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new system that minimizes the contamination of the separation membrane unit and minimizes the increase in the area of the ownership area due to the continuous connection of the existing vessel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유량 조정조와 회분식 반응조와 막분리조의 단순화된 3단 구성으로 부하를 적게 받아 MBR공정에서 대두될 수 있는 분리막 유니트 오염현상을 최소화하는 외압식 막여과방식으로 여과하고, 다시 인제거를 위해 내부 반송에 따른 회분식 반응조로 재순환 시켜 유기물 및 영양염류의 처리를 극대화함으로써, 잉여슬러지를 최소화하여 분리막 유니트의 교체 주기가 길어지므로 상기 분리막 유니트의 수명을 연장하는 데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mple three-stage flow regulator, a batch reactor, and a membrane separator, The filtration is performed by an external pressure membrane filtration method and then recycled to the batch type reaction tank for internal transfer to maximize the treatment of organic substances and nutrients to minimize excess sludge so that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separation membrane unit becomes longer, The purpose is to extend the life span.
또한 본발명의 목적은, 오수가 유입되는 유량 조정조와, 유입된 오수에 대한 반응, 교반이 수행되는 회분식 반응조 및 막분리조를 포함하는 3개의 조로 구성된 단순한 형태로, 하수, 오수 및 폐수의 고도처리를 위해 기존 MBR 공정대비 구분 격실을 줄여 소유 부지 면적을 최소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sewage, sewage, and wastewater in a simple form consisting of a flow rate adjusting tank into which wastewater flows, a batch reactor and a membrane separator, It is aimed to minimize the area of the ownership area by reducing the dividing compartments compared to the existing MBR process.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속회분식과 막분리를 결합한 하폐수처리의 재이용 장치에 있어서, 오수가 유입되는 유량 조정조; 유입된 오수에 대한 반응, 교반이 수행되는 회분식 반응조; 상기 유량 조정조에 유입된 오수의 량을 소정 레벨로 구분하여 측정한 레벨 측정 정보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수위계; 유입된 오수량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회분식 반응조로 이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수중 교반 장치와 연장된 선상의 일정 위치에 또는 상기 회분식 반응조 벽면 중 어느 두면에 대각선으로 설치되는 와류 발생 장치; 상기 회분식 반응조 내에 미생물 서식을 용이하게 하는 접촉여재; 상기 회분식 반응조의 유입배관 전단에 설치되는 분배관; 상기 회분식 반응조와 연결되어 고액 분리하여 처리수를 생산하거나 잉여슬러지를 반송하는 막분리조; 상기 막분리조에 침지되고, 막분리조 외부에 존재하는 흡인펌프의 가동으로 발생하는 흡인압에 의해 분리막 유니트 외부의 혼합물이 분리막 유니트 공극을 통해 분리막 유니트 내부로 유입되면서 고액분리되는 복수개 분리막유니트; 상기 막분리조 외부에 설치되어 흡인력을 생성하는 흡인펌프; 상기 흡인펌프 사이에 설치되며, 분리막유니트의 투과압력을 감지하는 차압계와 처리수의 유입을 단속하는 흡입밸브가 설치된 복수 개의 분리막 흡인라인; 상기 흡인펌프에 의해 흡입된 처리수를 공급받아 외부로 방류시키는 방류조; 상기 막분리조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분리막 유니트 표면에 발생하는 폐색 지연, 가동 시간 연장을 위해, 상기 회분식 반응조에 각각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 및 상기 송풍기와 에어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송풍기로 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막분리 유니트 내부에 공급하는 산기 장치;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cycling apparatus for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in which continuous batch and membrane separation are combined, the apparatus comprising: Reaction to the incoming wastewater, and a stirred tank; A water level meter for transmitting level measurement information measured by dividing the amount of wastewater flowing into the flow rate adjusting tank to a predetermined level, to the controller;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ransfer to the batch type reaction tank at a constant rate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introduced sewage; A vortex generator installed at an arbitrary position on an extended line or on an underwater agitator and diagonally on either side of the batch reactor wall; A contact material for facilitating microbial culture in the batch reactor; A distribution pipe install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inflow pipe of the batch type reaction tank; A membrane separation tank connected to the batch type reaction tank for solid-liquid separation to produce treated water or convey excess sludge; A plurality of separation membrane units immersed in the membrane separation vessel and being solid-liquid separated while the mixture outside the separation membrane unit flows into the separation membrane unit through the separation membrane unit gap by the suction pressure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pump existing outside the membrane separation vessel; A suction pump provided outside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to generate a suction force; A plurality of separation membrane suction lines installed between the suction pumps and provided with a differential pressure meter for sensing the permeation pressure of the separation membrane unit and a suction valve for interrupting the inflow of the process water; A discharge tank which receives the treated water sucked by the suction pump and discharges the treated water to the outside; A blower installed outside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to supply air to the batch type reaction tank for delaying occlusion and prolongation of operation time occurring on the surfa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unit; And an air diffuser connected to the blower through an air line to receive air from the blower and supply the air to the inside of the membrane separation uni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량 조정조가 상기 레벨 측정 정보에 따라 유입 오수량이 적어 회분식 반응조가 정상 공정을 진행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송풍기를 일정 시간만 가동하는 간헐적 가동하는 저부하 모드가 가동되며, 상기 레벨 측정 정보에 따라 오수 유입량의 과다 유입에 따른 유량 조정조 고수위에서는 고부하 모드가 가동되어 제1 및 제2 유입 예비 펌프를 가동시켜 유입 시간을 단축시키고, 제1 및 제2송풍기를 동시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low rate adjusting tank determines that the batch reactor tank can not proceed with the normal process due to the inflowing water amount is low according to the level measurement information, the intermittently operating first The load mode is activated and the high load mode is activated on the basis of the excess amount of the wastewater inflow amount according to the level measurement information to shorten the inflow time by operating the first and second inflow reserve pumps, Two blowers are simultaneously operat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분식 반응조가 유입수 이송 배관을 회분식 반응조의 수중 교반 장치 전단으로 분배하여 초기 교반률을 높이고, 유입 원수의 유기탄소원을 활용하여 2차 탈질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tch reaction tank distributes the influent water transfer pipe to the front end of an underwater agitator of the batch reaction tank to increase the initial stirring rate and induce secondary denitrification by utilizing the organic carbon source of the influent raw wat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리막 유니트가 공칭공경이 0.001㎛~0.4㎛를 갖는 침지형 또는 외압형 분리막 유니트이고, 막의 형태는 중공사(hollow fibular), 관(tublar) 또는 평(flat)막 형태 중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parator unit may be a submerged or external pressure separator unit having a nominal pore size of 0.001 to 0.4 mu m. The membrane may be in the form of a hollow fibular, tubular or flat membrane.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배관이 회분식 반응조로 오수가 유입되는 부분에 설치되며, 낙차에 의해 기포가 발생되면 산소가 유입되어 초기 탈질 처리 효율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ㄱ" 형상으로 꺽여 반응조의 하부로 향하게 하여 낙차를 줄이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prevent the reduction of the efficiency of the initial denitrification process due to the inflow of oxygen when the bubbles are generated due to the dropping,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eed pipe is bent in a " So as to reduce the head drop.
또한, 본 발명은 유량 조정조및 회분식 반응조와 막분리조로 구성되는 연속회분식과 막분리를 결합한 하폐수처리의 재이용 방법에 있어서, 유량 조정조에서 유입된 오수의 량을 소정 레벨로 구분하여 측정한 레벨 측정 정보에 따라 유입 예비 펌프를 작동시켜 오수를 처리하는 회분식 반응조로 유입시키는 유입 단계; 상기 회분식 반응조 내에 오수의 농도가 일정치 이상일 경우 반응 시간을 늘리기 위해 제1 송풍기와 제2 송풍기를 가동시키고, 산기 장치를 통해 오수의 농도에 따라서 포기량을 조절하는 반응 단계; 상기 회분식 반응조 내의 수중 교반 장치와 벽면의 와류 발생 장치와, 유입배관 전단에 설치되는 분배관에 의해 오수를 교반시키는 교반 단계; 생물학적 처리 공정을 거친 미생물 혼합액을 호기적 처리를 위해, 막분리조로 이송하여 분리막 유니트를 통해 고액 분리하여 처리수를 생산하는 단계; 상기 분리막 유니트에 의해 유출되지 않은 질산화된 활성슬러지를 내부 반송으로 상기 회반식 반응조로 재순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고액 분리단계에서 분리된 상등수를 처리 수조로 배출하는 배출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reuse of wastewater treatment combined with continuous batch and membrane separation comprising a flow rate adjustment tank, a batch type reaction tank and a membrane separation tank, wherein the level measurement information is obtained by dividing the amount of wastewater introduced from the flow rate adjustment tank into a predetermined level An inflow step of operating the inlet preliminary pump and introducing it into a batch type reaction tank for treating wastewater; A reaction step of operating the first blower and the second blower to increase the reaction time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wastewater in the batch type reaction tank is equal to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adjusting the amount of the aeration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wastewater through the air diffuser; Stirring the wastewater by means of an underwater agitating device in the batch type reaction tank, a vortex generating device on a wall surface, and a distribution pipe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influent pipe; Transferring the microbial mixed solution having undergone the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to a membrane separation tank for aerobic treatment, and solid-liquid separation through a separation membrane unit to produce treated water; Recycling the nitrified activated sludge that has not been discharged by the separation membrane unit to the recycled reaction tank through internal transportation; And a discharging step of discharging the supernatant separated in the solid-liquid separation step to the treated water tank.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입 단계에서, 상기 레벨 측정 정보에 따라 유입 오수량이 적어 회분식 반응조가 정상 공정을 진행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송풍기를 일정 시간 만 가동하는 간헐적 가동하는 저부하 모드 단계; 및 상기 레벨 측정 정보에 따라 오수 유입량의 과다 유입에 따른 유량 조정조 고수위에서는 제1 및 제2 유입 예비 펌프를 가동시켜 유입 시간을 단축시키고, 제1 및 제2송풍기를 동시 가동시키는 고부하 모드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the inflow step,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mount of inflow water is low according to the level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he batch reactor can not proceed with the normal process,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are intermittently operated A low load mode step; And a high load mode step for shortening the inflow time and simultaneously operating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by operating the first and second inflow reserve pumps on the basis of the high flow rate of the wastewater inflow amount according to the level measurement information .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분리막 공정 전단에 회분식 반응조 공정을 도입함으로써 막여과 공정으로 유입되는 혼합미생물의 미생물 농도(MLSS)를 최소화시키고, 회분식 반응조는 호기조건과 무산소 단계에서 생물학적 질소-인 제거 공정을 수행하며, 유기물 및 영양염류의 처리를 극대화함으로써, MBR공정에서 대두될 수 있는 분리막 유니트 오염현상을 최소화함으로써, 분리막 유니트의 수명을 연장하여 교체 주기를 길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microbial concentration (MLSS) of the mixed microorganisms flowing into the membrane filtration process by introducing the batch-type reactor process before the separation membrane process, and the batch-type reaction tank performs the biological nitrogen-phosphorus removal process By maximizing the treatment of organic substances and nutrient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ontamination of the separation membrane unit, which may occur in the MBR process, thereby extending the lifetime of the separation membrane unit and prolonging the replacement cycle.
본 발명에 따르면, 오수가 유입되는 유량 조정조와, 유입된 오수에 대한 반응, 교반이 수행되는 회분식 반응조 및 막분리조를 포함하는 3개의 조로 구성된 단순한 형태로, 하수, 오수 및 폐수의 고도처리를 위해 기존 MBR 공정대비 구분 격실을 줄여 소유부지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arry out an advanced treatment of sewage, sewage and wastewater in a simple form consisting of a flow rate adjusting tank into which wastewater flows, a batch type reaction tank in which reaction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introduced wastewat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area occupied by the existing MBR process.
또한, 본 발명은 회분식 활성 슬러지 공법의 고도 처리 장치를 실시함으로써, 오수의 유입량에 따라 자동으로 회분식 반응조의 운전 모드가 제어되며, 오수 유입량의 변동 부하에도 회분식 반응조 제어시스템에 따라 안정된 처리효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mode of the batch type reactor is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inflow amount of the wastewater by performing the advanced treatment apparatus of the batch activated sludge process, and stable operation efficiency is maintained according to the batch type reactor control system .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막분리 고도처리 장치를 개념화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회분식과 막분리를 결합한 하폐수처리의 재이용 장치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회분식과 막분리를 결합한 하폐수처리의 재이용 장치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분배관 등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onceptual illustration of a membrane-separation elevation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 view showing a concept of a recycling apparatus for wastewater treatment combined with continuous batch and membrane sepa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etailed view illustrating a recycling apparatus for wastewater treatment combined with continuous batch and membrane sepa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the distribution pipe or the like of FIG. 3 in detail.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hapes and the lik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can be exaggeratedly express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member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urther,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b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회분식과 막분리를 결합한 하폐수처리의 재이용 장치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a concept of a recycling apparatus for wastewater treatment combined with continuous batch and membrane sepa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되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오수가 유입되는 유량 조정조(100)와, 유입된 오수에 대한 반응, 교반이 수행되는 회분식 반응조(200) 및 막분리조(300)를 포함하는 3개의 조로 구성된 단순한 형태로, 안정적인 고도 처리와 분리막조의 잉여슬러지를 회분식 반응조(200)로 반송에 따른 재순환으로 인 등을 재처리하여 분리막 유니트(301) 오염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ow
상기 유량 조정조(100)는 회분식 반응조(200)로 오수가 공급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유입 예비 펌프(101,102)를 포함하고, 원수의 유입량을 측정할 수 있는 수위계가 설치되어 있다.The flow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유량 조정조(100)는 유입단계에서 유입량을 측정하여 회분식 반응조(200)의 유입량에 따른 처리 효율 향상을 위해 자동 제어되는 장치로서, 원수의 유입량을 측정할 수 있는 수위계(A,B,C)가 설치되어, 오수의 유입량에 따라 저수위(C 수위계 위치), 중수위(B 수위계 위치), 고수위(A 수위계 위치)로 구분 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low
여기에서, 유량 조정조(100)의 오수량이 저수위(C)로 측정될 때에는 회분식 반응조(200)로의 유입은 없으며, 회분식 반응조의 송풍기(203,204)는 미생물의 자산화 및 부패방지를 위해 자동 간헐적으로 운전을 한다. 반면 중수위(B)에서는 정상 부하 모드가 가동되어 회분식 반응조(200)의 중간레벨까지 오수를 채워 정상 처리가 수행되며, 고수위(A)로 측정될 때에는 유입 시간 단축을 위해 유입 예비 펌프(101, 102)가 동시 가동되며, 회분식 반응조의 처리 효율 증대를 위해 예비 송풍기가 작동하여 유입량에 따른 부하변동에 안정적으로 정상적인 처리수를 배출 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과정은 자동 제어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진다. Here, when the amount of sewage in the
상기 회분식 반응조(200)는 반응조 펌프(201,202), 제1 및 제2송풍기(203, 204), 수중 교반 장치(205,206), 산기 장치(207), 분배관(227), 와류 발생 장치(228), 제어부(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초기 교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유입 원수의 유기탄소원을 활용 2차 탈질을 유도함으로써, 질소 제거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The batch
상기 회분식 반응조(200)는 유량 조정조(100)에 오수가 고수위(A)로 유입되면, 고부하 모드로 운전하게 된다. 즉 유입 단계로서, 유량 조정조(100)로부터 회분식 반응조(200)로 오수가 공급되는 시간을 단축하고자 유입 예비 펌프(101,102)가 가동됨과 동시에 수중 교반 장치(205,206)가 동작하게 된다. 이때의 유입 예비 펌프(101,102)의 가동 시간은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기본 모드에서 유입 예비 펌프(101,102)의 가동시간 보다 짧게 가동되도록 제어된다.When the wastewater flows into the
또한, 회분식 반응조(200)는 유량 조정조(100)의 오수 유입량이 적은 경우, 저부하 모드에서는 제1 및 제2송풍기(203, 204)를 간헐적으로 동작시켜 반응조의 산기 장치(207)를 통해 회분식 반응조(200)에 공기를 간헐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는 실질적인 수처리가 수행되지 않는다 할지라도, 회분식 반응조(200)의 미생물이 자산화(Auto-Oxidation)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the low load mode, the first an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중 교반 장치(205,206)는 상기 회분식 반응조(200)의 내측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와류 발생 장치(228)는 수중 교반 장치(205,206)와 연장된 선상의 일정 위치에 또는 회분식 반응조(200) 벽면 중 어느 두면에 설치되어, 처리 공정 중 오수 유입 단계 및 교반 단계에서 순차적으로 가동하게 된다. 3, the
교반 단계에서는 수중 교반 장치(205, 206)가 사용되며, 상기 수중 교반 장치(205, 206)는 회분식 반응조(200)의 내부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어서In the stirring step, underwater stirring
가동될 때 단시간에 회분식 반응조 내의 오수가 뒤섞이도록 할 수 있고, 시스템 제어부(미도시)에 의해서 일정 프로그램에 따라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는데, 복수의 수중 교반 장치(205,206)가 동시에 가동하도록 하거나 각각 가동하도록 프로그램으로 처리 효율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The wastewater in the batch type reaction tank can be mixed in a short time when operated, and it can be operated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program by a system control unit (not shown), so that a plurality of underwater stirring
또한 상기 수중 교반 장치(205,206)의 가동은 주변에 추가 설치된 일정 경사도를 갖는 경사판(미도시)의 영향을 받아 보다 활발히 유입 원수와 회분식 반응조(200)내 미생물이 상호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of the
또한, 상기 수중 교반 장치(205,206)의 동작에 의해서 오수가 이동 및 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은 벽면의 와류 발생 장치(228)와 연동되어 교반 능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Also, it can be seen that the wastewater is moved and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즉, 상기 회분식 반응조(200) 내부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된 수중 교반 장치(205,206) 및 벽면 와류 발생 장치(228)는 오수의 유입과 동시 가동되어 회분식 반응조(200) 내 질소화합물을 유입 원수의 유기 탄소원을 이용하여, 초기 1단계 탈질화 반응 후 교반 단계에서 2단계의 탈질화 과정을 수행하는 데, 상기 와류 발생 장치(228)는 벽면에 설치되는 직사각형 형상 또는 유선형 형상을 가지며, 직사각형 또는 유선형 형상의 외부면 또는 곡선면을 타고 직선형 공기 줄기가 와류형 공기 줄기로 변하도록 하여 초기 교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유입 원수의 유기탄소원을 활용 2차 탈질을 유도함으로써, 질소 제거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반응조의 산기 장치(207)는 제1송풍기(203) 및 제2송풍기(204)와 연결되어 회분식 반응조 내에 공기를 불어 넣게 된다.The
상기 산기 장치(201)를 통해서 회분식 반응조(200) 내에 공기를 공급하는 포기 구간을 설정할 수 있는데, 오수의 농도에 따라서 포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The aeration section for supplying air into the
즉, 오수의 농도가 높을 때에는 포기 구간을 더 길게 그리고 자주 설정하여 포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때, 공기 공급이 중지되는 비포기 구간에서는 수중 교반 장치(205, 206)를 가동시켜서 슬러지의 침전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wastewater is high, the amount of the aeration can be increased by setting the release period longer and frequently. At this time, in the non-aeration period in which the air supply is stopped,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배관(227)은 회분식 반응조(200)로 오수가 유입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오수의 낙차에 의해서 발생되는 기포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낙차에 의해서 기포가 발생되면 산소가 유입되어 초기 탈질 처리 효율이 감소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회분식 반응조(200)로 오수가 유입되는 부분에 분배관(227)을 "ㄱ" 형상으로 꺽여 반응조의 바닥면으로 향하게 하여 낙차를 줄이도록 설치한다. 이는 기포 발생 억제뿐만 아니라 초기 교반에도 효과적이다. 여기에서 "ㄱ" 형상의 꺽이는 부분을 일정 지름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꺽이게 하여 더욱 기포 발생을 억제시킬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4,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분식 반응조(200)에서 활성미생물에 의해 유기물, 질소 및 인 성분 물질이 제거되면 막분리조(300) 내에, 부유물질(SS)과 MLSS와 같은 입자성 물질만이 존재하게 되는데, 회분식 반응조(200)와 분리되어 막분리조(300)가 하나의 개별적인 조로서 기능을 하면, 3개의 조 구성만으로도 막분리조(300)에 의해 안정적인 고도 처리로 분리막 유니트(301) 오염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분리막 유니트(301)의 교체 주기를 길게 할 수 있다.2, when organic matter, nitrogen, and phosphorus substances are removed by the active microorganisms in the batch
상기 막분리조(300)에 포함되는 분리막 유니트(301)의 막은 막분리조 내부에 침지되어 있으며, 막분리조 외부에 존재하는 흡인펌프에 의한 막 내부의 부압을 발생시켜 이것을 구동압력으로 해서 분리막 유니트(301) 외부의 혼합물이 분리막 유니트(301) 공극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리막 유니트(301) 내부로 유입되면서 고액분리되는 복수개 유니트로 구성된다.The membrane of the
상기 분리막 유니트(301)는 분리막 여과 공정에 사용되기 위해, 공칭공경이 0.001㎛~0.4㎛를 갖는 침지형 또는 외압형 분리막 유니트(301)가 사용된다. 막의 형태에 있어서는 중공사(hollow fibular), 관(tublar) 또는 평(flat)막 형태의 분리막 유니트(301)를 갖는 침지형 분리막 프레임이 있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평막 형태의 분리막 유니트(301)가 좋다. 따라서, 3개의 조 구성만으로도 막분리조(300)에서 잔류되어 있는 고형물을 처리수와 분리하여 안정적인 처리수를 배출하게 된다. In order to use the
만일 상술한 처리에 의해 분리막 유니트(301)에 의해 유출되지 않은 질산화된 활성슬러지도 반응조 펌프(201, 202)를 통해 내부 반송으로 회반식 반응조(200)로 재순환시키며, 이에 의해 생물처리공정 내의 활성슬러지 농도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탈질반응을 통해 질소가 제거된다.If the nitrified activated sludge not leaked by the
흡인펌프(304, 305) 사이에 설치된 분리막 흡인라인은 분리막 유니트(301)의 투과압력을 감지하는 차압계와 처리수의 유입을 단속하는 흡입밸브가 설치된 복수 개의 흡인 라인이다.The separation membrane suction line provided between the suction pumps 304 and 305 is a plurality of suction lines provided with a differential pressure meter for sensing the permeation pressure of the
방류조(미도시)는 상기 흡인펌프(304, 305)에 연결되어, 흡입된 처리수를 공급받아 외부로 방류시킨다.A discharge tank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umps 304 and 305 to supply the inhaled treated water to the outside.
송풍기(302, 303)는 에어라인을 통해 상기 막분리조에 침지된 분리막 유니트(30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분리막조의 산기장치(306)에 공기를 공급한다.The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유량조정조(100)의 오수 유입량이 회분식 반응조(200)에 한번의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설계 유입량을 만족할 경우 회분식 반응조(200)로 오수 유입이 이루어지고 이때 반응조 내의 교반기(205,206)가 동시 작동되어, 초기 무산소 상태에서의 반응조 내의 탈질작용을 유발하게 된다. 이후 회분식 반응조(200)는 호기상태의 생물학적 반응 단계로 넘어가게 된다.When the inflow amount of the wastewater from the flow
반응 단계에서는 송풍기(203,204)를 가동시켜 반응조의 산기 장치가(207) 회분식 반응조(200) 내에 공기를 불어 넣게 되며, 이러한 반응 단계는 180~220분 정도 진행되며, 반응시간은 유입 오수의 농도 및 반응조 미생물 상태에 따라 운전자가 쉽게 설정 할 수 있다.In the reaction step, the
이어서 회분식 반응조(200)는 2차 교반 단계를 수행하게 되는데, 호기 과정에서 질산화 된 물질을 소량의 유입원수 공급으로 탈질 과정을 수반하게 된다. 교반 단계에서 수중 교반 장치(206,206)를 가동하는 시간은 약20분 정도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탈질 정도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다.Subsequently, the
이러한 생물학적 처리 공정을 거친 미생물 혼합액은 호기침지조의 막분리조(300)로 이송하게 된다.The microbial mixture that has undergone the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is transferred to the
상기 회분식 반응조(200)에서 활성미생물에 의해 유기물, 질소 및 인 성분 물질이 제거되면 막분리조 내에 부유물질(SS)과 MLSS와 같은 입자성 물질만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는 분리막 유니트(301)에 의해 고액 분리된다.When the organic matter, nitrogen and phosphorus components are removed by the active microorganisms in the
상기 분리막 유니트(301)는 공지의 분리막 프레임 장치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액분리 수행이 가능한데, 이 분리막 프레임 장치는 막분리조(300) 외부에 존재하는 흡인펌프(304,305)와 흡인라인으로 연결되어 있다.The
상기 흡인펌프(304,305)의 가동으로 발생되는 흡입압에 의해 분리막 외부의 혼합물이 분리막 공극을 통해 분리막 내부로 유입되면서 고액분리가 발생, 안정된 처리수가 흡인펌프(304,305)에 의해 방류조에 유출되게 된다.By the suction pressure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pumps 304 and 305, the mixture outside the separation membrane flows into the separation membrane through the separation membrane pore to cause solid-liquid separation, and the stable treatment water flows out to the discharge vessel by the suction pumps 304 and 305.
여기에서, 상기 분리막 표면에 발생하는 폐색을 지연, 가동 시간을 연장하기 위해, 분리막 유니트(301) 장치 하단에 분리막조의 산기장치(306)를 설치한다. 산기 장치는 막분리 유니트 외부에 설치된 송풍기(302,303)와 에어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송풍기(302,303)의 가동을 통해 공기를 막분리 유니트 내부에 공급하게 된다.Here, in order to delay the occlusion occurring on the surfa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and to extend the operation time, the
따라서 분리막 유니트(301) 장치내 수류가 형성되어, 분리막 표면의 폐색이 지연됨으로서, 침지식 분리막의 처리 효율의 증대 및 분리막의 수명을 연장시켜 교체시기를 연장 할 수 있다.Accordingly, water flow is formed in the
또한, 본 발명은 오수가 유입되는 유량 조정조(100)와, 유입된 오수에 대한 반응, 교반이 수행되는 회분식 반응조(200) 및 막분리조(300)로 구성되는 3개 조의 단순한 형태로, 하수, 오수 및 폐수의 고도처리를 위해 기존 MBR 공정대비 구분 격실을 줄임으로써, 소유부지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imple structure of three sets composed of a flow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연속회분식과 막분리를 결합한 하폐수처리의 재이용 장치는 예시일 뿐이고,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The apparatus for reclaiming waste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combination of continuous batch and membrane separation, is merely an exampl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know the point.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유량 조정조
101,102 : 유입 예비 펌프
A,B,C : 수위계
200 : 회분식 반응조
201,202 : 반응조 펌프
203,204 : 반응조 송풍기
205,206 : 교반 장치
207 : 반응조의 산기장치
227 : 분배관
228 : 와류 발생 장치
300: 막분리조
301: 분리막 유니트
302,303: 송풍기
304, 305 : 흡인펌프
306: 분리막조의 산기장치100: Flow regulator
101, 102:
A, B, C: Water gauge
200: batch reactor
201, 202: Reactor pump
203,204: Reactor blower
205,206: stirring device
207: Distillation unit of reaction tank
227: Distribution pipe
228: vortex generator
300: membrane separation tank
301: Separation unit
302, 303: blower
304, 305: suction pump
306: Air diffuser of membrane separation
Claims (7)
오수가 유입되는 유량 조정조;
유입된 오수에 대한 반응, 교반이 수행되는 회분식 반응조;
상기 유량 조정조에 유입된 오수의 량을 소정 레벨로 구분하여 측정한 레벨 측정 정보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수위계;
유입된 오수량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회분식 반응조로 이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수중 교반 장치와 연장된 선상의 일정 위치에 또는 상기 회분식 반응조 벽면 중 어느 두면에 대각선으로 설치되는 와류 발생 장치;
상기 회분식 반응조 내에 미생물 서식을 용이하게 하는 접촉여재;
상기 회분식 반응조의 유입배관 전단에 설치되는 분배관;
상기 회분식 반응조와 연결되어 고액 분리하여 처리수를 생산하거나 잉여슬러지를 반송하는 막분리조;
상기 막분리조에 침지되고, 막분리조 외부에 존재하는 흡인펌프의 가동으로 발생하는 흡인압에 의해 분리막 유니트 외부의 혼합물이 분리막 유니트 공극을 통해 분리막 유니트 내부로 유입되면서 고액분리되는 복수개 분리막유니트;
상기 막분리조 외부에 설치되어 흡인력을 생성하는 흡인펌프;
상기 흡인펌프 사이에 설치되며, 분리막유니트의 투과압력을 감지하는 차압계와 처리수의 유입을 단속하는 흡입밸브가 설치된 복수 개의 분리막 흡인라인;
상기 흡인펌프에 의해 흡입된 처리수를 공급받아 외부로 방류시키는 방류조;
상기 막분리조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분리막 유니트 표면에 발생하는 폐색 지연, 가동 시간 연장을 위해, 상기 회분식 반응조에 각각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 및
상기 송풍기와 에어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송풍기로 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막분리 유니트 내부에 공급하는 산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회분식과 막분리를 결합한 하폐수처리의 재이용 장치.A recycling apparatus for wastewater treatment combined with a continuous batch system and a membrane separation,
A flow regulating tank into which sewage is introduced;
Reaction to the incoming wastewater, and a stirred tank;
A water level meter for transmitting level measurement information measured by dividing the amount of wastewater flowing into the flow rate adjusting tank to a predetermined level, to the controller;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ransfer to the batch type reaction tank at a constant rate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introduced sewage;
A vortex generator installed at an arbitrary position on an extended line or on an underwater agitator and diagonally on either side of the batch reactor wall;
A contact material for facilitating microbial culture in the batch reactor;
A distribution pipe install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inflow pipe of the batch type reaction tank;
A membrane separation tank connected to the batch type reaction tank for solid-liquid separation to produce treated water or convey excess sludge;
A plurality of separation membrane units immersed in the membrane separation vessel and being solid-liquid separated while the mixture outside the separation membrane unit flows into the separation membrane unit through the separation membrane unit gap by the suction pressure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pump existing outside the membrane separation vessel;
A suction pump provided outside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to generate a suction force;
A plurality of separation membrane suction lines installed between the suction pumps and provided with a differential pressure meter for sensing the permeation pressure of the separation membrane unit and a suction valve for interrupting the inflow of the process water;
A discharge tank which receives the treated water sucked by the suction pump and discharges the treated water to the outside;
A blower installed outside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to supply air to the batch type reaction tank for delaying occlusion and prolongation of operation time occurring on the surfa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unit; And
And an air diffuser connected to the blower through an air line to receive air from the blower and supply the air to the inside of the membrane separation unit.
상기 유량 조정조는, 상기 레벨 측정 정보에 따라 유입 오수량이 적어 회분식 반응조가 정상 공정을 진행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송풍기를 일정 시간만 가동하는 간헐적 가동하는 저부하 모드가 가동되며, 상기 레벨 측정 정보에 따라 오수 유입량의 과다 유입에 따른 유량 조정조 고수위에서는 고부하 모드가 가동되어 제1 및 제2 유입 예비 펌프를 가동시켜 유입 시간을 단축시키고, 제1 및 제2송풍기를 동시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회분식과 막분리를 결합한 하폐수처리의 재이용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amount of inflow water is low according to the level measurement information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batch reactor can not proceed with the normal process, the flow rate adjusting tank is operated in the intermittently operating low load mod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are operated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measurement information, the high load mode is operated on the flow control valve due to excessive inflow of the wastewater inflow amount, the first and second inflow pumps are operated to shorten the inflow time, and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Wherein the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comprises a continuous batch system and a membrane separation system.
유량 조정조에서 유입된 오수의 량을 소정 레벨로 구분하여 측정한 레벨 측정 정보에 따라 유입 예비 펌프를 작동시켜 오수를 처리하는 회분식 반응조로 유입시키는 유입 단계;
상기 회분식 반응조 내에 오수의 농도가 일정치 이상일 경우 반응 시간을 늘리기 위해 제1 송풍기와 제2 송풍기를 가동시키고, 산기 장치를 통해 오수의 농도에 따라서 포기량을 조절하는 반응 단계;
상기 회분식 반응조 내의 수중 교반 장치와 벽면의 와류 발생 장치와, 유입배관 전단에 설치되는 분배관에 의해 오수를 교반시키는 교반 단계;
생물학적 처리 공정을 거친 미생물 혼합액을 호기적 처리를 위해, 막분리조로 이송하여 분리막 유니트를 통해 고액 분리하여 처리수를 생산하는 단계;
상기 분리막 유니트에 의해 유출되지 않은 질산화된 활성슬러지를 내부 반송으로 상기 회분식 반응조로 재순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고액 분리단계에서 분리된 상등수를 처리 수조로 배출하는 배출 단계;를 포함하는 연속회분식과 막분리를 결합한 하폐수처리의 재이용 방법.A method for recycling a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comprising a batch regeneration tank, a batch reactor, and a membrane separation tank,
An inflow step of inflowing the inflow auxiliary pump into a batch type reaction tank for treating wastewater in accordance with level measurement information obtained by dividing the amount of wastewater flowing in the flow rate adjustment tank into a predetermined level;
A reaction step of operating the first blower and the second blower to increase the reaction time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wastewater in the batch type reaction tank is equal to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adjusting the amount of the aeration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wastewater through the air diffuser;
Stirring the wastewater by means of an underwater agitating device in the batch type reaction tank, a vortex generating device on a wall surface, and a distribution pipe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influent pipe;
Transferring the microbial mixed solution having undergone the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to a membrane separation tank for aerobic treatment, and solid-liquid separation through a separation membrane unit to produce treated water;
Recycling the nitrified activated sludge that has not been spilled by the separation membrane unit to the batch reactor by internal transfer; And
And discharging the supernatant separated in the solid-liquid separation step to the treated water tank.
상기 유입 단계는, 상기 레벨 측정 정보에 따라 유입 오수량이 적어 회분식 반응조가 정상 공정을 진행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송풍기를 일정 시간 만 가동하는 간헐적 가동하는 저부하 모드 단계; 및
상기 레벨 측정 정보에 따라 오수 유입량의 과다 유입에 따른 유량 조정조 고수위에서는 제1 및 제2 유입 예비 펌프를 가동시켜 유입 시간을 단축시키고, 제1 및 제2송풍기를 동시 가동시키는 고부하 모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회분식과 막분리를 결합한 하폐수처리의 재이용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low-load mode step of intermittently operating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inflow water amount is low according to the level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he batch type reactor is judged to be unable to proceed with the normal process; And
A high load mode step of operating the first and second inlet preliminary pumps to shorten the inflow time and simultaneously operating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on the flow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excessive inflow of the wastewater inflow amount according to the level measurement information; Wherein the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further comprises a continuous batch system and a membrane separation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152336A KR101485500B1 (en) | 2014-11-04 | 2014-11-04 | Device and method by the membrane separator activated advanced oxidation proces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152336A KR101485500B1 (en) | 2014-11-04 | 2014-11-04 | Device and method by the membrane separator activated advanced oxidation proces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85500B1 true KR101485500B1 (en) | 2015-01-28 |
Family
ID=52592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152336A Active KR101485500B1 (en) | 2014-11-04 | 2014-11-04 | Device and method by the membrane separator activated advanced oxidation proces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5500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9932B1 (en) | 2015-11-02 | 2017-05-11 | (주)이앤이솔루션 | Realtime water treatment control system using ORP and pH |
CN107698110A (en) * | 2017-11-23 | 2018-02-16 | 沈阳工业大学 | A kind of small-sized integrated processing equipment of northern country sanitary sewage and its processing method |
KR102614473B1 (en) * | 2023-06-09 | 2023-12-15 | 주식회사 조은환경 | Sewage Treatment System equipped with MB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14791A (en) * | 1997-05-19 | 1998-12-02 | Hitoshi Daidou | Sewage treatment equipment |
JP2005279447A (en) * | 2004-03-30 | 2005-10-13 | Kubota Corp | Water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
JP2007152179A (en) * | 2005-12-01 | 2007-06-21 | Mitsubishi Rayon Eng Co Ltd | Membrane filtration unit |
KR101022403B1 (en) * | 2008-12-10 | 2011-03-15 | 최송휴 | Blocking device of membrane separation device for advanced processing |
-
2014
- 2014-11-04 KR KR20140152336A patent/KR10148550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14791A (en) * | 1997-05-19 | 1998-12-02 | Hitoshi Daidou | Sewage treatment equipment |
JP2005279447A (en) * | 2004-03-30 | 2005-10-13 | Kubota Corp | Water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
JP2007152179A (en) * | 2005-12-01 | 2007-06-21 | Mitsubishi Rayon Eng Co Ltd | Membrane filtration unit |
KR101022403B1 (en) * | 2008-12-10 | 2011-03-15 | 최송휴 | Blocking device of membrane separation device for advanced processing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9932B1 (en) | 2015-11-02 | 2017-05-11 | (주)이앤이솔루션 | Realtime water treatment control system using ORP and pH |
CN107698110A (en) * | 2017-11-23 | 2018-02-16 | 沈阳工业大学 | A kind of small-sized integrated processing equipment of northern country sanitary sewage and its processing method |
KR102614473B1 (en) * | 2023-06-09 | 2023-12-15 | 주식회사 조은환경 | Sewage Treatment System equipped with MB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868857B1 (en) | Method of biological water treatment | |
US20070119763A1 (en) | Floating sequencing batch reactor and method for wastewater treatment | |
KR101494398B1 (en) | Apparatus for wastewater treatment with submerged membrane | |
US20140097136A1 (en) | Composite microorganism reactor,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water treatment using the same | |
JP6630054B2 (en) | Wastewater treatment method and wastewater treatment device | |
JP2018138292A (en) | Water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 |
KR20150144682A (en) | Apparatus for wastewater treatment with submerged membrane | |
KR101485500B1 (en) | Device and method by the membrane separator activated advanced oxidation process | |
CN110392672B (en) | Aerated reactor with internal solids separation | |
JP5743448B2 (en) | Sewage treatment equipment | |
KR101634292B1 (en) |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carrier based on modified a2o | |
EP2222608A1 (en) | Improvements relating to water treatment | |
US10259732B2 (en) | Sequencing batch facility and method for reducing the nitrogen content in waste water | |
KR100839035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biological sewage treatment by sludge solid-liquid separation flotation using diffuser | |
KR101817471B1 (en) | Wastewater Treatment System | |
JP5863409B2 (en) | Wastewater treatment equipment | |
JP2016049512A (en) | Anaerobic ammonia oxidation treatment method, anaerobic ammonia oxidation treatment apparatus, and organic wastewater denitrification treatment method | |
KR20150016775A (en) | Advanced water treatment system with improved treatment efficiency for concentrated sludge | |
JP6243804B2 (en) | Membrane separation activated sludge treatment apparatus and membrane separation activated sludge treatment method | |
KR101536985B1 (en) |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inflow carbon in SBR | |
JP6676417B2 (en) | Organic wastewater biological treatment apparatus and biological treatment method | |
JP6618327B2 (en) | Carrier anaerobic treatment device startup method, carrier anaerobic treatment startup device | |
KR101632740B1 (en) | Biological advanced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an integrated aerobic nitrogen degassing | |
KR101303820B1 (en) | Water treatmen apparatus for removing nitrogen and phosphorus using upflow and downflow complete mixing chain reaction | |
KR20180032204A (en) | A membrane bioreactor system which is adapted of a backward gravity flow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11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16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